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783Y1 - 휴대용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783Y1
KR200471783Y1 KR2020120002064U KR20120002064U KR200471783Y1 KR 200471783 Y1 KR200471783 Y1 KR 200471783Y1 KR 2020120002064 U KR2020120002064 U KR 2020120002064U KR 20120002064 U KR20120002064 U KR 20120002064U KR 200471783 Y1 KR200471783 Y1 KR 2004717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olishing
abrasive stone
guide block
polish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0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586U (ko
Inventor
임창호
윤영철
김진웅
곽태옥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20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78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5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5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7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7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2Spindle-locking devices, e.g. for mounting or removing th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6Fluid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8Portable grinding machines designed for fastening on workpieces or other parts of particular section, e.g. for grinding commut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24B45/003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휴대용 연마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마장치는, 파이프 또는 플레이트와 같은 연마 대상체의 표면을 연마하기 위한 연마장치로서, 하우징에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연마석;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되는 이동 레일; 상기 이동 레일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레일과 결합되는 가이드 블록; 및 상기 가이드 블록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원통 형상의 연마석을 구비하여 종래보다 연마석과 연마 대상체 사이의 상호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인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스프링 및 마그네트 휠을 포함하는 접촉 유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연마석이 연마 대상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연마장치를 들고 사용할 때 소요되는 힘을 절감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단순히 작업자가 파이프의 외면을 따라 연마장치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작업 가능하여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연마장치{PORTABLE POLISHING APPARATUS}
본 고안은, 휴대용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 또는 플레이트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피막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휴대용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을 통해 주관을 관통하도록 파이프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주관과 파이프가 만나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파이프 표면에 형성된 페인트 도막이나 도금층 등 용접 효율을 저감시키는 피막을 제거하여 용접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피막을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인 원형디스크 형상의 연마숫돌이 장착된 그라인더를 사용했던바, 이러한 연마숫돌은 파이프 곡면과의 접촉시 원과 원이 만나는 형태의 점 접촉(point contact)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원형 디스크 형상의 연마숫돌과 파이프 표면이 접촉하는 단위시간당 실질적으로 상호 접촉하는 단위면적이 극히 적어서 작업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파이프 또는 플레이트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피막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휴대용 연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파이프 또는 플레이트와 연마석과의 접촉 면적을 더 증대시켜 신속하면서도 효율적인 연마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연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파이프 또는 플레이트와 같은 연마 대상체의 표면을 연마하기 위한 연마장치로서, 하우징에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연마석;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되는 이동 레일; 상기 이동 레일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레일과 결합되는 가이드 블록; 및 상기 가이드 블록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연마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 블록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연마 대상체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 스프링이 구비되되, 상기 탄성 스프링은 상기 이동 레일을 감싸는 형태로 양단이 각각 상기 하우징 및 상기 가이드 블록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록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블록에 고정되며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메인바; 및 상기 메인바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마 대상체 표면에 대한 상기 연마석의 접촉 상태 유지를 보조하는 접촉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 유지부는, 상기 메인바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보조바; 및 상기 연마석의 좌우측 방향에 배치된 상기 보조바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연마 대상체의 표면에 동시에 접촉 가능한 복수의 마그네트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 상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고정하기 위한 스톱 노브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에어에 의해 동작하는 에어 모터; 및 상기 에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연마석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석은, 원통형 연마숫돌과 상기 연마숫돌에 일체로 결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마석의 일측 방향의 회전축을 회전 지지하는 결합블록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연마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원통 형상의 연마석을 구비하여 종래보다 연마석과 연마 대상체 사이의 상호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인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탄성 스프링 및 마그네트 휠을 포함하는 접촉 유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연마석이 연마 대상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연마장치를 들고 사용할 때 소요되는 힘을 절감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단순히 작업자가 파이프의 외면을 따라 연마장치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작업 가능하여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마장치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마장치에서 연마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마장치에서 연마석의 교체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마장치에서 일부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마장치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마장치에서 연마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마장치에서 연마석의 교체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마장치에서 일부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연마장치(이하, '연마장치'라 한다)는 파이프 또는 플레이트와 같은 연마 대상체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페인트 도막, 도금층 등의 피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표면 연마장치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연마장치는, 하우징(100)에 구동수단(110)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연마석(115), 일단이 하우징(100)의 일측에 고정되는 이동 레일(200), 이동 레일(200)이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 레일(200)과 결합되는 가이드 블록(300), 및 가이드 블록(300)에 연결되는 손잡이(500)를 포함한다.
