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553B1 - 눈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눈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553B1
KR101733553B1 KR1020130080438A KR20130080438A KR101733553B1 KR 101733553 B1 KR101733553 B1 KR 101733553B1 KR 1020130080438 A KR1020130080438 A KR 1020130080438A KR 20130080438 A KR20130080438 A KR 20130080438A KR 101733553 B1 KR101733553 B1 KR 101733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mart device
eye
induction signal
bli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6684A (ko
Inventor
안성욱
Original Assignee
안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욱 filed Critical 안성욱
Priority to KR1020130080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553B1/ko
Publication of KR20150006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or recording eye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optical transmission systems
    • H04B2210/08Shut-down or eye-safe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사용자의 눈 깜박임을 유도할 수 있는 눈 건강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눈 건강 관리 장치는 스마트 기기의 사용자가 눈을 깜박이지 않거나, 스마트 기기에 지나치게 몰입하면, 사용자에게 경고를 주어 사용자가 눈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눈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ARING EYE}
하기의 실시예들은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눈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주기적으로 눈을 깜박이도록 유도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스마트 기기의 발전에 따라서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는 시간은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가 장시간 스마트 기기를 이용할수록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집중한다. 스마트 기기의 특성상,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는 시간의 대부분 동안에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응시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눈 건강을 해칠 우려가 높아진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는 시간이 증가할 수록 사용자가 눈을 깜박이는 빈도가 낮아지고, 그 결과 안구건조증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는 중간에 잠시 스마트 기기로부터 눈을 돌려 사용자의 눈을 쉴 수 있게 해주거나, 눈을 깜박여 안구 건조증을 예방할 수 있는 습관이 요구된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면서, 스마트 기기에 몰두하고, 점점 스마트 기기를 눈쪽으로 가까이 가져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눈과 스마트 기기간의 거리가 과도하게 가까워진다면, 사용자의 눈 건강을 해칠 우려가 높아진다.
그러나,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면 깊이 몰입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는 중간에 잠시 이용을 멈추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눈을 깜박이거나, 스마트 기기를 눈에서 일정거리 이상 떨어뜨려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스마트 기기의 사용자가 눈을 깜박일 수 있도록 눈 깜박임을 유도할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스마트 기기의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눈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떨어뜨릴 수 있도록 경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을 수집하는 패턴 수집부 및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에 따라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눈 건강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촬영한 영상이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영상 내에서 상기 사용자의 눈 깜박임 횟수를 측정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눈 깜박임 횟수에 따라서 상기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은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계속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계속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에 따라서 상기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눈 깜박임 유도 신호는 빛, 소리,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메시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눈 깜박임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눈 깜빡임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주기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눈 깜빡임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주기에 따라서 상기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된 거리에 따라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눈 건강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화각을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화각을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를 촬영한 사진들 내에서 특정 오브젝트들 간의 각도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사용자를 촬영한 사진의 초점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로 초음파를 전송하는 초음파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반사된 초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을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에 따라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눈 깜박임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촬영한 영상이고, 상기 영상 내에서 상기 사용자의 눈 깜박임 횟수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눈 깜박임 횟수에 따라서 상기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은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계속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계속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에 따라서 상기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눈 깜박임 유도 신호는 빛, 소리,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메시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눈 깜박임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눈 깜빡임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주기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눈 깜빡임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주기에 따라서 상기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거리에 따라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거리 측정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화각을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진들 내에서 특정 오브젝트들 간의 각도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를 촬영한 사진의 초점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로 초음파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반사된 초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의 사용자가 눈을 깜박일 수 있도록 눈 깜박임을 유도할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스마트 기기의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눈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떨어뜨릴 수 있도록 경고할 수 있다.
