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064B1 - 원자력용 장 튜브 세척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자력용 장 튜브 세척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064B1
KR101394064B1 KR1020140015561A KR20140015561A KR101394064B1 KR 101394064 B1 KR101394064 B1 KR 101394064B1 KR 1020140015561 A KR1020140015561 A KR 1020140015561A KR 20140015561 A KR20140015561 A KR 20140015561A KR 101394064 B1 KR101394064 B1 KR 101394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drying chamber
water
liquid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한옥
김득연
임상현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주)진공플랜트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공플랜트,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진공플랜트
Priority to KR1020140015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세척, 1차 및 2차의 탈지작업, 1차 및 2차의 수세작업, 및 건조작업이 하나의 세척건조실에서 수행될 수 있게 하고 물세척, 1차 및 2차의 탈지작업에 필요한 1차 및 2차 세척액과 1차 및 2차의 수세작업에 필요한 1차 및 2차 물을 진공을 이용하여 세척건조실에 공급 및 회수하게 하고 1차 및 2차의 탈지작업과, 1차 및 2차의 수세 작업시에 침지방식과 분사방식이 혼용으로 적용되게 하는 원자력용 장 튜브 세척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자력용 장 튜브 세척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lengthy tubes for atomic power}
본 발명은 원자력용 장 튜브 세척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자력 발전소 핵연료 피복관용 지르코늄 합금 또는 전열관용 니켈합금 장 튜브를 동시에 세척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용 장 튜브의 제조는 냉간가공공정에 의해 통상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냉간가공공정에서 만들어진 원자력용 장 튜브의 내주면과 외주면에는 유지성 오염물질이 부착되어 있게 된다.
이 유지성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종래에는 복수개의 원자력용 튜브를 개방된 테이블에 얹어 놓은 상태에서 물을 분사하여 복수개의 원자력용 장 튜브에 붙어 있는 고형 이물질을 제거한 후 작업자가 파지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복수개의 원자력용 장 튜브를 1차 세척액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척액에 침지시켰다가 빼내었다가를 반복하여 1차 탈지작업을 수행하고 그 다음 작업자가 파지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1차 탈지처리된 복수개의 원자력용 장 튜브를 2차 세척액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척액에 침지시켰다가 빼내었다가를 반복하여 2차 탈지작업을 수행하고 그 다음 작업자가 파지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2차 탈질처리된 복수개의 원자력용 장 튜브를 1차 수세탱크에 저장된 물에 침지시켰다가 빼내었다가를 반복하여 1차 수세작업을 수행하고 그 다음 작업자가 파지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1차 수세처리된 복수개의 원자력용 장 튜브를 2차 수세탱크의 저장된 물에 침지시켰다가 빼내었다가를 반복하여 2차 수세작업을 수행한 후 2차 수세처리된 복수개의 원자력용 장 튜브를 건조실에 넣어 건조하는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작업방식은 1차 및 2차의 탈지작업, 1차 및 2차의 수세작업 및 건조작업이 모두 작업자의 세심한 주위를 요하는 작업이어서 세척작업의 속도가 늦고 하나의 작업에서 다른 작업을 수행할 때 복수개의 원자력용 장 튜브를 이동시켜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0727495호에 개시된 "피복관 자동세척장치"가 적용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지만, 상기 개시된 세척장치는 짧은 길이를 가진 튜브만이 적용될 수 있는 튜브이송수단을 구비하고 있어서 장 튜브 세척에는 적용될 수 없고 더욱이, 각 작업단계 공간을 연이어서 배치한 상태에서 각 작업단계를 연속으로 처리하고 있어서 세척작업을 위한 공간이 비대해진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물세척, 1차 및 2차의 탈지작업, 1차 및 2차의 수세작업, 및 건조작업이 하나의 세척건조실에서 수행될 수 있게 하고 물세척, 1차 및 2차의 탈지작업에 필요한 1차 및 2차 세척액과 1차 및 2차의 수세작업에 필요한 1차 및 2차 물을 진공을 이용하여 세척건조실에 공급 및 회수하게 하고 1차 및 2차의 탈지작업과, 1차 및 2차의 수세작업시에 침지방식과 분사방식이 혼용으로 적용되게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하면, 세척장치가 배칫 타입이어서원자력용 장 튜브를 세척함에 있어서 