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971B1 -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971B1
KR102014971B1 KR1020170121078A KR20170121078A KR102014971B1 KR 102014971 B1 KR102014971 B1 KR 102014971B1 KR 1020170121078 A KR1020170121078 A KR 1020170121078A KR 20170121078 A KR20170121078 A KR 20170121078A KR 102014971 B1 KR102014971 B1 KR 102014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cus
camera
display
o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800A (ko
Inventor
우재희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1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971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H04N5/2321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에서 구강카메라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상기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가, 구강카메라로부터 수진자의 구강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가지는 치아 중 적어도 하나의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를 선택하는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초점마크를 상기 수신된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하는 제1 표시 단계; 상기 영상의 초점을 상기 초점마크에 대응되는 객체에 맞추는 단계; 및 상기 초점이 맞춰진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점마크를 제공하여, 구강의 원하는 영역에 구강카메라 초점을 쉽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버튼을 누른 후, 소정의 지연시간을 두어 구강 영상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Oral camera video display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 병원 진료 분야에서는 환자의 구강 병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치아, 잇몸의 영상 또는 치아, 잇몸에 대한 특정부분의 근접 촬영된 영상 등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구강 병변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구강카메라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구강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을 표시 및 제어하기 위한 영상 표시 장치도 함께 이용되고 있다.
한편, 구강카메라를 이용하여 또렷한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촬영대상이 되는 객체에 구강카메라의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구강카메라 및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 및 캡처 하기 위한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강카메라의 초점이 어디에 맞추어 졌는지 확인할 수 없어서, 구강카메라의 초점을 맞추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구강카메라 영상의 초점의 기준이 어디인지 불명확하여, 사용자는 현재 촬영하고자 하는 영역에 명확히 초점을 맞출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의 초점을 맞추는 것과는 별개로 카메라의 동작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을 캡처하기 위한 제어버튼은 구강카메라에 설치되며 사용자는 구강카메라의 제어버튼을 이용하여 영상을 캡처한다.
하지만, 구강카메라는 구강 내부의 촬영 목적에 따라 폭이 좁고 길이가 긴 막대형으로 구성되므로, 제어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생기는 움직임이 카메라에 직접 전달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의 초점을 맞추더라도 촬영되는 영상이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은 구강 영상의 초점을 맞추는데 용이한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에서 구강카메라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가, 구강카메라로부터 수진자의 구강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가지는 치아 중 적어도 하나의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를 선택하는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초점마크를 상기 수신된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하는 제1 표시 단계; 상기 영상의 초점을 상기 초점마크에 대응되는 객체에 맞추는 단계; 및 상기 초점이 맞춰진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점마크는 상기 영상의 중심부에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맞추는 단계는 상기 구강카메라로부터 영상의 캡처 명령을 수신 받은 후, 상기 영상의 초점을 상기 초점마크에 대응되는 객체에 맞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점마크는 상기 영상의 중심부에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맞추는 단계는 상기 초점마크에 대응되는 객체와 상기 구강카메라의 초점 거리가 소정 시간 유지되는 시점에 상기 영상의 초점을 상기 초점마크에 대응되는 객체에 맞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점마크의 크기는 상기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크기에 비례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된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점마크의 크기는 상기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초점심도에 비례하여 조절되어 상기 수신된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점마크의 크기는 상기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와 상기 구강카메라의 초점거리에 반비례하여 조절되어 상기 수신된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되는 영상의 해상도 변경 명령을 수신 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해상도 변경 명령을 기초로 수신된 영상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표시 단계는 상기 수신된 영상의 일 영역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해상도 변경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해상도 변경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가, 상기 구강카메라로부터 상기 수신된 영상의 캡처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캡처 명령을 기초로 수신된 영상을 캡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영상을 캡처하는 단계는 상기 캡처 명령을 수신하는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지연시간을 두고 수신된 영상을 캡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표시 단계는 상기 초점마크를 포함한 일정 영역을 구분하는 구분선을 상기 수신된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 영역의 크기는 상기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초점심도에 비례하여 조절되어 상기 수신된 영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표시 단계에서, 상기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위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일정 영역은 상기 복수 개의 객체의 위치를 포함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로서, 구강카메라로부터 수진자의 구강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가지는 치아 중 적어도 하나의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를 선택하는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선택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한 초점마크를 생성하는 초점부 및 상기 생성된 초점마크를 상기 수신된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영상의 초점을 상기 초점마크에 대응되는 객체에 맞추며, 상기 초점이 맞춰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점마크는 상기 영상의 중심부에 표시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강카메라로부터 영상의 캡처 명령을 수신받은 후, 상기 영상의 초점을 상기 초점마크에 대응되는 객체에 맞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점마크는 상기 영상의 중심부에 표시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점마크에 대응되는 객체와 상기 구강카메라의 초점 거리가 소정 시간 유지되는 시점에 상기 영상의 초점을 상기 초점마크에 대응되는 객체에 맞출 수 있다.