도 1은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 관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서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설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 관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줌 기능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자동 초점 기능 및 초음파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눈 깜박임 관리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거리 측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120)는 스마트 기기(100)의 화면(110)을 응시하며 스마트 기기(100)를 사용한다. 여기서, 스마트 기기(100)는 사용자(120)가 볼 수 있는 화면(110)을 구비한 장치로서, 핸드폰, 스마트 폰, 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노트북 PC 등일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의 특성상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100)를 사용하면서 스마트 기기(100)의 화면(110)에 몰두하게 되고, 심지어 눈조차 깜박이지 않거나 평소보다 적게 깜박일 수 있다. 이는 사용자(120)에게 안구건조증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120)는 점차 스마트 기기(100)를 눈 앞으로 가까이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120)와 스마트 기기(100)간의 거리(130)는 매우 가까워질 수 있다. 이는 사용자(120)의 눈을 피로하게 하거나, 사용자(120)의 자세를 불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기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120)의 눈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사용자(120)에게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눈 건강을 관리해야 한다는 메시지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120)에게 눈을 깜박여야 한다는 것을 리마인드 해줄 수 있는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120)가 눈을 깜박이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기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120)가 인지하지 못하나 사용자(120)의 신경을 자극할 수 있는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120)가 무의식적으로 눈을 깜박이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기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120)와 스마트 기기(100)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를 사용자(120)에게 알려주거나 측정된 거리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사용자의 눈 건강의 관리해줄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스마트 기기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눈 건강의 관리해줄 수 있는 소프트웨어는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 화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마트 기기와 눈 건강 관리 장치는 동일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눈 건강 관리 장치는 스마트 기기와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 건강 관리 장치는 스마트 기기의 케이스와 유사한 결속 구조 및 통신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눈 건강 관리 장치는 결속 구조를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와 결합하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눈 건강 관리 장치가 스마트 기기의 케이스처럼 결합하면, 눈 건강 장치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측정한 값을 스마트 기기와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한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눈 건강 관리 장치는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로부터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 등을 수신하고,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스마트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눈 건강 관리 장치와 통신하여 스마트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스마트 기기에 추가적인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 관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눈 건강 관리 장치(200)는 인터페이스부(210), 패턴 수집부(220), 카메라부(230), 판단부(240) 및 출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 수집부(220)는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200) 사용 패턴을 수집한다. 일측에 따르면, 패턴 수집부(220)가 수집하는 스마트 기기(200) 사용 패턴은 카메라부(23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를 촬영한 영상에는 사용자의 눈 부위가 포함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판단부(240)는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분석하여 영상 내에서 사용자의 눈 깜박임 횟수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판단부(240)는 사용자가 정해진 시간 동안에 몇 회나 눈을 깜박이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50)는 사용자의 눈 깜박임 횟수에 따라서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미리 결정된 기준 횟수와 사용자의 눈 깜박임 횟수를 비교하고, 사용자의 눈 깜박임 횟수가 기준 횟수보다 작다면, 사용자에게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빛, 스마트 기기 화면의 밝기 변화, 스마트 기기 화면의 메시지 출력, 오디오 신호 출력 등이 눈 깜박임 유도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은 스마트 기기(200)의 화면이 계속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200)를 이용하여 웹 서핑을 하거나 이북(e-book) 등을 보는 경우, 사용자는 특정 화면을 계속하여 응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출력부(250)는 특정 화면이 계속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에 따라서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특정 화면이 계속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을 미리 결정된 기준 시간과 비교하고, 계속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이 기준 시간 보다 길다면, 사용자에게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부(210)는 사용자로부터 눈 깜박임 유도 신호에 대한 구체적인 설정을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서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설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눈 깜박임 설정 화면은 눈 깜박임 유도 서비스를 사용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영역(311) 및 버튼(312)을 포함한다. 만약 사용자가 눈 깜박임 유도 서비스를 사용하기 원한다면, 사용자는 버튼(312)을 오른쪽으로 밀어 눈 깜박임 유도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눈 깜박임 설정 화면은 자동 모드를 사용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영역(321) 및 버튼(3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동 모드는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형태(눈 깜박임 유도 신호가 소리인지, 빛인지, 문제 메시지인지 등) 와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주기 등을 모두 스마트 기기 또는 눈 깜박임을 유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정하는 모드이다. 사용자가 자동 모드를 선택하면, 눈 건강 관리 장치는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에 따라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수동 모드는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형태와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주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모드 이다. 만약 사용자가 자동 모드를 사용하기 원한다면, 사용자는 버튼(322)을 오른쪽으로 밀어 자동 모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버튼(322)이 왼쪽으로 밀어져 있어 사용자는 수동 모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만약 사용자가 자동 모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한다면,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형식을 나타내는 영역(331),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형식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들(332, 333, 334),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주기를 나타내는 영역(341) 및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주기를 설정하는 버튼(342) 및 바(343)는 모두 비활성화 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수동 모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한다면,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형식을 나타내는 영역(331),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형식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들(332, 333, 334),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주기를 나타내는 영역(341) 및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주기를 설정하는 버튼(342) 및 바(343)는 모두 활성화 되고, 눈 깜박임을 유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설정을 수신할 수 있다.