먼저, 연마석(115)은 상기 연마 대상체(W)의 표면을 연마할 수 있도록 충분한 경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장시간의 연마 작업 후 새로운 연마석(115)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하우징(100)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연마석(115)의 교체 가능한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마석(115)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연마 대상체(W)의 표면과 적어도 선접촉(line contact)을 형성하면서 연마 대상체(W)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며, 따라서 종래 일반적인 원형 디스크 형상의 연삭숫돌에 비해 상호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보다 신속하면서도 효율적인 연마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는 원통형 연마석(115)을 회전시켜 연마 대상체(W)의 표면을 연마하기 위한 구동수단(110)이 장착된다.
이러한 구동수단(110)은, 하우징(100)에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에어에 의해 동작하는 에어 모터(111) 및 에어 모터(1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마석(115)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에어 모터(111)는 압축공기가 저장된 별도의 압축공기탱크 또는 에어펌프와 에어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이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에어 호스에는 압축공기의 공급을 on/off하기 위한 솔레노이브 밸브(미도시) 등이 장착 가능하며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동작이 제어 가능하다.
또한, 동력전달부(112)는 에어 모터(111)의 회전축과 일 예로 연마석(115)의 회전축을 연결하여 에어 모터(111)의 회전력을 연마석(115)으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체인 및 스프라킷 휠 결합 구조, 벨트 및 풀리 결합 구조, 기어 모듈 구조 중 하나로 적용 가능하다.
이하, 하우징(100)과 연마석(115)의 상호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대략 'L'자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결합블록(101)이 하우징(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단차부가 마련되며 이러한 단차부에 결합블록(101)이 측면 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된다. 여기서, 결합블록(101)은 하우징(100)에 스크루 결합을 통해 고정 가능하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과 결합블록(101)에는 각각 상호 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함과 더불어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결합돌기(102) 및 결합홈(103)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돌기(102)와 결합홈(103)은 상호 결합을 위해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한다. 한편, 결합돌기(102)는 결합블록(101)에 마련되고 결합홈(103)은 하우징(100)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마석(115)은, 원통형 연마숫돌(116)과 회전축(117,118)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연마숫돌을 기준으로 일측의 회전축(117)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타측의 회전축(118)은 단부에 사각 형상의 단면 형상이 마련된 구조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마석(115)의 회전축이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은 구동수단(110)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결합블록(101)에는 연마석(115)의 일측 회전축(117)을 회전 지지하기 위한 제1 베어링(104)이 장착되며, 제1 베어링(104)을 마주보는 하우징(100)에는 연마석(115)의 타측 회전축(118)을 회전 지지하기 위한 제2 베어링(105)이 장착된다. 여기서, 제2 베어링(105)의 내부에는 중앙부에 사각 형상의 홈이 형성된 결합구(106)가 삽입된다. 이러한 결합구(106)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107)가 결합되며 단부에는 일 예로 동력전달부(112)가 체인 및 스프라킷 휠 결합 구조로 적용되는 경우 스프라킷 휠의 중앙부가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구(106)는 제2 베어링(105)의 인너 링(inner ring)에 강제 압입되며 단부에는 스프라킷 휠이 별도의 키(key) 등을 이용하여 결합구(106)와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덧붙여, 연마석(115)의 원통형 연마숫돌(116)과 제1 및 제2 베어링(104,105) 사이에는 원통형 연마숫돌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슬리브(108)가 각각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스프라킷 휠이 회전하면 이와 동시에 결합구(106)가 회전되며, 결합구(106)와 사각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연마석(115)의 회전축과의 결합을 통해 연마석(115)도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장착된 연마석(115)이 장시간 연마작업 후 마모되어 새로운 연마석(115)으로 교체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 하우징(100)으로부터 결합블록(101)을 분리하여 연마석(115)을 교체한 후 새로운 연마석(115)으로 교체 가능하다.
다음, 이동 레일(200)은 그 일단이 하우징(100)의 일측, 구체적으로 연마석(115)이 설치된 부분과 대향되는 부분에 고정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블록(300)은 이동 레일(200)이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 레일(200)과 결합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이동 레일(200)은 가이드 블록(300)을 따라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지만, 자유스런 직선 운동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탄성 스프링(400)에 의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여기서, 이동 레일(200)과 가이드 블록(300)에는 상호 결합되어 리니어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걸림 구조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걸림 구조에 대한 도시는 생략한다.
