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764B1 - C형 단면 래핑 와이어 및 그것을 사용한 케이블 래핑 구조와 방법 - Google Patents

C형 단면 래핑 와이어 및 그것을 사용한 케이블 래핑 구조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764B1
KR101396764B1 KR1020137018897A KR20137018897A KR101396764B1 KR 101396764 B1 KR101396764 B1 KR 101396764B1 KR 1020137018897 A KR1020137018897 A KR 1020137018897A KR 20137018897 A KR20137018897 A KR 20137018897A KR 101396764 B1 KR101396764 B1 KR 101396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ping
section
layer
shaped cross
mai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8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7060A (ko
Inventor
츠요시 구사나기
Original Assignee
유우겐가이샤 솔라나 테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우겐가이샤 솔라나 테크노 filed Critical 유우겐가이샤 솔라나 테크노
Publication of KR20130087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8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the layers of which are formed of profiled interlocking wires, i.e. the strands forming concentric layers
    • D07B1/10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the layers of which are formed of profiled interlocking wires, i.e. the strands forming concentric layers with a core of wires arranged parallel to the centre lin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02Machine details; Auxiliary devices
    • D07B7/14Machine details; Auxiliary devices for coating or wrapping ropes, cables, or component strand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01Wires or filaments
    • D07B2201/2002Wires or fila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ross-sectional shap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83Jackets or coverings
    • D07B2201/2089Jackets or coverings comprising wrapped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주 케이블(1)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래핑 와이어이며, 단면이 대략 C형이며, C형 단면의 개구측을 주 케이블(1)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래핑 와이어(2)끼리를 인접시켜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제1층과, 상기 제1층 상에 C형 단면의 개구측을 주 케이블(1)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래핑 와이어(3)끼리를 인접시켜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제2층을 형성하도록 권취되고, 래핑 와이어(2, 3)가 절반 피치 어긋난 상태에서, C형 단면의 아암부의 내측면(4a, 5a)이 주 케이블(1)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되어 주 케이블(1)의 축 방향으로 서로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C형 단면 래핑 와이어, 및 그것을 사용한 케이블 래핑 구조와 방법. Z형 단면의 래핑 와이어를 사용하는 경우의 문제를 모두 해소할 수 있고, 래핑 와이어 자체의 제조의 용이화, 저비용화, 래핑 머신의 구조 간소화, 소형화, 저비용화가 가능해진다.

Description

C형 단면 래핑 와이어 및 그것을 사용한 케이블 래핑 구조와 방법{WRAPPING WIRE WITH C-SHAPED CROSS-SECTION, AND CABLE WRAPPING STRUCTURE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 케이블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단면이 대략 C형인 래핑 와이어, 및 그 C형 단면 래핑 와이어를 사용한 케이블 래핑 구조와 케이블 래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금속선을 평행하게 수렴한 굵은 케이블(본원에서는, 주 케이블이라 함. 