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512Y1 - 슬러지 탈수 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탈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512Y1
KR200439512Y1 KR2020070005593U KR20070005593U KR200439512Y1 KR 200439512 Y1 KR200439512 Y1 KR 200439512Y1 KR 2020070005593 U KR2020070005593 U KR 2020070005593U KR 20070005593 U KR20070005593 U KR 20070005593U KR 200439512 Y1 KR200439512 Y1 KR 2004395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sludge
pipe
washing
filter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호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5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5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5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belt or ban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러지 탈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러지를 저장하여 약품과 혼합시키고, 내부 세척수를 배출하고, 배수제어밸브(11)로 개폐되는 배수관(10)을 구비한 교반 탱크(1)에서, 상기 배수관(10)에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여 관로를 청소하는 관세척부(5)를 구비하는 것이다.
교반 탱크(1)의 배수관(10)을 강한 수압으로 세척하여 배수관(10)의 관로가 슬러지 또는 플럭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수관(10)의 관로가 막힐 경우 간단히 이를 제거하여 뚫을 수 있어, 교반 탱크(1) 청소 시 배수관(10) 막힘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며, 교반 탱크(1)의 청소 작업 시 작업 편의성 및 작업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여과포 벨트(30)를 세척하는 세척수를 사용하여 배수관(10)의 관로를 세척하거나, 막힌 관로를 뚫게 되므로 설비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슬러지 탈수 장치{Apparatus for Dehydrating Sludge}
도 1은 종래의 슬러지 탈수 장치를 도시한 계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계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계략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교반 탱크 2 : 탈수 벨트콘베이어부
3 : 슬러지 공급부 4 : 여과포 세척부
5 : 관세척부 10 : 배수관
11 : 배수제어밸브 20 : 롤러
30 : 여과포 벨트 40 : 펌프
50 : 제 1 세척수공급관 60 : 제 2 세척수공급관
70 : 밸브부
본 고안은 슬러지 탈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슬러지를 약품과 혼합시키는 교반 탱크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 처리 시 많은 양의 슬러지가 발생하며, 상기 슬러지는 슬러지 탈수 장치에 의해 슬러지 내의 수분을 제거한 후 처리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러지 탈수 장치(100)는 슬러지를 저장하여 약품과 혼합시키는 교반 탱크(1)와, 여과포 벨트(30)가 다수의 롤러(20)에 의해 안내되고 이송 중에 슬러지를 탈수시키는 탈수 벨트컨베이어부(2)와, 상기 교반 탱크(1)에서 화학약품과 반응한 슬러지를 상기 탈수 벨트컨베이어부(2)로 공급하는 슬러지 공급부(3)와, 상기 탈수 벨트컨베이어부(2)의 여과포 벨트(30)를 세척하는 여과포 세척부(4)를 포함한다.
즉, 슬러지는 상기 교반 탱크(1)에서 응집제와 함께 교반되어 플록(Floc)을 형성하여 슬러지 공급부(3)를 통해 탈수 벨트컨베이어부(2)로 공급되는 것이다.
탈수 벨트컨베이어부(2)는 여과포 벨트(30)에 공급된 슬러지를 이송시키면서 여과포에 의해 여과시키고, 가압탈수롤러(23)로 가압하여 탈수시키는 것이다.
