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593B1 - 보행자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보행자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593B1
KR101397593B1 KR1020140039308A KR20140039308A KR101397593B1 KR 101397593 B1 KR101397593 B1 KR 101397593B1 KR 1020140039308 A KR1020140039308 A KR 1020140039308A KR 20140039308 A KR20140039308 A KR 20140039308A KR 101397593 B1 KR101397593 B1 KR 101397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signal
unit
imag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경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경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경이앤씨
Priority to KR1020140039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30Arrangements interacting with transmitters or receivers otherwise than by visible means, e.g. using radar reflectors or radio transmit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provided with indicators in which a mark progresses showing the time elapsed, e.g. of green pha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 안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행자 신호등에 구비되되, 기 설정된 구역(보행자 대기영역)에 신호 대기 중인 보행자의 영상 이미지를 캡처하는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구역에 보행자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물체 검지부; 물체 검지부로부터 보행자 검지 값을 인가받고,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에 의해 캡처된 영상 이미지에 보행자 이미지가 포함된 경우, 기 설정된 구역에 보행자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중앙제어부; 및 중앙제어부로부터 수신한 구동신호에 따라 보행자 대기시간 또는 보행자 횡단을 위해 남은시간 동안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도록 교통신호제어기를 제어하는 신호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행자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SYSTEM FOR NAVIGATING CROSS WALK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보행자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자 대기영역의 이미지를 캡처하여 보행자 유무를 판단하되, 검지율을 높이기 위해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추가로 구성하여 보행자 유무를 확인한 후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교통신호제어기로 보행신호를 요청하고,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는 동안 이를 영상 녹화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 횡단보도 보행자 안내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 신호등의 경우 교통신호제어기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신호등이 바뀌기 때문에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가 없을 시에도 녹색등이 점등되어 원활한 교통 흐름에 방해가 되고, 불필요한 연료 낭비를 발생시킨다. 그래서 보행자의 유동이 많지 않은 곳에는 구동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행자 감지 신호등의 블록도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보행자 감지 신호등은 이미지 캡처 방식을 통하여 보행자 유무를 판단하는 주카메라부; 보행자가 감지되면 교통신호제어기로 보낼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중앙제어부; 및 중앙제어부의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작동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보행자 감지 신호등은 보행자 대기영역에서 신호 대기 중인 보행자를 주카메라부가 인지하여 보행자가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중앙제어부로 송신한다.
또한, 중앙제어부가 주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신호처리부를 동작시킬 수 있는 동작신호를 생성하면 동작신호를 수신한 신호처리부는 교통신호제어기로 신호를 보내 대기 중인 보행자가 길을 건널 수 있도록 보행자신호를 점등시키고, 보조카메라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동안 횡단보도 영상을 녹화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안내 보조 장치는 단순히 이미지 캡처만으로 보행자 유무를 판단하다 보니 보행자 검지율이 낮고, 이미지 및 녹화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로 전송한 후 저장함에 있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야간 운용 시 보행자 횡단을 위해 남은 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LED 전광판의 밝기나 보행안내를 위해 출력하는 스피커의 음량을 제어함에 있어서도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92716(등록일: 2013.07.25)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 대기 중인 보행자의 영상 이미지를 캡처함과 동시에,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통해 검지구역 내 보행자 유무를 검지함으로써, 영상 데이터와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호 대기 중인 보행자를 정확하게 검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자 안내 시스템이 내부저장소 또는 외부 디바이스와 접속하여 영상 