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598B1 -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598B1
KR101393598B1 KR1020130083962A KR20130083962A KR101393598B1 KR 101393598 B1 KR101393598 B1 KR 101393598B1 KR 1020130083962 A KR1020130083962 A KR 1020130083962A KR 20130083962 A KR20130083962 A KR 20130083962A KR 101393598 B1 KR101393598 B1 KR 101393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angover
extract
parts
f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춘규
Original Assignee
임춘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89372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9359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임춘규 filed Critical 임춘규
Priority to KR1020130083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5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증류수, 매실추출액, 헛개나무 추출액, 생약 추출액, 천연 유기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와 같은 유효성분을 포함한 조성물은 숙취해소, 간장보호 및 피로회복에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Healthy Food Composition for Healing a Hangover}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증류수, 생약 추출액, 매실추출액, 헛개나무 추출액, 천연 유기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간장보호 및 피로회복에 효과가 있는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에게 음주는 원만한 대인관계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음주는 각종 연회 및 모임에서 빠질 수 없는 음식 문화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과도한 음주는 울렁거림 및 구토, 두통, 갈증, 위장장애, 설사, 숙취현상(hang over)을 유발하며, 간경화, 지방간 등 각종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숙취현상중 두통은 두뇌작용을 마비시키며 갈증과 탈수 현상 및 소화기간 이상 등 위장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숙취의 가장 큰 원인은 간세포에 축적된 에탄올의 독작용에 의해 일어나며, 간세포에서 미처 해독하는 기능이 늦어 일어나는 현상으로 과도한 음주는 삼가해야 할 것이다.
최근 들어 에탄올의 독성을 약하게 하기 위하여, 많은 물질에 대한 연구와 실험등이 진행되고 있으며, 건강보조 천연식품 등 한약재로부터 추출한 성분으로 많은 제품이 개발되어 나오고 있다.
간기능의 장애로 오는 현상은 기력 감퇴, 소화불량, 식욕부진, 육체피로로서 각종 간해독 용해제가 시판되고 있으며, 일반적인 증상에 효과가 입증되었을 뿐 숙취를 해소하거나 간장을 보호하는 효과에 대해서는 크게 입증된 바가 거의 없다.
민간 요법제로서 숙취해소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한약재로는 인삼, 가시오가피, 헛개나무, 황태추출물, 콩나물 추출물, 미나리 추출물, 무추출물, 감잎과의 열수 추출물 등 기타 많은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가 개시되어 있다.
숙취해소와 관련된 선행특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35197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9131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3604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554호 등에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특허 조성물은 생약제를 복합적으로 사용하고 있고, 불쾌취 및 음용의 거부감과 효과가 입증된 바가 거의 없어 단점으로 남아 있다.
따라서 인체에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과도한 음주로 인한 숙취해소와 피로회복에 빠른 우수한 효능을 가진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이 필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증류수를 이용하여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숙취해소 및 알코올 분해 효능이 우수한 새로운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증류수 80 내지 96중량%; 생약 추출액 0.5 내지 5중량%; 헛개나무 추출액 0.3 내지 10중량%; 매실추출액 0.5 내지 5중량%; 천연유기황 0.1 내지 0.3중량%; 및 나머지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증류액은 정제수 1,000 중량부에 