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145B1 -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 - Google Patents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145B1
KR102348145B1 KR1020190161498A KR20190161498A KR102348145B1 KR 102348145 B1 KR102348145 B1 KR 102348145B1 KR 1020190161498 A KR1020190161498 A KR 1020190161498A KR 20190161498 A KR20190161498 A KR 20190161498A KR 102348145 B1 KR102348145 B1 KR 102348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vehicle body
disposed
entering
roof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2189A (ko
Inventor
김영렬
조인성
김종수
김원영
김효일
박진형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Priority to KR1020190161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145B1/ko
Publication of KR20210072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54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5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endless track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의 전면부에 조종수가 탑승가능하고 내부의 후면부에 소방대원 및 요구조자가 탑승가능한 복수의 탑승공간을 포함하는 차체; 상기 차체의 양 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불규칙한 노면에도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크롤러 구동부; 및 상기 차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피이동대상의 이동 및 운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로봇 암(arm)을 포함하는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Armored Vehicle for Fire Fighting}
본 발명은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화재현장에 투입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소방로봇이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종래기술 한국특허 화재 진압용 소방로봇(특허 제 10-0770655호)은 양 측에 구비되는 크롤러 구동부, 방수포, 냉각시스템 및 자위 분무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화재 현장에 투입되어 화재 진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비롯하여 종래의 모든 소방로봇은 화재현장에 투입되는 것은 가능하나 그 내부에 직접 소방대원을 태우고 화재 현장에 투입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소방대원이 로봇에 탑승하면 보다 정교하고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그러나, 예기치 못한 건물 붕괴 등의 사고에 의하여 소방로봇의 내부에 탑승하는 소방대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소방대원이 탑승하여 정밀한 제어를 통한 효과적인 화재 진압이 가능하고, 그 후방에는 구조대원과 요구조자도 탑승할 수 있으며, 붕괴되는 구조물에 깔려도 쉽게 무너지지 않는 견고한 지붕구조를 가지는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을 제안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한국특허 제10-0770655호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보완한, 소방대원이 탑승하여 정밀한 제어를 통한 효과적인 화재 진압이 가능하고, 그 후방에는 구조대원과 요구조자도 탑승할 수 있으며, 붕괴되는 구조물에 깔려도 쉽게 무너지지 않는 견고한 지붕구조를 가지는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의 전면부에 조종수가 탑승가능하고 내부의 후면부에 소방대원 및 요구조자가 탑승가능한 복수의 탑승공간을 포함하는 차체; 상기 차체의 양 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불규칙한 노면에도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크롤러 구동부; 및 상기 차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피이동대상의 이동 및 운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로봇 암(arm)을 포함하는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여기 기재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추가적인 해결수단이 아래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추가적인 해결수단은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확인하거나 지득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은 소방대원이 탑승한 채로 화재 현장에 투입될 수 있어 정교하고 정밀한 제어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은 후방좌석에 구조대원과 요구조자도 탑승할 수 있어 요구조자에 대한 신속한 구호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은 견고한 지붕 구조를 가져 화재 현장이 붕괴되더라도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재 진압 로봇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의 내부를 볼 수 있는 투과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의 지붕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의 내부 탑승구역과 탑승자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의 양압, 냉방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의 농연 가시화모듈과 윈도우(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의 자위분무 및 방수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의 크롤러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의 유압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의 전기동력 제어시스템과 조종석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 들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단지 명세서를 용이하게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나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화재 진압 로봇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의 내부를 볼 수 있는 투과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의 내부 탑승구역과 탑승자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100)은 차체(200), 로봇 암(300) 및 크롤러 구동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체(200)는 내부의 전면부에 조종수가 탑승가능하고 내부의 후면부에 소방대원 및 요구조자가 탑승가능한 복수의 탑승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탑승공간은 도 4를 참조하면 전면 탑승공간(S1)과 후면 탑승공간(S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면 탑승공간(S1)에는 소방대원 중 조종수(D)가 탑승할 수 있고, 후면 탑승공간(S2)에는 소방, 구조대원(A)과 구조된 요구조자(P)가 탑승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탑승공간(S2)은 최소 두 명의 소방, 구조대원(A)이 착석할 수 있고 구조된 요구조자(P)가 편하게 누울 수 있는 구조와 규모로 형성될 수 있다.
