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610B1 - 실린더 윤활유 공급 시스템용 윤활장치와 실린더 윤활유 공급방법 - Google Patents

실린더 윤활유 공급 시스템용 윤활장치와 실린더 윤활유 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610B1
KR101396610B1 KR1020097002351A KR20097002351A KR101396610B1 KR 101396610 B1 KR101396610 B1 KR 101396610B1 KR 1020097002351 A KR1020097002351 A KR 1020097002351A KR 20097002351 A KR20097002351 A KR 20097002351A KR 101396610 B1 KR101396610 B1 KR 101396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distribution plate
pistons
cylinder
lubr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2109A (ko
Inventor
얀 아아만드
Original Assignee
한스 옌젠 루브리케이터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 옌젠 루브리케이터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한스 옌젠 루브리케이터스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90032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6Controlling lubricant pressure or quant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5/00Distributing equipment with or without proportio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8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jet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3/00Lubric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gines with crankcase compression of fuel-air mixture or for other engines in which lubricant is contained in fuel, combustion air, or fuel-air mixture
    • F01M3/04Lubric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gines with crankcase compression of fuel-air mixture or for other engines in which lubricant is contained in fuel, combustion air, or fuel-air mixture for upper cylinder lubrica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3/00Lubricating-pumps
    • F16N13/02Lubricating-pumps with reciprocating piston
    • F16N13/06Actuation of lubricating-pumps
    • F16N13/16Actuation of lubricating-pumps with fluid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8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jetting means
    • F01M2001/083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jetting means for lubricating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1/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 F02B61/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for driving 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3/00Lubricating-pumps
    • F16N13/02Lubricating-pumps with reciprocating piston
    • F16N13/04Adjustable reciprocat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60/00Fail saf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Nozzle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실린더 윤활유의 공급을 위한 방법 및 유압 윤활 장치가 개시된다. 이 공급 시스템은 유압 오일 공급을 위해 각각 한개 이상의 밸브를 통해 윤활장치와 연결된 공급라인 및 복귀라인과, 각각 유압 피스톤을 구비하고 공급라인을 통해 유압오일에 의해 압력을 받을 수 있는 유압 실린더들과 연결된 중앙 유압오일 공급펌프와, 엔진내의 다수의 실린더 수에 대응하고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피스톤과 공급라인을 구비한 각각의 공급 실린더와 연결된 다수의 주입 유닛들을 포함한다. 유압 실린더가 고장나더라도, 중단의 위험이 없고 신뢰성 있으며 저렴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윤활장치는 공급피스톤의 작동을 위하여 분배판을 변위시키도록 일측이 공급 피스톤들과 접촉하고 타측이 두개 이상의 유압 피스톤들과 접촉하는 분배판으로 설계된다.
윤활장치, 윤활유 공급 시스템, 윤활유 공급방법, 분배판, 선박엔진

Description

실린더 윤활유 공급 시스템용 윤활장치와 실린더 윤활유 공급방법 {LUBRICATING APPARATUS FOR A DOSING SYSTEM FOR CYLINDER LUBRICATION OIL AND METHOD FOR DOSING CYLINDER LUBRICATING OIL}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선박 엔진에서의 실린더 윤활유 공급 시스템용 유압 윤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급 시스템은 다음을 포함한다.
- 유압 오일을 공급하기 위하여 한개 이상의 밸브를 통해 윤활장치와 연결되는 공급라인과 복귀 라인;
- 공급라인을 통하여 각각 유압피스톤을 갖는 유압실린더들과 연결되고 유압 오일에 의해 압력을 받을 수 있는 중앙 유압 오일 공급펌프;
- 엔진내의 다수의 실린더 수에 대응하는 다수의 주입유닛으로서, 각각 공급피스톤을 구비한 공급실린더와 연결된 다수의 주입유닛;
-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라인;
- 한쪽이 공급피스톤과 접촉하는 분배판.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선박엔진에서의 실린더 윤활유 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법은,
- 각각 유압피스톤을 갖고 있으며 유압 오일에 의해 압력을 받는 유압실린더들과 연결된 유압 오일 공급 시스템을 이용하여 윤활장치로의 그리고 윤활장치로부 터의 유압 오일의 공급과 반환을 통해 유압 오일 압력을 공급하는 단계;
- 엔진내의 다수의 실린더 수에 대응하는 다수의 주입 유닛을 통해 실린더 윤활유를 공급하고 주입하되, 주입유닛들은 각각 공급피스톤을 갖는 공급실린더에 연결되는, 실린더 윤활유 공급 및 주입 단계;를 포함하고,
- 분배판이 그 양 측면중 한쪽에서 공급피스톤과 접촉한다.
본 출원에 실린더 윤활유와 유압 오일이 언급되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그러나 이 오일들은 다른 종류의 두가지 오일이 아닐 수 있다. 이 오일들은 한가지 오일로서, 윤활 및 유압 작동을 위해 쓰이는 오일과 같은 오일일 수 있다. 이 오일들은 같은 소스에서 공급될 수 있다.
윤활장치는 전통적으로 펌핑유닛으로 설계되는데, 이 펌핑유닛은 각각의 실린더에 가깝게 설치되어 윤활유를 공급하는 저장소와 연결되고 실린더 벽 여러 지점에 윤활유 주입노즐 형태의 윤활점과도 연결된다. 각각의 펌프 유닛은 여러 윤활점에 오일을 공급하며 그리고 그 위에 캠을 구비한 공통 회전 제어축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왕복운동 펌프를 포함한다. 이 축의 회전에 의해 가압헤드를 구비한 캠은 제어축 방향으로 스프링 가압되는 각각의 축방향 변위되는 피스톤들에 작용하여, 축의 회전시 피스톤들이 왕복운동하는 펌프들의 피스톤들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왕복운동을 수행할 것이다.
오랜 시간동안 윤활장치는 피스톤 펌프로부터 배출되는 압력이 매우 높지 않은 상태에서 작동되어 왔는데, 이는 윤활유가 엔진피스톤의 상승행정동안, 즉 압축 행정동안, 그러나 이어서 일어나는 점화 연소에 의한 동력행정 전에 주입되어야 한다는 것이 고정된 표준이었기 때문이다. 이 결과 10바아(bar)의 주입압력이나 펌프압력으로 작동될 필요가 있었다.
최근에는 피스톤이 상승운동하는 동안 오일 안개식(oil mist) 윤활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압분무노즐을 통해 오일을 주입함으로써 윤활 효율을 높이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분무노즐을 통한 미세한 분무를 보장하기 위해 훨씬 더 높은 압력, 예를 들어 100 바아(bar) 이상의 압력이 윤활유에 적용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전자식 기반의 디젤엔진이 더 넓은 범위로 생산되는 경향이 있고 이 엔진들에는 기계식 윤활장치들을 구동할 때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기계적인 구동부들이 제거되었다.
따라서 윤활점들은 본 출원에 언급된 바와 같이 윤활유 주입 노즐 및/또는 가압 분무노즐을 포함한다.
두 시스템 모두에서, 제어축은 엔진의 크랭크축과의 직·간접 기계적 커플링을 통해 구동되며, 이에 의하여 펌프의 작동을 위한 파워를 제공할 수 있고 동시에 엔진의 크랭크축과 윤활장치의 제어축 사이의 동기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펌프유닛은 예를 들어 박스형상의 장치 하우징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으로부터 연결파이프들이 피결합 엔진실린더의 윤활점까지 예컨대 6-24개 뻗어 있다.
피스톤들은 엔진의 크랭크축과 동시에 회전되는 스루고잉(through-going) 제어축상의 작동 캠/로커아암들에 의해 전통적으로 작동된다. 피스톤은 작동캠쪽으로 스프링 가압된다. 피결합된 작동캠의 말단위치를 규정하는 세트나사들이 제공된다. 이 세트나사들은 피스톤의 개별 작동 행정을 결정하고 이에 따른 개별 피스톤 펌프의 관련 결과값을 결정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윤활을 함으로써 사용자는 크랭크의 회전에 맞춰 시간이 정해지는 동기식 윤활을 위하여 또는 비동기식 실린더 윤활, 즉 크랭크의 회전과 각 위치에 의존하지 않는 실린더 윤활을 위하여 주입 타이밍을 제어하면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측정가능한 여러 엔진파라미터들에 따른 엔진의 즉각적인 요구를 위하여 제어방식으로 공급되는 실린더 윤활부분을 유연하고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유연한 방법으로 엔진의 실제 작동 상태에 일치하여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이 모든 조절은 중앙에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엔진속도에 동기하여 윤활장치들을 작동시키는 것은 전자적으로 실현 가능하지만 규모가 크고 비싸다. 그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타이밍을 즉각적으로 바꿀 수 있다. 그러나 공급된 실린더 윤활유 부분을 바꾸는 것은 제어하기 더 어렵다.
전형적으로는 실린더 윤활유가 엔진 1회전당 한 부분에 공급되므로 공급량을 조절하는 유일한 가능성은 펌프의 행정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 목적의 시스템이 예를 들어 덴마크 특허출원 DK4998/85에 기술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엔진부하에 따라서 펌프행정을 조절하는 캠디스크 메커니즘에 의해 작동한다. 이 의존성의 변경은 캠디스크를 다른 전송기능을 가진 캠디스크로 교체하여야만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텝모터와 같은 제어가능한 모터를 이용하여 펌프행정을 조절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은 점 윤활에 이용되었으나 종래의 윤활장치에 연결하여 설치하기가 어렵다. 이런 시스템이 예컨대 국제특허공개 WO02/35068A1에 공개되었다.