수산화나트륨 50 내지 150 중량부에 용해시킨 후, 전기적인 자철광석 또는 토르마린 분말 50 내지 200 중량부를 가하여 1,500 내지 2,000 rpm으로 교반하여 강알칼리화하는 단계; 및 염화제1철 또는 염화제2철 50 내지 250 중량부를 가하고,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숙성시키는 단계; 및 염산을 가하여 pH 7 내지 7.5로 중화시키고, 정제수 1000 내지 2000중량부를 가하여 20 내지 30시간 숙성시키는 단계; 및 상등액을 분리하여 증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증류액은 원적외선이 311㎛ 내지 336㎛ 방사되며, 물의 클러스터 폭이 50 내지 60Hz로 좁은 물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크림제, 겔제, 액제, 유탁제 또는 고형제 형태로 제형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건강식품, 화장품 또는 제약품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로 숙취증상 전반에 대해 우수한 해소 작용을 하며, 인체에 부작용이 없고, 피로회복과 간장보호 효과가 우수하며, 음주전 또는 음주 후에 숙취해소와 피로회복을 위해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사되는 증류액, 생약추출액, 매실추출액, 헛개나무 추출액, 천연유기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증류수라 함은 정제수 1,000중량부에 수산화나트륨 50 내지 150중량부를 용해시킨 후, 전기적인 자철광석이나 토르마린 분말 50 내지 200중량부를 가하고, 1,500 내지 2,000rpm에서 교반하여, 강알카리화하는 단계를 거쳐, 여기에 염화제1철이나 염화제2철 50 내지 250중량부를 가하고 24시간 이상 교반하여 숙성시키는 단계, 이어서 염산을 가하여 pH 7 내지 7.5로 중화시키고, 정제수 1000 내지 2000중량부를 가하여 20 내지 30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 및 상등액을 분리하여, 증류기에서 증류하는 단계를 거쳐 얻어진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증류수를 말한다.
이러한 원적외선이 방사하는 증류수는 원적외선이 311㎛ 내지 336㎛ 방사되며, 물의 클러스터 폭이 50 내지 60Hz로 좁은 물이다.
일반적으로 원적외선의 파장은 4 내지 1000㎛(미크론) 범위이다. 원적외선의 특성으로는 파장이 긴 것과 복사 이외에 특성흡수, 심달작용이 있다.
인체는 무수한 무기물,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고, 그 구성분자 각각은 여러가지 원자 및 원자단이 결합하여 신축, 회전 등의 진동을 특정한 진동수를 행하고 있다. 이 진동수와 같은 파장의 원적외선을 조사하면 구성분자의 원자 및 원자단으로 흡수되어 공명 현상이 생긴다. 공명 현상이 생기면 분자내에 커다란 에너지가 발생하고 그 대부분은 열에너지로 변하며, 분자는 활성화된다.
실제 물은 단분자 H2O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4개 분자 혹은 6개 분자 등으로 뭉쳐 집단군(클러스터)를 이루고 있다. 물의 집단군(클러스터) 폭이 좁은 물이 체내에 빠르게 흡수될 수 있으며, 여기에 어떠한 물질을 더하느냐에 따라 많은 차이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각종 문헌에서 수도물은 약 110 내지 150 Hz(헤르쯔)라 보고되고 있다. 좋은 약수물은 약 100Hz이고, 장수마을의 약수물은 약 80 내지 100Hz라 하며 각종 식물도 집단군(글러스터) 폭이 좁은 물에서는 잘 자란다고 알려져 있고, 인체의 수분은 약 65Hz라 보고되어 있다.
인간 피부의 조직구성은 세포로 되어 있다. 세포에는 물이 투과할 수 있는 통로가 있는데 이 크기는 0.3 내지 1.3nm이다. 따라서, 물의 클러스터가 크면 세포, 즉 체내에 흡수되기가 쉽지 않으며, 클러스터 폭이 좁은 물을 사용시 체내에 빠르게 흡수시켜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물의 집단군(클러스터) 폭을 좁힌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증류수를 사용함으로써 유효성분들과 함께 체내에 빠르게 흡수되어 그 효과를 월등히 발휘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증류수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80 내지 96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증류수는 80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증류수는 그 자체로 숙취해소 효과가 있으며, 여기에 숙취해소 효과를 더 증진시키기 위해 다른 성분을 추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생약 추출액이라 함은 곽향 10 내지 30중량%, 녹두 10 내지 30중량%, 방풍 10 내지 30중량%, 하수오 10 내지 30중량%, 백령 5 내지 20중량%, 감초 5 내지 20중량%, 부추뿌리 5 내지 20중량%, 및 파뿌리 5 내지 20중량%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 10 내지 40중량부를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바람직하기로는 50 내지 98%의 에탄올 수용액) 100중량부에 가하여 실온 20 내지 30℃에서 6 내지 15일간 침지시켜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말한다.