상기 초점부는, 상기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크기, 객체의 심도 또는 객체와 상기 구강카메라의 초점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초점마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로서, 구강카메라로부터 수진자의 구강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 중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한 초점마크를 생성하는 초점부; 및 상기 생성된 초점마크를 상기 수신된 영상의 제1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영상의 초점을 상기 초점마크에 대응되는 객체에 맞추며, 상기 초점이 맞춰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영상의 해상도 변경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터페이스를 상기 수신된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 받은 해상도 변경 명령을 기초로 수신된 영상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구강카메라로부터 상기 수신된 영상의 캡처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쳐 명령을 수신하는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지연시간을 두고 수신된 영상을 캡처할 수 있다.
구강카메라로서, 수진자의 구강을 촬영하여 제1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획득된 제1 영상을 외부의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영상에 포함된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가지는 치아 중 적어도 하나의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에 초점을 맞추어 제2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2 영상을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포커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외부의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구강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제1 및 제2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신된 제1 영상에 포함된 치아 중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한 초점마크를 생성하는 초점부, 및 상기 생성된 초점마크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제1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전송된 제2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초점마크를 제공하여, 구강의 원하는 영역에 구강카메라 초점을 쉽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버튼을 누른 후, 소정의 지연시간을 두어 구강 영상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PC사양에 따라 적절한 촬영 해상도를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초점마크의 크기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촬영대상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시스템 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영상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영상에 초점마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영상에 초점마크와 구분선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 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외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시스템 환경을 개력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시스템 환경에는 구강카메라(100) 및 영상 표시 장치(200)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강카메라(100)는 수진자의 구강의 일 영역을 촬영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강카메라(100)는 촬영된 영상을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200)로 송수신할 수 있다. 구강카메라(100)는 영상 표시 장치(200)의 제어 명령을 송수신할 수 있으며, 구강카메라(100)는 영상 표시 장치(20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구강에 대한 영상의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한, 구강카메라(100)는 영상 초점이 맞춰진 구강 에 대한 영상을 영상 표시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구강카메라(10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제어버튼(미도시)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구강카메라(100)의 제어버튼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200)에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구강카메라(100)의 제어버튼을 한번 누르면, 영상 표시 장치(200)가 구강 영상을 캡처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다시 한번 제어버튼을 누르면, 영상 표시 장치(200)가 캡처된 영상을 취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버튼을 소정 시간 누르고 있으면, 영상 표시 장치(200)가 구강 영상을 동영상으로 촬영 및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강카메라(100)의 제어버튼은 누르는 깊이에 따라 2단 입력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어버튼의 제1 깊이의 1단 입력시, 구강카메라(100)는 구강 영상의 초점을 맞추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어버튼의 제2 깊이의 2단 입력시, 구강카메라(100)는 구강 영상을 캡처하도록 영상 표시 장치(20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구강카메라(100)의 제어버튼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200)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도 있고, 구강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도 있다.