그리고 DE2827626에는 실린더벽의 개구를 통해 소정의 시간 간격동안 일정 량의 윤활유를 공급하는 것에 근거한 윤활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는 개별 윤활점에 수행될 공급의 무단 제어가능성에 관하여 아무런 개시도 없다.
그리고 GB83455A, DK173512B1 또는 CH673506A5에는 서두에 언급된 시스템이 알려져 있는데, 여기에서는 분배판이나 이와 비슷한 구조를 매개로 하는 유압실린더가 복수의 공급피스톤에 작용한다. 이러한 설계에서 동작을 위한 유압실린더는 한개이다. 이것은 만약 유압실린더가 고장난다면 모든 공급피스톤의 작동이 멈추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전통적인 실린더벽 윤활과 관련하여 지금까지는 실무상 실린더의 내부 압력에 견딜수 있지만 약간 더 높은 외부주입압력에 항복(yield)하는 단순한 스프링 가압식 역행방지밸브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가압 분무주입과 관련하여서는, 윤활유 주입이 바로 처음부터 가압 분무주입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밸브 시스템이 훨씬 더 높은 유압에서만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하다. 이로써 우리는 몇백 퍼센트에 이르는 압력 차동 인자에 관하여 서술할 것이다.
덴마크 특허출원 PA200501629호에는 서두에 언급된 종류의 실린더 윤활유 공급 방법 및 유압 작동식 윤활장치가 제안되었다. 이 특허출원에 설명된 원리에 의 하면 윤활점으로의 공급에 대해 유연한 전자제어와 중앙 무단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린더 윤활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타이밍의 정확하고 간단한 제어도 달성할 수 있다.
이는 공급피스톤과 결합하는 세팅수단을 구비한 특별한 세팅유닛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는데, 세팅유닛은 이 유닛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어가능한 액츄에이터/모터와 연결되어 있다.
윤활유의 양을 조절하는 두 가지 다른 가능성을 가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덴마크 특허출원 PA200401035호의 기술적 효과를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와 조합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 덴마크 출원에는 공급유닛으로 가는 시스템 오일을 임의로 차단하기 위하여 적절한 갯수의 밸브를 사용하여 조절이 실행되는 장치가 설명되어 있다.
위에 언급된 덴마크 특허출원 PA200501629와 PA200401035의 내용들은 참조문헌으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발명은 언급된 상기 덴마크 특허출원에 설명된 방법과 장치와 연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유압피스톤을 사용하는 유압 윤활이 실린더 윤활유를 위한 공급 피스톤을 포함하는 주입유닛에 작용되도록 인가되는 다른 종류의 윤활장치 및 다른방법들과 연계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신뢰할 수 있고 값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오동작의 위험성이 줄어든 유압구동식 윤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장치는 공급피스톤을 작동시키기 위한 분배판을 변위시키기 위하여 분배판의 다른쪽이 두개 이상의 유압피스톤과 접촉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공급피스톤을 가동시키기 위한 분배판을 변위시키기 위하여 분배판의 다른쪽이 두개 이상의 유압피스톤과 접촉하게 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본 윤활장치와 방법은 적어도 두개의 유압실린더들이 분배판과 접촉하고, 분배판은 공급피스톤들과의 접촉에 의하여 공급피스톤들을 작동시켜서 알맞은 분량의 윤활유 주입이 주입 유닛을 통해 실린더로 방출될 수 있도록 작동한다. 이론적으로 다수의 상호 독립적인 유압 실린더들은 따라서 공급피스톤들을 가동하는데 사용된다. 이 결과 한개의 유압실린더/한개의 유압피스톤이 한개 이상의 공급피스톤을 가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태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이 실현된다.
게다가 윤활장치가 더 간결하게 만들어 짐으로써, 그리고 감시센서의 수가 적게 유지됨으로써 더 저렴한 기술적 방법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론적으로 한개의 감시센서는 분배판의 움직임을 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주입유닛들 중 한개가 고장났는지를 감독하기 위해 각 유압피스톤/공급피스톤의 변위를 탐지하는 감시센서를 필요로 하는 종래의 기술 시스템에 비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상술한 덴마크 특허 출원에 설명된 것과 같이 윤활지점으로 공급된 윤활유의 양과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과 조합될 수 있다. 이 결과 한 세트의 밸브들이 윤활 타이밍/시간 내에 모든 지점을 위해 제어되고 제때에 소정의 지점에서 시스템/유압 오일의 공급이 공급피스톤의 행정을 통해 이송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유리한 점들은 윤활유 양의 정확한 제어 및 윤활유 일부를 배출하는 타이밍의 장점과 조합된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형태로 제공되는 한개 이상의 밸브 세트를 이용하여 하나의 유압피스톤에 또는 유압피스톤들의 그룹에 동시에 시스템 압력을 인가하거나 또는 압력인가를 멈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유압 피스톤들의 그룹을 조합하는 것이 가능한데, 각 그룹은 최소한 두개의 유압피스톤들로 이루어진다. 해결책은 따라서 유압피스톤들의 한개, 두개, 또는 그 이상의 그룹들을 구비할 수 있다. 유압피스톤들의 그룹들은 한 그룹의 고장이 다른 그룹들의 작동에 중단을 초래하지 않도록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 그룹들은 한개씩 작동하고, 고장의 경우 그 고장난 그룹의 연결을 차단하고 다른 그룹을 가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장치의 실시예는 분배판이 세개 이상의 유압피스톤에 의해 지지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 결과 유압실린더들 중 한개가 고장난 경우 바람직하게는 유압실린더들에 수직으로 제공될 변위방향으로 분배판의 작동이나 변위의 어떠한 장애도 일어나지 않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유압실린더들은 서로 편평한 분배판에 수직하고 서로 평행한 변위를 통상 제공한다.
만약 유압실린더들 중 한개에 고장이 발생하면, 시스템은 조정되어 분배판이 유압피스톤의 변위와 평행한 변위 방향으로 분배판 전체 표면을 가로질러 변위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슬라이드 챔버의 가이드들 안에 판을 배치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고, 또는 이와 다르게 판이 배치된 슬라이드 챔버나 가이드 내에서 "뒤집힐"수 없도록 판이 특정 높이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공급피스톤들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분배판이 공급피스톤에 수직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이 특징이다. 유압피스톤들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었을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공급피스톤들이 공급피스톤 방향으로 연속하여 분배판에 수직하게 길이 방향 축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고, 그 결과 유압피스톤들이 변위되는 이동에 상응하는 이동에 평행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공급피스톤들과 유압피스톤들의 수에 상관없이, 이들이 분배판과 접촉되는 장점이 달성된다. 영구적 연결이 아닌 접촉이 형성됨으로써, 공급피스톤을 수납하는 실린더 챔버들과 유압피스톤들을 수납하는 실린더 챔버들의 정렬을 위한 허용오차가 더 적게 필요할 것이다.
만약 선형성에서 허용오차가 더 적다면, 공급피스톤과 유압피스톤의 접촉 사이에서 이론상 느슨하게 놓여질 수 있는 분배판 때문에 파손이나 불필요한 마모를 일으키지 않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윤활장치는 분배판의 변위를 등록하는 적어도 한개의 감시센서 및/또는 실린더 윤활유 부분의 완료된 공급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오직 한개의 감시센서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배출된 윤활유 양의 감지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윤활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고, 감시하고, 및/또는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컴퓨터 시스템/전자 제어 유닛으로 감지될 수 있다.
감시센서는 유동측정에 기초한 감시수단, 예를 들어 유동내에 배치된 회전자를 사용하거나, 유동에 들어올려지는 볼을 사용함으로써, 또는 공급피스톤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것에 기초한 감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감시는 이 측정들의 조합에 기초할 수도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이 바람직하게 제공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장치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 컴퓨터 시스템은 관련 실린더 블록에 있는 공급 유닛용 타이밍과 행정세팅을 제어하기 위한 분산된 컴퓨터와 그리고 관련 운영 데이터를 조정하고, 감시하고, 로깅하는 것 등을 위한 중앙 컴퓨터로서, 바람직하게는 주컴퓨터와 백업컴퓨터를 포함하는 중앙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된 컴퓨터는 관련 실린더 블록의 공급 유닛들을 위한 타이밍과 행정 길이 세팅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행정 세팅의 제어는 편심축의 각위치를 규제하는 제어가능한 모터에 의한 제어를 통해 수행되고, 이것에 의하여 원하는 실린더 윤활유의 체적을 세팅할 수 있다. 타이밍의 제어는, 밸브들을 매개로 달성되는데, 이 밸브들은 열리고/닫힐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윤활을 위한 어떤 시점에 유압피스톤 위의 시스템 오일의 시스템 압력이 연결되거나 단절될 수 있다.
