KR101399998B1 -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 - Google Patents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998B1
KR101399998B1 KR1020120036194A KR20120036194A KR101399998B1 KR 101399998 B1 KR101399998 B1 KR 101399998B1 KR 1020120036194 A KR1020120036194 A KR 1020120036194A KR 20120036194 A KR20120036194 A KR 20120036194A KR 101399998 B1 KR101399998 B1 KR 101399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traveling
tilting
hu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3753A (ko
Inventor
이무림
이상헌
김재우
박순욱
이호중
전완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6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998B1/ko
Publication of KR20130113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6Cleaning devices for hulls
    • B63B59/10Cleaning devices for hulls using trolleys or the like driven along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07Movable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3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using a tool turning around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33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a surface for cleaning purposes, e.g. for descaling or for grinding off flaws in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9/00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 B24B29/02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designed for particula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0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performing a reciprocating movement of carriages or work-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6Cleaning devices for hulls
    • B63B59/08Cleaning devices for hulls of underwater surfaces while aflo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 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는 선체 벽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자력을 갖는 메인휠이 설치된 조인트 바디부, 연마 브라켓을 포함하여 상기 조인트 바디부의 양측에 기구적으로 연결된 연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 브라켓을 상기 연마부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하여 선체 벽면을 연마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Grinding Apparatus For Offshore Structure}
본 출원은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선박 등 해상구조물의 선체 벽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선체 벽면의 도장 작업이 용이하도록 긁힌 자국(Scratch)을 형성하는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등 해상구조물의 재질은 대부분 철(Fe)이고, 특히 해상구조물의 선체는 철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해상구조물은 해상에서 운영되며, 해수에 포함되는 염화나트륨(NaCl) 등 철을 부식시키는 다양한 물질 등에 의해 해상구조물이 부식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해상구조물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 중에 하나로써, 해상구조물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선체 외판에 도장 작업을 수행한다.
해상구조물의 선체 벽면에 대판 도장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선체 외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전처리 작업은 선체 외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뿐만 아니라 선체 벽면에 긁힌 자국(Scratch)을 형성시켜 도료가 선체 벽면에 견고히 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은 종래에 선체 벽면의 이물질 제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소차 플랫폼(2)에 고소차 운전자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자가 탑승하게 된다. 상기 고소차 플랫폼(2)이 작업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작업자는 주로 연마재, 샌드페이퍼(Sandpaper) 또는 손걸레 등을 이용하여 선체 벽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전처리 작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작업자는 상기 연마재를 선체 외판에 접촉한 후, 좌우 또는 상하 왕복 운동을 수행한다. 특히 선체의 벽면 중에 하부를 작업하는 경우, 작업자가 어깨 위로 손을 올려 작업해야 하므로, 반복 작업에 따른 작업 피로도가 상당하다.
이러한 수작업 방식은 작업 효율이 떨어져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에게 이물질이 호흡기를 통하여 전달되어 각종 질병을 유발할 수 있고, 작업자가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7-0121898 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7-0010578 호
본 출원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가 직접 연마를 하지 않고 선체의 벽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긁힌 자국을 형성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벽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자력을 갖는 메인휠이 설치된 조인트 바디부, 연마 브라켓을 포함하여 상기 조인트 바디부에 기구적으로 연결된 연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 브라켓을 상기 연마부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하여 선체 벽면을 연마하는 해상구조물의 연마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부는 상기 조인트 바디부를 중심으로 연결되는 제 1 연마부 및 제 2 연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마부는 제 1 주행휠을 갖고, 상기 제 2 연마부는 제 2 주행휠을 갖고,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는 상기 제 1 주행휠 또는 상기 제 2 주행휠의 회전이 조절되어 상기 선체 벽면에서 이동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마부는 상기 제1 주행휠과 결합하는 제1 주행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마부는 상기 제2 주행휠과 결합하는 제2 주행 회전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주행휠은 상기 제1 주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주행휠은 상기 제2 주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주행 회전축은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부는 선체 벽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자력을 제공하는 자성부가 설치된 연마 몸체부, 상기 연마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마 브라켓의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연마 브라켓에 전달하도록 상기 연마 브라켓에 설치된 실린더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부는 상기 연마 몸체부와 상기 연마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연마 브라켓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부는 상기 연마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마 몸체부가 선체 벽면을 