차체(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 외부에 많은 구성요소들이 구비되는데 이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로봇 암(300)은 차체(200)의 전면에 설치되어 피이동대상의 이동 및 운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크롤러 구동부(400)는 차체(200)의 하단 양 측에 설치되어 불규칙한 노면 상황에서도 차체(200)가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각 구성요소 들의 그 배치관계나 구조 및 형상 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의 지붕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100)은 견고한 지붕구조를 가질 수 있다. 지붕구조는 복수의 길이와 두께 및 개수가 다른 프레임들이 서로 엇갈리면서 연결되어 배치됨으로써 화재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낙하물에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한게 구성될 수 있다.
지붕구조는 전면 탑승공간(S1)의 지붕을 이루는 전면 지붕 구조와 후면 탑승공간(S2)의 지붕을 이루는 후면 지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지붕 구조는 제1전면 지지프레임(201), 제2전면 지지프레임(202) 및 전면 보조지지프레임(20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전면 지지프레임(201)은 전면 탑승공간의 후측에 차체(200)를 가로질러 너비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전면 지지프레임(202)은 전면 탑승공간의 전측에 상기 차체를 가로질러 너비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상기 제1전면 지지프레임(201)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전면 보조지지프레임(203) 제1전면 지지프레임(201)과 제2전면 지지프레임(202)의 사이에 차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양자를 연결하며 소정의 간격을 두어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지붕 구조는 제1전면 지지프레임(201)에서부터 상기 제2전면 지지프레임(202)에 이르기까지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되며 점점 그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전면 지지프레임이 상기 제1전면 지지프레임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지붕에 낙하물이 떨어졌을 때 신속히 전면을 향하여 굴러 떨어지도록 할 수 있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후방보다 전방이 더 그 폭이 넓게 형성되므로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여 더욱 견고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후면 지붕 구조는 제1후면 지지프레임(210), 제2후면 지지프레임(220), 제1세로 지지프레임(212), 제1가로 지지프레임(211), 제2세로 지지프레임(222), 제2가로 지지프레임(221) 및 후면 보조지지프레임(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후면 지지프레임(210)은 후면 탑승공간에 제1전면 지지프레임(20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차체(200)를 가로질러 너비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후면 지지프레임(220)은 제1후면 지지프레임(21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후면 탑승공간의 후측에 상기 차체(200)를 가로질러 너비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세로 지지프레임(212)은 제1전면 지지프레임(201)과 상기 제1후면 지지프레임(210)의 사이에 양 자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 단에 배치되어 양 자를 연결하며 소정의 간격을 두어 배치될 수 있다.
제1가로 지지프레임(211)은 복수의 제1세로 지지프레임(212)의 사이에 양 자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에 배치되어 양 자를 연결하며 각각 제1후면 지지프레임(210)과 상기 제1전면 지지프레임(201)과 나란히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1세로 지지프레임(212)과 제1가로 지지프레임(21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개수는 증감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후면 지지프레임(210), 제1전면 지지프레임(201), 제1세로 지지프레임(212) 및 제1가로 지지프레임(211)은 이루어지는 차체(200)의 대략 중앙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견고한 지붕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세로 지지프레임(222)은 복수개가 제1후면 지지프레임(210)과 제2 후면 지지프레임(2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양 자를 연결하며 상기 차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2가로 지지프레임(221)은 복수개가 복수의 제2세로 지지프레임(222) 사이에 양 자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에 배치되어 양 자를 연결하며 각각 제1후면 지지프레임(210)과 상기 제2후면 지지프레임(220)과 나란히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2세로 지지프레임(222)과 제2가로 지지프레임(22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개수는 증감될 수 있다.
후면 보조지지프레임(223)은 후면 지붕 구조의 영역 중에서 제2세로 지지프레임(222)과 제2가로 지지프레임(221)에 의해 둘러 쌓이지 않은 영역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후면 보조지지프레임(223)은 제1후면 지지프레임(210)과 제2후면 지지프레임(220)의 사이에서 양 자를 연결하며 차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어 배치될 수 있다.
