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595B1 -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 - Google Patents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595B1
KR101393595B1 KR1020130012906A KR20130012906A KR101393595B1 KR 101393595 B1 KR101393595 B1 KR 101393595B1 KR 1020130012906 A KR1020130012906 A KR 1020130012906A KR 20130012906 A KR20130012906 A KR 20130012906A KR 101393595 B1 KR101393595 B1 KR 101393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n pulley
pulley
excavator
driven
craw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2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 B62D55/065Multi-track vehicles, i.e. more than two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084Endless-track units or carriages mounted separably, adjustably or extensibly on vehicles, e.g. portable track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4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 B62D55/253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having elements interconnected by one or more cables or lik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굴삭기의 하부 주행체의 전후방 양측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주행 모터; 상기 복수개의 주행 모터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굴삭기를 주행시키며, 상기 주행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구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에 연동하여 구동되는 제1종동 풀리 및 제2종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 상기 제1종동 풀리 및 상기 제2종동 풀리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궤도 운동하는 트랙으로 이루어지는 크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크롤러의 지면에 대한 접촉 면적은 상기 굴삭기의 작동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에 있어서, 상기 크롤러는,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제1종동 풀리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제1종동 풀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제1종동 풀리를 지면에 접촉시키거나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신축 부재와,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제2종동 풀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제1종동 풀리와 상기 제2종동 풀리를 연결하며, 상기 제1종동 풀리와 상기 제2종동 풀리 사이에 신장력을 제공하여 탄성 지지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굴삭기의 주행 시스템에 가변성 및 독립성을 부여되어 굴삭 및 주행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EXCAVATOR HAVING VARIABLE INDEPENDENT TYPE CRAWLER}
본 발명은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굴삭기의 작동 상태에 따라 지면에 대한 접촉 면적이 변경되는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건설 현장에서 토사의 적재, 운반 및 하역 작업을 수행하는 건설 장비로서, 도 1은 통상적인 굴삭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굴삭기는 주행 모터(1) 등이 장착되는 크롤러형 하부 주행체(2), 상기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 프레임(3), 상기 상부 프레임(3) 상에 장착되는 운전실(4) 및 엔진실(5), 상기 상부 프레임(3)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붐(6), 아암(7) 및 버켓(8)을 포함하고, 이들을 각각 구동시키는 유압 실린더(9, 10, 11)을 구비하는 작업 장치(1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주행체(2)는 상기 주행 모터(1)의 구동력에 의해 궤도 운동하는 트랙(13) 및 상기 하부 주행처(2)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트랙(13)을 지지하는 아이들러(idler, 1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굴삭기의 작업으로는 크게 굴삭 작업과 주행 작업으로 나눌 수 있는데, 두 작업은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한편, 통상적인 굴삭기의 주행체는 양측에 각각 하나의 주행 모터만이 마련되어 그 기동성이 부족하고, 트랙의 형태가 일자형으로 형성되므로 주행 시 연비가 떨어지며, 주행체 보다 높이가 높은 지형에서는 주행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굴삭기의 주행 시스템에 가변성 및 독립성을 부여하여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는, 굴삭기의 하부 주행체의 전후방 양측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주행 모터; 상기 복수개의 주행 모터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굴삭기를 주행시키며, 상기 주행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구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에 연동하여 구동되는 제1종동 풀리 및 제2종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 상기 제1종동 풀리 및 상기 제2종동 풀리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궤도 운동하는 트랙으로 이루어지는 크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크롤러의 지면에 대한 접촉 면적은 상기 굴삭기의 작동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에 있어서, 상기 크롤러는,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제1종동 풀리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제1종동 풀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제1종동 풀리를 지면에 접촉시키거나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신축 부재와,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제2종동 풀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제1종동 풀리와 상기 제2종동 풀리를 연결하며, 상기 제1종동 풀리와 상기 제2종동 풀리 사이에 신장력을 제공하여 탄성 지지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신축 부재는, 상기 구동 풀리에 연결되는 실린더와, 상기 제1종동 풀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는, 