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및 상기 선체 벽면에 접촉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한 주행휠을 포함하는 주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부는 자력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킬 수 있는 자성조절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 바디부와 상기 연마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조인트 바디부의 일측을 중심으로 상기 연마부가 회전 가능하게 하는 틸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팅부는 상기 조인트 바디부에 설치되며, 양측이 관통된 관통부를 갖는 틸팅 몸체부, 상기 연마부에 설치되며, 상기 틸팅 몸체부의 관통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틸팅 회전축, 상기 틸팅 몸체부 내에서 상기 틸팅 회전축을 감싸는 제 1 탄성 부재 및 상기 틸팅 몸체부 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 틸팅 회전축이 상기 틸팅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내에서 회전한 경우 상기 제 1 탄성 부재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는 제 2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는 해상구조물의 선체의 벽면에 부착되어 선체의 벽면에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연마 브라켓이 연마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왕운 운동함으로써, 선체 벽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연마 몸체부에 주행부를 설치됨으로써, 연마 장치는 선체의 벽면에서 주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 바디부와 연마부를 연결하는 틸팅부가 설치됨으로써, 선체 벽면이 평평하지 않고 곡면을 갖는 경우에도 연마 작업을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선체 벽면의 이물질 제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연마부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2의 연마 브라켓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도 1의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가 선체의 벽면의 위치를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도 1의 틸팅부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가 곡면을 갖는 선체의 벽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가 선체의 벽면을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 연마 장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해상 구조물의 연마 장치(100)는 조인트 바디부(700) 및 연마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 바디부(700)는 조인트 바디(710), 메인휠(720) 및 손잡이부(730)를 포함한다.
조인트 바디(710)는 메인휠(720) 및 손잡이부(73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메인휠(720)는 선체 벽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자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휠(720)는 자석 바퀴일 수 있고, 자력이 발생을 조절할 수 있는 전자기부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인트 바디(710)는 상기 메인휠(720)의 자력에 의해 철(Fe) 재질을 갖는 선체의 벽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휠(720)는 선체의 벽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상기 메인휠(72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레버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레버를 누름에 따라 상기 레버가 상기 메인휠(72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730)는 작업자가 상기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100)를 선체의 벽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조인트 바디(71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730)는 상기 조인트 바디(710)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 몸체부(710)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손잡이부(730) 각각이 서로 이격됨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730)가 상기 고정부의 상부를 가압하여 누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730)는 작업자뿐만 아니라 와이어 등에 연결하여 상기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100)를 선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제 1 연마부(201)는 상기 조인트 바디(710)에 연결되며, 선체 벽면과 면접촉하여 선체의 벽면에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연마부(200)는 제 1 연마부(201)와 제 2 연마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마부(201)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 2 연마부(202)는 상기 조인트 바디(710)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연마부(201)와 대칭적으로 상기 조인트 바디(7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마부(202)는 후술할 제 1 연마부(201)의 구성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마부(202)가 제 1 연마부(201)의 구성이 동일한 경우, 이후 제 2 연마부(202)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연마부(202)는 상기 조인트 바디(710)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연마부(201)와 좌우 대칭적일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 바디(710)를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연마부(201)와 대칭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인트 바디부(700)를 중심으로 연마부(200) 각각이 대칭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 연마부(201)와 상기 제 2 연마부(202)의 운동 방향을 반대로 하면서 연마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연마부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연마부(201)는 제 1 연마 몸체부(210) 및 제 1 연마 브라켓(3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마 몸체부(210)에는 선체 벽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자력을 제공하는 자성부(6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 연마 브라켓(310)은 상기 선체 벽면에 면접촉하며, 상기 제 1 연마 몸체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마 브라켓(310)의 일측은 연마재(Abrasives)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마 브라켓(310)은 상기 제 1 연마 브라켓(310)의 하면과 상기 연마재 사이에 탄성력을 가진 스펀지(Spong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재 또는 상기 스펀지의 일면은 벨크로(Velcro)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펀지는 상기 벨크로로 인하여 상기 제 1 연마 브라켓(310)의 하면과 탈부착될 수 있고, 상기 연마재는 상기 제 1 연마 브라켓(310) 또는 상기 스펀지와 탈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마 몸체부(210)에는 실린더(4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400)는 상기 제 1 연마 브라켓(310)이 상기 제 1 연마 몸체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400)는 일반적인 복동 실린더일 수 있고, 유체를 이용하는 유압실린더 또는 전기 모터를 이용하는 실린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400)는 직선 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한 구조이면 적용될 수 있다.