상기 생약 추출액은 상기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증류수에 첨가되어 숙취해소 효과를 더 증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성물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0.5 내지 5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중량% 미만으로 사용시 그 효과가 미비하며, 5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쓴 맛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유기황은 메틸설포닐메탄(MSM)을 의미하며, 백색으로 무취, 무독성으로써 화장품, 건강식품 등에 사용되며, 해독, 살균, 항균, 소염, 진통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상기 천연 유기황 또한 상기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증류수에 첨가되어 숙취해소 효과를 더 증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성물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0.1 내지 0.3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것이 숙취해소의 효과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매실 추출액은 옛날부터 소화불량, 설사, 장염, 위장장애, 소염, 진통 등 여러가지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져 왔으며, 각종 음료 등 식품에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실 추출액은 매실을 설탕에서 숙성시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매실 추출액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에 숙취해소 효과 뿐만 아니라 음용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맛을 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성물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0.5중량% 내지 5중량%의 범위내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헛개나무 추출액은 상기 생약 추출액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헛개나무의 효능이라 함은 알콜성 간염, 지방간, 간경화, 황달, 갈증해소에 작용이 있고(한국 약용 작물원), 헛개나무의 활성화학 물질이 숙취해소, 주독해소 및 구취제거 등 간 해독, 변비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술을 썩히는 작용이 있다고 하며, 그 즙은 술독을 풀고 구역질을 멋게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본초강목).
상기 헛개나무 추출액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0.3중량% 내지 10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3중량% 미만으로 사용시 그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1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쓴맛이 강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매실 추출액, 생약 추출액은 사용전까지 꼭 냉장보관해야 하며, 온도는 2 내지 4℃ 범위 내에 보관함이 바람직하다.
허브는 첨가제로서 민간요법의 각종 식품 첨가제나 차로 많이 활용되며, 최근에는 화장품 등 기타 여러 곳에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으며, 맛과 향에서 구성 성분의 차이가 있다.
허브 식물로는 라벤다, 자스민, 라일락, 라임, 로즈마리, 오키드, 진저, 유카리, 스피아 민트 등 많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각종 음료 등에 사용되어지는 1종 이상의 허브를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 중 각종 비타민군과 미네랄, 감미료, 구연산, 항료, 탄산수소나트륨, 식염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에는 비타민, 미네랄, 감미료, 구연산, 허브 및 구연산 나트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일종 이상의 첨가제를 1 내지 10중량%의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조성된 유효성분은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로서 효과가 탁월함을 하기 실시예에서 입증하였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각종 식품 및 의약품과 의약외품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유효성분을 0.1 내지 50중량%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듯이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성상과 상태의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로서 크림제, 겔제, 액제, 유탁제, 고형제 형태의 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주성분인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유효량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적인 담체 및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를 선택하여 크림제, 겔제, 액제, 유탁제, 또는 고형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담체로는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방부제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로는 향료, 비타민류, 항산화제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은 상기와 같은 제형으로 제조되어 식품으로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담체 및 첨가제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것은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희석제로는 유당(lactose monohydrate), 옥수수 전분(cornstarch), 콩기름(soybean oil), 미결정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또는 만나톨(D-mannitorl)이 좋고,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또는 탈크(talc)가 바람직하며, 결합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 polyvinyipyrrolidone)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hydroxypropylcellulose) 중에서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붕해제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Ca-CMC; 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전분글리콜산나트륨(sodium starch glycolate) 등이 바람직하고, 감미제로는 백당, 과당, 소르비톨(sorbitol) 또는 아스파탐(aspartame) 중에서 선택되고, 안정제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Na-CMC;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베타-싸이크로덱스트린(beta-cyclodextrin), 백납(white bee's wax) 또는 산탄검(xanthan gum) 중에서 선택되며,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methyl p-hydroxy benzoate, methylparaben),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propyl p-hydroxy benzoate, propylparaben) 또는 소르빈산칼륨(potassium sorbate)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바람직한 투여량이 체질 및 체중, 질병의 정도,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하여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은 1회 80mg 내지 120mg을 취할 수 있고, 1일 2 내지 3회 취하면 더욱 좋다.