굴삭기의 하부 주행체의 전후방 양측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주행 모터; 상기 복수개의 주행 모터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굴삭기를 주행시키며, 상기 주행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구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에 연동하여 구동되는 제1종동 풀리 및 제2종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 상기 제1종동 풀리 및 상기 제2종동 풀리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궤도 운동하는 트랙으로 이루어지는 크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크롤러의 지면에 대한 접촉 면적은 상기 굴삭기의 작동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에 있어서, 상기 크롤러는, 상기 제1종동 풀리와 상기 제2종동 풀리를 연결하고, 상기 제1종동 풀리와 상기 제2종동 풀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제1종동 풀리를 지면에 접촉시키거나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신축 부재와,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제2종동 풀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제1종동 풀리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제1종동 풀리 사이에 신장력을 제공하여 탄성 지지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축 부재는, 상기 제2종동 풀리에 연결되는 실린더와, 상기 제1종동 풀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굴삭기의 주행 시스템에 독립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4개의 주행 모터를 마련함으로써 기동성이 증가 되었으며, 굴삭기의 주행 시스템에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주행 시에는 트랙과 지면의 접촉 면적을 줄여 빠른 주행이 가능하고, 굴삭 시에는 트랙과 지면의 접촉 면적을 늘려 굴삭 작업을 안정성 있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굴삭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의 작동 상태를 각각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의 작동 상태를 각각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의 작동 상태를 각각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는 주행 시스템에 가변성 및 독립성을 부여하여 효율적인 주행 작업 또는 굴삭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굴삭기는 복수개의 주행 모터(100) 및 크롤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행 모터(100)는 굴삭기의 하부 주행체(110)에 마련되어 굴삭기의 주행 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주행체(110)의 전후방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 즉, 통상적인 굴삭기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주행 모터를 본 발명에서는 4개로 증가시킴으로써 굴삭기의 기동성을 현저하게 향상시켰다.
상기 크롤러는 상기 복수개의 주행 모터(100)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굴삭기를 주행시키는 것으로서, 크롤러의 지면에 대한 접촉 면적은 상기 굴삭기의 작동 상태에 따라 변경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의 굴삭 작업의 경우, 상기 크롤러는 지면과의 접촉 면적을 늘림으로써 굴삭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의 주행 작업의 경우, 상기 크롤러는 지면과의 접촉 면적을 줄임으로써 빠른 주행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크롤러의 구조를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크롤러는 구동 풀리(210), 제1종동 풀리(220), 제2종동 풀리(230), 트랙(500), 신축 부재(320), 연결 부재(310) 및 탄성 부재(4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 풀리(210)는 상기 주행 모터(100)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주행 모터(100)의 구동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상기 제1종동 풀리(220) 및 상기 제2종동 풀리(230)는 상기 신축 부재(320) 및 상기 연결 부재(310)에 의하여 각각 상기 구동 풀리(21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풀리(210)의 구동에 연동하여 구동된다.
상기 트랙(500)은 상기 구동 풀리(210), 상기 제1종동 풀리(220) 및 상기 제2종동 풀리(230)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궤도 운동을 하며, 이와 같은 트랙(500)은 통상적인 굴삭기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상기 연결 부재(310)는 상기 구동 풀리(210)와 상기 제2종동 풀리(230)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신축 부재(320)는 상기 구동 풀리(210)와 상기 제1종동 풀리(220) 사이를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신축 부재(320)는 굴삭기의 최전방, 최후방에 배치된 제1종동 풀리(220)를 지면에 접촉시키거나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 풀리(210)와 상기 제1종동 풀리(2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굴삭기가 굴삭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트랙(500)과 지면의 접촉 면적을 늘리는 경우, 상기 신축 부재(320)는 신장되어 상기 제1종동 풀리(220)를 지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안정적인 굴삭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반면,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굴삭기가 주행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트랙(500)과 지면의 접촉 면적을 줄이는 경우, 상기 신축 부재(320)는 축소되어 상기 제1종동 풀리(22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신속한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종동 풀리(22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는 주행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축 부재(320)는 상기 구동 풀리(210)에 연결되는 실린더 및 상기 제1종동 풀리(220)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구동 풀리(210)와 상기 제1종동 풀리(2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신축할 수 있는 부재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며, 상기 신축 부재(320)의 구체적인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탄성 부재(400)는 상기 제1종동 풀리(220)와 상기 제2종동 풀리(230)를 연결하며, 상기 제1종동 풀리(220)와 상기 제2종동 풀리(230) 사이에 신장력을 제공하여 탄성 지지된다.