실린더 조인트(420)는 상기 실린더(400)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연마 브라켓(310)에 전달하도록 상기 제 1 연마 브라켓(310)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400)는 일측이 상기 실린더 조인트(420)과 결합 가능하도록 내측이 함몰된 수용홈을 가진 돌출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조인트(420)는 상기 실린더의 돌출부(410)의 수용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실린더의 돌출부(410)와 상기 실린더 조인트(420)의 형상은 상기 실린더의 구동력에 의해 실린더의 돌출부의 왕복 운동이 실린더 조인트에 전달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1 연마부(201)에는 상기 제 1 연마 몸체부(210)와 상기 제 1 연마 브라켓(31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연마 브라켓(310)이 직선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341)는 몸체부 가이드(351) 및 브라켓 가이드(361)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 가이드(351)는 상기 제 1 연마 몸체부(2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고, 적어도 하나 하나의 일측이 내측으로 함몰된 제 1 연결홈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 가이드(361)는 상기 제 1 연마 브라켓(3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 가이드(351)의 제 1 연결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 2 연결홈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연마 몸체부(210)와 상기 제 1 연마 브라켓(310) 사이에 상기 가이드부(341)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 1 연마 브라켓(310)이 선체의 벽면에 면접촉에 의하여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341)는 제 1 연마 브라켓(310)의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연마 브라켓(310)의 직선 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연마부(201)는 상기 제 1 연마부(201)가 선체 벽면을 주행할 수 있는 주행부(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행부(510)는 구동부(511), 구동전달부(512) 및 주행휠(51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511)는 상기 제 1 연마 몸체부(210)에 설치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511)의 일단은 기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511)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에 의하여 조작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구동전달부(512)는 상기 구동부(511)에 의해 발생한 구동력을 주행휠(51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전달부(512)는 상기 구동부의 일단(514)이 기어 형상일 경우, 이에 대응되는 기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전달부(512)가 상기 주행부(510)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511)의 구동력을 주행휠(513)에 직접적으로 전달하지 않게 되어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주행휠(513)는 상기 선체 벽면에 접촉하며, 상기 구동전달부(512)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거나 상기 구동부(511)에 직접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주행휠(513)의 일측은 상기 구동전달부(512)가 기어 형상이거나 상기 구동부(511)의 일단이 기어 형상일 경우, 이에 대응되는 기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100)는 상기 주행부(500)를 포함함으로써, 선체의 벽면에서 주행을 할 수 있게 되어 원하는 작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자성부(600)는 상기 제 1 연마 몸체부(210)에 설치되며, 선체 벽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부(600)는 자력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킬 수 있는 자성조절부(610)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조절부(610)는 레버 형식으로 상기 자성부(60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조절부(610)의 레버를 누르거나 당김으로써, 자력을 온 또는 오프 시켜 상기 제 1 연마 몸체부(210)를 상기 선체 벽면에 탈부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성조절부(610)는 작업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하여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100)는 선체 벽면에 부착된 상태로 선체 벽면을 주행하여 원하는 작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도2의 연마 브라켓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100)가 선체 벽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스크래치(Scratch)를 형성하는 작동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바디부(700)는 선체의 벽면에 부착될 수 있고, 제 1 연마부(201)는 상기 조인트 바디부(70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연마부(201)의 주행바퀴(513)와 상기 조인트 바디부(700)의 메인휠(720)는 선체의 벽면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메인휠(720)의 자력과 상기 제 1 연마부(201)의 자성부(600)의 자력에 의하여 상기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100)는 선체의 벽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 1 연마 브라켓(310)은 선체의 벽면에 면접촉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실린더(400)가 상기 제 1 연마 몸체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실린더(400)의 돌출부(410)는 실린더 조인트(42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다.
