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536B1 - 부품실장기의 이형 부품 자동 등록방법 - Google Patents

부품실장기의 이형 부품 자동 등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536B1
KR101396536B1 KR1020080107898A KR20080107898A KR101396536B1 KR 101396536 B1 KR101396536 B1 KR 101396536B1 KR 1020080107898 A KR1020080107898 A KR 1020080107898A KR 20080107898 A KR20080107898 A KR 20080107898A KR 101396536 B1 KR101396536 B1 KR 101396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stered
new registration
registration target
center position
targe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8640A (ko
Inventor
이강인
곽현주
강선정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7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536B1/ko
Publication of KR20100048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부품실장기의 이형 부품 자동 등록방법은, 부품실장기에서 신규 등록대상 이형부품을 인식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및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영상만을 지정하여 확대된 영상을 보여주기 위하여, 마우스로 화면의 영역을 지정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영상에 표현되는 외형패턴을 이용하여 기존정보에서 가장 유사한 부품정보를 검색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검색부품이 없을 경우, 새로운 중심위치 값을 가지는 신규 등록대상부품을 바로 등록하고, 검색된 기존 등록부품이 있지만 재등록할 경우, 기존 등록부품의 중심위치와 상기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위치 오차 값을 계산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에서 계산된 기존 등록부품의 중심위치와 일치되도록, 상기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위치 오차 값을 자동으로 보상하여 등록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이형부품 자체의 외형패턴 구간 거리를 계산하여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등록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어 부품 등록을 정확하게 이룰 수 있고, 기존 등록부품의 위치 값과 동일하게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 위치 값을 자동으로 보상하여 적용할 수 있어 부품 등록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부품실장기, 이형 부품, 등록, 인식, 중심, 보상