예를 들어 현수교 케이블)에 대하여, 내부로의 물 등의 진입을 방지하여 방식 대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주 케이블의 외주에 래핑 와이어를 간극 없이 긴밀하게 나선형으로 권취하는 것이 유효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원형 단면의 래핑 와이어를 사용한 구조의 경우, 주 케이블이, 그 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의 변동을 받거나, 열팽창에 수반하는 신축을 반복함으로써,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있는 래핑 와이어끼리의 접촉부에 간극이 발생하고, 그 간극을 통해, 혹은 그 간극 발생에 기인하여 권취 래핑 와이어의 외측에 실시된 후막 도장에 균열이 발생하고, 그 균열 틈을 통해, 빗물 등이 진입하여, 방식 성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대략 Z형 단면의 래핑 와이어를 사용하는 현수교 케이블의 래핑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이 케이블 래핑 구조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금속선(101)을 평행하게 수렴한 주 케이블(102)(현수교 케이블)의 외주에, 좌우 양측에 갈고리형의 결합부(103, 104)를 형성한 대략 Z형 단면의 래핑 와이어(105)를, 결합부(103, 104)에 있어서의 돌기의 내측을 비스듬히 형성하여 돌기끼리를 밀착시켜 결합시킨 상태에서 나선형으로 권취해 간다. 이 케이블 래핑 구조에 의해, 인접하는 대략 Z형 단면의 권취 래핑 와이어(105)끼리가, 서로 결합하므로, 교량 하중의 변동이나 열팽창에 의한 신축의 반복에 수반하는 간극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래핑 와이어(105)의 외면에 실시된 후막 도장(106)에 균열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일본 특허 제2986288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대략 Z형 단면의 래핑 와이어를 사용한 케이블 래핑 구조는, 방식 성능 개선의 면에서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래핑 와이어 자체의 제조의 용이화, 저비용화, 래핑 시 등의 문제의 발생 방지, 래핑 머신의 구조 간소화, 소형화, 저비용화의 면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남겨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대략 Z형 단면의 래핑 와이어의 단면 형상은, 통상, 롤 압연에 의해 형성하지만, 좌우 양측에 갈고리형의 결합부를 갖는 좌우 비대칭의 단면 형상이므로, 압연 롤의 형상이 비교적 복잡하게 될 수 밖에 없다. 그로 인해, 롤의 제작 비용 등을 포함하는 래핑 와이어의 제조 비용의 저감에 한계가 발생하는 동시에, 래핑 와이어의 제조 자체의 용이화에도 문제가 남게 된다. 또한, 래핑 와이어의 표면에는, 통상, 방청 처리로서 용융 아연 도금 등의 도금이 실시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돌기의 돌출 방향이 서로 역방향으로 되는 갈고리형의 결합부를 좌우 양측에 갖는 대략 Z형 단면 형상에서는, 어느 한쪽의 갈고리형 결합부에 도금 저류 등의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대략 Z형 단면의 래핑 와이어는, 그 단면 형상으로부터, 1개 권취 2개 권취에 관계없이, 와이어가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갈 때에, 인접하여 다음에 권취되는 와이어가 직전에 권취된 와이어 상에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권취되어 가므로, 와이어가 용융 아연 도금되어 있는 경우도 있어, 와이어끼리의 마찰력이 원인으로, 권취 장력이 작으면 차례로 권취되어 가는 와이어의 체결이 나빠지고, 서서히 권취 직경이 커지기 쉽다. 그 결과, 권취된 와이어가 나팔 형상으로 팽창되어 주 케이블로부터 부상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종래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어느 일정 이상의 강한 장력으로 권취해 가도록 하고 있지만, 와이어의 단면 형상적으로, 문제의 발생의 우려를 완전하게 불식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통상, 래핑 머신은, 주 케이블 상에 걸치도록 설치되지만, 권취 장력의 반력이 머신에 작용하므로 래핑 머신에는 항상 주 케이블을 중심으로 하는 토크(모멘트)가 가해지고, 그것이 머신을 전도시키려고 하는 힘으로 된다. 실제로는 전도 방지를 위해, 다양한 대책이 채용되고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권취 장력을 어느 정도 크게 할 수 밖에 없으므로, 전도 방지를 위한 반력 대책도 비교적 복잡한 구조에서 대규모의 것으로 되고, 래핑 머신이 비교적 고가의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래핑 와이어의 권취를 위해 래핑 머신에는 모터를 탑재하지만, 권취 장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모터 용량도 크게 될 수 밖에 없고, 이 면으로부터도 래핑 머신의 저비용화가 어려운 상황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권취 장력을 어느 정도 크게 할 수 밖에 없고, 래핑 와이어에는 어느 일정 이상의 장력을 가할 필요가 있으므로, 와이어 권취 시의 단선 방지를 위해서는, 와이어 단면적을 그다지 작게는 할 수 없다. 