종래보다 세척을 위한 세척공간과 작업자의 수고를 감소시킬 수 있고 1차 및 2차의 탈지작업과, 1차 및 2차의 수세작업시에 침지방식과 분사방식이 혼용으로 적용되어서 종래보다 세척효율이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가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원자력용 장 튜브 세척장치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세척장치(100)는 진공펌프(1), 제1 주 진공라인(L1)을 개재하여 상기 진공펌프(1)에 접속된 세척건조실(10), 제1 주 진공라인(L1) 도중에 일단이 접속된 제2 주 진공라인(L2), 상기 제2 주 진공라인(L2) 도중에 일단이 각각 접속된 복수개의 분기 진공라인(L3 내지 L6)의 타단에 각각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제1 및 제2 세척액 저장탱크(20, 30) 및 물이 담겨진 제1 및 제2 수세탱크(40, 50), 상기 세척건조실(10)의 바닥에 일단이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주액 회수라인(L7), 상기 주액 회수라인(L7)의 도중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세척액 저장탱크(20, 30)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세탱크(40, 50) 각각의 상단에 타단이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복수개의 분기액 회수라인(L8 내지 L11), 상기 제1 및 제2 세척액 저장탱크(20, 30)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세탱크(40, 50) 각각의 바닥에 일단이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복수개의 분기액 공급라인(L12 내지 L15) 및 상기 복수개의 분기액 공급라인(L12 내지 L15) 각각의 타단이 도중에 접속되어 있고 일단이 상기 세척건조실(10)의 상단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주액 공급라인(L16)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세척건조실(10)은 복수개의 장 튜브들이 서로 평행하게 뻗은 상태에서 적층될 수 있는 수납부(11)를 내장하여 포함하고 있고, 복수개의 장 튜브를 넣고 뺄 수 있게 하기 위한 개폐가능한 도어(12)를 포함하고 있고, 초음파발생부(13)를 내장하여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장 튜브의 길이방향 일측과 마주하는 일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물이나 세척액을 상기 복수개의 장 튜브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분사하는 노즐부(14)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세척건조실(10)은 일단이 세척건조실(10)의 바닥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노즐부(14)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액 순환라인(L17)과 그리고 일단이 세척건조실(10)의 바닥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노즐부(14)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물 순환라인(L1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주액 회수라인(L7)의 도중에는 세척건조실(10)의 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라인(L19)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물 순환라인(L18) 도중에는 세척건조실(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라인(L20)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 주 진공라인(L1)의 도중에는 개폐밸브(V1)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세척건조실(10)에 인접하여 통기밸브(T1)가 개재되어 있다.
즉, 상기 제2 주 진공라인(L2)은 상기 개폐밸브(V1)와 통기밸브(T1) 사이의 제1 주 진공라인(L1) 도중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분기 진공라인(L3 내지 L6) 도중 각각에도 개폐밸브(V3 내지 V6)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세척액 저장탱크(20, 30)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세탱크(40, 50) 각각에는 통기밸브(T2, T3, T4, T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분기액 회수라인(L8 내지 L11) 도중 각각에는 개폐밸브(V8 내지 V11)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분기액 공급라인(L12 내지 L15) 도중 각각에도 개폐밸브(V12 내지 V15)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액 순환라인(L17) 도중에는 액의 흐름방향에서 개폐밸브(V17a), 드레인밸브(D1), 여과망(F1), 순환펌프(P1), 및 개폐밸브(V17b)가 순차적으로 개재되어 있고, 상기 물순환라인(L18) 도중에는 물의 흐름방향에서 개폐밸브(V18a), 드레인밸브(D2), 개폐밸브(V18c), 여과망(F2), 순환펌프(P2), 및 개폐밸브(V18b)가 순차적으로 개재되어 있다.