Description

부품실장기의 이형 부품 자동 등록방법{electronic component registration method}
본 발명은 부품실장기의 부품 등록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이형부품 자체의 외형패턴 구간 거리를 계산하여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등록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고, 기존 등록부품의 중심위치 값에 동일하게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 위치 값을 보상하여 적용할 수 있는 부품실장기의 이형 부품 자동 등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품실장기에서 부품을 실장하기 위해서는 부품의 정보 등록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부품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부품의 정보를 미리 등록해야만 한다.
즉, 미리 등록된 기존 부품의 정보를 이용하여 유사한 부품의 경우 신규로 등록하지 않고 기존 부품 등록 정보를 활용해 실장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신규로 등록될 부품이 이전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등록 대상 부품을 신규로 등록할 수 있다.
최근에는 전자 제품의 소형화가 진행되면서 SMD(Surface Mounted Device)와 같이 고기능을 가지는 소형집적회로가 다양한 형태 즉, 기하학적인 이형 부품의 형태로 제작되는 것들이 많다. 때문에 이형 부품을 정확하게 실장 할 수 있도록 부품을 등록하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부품실장기의 제어부에 기하학적 형태를 가지는 이형 부품을 등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부품의 선, 원, 각형 및 코너 등의 기하모형의 조합으로 부품을 정의하여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형태 및 표식의 지정과 치수를 직접 기재하는 방법으로 부품을 정의하여 등록을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품등록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부품의 정보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부품등록 시간이 지연될 뿐 아니라,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부품 등록의 정확성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품실장기의 제어부에 기하학적 형태를 가지는 이형 부품을 등록하기 위한 방법에서는, 기존 등록 부품과 신규로 등록될 부품의 상대적인 위치는 정의가 가능하지만 절대 위치는 정의할 수 없다. 즉 신규로 부품을 등록할 때마다 부품의 중심 위치가 변경되기 때문에 기존 등록 부품의 중심 위치와 동일하게 신규로 등록될 부품의 중심 위치를 변경해주어야 한다.
이는, 부품이 유사하다고 판단되었다 하더라도, 중심 위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부품실장기에서 기판상으로 실장 될 때 동일 부품이더라도 다른 위치에 실장 될 수 있다. 때문에, 동일 부품을 재등록할 경우에는 부품의 중심을 미리 확인하여 수동적으로 등록 부품의 중심 위치 값을 보정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부품의 중심 위치 값이 변경될 수 있고, 이 에 따라 부품 실장 시 정확한 실장이 이루어지지 않아 불량 발생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부품의 외형패턴(전체적인 모양 등)을 매칭하여 부품을 등록하는 방법들에 모두 해당되는 문제점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형 부품들에 있어서도 작업자의 숙련도 및 수기에 의존하지 않고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자동으로 기존에 저장된 부품의 정보를 일괄적으로 추출하여 등록하는 방법과, 동일한 부품을 재등록할 때 기존 등록 부품의 중심 위치와 등록 대상부품의 중심 위치의 오차 값을 자동으로 보상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형부품 자체의 외형패턴 구간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등록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고, 기존 등록부품의 중심위치 값과의 오차 값을 보상하여 신규 부품을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는 부품실장기의 이형 부품 자동 등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품실장기에서 신규 등록대상 이형부품을 인식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및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영상만을 지정하여 확대된 영상을 보여주기 위하여, 마우스로 화면의 영역을 지정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영상에 표현된 외형패턴을 이용하여 기존정보에서 가장 유사한 부품정보를 검색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검색부품이 없을 경우 새로운 중심위치 값을 가지는 신규 등록대상부품을 바로 등록하고, 검색된 부품이 있지만 재등록할 경우에는 기존부품의 중심위치와 상기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위치의 오차 값을 계산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에서 계산된 기존 등록부품의 중심위치와 동일하게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위치 오차 값을 자동으로 보상하여 부품을 등록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단계에서 유사판단은, 기존 등록부품의 외형패턴 구간거리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외형패턴들의 구간거리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에서 확대된 영상에는,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외형패턴의 구간거리를 표시하는 기준점들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준점은 기존 등록부품과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에지부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단계에서 기존 등록부품의 구간거리정보에서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정합도가 설정된 기준 거리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5단계에서 기존 등록부품의 중심위치 값으로 신규 등록대상부품을 자동으로 등록하고, 상기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정합도가 설정된 기준 거리 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위치 값으로 자동으로 신규등록할 수 있다.
상기 제5단계는 기존 등록부품을 재등록할 경우, 신규 등록대상부품을 수정하기 위해 기존 등록부품과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영상 및 중심 위치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위치 값 수정을 할 수 있는 부분정보 수정용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이형부품 자체의 외형패턴 구간 거리를 계산하여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등록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어 부품 등록을 정확하게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 등록부품의 위치 값과 동일하게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 위치 값을 자동으로 보상하여 적용할 수 있어 부품 등록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실장기의 이형 부품 자동 등록방법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영상을 생성하는 화면을 보여주는 이미지, 도 3은 도 1에 따른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영상만을 지정하여 확대한 화면을 보여주는 이미지, 도 4는 도 1에 따른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부품등록을 완성하는 화면을 보여주는 이미지, 도 5는 도 1에 따른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부품등록을 완성하는 화면을 보여주는 이미지, 도 6은 도 1에 따른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 위치 오차 값을 수정하기 위한 부분정보 수정용 화면을 보여주는 이미지, 도 7은 도 6에 따른 기존 등록부품의 중심위치가 표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이미지, 도 8은 도 6에 따른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위치가 다르게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이미지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규 등록대상부품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제1단계(S100)와, 화면의 영역을 지정하는 제2단계(S200)와, 유사한 부품정보를 검색하는 제3단계(S300)와, 오차 값을 계산하는 제4단계(S400)와, 부품을 등록하는 제5단계(S50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계(S100)에서는 부품실장기에서 신규 등록대상 이형부품을 인식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및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영상으로 보이는 신규 등록대상부품은, 인식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부품의 외형패턴 즉, 부품의 크기, 모양 및 리드의 크기, 개수 등의 종합적인 외형패턴(전체적인 모양)을 화면에 표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계(S200)에서는 상기 제1단계(S100)에서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영상만을 따로 지정하여 확대된 영상을 보여준다. 즉 상기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영상 영역만을 마우스로 지정하여 전체 화면을 이루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영상은 부품의 전체적인 외형패턴이 확대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며, 상기 확대된 영상에는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외형패턴 부위들을 표시하는 기준점들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준점들을 이용해 신규 등록대상부품과 기존 등록 부품의 외형 패턴들의 구간 거리(에지 부위 등)를 제어부가 비교 분석하는 방식으로 부품의 유사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구간 기준점들은 사각의 점으로 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밖에 원,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에는 상기 기준점을 연결하는 선들이 표현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단계(S300)에서는 상기 제2단계(S200)에서 생 성된 상기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영상을 이용하여 기존정보에서 가장 유사한 부품정보를 검색한다.
상기 제2단계(S200)에서 유사판단은, 기존 등록부품의 외형패턴(전체적인 형상) 거리정보 즉, 에지 등에 표시된 기준점과 기준점의 구간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외형패턴 들의 구간 거리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유사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존 등록부품의 거리정보에서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기준점의 거리를 계산하여 정합도가 기준 값을 초과하면, 제어부는 유사하다고 판단하여 후술 될 제5단계(S500)에서 기존 등록부품의 중심위치 값으로 신규 등록대상부품을 등록한다.
반면, 상기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정합도가 기준 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제어부는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위치 값으로 신규등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3단계(S300)에서는, 유사한 기존 등록부품이 있지만 신규 등록대상부품을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등록 여부에 따라 이하 설명될 제4단계(S400)에서 중심 위치의 오차 값 계산 여부를 제어부에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4단계(S400)에서는 상기 제2단계(S200)에서 검색부품이 없을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중심위치 값을 가지는 신규 등록대상부품을 바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검색된 부품이 있지만 재등록할 경우에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부품의 중심위치와 상기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위치의 오차 값을 제어부에서 먼저 계산한다.
여기서, 상기 제4단계(S400)에서는 기존 등록부품을 다시 등록할 경우, 신규 등록대상부품을 수정하기 위해 기존 등록부품과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영상 및 중심 위치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4단계(S400)에서는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위치 값 수정을 위한 부분정보 수정용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부분정보 수정용 화면을 통해 보이는 화면을 통해 신규등록대상부품의 중심위치 값을 기존 등록부품의 중심위치 값과 동일하게 제어부에 설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5단계(S500)에서는 상기 제4단계(S400)에서 계산된 기존 등록부품의 중심위치와 동일하게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위치 오차 값을 자동으로 보상하여 부품을 등록한다.
상기 제5단계(S500)에서 기존 등록부품을 재등록할 경우, 신규 등록대상부품을 수정하기 위해 기존 등록부품과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영상 및 중심 위치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위치 값 수정을 할 수 있는 부분정보 수정용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부분정보 수정용 화면에는, 기존 등록부품 및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 좌표값이 표시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육안으로도 기존 등록부품과 신규등록대상부품의 중심위치 값이 다르다는 것을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오차 값 보상은 전술된 제5단계(S500)의 부분정보 수정용 화면에서 이루어지며, 신규 등록부품의 중심 위치 좌표값을,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기존 등록부품의 중심 위치 좌표값과 동일하게 보상하여 등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이형부품 자체의 외형패턴 구간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등록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고, 기존 등록부품의 위치 값에 동일하게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 위치 값을 보상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부품실장기의 이형 부품 자동 등록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실장기의 이형 부품 자동 등록방법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영상을 생성하는 화면을 보여주는 이미지.
도 3은 도 1에 따른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영상만을 지정하여 확대한 화면을 보여주는 이미지.
도 4는 도 1에 따른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부품등록을 완성하는 화면을 보여주는 이미지.
도 5는 도 1에 따른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 위치 오차 값을 수정하기 위한 부분정보 수정용 화면을 보여주는 이미지.
도 6은 도 5에 따른 기존 등록부품의 중심위치가 표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이미지.
도 7은 도 6에 따른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위치가 다르게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이미지.