따라서, 와이어 제조에 사용하는 재료량의 저감에도 한계가 발생하게 되고, 이 면으로부터의 저비용화도 어렵다고 하는 것이 실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현상에 있어서의 문제점, 특히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대략 Z형 단면의 래핑 와이어를 사용한 케이블 래핑 구조에 있어서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조에 비해, 래핑 와이어 자체의 제조의 용이화, 저비용화, 래핑 시 등의 문제의 발생 방지, 래핑 머신의 구조 간소화, 소형화, 저비용화가 가능한, C형 단면 래핑 와이어 및 그것을 사용한 케이블 래핑 구조와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C형 단면 래핑 와이어는, 다수의 금속선을 평행하게 수렴한 주 케이블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래핑 와이어이며, 단면이 대략 C형이며, 상기 대략 C형 단면의 개구측을 주 케이블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래핑 와이어끼리를 인접시켜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제1층과, 상기 제1층 상에 상기 대략 C형 단면의 개구측을 주 케이블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래핑 와이어끼리를 인접시켜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제2층을 형성하도록 권취되고, 상기 제1층의 권취 래핑 와이어와 상기 제2층의 권취 래핑 와이어가 주 케이블의 축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절반 피치 어긋난 상태에서, 한쪽의 권취 래핑 와이어의 상기 대략 C형 단면의 아암부의 내측면과 다른 쪽의 권취 래핑 와이어의 상기 대략 C형 단면의 아암부의 내측면이 주 케이블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되어 주 케이블의 축 방향으로 서로 결합하도록, 상기 대략 C형 단면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C형 단면 래핑 와이어를 사용한 케이블 래핑 구조는, 단면이 대략 C형으로 형성된 래핑 와이어를, 다수의 금속선을 평행하게 수렴한 주 케이블의 외주에 상기 대략 C형 단면의 개구측을 주 케이블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래핑 와이어끼리를 인접시켜 나선형으로 권취한 제1층과, 상기 제1층 상에 상기 래핑 와이어의 대략 C형 단면의 개구측을 주 케이블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래핑 와이어끼리를 인접시키고 또한 상기 제1층의 권취 래핑 와이어에 대하여 주 케이블의 축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절반 피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나선형으로 권취한 제2층을 갖고, 주 케이블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된 제1층의 권취 래핑 와이어의 상기 대략 C형 단면의 아암부의 내측면과 제2층의 권취 래핑 와이어의 상기 대략 C형 단면의 아암부의 내측면이 주 케이블의 축 방향으로 서로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C형 단면 래핑 와이어 및 그것을 사용한 케이블 래핑 구조에 있어서는, 래핑 와이어의 표면에 방청 등을 위해 도금이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금으로서는,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는 용융 아연 도금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관한 C형 단면 래핑 와이어 및 그것을 사용한 케이블 래핑 구조에 있어서는, 주 케이블의 외주에, 상기 제1층을 형성하는 C형 단면 래핑 와이어와, 상기 제2층을 형성하는 C형 단면 래핑 와이어가, C형 단면의 개구측을 대향시킨 형태에서 나선형으로 겹쳐 권취되고, 제1층의 권취 래핑 와이어의 C형 단면의 아암부와 제2층의 권취 래핑 와이어의 C형 단면의 아암부가, 그들의 내측면끼리 서로 결합하여, 제1층에 있어서의 인접 래핑 와이어끼리 및 제2층에 있어서의 인접 래핑 와이어끼리가, 주 케이블의 축 방향으로 밀접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층의 인접 래핑 와이어는, 제2층의 래핑 와이어에 의해, 제2층의 인접 래핑 와이어는, 제1층의 래핑 와이어에 의해, 각각, 밀접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이 밀접 상태의 유지는, 주 케이블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동이나, 주 케이블의 열팽창에 수반하는 신축과는 무관하게 달성 가능하므로, 제1층, 제2층 모두, 간극이 발생하지 않는 목표로 하는 래핑 형태로 유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래핑 와이어의 단면 형상이 대략 C형 단면이며, 이 C형 단면 형상은 단면에 있어서 용이하게 좌우 대칭 형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특허문헌 1에 있어서의 Z형 단면의 와이어에 비해, 형상이 심플하며, 제조하기 쉽고, 또한, 염가에 제조할 수 있다. 롤 압연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도, 압연 롤의 형상을 Z형 단면의 경우보다도 심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C형 단면에 있어서는 좌우의 아암부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게 되므로, 용융 아연 도금 등을 실시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단면 형상적으로 도금 저류 등의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제1층, 제2층의 각각에 있어서, C형 단면 래핑 와이어는, 인접 와이어끼리가 부분적으로 오버랩하는 일 없이, 외측면끼리가 밀접한 상태에서 인접 배치되게 되므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조와 같이 인접 와이어끼리가 부분적으로 오버랩하여 권취된 와이어가 나팔 형상으로 팽창되어 주 케이블로부터 부상해 버리는 상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작은 권취 장력이라도, Z형 단면 래핑 와이어에 있어서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는 전혀 없다.