유압 윤활장치를 이용하는 이 해결방안에 의하여, 행정과 타이밍을 전자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임의의 행정 길이/시점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윤활장치를 위한 단일의 펌프 행정에서 각 실린더에 공급된 윤활유 양의 충분한 무단 조절이 전자제어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유압 윤활장치가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소정의 시점에서 밸브들을 통해 행정을 수행하는 유압/시스템 오일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몇 개의 밸브 세트들(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들)을 가지며 그리고 윤활점들의 몇개의 그룹이 모든 실린더에서 또는 일부 실린더에서만 자신들의 타이밍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첨부된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에 의하면 행정이 모두를 위해 조정될 수 있는 해결책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언급된 윤활점의 그룹들 중 임의의 그룹을 위한 세팅수단들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원뿔 나사를 통해 세팅 수단의 높이의 변위를 제공할 수 있는 스페이서 또는 판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싸이클 동안에, 실린더를 위한 윤활점들 그룹의 주기적 차단 및/또는 한 세트의 밸브의 주기적 차단이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윤활장치는 각각 자신들의 행정 조절과 자신들의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를 갖는 복수의 펌핑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구성요소의 수는 적게 유지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펌프유닛당 한개의 어큐뮬레이터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윤활장치당 한개의 어큐뮬레이터로 충분할 수 있다. 그리고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더 적은 수의 파이프들이 필요하므로 배관이 더 단순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주입점에서 그리고 예를 들어 SIP 윤활을 위하여 미복귀 밸브와 어큐뮬레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전통적인 윤활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점과 절약의 가능성은 윤활 이론에 관계없이 대등하게 매력적일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배판의 변위를 탐지하기 위해 오직 한개의 감시 센서만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센서는 이론적으로 분배판에 대하여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몇 개의 센서들은 계획된 선형 이동이 수행되게 하기 위하여 분배판 표면을 가로질러 분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만약 분배판의 표면을 가로질러 분포된 복수의 센서들이 사용된다면, 전체 분배판의 실제 직선 변위가 수행되었는지, 또는 변위되는 동안 분배판이 기울어졌는지를 동시에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예컨대 한개 이상의 유압 피스톤이 고장난 경우일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몇 개의 센서들을 사용함으로써 한개 이상의 유압 피스톤에 가능한 기능적 고장을 판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탐지가 수행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실린더당 한개의 윤활장치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몇 세트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윤활장치를 구획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방법으로 여러 작동 시간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는 윤활장치로 하여금 복수의 실린더에 공급하게 한다.
행정 길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편심축을 포함하는 세팅 수단으로 행정길이를 우수하게 조정하여, 행정이 실린더 블록 내의 모든 공급 유닛을 위해 공통으로 조정될 수 있다. 그 외에, 세팅 수단의 상술한 높이 조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믈론 행정 길이를 재설정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형적으로, 유압 윤활장치는 예를 들어 두개 또는 세개의 그룹으로 구획될 수 있는, 최대 12개의 윤활점을 가져서 고장 가능성 있는 블록들이 용이하게 대체될 수 있다. 이론적으로, 모든 윤활점은 한개의 구역에 모여있을 수 있다. 12개 이상의 윤활점을 갖는 윤활장치도 역시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들에, 윤활유를 위해 더 많은 어큐뮬레이터 또는 가능하다면 더 큰 어큐뮬레이터들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된 컴퓨터들이 윤활장치의 기능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별적 윤활장치들의 정확한 "타격(striking)"을 감시하고 그리고 충분한 윤활유가 존재하는 것을 감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분배판 변위의 탐지는 바람직하게는 분배판이 최고점에 위치할 때를 감지함으로써, 분배판이 행정을 수행할 때 센서가 신호를 주는 것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이에 상응하여, 만약 원한다면 각 윤활점에 센서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동시에 윤활장치 자체 위에 수준 경보기(level alarm)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수준 경보기는 장치 내에 직접 또는 장치를 위한 공급 탱크에 설치될 수 있다.
설명된 유동-감시의 대안으로서, 기계식 윤활장치로부터 알려진 유동-감시 이론을 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도 센서에 의해, 철제볼(steel balll)이 감지될 것인데, 아무 유동이 없을때는 볼이 "바닥으로 떨어져", 경보기가 작동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윤활장치는 모든 유압실린더들이 같은 중앙 유압 오일 공급 펌프에 연결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는 특히 단순하고 저렴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실시예는 기존의 유압시스템(공통의 레일)이 사용되는/공유되는 시스템들도 역시 포함한다. 이와 다르게, 별개의 오일 공급부 또는 유압 펌프를 그것들 고유의 유압 피스톤들 그룹을 각각 제어하도록 이미 존재하는 펌프와 조합하여 이들이 각기 자신들의 유압피스톤 그룹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다르게, 유압오일을 위한 몇개의 독립적인 공급 펌프들을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한데, 이들은 각각 유압 피스톤들의 파워링(powering) 그룹들이다. 이 방법에서 분배판의 더 확실한 운전/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런 이론을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들과 함께 작동시키기 위해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만약 솔레노이드 밸브들 중 한개가 "고장"을 일으키면 한개 이상의 다른 솔레노이드 밸브들이 오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대신할 수 있기 때문에 작동에 아무런 영향도 없음을 의미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윤활장치는 유압 실린더들이 각각 별개의 유압 오일 공급 펌프와 연결된 그룹들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특이할 수 있다.
심지어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 위치에 빠져있는 상황에서도, 스위치 밸브가 첫번째 솔레노이드 밸브의 압력 제거를 보장함으로써, 윤활장치가 다른 솔레노이드 밸브/그룹과 함께 작동할 수 있도록 절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해결방안은 자신의 유압 스테이션을 갖는 시스템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이와 다르게 이미 이용가능한 유압 소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후자는 다른 작동 압력에서 작동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을 수반하고, 이는 공급 피스톤들이 같은 힘의 작용을 받도록 유압 피스톤들의 직경들이 조정되는 것이 요구될 것이다.
만약 각각의 압력 소스가 자신들의 유압 피스톤 그룹을 구동하게 한다면 독립형의 유압 피스톤이 이용가능한 압력 소스와 조합되는 해결방안 역시 가능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윤활장치는 각 윤활 행정에서 주입된 실린더 윤활유의 체적을 조정하기 위하여 세트핀/세트나사를 통해 분배판과 그리고 이에 따라 공급피스톤과 맞물리는 세팅수단을 갖는 조정유닛과, 상기 셋팅을 위한 세팅수단과 맞물리는 제어가능한 액츄에이터/모터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다르게, 세팅 유닛에 의해 행정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커플링, 예를 들어 웜 드라이브를 통해 세트핀/세트나사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행정을 조절하는 모터를 갖는 배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세트나사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행정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행정 길이는 모든 윤활점을 위해 동시에 그러나 가능하다면 개별적인 윤활점의 개별적인 조정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행정의 공통적인 조정은 편심축을 돌리고 이로써 펌프 피스톤들의 행정 길이를 변형시킨, 예를 들어 DC모터 같은, 한개 이상의 모터들과 연결되어 이 모터들을 제어하는 분산된 컴퓨터에 의해 전자제어방식으로 수행된다.
이 해결방안은 각 변위와 행정길이가 직접 비례하지는 않지만 치형성(toothed) 막대의 선형 변위가 대신에 선택되면 직접 비례성이 제공된다는 불리한 점을 갖는다. 이 두 실시예의 대안으로서, 해결책은 DC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스핀들을 통해 행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특정 실시예에 따른 윤활장치는 편심축과 윤활장치의 분배판 사이 오목부 내에 미끄러지게 배치된 세트핀과 맞물리는 편심축을 세팅수단이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변위가능한 세트핀을 제공함으로써, 분배판이 정지하는 지점을 바꿀 수 있다.
윤활장치는 유압 챔버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유압 피스톤과 그리고 더 작은 직경을 가지며 세팅 수단과 접촉하는 미끄럼 막대와 함께 제조된다. 이 구성은 유압 미끄럼부 내의 미끄럼 막대의 직경을 바꾸는 것만이 필요하므로 비교적 단순하게 다른 시스템 압력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이 장치는 전형적으로 한가지 종류의 실린더 윤활유가 공급되지만, 이론상 오일 공급은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한종류 이상의 실린더 윤활유들 사이에서 절환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연결된 장치를 위해 또는 윤활점들의 그룹을 위해 행해질 수 있다. 가능하게는 컴퓨터 시스템/전자 제어 유닛을 통해 제어될 수도 있는 전자제어식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탭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행해질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의 중앙 컴퓨터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장치를 위한 제어를 구축한다. 특별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컴퓨터는 두대의 PC들을 구비하는데, 주PC와 백업PC를 구비한다. 그 외에도, 한개 또는 두개의 윤활 장치들과 연관되어 이 장치들을 제어하는 로컬제어 유닛이 제공된다. 이 로컬제어 유닛은 관련된 윤활장치 또는 장치들을 위한 행정과 타이밍을 제어한다.
제어는 모든 현재의 작동 모드들이 적용될 수 있도록 유연하게 이루어진다:
- rpm에 따른 조절, 즉 비 조절식 작동;
- bhp에 따른 조절, 즉 윤활유 양의 하중에 따른 조절;
- mep에 따른 조절, 즉 윤활유 양의 실린더 압력에 따른 조절; 또는
- 하중 변화에 따른 조절, 즉 하중변화와 관련된 추가 윤활.
그 외에도, 높은 등급의 사용자 맞춤식 조절 알고리즘을 가능하게 하는 유연한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시스템은 다음을 포함한다.
- 표준 작동 모드들의 변수들;
- 고객-맞춤식 데이터 입력, 예를 들어 다양한 센서에 기초한 데이터 입력(FE-내용, 실린더 압력, 실린더 온도 등)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근거하는 조절 알고리즘의 가능성으로서, 여기서 입력들은 전체 엔진에 적용되거나 개별 실린더에 적용될 수 있음;
- 사용자가 스스로 감소 및/또는 증가 비율을 정의 및 설명하는 오버레이 모드들의 가능성.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제어가 개별 실린더 내/에서 로컬 데이터 수집의 수행 가능성을 가진 로컬제어와 그리고 예상된/계획된 양의 윤활유에 상응하는 공급된 윤활유 양의 제어 가능성을 가진 상위 제어와 함께 수행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분산된 컴퓨터들/제어유닛들은 로컬제어를 구축하고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개별 실린더 내/에서 로컬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급양과 가능한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해 온라인 데이터 입력들을 사용할 가능성을 추가로 갖는다. 예를 들어 실린더 내에 온도 센서를 장착하고 개별 실린더들을 위한 연료공급장치에 유량계들을 장착하여 그 결과 분산된 컴퓨터의 로컬제어가 그것에 대하여 타이밍과 양을 어떻게 조절할지를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분산된 컴퓨터는 개별 실린더들을 위한 상태에 관한 로컬 정보를 모으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적인 윤활장치들 내에 유량계들 및/또는 온도 센서들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중앙 컴퓨터의 상위 제어로 상태에 관한 이 정보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방법으로 예를 들어 공급된 윤활유의 양이 예상된/계획된 윤활유의 양에 상응하는지 점검할 가능성을 얻을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윤활장치는 구획된 것에 특징이 있는데, 예를 들어 2-4개 블록들의 그룹으로 구획되고, 각 그룹은 분배판을 갖고, 개별적으로 교환될 수 있고, 복수의 밸브 셋트들이 장착되어 이에 의하여 각각의 블록을 위한 여러 작동 시간들이 가능해진다.