상기 실린더 조인트(420)는 상기 제 1 연마 브라켓(3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 조인트(420)가 왕복 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 1 연마 브라켓(310)은 선체의 벽면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제 1 연마 브라켓(31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연마 브라켓(310)은 상기 제 1 연마 브라켓(310)이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와 제 1 주행바퀴(513)가 선체의 벽면에 접촉할 수 있는 폭을 갖는 바퀴수용홈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행휠(513)가 선체의 벽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연마 브라켓(310)은 상기 제 1 연마 브라켓(31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선체의 벽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스크래치(Scratch)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가 선체의 벽면의 위치를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100)는 조인트부(700)의 메인휠(720), 제 1 연마부(201)의 제 1 주행휠(513) 및 제 2 연마부(202)의 제 2 주행휠(523)의 회전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주행휠(513) 또는 상기 제 2 주행휠(523)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100)가 선체 벽면에서 이동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주행휠(513)의 회전수를 높이고, 상기 메인휠(720)과 상기 제 2 주행휠(523)의 회전수가 없거나 미미한 경우, 상기 제 1 주행휠(513)는 직진하지 않고 곡선(L)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100)는 선체의 벽면에 밀착한 상태로 이동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휠(720), 상기 제 1 주행휠(513) 및 상기 제 2 주행휠(523)의 회전수는 작업자가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틸팅부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가 곡면을 갖는 선체의 벽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가 곡면을 갖는 선체의 벽면을 연마하는 구성 및 작동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100)는 조인트 바디부(700)와 연마부(20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조인트 바디부(700)의 일측을 중심으로 상기 연마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하는 틸팅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부(800)는 틸팅 몸체부(811), 틸팅 회전축(814), 제 1 탄성 부재(815) 및 제 2 탄성 부재(816)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 몸체부(811)는 조인트 바디부(700)에 설치되며, 양측이 관통된 관통부를 가질 수 있다.
틸팅 회전축(814)은 연마부(200)에 설치되며, 상기 틸팅 몸체부의 관통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다.
제 1 탄성 부재(815)은 상기 틸팅 몸체부(811) 내에서 상기 틸팅 회전축(814)을 감쌀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탄성 부재(815)의 재질은 고무(Rubber)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탄성 부재(815)의 종단면은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탄성 부재(816)은 상기 틸팅 몸체부 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 틸팅 회전축이 상기 틸팅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내에서 회전한 경우 상기 제 1 탄성 부재(815)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탄성 부재(816)의 재질은 고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탄성 부재(816)의 종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2 탄성 부재(816)의 종단면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 1 탄성 부재(816)이 상기 틸팅 회전축(814)의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경우, 일정한 회전력 이하에서 제 1 탄성 부재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여 제 1 탄성 부재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형상이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팅부(800)는 상기 제 1 연마부(201)와 상기 조인트 바디부(700)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틸팅부(810) 및 상기 제 2 연마부(202)와 상기 조인트 바디부(700)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틸팅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부(200)는 상기 틸팅 회전축(81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의 벽면이 곡면을 갖는 경우, 상기 조인트 바디부(700)는 선체의 벽면에 부착되고, 상기 연마부(200)는 선체의 곡면에 의하여 상기 조인트 바디부(70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팅부(800)는 제 1 탄성 부재(815) 및 제 2 탄성 부재(816)에 접촉에 의하여 상기 제 1 탄성 부재(815)의 회전을 방해함으로써, 상기 연마부(200)는 선체의 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100)는 선체의 벽면이 평평한 경우뿐만 아니라 곡면인 경우에도 연마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가 선체의 벽면을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101)는 도 2에서 이미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유사함으로, 이에 따른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바디부(700), 제 1 연마부(201) 및 제 2 연마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마부(201)는 제 1 주행부(501)를 더 포함하고, 제 2 연마부(202)는 제 2 주행부(5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주행부(501)는 제 1 주행휠(533), 제 1 주행 회전축(532), 구동부(531) 및 제 1 조향 회전부(535)를 포함할 수 있다.