즉, 상기 탄성 부재(400)는 상기 트랙(500)의 장력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굴삭기의 굴삭 및 주행 작업 시 완충 역할을 함으로써 굴삭 및 주행 작업 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 등을 저감시켜 작업 환경이 향상된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의 작동 상태를 각각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롤러는 신축 부재(1320), 연결 부재(1310) 및 탄성 부재(14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축 부재(1320)는 제1종동 풀리(1220)와 제2종동 풀리(1230)를 연결하고, 상기 제1종동 풀리(1220)와 상기 제2종동 풀리(12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제1종동 풀리(1220)를 지면에 접촉시키거나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 부재(1310)는 상기 구동 풀리(1210)와 상기 제2종동 풀리(1230)를 연결하고, 상기 탄성 부재(1400)는 상기 구동 풀리(1210)와 상기 제1종동 풀리(1220)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 풀리(1210)와 상기 제1종동 풀리(1220) 사이에 신장력을 제공하여 탄성 지지된다.
한편, 상기 신축 부재(1320)는 상기 제2종동 풀리(1230)에 연결되는 실린더 및 상기 제1종동 풀리(122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에 대한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삭기가 굴삭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트랙(1500)과 지면의 접촉 면적을 늘리는 경우, 상기 신축 부재(1320)는 축소되어 상기 제1종동 풀리(1220)를 지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안정적인 굴삭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삭기가 주행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트랙(1500)과 지면의 접촉 면적을 줄이는 경우, 상기 신축 부재(1320)는 신장되어 상기 탄성 부재(1400)의 탄성력이 상기 제1종동 풀리(122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신속한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종동 풀리(122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는 주행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주행 모터 110: 하부 주행체
210: 구동 풀리 220: 제1종동 풀리
230: 제2종동 풀리 310: 연결 부재
320: 신축 부재 400: 탄성 부재
500: 트랙

Claims (7)

  1. 굴삭기의 하부 주행체(110)의 전후방 양측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주행 모터(100); 상기 복수개의 주행 모터(100)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굴삭기를 주행시키며, 상기 주행 모터(100)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구동 풀리(210)와, 상기 구동 풀리(210)에 연동하여 구동되는 제1종동 풀리(220) 및 제2종동 풀리(230)와, 상기 구동 풀리(210), 상기 제1종동 풀리(220) 및 상기 제2종동 풀리(230)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궤도 운동하는 트랙(500)으로 이루어지는 크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크롤러의 지면에 대한 접촉 면적은 상기 굴삭기의 작동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에 있어서,
    상기 크롤러는,
    상기 구동 풀리(210)와 상기 제1종동 풀리(220)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 풀리(210)와 상기 제1종동 풀리(2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제1종동 풀리(220)를 지면에 접촉시키거나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신축 부재(320)와,
    상기 구동 풀리(210)와 상기 제2종동 풀리(230)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310)와,
    상기 제1종동 풀리(220)와 상기 제2종동 풀리(230)를 연결하며, 상기 제1종동 풀리(220)와 상기 제2종동 풀리(230) 사이에 신장력을 제공하여 탄성 지지되는 탄성 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부재(320)는,
    상기 구동 풀리(210)에 연결되는 실린더와,
    상기 제1종동 풀리(22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
  6. 굴삭기의 하부 주행체(110)의 전후방 양측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주행 모터(100); 상기 복수개의 주행 모터(100)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굴삭기를 주행시키며, 상기 주행 모터(100)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구동 풀리(1210)와, 상기 구동 풀리(1210)에 연동하여 구동되는 제1종동 풀리(1220) 및 제2종동 풀리(1230)와, 상기 구동 풀리(1210), 상기 제1종동 풀리(1220) 및 상기 제2종동 풀리(1230)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궤도 운동하는 트랙(1500)으로 이루어지는 크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크롤러의 지면에 대한 접촉 면적은 상기 굴삭기의 작동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에 있어서,
