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912B1 -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912B1
KR102447912B1 KR1020210010140A KR20210010140A KR102447912B1 KR 102447912 B1 KR102447912 B1 KR 102447912B1 KR 1020210010140 A KR1020210010140 A KR 1020210010140A KR 20210010140 A KR20210010140 A KR 20210010140A KR 102447912 B1 KR102447912 B1 KR 102447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user
blinking
imag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7474A (ko
Inventor
김선호
임선택
김창룡
이준성
문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씨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씨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씨랩
Priority to KR1020210010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91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7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41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displa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1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examining the tear fil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or recording eye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3Detecting eye twink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Abstract

본 발명은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정된 사용자의 눈물막 파괴 시간을 기반으로 최적의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도출하고 도출된 눈 깜빡임 간격 주기에 맞춰 사용자가 눈 깜박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안구 손상 및 시력을 보호할 수 있는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Blinking training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정된 사용자의 눈물막 파괴 시간을 기반으로 최적의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도출하고 도출된 눈 깜빡임 간격 주기에 맞춰 사용자가 눈 깜박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안구 손상 및 시력을 보호할 수 있는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컴퓨터나 스마트폰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안구 질환이 큰 문제가 떠오르고 있다.
다양한 안구 질환 중 안구 건조증은 외부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 안구를 보호하는 눈물이 증발되어 생기는 질환으로, 일반적으로는 건조한 환경에서 주로 발생하나 최근에는 컴퓨터와 스마트폰으로 인한 발병율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 기기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는 시간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집중해서 사용할 경우 평상시와 달리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 줄어들고, 이로 인해 각막이 말라 있는 상태가 지속하게되어 눈물막이 파괴되고, 상처와 염증이 발생함으로써, 안구건조증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안구건조증을 예방하기 위해 KR10-2016-0006337과 KR 10-2096909 에는 사용자의 눈 깜빡임을 유도하는 컨텐츠 또는 영상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눈 깜빡임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하는 방법들이 개시되어 있으나, 개인마다 눈물막이 파괴되는 시간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방법들은 임의로 설정된 눈 깜빡임 간격 주기에 맞춰 사용자의 눈 깜빡임을 유도하기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KR10-2096909 B1 "사용자 시력 보호 및 스마트 폰 중독 예방을 위한 화면 표시 장치에서의 눈 깜빡임 유도 장치 및 방법" KR10-2016-0006337 A "사용자의 눈 깜빡임을 유도하는 유도 영상 표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제공하고, 제공된 눈 깜빡임 간격 주기에 맞춰 사용자의 눈 깜빡임을 유도하여 훈련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눈물막이 유지되게하여 안구 건조증과 같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 안구의 눈물막 상태를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형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생성하는 단계; 실시간으로 촬영된 사용자의 눈 영역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눈 영역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눈 깜빡임의 간격 주기(이하,"실시간 눈 깜빡임 간격 주기",이라함)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눈 깜빡임 간격 주기와 상기 사용자 맞춤형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 눈 깜빡임 간격 주기가 상기 사용자 맞춤형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초과할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알림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맞춤형 눈 깜빡인 간격 주기를 생성하는 단계;는 글자, 도형 또는 패턴을 갖는 영상(이하."형상 영상",이라함)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형상 영상이 출력되는 동안에 촬영된 사용자의 안구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안구 영상에 투영된 글자, 도형 또는 패턴의 변화를 분석하여 눈물막 파괴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눈물막 파괴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안구 영상의 첫번째 프레임의 화소를 기준으로 이후 프레임들의 화소 차이가 임계 화소값 이상인 프레임의 실제 시간을 눈물막 파괴 시간으로 측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눈 영역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이후에, 상기 눈 영역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눈 깜빡임의 상태(이하, "실시간 눈 깜빡임 상태",이라함)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눈 깜빡임 상태가 정상적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실시간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측정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눈 깜빡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눈 깜빡임을 정상, 불완전 및 비정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이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스마트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링킹 트레이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눈 주변을 촬영할 수 있고,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링킹 트레이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의 눈물막이 파괴되는 시간을 기반으로 최적의 눈 깜빡임 주기를 설정하고, 설정된 최적의 눈 깜빡임 간격 주기에 따라 사용자의 눈 깜빡임을 유도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으로 눈물막 