언급된 바와 같이, 윤활장치를 구획하는 장점들이 있는데, 이는 윤활장치의 구획에서 제공된 블록들의 각각에 다른 작동 시간들을 셋팅할 가능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윤활장치는 유압 피스톤들이 그룹들 로 제공된다는 점, 각 그룹이 공급피스톤들을 작동하기 위해 분배판을 변위시키도록 배치된다는 점, 그리고 작동되는 유압 피스톤들의 그룹에 따라서, 윤활유의 개별적인 양 조절이 달성되도록 각 유압 피스톤들의 그룹이 자신들의 개별적인 행정을 갖는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는 피스톤들의 첫번째 그룹이 작동할 때 첫번째 행정 길이가 발생하고, 두번째 그룹이 작동할때, 두번째 행정 길이가 발생하도록 유압 피스톤들의 각 그룹이 자신들의 행정을 갖고 작동된다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윤활유의 양은 따라서 알고리즘을 작성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이 알고리즘은 두개 이상의 행정 길이들의 사용을 조합함으로써, 대략 무단(stepless)의 양적 조정이 행정의 범위 내에서 달성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이론은 두 종류 이상의 유압피스톤들이 사용된다는 사실에 기초하고 있으며, 여기서 유압피스톤들의 첫번째 그룹은 분배판을 통해 확장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분배판이 극단 위치로 가는 것을 방지한다. 두번째 피스톤 그룹이 작동될 때, 분배판은 극단 위치로 움직여 베이스 블록에 의해 멈춰질 수 있다.
유압피스톤들의 각 그룹 내에 두개 이상의 피스톤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이에 의하여 심지어 그룹내의 한개의 피스톤이 고장났을 경우에도 분배판의 변위가 수행되는 것이 보장받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밸브 고장의 경우 배브들 사이의 절환이 수행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 절환은 유압 피스톤들의 두개(또는 그 이상)의 그룹들 사이의 절환일 수 있고 또는 서로 대역을 하며 그리고 같은 그룹을 제어하는 몇 개의 밸브 셋트들을 구비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로컬 제어의 일부로서,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하여 밸브들을 짝지우는 구체화된 가능성이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윤활 장치가 고장난 밸브의 결과로 "타격(strike)"하지 않아서 다른 밸브로 절환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오류 상태는 예를 들어 엔진이 여전히 작동하는데도 불구하고 윤활장치의 어떤 피스톤도 "타격(striking)"하지 않는 상태에 의하여 확인될 수 있다.
이 이론에 의하여, 예를 들어 두 셋트의 솔레노이드 밸브들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이는 각 솔레노이드 밸브가 다른 유압 실린더들에 관계없이 한개의 유압실린더그룹을 구동할 것을 요구한다. 만약 솔레노이드 밸브의 장애 또는 고장이 일어나는 상황이면, 장치의 작동은 영향받지 않고 계속될 것이다. 동시에, 윤활장치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 공급 시스템 내의 하나의 압력 라인이 고장난 솔레노이브 밸브를 교환하기 위해 차단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밸브 하나의 고장은 장치의 일반적인 작동을 방해하지 않을 것이고 밸브들의 유지 교환은 장치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유압 피스톤들의 그룹을 제어하기 위해 다방향(multi-way)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두 셋트의 솔레노이드 밸브들이 사용되는 상기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압 피스톤들의 그룹당 두개의 밸브 대신 한개의 밸브로 충분할 수 있다.
분산된 컴퓨터는 "자동"에서 "수동" 작동으로 절환되도록 로컬 작동을 구비할 수 있는 로컬 제어유닛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수동 작동"에 의하여 이 시스템은 시간에 맞추어 또는 시간에 맞추지 않고서 작동할 수 있고, 행정 길이는 그 유닛 위에 직접적으로 확장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추가 레벨의 용장도가 항상 통합된다.
윤활 시스템은 다수의 윤활장치를 가질 수 있는데, 실린더당 한개의 윤활 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각 윤활장치는 별개의 로컬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된다. 이 시스템은 시스템의 타이밍을 가능하게 해주는, 플라이휠에 장착된 두개의 개별적인 센서 셋트들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 시스템은 엔진 부하에 비례하는 신호를 필요로 한다. 이는 센서/픽업 유닛에 의해 공급될 수 있고, 또는 엔진 인터페이스로부터 나오는 신호에 의해 직접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윤활장치들은 여분의 펌프 유닛을 통해 유압적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중앙 컴퓨터는 로깅(logging) 데이터와 중앙 작동 제어를 위해서만 필요하다. 모든 로컬 제어 유닛은 제어패널들과 통합되고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여분의 네트워크는 중요하지 않은 작동 데이터와 데이터 로깅을 위해서만 사용된다. 경보는 각 유닛으로부터 직접 보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윤활 장치들을 구비한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기다란 분배판을 구비한 제1 실시예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원형 분배판을 구비한 제2 실시예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장치의 실시예를 통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단면에 직각으로 도시된 윤활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4와 5에 나타낸 윤활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4에 나타낸 베이스 블록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화살표 Ⅶ-Ⅶ 를 따른, 도 7에 나타낸 베이스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9는 행정 제한은 믈론 공통의 행정 멈춤부재를 구비한 베이스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4에 나타낸 분배판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도 1에 나타낸 개략도에 대응하는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윤활장치의 부분상세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나타낸 윤활장치에 사용된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도 12에 나타낸 윤활장치에 사용된 스위치 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도 15에 대응하는 단면도를 나타내지만, 스위치 밸브는 다른 위치에 있다.
도 17은 다양한 그룹의 유압 실린더들을 통한 실린더 윤활유 양의 다른 양 조절을 갖는 다른 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은 네 개의 실린더(250)와 각 실린더 위에 보이는 8개의 주입노즐(251)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윤활장치(252)는 중앙컴퓨터(253)와 연결되고 그리고 전형적으로 각각의 윤활장치(252)를 위한 로컬 제어유닛(254)과 연결된다. 중앙컴퓨터(253)는 중앙컴퓨터를 위한 백업을 구성하는 여분의 제어유닛(255)과 병렬로 결합되어 있다. 그에 더하여 펌프(유압펌프 혹은 유압스테이션이 될 수 있음)를 감시하는 감시유닛(256)과, 부하를 감시하는 감시유닛(257)과, 크랭크축의 위치를 감시하는 감시유닛(258)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의 윗부분에 유압오일용 탱크(262)의 펌프(261)를 구동하는 모터(260)를 구비하는 유압스테이션(259)이 도시된다. 유압스테이션(259)은 냉각기(263)와 필터(264)를 더 포함한다. 시스템 오일은 공급라인(265)을 매개로 밸브(220)을 통해 윤활장치로 펌핑된다. 유압스테이션은 밸브를 통해 윤활장치와도 연결된 복귀라인(266)과도 연결되어 있다.
윤활유는 윤활유 공급 탱크(미도시)로부터 라인(267)을 통해 윤활장치(252)로 보내진다. 이 윤활유는 라인(110)을 통해 윤활장치로부터 주입노즐(251)까지 보내진다.
도 2는 기다란 분배판을 갖는 "독립 다중 피스톤 선형 윤활기"라고 불리는 윤활장치를 나타낸다.
윤활장치가 수직방향의 하우징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직사각 표면의 수직이동은 상호 독립된 유압피스톤에 의해 일어난다.
부재번호(6)는 둘 이상의 유압피스톤 그룹에 연결된 유압피스톤들을 나타낸다. 유압피스톤들의 다양한 유압그룹들은 서로 독립적이다.
부재번호(80)는 한쪽이 유압피스톤(6)에 의해 눌리고 다른쪽이 공급피스톤(21)의 작용을 받는 분배판을 나타낸다. 공급피스톤이나 유압피스톤을 차단함으로써 분배판(80)은 뒤집힐 수 있고, 뒤집힘이 문제되지 않도록 분배판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다르게 분배판(80)의 직·간접적인 제어가 필요할 수도 있다.
부재번호(81)는 솔레노이드 밸브(83)만이 복귀/탱크 쪽에 적용된 경우에 추가될 수 있는 미복귀 밸브를 나타낸다. 전형적으로 개구에는 2x2 세트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요구되는데, 여기서 유압피스톤들의 각 그룹은 압력측에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84)와 복귀측에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83)에 의해 제어된다.
부재번호(82와 88)는 작동시 솔레노이드 밸브의 교체를 가능하게 하는 탭(tap)을 나타낸다.
부재번호(83)는 복귀/탱크측에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낸다.
부재번호(84-86)는 각각 유압피스톤들(6)의 그룹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낸다.
