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8810A -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 Google Patents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8810A
KR20110138810A KR1020100058917A KR20100058917A KR20110138810A KR 20110138810 A KR20110138810 A KR 20110138810A KR 1020100058917 A KR1020100058917 A KR 1020100058917A KR 20100058917 A KR20100058917 A KR 20100058917A KR 20110138810 A KR20110138810 A KR 20110138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d
sweeping
bracket
hull shell
abra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5390B1 (ko
Inventor
박순욱
이상헌
전완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8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39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8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6Cleaning devices for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는 고정부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선체의 외판을 스위핑하는 작업부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제 1 작동아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Sweeping Apparatus for outer plate of hull}
본 발명은 스위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위핑(Sweeping) 작업이란, 선박의 건조과정 중 선체 외판에 대한 최종 도장작업 전에 이루어지는 전처리 작업이다. 스위핑 작업은 선체 외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선체 외판의 도장면에 긁힘 자국을 내어 도료의 부착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이루어진다.
스위핑 작업은 통상 고소차 플랫폼에 운전자와 작업자가 탑승하여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즉, 운전자가 고소차 플랫폼을 선체 외판에 접근시키면, 동승한 작업자가 연마지나 손걸레 등을 이용하여 선체 외판의 이물질 등을 제거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 방식은 작업능률이 떨어져 생산성이 저하된다. 또한, 좁은 고소차 플랫폼에 운전자와 작업자가 동승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크다.
본 발명은 선체 외판의 스위핑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고정부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선체의 외판을 스위핑하는 작업부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제 1 작동아암를 포함하는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체 외판에 부착된 이물질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있다. 또한, 고소차 플랫폼에 운전자와 작업자가 동승할 필요가 없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작업부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작업부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 2 연마재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은 도 7에 도시된 작업부에 분진방지커버를 장착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100)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100)는 고정부(110), 지지부(120) 및 작업부(130)를 포함한다.
고정부(110)는 고소차 플랫폼(10)의 일측에 체결될 수 있다. 다만, 고정부(110)는 고소차 플랫폼(10)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치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110)는 고소차의 아암(미도시)에 직접 체결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10)는 크레인의 아암(미도시) 등에 체결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부(110)가 고소차 플랫폼(10)에 체결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지지부(120)는 고정부(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지지부(120)는 고소차 플랫폼(10)과 선체 외판(30) 사이를 회전한다. 지지부(120)의 일단에는 작업부(1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작업부(13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한편,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100)는 제 1 작동아암(140) 및 제 2 작동아암(150)을 포함한다.
제 1 작동아암(140)은 일단이 고정부(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제 1 작동아암(140)의 타단은 지지부(12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제 1 작동아암(140)은 제 1 실린더(141)와 제 1 실린더(14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는 제 1 로드(142)를 구비한다.
제 1 로드(142)가 제 1 실린더(141)의 내측으로 이동하면, 지지부(120)는 고소차 플랫폼(10) 측으로 회전한다. 제 1 로드(142)가 제 1 실린더(141)의 외측으로 이동하면, 지지부(120)는 선체 외판(30) 측으로 회전한다.
한편, 제 2 작동아암(150)은 일단이 지지부(12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제 2 작동아암(150)의 타단은 작업부(1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제 2 작동아암(150)은 제 2 실린더(151)와 제 2 실린더(15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는 제 2 로드(152)를 구비한다.
제 2 로드(152)가 제 2 실린더(151)의 외측으로 이동하면, 작업부(130)는 선체 외판(30)에 밀착된다. 제 2 로드(152)가 제 2 실린더(151)의 내측으로 이동하면, 작업부(130)는 선체 외판(30)에서 이격된다.
이때, 제 1 로드(142) 및 제 2 로드(152) 중 적어도 하나는 공압(空壓, Air pressure)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제 1 로드(142) 및 제 2 로드(152)는 소정 정도 유격이 가능하다. 따라서 선체 외판(30)의 굴곡에 대응하기 용이하다.
이하, 작업부(13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작업부(130)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작업부(130)는 제 1 브라켓(131)을 포함한다.
제 1 브라켓(131)은 지지부(1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상부 브라켓(134)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브라켓(131)은 상부 브라켓(134)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하부 브라켓(135)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제 1 브라켓(131)은 상부 브라켓(134)과 하부 브라켓(135)이 각각 회전하도록 체결된다. 따라서 선체 외판(30)의 굴곡에 대응하기 용이하다.
