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673B1 -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 - Google Patents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673B1
KR101393673B1 KR1020120134111A KR20120134111A KR101393673B1 KR 101393673 B1 KR101393673 B1 KR 101393673B1 KR 1020120134111 A KR1020120134111 A KR 1020120134111A KR 20120134111 A KR20120134111 A KR 20120134111A KR 101393673 B1 KR101393673 B1 KR 101393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haft
user
driven pulley
fram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순
Original Assignee
박석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석순 filed Critical 박석순
Priority to KR1020120134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보행보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기립 또는 착석을 보조하도록 이루어진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손잡이와 지면과의 상하 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된 승하강부와, 상기 승하강부를 지지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보행보조기가 사용자의 착석 및 기립을 보조할 수 있으므로 자력으로 착석 및 기립할 때 사용자가 받게 되는 신체적 부담을 제거할 수 있으며, 보행보조기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므로 신체가 상이한 사용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HELPING STANDING AND SITTING OF USER}
본 발명은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보행보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기립 또는 착석을 보조하도록 이루어진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령자와 환자 및 장애인 중에는 다리가 불편하거나 몸이 불편하여 짧은 거리도 혼자서는 이동할 수 없는 이들이 있는데, 이들은 가까운 거리를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항상 다른 사람에게 의지한 상태로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양팔로 지지한 상태로 자신의 힘으로 밀고 다니면서 보행할 수 있도록 한 보행보조기가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보행보조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보행보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지친 경우 앉아서 쉬기 위해서는 별도로 마련된 의자 등에 앉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종래의 보행보조기는 사용자를 보조할 수 있는 기능이 없었고, 결국 사용자는 자력으로 착석 및 기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둘째, 보행보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신장은 다양하기 마련인데, 종래의 보행보조기는 이러한 다양한 사용자들의 신장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보조기 사용자의 착석 및 기립을 보조할 수 있는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들의 신장에 맞게 높이 조절이 용이한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손잡이와 지면과의 상하 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된 승하강부와, 상기 승하강부를 지지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승하강부가 승하강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에는 높이조절부재가 구비되고,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고정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스크류축의 외주면을 타고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는 승강너트와, 상기 승강너트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핸들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축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너트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축 회전 시 상기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는 볼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에 연결된 주동풀리와, 상기 주동풀리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전달벨트와, 상기 제1 전달벨트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이 상기 스크류축에 전달되도록 상기 스크류축에 고정된 종동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단일의 상기 구동부와 복수의 높이조절부재가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상기 높이조절부재에는 제1 내지 제4 종동풀리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 전달벨트를 통해 상기 주동풀리의 회전력이 상기 제1 종동풀리에 전달되고, 상기 제1 종동풀리의 회전력이 제2 내지 제4 종동풀리에 전달되도록 제2 전달벨트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종동풀리와 상기 제2 종동풀리는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종동풀리와 상기 제4 종동풀리는 사용자의 양측에 상호 대향되도록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종동풀리는 동일한 회전축을 갖는 복수의 종동풀리가 상하로 각각 배열된 다단 종동풀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전달벨트를 감싸는 안전커버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행보조기가 사용자의 착석 및 기립을 보조할 수 있으므로 자력으로 착석 및 기립할 때 사용자가 받게 되는 신체적 부담을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보행보조기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므로 신체가 상이한 사용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B-B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높이조절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2는 구동부에 연결된 높이조절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높이조절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 보행보조기의 경우 사용자가 착석 및 기립할 때 이를 보조하는 기능이 없으므로 결국 사용자는 자력으로 착석 및 기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된 손잡이(30)를 포함하는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손잡이(30)와 지면과의 상하 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된 승하강부(100)와, 상기 승하강부(100)를 지지하는 고정지지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를 제공한다.