상기 탈수 벨트컨베이어부(2)에서 탈수된 수분은 집수되어 처리되고, 탈수되어 고형화된 슬러지는 외부로 배출되어 별도로 처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포 세척부(4)는 펌프에 의해 고압으로 이송되는 세척수를 여과포 벨트(30) 상에 강한 수압으로 분사하여 여과포의 눈목 사이에 끼워진 슬러지를 제거하여 여과포 벨트(30)가 순환되면서 재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고, 세척수에 포함된 슬러지는 재처리 작업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교반 탱크(1)는 청소 시 사용되는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10)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10)은 배수제어밸브(11)를 구비하여 교반 탱크(1) 의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배수하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교반 탱크(1)는 상기한 슬러지 탈수 작업 후 세척수를 공급하여 내부를 청소하며, 이때 상기 배수관(10)은 배수제어밸브(11)가 열리면서 사용된 세척수를 배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교반 탱크는 교반 탱크 내에 잔류된 플럭에 의해 배수관이 막히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여, 청소 시 세척수의 배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배수관이 막힐 경우 막힌 부분을 제거해야하나, 좁은 직경의 배수관을 청소함에 있어 배수관을 막고 있는 플럭을 포함한 이물질의 제거가 쉽지 않은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교반 탱크의 청소 작업 시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작업이 불편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교반 탱크의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관의 막힘 현상을 해결하여 교반 탱크의 청소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청소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슬러지 탈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러지를 저장하여 약품과 혼합시키고, 내부 세척수를 배출하고, 배수제어밸브로 개폐되는 배수관을 구비한 교반 탱크와, 여과포 벨트가 다수의 롤러에 의해 안내되고 이송 중에 슬러지를 탈수시키는 탈수 벨트컨베 이어부와, 상기 교반 탱크에서 화학약품과 반응한 슬러지를 상기 탈수 벨트컨베이어부로 공급하는 슬러지 공급부와, 펌프의 작동으로 제 1 세척수공급관을 통해 상기 탈수 벨트컨베이어부의 여과포 벨트에 세척수를 공급하여 여과포를 세척하는 여과포 세척부를 포함한 슬러지 탈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 탱크의 배수관은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여 관로를 청소하는 관세척부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상기 교반 탱크의 배수관은 내부 관로가 막힐 경우 관세척부를 통해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받아 이 세척수로 막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계략도로서, 본 고안의 관세척부가 여과포 세척부에 연결되되, 세척수를 함께 공급받도록 연결되어 주기적으로 배수관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계략도로서, 본 고안의 관세척부가 여과포 세척부에 연결되되, 관세척관이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막힌 관로를 세척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슬러지 탈수 장치(100)는 교반 탱크(1), 탈수 벨트컨베이어부(2), 슬러지 공급부(3), 여과포 세척부(4)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교반 탱크(1)는 내부에 슬러지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10a)이 형성되며, 저장실(10a) 내에 회전되어 슬러지와 화학약품(고분자 응집제)를 섞는 교반 날 개(12)가 구비된다.
상기 교반 탱크(1)는 저장실(10a) 내에서 교반날개(12)가 회전되면서 저장실(10a)에 저장된 슬러지를 화학약품 즉, 고분자 응집제와 골고루 섞어 혼합함으로써, 탈수에 적합한 플럭을 형성시킨다.
또 상기 교반 탱크(1)는 저장된 슬러지의 탈수 작업이 완료된 후 내부를 청소하게 되고, 이러한 청소작업 중 사용되는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관(10)을 구비하며, 상기 배수관(10)은 폐수집수조로 연결되어, 잔류 슬러지를 포함한 세척수를 폐수집수조로 이송하여 재처리작업을 거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배수관(10)에는 배수제어밸브(11)가 구비되어 내부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청소작업 시에만 내부 관로를 열어 세척수를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반 탱크(1)는 상기 탈수 벨트컨베이어부(2)로 플럭이 형성된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 공급부(3)를 구비한다.
상기 슬러지 공급부(3)는 상기 교반 탱크(1)에서 탈수 벨트컨베이어부(2)로 연장된 슬러지 공급관(3a)을 포함하며, 교반 탱크(1)에서 교반된 슬러지는 상기 슬러지 공급관(3a)을 통해 탈수 벨트컨베이어부(2)로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 탈수 벨트컨베이어부(2)는 여과포로 이루어진 여과포 벨트(30)를 다수의 롤러(20)를 통해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로, 슬러지를 거르는 여과포 벨트(30)와, 상기 여과포 벨트(30)가 감기는 다수의 롤러(20)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20)는 여과포 벨트(30)를 이동시키는 구동롤러(21)와, 여과포 벨트(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22)와, 여과포 벨트(30)에 공급된 슬러지를 가압하여 탈수시키는 가압탈수롤러(2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여과포 벨트(30)는 상기 슬러지 공급부(3)로 공급된 슬러지를 이송하면서 여과포에 의해 여과시키고, 가압탈수롤러(23)로 가압하여 탈수시키는 것이다.
상기 탈수 벨트컨베이어부(2)에서 탈수된 수분은 집수되어 상기 배수관(10)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와 함께 폐수집수조로 이송되어 재처리 과정을 거치고, 탈수되어 고형화된 슬러지는 케이크 상태로 배출되어 별도로 처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포 벨트(30)는 여과포 세척부(4)에 의해 주기적으로 세척되어 여과포 눈목 사이에 끼워진 슬러지를 제거하여 재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여과포 세척부(4)는 세척수 공급부에서 상기 여과포 벨트(30)로 연장되며, 여과포 벨트(30)를 향한 단부에 분사노즐이 구비된 제 1 세척수공급관(50)과, 상기 제 1 세척수공급관(50)에 장착되어 세척수 공급부의 세척수를 펌핑하여 분사노즐로 분사시키는 펌프(40)를 포함한다.