도 3은 원형 분배판을 가진 "독립 다중 피스톤 실린더 윤활기"라 불리는 윤 활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윤활장치가 수직방향의 하우징과 함께 사용될 때 원형표면의 수직이동은 상호 독립된 유압피스톤에 의해 일어난다.
부재번호(6)는 두개 이상의 유압피스톤들의 그룹들에 연결된 유압피스톤들을 나타낸다. 유압피스톤들의 다양한 그룹들은 서로 독립적이다.
부재번호(83)는 복귀/탱크측에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낸다.
부재번호(84-85)는 유압피스톤(6)들의 그룹을 각각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들을 나타낸다. 압력측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유압시스템에 연결되는데 같은 유압시스템 혹은 가능하게는 두개의 상호 독립적인 유압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부재번호(90)는 일측이 유압피스톤(6)에 의해 눌리고 타측이 공급피스톤(21)의 작용을 받는 분배판을 나타낸다. 공급피스톤이나 유압피스톤을 차단함으로서 분배판(80)은 뒤집힐 수 있고, 따라서 뒤집힘이 문제되지 않도록 분배판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다르게 분배판(90)의 직·간접적인 제어가 필요할 수 있다.
부재번호(91)는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83)만이 복귀/탱크측에 적용된 경우에 추가될 수 있는 미복귀 밸브를 나타낸다. 전형적으로 실시예에는 2x2 세트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요구되는데 유압피스톤들의 각 그룹은 압력측에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84)와 복귀측에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83)에 의해 제어된다.
부재번호(92 와 93)는 하나의 유압피스톤 그룹을 가능하게 하는 두개의 유압피스톤 사이의 연결통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부재번호(1)는 아래쪽으로부터 나사로 고정되는, 세트핀(4)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패킹을 구비한 바닥판을 나타낸다.
부재번호(2)는 다수의 유압피스톤(6)을 구비한 베이스 블록을 나타낸다.
부재번호(3)는 편심축으로서, 이에 의해 DC모터(27)를 작동시킴으로써 행정이 조정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8에 보이듯이 행정 길이는 스핀들(spindle)에 의해 조정될 수도 있다.
부재번호(4)는 조정가능한 멈춤부재로 사용되는 세트핀으로서, 이에 의해 세트핀(4)을 변위시키면 분배판(7)이 멈추는 지점을 변화시킬 수 있어서 행정이 조정될 수 있다.
부재번호(5)는 새어나올 수 있는 오일이 편심하우징으로 흘러 들어가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세트핀(4) 둘레의 패킹을 나타낸다. 도시된 도면에서 오링(5)을 생략하고 대신에 새어나올 수 있는 오일을 편심축(3) 주변 구멍으로부터 멀리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
부재번호(6)는 한쪽이 분배판(7)을 밀고 다른쪽이 각각 압력공급관(61과 62)으로부터 나오는 유압시스템의 유압에 의해 작용하는 유압피스톤을 나타낸다. 상기 공급관들은 서로 독립되어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도시된 설계는 두 그룹의 유압피스톤을 갖고 있고 도시된 설계에서 이 그룹들의 각각은 두개의 유압피스톤으로 구성되지만 한 그룹에 두개 이상의 유압피스톤을 갖는 것 역시 가능하다.
부재번호(7)는 한쪽이 유압피스톤(6)에 의해 눌리고 다른쪽이 공급피스톤(21)의 작용을 받는 분배판을 나타낸다. 공급피스톤이나 유압피스톤을 차단함으 로서 분배판(7)은 뒤집힐 수 있고 뒤집힘이 문제되지 않도록 분배판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다르게 분배판(7)의 직·간접적인 제어가 필요할 수도 있다.
부재번호(8)는 윤활유를 펌프블록(17)으로 안내하는데 주로 사용되며 펌프블록의 보다 유연한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데 사용되는 중간판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중간판은 원한다면 펌프블록을 누유없이 여러 부분으로 나눌 수 있도록 보장해 주기도 한다.
부재번호(9)는 스프링으로서, 도시된 구조에서는 복귀스프링이다. 도시된 구조에는 오직 한개의 복귀스프링만 있지만 이론상으로는 각 공급피스톤마다 자체의 복귀스프링을 갖고 있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부재번호(10-13)는 윤활유를 공급피스톤(21) 전방의 펌프챔버로 보내주는 이중의 흡입 및 압력 밸브들을 나타낸다. 각 윤활점이 흡입에서 압축행정으로 진행되면, 피스톤(21) 전방의 펌프챔버의 압력이 압축 스프링(14)을 극복할만큼 충분히 높은 경우 흡입밸브(10과 11)와 압력밸브(12과 13)가 개방된다.
부재번호(14)는 윤활유의 공급압력이 정확한 양의 제어 없이 장치를 통해 직접 스며나오거나 흐를 수 없도록 보장하는 압축 스프링을 나타낸다. 어떤 경우에는 더 강한 압축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윤활유의 공급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상적으로는 압축 스프링은 윤활유 공급라인(267)의 압력레벨에 따라 설계되지만 보다 빠른 윤활행정 수행이 요구되는 경우 미복귀 밸브(13)는 개방을 위해 더 높은 압력이 형성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보다 신속하게 윤활유가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부재번호(15-16)는 패킹을 구비한 통기나사를 나타낸다.
부재번호(17)는 한개 이상의 윤활점으로 구성될 수 있는 펌프블록을 나타낸다. 전형적으로 이 장치는 여섯개 이상의 윤활점으로 만들어진다. 고장난 부품의 교환을 쉽게 하기 위해 펌프블록(17)을 여러 부분으로 나눌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부재번호(18)는 하우징이 압력밸브(12와 13)와 압축 스프링(14)을 위한 하우징을 나타내는데, 동시에 공급파이프들로의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부재번호(19)는 펌프챔버와 흡입 및 압축 밸브들 사이의 작동통로를 닫아주는 블라인드 플러그를 나타낸다.
부재번호(20)는 펌프피스톤(21)이 설치된 펌프 실린더를 나타낸다.
부재번호(21)는 공급피스톤을 위한 펌프피스톤을 나타낸다.
부재번호(22)는 펌프블록(17)과 중간판(8) 사이의 패킹을 나타낸다.
부재번호(23)는 중간판(8)과 베이스 블록(2) 사이의 패킹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발명에 따른 윤활장치의 단면도로서, 스핀들과 DC모터에 의한 행정 조절을 나타낸다..
부재번호(3)는 행정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편심축을 나타낸다. 그리고 베이스 블록(2) 쪽에 계측눈금을 설치함으로써 행정을 판독하는 눈금을 구축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며 이에 의하여 행정 길이를 직접 판독하기 위해 편심축의 위치를 이용한다.
부재번호(25)는 있을지도 모르는 누유가 밖으로 흐를 수 없으며, 그리고 동 시에 먼지가 들어갈 수 없게 하는 밀봉 링을 나타낸다.
부재번호(26)는 편심축(24)을 제어하는 베어링을 나타낸다.
부재번호(27)는 웜드라이브와 같이 쓸 수 있고 제어신호에 따라서 편심축의 위치(24)를 변화시키는 DC모터를 나타낸다. 행정의 제어를 위한 인코더(encoder)나 기타 시스템이 축에 설치된다. 이 인코더는 도시된 도면에는 보이지 않는다.
도 6은 공급블록과 DC모터를 구비하는 발명에 따른 윤활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 도면은 네 개의 유압피스톤이 두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진 실시예를 나타낸다.
부재번호(40)는 펌프블록(17)을 중간판(8)에 고정시키는 고정나사를 나타낸다.
부재번호(41)는 분배판(7)이 최고점에 있을 때를 감지하는 센서를 나타낸다. 이 센서는 펌프블록(17)이 교체되어야 하는 경우 신속히 제거될 수 있도록 피팅부재(fitting)(43)에 고정된다.
부재번호(42)는 센서(41)와 피팅부재(43)를 고정시키는 나사를 나타낸다.
부재번호(43)는 센서(41)의 장착을 위한 피팅부재를 나타낸다.
부재번호(44-45)는 각각 압력측과 복귀측의 완충기를 나타내는데, 이들은 솔레노이드 밸브(47-50)와 연결되어있다.
부재번호(46)는 공급블록으로서, 이를 통해 유압오일이 공급/제거되고 윤활유가 베이스 블록(2)으로 안내된다.
부재번호(47)는 유압오일 압력의 복귀측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낸 다. 이는 솔레노이드 밸브(48)와 그룹으로 되어있다.
부재번호(48)는 유압오일압력의 압력측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낸다. 이는 솔레노이드 밸브(47)와 그룹으로 되어있다. 솔레노이드 밸브(47과 48)는 한 그룹의 유압피스톤을 제어한다.
부재번호(49)는 유압오일압력의 복귀측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낸다. 이는 솔레노이드 밸브(50)와 그룹으로 되어있다.
부재번호(50)는 유압오일압력의 압력측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낸다. 이는 솔레노이드 밸브(49)와 그룹으로 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49와 50)는 다른 그룹의 유압피스톤들을 제어한다.
부재번호(51)는 베이스 블록(2)과 중간판(8)을 통해 안내된 윤활유를 펌프블록(17)으로 공급하기 위한 나사 조인트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베이스 블록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 도면은 네 개의 유압피스톤들이 두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진 실시예를 나타낸다.
부재번호(60)는 유압피스톤(6)의 윗부분을 피스톤(64)에 고정시키는 나사를 나타낸다.
부재번호(61)는 한개의 그룹으로 되어 있는 두개의 유압피스톤 사이의 연결통로를 나타낸다.
부재번호(62)는 다른 그룹으로 되어 있는 두개의 유압피스톤 사이의 연결통로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베이스 블록의 단면도로서, 유압피스톤의 조정과 행정 설정의 다른 조정을 나타낸다.