상기 시음량은 어떠한 면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은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 제품화할 수 있는 것으로는 각종 건강식품 및 제약품, 드링크제, 건강음료, 화장품 등이 있고, 물이 첨가되는 모든 식품과 제약에도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예 1 :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증류수의 제조
증류수 1000g에 98% 수산화나트륨 50g을 용해시키고, 자철석 분말 50g을 가하여 1200 rpm으로 교반하고, 염화제2철 6mg을 투입하여, 강알카리 용액으로 제조하여, 갈색반응물로 완전히 변한 시점을 종말점으로 하여, 알칼리 용액을 12시가 정치 숙성시키고, 염산을 가하여 중화(pH 7 내지 7.5)시킨 후 증류수 1000g을 가하여 교반한 다음 정치시켰다. 정치 24시간 후 상등액을 분리시키고, 맑고 투명한 상등액 1800g을 증류기에서 증류하여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증류수 약 1620g을 얻었다.
참조예 2 : 생약 추출액의 제조
생약 추출액을 얻기 위해 곽향 15중량%, 녹두 15중량%, 방풍 15중량%, 하수오 15중량%, 백령 10중량%, 행인 10중량%, 감초 10중량%, 부추뿌리 5중량% 및 파뿌리 5중량%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 80 중량부에 98% 에탄올 수용액 100중량부를 가하여 실온(25℃)에서 10일간 침지시켜 추출하고, 필터로 여과하여 생약 추출물 66g을 수득하였다.
참조예 3 천연 유기황
천연 유기황은 MSM<소나무의 로그닌에서 추출되는 메틸설포닐메탄>라는 천연 유기황 화합물질의 약자로서, 미국 Cardinal 사의 제품을 이용한다.
참조예 4 : 헛개나무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액은 생약추출액과 같은 방법을 열탕법과 냉침법으로 추출하였다. 헛개나무 줄기 썬 것 37.5g을 물 500㎖에 넣고 물의 양이 절반이 되도록 달여 찌꺼기는 버리고, 필터로 여과하여 헛개나무 추출물을 수득했다.
참조예 5 : 매실 추출액
매실을 깨끗이 행궈 수분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수분 제거된 매실과 흑설탕을 3:1의 중량비로 침지 및 숙성시켜 추출액을 얻었다.
실시예 1 내지 4
하기 표 1에 제시된 성분과 조성비를 사용하여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유효성분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증류수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생약추출액 3.0 3.5 3.7 3.9
천연유기황 0.1 0.15 0.17 0.19
헛개나무추출액 0.5 0.7 0.9 1
매실추출액 1.0 1.5 1.7 1.9
첨가제 비타민(종합) 0.2 0.3 0.4 0.45
구연산 0.15 0.17 0.19 0.19
구연산나트륨 0.05 0.07 0.09 0.09
과당 3 4 4.5 5
합계 100 100 100 100
시험예 1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숙취해소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숙취해소 효과 평가를 하였다.
20대 성인남자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 대상자(100명)에게 시판 소주(알코올 20%) 300㎖를 섭취하게 하고 30분 후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를 각각 0.15g/㎏의 양으로 음용수에 녹이고 각각 20명씩 총 4그룹으로 나누어 75㎖씩 섭취하게 하였다. 대조군으로써 20명의 1그룹은 숙취해소 조성물의 섭취하지 않게 하였다. 숙취해소 효과는 5점 척도법으로 다음날 음주에 따라 나타나는 숙취현상인 두통(1: 두통 없음 2: 두통 거의 없음 4: 두통 약간 심함 5: 두통 매우 심함) 및 갈증(1: 갈증 전혀 없음 2: 갈증 거의 있음 4: 갈증 약간 있음 5: 갈증 매우 심함) 의 정도에 따라 비교 평가를 하였다.