전면 보조지지프레임(203)과 후면 보조지지프레임(223)은 그 개수가 다른 것들에 비해 더 많은 대신 그 두께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상대적으로 차체(200)의 우측에 후면 보조지지프레임(223)이 배치되도록 도시되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면 보조지지프레임(223)이 차체(200)의 좌측 또는 중앙부에도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100)의 지붕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복수의 전후면 지지프레임과 보조 지지프레임 들을 각기 그 방향과 길이를 달리하며 독특한 배치구조를 형성하여 낙하물이 지붕을 충격하는 경우에도 쉽게 무너지지 않는 견고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조종수(D)와 소방, 구조대원(A) 및 요구조자(P)의 안전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의 양압, 냉방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100)는 양압장치(243), 유해가스 필터(241), 냉방장치(242) 및 열교환기(244)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현장은 유해가스가 가득한 환경이므로 차체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양압장치(243)가 구비될 수 있다. 양압장치(243)는 외부의 유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상기 차체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상기 차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에 설치될 수 있다.
유해가스 필터(241)는 양압장치(243)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냉방장치(242)와 열교환기(244) 역시 양압장치(243)과 유해가스 필터(241)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내부 공기의 컨디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의 농연 가시화모듈과 윈도우(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윈도우(205, 206) 및 농연 가시화모듈(207)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205, 206)는 차체의 전면 탑승 공간의 전면 및 측면에 각각 외부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면 윈도우(205)와 측면 윈도우(206)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윈도우(205)는 조종수(D)가 전방을 볼 수 있도록 전면에 배치되며 그 상방이 하방에 비해 전방으로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윈도우(206)는 전면 탑승공간(S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농연 가시화모듈(207)은 농연을 감지 및 제거하여 시야를 가리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농연 가시화모듈(207)은 차체(200)의 전면 윈도우(205)의 상단 두 개가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추가로 차체(200)의 양 측면에 두 개와 후면에도 한 개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화재현장은 유해가스 등을 포함하여 시야를 가리는 농연이 가득한 상황에 항상 처해있으므로 조종수(D)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윈도우(205, 206)와 농연을 제거하여주는 농연 가시화모듈(207)이 필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의 자위분무 및 방수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100)은 차체 냉각 노즐(221), 방수포(222) 및 물관리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차체 냉각 노즐(221)은 복수개가 차체(200)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 배치되어 차체(200)에 직접 또는 그 주변에 물을 분사하여 차체(200)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직접적인 화염과 화염에 의한 높은 복사열로부터 차체(200)가 보호되어야 하는데, 차체 냉각 노즐(221)이 차체(200) 전체에 물을 분사하는 자위 분무 작업을 통하여 차체(200)를 화염과 복사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방수포(222)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물을 방출하는 구성요소로서, 차체(200)의 전면 하단에 로봇 암(300)의 사이에 배치되어 물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관리 제어부(220)는 차체 냉각 노즐(221)과 방수포(222)와 연결되어 차체 냉각 노즐(221)과 방수포(222)에 물을 공급하고 그 공급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의 크롤러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100)은 복수의 크롤러 구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크롤러 구동부(400)는 차체(200)의 양 측에 설치되어 차체(2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롤러 구동부(400)는 보다 효과적으로 불규칙한 노면을 따라 움직이기 위하여 전면에 설치되는 크롤러 구동부 한 쌍, 후면에 설치되는 크롤러 구동부 한 쌍을 포함하여 총 두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크롤러 구동부(400)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황과 경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크롤러 구동부(400)는 유압 구동 모터(410), 트랙(420) 및 틸팅 방지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 구동 모터(410)는 크롤러 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 축을 구비하며 크롤러 구동부(400) 전체를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유압 구동 모터(410)의 전방에는 유압 구동 모터(410)와 결합되는 구동부 본체가 구비될 수 있다.
트랙(420)은 유압 구동 모터(410)와 구동부 본체를 포함하여 그 전체 둘레를 둘러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압 구동 모터(410)의 구동에 따라 트랙(420)이 무한궤도 이동을 하면서 크롤러 구동부(400)가 작동하고 이에 의해 차체(200)가 이동될 수 있다.