즉, 상기 급수라인(L20)은 상기 개폐밸브(V18c)와 상기 여과망(F2) 사이의 물순환라인(L18) 도중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드레인라인(L19)의 도중에는 개폐밸브(V19)가 개재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급수라인(L20)의 도중에는 개폐밸브(V20)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세척액 저장탱크(20, 30)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세탱크(40, 50) 각각에는 도중에 개폐밸브가 개재된 물공급라인(L21, L22, L23, L24)이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도중에 개폐밸브가 개재된 드레인라인(L25, L26, L27, L28)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세척액 저장탱크(20, 30)는 세척분말을 투입하기 위한 개폐가능한 덮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척분말과 물을 혼합하기 위한 교반기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원자력용 장 튜브 세척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원자력용 장 튜브를 세척하게 된다.
먼저, 모든 개폐밸브들을 닫는다.
그 다음, 상기 제1 및 제2 세척액 저장탱크(20, 30)에 덮개를 열어 세척분말을 공급하고 물 공급라인(L21, L22)의 개폐밸브를 열어 물을 공급하여 이들을 교반기에 의해 교반하여 일정 양의 세척액을 저장해두고 통기밸브(T4, T5)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세탱크(40, 50)에 물 공급라인(L23, L24)의 개폐밸브를 열어 물을 공급하여 일정 양의 물을 저장해둔다.
그 다음, 통기밸브(T4, T5)를 닫는다.
그 다음, 세척건조실(10)의 도어(12)를 열어 복수개의 원자력용 장 튜브를 상기 수납부(12)에 적층시켜 장전한 후 도어(12)를 닫는다.
그 다음, 개폐밸브(V1, V17a, V17b, V18a, V18c)를 닫고 개폐밸브(V20, V18b, V19)를 개방한 상태에서 순환펌프(P2)를 가동하면 물이 상기 노즐부(14)를 통하여 분사되어 상기 복수개의 장 튜브에 붙어 있는 고형 이물질이 세척되게 되고 그리고 세척에 사용된 물은 고형 이물질과 함께 드레인라인(L19)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 다음, 개폐밸브(V19, V20)를 닫고 개폐밸브(V1, V3, V4, V5, V6)를 개방한 상태에서 진공펌프(1)를 가동하여 세척건조실(10), 제1 및 제2 세척액 저장탱크(20, 30) 및 제1 및 제2 수세탱크(40, 50)를 진공상태로 만든 다음, 진공펌프(1)의 가동을 중지하면서 개폐밸브(V1, V3, V4, V5, V6)를 닫는다.
그 다음, 통기밸브(T2)와 개폐밸브(V12)를 열어, 대기압의 힘으로 제1 세척액저장탱크(20)에 저장된 제1 세척액을 주액 공급라인(L16)을 경유하여 세척건조실(10)에 상기 장전된 장 튜브가 침지될 수 있는 수위까지 공급한 다음, 통기밸브(T2)와 개폐밸브(V12)를 닫고 개폐밸브(V1, V3)를 개방하면서 진공펌프(1)를 가동하여 세척건조실(10)과 제1 세척액 저장탱크(20)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개폐밸브(V1, V3)를 닫으면서 진공펌프(1)를 가동중지하고 나서 초음파발생부(13)를 가동하여 침지에 의한 1차 탈지작업을 수행한다.