또한, 권취 장력이 작아도 되므로, 래핑 머신에 작용하는 권취 장력의 반력도 작아져, 머신의 전도 방지를 위한 반력 대책도 비교적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그 결과적으로, 머신도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머신보다도 염가에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래핑 장력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의 단면적을 작게 해도 단선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래핑 와이어 제조에 사용하는 재료량을 종래보다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이 면으로부터도, 종래의 Z형 단면 와이어보다도 염가에 제조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케이블 래핑 방법에 대해서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관한 C형 단면 래핑 와이어를 사용한 케이블 래핑 방법은, 단면이 대략 C형으로 형성된 래핑 와이어를, 다수의 금속선을 평행하게 수렴한 주 케이블의 외주에 상기 대략 C형 단면의 개구측을 주 케이블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래핑 와이어끼리를 인접시켜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제1층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층 상에 상기 래핑 와이어의 대략 C형 단면의 개구측을 주 케이블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래핑 와이어끼리를 인접시키고 또한 상기 제1층의 권취 래핑 와이어에 대하여 주 케이블의 축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절반 피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제2층을 형성하고, 주 케이블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된 제1층의 권취 래핑 와이어의 상기 대략 C형 단면의 아암부의 내측면과 제2층의 권취 래핑 와이어의 상기 대략 C형 단면의 아암부의 내측면을 주 케이블의 축 방향으로 서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 C형 단면 래핑 와이어를 사용한 케이블 래핑 방법에 있어서는, 제1층의 래핑 와이어와 제2층의 래핑 와이어를 1대의 래핑 머신으로 주 케이블에 권취해 갈 수 있다. 즉, 제1층의 래핑 와이어를 권취한 직후에 제2층의 래핑 와이어를 순차적으로 권취해 갈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제1층, 제2층을 필요로 하는 래핑 형태에 있어서도, 래핑 시간 등이 특별히 증가하는 일은 없고, 용이하게 래핑을 진행시켜 가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C형 단면 래핑 와이어 및 그것을 사용한 케이블 래핑 구조와 방법에 따르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대략 Z형 단면의 래핑 와이어를 사용한 케이블 래핑 구조에 있어서의 문제를 실질적으로 모두 해소할 수 있고, 래핑 와이어 자체의 제조의 용이화, 저비용화, 래핑 시 등의 문제의 발생 방지, 래핑 머신의 구조 간소화, 소형화, 저비용화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C형 단면 래핑 와이어를 사용한 케이블 래핑 구조 및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케이블 래핑 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케이블 래핑 구조에 있어서의 제1층과 제2층의 C형 단면 래핑 와이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대략 Z형 단면의 래핑 와이어를 사용한 케이블 래핑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C형 단면 래핑 와이어, 그것을 사용한 케이블 래핑 구조 및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다수의 금속선(1a)을 평행하게 수렴한 주 케이블을 나타내고 있고, 주 케이블(1)의 외주에, 본 발명에 관한 C형 단면 래핑 와이어가, 주 케이블(1)의 직경 방향 내측의 제1층을 형성하는 C형 단면 래핑 와이어(2), 직경 방향으로 상기 제1층의 외측의 제2층을 형성하는 C형 단면 래핑 와이어(3)로서, 1대의 래핑 머신(도시 생략)에 의해, 순차적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간다. 이들 래핑 와이어(2, 3)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각각, 단면이 대략 C형이며, 상기 대략 C형 단면의 개구측을 대향시켜 권취되어 간다. 즉, 대략 C형 단면의 개구측을 주 케이블(1)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래핑 와이어(2)끼리가 인접되어 나선형으로 권취됨으로써 제1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층 상에, 제1층의 래핑 와이어(2)에 대하여 절반 피치 어긋난 상태에서, 대략 C형 단면의 개구측을 주 케이블(1)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래핑 와이어(3)끼리가 인접되어 나선형으로 권취됨으로써 제2층이 형성된다. 