틸팅 방지부(430)는 크롤러 구동부(400)의 전방이 상방을 향하여 틸팅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축을 포함하는 유압 구동 모터(410)가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여 구동됨에 따라 불규칙한 노면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크롤러 구동부(400)의 전방이 상방을 향하여 틸팅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틸팅 방지부(430)는 일측이 크롤러 구동부(400)의 전방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차체(200)에 연결되는 피스톤-실린더 구조로 구성되어 크롤러 구동부(400)의 전방측이 상방을 향하여 틸팅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하방을 향하여 가압함으로서 크롤러 구동부(400)의 전방 틸팅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의 유압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100)은 유압 제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100)은 그 내부에 저유기(250), 전기모터 및 유압펌프(251), 메인/리턴 배관(252), 메인 컨트롤 밸브(MCV)(253), 후방도어 유압 블록(254), 개폐장치(255) 및 잠금장치(25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100)은 전기모터와 유압펌프(251)를 직접 결합하여 구동시켜 이를 통해 발생된 유압을 이용하여 크롤러 구동부(400)와 로봇 암(300)을 구동시킬 수 있으며, 후방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의 전기동력 제어시스템과 조종석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100)은 전기모터(251), 고전압분배기(HYPD)(231), DC컨버터(232), 충전기(OBC)(233), 모터 인버터(234), 저전압분배기(LYPD)(235) 및 제어기(2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100)은 화재현장에 적합하도록 내연기관을 구비하지 않고 상기와 같이 전기모터와 배터리를 갖춘 전기동력시스템으로 동력을 발생시켜 구동될 수 있다.
나아가 조종석 제어 판넬(280)이 더 포함되어 조종수(D)는 차량과 차량의 각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뿐만 아니라 각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 발명
200: 차체
300: 로봇 암(arm)
400: 크롤러 구동부

Claims (10)

  1. 내부의 전면부에 조종수가 탑승가능하고 내부의 후면부에 소방대원 및 요구조자가 탑승가능한 복수의 탑승공간을 포함하는 차체;
    상기 차체의 양 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불규칙한 노면에도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하며, 전면 크롤러 구동부 한 쌍과 후면 크롤러 구동부 한 쌍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의 크롤러 구동부; 및
    상기 차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피이동대상의 이동 및 운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로봇 암(arm);
    을 포함하며,
    상기 차체는,
    상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지붕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지붕 구조는,
    조종수가 탑승하는 전면 탑승공간의 지붕을 구성하는 전면 지붕 구조와 소방대원 및 요구조자가 탑승하는 후면 탑승공간의 지붕을 구성하는 후면 지붕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지붕 구조는,
    상기 전면 탑승공간의 후측에 상기 차체를 가로질러 너비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제1전면 지지프레임;
    상기 전면 탑승공간의 전측에 상기 차체를 가로질러 너비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상기 제1전면 지지프레임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전면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1전면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전면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상기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양자를 연결하며 소정의 간격을 두어 배치되되, 상기 제1전면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2전면 지지프레임보다 개수가 많게 형성되며, 두께는 작게 형성되는 복수의 전면 보조지지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지붕 구조는,
    상기 제1전면 지지프레임에서부터 상기 제2전면 지지프레임에 이르기까지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되며 점점 그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전면 지지프레임이 상기 제1전면 지지프레임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지붕 구조에 낙하물이 떨어졌을 때 낙하물이 신속히 전면을 향하여 굴러 떨어지도록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2전면 지지프레임이 상기 제1전면 지지프레임보다 더 길게 형성됨에 따라, 후방보다 전방이 더 그 폭이 넓게 형성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크롤러 구동부는,
    구동 축을 구비하며 후방에 배치되는 유압 구동 모터;
    상기 유압 구동 모터와 결합되는 구동부 본체;
    상기 유압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부 본체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트랙; 및
    일측은 전방에 연결되고 그 타측은 상기 차체에 연결되어 피스톤-실린더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크롤러 구동부의 전방측이 상방을 향하여 틸팅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크롤러 구동부의 전방을 하방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크롤러 구동부가 불규칙한 노면 상태에 의해 그 전방이 상방으로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는 틸팅 방지부;
    를 포함하는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지붕 구조는,
    상기 후면 탑승공간에 상기 제1전면 지지프레임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차체를 가로질러 너비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제1후면지지프레임;
    상기 제1후면 지지프레임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후면 탑승공간의 후측에 상기 차체를 가로질러 너비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제2후면 지지프레임;