부재번호(64)는 피스톤 패킹들을 구비한 유압피스톤을 나타낸다.
부재번호(65)는 그 안에 유압피스톤(64)이 장착된 유압실린더를 나타낸다.
부재번호(66)는 행정 조절의 선택적 실시예인 세트핀/스핀들 세트를 나타낸다. 해결책은 DC모터(68)가 회전방향에 따라 베이스 블록 안의 스레드(thread)를 통해 세트핀(66)의 상단을 위아래로 움직이는 축을 회전시키는 것을 바탕으로 한다.
다른 행정 조절 방법과 같이 이 해결책 역시 유압시스템의 압력이 조정가능한 멈춤/세트핀(66)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고 이에 의해 위에 언급된 이전의 덴마크 특허출원과 차원을 달리 하는 것일 수 있다.
부재번호(67)는 세트핀(66)과 DC모터(68)를 연결하는 커플링 부품을 나타낸다.
도 9는 행정의 제한은 믈론 공통의 행정 멈춤을 이용하는 베이스 블록(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유압실린더(101)내의 유압피스톤들(102)은 각각 다른 쪽 끝에 있는 모든 유압피스톤들을 위하여 분배판(104)과 그리고 공통의 멈춤부재(103)에 의해 제한된다. 행정은, 윤활행정이 실행되는 경우 복귀스프링(100)이 유압피스톤(102)과 공급피스톤(21)을 복귀시키도록 분배판(104)에 고정된 편심축(3)을 통해 조정된다.
고정커버(105)는 윤활행정이 끝났을 때 공급피스톤들이 "추종하강"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 커버는 공급피스톤들(21)이 약간 움직일 수 있게 설계된다.
도 10은 분배판(7)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부재번호(7)는 그 안으로 개별적인 공급피스톤들(21)이 변위되는 홈을 구비한 분배판을 나타낸다.
부재번호(9)는 분배판(7)과 펌프블록(17) 사이의 복귀스프링을 나타낸다.
부재번호(21)는 공급피스톤들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1의 시스템에 실제로 대응하는 개략도를 나타낸다. 추가로 각각 선박 엔진제어용 인터페이스(268)와 중앙 사용자 인터페이스(269)와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27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윤활장치는 장치 가동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115와 116)가 설치되는 바닥부(210)를 구비한다. 바닥부(210)의 측면에는 시스템 유압 공급 및 탱크로의 시스템 유압 복귀를 위해 나사 조인트(142, 143)들이 제공된다.
구동오일은 두개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공급될 수 있는데, 그중 하나는 주 솔레노이드 밸브(116)이고 다른 하나는 보조 솔레노이드 밸브(115)이다.
초기위치에서는 주 솔레노이드 밸브(116)가 작동한다. 구동오일은 이 결과 관련된 공급 나사 조인트(142)로부터 주 솔레노이드 밸브(116)로 그리고 스위치 밸브(117)을 거쳐 관련 유압 피스톤 그룹에 대한 분배통로(145)를 통해 장치안으로 안내된다. 이 상태가 도 15에 도시된다.
주 솔레노이드 밸브(116)가 고장난 경우 보조 솔레노이드 밸브(115)를 자동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밸브는 보조 솔레노이드 밸브(115)를 가동함으 로써 연결된다. 이 상태는 도 16에 도시된다.
관련된 분배통로(146)는 이 결과 가압된다. 이 압력은 스위치 밸브(117)가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하고 그것에 따라 주 솔레노이드 밸브(116)와 관련된 분배통로(145) 사이의 연결이 차단된다. 이 결과 압력은 솔레노이드 밸브(116)에 연결된 유압피스톤으로부터 제거된다.
보조 솔레노이드 밸브(115)가 작동함으로써 관련된 분배통로(146)와 관련된 유압피스톤들이 가압된다. 이는 분배판(7)이 보조 솔레노이드 밸브(115)를 통해 장치 안으로 안내된 오일에 의해 구동되게 한다.
스위치 밸브(117)는 스프링(119)을 구비할 수 있다. 보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한 압력공급이 부족할 경우 이 스프링이 자동적으로 스위치 밸브(117)를 상술한 초기위치로 복귀시킬 것이다.
이 스위치 밸브에는 이러한 스위치 밸브의 복귀가 지연될 수 있도록 제한기가 장착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스위치 밸브(117)가 작동들 사이에서 앞뒤로 움직이는 것을 피하거나 제한한다. 도 12에서는 이 제한이 드레인 핀(118)과 스위치 밸브(117) 사이에 형성된 슬롯에 의해 결정된다.
각 솔레노이드 밸브가 별개의 유압피스톤 그룹에 연결되면 솔레노이드 밸브 사이의 독립성이 보장된다. 주 솔레노이드 밸브(116)와 보조 솔레노이드 밸브(115)사이에서 절환될때, 스위치 밸브(117)는 주 솔레노이드 밸브가 막히더라도 유압피스톤의 1차 그룹으로부터 압력이 제거되고 이에 따라 보조 솔레노이드 밸브(115)의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보장한다.
부재번호(121)는 블랭킹나사(blanking screw)를 나타낸다.
부재번호(122)는 부분적으로 스위치 밸브(117)의 멈춤쇠(120)용 최종 멈춤부로 작용하고 부분적으로 패킹(미도시)을 통해서도 밀봉기능을 갖는 결합 블랭킹나사/최종멈춤부를 나타낸다.
유압피스톤(6) 위에 분배판(7)이 있다. 이 판은 상부 분배판 부재(125)와 하부 분배판 부재(123)를 가진 두 부분의 설계로 도시되어있다. 공급피스톤(21)은 상부 분배판 부재(125)안에 장착된다. 구동과 윤활을 위해 다양한 오일이 사용되는 장치에서는 상부 및 하부의 분배판 부재 사이에 피스톤 패킹(124)이 있다. 이론적으로 윤활유뿐만 아니라 구동오일을 위해 한가지 종류의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충분할 수도 있다.
공급피스톤들(21) 주위에는 유압피스톤(6)에 공급압력을 차단한 후 피스톤(21)을 복귀시키는 공통의 복귀스프링(9)이 있다. 복귀스프링(9) 주위에는 베이스 블록(111)에 의해 외부적으로 경계가 정해지는 작은 윤활유 저장소(147)가 있다. 윤활유는 패킹(138과 139)을 구비한 별도의 나사 조인트를 통해 공급된다. 이 장치에는 패킹(15와 16)을 구비한 통기나사가 임의선택사항으로서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 블록(111) 위에는 공급피스톤들(21)이 왕복운동을 위해 배치된 곳에 실린더 블록(112)이 위치한다. 공급피스톤(21) 위에는 펌프챔버(148)가 있다. 이 챔버에는 스프링으로 가압되는 미복귀 밸브 볼을 구비한 개구가 있다. 그리고 실린더벽의 미복귀 밸브/SIP밸브와 직접 연결된 나사 조인트(128)가 제공된다.
행정을 조절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웜휠(130)을 통해 세트핀/세트나 사(66)상의 위치를 변화시켜 행정을 조절하는 웜드라이브(131)에 모터(132)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행정이 멈추는 위치를 변화시켜 행정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고정된 원점이 사용되고 그 결과 행정이 조절되는 이전의 실시예와 다르다.
실제 행정 길이를 제어하기 위해서 센서/픽업 유닛(114)은 예를 들어 인코더나 전위차계의 형태로 행정을 감지하기 위한 세트핀/세트나사(66)에 연속하여 장착된다.
부재번호(113)는 세트핀/세트나사 배열을 위한 하우징을 나타낸다.
부재번호(124)는 각각 바닥의 구동오일측의 유압피스톤(6)을 바이패스하는 누유오일과 상부의 윤활유를 구비하는 두개의 공간(149와 147) 사이의 피스톤 패킹 의 밀봉부를 나타낸다.
부재번호(127)는 베이스 블록(111)과 실린더 블록(112) 사이의 오링 밀봉부를 나타낸다.
부재번호(133)는 웜휠(130)의 베어링 케이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나사를 나타낸다.
부재번호(134)는 바닥부(210)와 베이스 블록(111) 사이의 오링밀봉부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12와 비교해서 반대쪽에서 바라본 것으로서 도 12에 도시된 윤활장치의 부분적인 상세측면도를 나타낸다.
부재번호(15)는 패킹(16)을 구비한 통기나사를 나타낸다.
부재번호(132)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웜드라이브와 웜휠(130, 131)을 통해 행정을 조절하는데 쓰이는 DC모터를 나타낸다.
부재번호(137)는 센서/픽업 유닛(114)을 위한 하우징을 나타낸다.
부재번호(138)는 패킹(139)을 구비한 필링 나사 조인트(filling screw joint)를 나타낸다.
도 14는 분배판(7)의 움직임을 감지하는데 쓰이는 센서(14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센서(140)는 구멍을 밀봉하기 위하여 나사 조인트(141)와 함께 구멍 안에 배치된다.
센서(140)로부터 피드백이 지연 또는 누락되었을 경우 로컬 제어 유닛(254)은 소정의 고장 표시 시간이 지난 후에 보조 솔레노이드 밸브(115)로 절환시키고 동시에 중앙 컴퓨터(253)에 통보한다.
도 17은 실린더 윤활유 양의 다른 조정 방법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한 다른 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유체 피스톤들의 여러 그룹들이 상당량의 윤활유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도시된 실시예는 두 가지 다른 종류의 유압피스톤(6과 150)을 나타내고 있지만 다른 피스톤들을 구비한 복수의 그룹이 있을 수 있다.