사용자의 신체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이러한 프레임(10)에는 4개의 다리가 구비되며, 보행보조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각각의 다리에는 바퀴가 설치된다. 사용자의 전방에 설치된 2개의 바퀴는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바퀴의 회전축이 지면과 평행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사용자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2개의 바퀴는 보행보조기가 전,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회전축이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프레임(10)은 승하강부(100)와 고정지지부(300)를 포함하고, 이와 같이 승하강부(100)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착석 및 기립 시 사용자를 보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승하강부(100)가 승하강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500)와, 상기 구동부(500)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700)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동부(500)로는 모터와 같은 원동기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력 발생이 가능한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구동부(50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동력전달부(70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동부(500)를 통해 승하강부(100)가 승하강되도록 구성하면 사용자의 착석 및 기립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구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손잡이(30)에는 제어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하강부(100)에는 높이조절부재(110)가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110)는 상기 고정지지부(3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스크류축(111)과, 상기 스크류축(11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스크류축(111)의 외주면을 타고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는 승강너트(113)와, 상기 승강너트(113)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핸들프레임(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크류축(111)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반면, 고정지지부(300)는 회전하지 않고 승하강부(100)를 지지하게 된다. 즉, 스크류축(111)과 고정지지부(300) 사이에서는 스크류축(111)의 회전에 따른 상대 움직임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스크류축(111) 외주면과 맞닿는 고정지지부(300) 내주면에는 볼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축(111)이 회전하게 되면 승강너트(11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승강너트(113)는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결국 승강너트(113)에 고정된 핸들프레임(115)도 승강너트(113)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 상기 스크류축(111)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너트(113)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축(111) 회전 시 상기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는 볼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LM 가이드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승하강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700)는 상기 구동부(500)의 구동축(510)에 연결된 주동풀리(710)와, 상기 주동풀리(71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전달벨트(730)와, 상기 제1 전달벨트(73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이 상기 스크류축(111)에 전달되도록 상기 스크류축(111)에 고정된 종동풀리(7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500)의 회전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구동축(510)에는 주동풀 리(710)가 구비되고, 이러한 주동풀리(710)의 회전력은 제1 전달벨트(730)를 통해 스크류축(111)에 고정된 종동풀리(750)로 전달되게 된다.
이와 같이 주동풀리(710)와 종돌풀리(750)를 사용하면 승하강 동작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단일의 상기 구동부(500)와 복수의 높이조절부재(110)가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상기 높이조절부재(110)에는 제1 내지 제4 종동풀리(751, 753, 755, 757)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 전달벨트(730)를 통해 상기 주동풀리(710)의 회전력이 상기 제1 종동풀리(751)에 전달되고, 상기 제1 종동풀리(751)의 회전력이 제2 내지 제4 종동풀리(753, 755, 757)에 전달되도록 제2 전달벨트(77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게 위해 프레임(10)에는 4개의 다리가 구비되는데,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높이조절부재(110)는 각각의 다리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구동부(500) 및 동력전달부(700)는 단일로 구비되는 것이 원가 측면에서 유리하다.
즉, 제1 종동풀리(751)에 전달된 회전력이 제2 내지 제4 종동풀리(753, 755, 757)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제2 전달벨트(770)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종동풀리(751)와 상기 제2 종동풀리(753)는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종동풀리(755)와 상기 제4 종동풀리(757)는 사용자의 양측에 상호 대향되도록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한 제1 및 제2 종동풀리(751, 753)는 동일한 회전축을 갖는 복수의 종동풀리가 상하로 각각 배열된 다단 종동풀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다단 종동풀리를 사용하면 복수 개의 전달벨트가 연결되는 경우에도 간섭이 일어나지 않고, 원활하게 동력 전달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전달벨트(730, 770)를 감싸는 안전커버(900)를 구비하고 있다. 즉, 이러한 안전커버(900)는 제1 및 제2 전달벨트 회전 시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함 동시에 사용자가 직접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프레임 30 : 손잡이
100 : 승하강부 110 : 높이조절부재
111 : 스크류축 113 : 승강너트
115 : 핸들프레임
300 : 고정지지부 500 : 구동부
700 : 동력전달부 710 : 주동풀리
730 : 제1 전달벨트 750 : 종동풀리
751 : 제1 종동풀리 753 : 제2 종동풀리
755 : 제3 종동풀리 757 : 제4 종동풀리