    상기 크롤러는,
    상기 제1종동 풀리(1220)와 상기 제2종동 풀리(1230)를 연결하고, 상기 제1종동 풀리(1220)와 상기 제2종동 풀리(12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제1종동 풀리(1220)를 지면에 접촉시키거나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신축 부재(1320)와,
    상기 구동 풀리(1210)와 상기 제2종동 풀리(1230)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1310)와,
    상기 구동 풀리(1210)와 상기 제1종동 풀리(1220)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 풀리(1210)와 상기 제1종동 풀리(1220) 사이에 신장력을 제공하여 탄성 지지되는 탄성 부재(1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부재(1320)는,
    상기 제2종동 풀리(1230)에 연결되는 실린더와,
    상기 제1종동 풀리(122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
KR1020130012906A 2013-02-05 2013-02-05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 KR101393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906A KR101393595B1 (ko) 2013-02-05 2013-02-05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906A KR101393595B1 (ko) 2013-02-05 2013-02-05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595B1 true KR101393595B1 (ko) 2014-05-12

Family

ID=5089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906A KR101393595B1 (ko) 2013-02-05 2013-02-05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5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189A (ko) * 2019-12-06 2021-06-17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447B1 (ko) * 2007-08-20 2008-12-0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형 무한궤도를 갖는 이동장치
JP2009154695A (ja) * 2007-12-26 2009-07-16 Japan Aerospace Exploration Agency クローラ型走行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447B1 (ko) * 2007-08-20 2008-12-0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형 무한궤도를 갖는 이동장치
JP2009154695A (ja) * 2007-12-26 2009-07-16 Japan Aerospace Exploration Agency クローラ型走行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189A (ko) * 2019-12-06 2021-06-17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
KR102348145B1 (ko) * 2019-12-06 2022-01-06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0748B2 (en) High-frequency vibrating transverse drum cutter head, and drum cutter machine and tunnel boring machine therewith
CN102733803A (zh) 复合式悬臂掘进机
ES2939583T3 (es) Conjunto de orugas para máquina motriz
CN113562090B (zh) 移动式工程机械
EP3074301A1 (en) Traveling device and working machine
KR101393595B1 (ko)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
CN203296046U (zh) 履带式螺旋地桩打桩机
CN101824984B (zh) 一种矿山巷道用挖斗装载机
CN104986231A (zh) 一种可切换轮履两种行走模式的挖掘机底盘
CN104404990A (zh) 一种具有伸缩臂的轮式挖掘机
CN112105783A (zh) 作业车辆
CN102787621A (zh) 连续式挖槽机
CN104234101B (zh) 多级伸缩臂装置及具有多级伸缩臂装置的深挖挖掘机
CN108517906A (zh) 步履式挖掘机以及步履式挖掘机的工作方法和转运方法
WO2017016186A1 (zh) 双挖斗挖掘机组成的挖掘系统
CN202690088U (zh) 一种移动式液压煤矿巷道支护支架安装机
CN102720514A (zh) 一种移动式液压煤矿巷道支护支架安装机
KR20120094318A (ko)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
JP6723186B2 (ja) 双腕型の作業機械
SU152432A1 (ru) Роторный экскаватор
JP2006089236A (ja) 運搬台
CN216839614U (zh) 一种隧道专用电动液压挖掘机
CN219220426U (zh) 一种双轮式悬臂掘进机
CN201605607U (zh) 带有皮带输送机构的新型履带式挖掘装载机
JP2013212763A (ja) 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