유압피스톤들의 각 그룹은 각자의 행정 길이에 따라 작동한다. 한 그룹의 피스톤(150)이 동작하면 행정(151)이 생길 것이다. 다른 그룹의 피스톤(6)이 동작하면 행정(152)이 생길 것이다.
윤활유의 양은 두개의 행정 (151과 152)의 사용을 조합시키는 알고리즘을 작성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행정들(151과 152)의 범위내에서 윤활유 양의 대략적인 무단 조절이 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원리는 핀(150')이 분배판(7)의 구멍을 통해 뻗어있는 상태로 한 그룹의 피스톤들(150)에 속하는 피스톤들이 연장되어 이에 의해 분배판(7)이 극단위치로 가지 않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두 번째 피스톤 그룹(6)에 속하는 피스톤들이 작동되면 분배판(7)은 극단위치로 이동하여 베이스 블록(111)에 의해 멈춰질 것이다.
윤활장치는 다음 작동 모드를 갖는다:
윤활장치는 언급된 바와 같이 두개의 내장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는다. 펌프 사이클이 개시되면 솔레노이드 밸브(20)가 개방되어 시스템 압력(전형적으로 40에서 120 바아 사이)이 장치 내부로 공급되고 유압챔버가 가압된다.
압력을 가함으로써 유압피스톤은 바닥으로 이동하고 이 피스톤과 함께 윤활유를 위한 공급피스톤도 바닥으로 이동하게 되고 공급피스톤 전방 공간의 윤활유가 스프링 가압식 미복귀밸브를 통해 밀려나온다.
공급피스톤이 바닥위치에 도달하여 위치센서를 가동시킨 후 상위 제어부가 센서를 기록하고 행정이 실행되었는지 체크할 수 있다.
이어서 솔레노이드 밸브는 입구쪽이 닫히고 정해진 시간이 지난 후 개구쪽이 개방되어 압력이 제거된다. 스프링은 분배판을 누르고 이 결과 유압피스톤을 원위치로 밀어줌과 동시에 새 윤활유가 공급유닛의 실린더 챔버로 빨려 들어오게 된다.
공급피스톤의 행정길이는 편심축을 돌림으로써 전자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편심축을 사용하여 행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편심축과 분배판 사이에 세트핀이 배치된다.
각 윤활점은 공급유닛의 실린더 챔버에 있을지 모르는 공기가 이로써 제거될 수 있도록 통기나사를 갖는다.
만약 어떤 시스템오일이나 윤활유가 각각의 피스톤을 통해 누출된다면 이 누출된 오일은 모아져서 윤활장치로부터 전부 배출될 수 있다.

Claims (15)

  1. 선박엔진에서의 실린더 윤활유 공급시스템용 유압윤활장치로서,
    유압 오일을 공급하기 위하여 한개 이상의 밸브를 통해 윤활장치와 연결된 공급라인(265)과 복귀라인(266);과
    상기 공급라인(265)을 통하여 각각 유압피스톤(6)을 갖는 유압실린더(65)들과 연결되고 유압오일에 의해 압력을 받을 수 있는 중앙 유압오일 공급펌프(261);
    엔진내의 다수의 실린더 수에 대응하는 다수의 주입유닛으로서, 각각 공급피스톤(21)을 구비한 공급실린더(20)와 연결된 다수의 주입유닛;
    상기 주입유닛의 공급실린더(20)로의 윤활유 공급라인(267);
    한쪽에서 상기 공급피스톤(21)과 접촉하는 분배판(7);을 포함하고서,
    상기 분배판(7)이, 상기 공급피스톤(21)을 작동시키는 이 분배판(7)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다른 쪽에서 두개 이상의 유압피스톤(6)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윤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세개 이상의 유압피스톤들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윤활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공급피스톤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분배판이 공급피스톤들에 수직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윤활장 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압피스톤들이 두개 이상의 그룹들로 제공되며 각 그룹은 다른 그룹들과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윤활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분배판의 이동과 실린더 윤활유 부분의 공급실행을 기록하기 위한 적어도 한개의 감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윤활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모든 유압실린더가 같은 중앙 유압오일 공급 펌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윤활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유압실린더들이 그룹으로 배치되어 각자의 별도 유압 오일 공급 펌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윤활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각 분배판을 위한 감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윤활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각 윤활행정에서 주입된 실린더 윤활유의 체적을 조정하기 위해 세트핀 또는 세트나사를 통해 분배판과 맞물리고 이에 따라 공급피스톤들과 맞물리는 세팅수단을 구비한 조정유닛과, 상기 세팅을 위한 세팅수단과 맞물리는 제어가능한 액츄에이터 또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윤활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윤활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고, 감시하며,또는 감지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또는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윤활장치.
  11. 청구항 4에 있어서, 감시 센서는 분배판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윤활장치 내에 제공된 유도 센서(induction send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윤활장치.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개별적으로 교체가능하며, 2-4개의 블록으로 구성된 그룹들로 분할되고, 각 그룹은 분배판을 갖고, 복수의 밸브 셋트들이 장착되어 각 블록에 대하여 다른 작동 시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윤활장치.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유압 피스톤들이 그룹으로 제공되고, 각 그룹은 공급피스톤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분배판을 변위시키도록 배치되며, 작동되는 유압피스톤들의 그룹에 따라 각 그룹의 유압피스톤들이 윤활유의 개별적인 양 조절이 실행되도록 각각 개별적인 행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윤활장치.
  14. 선박 엔진에서의 실린더 윤활유 공급을 위한 방법으로서,
    각각 유압피스톤(6)을 갖고 있으며 유압 오일에 의해 압력을 받는 유압실린더(65)들과 연결된 유압 오일 공급 시스템을 이용하여 윤활장치로의 그리고 윤활장치로부터의 유압 오일의 공급라인(265)과 복귀라인(266)을 통해 유압 오일 압력을 공급하는 단계;와
    공급라인(267)을 통해 실린더 윤활유를 공급하고 또 엔진내의 다수의 실린더 수에 대응하는 다수의 주입 유닛을 통해 실린더 윤활유를 공급하고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서,
    상기 주입유닛들이 각각 공급피스톤(21)을 구비하는 공급실린더(20)와 연결되고, 분배판(7)의 일측이 공급피스톤(21)과 접촉하는, 실린더 윤활유 공급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분배판(7)이, 상기 공급피스톤(21)을 작동시키는 이 분배판(7)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다른 쪽에서 두개 이상의 유압피스톤(6)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윤활유 공급을 위한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컴퓨터로 제어하고, 감시하며, 또는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윤활유 공급을 위한 방법.
KR1020097002351A 2006-07-21 2007-07-19 실린더 윤활유 공급 시스템용 윤활장치와 실린더 윤활유 공급방법 KR1013966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0601005 2006-07-21
DK200601005A DK200601005A (da) 2006-07-21 2006-07-21 Smöreapparat til et doseringssystem for cylindersmöreolie samt fremgangsmåde til dosering af cylindersmöreolie
PCT/DK2007/000364 WO2008009291A1 (en) 2006-07-21 2007-07-19 Lubricating apparatus for a dosing system for cylinder lubrication oil and method for dosing cylinder lubricating o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109A KR20090032109A (ko) 2009-03-31
KR101396610B1 true KR101396610B1 (ko) 2014-05-16

Family

ID=38956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351A KR101396610B1 (ko) 2006-07-21 2007-07-19 실린더 윤활유 공급 시스템용 윤활장치와 실린더 윤활유 공급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210317B2 (ko)
EP (1) EP2044300B1 (ko)
JP (1) JP4981906B2 (ko)
KR (1) KR101396610B1 (ko)
CN (1) CN101512112B (ko)
AT (1) ATE498093T1 (ko)
DE (1) DE602007012440D1 (ko)
DK (2) DK200601005A (ko)
HK (1) HK1132026A1 (ko)
HR (1) HRP20110195T1 (ko)
NO (1) NO337582B1 (ko)
PL (1) PL2044300T3 (ko)
RU (1) RU2451796C2 (ko)
WO (1) WO20080092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915B1 (ko) 2023-05-02 2024-02-27 김성훈 정량 토출 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76934B1 (da) * 2007-05-18 2010-05-31 Hans Jensen Lubricators As Smøreapparat samt fremgangsmåde til dosering af cylindersmøreolie
DK2177720T3 (da) * 2008-10-16 2014-06-30 Wärtsilä Schweiz AG Stor dieselmotor
DK177746B1 (da) * 2009-06-23 2014-05-26 Hans Jensen Lubricators As Fremgangsmåde til cylindersmøring af store dieselmotorer såsom skibsmotorer
US20110308493A1 (en) * 2010-06-17 2011-12-22 Mitchell Robert L Pre start friction protection system
DK177242B1 (da) 2011-03-22 2012-08-06 Hans Jensen Lubricators As Injektor, doseringssystem samt fremgangsmåde til indsprøjtning af cylindersmøreolie i store cylindre i en dieselmotor
KR101506313B1 (ko) * 2012-05-15 2015-03-26 맨 디젤 앤드 터보 필리얼 아프 맨 디젤 앤드 터보 에스이 티스크랜드 실린더 윤활 장치
KR101467429B1 (ko) * 2012-05-15 2014-12-01 맨 디젤 앤드 터보 필리얼 아프 맨 디젤 앤드 터보 에스이 티스크랜드 대형 저속 2-행정 디젤 엔진용 실린더 윤활 장치 및 실린더 윤활 장치의 작동 방법
DK177669B1 (da) 2012-09-25 2014-02-10 Hans Jensen Lubricators As Injektionsdyse til brug ved olieinjicering af olie for smøring af cylindre i større motorer samt anvendelse heraf
CN102966408A (zh) * 2012-11-05 2013-03-13 浙江新柴股份有限公司 活塞式机油限压阀装置
JP6574440B2 (ja) * 2014-03-25 2019-09-11 ハンス イェンセン ルブリケイターズ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シリンダに潤滑油を注油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WO2015183567A1 (en) * 2014-05-28 2015-12-03 Polyera Corporation Low power display updates
DE102014210909B4 (de) * 2014-06-06 2019-03-07 Skf Lubrication Systems Germany Ag Schmiermittelpumpe
CN104110289B (zh) * 2014-07-02 2017-03-22 武汉理工大学 电控气缸注油分配器
DK178164B1 (en) * 2014-07-29 2015-07-13 Hans Jensen Lubricators As A method for lubricating large slow running two-stroke diesel engines
RU2578754C1 (ru) * 2014-12-30 2016-03-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Пензе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ПО "Пензе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масла в двс