데이터와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고, 신호 대기 중인 보행자의 검지범위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자 안내 시스템이 출력하는 LED 조도 및 음량 조절을 제어함으로써, 야간 운용 시 빛 퍼짐을 줄여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소음으로 인한 민원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행자 안내 시스템은, 보행자 신호등에 구비되되, 기 설정된 구역(보행자 대기영역)에 신호 대기 중인 보행자의 영상 이미지를 캡처하는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구역에 보행자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물체 검지부; 물체 검지부로부터 보행자 검지 값을 인가받고,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에 의해 캡처된 영상 이미지에 보행자 이미지가 포함된 경우, 기 설정된 구역에 보행자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중앙제어부; 및 중앙제어부로부터 수신한 구동신호에 따라 보행자 대기시간 또는 보행자 횡단을 위해 남은시간 동안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도록 교통신호제어기를 제어하는 신호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행자 안내 시스템 제어 방법은,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가 기 설정된 구역(보행자 대기영역)에 신호 대기 중인 보행자들의 영상 이미지를 캡처하고, 물체 검지부가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구역에 보행자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a) 단계; 중앙제어부가 상기 물체 검지부로부터 보행자 검지 값을 인가받고, 상기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가 캡처한 영상 이미지에 보행자 이미지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b) 단계; (b) 단계의 판단결과, 물체 검지부로부터 보행자 검지 값을 인가받고,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가 캡처한 영상 이미지에 보행자 이미지가 포함된 경우, 중앙제어부가 기 설정된 구역에 보행자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c) 단계; 신호제어부가 중앙제어부로부터 수신한 구동신호에 따라 교통신호제어기의 보행신호등 점등을 제어하는 (d) 단계; 및 음성안내부가 중앙제어부의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기 설정된 음성 멘트를 출력하는 (e)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 대기 중인 보행자의 영상 이미지를 캡처함과 동시에,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통해 보행자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지함으로써, 영상 데이터와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호 대기 중인 보행자를 정확하게 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자 안내 시스템이 내부저장소 또는 외부 디바이스와 접속하여 영상 데이터와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고, 신호 대기 중인 보행자의 검지범위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자 안내 시스템이 출력하는 LED 조도 및 음량 조절을 제어함으로써, 야간 운용 시 빛 퍼짐을 줄여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소음으로 인한 민원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행자 감지 신호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내 시스템의 설치 사시도(녹색 표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내 시스템의 설치 사시도(적색 표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내 시스템과 사용자 디바이스를 연결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내 시스템의 물체검지부,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에 대한 검지범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내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내 시스템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내 시스템 제어 방법의 제S40단계 이후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내 시스템 제어 방법의 제S50단계 이후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내 시스템(S)은, 보행자 신호등에 구비되되,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10), 물체 검지부(20), 영상 녹화부(30), 영상 데이터 저장부(40), 중앙제어부(50), 신호제어부(60), 음성안내부(70), 및 시각안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10)는 카메라를 통해 기 설정된 구역(보행자 대기영역)에 신호 대기 중인 보행자들의 영상 이미지를 캡처한다.
또한, 물체 검지부(20)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구역에 보행자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또한, 영상 녹화부(30)는 24시간 연속 녹화 또는 보행자 신호등이 보행신호로 점등되기 전 소정의 시각부터 소등된 후 소정의 시각까지의 영상을 녹화한다.
또한, 영상 데이터 저장부(40)는 영상 녹화부(30)에 의해 녹화된 영상 데이터 및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10)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를 저장한다.
또한, 중앙제어부(50)는 물체 검지부(20)로부터 보행자 검지 값을 인가받고,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10)가 캡처한 영상 이미지에 보행자 이미지가 포함된 경우, 기 설정된 구역에 보행자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신호제어부(60)는 중앙제어부(50)로부터 수신한 구동신호에 따라 교통신호제어기의 보행신호등 점등을 제어한다.
또한, 음성안내부(70)는 중앙제어부(50)의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기 설정된 음성 멘트를 출력한다.
