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169B1 - 주름유공관을 통한 자연관수장치가 마련된 공원 및 도로변 대형화분 - Google Patents

주름유공관을 통한 자연관수장치가 마련된 공원 및 도로변 대형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169B1
KR101396169B1 KR1020120057182A KR20120057182A KR101396169B1 KR 101396169 B1 KR101396169 B1 KR 101396169B1 KR 1020120057182 A KR1020120057182 A KR 1020120057182A KR 20120057182 A KR20120057182 A KR 20120057182A KR 101396169 B1 KR101396169 B1 KR 101396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pper body
pipe
flowerpot
wri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997A (ko
Inventor
박재범
양진
이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20057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169B1/ko
Publication of KR20130133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6Reservoirs, separate from plant-pots, dispensing directly into root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화분에 수분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자연관수장치가 마련된 공원 및 도로변 대형화분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대형화분은 상부가 개방되면서 하부에는 스크린이 형성되어 꽃이나 나무를 심을 수 있도록 식재흙이 저장되는 상측바디를 포함하며, 상측바디의 내주면상에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막히며 외측면상에는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주름유공관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주름유공관의 개방된 상부로 유입된 물이 타공들을 통해 식재흙속으로 골고루 그리고 천천히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주름유공관의 양측에는 더 벌어진 날개판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측바디의 하부에 스크린으로 연통되면서 통으로 형성되어 상측바디를 지지하는 하측바디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하측바디의 바닥면상에는 배수공이 형성되면서 하측바디의 일정높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월류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주름유공관을 통한 자연관수장치가 마련된 공원 및 도로변 대형화분{A flowerpot for road}
본 발명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빠른 시간내에 많은 양의 물을 주며 지나가야 하는 도로변 대형화분속에 공급된 물이 어느 정도 머물고 있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배출된 물이 화분의 하부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주름유공관을 통한 자연관수장치가 마련된 공원 및 도로변 대형화분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도의 가장자리 혹은 차도의 경계선 그리고 공원 등에는 통상 도로의 환경을 개선하고 미적 감각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대형화분들을 설치해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대형화분은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항상 일정한 양의 흙이 담겨지는 상측바디(12)와, 상측바디를 고정시키기 위한 하측바디(14)로 구성된다.
이러한 도로변 대형화분(10)은 건기시 물을 주기 위해 물탱크를 싫은 차량을 이용해 차량이 운행하면서 한번에 많은 양의 물을 뿌리게 된다.
그렇지만 이와 같이 대형화분에 식재된 꽃이나 나무에 물을 주면, 물이 제대로 흡수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으며, 식물의 수분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 말라 죽거나 훼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대형화분에는 흙이 깊게 저장되어 있는데, 이러한 흙에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물이 흡수되도록 골고루 물을 주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동안 천천히 물을 주어야 하는데, 도로변 대형화분에는 오랜 시간동안 물을 줄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없는 것이 문제인 것이다. 따라서 물을 주면서 지나가게 되면, 흙의 상층부에만 일부 많은 양의 물이 적셔지는 듯 하다가 공급된 물이 화분을 넘어 외부로 다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 0183627 호(등록일자: 2000년 03월 16일, 명칭: "도로 장식용 화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대형화분의 상측바디에 주름유공관을 설치하여 화분에 수분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자연관수장치가 마련된 공원 및 도로변 대형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하측바디에 물저장부를 형성하여 이 물저장부내의 물이 증발되면서 상측바디내로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해 줄 수 있는 대형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면서 하부에는 스크린이 형성되어 꽃이나 나무를 심을 수 있도록 식재흙이 저장되는 상측바디를 포함하는 도로변 대형화분에 있어서,
상측바디의 내주면상에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막히며 외측면상에는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주름유공관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주름유공관의 개방된 상부로 유입된 물이 타공들을 통해 식재흙속으로 골고루 천천히 배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원 및 도로변 대형화분을 제공한다.