그 다음, 통기밸브(T1)와 개폐밸브(V8)를 열어 세척건조실(10)의 제1 세척액이 노즐분사가 가능한 수위가 될 때까지 상기 제1 세척액을 주액 회수라인(L7)과 분기액 회수라인(L8)을 경유하여 대기압에 의해 상기 제1 세척액 저장탱크(20)에 회수시킨 다음, 통기밸브(T1)와 개폐밸브(V8)를 닫은 상태에서 개폐밸브(V17a, V17b)를 열고 순환펌프(P1)를 가동하여 상기 세척건조실(10)에 남아 있는 제1 세척액을 액 순환라인(L17)을 경유하여 순환시키면서 노즐부(14)를 통하여 제1 세척액을 상기 침지에 의한 1차 탈지처리된 복수개의 장 튜브에 분사시켜 분사에 의한 2차 탈지작업을 수행한다.
그 다음, 개폐밸브(V1, V3)를 개방하면서 진공펌프(1)를 가동하여 세척건조실(10)과 제1 세척액 저장탱크(20)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개폐밸브(V1, V3)를 닫으면서 진공펌프(1)를 가동중지하고 나서 통기밸브(T1)와 개폐밸브(V8)를 개방하여 분사에 이용된 세척건조실(10) 내의 제1 세척액을 대기압에 의해 제1 세척액 저장탱크(20)에 회수한 후, 통기밸브(T1)와 개폐밸브(V8)를 닫는다. 이 상태에서는 액순환라인(L17)에 존재하는 제1 세척액은 회수되지 못하고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그 다음, 개폐밸브(V1)를 개방하면서 진공펌프(1)를 가동하여 세척건조실(10)을 진공상태로 만든 후 개폐밸브(V1)를 닫으면서 진공펌프(1)를 가동중지하고 나서, 통기밸브(T3)와 개폐밸브(V13)를 열어, 대기압의 힘으로 제2 세척액 저장탱크(30)에 저장된 제2 세척액을 주액 공급라인(L16)을 경유하여 세척건조실(10)에 상기 장전된 장 튜브가 침지될 수 있는 수위까지 공급한 다음, 통기밸브(T3)와 개폐밸브(V13)를 닫고 개폐밸브(V1, V4)를 개방하면서 진공펌프(1)를 가동하여 세척건조실(10)과 제2세척액 저장탱크(30)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개폐밸브(V1, V4)를 닫으면서 진공펌프(1)를 가동중지하고 나서, 초음파발생부(13)를 가동하여 침지에 의한 3차 탈지작업을 수행한다.
그 다음, 통기밸브(T1)와 개폐밸브(V9)를 열어 세척건조실(10)의 제2 세척액이 노즐분사가 가능한 수위가 될 때까지 상기 제2 세척액을 주액 회수라인(L7)과 분기액 회수라인(L9)을 경유하여 대기압에 의해 상기 제2 세척액 저장탱크(30)에 회수시킨 다음, 통기밸브(T1)와 개폐밸브(V9)를 닫은 상태에서, 개폐밸브(V17a, V17b)를 열고 순환펌프(P1)을 가동하여 상기 세척건조실(10)에 남아 있는 제2 세척액을 액순환라인(L17)을 경유하여 순환시키면서 노즐부(14)를 통하여 제2 세척액을 상기 침지에 의한 3차 탈지처리된 복수개의 장 튜브에 분사시켜 분사에 의한 4차 탈지작업을 수행한다.