그리고, 시각안내부(80)는 보행자 대기시간 또는 보행자 횡단을 위해 남은시간을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내 시스템(S)을 설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행신호등에 설치되어, 시각안내부(80)가 중앙제어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적색 보행자 이미지 및 보행자 대기시간을 디스플레이 하거나, 녹색 보행자 이미지 및 보행자 남은시간을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내 시스템(S)과 사용자 디바이스를 연결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와 물체검지부의 검지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제어부는 USB 케이블 또는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태블릿PC 또는 노트북)와 접속되어,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가 촬영할 보행자 대기영역을 설정하고, 물체 검지부가 감지할 보행자 검지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부를 통해 설정한 보행자 대기영역 및 보행자 검지구역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될 수 있으며, 적색선의 영영은 카메라 검지 범위이고, 녹색선의 영역은 마이크로웨이브센서의 검지범위로 설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내 시스템(S)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제어부가 전력선 통신 또는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교통신호제어기 간에 구동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서로 대향되는 보행신호등에 위치한 중앙제어부와의 연동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내 시스템(S)의 세부구성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10)는 보행자 신호등의 적색 신호등 상부에 설치되어, 시리얼 통신 또는 LAN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제어에 따라 촬영된 영상 이미지 컷 확인, 및 촬영할 보행자 대기영역을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물체 검지부(20)는 시리얼 통신 또는 LAN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제어에 따라 감지할 보행자 검지구역 및 보행자 대기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보행자 검지구역과 보행자 대기구역에 대한 설정은 4개 좌표 내지 12개 좌표로 설정되며, 좌표의 개수는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10)는 보행신호등이 점등되는 동안 즉, 녹색 보행자 이미지 및 보행자 남은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녹화한 횡단보도 영상을 LAN(Local Area Network)를 통해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SDHC(Secure Digital High Capacity) 또는 SDXC(Secure Digital Extended Capacity) 중에 어느 하나의 저장수단에 저장한다.
또한, 시각안내부(80)는 중앙제어부(50)로부터 인가받은 구동신호에 따라 관리자에 의해 기 입력된 안내문구, 보행자 대기시간 및 보행자 횡단을 위해 남은시간을 LED 전광판을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시각안내부(80)에 내장된 디밍 제어 회로는 프로그램을 통해 설정된 값에 따라 상기 안내문구, 보행자 대기시간 및 보행자 횡단을 위해 남은시간을 기 설정된 밝기로 디스플레이 한다.
따라서 야간 운용 시 빛 퍼짐을 줄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관리자의 조작을 통해 조도 값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음성안내부(70)는 중앙제어부(50)로부터 구동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스피커를 통해 기 설정된 음성 멘트를 출력하되, 음성 멘트 출력은 프로그램을 통해 설정한 값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음량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야간 운용 시 소음으로 인한 민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내 시스템 제어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10)가 기 설정된 구역(보행자 대기영역)에 신호 대기 중인 보행자들의 영상 이미지를 캡처하고, 이와 동시에, 물체 검지부(20)가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구역에 보행자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S10).
뒤이어, 중앙제어부(50)가 물체 검지부(20)로부터 보행자 검지 값을 인가받고,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10)가 캡처한 영상 이미지에 보행자 이미지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제S20단계의 판단결과, 물체 검지부(20)로부터 보행자 검지 값을 인가받고,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10)가 캡처한 영상 이미지에 보행자 이미지가 포함된 경우, 중앙제어부(50)가 기 설정된 구역에 보행자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한다(S30).
이어서, 신호제어부(60)가 중앙제어부(50)로부터 수신한 구동신호에 따라 교통신호제어기의 보행신호등 점등을 제어한다(S40).
그리고, 음성안내부(70)가 중앙제어부(50)의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기 설정된 음성 멘트를 출력한다(S50).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내 시스템 제어 방법 제S30단계 이후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30단계 이후, 영상 녹화부(30)가 보행자 신호등이 보행신호로 점등되기 전 소정의 시각부터 소등된 후 소정의 시각까지의 영상을 녹화한다(S60).