즉, 세척수는 상기 펌프(40)의 작동으로 제 1 세척수공급관(50)을 통해 분사노즐로 여과포 벨트(30) 상으로 분사되어 여과포 벨트(30)를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세척수는 펌프(40)의 작동으로 고압으로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어 여과포 눈목 사이에 끼워진 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세척수는 여과포 벨트(30)에서 제거된 슬러지를 포함하며 폐수집수조로 이송되어 재처리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슬러지 탈수 장치(100)는 공지된 것으로, 종래의 공지된 구성과 작동이 동일하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개략적으로 도시하여 설명함을 밝히며 상기한 구성은 본 고안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은 상기 배수관(10)에 세척수를 공급하여 관로를 뚫거나, 배수관(10) 내부를 청소하는 관세척부(5)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관세척부(5)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여과포 세척부(4)의 제 1 세척수공급관(50)과 배수관(10)을 연결하여 제 1 세척수공급관(5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분기하여 배수관(10)으로 공급하는 제 2 세척수공급관(6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세척부(5)는 별도의 세척수 공급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기존 설비인 여과포 세척부(4)에 연결하는 제 2 세척수공급관(60)을 포함하여 설비비를 절감하고, 기존의 슬러지 탈수 장치(100)에도 적용이 용이한 것이다.
상기 제 2 세척수공급관(60)은 여과포 벨트(30)를 세척하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배수관(10)의 내부를 청소하는 것이다.
여과포 벨트(30)를 세척하는 세척수는 펌프(40)에 의해 고압으로 유동되므로, 배수관(10) 내부로 공급되면 내부의 관로를 막고 있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세척수공급관(60)은 상기 제 1 세척수공급관(50)에 연결되되, 제 1 세척수공급관(50)과 연통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치되어 펌프(40)의 작동으로 여과포 벨트(30)의 세척과 동시에 배수관(10)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제 1, 2 세척수공급관(50, 60)이 2웨이 관으로 분기되되, 별도의 밸브를 설치하지 않아 항상 연통된 상태로 유지되어 여과포 벨트(30)의 세척을 위해 펌프(40)를 작동시키면 세척수가 제 1 세척수공급관(50) 및 제 2 세척수공급관(60)을 통해 각각 여과포 벨트(30) 및 배수관(10)을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배수관(10)은 여과포 벨트(30)의 세척과 동시에 주기적으로 세척되므로, 이물질에 의해 배수관(10)이 막히는 일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교반 탱크(1) 청소 시 별도의 수고 없이 용이하게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세척수공급관(60)에는 관로를 개폐하는 밸브부(70)가 설치되며, 상기 밸브부(70)는 제 1 세척수공급관(50)에 연결되는 분기부에 설치되어, 세척수가 제 1, 2 세척수공급관(50, 60)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 1 밸브(71)와, 제 2 세척수공급관(60)의 출구 측에 설치되는 제 2 밸브(7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밸브(71)는 제 1 세척수공급관(50)의 관로를 열고, 제 2 세척수공급관(60)의 관로를 닫아 세척수를 제 1 세척수공급관(50)을 통해 분사노즐로 분사시켜 여과포 벨트(30)를 세척하는 데 사용하도록 하며, 제 1 세척수공급관(50)의 관로를 닫고, 제 2 세척수공급관(60)의 관로를 열어 세척수를 제 2 세척수공급관(60)을 통해 배수관(10) 내로 공급시켜 배수관(10)의 관로를 세척하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밸브(72)는 배수관(10)의 출구 측 단부에서 관로를 개폐하여 내부로 최종 공급되는 세척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것으로 제 2 세척수공급관(60)을 제 1 밸브(71)와 함께 이중으로 제어하여 불필요한 세척수의 낭비를 방지하고, 세척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교반 탱크(1)를 청소하는 중에 배수관(10)의 막힘 현상이 발생하면 상기 제 1, 2 밸브(71, 72)에서 제 2 세척수공급관(60)의 관로를 모두 개방하고, 펌프(40)를 작동시킴으로써 세척수가 제 2 세척수공급관(60)을 통해 배수관(10)으로 공급되어 배수관(10)을 막고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가능함을 밝혀두며, 이는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교반 탱크의 배수관을 강한 수압으로 세척하여 배수관의 관로가 슬러지 또는 플럭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수관의 관로가 막힐 경우 간단히 이를 제거하여 뚫을 수 있어, 교반 탱크 청소 시 배수관 막힘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며, 교반 탱크의 청소 작업 시 작업 편의성 및 작업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여과포 벨트를 세척하는 세척수를 사용하여 배수관의 관로를 세척하거나, 막힌 관로를 뚫게 되므로 설비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슬러지를 저장하여 약품과 혼합시키고, 내부 세척수를 배출하고, 배수제어밸브(11)로 개폐되는 배수관(10)을 구비한 교반 탱크(1)와, 여과포 벨트(30)가 다수의 롤러(20)에 의해 안내되고 이송 중에 슬러지를 탈수시키는 탈수 벨트컨베이어부(2)와, 상기 교반 탱크(1)에서 화학약품과 반응한 슬러지를 상기 탈수 벨트컨베이어부(2)로 