또한, 상부 브라켓(134) 또는 하부 브라켓(135)에는 굽힘변형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리브(Rib, 미표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작업부(130)는 제 1 스위핑부(132)를 포함한다.
제 1 스위핑부(132)는 하부 브라켓(135)에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 1 연마재고정부(136)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연마재고정부(136)는 적어도 하나의 엘엠 가이드(LM guide, 139)를 사용하여 하부 브라켓(135)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제 1 스위핑부(132)는 제 1 연마재고정부(136)에 체결되는 제 1 연마재(138)을 포함한다. 이때, 제 1 연마재(138)는 제 1 연마재고정부(136)에 벨크로(Velcro, 137)를 사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벨크로(137)를 사용하는 경우, 제 1 연마재(138)의 탈부착이 용이하다. 따라서 제 1 연마재(138)의 교체가 간편하다.
제 1 연마재(138)는 선체 외판(30)에 접촉하여 선체 외판(3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선체 외판(30)에 긁힘 자국을 내는 스위핑(Sweeping) 작업을 한다.
제 1 연마재(138)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질은 샌드 페이퍼(sand paper)를 포함한다. 상기 재질은 인조 연마재 및 천연 연마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재질은 수세미 형식의 연마재를 포함한다.
한편, 제 1 연마재(138)의 종횡비(縱橫比)는 종 방향으로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연마재(138)는 수평방향의 길이보다 수직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 1 연마재(138)가 전진하면서 선체 외판(30)을 스위핑하는 면적이 커진다. 따라서 작업효율이 증대된다.
한편, 작업부(130)는 제 1 스위핑부(132)를 구동하는 제 1 구동부(133)를 포함한다.
제 1 구동부(133)는 제 1 구동실린더(133a)와 제 1 구동실린더(133a)의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는 제 1 구동로드(133b)를 구비한다.
제 1 구동실린더(133a)는 하부 브라켓(135)에 체결된다. 한편, 제 1 구동로드(133b)는 일단이 하부 브라켓(135)에 형성된 제 1 체결홀(135a)를 통해 제 1 스위핑부(132)에 직접 체결된다.
제 1 구동로드(133b)가 제 1 구동실린더(133a)의 외측으로 이동하면, 제 1 구동로드(133b)에 체결된 제 1 스위핑부(132)는 상기 도 2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 1 구동로드(133b)가 제 1 구동실린더(133a)의 내측으로 이동하면, 제 1 스위핑부(132)는 상기 도 2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통해 제 1 스위핑부(132)는 상하로 왕복 운동한다.
이하,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100)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작업자는 고소차 플랫폼(10)을 선체 외판(30)에 접근시킨다. 작업자는 제 1 작동아암(140)을 작동시켜 작업부(130)를 선체 외판(30)에 접근시킨다.
작업자는 제 2 작동아암(150)을 작동시켜 작업부(130)를 선체 외판(30)에 밀착시킨다. 이때, 제 1 구동부(133)는 제 1 스위핑부(132)를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로 왕복 운동시킨다.
제 1 스위핑부(132)는 선체 외판(30)에 접촉하여 선체 외판(30)을 스위핑하기 시작한다. 이때, 작업자가 고소차 플랫폼(10)을 전진시키면,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100)는 지그재그 형태의 윤곽을 남기면서 선체 외판(30)을 스위핑한다.
상기와 같이,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100)는 선체 외판(30)의 스위핑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한다. 따라서 선체 외판(30)의 스위핑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절감한다.
또한,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100)는 고소차 플랫폼(10)에 다수의 작업자가 탑승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스위핑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200)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200)는 고정부(210), 지지부(220), 제 1 작동아암(240) 및 제 2 작동아암(250)을 포함한다.
고정부(210), 지지부(220), 제 1 작동아암(240) 및 제 2 작동아암(250)은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10), 지지부(120), 제 1 작동아암(140) 및 제 2 작동아암(150)과 동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200)는 선체 외판(30)을 스위핑하는 작업부(230)를 포함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작업부(230)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작업부(230)는 지지부(1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상부 브라켓(234)과 상부 브라켓(234)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하부 브라켓(235)를 포함한다.