구분 두통 갈증
실시예 1 2.5 2.6
실시예 2 2.3 2.4
실시예 3 2.1 2.2
실시예 4 1.9 1.9
대조군 4 4.5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에는 숙취해소가 확실하게 되고 있으며, 빠른 시간인 약 30분에서 1시간 사이에 숙취가 확실히 해소됨을 알 수 있다.
최근 숙취 해소 음료에는 큰 효과가 없다는 연구결과가 밝혀졌다. 보통 음료수보다 비교적 가격이 비싼 숙취해소 음료를 숙취를 해소하기 위하여, 많이 찾지만 제품 광고에서 보여주는 효과는 전혀 찾아볼 수 없다고 한다.
우선 숙취해소 음료의 효과가 없다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 알아야 할 객관적인 사실이 있다.
혈중 알코올이 빨리 떨어지면 그 만큼 술이 빨리 깨는 것이다라는 생각을 대부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과학적이지 못하다. 사실 알코올 농도가 떨어짐과 동시에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빨리 떨어져야 숙취증상이 없어지고 우리 몸에서 보호효과도 더 잘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아세트알데히드란 술의 주성분인 에탄올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대사물질로 두통과 어지럼증, 오한 등의 숙취증상을 유발하는 원인물질 중 하나이다. 아세트알데히드는 알코올보다는 독성이 강한 물질이고 무작위로 세포들을 공격하기 때문에 혈관을 확장시키고, 그 다음 구토를 일으키게 한다. 술을 먹고나서 얼굴이 빨갛게 달아오르는 자체가 아세트알데히드가 일으키는 형상이며, 술먹고 그 다음날까지 개운하지 않은 느낌이나 구역질과 같은 여러가지 전신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알코올보다는 아세트알데히드라는 물질에 의한 증상으로 파악된다. 숙취현상이라고 얘기하면 증상의 원인 물질에 대해 아세트알데히드로 듣고 있기 때문에 숙취해소에는 아세트알데히드를 빨리 몸에서 제거해 주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따라서 숙취 해소 음료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효과적으로 떨어뜨릴 수 있느냐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효과적으로 떨어뜨려, 표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숙취 시 나타나는 증상인 두통 및 갈증이 빨리 해소되는 것이다.

Claims (7)

  1. 원적외선이 311㎛ 내지 336㎛ 방사되며, 물의 클러스터 폭을 50 내지 60Hz로 좁힌 물인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증류수 80 내지 96중량%;
    곽향 10 내지 30중량%, 녹두 10 내지 30중량%, 방풍 10 내지 30중량%, 하수오 10 내지 30중량%, 백령 5 내지 20중량%, 감초 5 내지 20중량%, 부추뿌리 5 내지 20중량%, 및 파뿌리 5 내지 20중량%를 추출하여 얻은 생약 추출액 0.5 내지 5중량%;
    헛개나무 추출액 0.3 내지 10중량%;
    매실추출액 0.5 내지 5중량%;
    천연유기황 0.1 내지 0.3중량%; 및
    나머지 비타민, 미네랄, 감미료, 구연산, 허브 및 구연산 나트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일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증류액은 정제수 1,000 중량부에 수산화나트륨 50 내지 150 중량부에 용해시킨 후, 전기적인 자철광석 또는 토르마린 분말 50 내지 200 중량부를 가하여 1,500 내지 2,000 rpm으로 교반하여 강알칼리화하는 단계; 및 염화제1철 또는 염화제2철 50 내지 250 중량부를 가하고,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숙성시키는 단계; 및 염산을 가하여 pH 7 내지 7.5로 중화시키고, 정제수 1000 내지 2000 중량부를 가하여 20 내지 30시간 숙성시키는 단계; 상등액을 분리하여 증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크림제, 겔제, 액제, 유탁제 및 고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형태로 제형화되는 것인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
  5.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6. 삭제
  7. 삭제
KR1020130083962A 2013-07-17 2013-07-17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1393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962A KR101393598B1 (ko) 2013-07-17 2013-07-17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962A KR101393598B1 (ko) 2013-07-17 2013-07-17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598B1 true KR101393598B1 (ko) 2014-05-09

Family

ID=5089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962A KR101393598B1 (ko) 2013-07-17 2013-07-17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5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105B1 (ko) * 2014-06-23 2015-07-29 이재섭 방풍과 매실을 이용한 반죽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과자와 이의 제조방법