그 다음, 개폐밸브(V1, V4)를 개방하면서 진공펌프(1)를 가동하여 세척건조실(10)과 제2 세척액 저장탱크(30)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개폐밸브(V1, V4)를 닫으면서 진공펌프(1)를 가동중지하고 나서, 통기밸브(T1)와 개폐밸브(V9)를 개방하여 분사에 이용된 세척건조실(10) 내의 제2 세척액을 대기압에 의해 제2 세척액 저장탱크(30)에 회수한 후, 통기밸브(T1)와 개폐밸브(V9)를 닫는다. 이 상태에서는 액순환라인(L17)에 존재하는 제2 세척액은 회수되지 못하고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그 다음, 개폐밸브(V1, V17a, V17b, V18a, V18c)를 닫고 개폐밸브(V20, V18b, V19)를 개방한 상태에서 순환펌프(P2)를 가동하면, 물이 상기 노즐부(14)를 통하여 분사되어 상기 복수개의 장 튜브와 세척건조실의 벽, 바닥 및 천장에 붙어 있는 제2 세척액이 세척되게 되고 그리고 세척에 사용된 물은 제2 세척액과 함께 드레인라인(L19)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 다음, 개폐밸브(V1)를 개방하면서 진공펌프(1)를 가동하여 세척건조실(10)을 진공상태로 만든 후 개폐밸브(V1)를 닫으면서 진공펌프(1)를 가동중지하고 나서 통기밸브(T4)와 개폐밸브(V14)를 열어 대기압의 힘으로 제1 수세탱크(40)에 저장된 제1 물을 주액 공급라인(L16)을 경유하여 세척건조실(10)에 상기 장전된 장 튜브가 침지될 수 있는 수위까지 공급한 다음, 통기밸브(T4)와 개폐밸브(V14)를 닫고 개폐밸브(V1, V5)를 개방하면서 진공펌프(1)를 가동하여 세척건조실(10)과 제1 수세탱크(40)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개폐밸브(V1, V5)를 닫으면서 진공펌프(1)를 가동중지하고 나서, 초음파발생부(13)를 가동하여 침지에 의한 1차 수세작업을 수행한다.
그 다음, 통기밸브(T1)와 개폐밸브(V10)를 열어 세척건조실(10)의 제1 물을 주액 회수라인(L7)과 분기액 회수라인(L10)을 경유하여 대기압에 의해 상기 제1 수세탱크(40)에 회수시킨 다음, 통기밸브(T1)와 개폐밸브(V10)를 닫는다.
그 다음, 개폐밸브(V1)를 개방하면서 진공펌프(1)를 가동하여 세척건조실(10)을 진공상태로 만든 후 개폐밸브(V1)를 닫으면서 진공펌프(1)를 가동중지하고 나서, 통기밸브(T5)와 개폐밸브(V15)를 열어, 대기압의 힘으로 제2 수세탱크(50)에 저장된 제2 물을 주액 공급라인(L16)을 경유하여 세척건조실(10)에 상기 장전된 장 튜브가 침지될 수 있는 수위까지 공급한 다음, 통기밸브(T5)와 개폐밸브(V15)를 닫고 개폐밸브(V1, V6)를 개방하면서 진공펌프(1)를 가동하여 세척건조실(10)과 제2 수세탱크(50)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개폐밸브(V1, V6)를 닫으면서 진공펌프(1)를 가동중지하고 나서, 초음파발생부(13)를 가동하여 침지에 의한 2차 수세작업을 수행한다.
그 다음, 통기밸브(T1)와 개폐밸브(V11)를 열어 세척건조실(10)의 제2 물을 주액 회수라인(L7)과 분기액 회수라인(L11)을 경유하여 대기압에 의해 상기 제2 수세탱크(50)에 회수시킨 다음, 통기밸브(T1)와 개폐밸브(V11)를 닫는다.
그 다음, 개폐밸브(V1)를 개방하면서 진공펌프(1)를 가동하여 세척건조실(10)을 진공상태로 만들어서 즉, 진공배기시켜 복수개의 장 튜브에 붙어 있는 수분을 제거한 후 개폐밸브(V1)를 닫으면서 진공펌프(1)를 가동중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원자력용 장 튜브 세척장치는 배칫 타입이어서, 원자력용 장 튜브를 세척함에 있어서, 종래보다 세척을 위한 세척공간과 작업자의 수고를 감소시킬 수 있고, 1차 및 2차의 탈지작업과, 1차 및 2차의 수세작업 시에 침지방식과 분사방식이 혼용으로 적용되어서, 종래보다 세척효율이 증대시킬 수 있다.