도시된 바와 같이, 도 9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부(500)와 달리, 상기 제 1 주행휠(533)은 상기 제 1 주행 회전축(53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축(532)는 상기 제 1 조향 회전부(535)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2 주행부(502)는 제 2 주행휠(543) 및 제 2 주행 회전축(542) 및 제 2 조향 회전부(5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주행휠(533)는 상기 제 2 주행 회전축(54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전축(542)는 상기 제 2 조향 회전부(545)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주행 회전축(532) 및 상기 제 2 주행 회전축(542)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주행 회전축(532) 및 상기 제 2 주행 회전축(542)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제 1 주행휠(533) 및 상기 제 2 주행휠(543)은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지 않고, 임의의 경로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부(200)에는 상기 제 1 주행 회전축(53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53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조향 회전축(535)는 상기 제 1 주행 회전축(532)를 지지하는 지지부(534)의 상부와 상기 연마부(200)의 상부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 1 주행 회전축(532)이 상기 제 1 주행 회전축(532)의 중심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이면 적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향 회전부(535) 또는 제 2 조향 회전부(545)의 독립적인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1 주행휠(533) 또는 상기 제 2 주행휠(543)의 진행 방향은 선체 벽면을 따라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101)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100)와 달리, 작업자의 조작 또는 주행휠의 회전수를 조절하지 않고, 선체의 벽면을 정해진 경로가 아닌 임의의 경로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101: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 200: 연마부
201: 제 1 연마부 202: 제 2 연마부
210: 제 1 연마 몸체부 220: 제 2 연마 몸체부
310: 제 1 연마 브라켓 320: 제 2 연마 브라켓
400: 실린더 410: 돌출부
420: 실린더 조인트 500: 주행부
510: 제 1 주행부 511: 구동부
512: 구동전달부 513: 주행휠
600: 자성부 610: 자성조절부
700: 조인트 바디부 710: 조인트 바디
720: 메인휠 800: 틸팅부
811: 틸팅 몸체부 814: 틸팅 회전축
815: 제 1 탄성 부재 816: 제 2 탄성 부재

Claims (9)

  1. 선체 벽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자력을 갖는 메인휠이 설치된 조인트 바디부;
    연마 브라켓을 포함하여 상기 조인트 바디부에 기구적으로 연결된 연마부 및
    상기 조인트 바디부와 상기 연마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조인트 바디부의 일측을 중심으로 상기 연마부가 회전 가능하게 하는 틸팅부
    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부는
    상기 조인트 바디부에 설치되며, 양측이 관통된 관통부를 갖는 틸팅 몸체부;
    상기 연마부에 설치되며, 상기 틸팅 몸체부의 관통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틸팅 회전축;
    돌출된 형상의 모서리부를 가지고, 상기 틸팅 몸체부 내에서 상기 틸팅 회전축을 감싸는 제 1 탄성 부재; 및
    상기 틸팅 몸체부 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 틸팅 회전축에 일정한 회전력 미만이 부가되는 경우 상기 제 1 탄성 부재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틸팅 회전축을 회전시키지 않는 복수 개의 제 2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탄성부재의 모서리부가 상기 복수 개의 제 2 탄성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틸팅 회전축에 일정한 회전력 이상이 부가되는 경우,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 2 탄성 부재와 접촉한 상태를 벗어나 상기 틸팅 회전축이 회전되고,
    상기 연마 브라켓을 상기 연마부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하여 선체 벽면을 연마하는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상기 조인트 바디부를 중심으로 연결되는 제 1 연마부 및 제 2 연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마부는 제 1 주행휠을 갖고, 상기 제 2 연마부는 제 2 주행휠을 갖고,
    상기 제 1 주행휠 또는 상기 제 2 주행휠의 회전이 조절되어 상기 선체 벽면에서 이동방향을 전환하는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마부는 상기 제1 주행휠과 결합하는 제1 주행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마부는 상기 제2 주행휠과 결합하는 제2 주행 회전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주행휠은 상기 제1 주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주행휠은 상기 제2 주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주행 회전축은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해상 구조물의 연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선체 벽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자력을 제공하는 자성부가 설치된 연마 몸체부;