WO2020059995A1 (ko) * 2018-09-17 2020-03-26 주식회사 진생바이팜 숙취해소에 뛰어나며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예방용 건강 음료 조성물
KR20210065637A (ko) * 2019-11-27 2021-06-04 한국한의약진흥원 대복피와 방풍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677B1 (ko) 2003-08-14 2008-10-06 최규택 석유황 또는 유황을 함유하는 간질환 치료 및 예방용조성물
KR100984010B1 (ko) 2010-04-07 2010-09-30 임춘규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677B1 (ko) 2003-08-14 2008-10-06 최규택 석유황 또는 유황을 함유하는 간질환 치료 및 예방용조성물
KR100984010B1 (ko) 2010-04-07 2010-09-30 임춘규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105B1 (ko) * 2014-06-23 2015-07-29 이재섭 방풍과 매실을 이용한 반죽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과자와 이의 제조방법
WO2020059995A1 (ko) * 2018-09-17 2020-03-26 주식회사 진생바이팜 숙취해소에 뛰어나며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예방용 건강 음료 조성물
KR20200032772A (ko) * 2018-09-17 2020-03-27 주식회사 진생바이팜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KR102107387B1 (ko) * 2018-09-17 2020-05-08 주식회사 진생바이팜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KR20210065637A (ko) * 2019-11-27 2021-06-04 한국한의약진흥원 대복피와 방풍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용 조성물
KR102402228B1 (ko) * 2019-11-27 2022-05-25 한국한의약진흥원 대복피와 방풍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3384C2 (ru) Фитокомплекс из плодов бергамота,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и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пищевой добавки и в области фармакологии
JP6345243B2 (ja) 円武扇発酵物含有食品または飲料組成物
CN102894437A (zh) 一种清热降火银花莲心饮料及其制备方法
CN103271393A (zh) 一种姜黄素和沙棘组成的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046621B1 (ko) 천일염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60065497A (ko) 숙취 해소용 음료의 제조 방법 및 숙취 해소용 음료
KR101393598B1 (ko)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
KR20210068967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식품조성물
JP4406780B2 (ja) カバノアナタケの有効成分を用いた抗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剤及びその他の薬剤の製造方法並びに健康飲食製品の製造方法
KR20090098024A (ko) 약주의 제조방법
KR101461165B1 (ko)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CN105029553A (zh) 一种果汁蛋钙中药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896520B1 (ko) 탈염 용암해수 및 목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핵심물질 제조공정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07889B1 (ko) 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237215B1 (ko) 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00064286A1 (en) Method of extracting from hovenia dulcis thunb, using method thereof and food containing extract
JP2005278654A (ja) 関節炎改善用食品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210147707A (ko) 미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
JP2009137981A (ja) カバノアナタケ薬剤に対する微弱エネルギー処理方法及び雪水その他の健康飲食製品
KR20210115691A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에 좋은 식품
CN105380267B (zh) 一种功能食品及其制备方法
JP2007015960A (ja) 生薬抽出物配合液剤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4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311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1004

Effective date: 2020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