Claims (6)

  1. 부품실장기에서 신규 등록대상 이형부품을 인식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및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하는 제1단계(S100);
    상기 제1단계(S100)에서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영상만을 지정하여 확대된 영상을 보여주기 위하여, 마우스로 화면의 영역을 지정하는 제2단계(S200);
    상기 제2단계(S200)에서 생성된 상기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영상에 표현되는 외형패턴을 이용하여 기존정보에서 가장 유사한 부품정보를 검색하는 제3단계(S300);
    상기 제3단계(S300)에서 검색부품이 없을 경우, 새로운 중심위치 값을 가지는 신규 등록대상부품을 바로 등록하고, 검색된 기존 등록부품이 있지만 재등록할 경우, 기존 등록부품의 중심위치와 상기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위치 오차 값을 계산하는 제4단계(S400); 및
    상기 제4단계(S400)에서 계산된 기존 등록부품의 중심위치와 일치되도록, 상기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위치 오차 값을 자동으로 보상하여 등록하는 제5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의 이형 부품 자동 등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S200)에서 유사판단은 기존 등록부품의 외형패턴 구간거리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외형패턴들의 구간거리를 비교 분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의 이형 부품 자동 등록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S200)에서 확대된 영상에는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외형패턴의 구간거리를 표시하는 기준점들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의 이형 부품 자동 등록방법.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은 기존 등록부품과 신규 등록대상품의 에지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의 이형 부품 자동 등록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S200)에서 기존 등록부품의 구간거리정보에서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정합도가 설정된 기준 거리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5단계(S500)에서 기존 등록부품의 중심위치 값으로 신규 등록대상부품을 자동으로 등록하고,
    상기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정합도가 설정된 기준 거리 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위치 값으로 자동으로 신규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의 이형 부품 자동 등록방법.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상기 제5단계(S500)는 기존 등록부품을 재등록할 경우, 신규 등록대상부품을 수정하기 위해 기존 등록부품과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영상 및 중심 위치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신규 등록대상부품의 중심위치 값 수정을 할 수 있는 부분정보 수정용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의 이형 부품 자동 등록방법.
KR1020080107898A 2008-10-31 2008-10-31 부품실장기의 이형 부품 자동 등록방법 KR101396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898A KR101396536B1 (ko) 2008-10-31 2008-10-31 부품실장기의 이형 부품 자동 등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898A KR101396536B1 (ko) 2008-10-31 2008-10-31 부품실장기의 이형 부품 자동 등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640A KR20100048640A (ko) 2010-05-11
KR101396536B1 true KR101396536B1 (ko) 2014-05-21