래핑 와이어(2, 3)의 표면에는, 방청 등을 위해, 예를 들어 용융 아연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층의 권취 래핑 와이어(2)와, 제2층의 권취 래핑 와이어(3)가 주 케이블(1)의 축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절반 피치 어긋난 상태에서 권취되고, 권취된 상태에서는, 한쪽의 권취 래핑 와이어, 예를 들어 래핑 와이어(2)의 대략 C형 단면의 아암부의 내측면(4a)과, 다른 쪽의 권취 래핑 와이어, 예를 들어 래핑 와이어(3)의 대략 C형 단면의 아암부의 내측면(5a)이, 주 케이블(1)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 아암부의 내측면(4a, 5a)이 주 케이블(1)의 축 방향으로 서로 결합하도록, 대략 C형 단면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제1층, 제2층 모두, 대략 C형 단면 형상의 개구부를 동일한 방향을 향해[제1층에서는, 주 케이블(1)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제2층에서는, 주 케이블(1)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래핑 와이어(2, 3)가 권취되어 가므로, 주 케이블(1)의 외주 상에서 인접 배치되는 래핑 와이어(2, 3)는, 각각, 동일한 권취 자세로 인접하게 된다. 그리고 인접 래핑 와이어(2)끼리 및 인접 래핑 와이어(3)끼리에는 오버 래핑 부위는 없고,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절반 피치 어긋난 상태에서 권취되므로, 인접 래핑 와이어(2)끼리 및 인접 래핑 와이어(3)끼리는, 대략 C형 단면의 아암부의 외측면(4b)끼리 및 외측면(5b)끼리 밀접한 상태에서 인접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제1층의 래핑 와이어(2)가 권취된 직후에, 제2층의 래핑 와이어(3)가, 래핑 와이어(2)의 대략 C형 단면의 아암부의 경사면에 형성된 내측면(4a)에, 래핑 와이어(3)의 대략 C형 단면의 아암부의 경사면에 형성된 내측면(5a)이 결합하도록 권취되어 가므로, 래핑 와이어(3)는, 인접 래핑 와이어(2)끼리를 서로 끌어당겨 외측면(4b)끼리를 밀접시키도록, 겹쳐 권취되어 간다. 동시에, 그때에 래핑 와이어(2)측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의해, 인접 래핑 와이어(3)끼리도 서로 끌어당겨지고, 외측면(5b)끼리가 밀접된다. 따라서, 대략 C형 단면 래핑 와이어(2, 3)를 순차적으로 소정의 형태에서 겹쳐 권취해 가는 것만으로, 실질적으로 자동적으로, 인접 래핑 와이어(2)끼리간 및 인접 래핑 와이어(3)끼리간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 각 래핑 와이어(2, 3)가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가게 되어, 이상적인 래핑 구조가 극히 용이하게 얻어지게 된다.
이 래핑 구조에 있어서는, 특히 외측의 제2층의 인접 래핑 와이어(3)간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그 외측에 용이하게 원하는 후막 도장(도시 생략)을 실시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도, 인접 배치되어 있는 래핑 와이어(2) 및 그것에 결합되어 있는 인접 배치된 래핑 와이어(3)는, 기본적으로 주 케이블(1)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동이나, 열팽창에 기인하는 주 케이블(1)의 신축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래핑 구조가 무너지는 일은 없이 원하는 래핑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고, 따라서 그 위에 실시되어 있는 후막 도장에 균열이 발생하는 일도 없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래핑 와이어(2, 3)는, 심플한 대략 C형 단면 형상이므로, 특허문헌 1의 Z형 단면의 와이어에 비해 제조하기 쉽고, 또한, 염가에 제조할 수 있다. 롤 압연에 의한 제조에 있어서의 압연 롤도, 심플하며 염가에 제작할 수 있다. 용융 아연 도금 등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도금 저류 등의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층, 제2층 모두, 인접 와이어끼리가 부분적으로 오버랩하여 권취된 와이어가 나팔 형상으로 팽창되어 주 케이블(1)로부터 부상해 버리는 상태의 발생은 확실하게 회피된다. 따라서, 권취 장력은 작아지게 된다. 그 결과, 래핑 머신에 작용하는 권취 장력의 반력도 작아지므로, 머신 전도 방지를 위한 반력 대책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래핑 머신도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보다 염가에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래핑 장력을 작게 할 수 있는 결과, 와이어의 단면적을 작게 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래핑 와이어 제조에 사용하는 재료량을 저감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C형 단면 래핑 와이어와 케이블 래핑 구조, 방법은, 주 케이블로의 래핑이 요구되는 모든 분야에 적용 가능하며, 특히 현수교 케이블의 래핑에 최적의 것이다.