그리고 영상 데이터 저장부(40)가 영상 녹화부(30)에 의해 녹화된 영상 데이터 및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10)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를 저장한다(S70).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내 시스템 제어 방법 제S40단계 이후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40단계 이후, 시각안내부(80)가 보행자 대기시간 또는 보행자 횡단을 위해 남은시간을 디스플레이 한다(S80).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보행자 안내 시스템
10: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 20: 물체 검지부
30: 영상 녹화부 40: 영상 데이터 저장부
50: 중앙제어부 60: 신호제어부
70: 음성안내부 80: 시각안내부

Claims (14)

  1. 보행자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보행자 신호등에 구비되되,
    기 설정된 구역(보행자 대기영역)에 신호 대기 중인 보행자의 영상 이미지를 캡처하는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구역에 보행자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물체 검지부;
    상기 물체 검지부로부터 보행자 검지 값을 인가받고, 상기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에 의해 캡처된 영상 이미지에 보행자 이미지가 포함된 경우, 기 설정된 구역에 보행자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중앙제어부; 및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수신한 구동신호에 따라 보행자 대기시간 또는 보행자 횡단을 위해 남은시간 동안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도록 교통신호제어기를 제어하는 신호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물체 검지부는,
    시리얼 통신 또는 LAN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제어에 따라 감지할 보행자 검지구역 및 보행자 대기구역을 설정하되,
    상기 보행자 검지구역과 보행자 대기구역을 4개의 좌표 내지 12개의 좌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24시간 연속 녹화 또는 상기 보행자 신호등이 보행신호로 점등되기 이전 소정의 시각부터 소등된 이후 소정의 시각까지의 횡단보도 영상을 녹화하는 영상 녹화부; 및
    상기 영상 녹화부에 의해 녹화된 영상 데이터 및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 대기시간 또는 보행자 횡단을 위해 남은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시각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안내부는,
    상기 중앙제어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적색 보행자 이미지 및 보행자 대기시간을 디스플레이 하거나, 녹색 보행자 이미지 및 보행자 남은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USB 케이블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와 접속되어, 상기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가 촬영할 보행자 대기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물체 검지부가 감지할 보행자 검지구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전력선 통신 또는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교통신호제어기 간에 구동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서로 대향되는 보행신호등에 위치한 중앙제어부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는,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적색 신호등 상부에 설치되되,
    시리얼 통신 또는 LAN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제어에 따라 촬영된 영상 이미지 컷 확인, 및 촬영할 보행자 대기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내 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는,
    녹색 보행자 이미지 및 보행자 남은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보행신호등이 점등되는 동안, 녹화한 횡단보도 영상을 LAN(Local Area Network)를 통해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SDHC(Secure Digital High Capacity) 또는 SDXC(Secure Digital Extended Capacity) 중에 어느 하나의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내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안내부는,
    내장된 디밍 제어 회로가 프로그램을 통해 기 설정된 값에 따라 기 설정된 안내문구, 보행자 대기시간 및 보행자 횡단을 위해 남은시간을 기 설정된 밝기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내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스피커를 통해 기 설정된 음성 멘트를 출력하되, 음성 멘트 출력은 프로그램을 통해 설정한 값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음량으로 출력하는 음성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내 시스템.
  12. 보행자 안내 시스템 제어 방법 있어서,
    (a)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가 기 설정된 구역(보행자 대기영역)에 신호 대기 중인 보행자들의 영상 이미지를 캡처하고, 물체 검지부가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구역에 보행자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단계;
    (b) 중앙제어부가 상기 물체 검지부로부터 보행자 검지 값을 인가받고, 상기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가 캡처한 영상 이미지에 보행자 이미지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판단결과, 물체 검지부로부터 보행자 검지 값을 인가받고,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가 캡처한 영상 이미지에 보행자 이미지가 포함된 경우, 중앙제어부가 기 설정된 구역에 보행자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d) 신호제어부가 중앙제어부로부터 수신한 구동신호에 따라 교통신호제어기의 보행신호등 점등을 제어하는 단계; 및
    (e) 음성안내부가 중앙제어부의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기 설정된 음성 멘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 이전에 물체 검지부가 보행자 검지구역과 보행자 대기구역을 4개의 좌표 내지 12개의 좌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내 시스템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f) 영상 녹화부가 24시간 연속 녹화 또는 보행자 신호등이 보행신호로 점등되기 전 소정의 시각부터 소등된 후 소정의 시각까지의 영상을 녹화하는 단계; 및