영상 표시 장치(200)는 구강카메라(100)에서 획득된 영상을 표시 및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영상 표시 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200)는 통신부(210) 초점부(240) 입력부(230) 저장부(220) 디스플레이부(250)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구강카메라(100)에서 촬영한 구강 영상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구강카메라(100)에게 제어 명령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구강카메라(100)로부터 캡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구강카메라(100)로부터 수진자의 구강에 대한 영상을 수신할 수 있으며, 통신부(210)는 구강카메라(100)에게 촬영 명령을 송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통신부(21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강카메라(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저장부(220)는 통신부(210)가 구강카메라(10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20)는 제어부(26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상태 판단 정보,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또는 영구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220)는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30)는 외부의 조작을 입력 받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가지는 대상 중 적어도 하나의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를 선택하는 선택 명령을 입력 받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초점의 대상은 사용자가 구강에 대한 영상에 포함된 여러 객체 중에서 중점적으로 관찰하기를 원하는 객체를 의미한다.
또한, 입력부(230)는 하나 이상의 외부 입력 장치를 포함하거나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230)에 키보드, 마우스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230)는 터치패널, 버튼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들을 결합하여 외부의 입력을 수신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영상 표시 장치(200)의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구강에 대한 영상에 포함된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가지는 대상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영상 표시 장치(200)의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구강에 대한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해상도 변경 명령은 제어부(260)가 생성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입력부(230)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해상도 변경 명령을 입력 받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는 조절바(231) 및 조절버튼(2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바(231)는 구강에 대한 영상의 해상도를 상태를 나타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조절바(231)는 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조절버튼(232)은 구강에 대한 영상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패널에 표시된 조절버튼(232)을 조절바(231)의 상단으로 드래그(Drag)하여, 영상 표시 장치(200)에게 구강에 대한 영상의 해상도를 높이도록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조절버튼(232)을 조절바(231)의 하단으로 드래그(Drag)하여, 영상 표시 장치(200)에게 구강에 대한 영상의 해상도를 낮추도록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조절버튼(232)을 한번 터치하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200)에게 구강에 대한 영상을 기 설정된 해상도로 제어하도록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구강에 대한 영상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영상 표시 장치(200)의 사양에 따라 적절한 촬영 해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구강에 대한 영상 상측 또는 하측 영역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인터페이스의 크기를 상황에 따라 조절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초점부(240)는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 중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한 초점마크(241)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초점부(240)는 입력부(230)에서 수신한 사용자의 객체 선택 명령에 기초하여,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초점마크(241)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초점마크(241)는 바람직하게 수신된 구강에 대한 영상의 중심부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초점마크(241)는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초점부(240)는 초점마크(241)의 크기를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크기에 비례하여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을 확대하거나 가까이서 촬영하여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크기 큰 경우, 초점부(240)는 초점마크(241)의 크기를 객체의 크기에 비례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초점부(240)는 구강에 대한 영상의 해상도에 따라 초점마크(241)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의 해상도가 낮아지면, 초점마크(241)의 크기를 크게 조절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저해상도에서도 초점마크(241)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초점부(240)는 초점마크(241)의 크기를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초점심도(depth of focus)에 비례하여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초점심도는 구강카메라(100)의 초점면이 앞뒤로 움직였을 경우, 상이 선명하다고 볼 수 있는 초점면의 앞뒤의 범위를 의미한다. 즉, 초점마크(241)는 상이 선명하다고 볼 수 있는 초점면의 앞뒤의 범위에 비례하여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초점면은 구강카메라(100)의 초점을 포함한 면으로써, 초점이 맞춰진 면을 의미한다.