1 : 주 케이블
1a : 금속선
2 : 제1층을 형성하는 C형 단면 래핑 와이어
3 : 제2층을 형성하는 C형 단면 래핑 와이어
4a, 5a : C형 단면의 아암부의 내측면
4b, 5b : C형 단면의 아암부의 외측면

Claims (6)

  1. 다수의 금속선을 평행하게 수렴한 주 케이블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래핑 와이어이며, 단면이 C형이며, 상기 C형 단면의 개구측을 주 케이블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래핑 와이어끼리를 인접시켜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제1층과, 상기 제1층 상에 상기 C형 단면의 개구측을 주 케이블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래핑 와이어끼리를 인접시켜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제2층을 형성하도록 권취되고, 상기 제1층의 권취 래핑 와이어와 상기 제2층의 권취 래핑 와이어가 주 케이블의 축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절반 피치 어긋난 상태에서, 한쪽의 권취 래핑 와이어의 상기 C형 단면의 아암부의 내측면과 다른 쪽의 권취 래핑 와이어의 상기 C형 단면의 아암부의 내측면이 주 케이블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되어 주 케이블의 축 방향으로 서로 결합하도록, 상기 C형 단면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형 단면 래핑 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표면에 도금이 실시되어 있는, C형 단면 래핑 와이어.
  3. 단면이 C형으로 형성된 래핑 와이어를, 다수의 금속선을 평행하게 수렴한 주 케이블의 외주에 상기 C형 단면의 개구측을 주 케이블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래핑 와이어끼리를 인접시켜 나선형으로 권취한 제1층과, 상기 제1층 상에 상기 래핑 와이어의 C형 단면의 개구측을 주 케이블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래핑 와이어끼리를 인접시키고 또한 상기 제1층의 권취 래핑 와이어에 대하여 주 케이블의 축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절반 피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나선형으로 권취한 제2층을 갖고, 주 케이블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된 제1층의 권취 래핑 와이어의 상기 C형 단면의 아암부의 내측면과 제2층의 권취 래핑 와이어의 상기 C형 단면의 아암부의 내측면이 주 케이블의 축 방향으로 서로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형 단면 래핑 와이어를 사용한 케이블 래핑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핑 와이어의 표면에 도금이 실시되어 있는, C형 단면 래핑 와이어를 사용한 케이블 래핑 구조.
  5. 단면이 C형으로 형성된 래핑 와이어를, 다수의 금속선을 평행하게 수렴한 주 케이블의 외주에 상기 C형 단면의 개구측을 주 케이블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래핑 와이어끼리를 인접시켜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제1층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층 상에 상기 래핑 와이어의 C형 단면의 개구측을 주 케이블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래핑 와이어끼리를 인접시키고 또한 상기 제1층의 권취 래핑 와이어에 대하여 주 케이블의 축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절반 피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제2층을 형성하고, 주 케이블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된 제1층의 권취 래핑 와이어의 상기 C형 단면의 아암부의 내측면과 제2층의 권취 래핑 와이어의 상기 C형 단면의 아암부의 내측면을 주 케이블의 축 방향으로 서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형 단면 래핑 와이어를 사용한 케이블 래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제1층의 래핑 와이어와 제2층의 래핑 와이어를 1대의 래핑 머신으로 주 케이블에 권취해 가는, C형 단면 래핑 와이어를 사용한 케이블 래핑 방법.