생성을 유지할 수 있어 안구 건조증과 같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링킹 트레이닝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의 전체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의 상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 깜빡임 상태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은 사용자의 눈물막이 파괴되는 시간을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도출하여, 도출된 사용자 맞춤형 눈 깜빡임 간격 주기에 맞춰 사용자가 눈 깜빡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눈물막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안구 건조증과 같은 안구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컴퓨터에는 상기 컴퓨터를 기능시켜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이 카메라가 탑재된 스마트 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 기기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하는 광의의 컴퓨팅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는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별도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기록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어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록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자기 및 광 기록을 겸할 수 있는 자기-광 기록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 단독 또는 조합에 의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이 단독 또는 조합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일 수 있고,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로 짜여진 프로그램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링킹 트레이닝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11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여 사용자의 눈 주변을 촬영할 수 있고,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이헤드 마운트 디스플레(120)와 함께 하나의 블링킹 트레이닝 시스템(10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서버(110)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함께 하나의 블링킹 트레이닝 시스템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헤드 마운트 디스플레(120)와 상기 카메라는 상기 서버(110)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10)을 전송하거나 상기 서버(110)로부터 영상 또는 음성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은 사용자 맞춤형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생성하는 단계(1000),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눈 영역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2000), 사용자의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측정하는 단계(3000), 상기 사용자의 눈 깜빡임 간격 주기와 상기 사용자 맞춤형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비교하는 단계(4000) 및 알림 단계(5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은 먼저, 상기 사용자 맞춤형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생성한다(S1000).
한편, 개인마다 눈물막이 유지되는 시간과 생성된 눈물막의 두께가 달라 임의로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설정하고 사용자의 눈 깜빡임을 유도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불필요한 눈 깜빡임을 수행하거나, 사용자가 눈물막이 파괴되어 건조된 후에 눈 깜빡임을 수행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눈물막이 파괴 되는 시간(이하,"눈물막 파괴 시간"이라함)을 측정하여 사용자에 최적화된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먼저, 다양한 형상을 갖는 영상(이하, "형상 영상" 이라함)을 출력한다(S1100).
여기서 상기 형상은 글자, 도형 또는 패턴 등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출력된다.
다음, 상기 형상 영상이 출력되는 동안에 촬영된 사용자의 안구 영상을 입력받는다(S1200).
이때, 상기 안구 영상은 상기 형상 영상이 사용자의 각막에 반사된 영상으로 상기 안구 영상은 스마트 기기, 카메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 이 등을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신체 영상으로부터 눈 영역 중 안구 영역만을 검출한 영상으로 공지된 다양한 안구 검출 알고리즘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 입력된 안구 영상에 투영된 형상의 변화를 분석하여 눈물막 파괴 시간을 측정한다(S1300).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안구에 투영된 상기 형상은 눈물막이 유지된 상태에서는 변화가 없이 원래 형태를 유지하나, 눈물막이 파괴되는 시점부터는 형상이 변형하거나 깨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구 영상이 입력되는 첫 프레임을 기준으로, 이후 프레임 중 사용자 안구에 투영된 형상이 변형되거나 깨지는 프레임의 실제 시간을 눈물막 파괴 시간으로 측정한다.
한편, 상기 형상이 변형되거나 깨지는 것에 대한 판단은 영상처리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안구 영상의 첫번째 프레임과의 이후 프레임들 중 화소 차이가 임계 화소값 이상인 프레임을 검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외에도, 화소값을 기반으로 하는 히스토그램 등을 이용하여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형상이 변형되거나 깨지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다음, 측정된 눈물막 파괴 시간의 이전에 사용자가 눈 깜빡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맞춤형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생성한다(S1400).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맞춤형 눈 깜빡임 간격 주기는 아래의 수학식 1에서안구보호지수(Ocular Protection Index, OPI)가 1.0보다 크도록 설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1009504375-pat00001
상기 안구보호지수(OPI)는 안구 표면의 눈물막 파괴 시간을 눈 깜빡임 사이의 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1.0을 넘지 않으면 눈을 깜빡여 새로운 눈물을 공급하기 전에 눈물막이 파괴되어 마르는 상태가 발생하여 안구 건조증이 발생할 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맞춤형 눈 깜빡임 간격 주기는 상기 안구보호지수(OPI)가 1.0보다 크도록 상기 눈 깜빡임 간격 주기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의 눈 깜빡임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의 안구 상태인 즉 눈물막이 유지되는 시간을 고려하지 않은 정형화된 눈 깜빡임 간격을 설정 및 제공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의 눈물막이 유지되는 시간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사용자 맞춤형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설정 및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맞춤형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생성한 후에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눈 영역 영상을 입력받는다(S2000).