1; 진공펌프, 10; 세척건조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진공펌프(1),
    제1 주 진공라인(L1)을 개재하여 상기 진공펌프(1)에 접속된 세척건조실(10), 제1 주 진공라인(L1) 도중에 일단이 접속된 제2 주 진공라인(L2),
    상기 제2 주 진공라인(L2) 도중에 일단이 각각 접속된 복수개의 분기 진공라인(L3 내지 L6)의 타단에 각각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제1 및 제2 세척액 저장탱크(20, 30) 및 물이 담겨진 제1 및 제2 수세탱크(40, 50),
    상기 세척건조실(10)의 바닥에 일단이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주액 회수라인(L7),
    상기 주액 회수라인(L7)의 도중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세척액 저장탱크(20, 30)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세탱크(40, 50) 각각의 상단에 타단이 유통 가능하게 접속된 복수개의 분기액 회수라인(L8 내지 L11),
    상기 제1 및 제2 세척액 저장탱크(20, 30)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세탱크(40, 50) 각각의 바닥에 일단이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복수개의 분기액 공급라인(L12 내지 L15) 및
    상기 복수개의 분기액 공급라인(L12 내지 L15) 각각의 타단이 도중에 접속되어 있고 일단이 상기 세척건조실(10)의 상단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주액 공급라인(L16)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건조실(10)은,
    복수개의 장 튜브들이 서로 평행하게 뻗은 상태에서 적층될 수 있는 수납부(11)를 내장하여 포함하고 있고,
    복수개의 장 튜브를 넣고 뺄 수 있게 하기 위한 개폐가능한 도어(12)를 포함하고 있고, 초음파발생부(13)를 내장하여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장 튜브의 길이방향 일측과 마주하는 일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물이나 세척액을 상기 복수개의 장 튜브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분사하는 노즐부(14)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건조실(10)은
    일단이 세척건조실(10)의 바닥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노즐부(14)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액 순환라인(L17) 그리고
    일단이 세척건조실(10)의 바닥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노즐부(14)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물 순환라인(L18)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주액 회수라인(L7)의 도중에는 세척건조실(10)의 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라인(L19)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물 순환라인(L18) 도중에는 세척건조실(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라인(L20)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용 장 튜브 세척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 진공라인(L1)의 도중에는 개폐밸브(V1)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세척건조실(10)에 인접하여 통기밸브(T1)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분기 진공라인(L3 내지 L6) 도중 각각에도 개폐밸브(V3 내지 V6)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세척액 저장탱크(20, 30)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세탱크(40, 50) 각각에는 통기밸브(T2, T3, T4, T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분기액 회수라인(L8 내지 L11) 도중 각각에는 개폐밸브(V8 내지 V11)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분기액 공급라인(L12 내지 L15) 도중 각각에도 개폐밸브(V12 내지 V15)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액 순환라인(L17) 도중에는 액의 흐름방향에서 개폐밸브(V17a), 드레인밸브(D1), 여과망(F1), 순환펌프(P1) 및 개폐밸브(V17b)가 순차적으로 개재되어 있고,
    상기 물 순환라인(L18) 도중에는 물의 흐름방향에서 개폐밸브(V18a), 드레인밸브(D2), 개폐밸브(V18c), 여과망(F2), 순환펌프(P2), 및 개폐밸브(V18b)가 순차적으로 개재되어 있고,
    상기 드레인 라인(L19)의 도중에는 개폐밸브(V19)가 개재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급수라인(L20)의 도중에는 개폐밸브(V20)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용 장 튜브 세척 장치.
