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954B1 - 티백 충전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티백 충전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954B1
KR101394954B1 KR1020120139680A KR20120139680A KR101394954B1 KR 101394954 B1 KR101394954 B1 KR 101394954B1 KR 1020120139680 A KR1020120139680 A KR 1020120139680A KR 20120139680 A KR20120139680 A KR 20120139680A KR 101394954 B1 KR101394954 B1 KR 101394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tea bag
mixture
coating liquid
forming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재
신용국
김종진
서상완
김송이
장은경
Original Assignee
이원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재 filed Critical 이원재
Priority to KR1020120139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백의 충전물로 될 복수의 원료들을 각각 분쇄하여 분말로 만드는 분말 형성 단계; 상기 분말들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혼합물 형성 단계; 상기 티백의 쳇눈과 같은 크기의 쳇눈을 갖는 쳇불을 포함하는 체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거르는 혼합물 거름 단계; 상기 체를 통과한 분말을 이용하여 코팅액을 형성하는 코팅액 형성 단계; 및 상기 코팅액을 상기 체를 통과하지 못한 분말에 분사하고 건조하는 코팅액 분사 및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티백 충전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티백 충전물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TEA BAG POWDER}
본 발명은 티백 충전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분말로 분쇄되는 물질 및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분말로 분쇄되는 물질을 티백의 충전물로 하고자 할 때, 이 충전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티백은 차를 충전물로 하는 종이 주머니를 의미한다. 이러한 티백이 뜨거운 물에 담기면 차가 뜨거운 물로 우러나오게 되는바, 티백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차를 만들어 마실 수 있게 된다.
초기에는 티백 충전물이 인삼 분말, 구기자 분말, 오가피 분말, 결명자 분말 등과 같은 단일 성분이었다. 따라서 초기의 티백으로부터는 충전물의 복합상승효과가 기대될 수 없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다양한 성분의 혼합물을 충전물로 하는 티백이 개발 및 판매되고 있는바, 소비자는 티백 하나로 여러 성분의 맛, 향 및 효능을 취할 수 있게 되었다.
여러 성분의 혼합물을 충전물로 하는 티백은 등록특허 제0409106호, 등록특허 제0616236호, 등록특허 제0509160호, 등록특허 제0913072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0409106호는 옻나무 분말, 밤나무 분말 및 갈근 분말을 혼합한 혼합물을 티백의 충전물로 하고 있고, 등록특허 제0616236호는 상황버섯 자실체 분말, 볶은 현미, 대추 분말, 치커리 분말 및 둥굴레 분말을 혼합한 혼합물을 티백의 충전물로 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0509160호는 홍삼의 잔뿌리인 홍미삼의 분말, 씨가 제거된 건대추 및 감초 분말을 혼합한 혼합물을 티백의 충전물로 하고 있으며, 등록특허 제0913072호는 황기 분말, 백출 분말, 당삼 분말, 가시오가피 분말, 두충잎 분말, 육계 분말 및 감초 분말을 혼합한 혼합물을 티백의 충전물로 하고 있다.
상기 등록특허들은 모두 각 재료들을 분쇄 및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티백에 충전시킨다.
티백의 충전물로 사용되는 혼합물이 여러 크기의 분말들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황기, 두충, 느릅나무 등은 섬유질이 많기 때문에 그 분말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크고, 둥굴레나 하수오 등은 녹말 성분이 많기 때문에 그 분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적은바, 티백의 충전물이 섬유질이 많은 물질의 분말 및 녹말 성분이 많은 물질의 분말의 혼합물이라면 이 혼합물은 여러 크기의 분말들을 포함하게 된다.
그런데, 여러 크기의 분말들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상기 등록특허들에서와 같이 바로 티백에 충전시키면 아래와 같은 문제들이 발생하게 된다.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분말들이 티백의 외부로 유출되어 티백 포장지의 내면에 묻게 되는바, 첫째, 사용자가 티백의 포장지를 개봉하였을 때 분말이 떨어져 바닥이 더러워지는 문제와, 둘째, 외부로 유출되는 분말의 양에 따라 티백마다 향, 맛 및 효능이 다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티백이 뜨거운 물에 담겨졌을 때에도 상대적으로 작은 분말들이 티백의 외부로 유출되는바, 외부로 유출된 분말이 뜨거운 물에 부유하게 되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티백 충전물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티백의 충전물로 될 복수의 원료들을 각각 분쇄하여 분말로 만드는 분말 형성 단계; 상기 분말들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혼합물 형성 단계; 상기 티백의 쳇눈과 같은 크기의 쳇눈을 갖는 쳇불을 포함하는 체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거르는 혼합물 거름 단계; 상기 체를 통과한 분말을 이용하여 코팅액을 형성하는 코팅액 형성 단계; 및 상기 코팅액을 상기 체를 통과하지 못한 분말에 분사하고 건조하는 코팅액 분사 및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티백 충전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코팅액 형성 단계는, 상기 체를 통과한 분말을 초미립자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초미립자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분말을 물과 섞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티백의 포장지를 개봉하였을 때 분말이 떨어져 바닥이 더러워지는 문제나, 티백마다 향, 맛 및 효능이 다른 문제나, 티백의 충전물이 뜨거운 물에 부유하는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티백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분말이 갖는 맛, 향 및 효능이 뜨거운 물에 우러나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티백 충전물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티백 충전물 제조방법의 코팅액 형성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티백 충전물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티백 충전물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말 형성 단계(S110)와, 혼합물 형성 단계(S120)와, 혼합물 거름 단계(S130)와, 코팅액 형성 단계(S140)와, 코팅액 분사 및 건조 단계(S150)를 포함한다.