이때, 상기 사용자 눈 영역 영상은 스마트 기기, 카메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10)으로부터 눈 영역만을 검출한 영상으로 공지된 다양한 눈 영역 검출 알고리즘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눈 영역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눈 깜빡임 간격 주기(이하, "실시간 눈 깜빡임 간격 주기",이라함)를 측정한다(S3000).
한편, 상기 실시간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측정하기 전에,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눈 깜빡임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S2500).
상세하게는 눈물막은 점액 성분으로 각막과 결막을 얇게 덮어 눈물막이 안구 표면에 고정되도록 기능하는 점액층, 눈물샘에서 생성되며 안구를 적셔 편안하게 하고 먼지, 이물, 세균 등을 씻어 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분층 및 마이봄샘에서 만들어지며 수분층의 수분 증발을 막는 기름층으로 이루어지는데 안구 표면에 눈물막이 형성되고 유지되기 위해서는 눈을 감고 뜰 때 윗 눈꺼풀과 아래 눈꺼풀이 충분히 맞닿아 마이봄샘으로부터 생성되는 지방물질이 안구 표면에 골고루 퍼지도록해야 눈물막이 유지된다.
따라서, 눈을 덜 감거나 찡그리는 표정 등 잘못된 눈 깜빡임 동작으로는 눈물막이 정상적으로 생성 및 유지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눈 깜빡임의 상태를 판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 깜빡임 상태들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눈 깜빡임의 상태는 정상(a), 불완전(b) 및 비정상(c)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상기 눈 영역 영상으로부터 상기 실시간 눈 깜빡임 상태를 판단하여 눈 깜빡임 상태가 정상(a)일 경우에는 상기 실시간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측정하는 과정(S3000)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 눈 깜빡임의 상태 중 정상(a)의 경우 눈을 감고 뜰 때 윗 눈꺼풀과 아래 눈 꺼풀이 충분히 맞닿으면서 수행되는 것을 의미하며, 불완전(b)의 경우 눈을 을 감고 뜰 때 윗 눈 꺼풀하고 아래 눈 꺼풀이 맞닿지 않고 수행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비정상(c)의 경우는 눈을 감고 뜰 때 눈 주변의 인상을 찌푸리리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눈 깜빡임의 상태는 상기 눈 영역 영상으로부터 다양한 영상 처리 알고리즘, 딥러닝 등을 수행하여 분류될 수 있고, 방법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눈 깜빡임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눈 깜빡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만 사용자의 눈 깜빡임 간격 주기가 측정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실시간 눈 깜빡임 간격 주기와 상기 사용자 맞춤형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비교한다(S4000).
이때, 상기 실시간 눈 깜빡임 간격 주기가 상기 사용자 맞춤형 눈 깜빡임 간격 주기 이하에 해당될 경우 눈 깜빡임 간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실시간 눈 깜빡임 간격 주기가 상기 사용자 맞춤형 눈 깜빡임 간격 주기보다 초과일 경우 비정상으로 판단한다.
다음, 상기 실시간 눈 깜빡임 상태 분류 결과와 상기 실시간 눈 깜빡임 간격 주기와 상기 사용자 맞춤형 눈 깜빡임 간격 주기의 비교에 대한 알림을 수행한다(S5000).
상세하게는 상기 사용자의 눈 깜빡임의 상태가 비정상 또는 불완전하고, 눈 깜빡임 간격 주기가 비정상일 경우 눈 깜빡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경고하거나 유도할 수 있는 알림이 제공된다.