눈 깜박임 설정 화면은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형식을 나타내는 영역(331) 및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형식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들(332, 333, 334)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형식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들(332, 333, 334)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형식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눈 깜박임 설정 화면은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출력 주기를 나타내는 영역(341) 및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주기를 설정하는 버튼(342) 및 바(343)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바(343)위에서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주기를 설정하는 버튼(342)을 좌우로 움직여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주기를 설정하는 버튼(342)을 오른 쪽으로 이동시키면,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주기는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주기를 설정하는 버튼(342)을 왼 쪽으로 이동시키면,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주기는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수동 모드를 선택하면, 출력부(250)는 사용자가 설정한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형태, 사용자가 설정한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주기 등에 따라서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 관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눈 건강 관리 장치(400)는 측정부(410), 카메라부(420), 초음파 센서(430) 및 출력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410)는 스마트 기기(400)와 스마트 기기(400)의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한다. 일측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400)는 카메라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카메라부(420)를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을 이용하여 측정부(410)가 스마트 기기(400)와 스마트 기기(400)의 사용자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줌 기능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줌 기능은 카메라의 화각을 변경하여 대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이다. 화각이 변경되면 촬영된 사진의 오브젝트는 크기가 변경되어 나타나게 된다.
도 5는 동일한 피사체를 줌 기능을 이용해 화각을 달리하여 촬영한 두 개의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a)는 피사체인 사람(510)을 줌 아웃하여 넓은 화각으로 촬영한 사진이고, 도 5의 (b)는 피사체인 사람을 사람(560)을 줌 인하여 좁은 화각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5의 (a)와 도 5의 (b)를 비교하면, 도 5의 (a)에서는 두 눈(520) 사이의 거리(530)가 사진에서는 짧게 나타나나, 도 5의 (b)에서는 두 눈(550) 사이의 거리(560)가 사진에서는 길게 나타난다.
도 5에서는 사람의 두 눈을 이용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눈 건강 관리 장치는 두 사진 내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임의의 오브젝트들 간의 거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일측에 따르면, 측정부(310)는 각 사진을 촬영한 경우의 화각, 각 사진에서 오브젝트들간의 거리, 사진에서 오브젝트들간의 거리의 변화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와 건강 관리 장치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측정부(310)는 각 사진에서 오브젝트들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건강 관리 장치로부터 제1 오브젝트까지의 직선과 건강 관리장치로부터 제2 오브젝트까지의 직선 사이의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측정부(310)는 두 직선 사이의 각도 변화와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도 6은 자동 초점 기능 및 초음파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자동 초점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610)와 스마트 기기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카메라가 자동 초점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에, 뷰 파인더에는 초점이 맞은 부분이 표시(620)된다. 일측에 따르면, 카메라부(420)는 자동 초점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촬영하고, 측정부(410)는 사진 촬영 당시의 초점 거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도 6의 (b)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630)와 스마트 기기(640)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측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 또는 눈 건강 관리 장치는 초음파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30)는 사용자를 향해 초음파를 전송(550)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센서(330)는 사용자로부터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560)할 수 있다. 