공급하는 슬러지 공급부(3)와, 펌프(40)의 작동으로 제 1 세척수공급관(50)을 통해 상기 탈수 벨트컨베이어부(2)의 여과포 벨트(30)에 세척수를 공급하여 여과포를 세척하는 여과포 세척부(4)를 포함한 슬러지 탈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 탱크(1)의 배수관(10)은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여 관로를 청소하는 관세척부(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세척부(5)는 상기 여과포 세척부(4)의 제 1 세척수공급관(50)과 배수관(10)을 연결하여 제 1 세척수공급관(5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분기하여 배수관(10)으로 공급하는 제 2 세척수공급관(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척수공급관(60)에는 관로를 개폐하는 밸브부(70)가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70)는 제 1 세척수공급관(50)에 연결되는 분기부에 설치되어, 세척수가 제 1, 2 세척수공급관(50, 60)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 1 밸브(71)와, 제 2 세척수공급관(60)의 출구 측에 설치되는 제 2 밸브(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 장치.
KR2020070005593U 2007-04-05 2007-04-05 슬러지 탈수 장치 KR200439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593U KR200439512Y1 (ko) 2007-04-05 2007-04-05 슬러지 탈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593U KR200439512Y1 (ko) 2007-04-05 2007-04-05 슬러지 탈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512Y1 true KR200439512Y1 (ko) 2008-04-16

Family

ID=41345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593U KR200439512Y1 (ko) 2007-04-05 2007-04-05 슬러지 탈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51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905B1 (ko) 2011-06-29 2012-05-30 에스엔티코리아 주식회사 독립형 실시간 수처리장치
CN104671629A (zh) * 2013-11-29 2015-06-03 季华林 一种大型建筑泥浆及河道淤泥处理装置
KR20230068869A (ko) * 2021-11-11 2023-05-18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슬러지 분배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905B1 (ko) 2011-06-29 2012-05-30 에스엔티코리아 주식회사 독립형 실시간 수처리장치
CN104671629A (zh) * 2013-11-29 2015-06-03 季华林 一种大型建筑泥浆及河道淤泥处理装置
KR20230068869A (ko) * 2021-11-11 2023-05-18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슬러지 분배 시스템 및 방법
KR102612994B1 (ko) * 2021-11-11 2023-12-12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슬러지 분배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9335B1 (en) Vehicle-mounted vacuum system and method of separating liquid and solids fractions of a sludge-like mixture inside a container
DK2709840T3 (en) Screw Press
KR101804340B1 (ko) 잔류레미콘 처리장치
JP5164763B2 (ja) ベルト型濃縮機およびベルト型濃縮機のベルト洗浄方法
KR200439512Y1 (ko) 슬러지 탈수 장치
KR20120113979A (ko) 집수매거의 여과층 역세척장치 및 방법
CA2799808C (en) Vehicle-mounted vacuum system and method of separating liquid and solids fractions of a sludge-like mixture inside a container
JP6385306B2 (ja) ベルト型ろ過濃縮機のベルト洗浄装置
WO2014146403A1 (zh) 洗衣控制方法和洗衣机
KR100341103B1 (ko) 슬러지 처리장치
KR100915004B1 (ko) 슬러지 감량 이송 컨베이어
KR101645678B1 (ko) 세척장치 및 세척장치가 구비된 협잡물 처리장치
KR101616225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KR20060005795A (ko) 탈수차량 시스템
KR100865679B1 (ko) 벨트프레스의 여과포세척장치
KR101674853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CN207271695U (zh) 一体化石英砂滤料清洗成套装置
KR102442883B1 (ko) 벨트프레스 탈수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KR100998074B1 (ko)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
KR200364682Y1 (ko)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
KR101176889B1 (ko) 고액 분리장치
WO2008026933A1 (en) A method of cleaning a seine and an apparatus for use when practising the method
AU2006246459A1 (en) Water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of water recovery
SU1101414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обрабо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2615242B1 (ko)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