  5. 물이 노즐부(14)를 통하여 분사되어 세척건조실(10)에 장전된 복수개의 장 튜브에 붙어 있는 고형 이물질이 세척되게 되고 그리고 세척에 사용된 물은 고형 이물질과 함께 드레인라인(L19)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단계;
    대기압의 힘으로 제1 세척액 저장탱크(20)에 저장된 제1 세척액을 세척건조실(10)에 상기 장전된 장튜브가 침지될 수 있는 수위까지 공급한 다음, 초음파발생부(13)를 가동하여 침지에 의한 1차 탈지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세척건조실(10)의 제1 세척액이 노즐분사가 가능한 수위가 될 때까지 대기압의 힘으로 상기 제1 세척액 저장탱크(20)에 회수시킨 다음, 순환펌프(P1)을 가동하여 상기 세척건조실(10)에 남아 있는 제1 세척액을 액 순환라인(L17)을 경유하여 순환시키면서 노즐부(14)를 통하여 제1 세척액을 상기 침지에 의한 1차 탈지처리된 복수개의 장 튜브에 분사시켜 분사에 의한 2차 탈지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분사에 이용된 세척건조실(10) 내의 제1 세척액을 대기압의 힘으로 제1 세척액 저장탱크(20)에 회수하는 단계;
    대기압의 힘으로 제2 세척액 저장탱크(30)에 저장된 제2 세척액을 세척건조실(10)에 상기 장전된 장 튜브가 침지될 수 있는 수위까지 공급한 다음, 초음파발생부(13)를 가동하여 침지에 의한 3차 탈지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세척건조실(10)의 제2 세척액이 노즐분사가 가능한 수위가 될 때까지 대기압의 힘으로 상기 제2 세척액 저장탱크(30)에 회수시킨 다음, 순환펌프(P1)을 가동하여 상기 세척건조실(10)에 남아 있는 제2 세척액을 액 순환라인(L17)을 경유하여 순환시키면서 노즐부(14)를 통하여 제2 세척액을 상기 침지에 의한 3차 탈지처리된 복수개의 장 튜브에 분사시켜 분사에 의한 4차 탈지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분사에 이용된 세척건조실(10) 내의 제2 세척액을 대기압의 힘으로 제2 세척액저장탱크(30)에 회수하는 단계;
    순환펌프(P2)를 가동하여, 물이 상기 노즐부(14)를 통하여 분사되어 상기 복수개의 장 튜브와 세척건조실의 벽, 바닥 및 천장에 붙어 있는 제2 세척액이 세척되게 되고 그리고 세척에 사용된 물은 제2 세척액과 함께 드레인라인(L19)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단계;
    대기압의 힘으로 제1 수세탱크(40)에 저장된 제1 물을 세척건조실(10)에 상기 장전된 장 튜브가 침지될 수 있는 수위까지 공급한 다음, 초음파발생부(13)를 가동하여 침지에 의한 1차 수세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세척건조실(10)의 제1 물을 대기압의 힘으로 상기 제1 수세탱크(40)에 회수하는 단계;
    대기압의 힘으로 제2 수세탱크(50)에 저장된 제2 물을 세척건조실(10)에 상기 장전된 장 튜브가 침지될 수 있는 수위까지 공급한 다음, 초음파발생부(13)를 가동하여 침지에 의한 2차 수세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세척건조실(10)의 제2 물을 대기압의 힘으로 상기 제2 수세탱크(50)에 회수하는 단계;
    진공펌프(1)를 가동하여 세척건조실(10)을 진공배기시켜 복수개의 장 튜브에 붙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용 장 튜브 세척 방법.