한편, 작업부(230)는 하부 브라켓(255)에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 1 스위핑부(232)를 포함한다.
제 1 스위핑부(232)는 하부 브라켓(255)의 일측에 체결되어 왕복 운동하는 주 스위핑부(232a)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스위핑부(232)는 하부 브라켓(255)의 타측에 체결되어 주 스위핑부(232a)와 반대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보조 스위핑부(232b)를 포함한다.
이때, 주 스위핑부(232a) 및 보조 스위핑부(232b)는 적어도 하나의 엘엠 가이드(239)를 사용하여 하부 브라켓(255)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작업부(230)는 제 1 스위핑부(232)를 구동하는 제 1 구동부(233)를 포함한다.
제 1 구동부(233)는 제 1 구동실린더(233a)와 제 1 구동실린더(233a)의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는 제 1 구동로드(233b)를 포함한다.
제 1 구동실린더(233a)는 하부 브라켓(255)에 체결된다. 한편, 제 1 구동로드(233b)는 일단이 하부 브라켓(255)에 형성된 제 1 체결홀(235a)를 통해 주 스위핑부(232a)에 체결된다.
제 1 구동로드(233b)의 타단은 하부 브라켓(255)에 형성된 제 2 체결홀(235b)를 통해 힌지 체결구(233c)의 일측에 체결된다. 힌지 체결구(233c)의 타측에는 보조 스위핑부(232b)가 체결된다.
이때, 힌지 체결구(233c)는 하부 브라켓(235)에 힌지축이 체결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 1 구동로드(233b)가 상기 도 5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1 구동로드(233b)의 일단에 체결된 주 스위핑부(232a)는 상기 도 5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 1 구동로드(233b)의 타단에 체결된 힌지 체결구(233c)는 상기 도 5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힌지 체결구(233c)의 타측에 체결된 보조 스위핑부(232b)는 상기 도 5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통해, 주 스위핑부(232a)와 보조 스위핑(232b)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이하,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200)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는 도 4에 도시된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200)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작업자는 고소차 플랫폼(10)을 선체 외판(30)에 접근시킨다. 작업자는 제 1 작동아암(240)을 작동시켜 작업부(230)를 선체 외판(30)에 접근시킨다.
작업자는 제 2 작동아암(250)을 작동시켜 작업부(230)를 선체 외판(30)에 밀착시킨다. 작업자가 제 1 구동부(233)를 구동시키면, 주 스위핑부(232a)와 보조 스위핑부(232b)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며 선체 외판(30)을 스위핑한다.
이때, 작업자가 고소차 플랫폼(10)을 전진시키면,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200)는 한 쌍의 지그재그 형태 윤곽을 남기면서 선체 외판(30)을 스위핑한다.
상기와 같이,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200)는 주 스위핑부(232a)와 보조 스위핑부(232b)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며 스위핑 작업한다. 따라서 스위핑 작업시 고소차 플랫폼(1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줄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300)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300)는 고정부(310), 지지부(320) 및 제 1 작동아암(340)을 포함한다.
고정부(310), 지지부(320) 및 제 1 작동아암(340)은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10), 지지부(120) 및 제 1 작동아암(140)과 동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300)는 선체 외판(30)을 스위핑하는 작업부(330)를 포함한다.
작업부(330)는 지지부(3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 2 브라켓(331)을 포함한다. 또한, 작업부(330)는 제 2 브라켓(3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원통형의 제 2 스위핑부(332)를 포함한다.
제 2 스위핑부(332)는 제 2 브라켓(3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 2 연마재고정부(332a)를 포함한다. 또한, 제 2 스위핑부(332)는 제 2 연마재고정부(332a)에 체결되는 제 2 연마재(332b)를 포함한다.
이때, 제 2 연마재고정부(332a)는 제 2 브라켓(331)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제 2 스위핑부(332)를 제 2 브라켓(331)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스위핑부(332)의 교체가 간편하다.
한편, 제 2 연마재(332b)는 선체 외판(30)과 접촉하여 회전 운동을 통해 선체 외판(30)을 스위핑 한다.
한편, 작업부(330)는 제 2 스위핑부(332)를 회전시키는 제 2 구동부(333)를 포함한다. 제 2 구동부(333)는 구동모터(333a), 제 1 풀리(333b), 제 2 풀리(333d) 및 벨트(333c)를 포함한다.