또한, 도시하진 않았으나 반대로 상기 사용자의 눈 깜빡임 상태와 눈 깜빡임 간격 주기가 정상일 경우 사용자가 올바른 눈 깜빡임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에 대한 알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은 소리, 문자, 그림 또는 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중 두 가지 이상이 동시에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 맞춤형 눈 깜빡임 간격 주기에 맞춰 사용자의 눈 깜빡임을 유도하여 훈련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눈물막이 유지되게하여 안구 건조증과 같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0:블링킹 트레이닝 시스템 110:서버
120: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Claims (9)

  1. 사용자 안구의 눈물막 상태를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형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생성하는 단계;
    실시간으로 촬영된 사용자의 눈 영역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눈 영역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눈 깜빡임의 간격 주기(이하,"실시간 눈 깜빡임 간격 주기",이라함)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눈 깜빡임 간격 주기와 상기 사용자 맞춤형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 눈 깜빡임 간격 주기가 상기 사용자 맞춤형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초과할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알림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맞춤형 눈 깜빡인 간격 주기를 생성하는 단계;는
    글자, 도형 또는 패턴을 갖는 영상(이하."형상 영상",이라함)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형상 영상이 출력되는 동안에 촬영된 사용자의 안구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안구 영상에 투영된 글자, 도형 또는 패턴의 변화를 분석하여 눈물막 파괴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눈물막 파괴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안구 영상의 첫번째 프레임의 화소를 기준으로 이후 프레임들의 화소 차이가 임계 화소값 이상인 프레임의 실제 시간을 눈물막 파괴 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눈 영역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이후에,
    상기 눈 영역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눈 깜빡임의 상태(이하, "실시간 눈 깜빡임 상태",이라함)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눈 깜빡임 상태가 정상적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실시간 눈 깜빡임 간격 주기를 측정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눈 깜빡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눈 깜빡임을 정상, 불완전 및 비정상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
  6. 컴퓨터와 결합하여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7. 상기 제 6 항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스마트 기기
  8.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 6 항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링킹 트레이닝 시스템.
  9.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눈 주변을 촬영할 수 있고,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6 항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링킹 트레이닝 시스템.


KR1020210010140A 2021-01-25 2021-01-25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 KR102447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140A KR102447912B1 (ko) 2021-01-25 2021-01-25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140A KR102447912B1 (ko) 2021-01-25 2021-01-25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474A KR20220107474A (ko) 2022-08-02
KR102447912B1 true KR102447912B1 (ko) 2022-09-27

Family

ID=82845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140A KR102447912B1 (ko) 2021-01-25 2021-01-25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9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909B1 (ko) 2018-10-08 2020-04-03 반형철 사용자 시력 보호 및 스마트 폰 중독 예방을 위한 화면 표시 장치에서의 눈깜빡임 유도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553B1 (ko) * 2013-07-09 2017-05-24 안성욱 눈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253444B1 (ko) 2014-07-08 2021-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사용자의 눈 깜빡임을 유도하는 유도 영상 표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964637B1 (ko) * 2017-07-17 2019-04-02 최한나 눈피로 및 눈건조를 예방하는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동작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909B1 (ko) 2018-10-08 2020-04-03 반형철 사용자 시력 보호 및 스마트 폰 중독 예방을 위한 화면 표시 장치에서의 눈깜빡임 유도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474A (ko)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5698B2 (ja) 眼部検出装置、眼部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11289B2 (en) Face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and apparatus
WO2018049952A1 (zh) 一种照片获取方法及装置
US10528849B2 (en) Liveness detection method, liveness detection system, and liveness detection device
KR102286468B1 (ko) 딥 러닝을 통해 생성된 가짜 동영상의 무결성 검증 방법 및 시스템
Lee et al. Blink detection robust to various facial poses
JP4307496B2 (ja) 顔部位検出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5158087A1 (zh) 一种检测人眼健康状态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Kurylyak et al. Detection of the eye blinks for human's fatigue monitoring
CN111353404B (zh) 一种人脸识别方法、装置及设备
CN106997452B (zh) 活体验证方法及装置
WO2018218839A1 (zh) 一种活体识别方法和系统
CN101430576A (zh) 眼睛防护警示装置及眼睛防护警示方法
US95016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blink
TWI498857B (zh) 瞌睡提醒裝置
WO2020121425A1 (ja) 状態判定装置、状態判定方法、及び状態判定プログラム
JP2007072627A (ja) サングラス検出装置及び顔中心位置検出装置
WO2017101226A1 (zh) 一种判断用户视力疲劳的方法及装置
TW201737237A (zh) 電子裝置、螢幕調節系統及方法
JP5362405B2 (ja) 瞳孔計測装置、瞳孔計測方法ならびに瞳孔計測プログラム
CN111259757B (zh) 一种基于图像的活体识别方法、装置及设备
KR100727935B1 (ko) 이미지 보정 방법 및 장치
TW201828897A (zh) 偵測眼睛疲勞的方法
TWI466070B (zh) 眼睛搜尋方法及使用該方法的眼睛狀態檢測裝置與眼睛搜尋裝置
KR102447912B1 (ko) 블링킹 트레이닝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