KR1020140015561A 2014-02-11 2014-02-11 원자력용 장 튜브 세척 장치 및 방법 KR101394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561A KR101394064B1 (ko) 2014-02-11 2014-02-11 원자력용 장 튜브 세척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561A KR101394064B1 (ko) 2014-02-11 2014-02-11 원자력용 장 튜브 세척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064B1 true KR101394064B1 (ko) 2014-05-13

Family

ID=50893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561A KR101394064B1 (ko) 2014-02-11 2014-02-11 원자력용 장 튜브 세척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0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7814A (ko) 2020-05-11 2021-11-18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봉 장 튜브 세척 장치의 슬라이딩 도어 체결 시스템
KR20210137815A (ko) 2020-05-11 2021-11-18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봉 장 튜브 세척액 혼합방법
KR102505826B1 (ko) * 2022-07-04 2023-03-06 주식회사 에스아이이 튜브의 내부를 세척 및 건조하도록 구성된 클리닝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934B1 (ko) * 2005-04-02 2005-10-04 (주)진공플랜트 진공세척 건조장치 및 방법
JP2006231273A (ja) * 2005-02-28 2006-09-07 Nachi Fujikoshi Corp 真空脱脂洗浄装置
KR100870545B1 (ko) * 2006-10-18 2008-11-26 (주)클레슨 진공 초음파 자동 세척 시스템
JP2009142802A (ja) * 2007-12-18 2009-07-02 Sakura Seiki Kk インライン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1273A (ja) * 2005-02-28 2006-09-07 Nachi Fujikoshi Corp 真空脱脂洗浄装置
KR100518934B1 (ko) * 2005-04-02 2005-10-04 (주)진공플랜트 진공세척 건조장치 및 방법
KR100870545B1 (ko) * 2006-10-18 2008-11-26 (주)클레슨 진공 초음파 자동 세척 시스템
JP2009142802A (ja) * 2007-12-18 2009-07-02 Sakura Seiki Kk インライン洗浄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7814A (ko) 2020-05-11 2021-11-18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봉 장 튜브 세척 장치의 슬라이딩 도어 체결 시스템
KR20210137815A (ko) 2020-05-11 2021-11-18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봉 장 튜브 세척액 혼합방법
KR102393586B1 (ko) * 2020-05-11 2022-05-04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봉 장 튜브 세척액 혼합방법
KR102505826B1 (ko) * 2022-07-04 2023-03-06 주식회사 에스아이이 튜브의 내부를 세척 및 건조하도록 구성된 클리닝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724489U (zh) 快速式全自动清洗消毒器
KR101394064B1 (ko) 원자력용 장 튜브 세척 장치 및 방법
CN201534151U (zh) 箱式全自动器皿、器械清洗机
ITMI20100443A1 (it) Macchina di lavaggio
CN1960814B (zh) 排水管清洗方法和排水管清洗装置
KR200463418Y1 (ko) 청과물세척냉각장치
DE102007041308A1 (de) Geschirrspülmaschine
CN212930748U (zh) 一种汽车零部件酸洗烘干一体设备
JP2008142637A (ja) 洗浄乾燥装置
CN109248884A (zh) 通过式多级工业自动化清洗及防锈线
CN208928697U (zh) 隧道式高效超声波清洗机
CN106140679B (zh) 复合式一体结构清洗烘干机
KR101704643B1 (ko)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전열관 튜브 탈지 시스템 및 탈지 방법
CN205258880U (zh) 用于微重力环境的衣物处理装置及其液体处理系统
CN109494179A (zh) 一种自动有机清洗机、清洗系统及清洗方法
KR20150119591A (ko) 대형 식품용기 자동 세척장치
KR200439512Y1 (ko) 슬러지 탈수 장치
NO325433B1 (no) Fremgangsmate for rensing av not samt apparat for bruk ved utovelse av fremgangsmaten
JP2012239540A (ja) 連続洗濯機の定置洗浄方法
CN213728129U (zh) 一种铝合金型材表面纹理加工装置
CN206064868U (zh) 复合式一体结构清洗烘干机
JP4912177B2 (ja) 受乳装置の洗浄方法及び洗浄機構
DE1949017A1 (de) Verfahren zum Reinigen von Kleidungsstuecken
CN103551347A (zh) 铜配管清洗方法
CN215224624U (zh) 枸杞鲜果喷淋清洗脱腊隧道及水洗脱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