또한, 초점마크(241)의 크기는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와 구강카메라(100)의 초점거리에 반비례하여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초점마크(241)는 여러 도형의 모양을 적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십자가 모양이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초점마크(241)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점마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초점부(240)가 생성한 초점마크(241)는 수신된 구강에 대한 영상의 중심부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따른 초점마크(241)는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크기가 크거나 초점거리가 짧아지는 경우에 객체의 크기에 비례하거나 초점거리에 반비례하여 조절되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크기가 커진 경우 또는 초점의 대상을 확대한 경우에 초점마크(241)의 크기는 비례하여 더 커지게 된다. 이렇게 초점마크(241)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때 사용자는 구강에 대한 영상에 포함된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가지는 대상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즉, 도 4에 따른 초점마크(241)는 사용자의 대상을 선택하는 선택명령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왼쪽에 위치한 치아(a)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을 입력하면, 초점마크(241)는 선택명령에 기초하여 (a)의 위치에 이동 표시 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구강에 대한 영상의 가운데에 위치한 객체뿐만 아니라 가장자리에 위치한 객체에 초점이 맞춰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초점마크(241)는 단순히 가운데에서 이동되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복수의 치아를 선택하면 복수개로 표시될 수 도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다초점에 맞춰진 구강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초점은 초점이 여러 개가 포함된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 구강카메라(100)는 복수의 카메라 렌즈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구강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50)는 수신된 영상의 일 영역에 초점부(240)가 생성한 초점마크(241)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초점마크는 수신된 구강에 대한 영상의 중심부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수신된 영상의 일 영역에 제어부(260)가 생성한 인터페이스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50)는 제어부(260)가 생성한 구분선(261)을 수신된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50)는 LCD, LED, CRT 등 임의의 시각적 출력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부(250)의 예시와 구성요소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200)는 음향 출력이 가능한 음향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출력부(미도시)는 영상의 초점이 맞추어진 경우 완료를 알리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260)는 영상 표시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통신부(210)를 통해서 구강카메라(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0)는 해상도 조절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인터페이스가 수신된 영역의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 받은 해상도 변경 명령을 기초로 수신된 영상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60)는 영상처리를 통해서 구강에 대한 영상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어부(260)는 해상도가 조절된 영상을 송신하도록 구강카메라(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초점부(240)에서 생성한 초점마크(241)를 수신된 영상의 중심부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부(260)는 초점마크(241)를 수신된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260)는 초점마크(241)에 대응하는 객체에 구강 영상의 초점이 맞춰지도록 구강카메라(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초점마크(241)에 대응하는 객체에 구강 영상의 초점이 맞춰지도록 영상처리를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260)는 초점이 맞춰진 구강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초점마크(241)에 대응되는 객체와 구강카메라(100)의 초점 거리가 소정 시간 유지되는 시점에 상기 영상의 초점을 상기 초점마크(241)에 대응되는 객체에 맞추도록 구강카메라(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영상의 캡처 명령을 수신 받은 후, 영상의 초점을 초점마크(241)에 대응되는 객체에 맞추도록 구강카메라(1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캡처 명령은 구강카메라(100)의 제어버튼을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으며, 캡처 명령은 입력부(230)의 터치페널을 이용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구강카메라(100)의 제어버튼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200)에 캡처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입력부(230)의 터치페널을 터치하여 캡처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캡처 명령을 수신하는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지연시간을 두고 수신된 구강에 대한 영상을 캡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강카메라(100)로부터 캡처 명령을 수신한 경우, 2초정도의 간격을 두고 수신된 구강에 대한 영상을 캡처할 수 있다. 지연시간을 두고 구강에 대한 영상을 캡처함으로써, 제어버튼의 누름에 인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초점마크(241)를 포함한 일정 영역을 구분하는 구분선(261)을 생성할 수 있으며, 제어부(260)는 생성된 구분선을 수신된 영상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구분선(261)은 초점마크(241)와 대응하는 객체에 구강 영상의 초점이 맞출 경우, 상이 선명하다고 볼 수 있는 영역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해당 객체에 초점을 맞출 경우, 상이 선명해지는 영역을 미리 알 수 있어서 구강영상의 초점을 맞추는데 용이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수의 초점의 대상에 초점을 맞추기를 원하는 경우, 구분선(261)의 일정 영역에 복수의 초점의 대상이 들어오게 하여 구강 영상의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여기서 구분선(261)의 일정 영역은 초점마크(241)와 대응되는 객체의 초점심도에 비례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점심도가 깊어지는 경우, 구분선(261)의 일정 영역은 비례하여 넓어질 수 있다. 구분선(261)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영상에 초점마크와 구분선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초점마크(241)와 구분선(261)은 도 7 및 도8처럼 수신된 구강 영상에 표시될 수 있다. 구분선(261)의 일정 영역은 초점마크(241)에 대응하는 객체의 초점심도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초점마크(241)에 대응하는 객체에 초점을 맞출 경우, 구분선(261)이 구분한 일정 영역 안에 위치하는 객체들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통신부(210)는 구강카메라(100)로부터 구강에 대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S10).