이때, 주름유공관의 양측에는 더 벌어진 날개판이 형성되며, 날개판은 상측바디의 내주면 곡률과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날개판은 상측바디의 내측면과 상당한 마찰을 갖도록 다수의 굴곡으로 형성되거나 날개판에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측바디의 하부에 스크린으로 연통되면서 통으로 형성되어 상측바디를 지지하는 하측바디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하측바디의 바닥면상에는 배수공이 형성되고, 하측바디의 일정높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월류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형화분은 주름유공관을 통해 물을 주었을 때, 주름유공관에 물이 일시적으로 머물면서 다수의 구멍을 통해 빠져나가 화분에 물의 흡수가 원활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물을 많이 주거나, 우기시 많은 물이 화분 아래로 빠지도록 되어 있어 화분의 수분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식물의 생육을 원활하게 하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대형화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화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주름유공관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며,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화분의 작용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형화분(100)은 흙이 저장되어 꽃이나 나무가 식재되는 상측바디(110)와, 이 상측바디(1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측바디(110)를 지면에서 지지해주는 하측바디(120)를 본체부로 포함하며, 상측바디(110)내에 주름유공관(13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측바디(110)와 하측바디(120)는 잘록한 허리가 형성되고, 이 허리부의 내측에 상하를 연통시켜주는 스크린(115)이 형성된다. 스크린(115)은 덩어리와 같은 이물질들은 통과하지 못하면서 물 등은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된 철망과 같은 것이다.
여기에서, 하측바디(120)는 종래에는 아래가 뚫려진 형상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하측바디(120)의 하부가 밀폐되어 있어 하측바디(120) 자체가 일정한 저장통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하측바디(120)내에 저장된 물을 임의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하측바디(120)의 하부면상에는 배수공(122)이 형성된다. 또한, 하측바디(120)내에 너무 많은 양의 물이 저장되어 상측바디(110)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하측바디(120)의 일정 높이에는 월류공(124)이 형성된다. 즉, 월류공(124)은 허리부의 아래쪽에 형성되는데, 하측바디(120)에 물이차서 월류공(124)까지 차 올라오면 월류공(124)에서 물이 다 배출되어 역류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주름유공관(130)은 주름관과 유공관이 합쳐진 것을 말하는 것으로, 상측바디(110)의 내주면상 굴곡에 따라 구부러질 수 있도록 주름관으로 구성되면서 관의 상측 입구로 유입된 물이 상측바디(110)의 내부에서 상하층간 물이 골고루 배출될 수 있도록 유공관으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주름유공관(130)의 외측에는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다수의 타공(132)이 형성되어 내부의 물을 외부로 조금씩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주름유공관(130)의 하단부는 다수의 타공(132)으로만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폐쇄되어 있는 것이 옳을 것이다.
또한, 주름유공관(130)은 동그란 파이프 자체가 독립적으로 설치되기 힘들므로 상측바디(110)의 내측에 많이 밀착될 수 있도록 주름유공관(130)의 양측에 날개판(134)이 일체로 더 형성된다. 날개판(134)은 주름유공관(130)의 길이방향 양쪽에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것으로 상측바디(110)의 내주면 곡률과 대응되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는 날개판(134)는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여러번 굴곡된 형상을 가져 마찰력을 높일 수도 있다. 또는, 날개판(134)의 뒤쪽에 돌기(136) 등을 형성하여 주름유공관(130)이 미끌어지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형화분(100)은 상측바디(110)의 가장자리측으로 다수개의 주름유공관(130)을 배치한 후, 상측바디(110)내에 식재흙을 저장한 다음 식재흙에 각종 꽃이나 나무를 심는다. 주름유공관(130)은 그 상부가 식재흙의 표면보다는 높고 상측바디(110)보다는 낮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주름유공관(130)의 하부는 식재흙의 아래쪽에 뭍히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주름유공관(130)에 의해 상측바디(110)에 공급된 물이 식재흙속으로 또는 주름유공관(130)속으로 들어가 있다가 주름유공관(130)내에 있던 물은 타공(132)을 통해 천천히 식재흙속으로 배출되어 오랜 시간동안 꽃이나 나무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많은 양의 물이 상측바디(110)에 공급되면 그 물이 스크린(115)을 통해 하측바디(120)로 내려가 저장된다. 그리고 저장되어 있던 물은 건기시에 물 공급이 없을때에는 서서히 증발되면서 다시 스크린(115)을 통해 상측바디(110)의 식재흙속으로 수분이 공급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하측바디(120)에 이물질이 쌓이거나 물이 오염될 우려가 있을때에는 하측바디(120)의 바닥면상에 형성된 배수공(122)을 열어 배출시키며, 하측바디(120)에 과다하게 물이 공급되면 일정 높이 이상의 물은 월류공(12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대형화분
110 : 상측바디 115 : 스크린
120 : 하측바디 122 : 배수공
124 : 월류공 130 : 주름유공관
132 : 타공 134 : 날개판
136 : 돌기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되면서 하부에는 스크린(115)이 형성되어 꽃이나 나무를 심을 수 있도록 식재흙이 저장되는 상측바디(110)를 포함하는 공원 및 도로변 대형화분에 있어서,
    상기 상측바디(110)의 내주면상에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막히며 외측면상에는 다수의 타공(132)이 형성된 주름유공관(130)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주름유공관(130)의 개방된 상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타공(132)들을 통해 상기 식재흙속으로 골고루 천천히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주름유공관(130)의 양측에는 더 벌어진 날개판(134)이 형성되며, 상기 날개판(134)은 상기 상측바디(110)의 내주면 곡률과 대응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원 및 도로변 대형화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134)은 상기 상측바디(110)의 내측면과 상당한 마찰을 갖도록 다수의 굴곡으로 형성되거나 날개판(134)에 돌기(13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원 및 도로변 대형화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바디(110)의 하부에 스크린(115)으로 연통되면서 통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측바디(110)를 지지하는 하측바디(12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원 및 도로변 대형화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바디(120)의 바닥면상에는 배수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바디(120)의 일정높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월류공(12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원 및 도로변 대형화분.