Family

ID=42275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898A KR101396536B1 (ko) 2008-10-31 2008-10-31 부품실장기의 이형 부품 자동 등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5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033A (ko) 2017-02-08 2018-08-17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부품 등록기
CN110686618A (zh) * 2019-11-22 2020-01-14 北京理工大学 结合全反射角定位的非球面参数误差干涉测量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278A (ja) * 1996-07-01 1998-01-23 Fuji Electric Co Ltd 設計部品の探索・登録装置
JP2003067423A (ja) 2001-08-29 2003-03-07 Nec Corp 新規採用部品登録システム
JP2004054689A (ja) 2002-07-22 2004-02-19 Nec Corp 新規採用部品チェック登録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3906780B2 (ja) 2002-11-01 2007-04-18 オムロン株式会社 部品コード変換テーブルに対するデータ登録方法、基板検査データの作成装置、登録処理用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278A (ja) * 1996-07-01 1998-01-23 Fuji Electric Co Ltd 設計部品の探索・登録装置
JP2003067423A (ja) 2001-08-29 2003-03-07 Nec Corp 新規採用部品登録システム
JP2004054689A (ja) 2002-07-22 2004-02-19 Nec Corp 新規採用部品チェック登録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3906780B2 (ja) 2002-11-01 2007-04-18 オムロン株式会社 部品コード変換テーブルに対するデータ登録方法、基板検査データの作成装置、登録処理用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記憶媒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033A (ko) 2017-02-08 2018-08-17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부품 등록기
CN110686618A (zh) * 2019-11-22 2020-01-14 北京理工大学 结合全反射角定位的非球面参数误差干涉测量方法及系统
CN110686618B (zh) * 2019-11-22 2020-09-15 北京理工大学 结合全反射角定位的非球面参数误差干涉测量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640A (ko)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33580A1 (en) Three-dimensional vision sensor
US20180021955A1 (en) Robot zero-point calibration device and method
US20170123403A1 (en) Weld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6501380A5 (ko)
KR101396536B1 (ko) 부품실장기의 이형 부품 자동 등록방법
EP2067393B1 (en) A method and system of juxtaposing components in an assembly process
WO2021103153A1 (zh) 一种对汽车内表面喷涂检测与补救的机器人的控制方法
JP2003509668A (ja) 三次元表面構造の検査装置
JP6594052B2 (ja) 組み立て設備検査方法
JP2617378B2 (ja) 部品実装装置
US2006004177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component data
JP4986760B2 (ja) 表面実装装置
US11357149B2 (en) Component orientation determination data creation device and component orientation determination data creation method
JP4890904B2 (ja) 部品位置検出方法及び装置
JP2872518B2 (ja) 画像認識位置合わせ装置
JPH0645796A (ja) 部品実装方法
KR101564696B1 (ko) 인쇄회로기판(pcb)의 역설계 장치 및 방법
JPH04340799A (ja) プリント基板及びその位置補正装置
KR101383883B1 (ko) 부품인식장치의 조명 휘도 값 조정방법
JP6862221B2 (ja) 装着使用データ管理装置
JP4349091B2 (ja) プリント基板支持装置及びプリント基板支持方法
JP2007294624A (ja) 電子部品の吸着位置補正方法及び装置
KR102063230B1 (ko) 투사형 재검사 장치 및 그 교정방법
US20220237762A1 (en) Projector assembly system and method
KR101727165B1 (ko) 3차원 카메라 모듈 측정 장치, 3차원 카메라 모듈 보정 장치 및 보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