그리고, 제어부(260)는 생성된 초점마크(241)를 수신된 구강에 대한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S20). 여기서 초점마크(241)는 초점부(240)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으며, 초점부(240)는 초점마크(24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초점마크(241)의 크기는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크기 또는 초점심도에 비례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초점마크(241)의 크기는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와 구강카메라(100)의 초점거리에 반비례하여 조절될 수 있다.
제1 표시단계(S20)에서 제어부(260)는 생성된 초점마크(241)와 함께 구분선(261)을 수신된 구강에 대한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구분선(261)은 초점마크(241)와 대응하는 객체에 구강 영상의 초점이 맞출 경우, 상이 선명하다고 볼 수 있는 영역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분선(261)은 제어부(26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구분선(261)의 일정 영역은 초점마크(241)와 대응되는 객체의 초점심도에 비례하여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60)는 초점마크(241)에 대응되는 객체에 수신된 영상의 초점 이 맞춰지도록 구강카메라(100)를 제어할 수 있다(S30). 또한, 제어부(260)는 초점마크(241)에 대응되는 객체에 수신된 영상의 초점이 맞춰지도록 영상처리를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260)는 초점마크(241)에 대응되는 객체와 구강카메라(100)의 초점 거리가 소정 시간 유지되는 시점에 상기 영상의 초점을 초점마크(241)에 대응되는 객체에 맞추도록 구강카메라(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영상의 캡처 명령을 수신 받은 후, 영상의 초점을 초점마크(241)에 대응되는 객체에 맞추도록 구강카메라(1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캡처 명령은 구강카메라(100)의 제어버튼을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30)의 터치페널을 이용하여 입력된 캡처 명령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60)는 초점이 맞춰진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S40).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해상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입력부(230)는 사용자로부터 해상도 변경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11). 여기서 해상도 변경 명령은 제어부(260)가 생성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는 제1 표시단계(S20) 또는 제2 표시단계(S40)에서 초점마크(241)와 함께 구강에 대한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는 초점마크(241) 및 구분선(261)과 함께 구강에 대한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입력받은 해상도 변경 명령을 기초로 수신된 영상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S21). 여기서 제어부(260)는 영상처리를 통해서 구강에 대한 영상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어부(260)는 해상도가 조절된 영상을 송신하도록 구강카메라(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영상 캡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영상 표시 장치(200)는 캡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12). 여기서 캡처 명령은 구강카메라(100)로부터 통신부(210)가 수신할 수 있으며, 캡처 명령은 구강카메라(100)의 제어버튼을 통해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캡처 명령은 입력부(230)의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260)는 캡처 명령을 수신하는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지연시간을 두고 수신된 구강에 대한 영상을 캡처할 수 있다(S22). 지연시간을 두고 구강에 대한 영상을 캡처함으로써, 제어버튼의 누름에 인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2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선택명령에 기초하여 초점마크(241)가 구강에 대한 영상의 일부분에 위치하는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통신부(210)는 구강카메라(100)로부터 구강에 대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S100).