한편, 가이드 블록(300)에는 작업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를 손으로 잡은 상태로 용이하게 작업 가능하도록 손잡이(500)가 마련된다. 또한, 후술하는 보조바(651) 또는 보강바(620)에는 전술한 손잡이(500)와 더불어 작업자가 양손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작업 가능하도록 보조 손잡이(510)가 마련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레일(200)이 가이드 블록(300)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보다 상세하게 연마석(115)이 연속적으로 연마 대상체(W)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연마 작업을 더 용이하게 하도록 탄성 스프링(400)이 더 마련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탄성 스프링(400)은, 하우징(100)과 가이드 블록(300) 사이에 구비되어 하우징(100)을 연마 대상체(W) 측으로 가압하게 되며, 이동 레일(200)을 감싸는 형태로 양단이 각각 하우징(100) 및 가이드 블록(300)에 접촉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연마석(115)이 장착된 하우징(100)은 탄성 스프링(4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가압되므로 연마석(115)은 연마 대상체(W)의 표면에 연속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가이드 블록(300)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가이드 블록(300)에 고정되며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슬라이더(600), 슬라이더(60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더(600)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메인바(610), 및 메인바(610)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연마 대상체(W) 표면에 대한 연마석(115)의 접촉 상태 유지를 보조하는 접촉 유지부(650)를 포함한다.
슬라이더(600)는 가이드 블록(300)의 일측(하측)에 고정되며 가이드 블록(300)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다. 메인바(610)는 마찬가지로 중공 형상 또는 솔리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며, 슬라이더(600)의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 이동 레일(200), 가이드 블록(300), 손잡이(500) 및 슬라이더(600)는 실질적으로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슬라이더(600)를 메인바(610)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바(610)의 특정 위치에서 슬라이더(600)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톱 노브(700)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톱 노브(700)는 일종의 스톱 스크루로서 슬라이더(600)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되어 단부가 메인바(610)의 표면에 접촉 가능하며, 작업자가 스톱 노브(700)를 일방향으로 더 회전하거나 반대방향으로 풀음으로써 메인바(610) 상에서 슬라이더(600)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 유지부(650)는 연마 대상체(W) 표면에 대한 연마석(115)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작업자가 보다 쉽게 연마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메인바(610)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보조바(651), 연마석(115)의 좌우측 방향에 배치된 보조바(651)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연마 대상체(W)의 표면에 동시에 접촉 가능한 복수의 마그네트 휠(652)을 포함한다. 또한, 서로 이격된 보조바(651)를 서로 연결하여 강도를 보강하도록 보강바(620)가 더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바(651)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에 마그네트 휠(652)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총 4개의 마그네트 휠(652)이 마련된다. 여기서 보조바(651)는 원호 이외에 'n'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마그네트 휠(652)은 자성체로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연마 대상체(W)에 자력에 의해 부착 가능하며 따라서 연마석(115)은 전술한 탄성 스프링(400) 및 마그네트 휠(652)에 의해 연마 대상체(W)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마 대상체(W)가 원통 파이프로 적용되는 경우, 작업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를 들고 사용할 때 소요되는 힘을 절감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단순히 작업자가 파이프의 외면을 따라 연마장치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작업 가능하여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하우징 101: 결합블록
102: 결합돌기 103: 결합홈
106: 결합구 108: 슬리브
110: 구동수단 111: 에어 모터
112: 동력전달부 115: 연마석
116: 연마숫돌 117,118: 회전축
200: 이동 레일 300: 가이드 블록
400: 탄성 스프링 500: 손잡이
600: 슬라이더 610: 메인바
620: 보강바 650: 접촉 유지부
651: 보조바 652: 마그네트 휠
700: 스톱 노브 W: 연마 대상체

Claims (7)

  1. 파이프 또는 플레이트와 같은 연마 대상체의 표면을 연마하기 위한 연마장치로서,
    하우징에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됨과 더불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연마석;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되는 이동 레일;
    상기 이동 레일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레일과 결합되는 가이드 블록; 및
    상기 가이드 블록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 블록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연마 대상체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 스프링은 상기 이동 레일을 감싸는 형태로 양단이 각각 상기 하우징 및 상기 가이드 블록에 접촉 지지되는 휴대용 연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블록에 고정되며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메인바; 및
    상기 메인바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마 대상체 표면에 대한 상기 연마석의 접촉 상태 유지를 보조하는 접촉 유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연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유지부는,
    상기 메인바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보조바; 및
    상기 연마석의 좌우측 방향에 배치된 상기 보조바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연마 대상체의 표면에 동시에 접촉 가능한 복수의 마그네트 휠을 포함하는 휴대용 연마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 상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고정하기 위한 스톱 노브가 더 마련되는 휴대용 연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에어에 의해 동작하는 에어 모터; 및
    상기 에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연마석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연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석은, 원통형 연마숫돌과 상기 연마숫돌에 일체로 결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마석의 일측 방향의 회전축을 회전 지지하는 결합블록이 더 구비되는 휴대용 연마장치.