상기 분말 형성 단계(S110)에서는 티백의 충전물로 될 복수의 원료들이 분쇄기에 의해 각각 분쇄되어 분말로 된다. 여기서 상기 원료로는 황기, 두충, 느릅나무, 둥굴레, 하수오, 인삼, 홍삼, 구기자, 오가피, 결명자, 칡 등과 같이 티백의 충전물로 알려진 다양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분말 형성 단계(S110)를 거치면 섬유질이 많은 원료(예컨대 황기, 두충, 느릅나무 등)는 상대적으로 큰 입자(이 입자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티백의 쳇눈보다 큼)의 분말로 분쇄되고, 녹말 성분이 많은 원료(예컨대 둥굴레, 하수오 등)는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이 입자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티백의 쳇눈보다 작음)의 분말로 분쇄된다.
상기 혼합물 형성 단계(S120)에서는 분말 형성 단계(S110)에서 마련된 여러 종류의 분말들이 교반기에 의해 혼합되어 혼합물로 된다. 만일 혼합물 형성 단계(120)에서 섬유질이 많은 원료의 분말 및 녹말 성분이 많은 원료의 분말이 혼합된다면, 상기 혼합물은 티백의 쳇눈보다 큰 분말 및 작은 분말을 모두 포함하게 된다.
상기 혼합물 거름 단계(S130)에서는 혼합물 형성 단계(S120)에서 마련된 혼합물이 체에 의해 걸러진다. 이때 상기 체의 쳇불(쳇바퀴에 결합된 그물 모양의 물건)로는 티백의 제조에 사용된 종이가 사용되는바, 혼합물 거름 단계(S130)를 거치면 상기 혼합물은 상기 티백의 제조에 사용된 종이를 통과할 수 있는 분말과 그렇지 않은 분말로 분리되게 된다. 한편, 상기 체의 쳇불로는 티백의 제조에 사용된 종이보다 작은 쳇눈을 갖는 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혼합물 거름 단계(S130)에서 쳇불을 통과하지 못한 분말만을 티백에 충전시키면, 티백의 충전물이 티백의 외부로 유출될 수 없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티백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쳇불을 통과한 분말의 맛, 향 및 효능을 취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코팅액 형성 단계(S140)와, 코팅액 분사 및 건조 단계(S150)를 포함한다.
상기 코팅액 형성 단계(S140)는 쳇불을 통과한 분말을 이용하여 코팅액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S142), 제2단계(S144) 및 제3단계(S146)를 포함한다.
제1단계(S142)에서는 쳇불을 통과한 분말이 초미립자 분쇄기에 의해 분쇄되어 약 300~500 마이크로미터의 초미립자 분말로 된다.
제2단계(S144)에서는 상기 초미립자 분말이 물에 섞이게 된다. 상기 쳇불을 통과한 분말은 입자가 크기 때문에 물과 잘 섞이지 않고 물에 가라앉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1단계(S142)를 거쳐 만들어진 초미립자 분말은 입자가 매우 작기 때문에 물과 잘 섞이게 된다.
상기 초미립자 분말이 섞인 물은 소정의 시간동안 상온에 노출되면 걸쭉하게 되어 점성이 높아진다. 그러나 초미립자 분말이 섞인 물이 가열된다면 걸쭉한 상태에 이르는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제3단계(S144)에서는 초미립자 분말이 섞인 물이 가열된다. 이때의 가열 온도 및 시간은 원하는 점성의 정도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초미립자 분말이 섞인 직후의 물은 완전한 액체여서 점성이 낮다. 따라서 초미립자 분말이 섞인 직후의 물을 코팅액으로 한다면, 이 코팅액이 후술되는 바와 같이 코팅액 분사 및 건조 단계(S150)에서 쳇불을 통과하지 못한 분말들에 분사되더라도 상기 분말들의 표면에는 적은 양의 코팅액이 점착될 뿐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초미립자 분말이 섞인 직후의 물을 코팅액으로 사용하지 않고, 이 물을 걸쭉하게 하여 코팅액으로 사용한다.
이상과 같은 코팅액 형성 단계(S140)를 거치면 쳇불을 통과한 분말은 걸쭉한 상태의 코팅액이 된다. 그리고 상기 코팅액 분사 및 건조 단계(S150)에서는 걸쭉한 상태의 코팅액이 쳇불을 통과하지 못한 분말에 분사된 후 건조된다.