입력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가지는 대상 중 적어도 하나의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를 선택하는 선택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200).
그리고, 제어부(260)는 생성된 초점마크(241)를 수신된 구강에 대한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S300). 여기서 초점부(240)는 사용자의 객체의 선택에 기초하여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해 초점마크(241)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60)는 초점마크(241)에 대응되는 객체에 수신된 영상의 초점 이 맞춰지도록 구강카메라(100)를 제어할 수 있다(S400). 또한, 제어부(260)는 초점마크(241)에 대응되는 객체에 수신된 영상의 초점이 맞춰지도록 영상처리를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초점이 맞춰진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S500).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초점마크(241)를 이용하여 구강의 원하는 영역에 구강카메라 초점을 쉽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튼을 누른 후, 소정의 지연시간을 두어 구강 영상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PC사양에 따라 적절한 촬영 해상도를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초점마크(241)의 크기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촬영대상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초점마크(241)과 함께 구분선(261)을 제공하여 또렷한 상이 나오는 영역을 초점이 맞춰지기 전에 미리 알 수 있어,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초점을 잡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구강카메라 200 : 영상 표시 장치
210 : 통신부 220 : 저장부
230 : 입력부 231 : 조절바
232 : 조절버튼 240 : 초점부
241 : 초점마크 250 : 디스플레이부
260 : 제어부 261 : 구분선

Claims (22)

  1.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에서 구강카메라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상기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가,
    구강카메라로부터 수진자의 구강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가지는 치아 중 적어도 하나의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를 선택하는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초점마크를 상기 수신된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하는 제1 표시 단계;
    상기 영상의 초점을 상기 초점마크에 대응되는 객체에 맞추는 단계; 및
    상기 초점이 맞춰진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마크는 상기 영상의 중심부에 표시되며,
    상기 맞추는 단계는,
    상기 구강카메라로부터 영상의 캡처 명령을 수신 받은 후, 상기 영상의 초점을 상기 초점마크에 대응되는 객체에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마크는 상기 영상의 중심부에 표시되며,
    상기 맞추는 단계는,
    상기 초점마크에 대응되는 객체와 상기 구강카메라의 초점 거리가 소정 시간 유지되는 시점에 상기 영상의 초점을 상기 초점마크에 대응되는 객체에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마크의 크기는,
    상기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크기에 비례하여 조절되어 상기 수신된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마크의 크기는,
    상기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초점심도에 비례하여 조절되어 상기 수신된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마크의 크기는,
    상기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와 상기 구강카메라의 초점거리에 반비례하여 조절되어 상기 수신된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영상의 해상도 변경 명령을 수신 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해상도 변경 명령을 기초로 수신된 영상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단계는,
    상기 수신된 영상의 일 영역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해상도 변경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해상도 변경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가,
    상기 구강카메라로부터 상기 수신된 영상의 캡처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캡처 명령을 기초로 수신된 영상을 캡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영상을 캡처하는 단계는,
    상기 캡처 명령을 수신하는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지연시간을 두고 수신된 영상을 캡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단계는,
    상기 초점마크를 포함한 일정 영역을 구분하는 구분선을 상기 수신된 영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영역의 크기는,
    상기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초점심도에 비례하여 조절되어 상기 수신된 영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단계에서,
    상기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위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일정 영역은 상기 복수 개의 객체의 위치를 포함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방법.