US10247066B2 (en) * 2015-08-11 2019-04-02 Yamada Manufacturing Co., Ltd. Relief valve device
JP6499123B2 (ja) * 2015-08-11 2019-04-10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リリーフバルブ装置
US10731527B2 (en) * 2015-10-28 2020-08-04 Hans Jensen Lubricators A/S Large slow-running two-stroke engine with sip lubricant injector
RU2619663C1 (ru) * 2015-12-14 2017-05-1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пром трансгаз Сургут" Устройство стабилизации давления масла в системе смазки газоперекачивающего агрегата
RU2619517C1 (ru) * 2015-12-14 2017-05-1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пром трансгаз Сургут" Способ стабилизации давления масла в системе смазки газоперекачивающего агрегата
DK179118B1 (en) * 2016-08-17 2017-11-13 Man Diesel & Turbo Filial Af Man Diesel & Turbo Se Tyskland Cylinder lubrication apparatus for a large two-stroke compression-igni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IT201600108856A1 (it) * 2016-10-27 2018-04-27 Dropsa Spa Pompa pneumatica di lubrificante ad immersione
RU2659635C1 (ru) * 2017-06-23 2018-07-0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пром трансгаз Сургут" Способ стабилизации перепада давления в системе уплотнения газоперекачивающего агрегата
RU2660743C1 (ru) * 2017-06-23 2018-07-0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пром трансгаз Сургут" Способ стабилизации перепада давления в системе уплотнения газоперекачивающего агрегата
DK179945B1 (en) * 2017-12-13 2019-10-21 Hans Jensen Lubricators A/S A large slow-running two-stroke engine and a method of lubricating it and a controller for such engine and method
US10767813B2 (en) * 2017-12-21 2020-09-08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Lubricant injector
US10774989B2 (en) * 2017-12-21 2020-09-15 Lincoln lndustrial Corporation Lubricant injector with improved piston
DE102018101772B4 (de) * 2018-01-26 2022-06-23 Ifm Electronic Gmbh Schmierstoffverteileranordnung
DK179946B1 (en) * 2018-07-06 2019-10-21 Hans Jensen Lubricators A/S A METHOD FOR OPTIMIZING LUBRICATION IN A LARGESLOW RUNNING TWO-STROKE ENGINE
CN108692172B (zh) * 2018-07-06 2023-08-15 浙江流遍机械润滑有限公司 气动行程分流式多点油脂润滑泵
DK180164B1 (en) 2019-05-01 2020-07-06 Man Energy Solutions Filial Af Man Energy Solutions Se Tyskland Multi-lubricant cylinder lubrication system for a large two-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10486613A (zh) * 2019-09-07 2019-11-22 江苏中科朗润智能科技有限公司 分配器在线动作实时压力监测系统
CN111230011B (zh) * 2020-01-17 2020-09-18 荣成华东锻压机床股份有限公司 一种机械压力机制动器自动测控润滑装置
CN114383031B (zh) * 2020-10-22 2023-02-24 南京贝奇尔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容积卸压式集中润滑的定量注油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73506A5 (en) * 1987-11-05 1990-03-15 Sulzer Ag Cylinder lubrication device for IC engine - has common hydraulic drive coupled to piston-cylinder system for each lubrication stroke around wall of each engine cylinder
WO2002035068A1 (en) 2000-10-24 2002-05-02 Hans Jensen Lubricators A/S Dosing system
EP1426571A2 (en) * 2002-11-28 2004-06-0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Cylinder lubricating apparatus
WO2006002632A1 (en) 2004-06-30 2006-01-12 Hans Jensen Lubricators A/S Method and apparatus for lubricating cylinder surfaces in large diesel engine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68800A (en) * 1928-05-03 1932-07-26 Kreidel Hans Central lubricating device, especially for motor driven vehicles
GB834533A (en) 1955-02-04 1960-05-11 David William Edgar Kyle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DE2827626A1 (de) * 1978-04-24 1979-10-25 Burmeister & Wains As Verfahren beim schmieren der zylinderlaufflaechen einer kolbenmaschine und schmiersystem zur ausuebung dieses verfahrens
JPS6045710A (ja) * 1983-08-23 1985-03-12 Nachi Fujikoshi Corp ディ−ゼルエンジン注油装置
SU1562482A1 (ru) * 1987-09-21 1990-05-07 А.С,Пилюгин, Ю.Н.Довиденко, В.М.Богач, В.А.Вузовский, Л.К.Крыштын, Н.И.Муха и О.Н.Занько Система смазки цилиндра двигател
DE19581076T1 (de) 1994-09-21 1998-04-16 Jensens Hans Maskinfabrik Zentrale Schmiereinrichtung mit einem Stellglied
DK173288B1 (da) * 1996-10-11 2000-06-13 Man B & W Diesel As Cylindersmøreenhed til en flercylindret forbrændingsmotor, og fremgangsmåde til styring af leveringsmængden fra en cylinder
US6457038B1 (en) * 1998-03-19 2002-09-24 Isochron Data Corporation Wide area network operation's center that sends and receives data from vending machines
EP1129275B1 (en) * 1998-11-05 2003-04-16 Hans Jensen Lubricators A/S Lubrication system for large diesel engines
US6058900A (en) * 1999-07-20 2000-05-09 Brunswick Corpora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improved cylinder wall lubrication system
DK173512B1 (da) 1999-12-22 2001-01-22 Man B & W Diesel As Cylindersmøresystem til en flercylindret forbrændingsmotor
JP2004239157A (ja) * 2003-02-06 2004-08-26 Hitachi Zosen Corp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における注油装置
DK176366B1 (da) * 2005-11-21 2007-10-01 Hans Jensen Lubricators As Smöreapparat til et doseringssystem for cylindersmöreolie samt fremgangsmåde til dosering af cylindersmöreolie
DK176934B1 (da) * 2007-05-18 2010-05-31 Hans Jensen Lubricators As Smøreapparat samt fremgangsmåde til dosering af cylindersmøreolie
US8230835B2 (en) * 2009-03-10 2012-07-3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mergency engine lubrication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73506A5 (en) * 1987-11-05 1990-03-15 Sulzer Ag Cylinder lubrication device for IC engine - has common hydraulic drive coupled to piston-cylinder system for each lubrication stroke around wall of each engine cylinder
WO2002035068A1 (en) 2000-10-24 2002-05-02 Hans Jensen Lubricators A/S Dosing system
EP1426571A2 (en) * 2002-11-28 2004-06-0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Cylinder lubricating apparatus
WO2006002632A1 (en) 2004-06-30 2006-01-12 Hans Jensen Lubricators A/S Method and apparatus for lubricating cylinder surfaces in large diesel engin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915B1 (ko) 2023-05-02 2024-02-27 김성훈 정량 토출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044300T3 (da) 2011-05-09
US20100006056A1 (en) 2010-01-14
ATE498093T1 (de) 2011-02-15
KR20090032109A (ko) 2009-03-31
EP2044300B1 (en) 2011-02-09
CN101512112A (zh) 2009-08-19
CN101512112B (zh) 2011-12-14
RU2009104328A (ru) 2010-08-27
DE602007012440D1 (de) 2011-03-24
HK1132026A1 (en) 2010-02-12
HRP20110195T1 (hr) 2011-05-31
US8210317B2 (en) 2012-07-03
JP2009544879A (ja) 2009-12-17
PL2044300T3 (pl) 2011-07-29
WO2008009291A1 (en) 2008-01-24
RU2451796C2 (ru) 2012-05-27
EP2044300A1 (en) 2009-04-08
DK200601005A (da) 2008-01-22
NO337582B1 (no) 2016-05-09
NO20090432L (no) 2009-01-28
EP2044300A4 (en) 2010-06-09
JP4981906B2 (ja)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610B1 (ko) 실린더 윤활유 공급 시스템용 윤활장치와 실린더 윤활유 공급방법
DK176934B1 (da) Smøreapparat samt fremgangsmåde til dosering af cylindersmøreolie
RU2416030C2 (ru) Сма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ы дозирования масла для смазки цилиндра и способ дозирования этого масла
DK173288B1 (da) Cylindersmøreenhed til en flercylindret forbrændingsmotor, og fremgangsmåde til styring af leveringsmængden fra en cylinder
WO2009015666A1 (en) Lubricating apparatus and hydraulic piston for engine cylinder lubrication
JP5184883B2 (ja) 大型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シリンダ表面を潤滑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3038465B (zh) 用于气缸润滑的中央润滑系统
RU248957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мазывания цилиндров и большой дизельный двигатель, содержащий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DK173512B1 (da) Cylindersmøresystem til en flercylindret forbrændingsmotor
EP1319828B1 (en) Electrically driven hydraulic pump actuator
CN112283402A (zh) 一种注油润滑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