코팅액의 분사는 자동, 반자동, 수동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자동 분사의 경우에는 무한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와 이 벨트의 상부에 설치된 분사노즐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는 쳇불을 통과하지 못한 분말들이 펼쳐 놓이고, 상기 분사노즐들로부터는 코팅액이 자동을 분사된다. 또한 반자동의 경우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펼쳐 놓인 분말들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코팅액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수동의 경우에는 고정된 작업대 상에 상기 분말들을 펼쳐 놓고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코팅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된 티백 충전물은 티백을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분말만을 포함한다. 따라서 티백의 포장지를 개봉하였을 때 분말이 떨어져 바닥이 더러워지는 문제나, 티백마다 향, 맛 및 효능이 다른 문제나, 티백의 충전물이 뜨거운 물에 부유하는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게다가 티백을 통과할 수 없는 크기를 갖는 분말의 표면에는 상기 티백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분말이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티백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분말이 갖는 맛, 향 및 효능까지도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S110 : 분말 형성 단계 S120 : 혼합물 형성 단계
S130 : 혼합물 거름 단계 S140 : 코팅액 형성 단계
S150 : 코팅액 분사 및 건조 단계

Claims (2)

  1. 티백의 충전물로 될 복수의 원료들을 각각 분쇄하여 분말로 만드는 분말 형성 단계;
    상기 분말들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혼합물 형성 단계;
    상기 티백의 쳇눈과 같은 크기의 쳇눈을 갖는 쳇불을 포함하는 체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거르는 혼합물 거름 단계;
    상기 체를 통과한 분말을 이용하여 코팅액을 형성하는 코팅액 형성 단계; 및
    상기 코팅액을 상기 체를 통과하지 못한 분말에 분사하고 건조하는 코팅액 분사 및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티백 충전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 형성 단계는,
    상기 체를 통과한 분말을 초미립자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초미립자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분말을 물과 섞는 단계;를 포함하는 티백 충전물 제조방법.
KR1020120139680A 2012-12-04 2012-12-04 티백 충전물 제조방법 KR101394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680A KR101394954B1 (ko) 2012-12-04 2012-12-04 티백 충전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680A KR101394954B1 (ko) 2012-12-04 2012-12-04 티백 충전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954B1 true KR101394954B1 (ko) 2014-05-14

Family

ID=50894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680A KR101394954B1 (ko) 2012-12-04 2012-12-04 티백 충전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9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120A (ko) * 1997-10-23 1999-05-25 뷜르 로망 엘. 아이스티용 티 백
KR20050078128A (ko) * 2004-01-30 2005-08-04 손미경 상황버섯 티백차의 제조방법
KR100521693B1 (ko) 2003-12-22 2005-10-12 배양대 헛개엑기스가 코팅된 헛개차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120A (ko) * 1997-10-23 1999-05-25 뷜르 로망 엘. 아이스티용 티 백
KR100521693B1 (ko) 2003-12-22 2005-10-12 배양대 헛개엑기스가 코팅된 헛개차와 그 제조방법.
KR20050078128A (ko) * 2004-01-30 2005-08-04 손미경 상황버섯 티백차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2232A (zh) 使用挤出或模制工艺制造重构植物材料的方法和由此获得的产品
JP2004097015A (ja) 日本茶、中国茶、ハーブ茶、健康茶あるいは漢方薬ティーバッグおよび日本茶、中国茶、ハーブ茶、健康茶あるいは漢方薬抽出方法
CN104602532A (zh) 咖啡的香化
JP2019041660A (ja) 造粒茶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89436B1 (ko) 홍삼 분말을 이용한 홍삼 과립의 제조 방법
CN103493927A (zh) 一种会议用袋泡茶的制作方法
KR101394954B1 (ko) 티백 충전물 제조방법
CN104544541A (zh) 一种真空冷冻干燥花粒电子烟油的制备方法
KR101524500B1 (ko) 티백 충전물 제조 장치
JP2014097023A (ja) 向上した溶解性を有する粉砕茶の製造方法、および当該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粉砕茶
JP3221554U (ja) 高麗人参粉末配合緑茶入りティーバッグ
CN105309668A (zh) 颗粒风味藏茶的制作方法
US2368113A (en) Method of making liquid extracts
KR20160016445A (ko) 커피원두분말 코팅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커피
CN105454494A (zh) 迷迭香香味茶及其制造方法
JP3240648U (ja) 粉末茶がこぼれにくく、緑色の水色が鮮やかなティ-バッグ
KR101147819B1 (ko) 깻잎을 주성분으로 하는 환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093843A (ja) ゴジベリー茶(ティーバッグ)の製造方法
KR20230140731A (ko) 각성 기능을 향상시킨 티백
CN207562512U (zh) 一种可拆卸不锈钢过滤网
CN112385724A (zh) 一种袋泡调味茶及其制备方法
JP6465918B2 (ja) 緑茶抽出用ティーバッグ
JPH02182178A (ja) 椎茸茶の製造法
WO2018020360A1 (en) Artificially pre-sweetened tea-bags
KR20110082252A (ko) 홍삼 식탁염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