KR1020137018897A 2010-12-21 2010-12-21 C형 단면 래핑 와이어 및 그것을 사용한 케이블 래핑 구조와 방법 KR101396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72963 WO2012086007A1 (ja) 2010-12-21 2010-12-21 C形断面ラッピングワイヤおよびそれを用いたケーブルラッピング構造と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060A KR20130087060A (ko) 2013-08-05
KR101396764B1 true KR101396764B1 (ko) 2014-05-16

Family

ID=4631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8897A KR101396764B1 (ko) 2010-12-21 2010-12-21 C형 단면 래핑 와이어 및 그것을 사용한 케이블 래핑 구조와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657407B1 (ko)
KR (1) KR101396764B1 (ko)
CN (1) CN103282584B (ko)
WO (1) WO20120860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4515A (zh) * 2014-04-11 2014-07-16 浙江省交通规划设计研究院 一种悬索桥主缆的防护钢丝
KR101632900B1 (ko) * 2015-04-02 2016-06-23 고려제강 주식회사 내부식성이 우수한 아연-알루미늄 합금 도금 이형 강선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8005A (ja) * 1995-06-19 1999-07-13 フレイスィネ アンテルナショナル ステュップ 多層構造を有するケーブル外皮、そのような外皮を製造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を行うための機械
JP2986288B2 (ja) 1992-06-10 1999-12-0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吊橋ケーブルのラッピング構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8561C (de) * 1930-08-17 1934-06-13 Kabelwerk Vacha Akt Ges Vorrichtung zum Aufbringen einer schraubenfoermig gewickelten Panzerung aus Metallbaendern auf elektrische Leitungen
DE615042C (de) * 1932-08-23 1935-06-26 Felten & Guilleaume Carlswerk Feuchtigkeitsdichter Kabelmantel
US3085406A (en) * 1962-02-20 1963-04-16 Stewart Warner Corp Flexible shaft assembly
DE3409734A1 (de) * 1984-03-20 1985-09-26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Tokio/Tokyo Biegsame rohrleitung fuer den transport fliessender medien
US4719945A (en) * 1986-12-05 1988-01-19 Fabricated Plastics, Inc. Hose with composite joints
FR2664019B1 (fr) * 1990-06-29 1992-09-25 Coflexip Conduite tubulaire flexible comportant une nappe d'armure agrafe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FR2781829B1 (fr) * 1998-07-29 2000-10-13 Freyssinet Int Stup Gaine de cable amelioree
NO329279B1 (no) * 2005-11-09 2010-09-27 Advanced Prod & Loading As Fleksibel rorledning for kryogeniske fluider
CN101806037B (zh) * 2010-03-30 2011-08-31 东南大学 全封闭碳纤维丝与高强钢丝复合拉索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6288B2 (ja) 1992-06-10 1999-12-0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吊橋ケーブルのラッピング構造
JPH11508005A (ja) * 1995-06-19 1999-07-13 フレイスィネ アンテルナショナル ステュップ 多層構造を有するケーブル外皮、そのような外皮を製造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を行うための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060A (ko) 2013-08-05
EP2657407A4 (en) 2014-07-23
EP2657407B1 (en) 2015-10-28
EP2657407A1 (en) 2013-10-30
CN103282584A (zh) 2013-09-04
CN103282584B (zh) 2014-06-04
WO2012086007A1 (ja)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2406B2 (en) Undersea cable, undersea cable installa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ing undersea cable
US6943466B2 (en) Stator for a dynamoelectric machine
US6705351B2 (en) Flexible pip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ing overlapping layers
KR101396764B1 (ko) C형 단면 래핑 와이어 및 그것을 사용한 케이블 래핑 구조와 방법
JPH11500515A (ja) かみ合わせ外装層を有する可撓性管状導管
JP5571411B2 (ja) 制振ケーブル
US20230019405A1 (en) AC Submarine Power Cable With Reduced Losses
JP5252651B2 (ja) C形断面ラッピングワイヤおよびそれを用いたケーブルラッピング構造と方法
JP2008004868A (ja) 超電導コイルおよび超電導コイルのクエンチ防止方法
DK2791564T3 (en) FLEXIBLE PIPE BODIES AND PROCEDURE
JP2008508489A (ja) 金属パイプラインの保護方法及び金属パイプライン
JP5057455B2 (ja) 管状ストラン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158020A (zh) 软绕组电机端部绑扎工艺
JP2018026957A (ja) 架空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02132B2 (ja) 防食鋼管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211082A (ja) 制振ケーブル
JP2008235209A (ja) 燃料電池車用排気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7379412B2 (ja) 板金製外装材及び板金製外装材の施工方法
WO2017213020A1 (ja) 電動機用端子台、電動機、送風装置、及び端子ピンと接続端子との接続方法
CN216564349U (zh) 编织结构电缆管道
KR20100074815A (ko) 케이블 래핑 밴드
JP4899463B2 (ja) 型くずれ防止型電線および架線方法
JP4615082B2 (ja) 低風騒音低風圧電線
JP4906911B2 (ja) ケーブル用水切り処理方法
CN113036668A (zh) 电缆穿管区域的连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