770 : 제2 전달벨트 750a : 다단 종동풀리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된 손잡이(30)를 포함하는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손잡이(30)와 지면과의 상하 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된 승하강부(100)와, 상기 승하강부(100)를 지지하는 고정지지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부(100)가 승하강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500)와, 상기 구동부(500)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70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승하강부(100)에는 높이조절부재(110)가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110)는 상기 고정지지부(3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스크류축(111)과, 상기 스크류축(11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스크류축(111)의 외주면을 타고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는 승강너트(113)와, 상기 승강너트(113)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핸들프레임(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축(111)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너트(113)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축(111) 회전 시 상기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는 볼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700)는 상기 구동부(500)의 구동축(510)에 연결된 주동풀리(710)와, 상기 주동풀리(71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전달벨트(730)와, 상기 제1 전달벨트(73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이 상기 스크류축(111)에 전달되도록 상기 스크류축(111)에 고정된 종동풀리(7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단일의 상기 구동부(500)와 복수의 높이조절부재(110)가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상기 높이조절부재(110)에는 제1 내지 제4 종동풀리(751, 753, 755, 757)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 전달벨트(730)를 통해 상기 주동풀리(710)의 회전력이 상기 제1 종동풀리(751)에 전달되고, 상기 제1 종동풀리(751)의 회전력이 제2 내지 제4 종동풀리(753, 755, 757)에 전달되도록 제2 전달벨트(7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동풀리(751)와 상기 제2 종동풀리(753)는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종동풀리(755)와 상기 제4 종동풀리(757)는 사용자의 양측에 상호 대향되도록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종동풀리(751, 753)는 동일한 회전축을 갖는 복수의 종동풀리가 상하로 각각 배열된 다단 종동풀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달벨트(730, 770)를 감싸는 안전커버(9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
KR1020120134111A 2012-11-24 2012-11-24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 KR101393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111A KR101393673B1 (ko) 2012-11-24 2012-11-24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111A KR101393673B1 (ko) 2012-11-24 2012-11-24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673B1 true KR101393673B1 (ko) 2014-05-13

Family

ID=5089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111A KR101393673B1 (ko) 2012-11-24 2012-11-24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6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269B1 (ko) * 2017-12-04 2019-06-05 이하영 스탠드-업 보행 보조기
KR102155312B1 (ko) * 2020-04-10 2020-09-11 유한회사 우리에듀 보행보조기구
KR20210073159A (ko) * 2019-12-10 2021-06-1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보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9898A (ja) * 1997-09-22 1999-04-06 Hitachi Chem Co Ltd 自立歩行支援機
JP2006109944A (ja) * 2004-10-12 2006-04-27 Sapporo City 歩行補助器
KR20100124904A (ko) * 2009-05-20 2010-11-30 백금순 보행 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9898A (ja) * 1997-09-22 1999-04-06 Hitachi Chem Co Ltd 自立歩行支援機
JP2006109944A (ja) * 2004-10-12 2006-04-27 Sapporo City 歩行補助器
KR20100124904A (ko) * 2009-05-20 2010-11-30 백금순 보행 보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269B1 (ko) * 2017-12-04 2019-06-05 이하영 스탠드-업 보행 보조기
KR20210073159A (ko) * 2019-12-10 2021-06-1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보조기
KR102295864B1 (ko) 2019-12-10 2021-08-30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보조기
KR102155312B1 (ko) * 2020-04-10 2020-09-11 유한회사 우리에듀 보행보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9683B2 (en) Compact treadmill with walker
EP2438894B1 (en) Transfer and mobility device
KR102139344B1 (ko) 착석형 트레드밀 및 사용 방법
US9044630B1 (en) Range of motion machine and method and adjustable crank
JP5911559B2 (ja) 身体障害者のための移動装置
JP5416240B2 (ja) 歩行訓練機器
US11819730B2 (en) Seated treadmill and method of use
GB2484463A (en) Apparatus to assist the rehabilitation of disabled persons
KR20200105076A (ko) 신체적 약자를 위한 이동 이승을 위한 보조 로봇
KR101393673B1 (ko)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
US20150250674A1 (en) Personal mobility device
KR101433281B1 (ko) 자세균형 훈련용 보행보조기
KR101299351B1 (ko) 휠체어 결합형 하지 운동/재활훈련 장치
CN213218336U (zh) 多功能康复小车
JP2003265558A (ja) 転倒防止歩行車
KR20180123792A (ko)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는 기립보행기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123995A (ko)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는 기립보행기
JP3165117U (ja) 足上げ機能を備えた身体障害者移乗補助装置
SE1250425A1 (sv) Huvudstödsanordning
JP2004121569A (ja) 歩行支援装置
KR20210091598A (ko) 보행훈련자의 신체에 맞게 조정이 가능한 전동보행기
KR20140004560U (ko) 안마용 침대
GB2461129A (en) Walking aid for the rehabilitation of disabled persons
JP2006325917A (ja) 体位移動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