    (g) 영상 데이터 저장부가 영상 녹화부에 의해 녹화된 영상 데이터 및 영상 이미지 검지 및 수집부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내 시스템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
    (h) 시각안내부가 보행자 대기시간 또는 보행자 횡단을 위해 남은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내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0140039308A 2014-04-02 2014-04-02 보행자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397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308A KR101397593B1 (ko) 2014-04-02 2014-04-02 보행자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308A KR101397593B1 (ko) 2014-04-02 2014-04-02 보행자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593B1 true KR101397593B1 (ko) 2014-06-27

Family

ID=51131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308A KR101397593B1 (ko) 2014-04-02 2014-04-02 보행자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59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126B1 (ko) * 2015-06-26 2015-12-03 주식회사 유니시큐 보행자 자동 탐지 방법 및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
CN106683457A (zh) * 2017-01-16 2017-05-17 湖北文理学院 一种创意交通灯装置及其控制系统
CN106960567A (zh) * 2017-03-21 2017-07-18 四川大学 基于红外探测的智能人行道
CN110057393A (zh) * 2018-01-19 2019-07-26 佛山市湘訾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智能交通管控平台的检测方法
KR102243845B1 (ko) * 2020-07-01 2021-04-23 주식회사 동부아이씨티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정보 제공 장치
KR102597265B1 (ko) * 2023-04-18 2023-11-03 주식회사 한길에이치씨 보조 교통 장치 제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7682A (ja) * 2000-11-20 2002-05-3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横断歩道の信号制御方法及び装置
KR100982724B1 (ko) * 2008-04-17 2010-09-16 최상우 인공지능 보행자 신호등 제어장치
KR101026683B1 (ko) * 2010-11-05 2011-04-07 (주)금성보안 마이크로웨이브센서를 이용한 횡단보도 보행자안전시스템 및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7682A (ja) * 2000-11-20 2002-05-3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横断歩道の信号制御方法及び装置
KR100982724B1 (ko) * 2008-04-17 2010-09-16 최상우 인공지능 보행자 신호등 제어장치
KR101026683B1 (ko) * 2010-11-05 2011-04-07 (주)금성보안 마이크로웨이브센서를 이용한 횡단보도 보행자안전시스템 및 운영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126B1 (ko) * 2015-06-26 2015-12-03 주식회사 유니시큐 보행자 자동 탐지 방법 및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
CN106683457A (zh) * 2017-01-16 2017-05-17 湖北文理学院 一种创意交通灯装置及其控制系统
CN106960567A (zh) * 2017-03-21 2017-07-18 四川大学 基于红外探测的智能人行道
CN110057393A (zh) * 2018-01-19 2019-07-26 佛山市湘訾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智能交通管控平台的检测方法
KR102243845B1 (ko) * 2020-07-01 2021-04-23 주식회사 동부아이씨티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정보 제공 장치
KR102597265B1 (ko) * 2023-04-18 2023-11-03 주식회사 한길에이치씨 보조 교통 장치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593B1 (ko) 보행자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9928710B2 (en) Danger alerting method and device,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20180245923A1 (en) Electronic machine equipment
TW201545739A (zh) 導盲方法及系統
WO2021057244A1 (zh) 光强调节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6658941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13600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data thereof
US11647150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5448083A (zh) 一种人行道防行人闯红灯装置及方法
JP2012191568A (ja) 画像投影装置、機能設定方法、および機能設定プログラム
US1117052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nalyzing an image to detect an object within the image
KR101733553B1 (ko) 눈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3109639A (ja) 画像処理装置、サーバ、携帯端末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101479178B1 (ko) 가로등을 대체할 수 있는 cctv용 지능형 카메라장치
CN204066388U (zh) 一种人行道防行人闯红灯装置
JP201711731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入力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854204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1815943B (zh) 车辆停车次数的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TW201441079A (zh) 車輛輔助系統及車輛輔助方法
CN107924114B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JP2014082647A (ja) 監視カメラ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方法
JP2015215925A (ja) プロジェクタ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
WO2014178466A1 (ko) Led 조명장치용 단말기
JP5167618B2 (ja) 表示装置、撮像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処理プログラム
JP7240182B2 (ja) 交差点警告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