측정부(410)는 사용자로부터 반사된 초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부(410)는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330)로부터 전송된 시간과 다시 초음파 센서(330)로 수신된 시간의 차이를 산출하고, 시간의 차이와 소리의 속도를 이용하여 사용자(530)와 스마트 기기(540)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출력부(440)는 측정부(410)가 측정한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거리에 따라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440)는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거리를 미리 결정된 기준 거리와 비교하고,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거리가 미리 결정된 기준 거리보다 더 짧은 경우에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빛, 스마트 기기 화면의 밝기 변화, 오디오 신호 출력 등이 메시지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기기 화면에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므로 바른 자세를 취하라'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7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눈 깜박임 관리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단계(710)에서 눈 건강 관리 장치는 자동/수동 사용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한다. 일측에 따르면, 눈 건강 관리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인터페이스와 유사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자동/수동 사용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720)에서 눈 건강 관리 장치는 사용자가 자동 모드를 선택하였는지, 수동 모드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수동 모드를 선택한 경우, 단계(750)에서 눈 건강 관리 장치는 사용자가 설정한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형태, 사용자가 설정한 눈 깜박임 유도 신호의 주기 등에 따라서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동 모드를 선택한 경우, 단계(730)에서 눈 건강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을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은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촬영한 영상 또는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계속 디스플레이 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단계(740)에서, 눈 건강 관리 장치는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에 따라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빛, 스마트 기기 화면의 밝기 변화, 스마트 기기 화면의 메시지 출력, 오디오 신호 출력 등이 눈 깜박임 유도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은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눈 건강 관리 장치는 영상 내에서 사용자의 눈 깜박임 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 눈 건강 관리 장치는 사용자가 정해진 시간 동안에 몇 회나 눈을 깜박이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740)에서, 눈 건강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눈 깜박임 횟수에 따라서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 건강 관리 장치는 미리 결정된 기준 횟수와 사용자의 눈 깜박임 횟수를 비교하고, 사용자의 눈 깜박임 횟수가 기준 횟수보다 작다면, 사용자에게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은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계속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웹 서핑을 하거나 이북(e-book) 등을 보는 경우, 사용자는 특정 화면을 계속하여 응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눈 건강 관리 장치는 특정 화면이 계속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에 따라서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 건강 관리 장치는 특정 화면이 계속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을 미리 결정된 기준 시간과 비교하고, 계속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이 기준 시간 보다 길다면, 단계(740)에서 사용자에게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거리 측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단계(810) 내지 단계(840)에서 눈 건강 관리 장치는 스마트 기기와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한다.
일측에 따르면, 눈 건강 관리 장치는 단계(810)에서, 화각을 변환하여 촬영한 복수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단계(850)에서, 눈 건강 관리 장치는 화각을 변환하여 촬영한 여러 장의 사진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특정 오프젝트들 간의 각도 변화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화각을 변환하여 촬영한 여러 장의 사진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은 도 4 및 도 5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눈 건강 관리 장치는 단계(820)에서, 자동 초점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단계(820)에서, 눈 건강 관리 장치는 자동 초점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촬영한다. 단계(850)에서, 눈 건강 관리 장치는 사진 촬영 당시의 초점 거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눈 건강 관리 장치는 단계(830)에서 사용자로 초음파를 전송한다. 또한, 단계(840)에서 눈 건강 관리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한다.