구동모터(333a)는 제 2 브라켓(331)의 일측에 체결된다. 제 1 풀리(333b)는 구동모터(333a)의 스핀들에 체결된다. 제 2 풀리(333d)는 제 2 스위핑부(332)의 회전축에 체결된다.
벨트(333c)는 일단이 제 1 풀리(333b)에 체결되고, 타단이 제 2 풀리(333d)에 체결되어 구동모터(333a)의 구동력을 제 2 스위핑부(332)에 전달한다.
한편, 제 2 브라켓(331)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롤러(334)가 체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롤러(334)는 제 2 브라켓(3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롤러(334)는 선체 외판(30)에 접촉하여 구름 운동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롤러(334)는 스위핑 작업시 작업부(33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 2 연마재(332b)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의 (a)를 참고하면, 제 2 연마재(332b)는 제 2 연마재고정부(332a)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도 8의 (b)를 참고하면, 제 2 연마재(332b)는 제 2 연마재고정부(332a)에 방사형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도 8의 (c)를 참고하면, 제 2 연마재(332b)는 제 2 연마재고정부(332a)에 방사형으로 체결되되, 일측으로 휘어진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 2 연마재(332b)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질은 샌드 페이퍼를 포함한다. 상기 재질은 천연 연마재 및 인조 연마재를 포함한다. 상기 재질은 수세미 형식의 연마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재질은 다이아몬드 연마재를 포함한다.도 9는 도 7에 도시된 작업부(330)에 분진방지커버(335)를 장착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제 2 브라켓(331)에는 분진방지커버(335)가 체결될 수 있다. 분진방지커버(335)는 제 2 스위핑부(332)를 감싸도록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분진방지커버(335)는 스위핑 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이 작업자 측으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300)는 분진방지커버(335)와 연결되는 집진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기는 스위핑 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한다. 따라서 작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호흡기 질환 등을 예방한다.
이하,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300)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작업자는 고소차 플랫폼(10)을 선체 외판(30)에 접근시킨다. 작업자는 제 1 작동아암(340)을 작동시켜 작업부(330)를 선체 외판(30)에 접근시킨다.
작업부(330)가 선체 외판(30)에 접촉하면, 작업자는 제 2 구동부(333)를 구동시켜 제 2 스위핑부(332)를 회전시킨다. 제 2 스위핑부(332)는 회전 운동을 통해 선체 외판(30)을 스위핑하기 시작한다.
작업자가 고소차 플랫폼(10)을 전진시키면, 작업부(330)가 함께 이동하며 선체 외판(30)을 스위핑한다. 이때, 가이드롤러(334)가 선체 외판(30)에 접촉하여 구름 운동함으로써 작업부(33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300)는 제 2 스위핑부(332)의 회전을 통해 선체 외판(30)을 스위핑한다. 따라서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300)는 선체 외판(30)의 도장면에 거친 긁힘 자국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 유용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400)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400)의 상세한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100)와 동일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400)는 고정부(410)가 고소차 플랫폼(10)에 대하여 90°회전하여 체결된다. 따라서 제 1 스위핑부(432)는 선체 외판(30)을 좌우로 왕복 운동하며, 작업자는 고소차 플랫폼(10)을 상하로 이동시키며 선체 외판(30)을 스위핑한다.