KR2020120002064U 2012-03-15 2012-03-15 휴대용 연마장치 KR2004717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064U KR200471783Y1 (ko) 2012-03-15 2012-03-15 휴대용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064U KR200471783Y1 (ko) 2012-03-15 2012-03-15 휴대용 연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86U KR20130005586U (ko) 2013-09-25
KR200471783Y1 true KR200471783Y1 (ko) 2014-03-14

Family

ID=51484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064U KR200471783Y1 (ko) 2012-03-15 2012-03-15 휴대용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78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014B1 (ko) 2014-04-25 2015-12-0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씰링 스트립 가공용 휴대공구
KR102150889B1 (ko) * 2020-02-26 2020-09-02 강태경 이형철근 표면 연마장치 및 표면 연마방법
EP4159370A1 (en) * 2021-09-30 2023-04-05 General Electric Company Tool and repair method for removing a thermal barrier coat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088Y1 (ko) * 2018-03-21 2019-09-2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공면 사상 작업용 지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6964A (ja) * 1995-02-06 1996-08-13 Shiyouken:Kk ベルト式研磨具及びそれを使用したパイプ研磨装置
JPH10277909A (ja) * 1997-04-07 1998-10-20 U H T Kk 研磨工具
JP2009214267A (ja) 2008-03-12 2009-09-24 Hajime Suzuki 携帯式研磨具
KR20100113252A (ko) * 2009-04-13 2010-10-21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원통형 그라인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6964A (ja) * 1995-02-06 1996-08-13 Shiyouken:Kk ベルト式研磨具及びそれを使用したパイプ研磨装置
JPH10277909A (ja) * 1997-04-07 1998-10-20 U H T Kk 研磨工具
JP2009214267A (ja) 2008-03-12 2009-09-24 Hajime Suzuki 携帯式研磨具
KR20100113252A (ko) * 2009-04-13 2010-10-21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원통형 그라인딩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014B1 (ko) 2014-04-25 2015-12-0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씰링 스트립 가공용 휴대공구
KR102150889B1 (ko) * 2020-02-26 2020-09-02 강태경 이형철근 표면 연마장치 및 표면 연마방법
EP4159370A1 (en) * 2021-09-30 2023-04-05 General Electric Company Tool and repair method for removing a thermal barrier coa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86U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7297B2 (en) Surface grinding machine and grinding head therefor
KR200471783Y1 (ko) 휴대용 연마장치
US9289872B1 (en) Multi-wheel grinder tool
US8366518B2 (en) Orbital smoothing device
US102590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 floor surface with zero-tolerance edging
WO2007093874A1 (en) Sanding disc, apparatus and method
TW201426835A (zh) 修整器
CN102848296A (zh) 杯体抛光机
CN211639394U (zh) 打磨装置
US11253969B2 (en) Belt sander having fast-lift cover structure
US20070197152A1 (en) Powered paint removal tool
CN205799171U (zh) 偏航刹车盘的除锈设备
US440682A (en) Burr-remover
CN111152104A (zh) 一种打磨抛光装置
CN105922115A (zh) 一种自动上料微型抛光设备
KR101874540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벨트 그라인더
KR101884441B1 (ko) 선박표면의 연마장치
CN102581377A (zh) 往复切割工具
KR101167922B1 (ko) 공압형 오비탈 샌더
KR20130082235A (ko) 스위핑 머신
CN105108635A (zh) 大型构件表面高精度研磨机
JP3157305U (ja) 携帯用ディスクグラインダ
CN204913545U (zh) 用于安装研磨带的自动研磨装置
WO2011090483A1 (en) Surface grinding machine and grinding head therefor
CN204913587U (zh) 大型构件表面高精度研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