    상기 연마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마 브라켓의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연마 브라켓에 전달하도록 상기 연마 브라켓에 설치된 실린더 조인트
    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상기 연마 몸체부와 상기 연마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연마 브라켓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상기 연마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마 몸체부가 선체 벽면을 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및
    상기 선체 벽면에 접촉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한 주행휠
    를 포함하는 주행부를 더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는
    자력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킬 수 있는 자성조절부를 갖는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120036194A 2012-04-06 2012-04-06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 KR101399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194A KR101399998B1 (ko) 2012-04-06 2012-04-06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194A KR101399998B1 (ko) 2012-04-06 2012-04-06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753A KR20130113753A (ko) 2013-10-16
KR101399998B1 true KR101399998B1 (ko) 2014-05-30

Family

ID=49634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194A KR101399998B1 (ko) 2012-04-06 2012-04-06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9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441B1 (ko) * 2016-09-05 2018-08-30 오재동 선박표면의 연마장치
CN108482505B (zh) * 2018-05-31 2023-09-29 浙江大学 适用于曲面的爬壁机器人运动机构
CN108791748B (zh) * 2018-06-11 2020-04-28 芜湖恒安钢结构有限公司 一种船舶甲板清洁用擦洗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9584A (ja) * 1997-08-20 1999-03-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除錆装置
KR20100128938A (ko) * 2009-05-29 2010-12-08 대지종건(주) 강구조물 표면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026784B1 (ko) 2008-10-28 2011-04-04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자력 조절 탈부착장치를 이용한 2면 주행 이동대차
KR20110138810A (ko) * 2010-06-22 2011-1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9584A (ja) * 1997-08-20 1999-03-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除錆装置
KR101026784B1 (ko) 2008-10-28 2011-04-04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자력 조절 탈부착장치를 이용한 2면 주행 이동대차
KR20100128938A (ko) * 2009-05-29 2010-12-08 대지종건(주) 강구조물 표면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20110138810A (ko) * 2010-06-22 2011-1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753A (ko)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998B1 (ko)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
US5545080A (en) Motorized sander having a sanding head mounted by a pivotal joint
US8480457B2 (en) Surface preparation apparatus
AU2014365337B2 (en) Oscillating mechanism for a power tool
US20150367476A1 (en) Sander, especially for sanding curved surfaces
KR101516558B1 (ko) 수중 청소로봇 가이드장치
KR102191578B1 (ko) 그라인딩 머신
KR200401367Y1 (ko)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휠
KR200471783Y1 (ko) 휴대용 연마장치
JP5316786B2 (ja) ブラシ装置
CN116620504A (zh) 一种全自动船舶清洗机器人及其使用方法
US9868184B2 (en) Semi-automated vessel sanding
KR100791633B1 (ko) 엔진의 밸브 시트 가공장치
KR101497391B1 (ko)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KR101884441B1 (ko) 선박표면의 연마장치
JP4184903B2 (ja) 自動側面研磨機
AT8375U2 (de) Handgeführtes gerät mit einem relativ zum gehäuse bewegbarem, auswechselbarem werkzeug
CN210909415U (zh) 一种打磨装置和打磨机器人
KR102330703B1 (ko) 선박용 소형 경량화된 연마장치
JP2006224267A (ja) 管内研削装置、管内研削方法
KR20130082235A (ko) 스위핑 머신
US6866570B2 (en) Variable speed reciprocating linear sliding dual floor sander
JP2018085820A (ja) 間接活線作業用の先端工具、及び電線表面の研磨方法
KR20180017253A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벨트 그라인더
CN205290555U (zh) 一种刀剑抛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