단계(850)에서, 눈 건강 관리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반사된 초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 건강 관리 장치는 초음파가 전송된 시간과 다시 수신된 시간의 차이를 산출하고, 시간의 차이와 소리의 속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860)에서, 눈 건강 관리 장치는 측정한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거리에 따라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 건강 관리 장치는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거리를 미리 결정된 기준 거리와 비교하고,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거리가 미리 결정된 기준 거리보다 더 짧은 경우에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빛, 스마트 기기 화면의 밝기 변화, 오디오 신호 출력 등이 메시지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눈 건강 관리 장치는 스마트 기기 화면에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므로 바른 자세를 취하라'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스마트 기기
110: 화면
120: 사용자
130: 거리

Claims (19)

  1.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을 수집하는 패턴 수집부; 및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에 따라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은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계속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계속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에 따라서 상기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건강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판단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촬영한 영상이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영상 내에서 상기 사용자의 눈 깜박임 횟수를 측정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눈 깜박임 횟수에 따라서 상기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눈 건강 관리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 깜박임 유도 신호는 빛, 소리,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메시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눈 깜박임을 유도하는 눈 건강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주기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주기에 따라서 상기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눈 건강 관리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을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에 따라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은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 계속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계속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에 따라서 상기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깜박임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 패턴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촬영한 영상이고,
    상기 영상 내에서 상기 사용자의 눈 깜박임 횟수를 측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눈 깜박임 횟수에 따라서 상기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눈 깜박임 관리 방법.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눈 깜박임 유도 신호는 빛, 소리,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메시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눈 깜박임을 유도하는 눈 깜박임 관리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주기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주기에 따라서 상기 눈 깜박임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눈 깜박임 관리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0항,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080438A 2013-07-09 2013-07-09 눈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733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438A KR101733553B1 (ko) 2013-07-09 2013-07-09 눈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438A KR101733553B1 (ko) 2013-07-09 2013-07-09 눈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852A Division KR101822853B1 (ko) 2017-03-07 2017-03-07 눈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684A KR20150006684A (ko) 2015-01-19
KR101733553B1 true KR101733553B1 (ko) 2017-05-24

Family

ID=5256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438A KR101733553B1 (ko) 2013-07-09 2013-07-09 눈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5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637B1 (ko) * 2017-07-17 2019-04-02 최한나 눈피로 및 눈건조를 예방하는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동작 단말기
KR102096909B1 (ko) * 2018-10-08 2020-04-03 반형철 사용자 시력 보호 및 스마트 폰 중독 예방을 위한 화면 표시 장치에서의 눈깜빡임 유도 장치 및 방법
KR102447912B1 (ko) * 2021-01-25 2022-09-27 주식회사 엠에스씨랩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
US20230248994A1 (en) * 2022-02-06 2023-08-10 Demaod Ltd Device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Tear Secretion
IL290389B2 (en) * 2022-02-06 2024-04-01 Shavit Ronen Device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tear secre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9796A (ja) * 2005-03-30 2006-10-12 Yamaha Corp 携帯電話、携帯電話用ホルダ、携帯電話用プログラム、および半導体素子
WO2013062180A1 (ko) * 2011-10-28 2013-05-02 Kim Soong-Jae 안구건조 방지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9796A (ja) * 2005-03-30 2006-10-12 Yamaha Corp 携帯電話、携帯電話用ホルダ、携帯電話用プログラム、および半導体素子
WO2013062180A1 (ko) * 2011-10-28 2013-05-02 Kim Soong-Jae 안구건조 방지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684A (ko) 201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69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3-D image creation
KR101733553B1 (ko) 눈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RU264862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параметра на основе изображения, а также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WO2011102232A1 (ja) 電子機器、撮像装置、画像再生方法、画像再生プログラム、画像再生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画像再生装置
KR102013708B1 (ko) 자동 초점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3139480A (zh) 一种图像采集方法及装置
JP6402718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780843A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180133897A (ko) 사진 합성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9600555A (zh) 一种对焦控制方法、系统及拍照设备
CN105323480A (zh) 一种基于超声波的拍照方法及装置
RU263587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кадрирования
JP2017069618A (ja) 電子機器及び撮像方法
CN108989666A (zh) 拍摄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取存储介质
KR101885513B1 (ko) 눈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822853B1 (ko) 눈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170142407A1 (en) Portable device that controls photography mod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014971B1 (ko)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70123614A (ko) 촬상 제어 장치, 촬상 제어 방법 및 촬상 제어 시스템
JP2011172088A (ja) 電子機器
JP2015162822A (ja) 電子機器、撮像装置及び通信装置
EP3139586B1 (en) Image shooting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JP2013242408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112985B2 (ja) 表示制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13074428A (ja) 自分撮り判断装置、撮像装置、プログラム及び自分撮り判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