따라서 작업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고소차 플랫폼(1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어려운 경우에도 스위핑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제 2 실시예에 따른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200) 및 제 3 실시예에 따른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300)도 본 실시예와 같이 고정부(210, 310)를 90°회전시켜 체결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작업자는 고소차 플랫폼(1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선체 외판(30)을 스위핑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110, 210, 310, 410 : 고정부
120, 220, 320, 420 : 지지부
130, 230, 330, 430 : 작업부
140, 240, 340, 440 : 제 1 작동아암
150, 250, 450 : 제 2 작동아암

Claims (16)

  1. 고정부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선체의 외판을 스위핑하는 작업부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제 1 작동아암를 포함하는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작업부에 체결되어, 상기 작업부를 선체의 외판에 밀착시키는 제 2 작동아암를 더 포함하는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작동아암 및 상기 제 2 작동아암 중 적어도 하나가 공압식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 1 브라켓과,
    상기 제 1 브라켓에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일측이 선체의 외판과 접촉하여 왕복 운동하는 제 1 스위핑부와,
    상기 제 1 스위핑부를 구동하는 제 1 구동부를 구비하는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라켓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상부 브라켓과,
    상기 상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하부 브라켓을 구비하는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라켓에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Rib)가 형성된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핑부는,
    상기 제 1 브라켓에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 1 연마재고정부와,
    상기 제 1 연마재고정부에 체결되는 제 1 연마재를 구비하는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마재는 상기 제 1 연마재고정부에 벨크로(Velcro) 방식으로 체결되는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핑부는,
    상기 제 1 브라켓에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왕복 운동하는 주 스위핑부와,
    상기 제 1 브라켓에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주 스위핑부와 반대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보조 스위핑부를 구비하는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 2 브라켓과,
    상기 제 2 브라켓에 체결되어 회전 운동하는 원통형의 제 2 스위핑부와,
    상기 제 2 스위핑부를 구동하는 제 2 구동부를 구비하는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핑부는 상기 제 2 브라켓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핑부는,
    상기 제 2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원통형의 제 2 연마재고정부재와,
    상기 제 2 연마재고정부재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연마재를 구비하는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연마재는 상기 제 2 연마재고정부재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체결되는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2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선체의 외판과 접촉하여 구름운동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는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2 브라켓의 일측에 체결되는 분진방지커버를 더 포함하는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분진방지커버와 연결되어 스위핑 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기를 더 포함하는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KR1020100058917A 2010-06-22 2010-06-22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KR101215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917A KR101215390B1 (ko) 2010-06-22 2010-06-22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917A KR101215390B1 (ko) 2010-06-22 2010-06-22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810A true KR20110138810A (ko) 2011-12-28
KR101215390B1 KR101215390B1 (ko) 2012-12-26

Family

ID=4550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917A KR101215390B1 (ko) 2010-06-22 2010-06-22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3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998B1 (ko) * 2012-04-06 2014-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16989B (zh) * 2015-09-06 2017-06-23 江苏科技大学 一种船体附着物柔性清洁装置
KR101893377B1 (ko) * 2016-10-10 2018-08-30 주식회사 굿에어 개선된 천정형 에어컨 세척 장치
KR102082468B1 (ko) * 2018-11-15 2020-03-06 (주)대영에스씨티 이동형 워터젯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5493U (ko) * 1977-02-22 1978-09-13
JPH059998Y2 (ko) 1987-06-08 1993-03-11
US20080229994A1 (en) 2004-01-16 2008-09-25 Nicolette Marr Device for Cleaning the Outer Hull Side of a Bo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998B1 (ko) * 2012-04-06 2014-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구조물의 연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5390B1 (ko)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390B1 (ko) 선체 외판 스위핑 장치
US2729918A (en) Blast cleaning apparatus
CN104985494B (zh) 一种铸铁管外壁打磨装置
CN109732432B (zh) 钢制大型容器爬壁打磨机器人
CN105563245A (zh) 一种金属油桶打磨设备
US3747277A (en) Abrasive blasting unit
CN206839793U (zh) 轨道列车车体大部件打磨用龙门式砂带机
US2836013A (en) Sand blasting apparatus
KR20170059717A (ko) 선박 작업용 스위핑 머신
JP6355811B1 (ja) 走行式研磨装置
KR102156391B1 (ko) 타이어 외륜의 부착물 제거장치
US537160A (en) Frederick w
CN205600436U (zh) 一种金属油桶打磨设备
KR101296569B1 (ko) 표면 처리 장치
US4401699A (en) Surface processing method
CN213409183U (zh) 一种多功能金属防腐涂料喷涂装置
KR101167922B1 (ko) 공압형 오비탈 샌더
CN102990495A (zh) 地面抛光机
JPS60123263A (ja) 表面処理装置
KR100919540B1 (ko) 알루미늄 용접 비드 드레싱장치
CN210909404U (zh) 充气轮胎打磨装置
CN213106114U (zh) 一种金属制品打磨设备
JP2696162B2 (ja) コンクリートポールにおける白華等の除去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9485146U (zh) 一种室内装修墙面打磨找平装置
CN214923297U (zh) 一种标识牌牌板表面抛光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