  14.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로서,
    구강카메라로부터 수진자의 구강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가지는 치아 중 적어도 하나의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를 선택하는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선택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한 초점마크를 생성하는 초점부; 및
    상기 생성된 초점마크를 상기 수신된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영상의 초점을 상기 초점마크에 대응되는 객체에 맞추며, 상기 초점이 맞춰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마크는 상기 영상의 중심부에 표시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강카메라로부터 영상의 캡처 명령을 수신받은 후, 상기 영상의 초점을 상기 초점마크에 대응되는 객체에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마크는 상기 영상의 중심부에 표시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점마크에 대응되는 객체와 상기 구강카메라의 초점 거리가 소정 시간 유지되는 시점에 상기 영상의 초점을 상기 초점마크에 대응되는 객체에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부는,
    상기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크기, 객체의 심도 또는 객체와 상기 구강카메라의 초점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초점마크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
  18.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로서,
    구강카메라로부터 수진자의 구강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 중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한 초점마크를 생성하는 초점부; 및
    상기 생성된 초점마크를 상기 수신된 영상의 제1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영상의 초점을 상기 초점마크에 대응되는 객체에 맞추며, 상기 초점이 맞춰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영상의 해상도 변경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터페이스를 상기 수신된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 받은 해상도 변경 명령을 기초로 수신된 영상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구강카메라로부터 상기 수신된 영상의 캡처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처 명령을 수신하는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지연시간을 두고 수신된 영상을 캡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
  20. 수진자의 구강을 촬영하여 제1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획득된 제1 영상을 외부의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영상에 포함된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가지는 치아 중 적어도 하나의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에 초점을 맞추어 제2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2 영상을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포커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구강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제1 및 제2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신된 제1 영상에 포함된 치아 중 초점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한 초점마크를 생성하는 초점부; 및
    상기 생성된 초점마크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제1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전송된 제2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
  22.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KR1020170121078A 2017-09-20 2017-09-20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014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078A KR102014971B1 (ko) 2017-09-20 2017-09-20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078A KR102014971B1 (ko) 2017-09-20 2017-09-20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800A KR20190032800A (ko) 2019-03-28
KR102014971B1 true KR102014971B1 (ko) 2019-08-27

Family

ID=65908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078A KR102014971B1 (ko) 2017-09-20 2017-09-20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9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127B1 (ko) * 2020-08-14 2022-11-30 주식회사 메디트 구강 이미지 처리 장치 및 구강 이미지 처리 방법
KR102503652B1 (ko) 2022-11-16 2023-02-28 원태희 구강 촬영 카메라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8881A1 (de) * 2015-05-22 2016-12-01 Sirona Dental Systems Gmbh Verfahren und kamera zur dreidimensionalen vermessung eines dentalen objekt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581B1 (ko) * 2013-04-16 2019-12-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자동 포커싱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8881A1 (de) * 2015-05-22 2016-12-01 Sirona Dental Systems Gmbh Verfahren und kamera zur dreidimensionalen vermessung eines dentalen objek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800A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428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13708B1 (ko) 자동 초점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14971B1 (ko)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US11828847B2 (en) Distance measurement device, deriving method for distance measurement, and deriving program for distance measurement
KR101733553B1 (ko) 눈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JP6822445B2 (ja)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9033905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5001422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미지 촬영 방법
JP6404482B2 (ja) 測距装置、測距用制御方法、及び測距用制御プログラム
WO2017056543A1 (ja) 測距装置、測距方法、及び測距プログラム
WO2017038159A1 (ja) 測距装置、測距用制御方法、及び測距用制御プログラム
KR101920682B1 (ko) 길이측정 기능을 갖는 촬상장치
KR101998083B1 (ko)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JP6932828B2 (ja) 画像処理装置
US2018032871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590004B1 (ko) 레이저 빔을 이용한 물체의 치수 정보 획득 장치
US20150310767A1 (en) Wireless Typoscope
JP4732141B2 (ja) 赤外線送信装置および赤外線送信範囲表示方法
KR101822853B1 (ko) 눈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885513B1 (ko) 눈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JP7191521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20122486A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N116887785A (zh) 数据处理装置及数据处理方法
JP2014174342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