KR1020120057182A 2012-05-30 2012-05-30 주름유공관을 통한 자연관수장치가 마련된 공원 및 도로변 대형화분 KR101396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182A KR101396169B1 (ko) 2012-05-30 2012-05-30 주름유공관을 통한 자연관수장치가 마련된 공원 및 도로변 대형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182A KR101396169B1 (ko) 2012-05-30 2012-05-30 주름유공관을 통한 자연관수장치가 마련된 공원 및 도로변 대형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997A KR20130133997A (ko) 2013-12-10
KR101396169B1 true KR101396169B1 (ko) 2014-05-19

Family

ID=49981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182A KR101396169B1 (ko) 2012-05-30 2012-05-30 주름유공관을 통한 자연관수장치가 마련된 공원 및 도로변 대형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1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927A (ja) * 1988-07-14 1990-01-30 Yasohachi Kataoka 土中用給水・気具
KR200207920Y1 (ko) 2000-08-01 2000-12-15 정화석 통기 유지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KR200257212Y1 (ko) 2001-09-05 2001-12-24 윤광의 안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200454293Y1 (ko) 2011-01-27 2011-06-29 김상원 화분 물공급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927A (ja) * 1988-07-14 1990-01-30 Yasohachi Kataoka 土中用給水・気具
KR200207920Y1 (ko) 2000-08-01 2000-12-15 정화석 통기 유지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KR200257212Y1 (ko) 2001-09-05 2001-12-24 윤광의 안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200454293Y1 (ko) 2011-01-27 2011-06-29 김상원 화분 물공급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997A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608608U (zh) 一种用于栽种绿萝的储水自浇保湿花盆
CN204180606U (zh) 一种透气储水花盆
CN203942782U (zh) 隐埋式绿化雨水收集缓释器
CN105009973A (zh) 一种透气储水花盆
KR101012028B1 (ko) 화분 및 관수 기능을 갖는 합성목재 펜스시스템
JP4657359B2 (ja) 緑化システムおよび緑化用トレー
KR200387463Y1 (ko) 가로등 및 전신주의 지주걸이용 화분
JP3098357B2 (ja) 底面灌水式プランター
KR101396169B1 (ko) 주름유공관을 통한 자연관수장치가 마련된 공원 및 도로변 대형화분
KR200436996Y1 (ko) 걸이식화분
KR20090090645A (ko) 가로등 화분의 급수장치
KR102543474B1 (ko) 띠녹지 화분
KR101062434B1 (ko) 수목용 수공제어관
JP5116709B2 (ja) 駐車場緑化システム
KR200367577Y1 (ko) 조경용 화분
CN204435495U (zh) 一种引水导管
CN203505174U (zh) 可自动灌溉的花盆
JPH04135426A (ja) 栽培鉢に対するかん水を行うためのプランター
JP6168769B2 (ja) 栽培装置および栽培方法
JP6338058B2 (ja) 土保水量表示付きの遠隔自然給水の鉢
JP4003103B2 (ja) 自動灌水植物栽培容器
KR20110002735A (ko) 배수구멍 없는 화분
CN206078262U (zh) 一种植物墙的种植固定盒
JP3932435B2 (ja) 吊下げかん水プランター
KR20200090361A (ko) 자가 정화 및 관수기능을 갖는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