    상기 제1전면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후면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양 자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 단에 배치되어 양 자를 연결하며 소정의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세로 지지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제1세로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양 자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에 배치되어 양 자를 연결하며 각각 상기 제1후면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전면 지지프레임과 나란히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제1가로 지지프레임
    을 포함하는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지붕 구조는,
    상기 제1후면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 후면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어 양 자를 연결하며 상기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2세로 지지프레임;
    상기 복수의 제2세로 지지프레임 사이에 양 자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에 배치되어 양 자를 연결하며 각각 상기 제1후면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후면 지지프레임과 나란히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제2가로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2세로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가로 지지프레임에 의해 둘러쌓이지 않은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후면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후면 지지프레임의 사이에서 양 자를 연결하며 상기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후면 보조지지프레임
    을 포함하는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
  6.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유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상기 차체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상기 차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에 설치되는 양압장치;
    상기 양압장치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유해가스 필터; 및
    상기 양압장치와 일체로 형성되는 냉방장치와 외부 열교환기;
    를 포함하는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전면 탑승 공간의 전면 및 측면에 외부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면 윈도우와 측면 윈도우를 포함하는 윈도우; 및
    상기 차체의 전면에 상기 윈도우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차체의 양 측면과 후면에 배치되어 유해가스 등의 농연을 감지 및 제거하여 시야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농연가시화 모듈
    을 포함하는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 배치되어 상기 차체에 직접 또는 그 주변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차체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차체 냉각 노즐;
    상기 차체의 전면에 배치되어 소화수를 살수할 수 있는 소화포 장치; 및
    상기 냉각 노즐과 상기 소화포 장치에 물을 공급하고 그 공급량을 제어하는 물관리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61498A 2019-12-06 2019-12-06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 KR102348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498A KR102348145B1 (ko) 2019-12-06 2019-12-06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498A KR102348145B1 (ko) 2019-12-06 2019-12-06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189A KR20210072189A (ko) 2021-06-17
KR102348145B1 true KR102348145B1 (ko) 2022-01-06

Family

ID=76603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498A KR102348145B1 (ko) 2019-12-06 2019-12-06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1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6218A (ja) * 2003-12-25 2005-07-14 Fujita Corp 遠隔操作システム
KR101393595B1 (ko) * 2013-02-05 2014-05-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655B1 (ko) 2006-12-19 2007-10-29 동일파텍주식회사 화재 진압용 소방로봇
KR100883841B1 (ko) * 2007-08-02 2009-02-17 김범술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KR20120001161U (ko) * 2010-08-11 2012-02-21 조태환 에어필터 자동 에어 세척 장치가 있는 양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6218A (ja) * 2003-12-25 2005-07-14 Fujita Corp 遠隔操作システム
KR101393595B1 (ko) * 2013-02-05 2014-05-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변 독립형 크롤러를 갖는 굴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189A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6316B2 (en) Installation for fighting fire
JP4360536B2 (ja) 防火防煙区画形成設備
KR20160130100A (ko) 화재 진압용 장비 및 화재진압 방법
JP3977190B2 (ja) トンネル防災システム
KR102243921B1 (ko) 원격 컨트롤이 가능한 방수포
RU105833U1 (ru) Пожарно-спасательный автомобиль с реверсивным движением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и проведения аварийно-спасательных работ в тоннелях (варианты)
JP4105582B2 (ja) 地下空間構造物の坑口防災設備
KR102584199B1 (ko) 자동차화재 진압 및 방어용 커버
JPH10127804A (ja) 区画帯域の泡消火設備
KR102348145B1 (ko)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
CN102805905B (zh) 客车高压细水雾自动灭火装置
JP2007505799A (ja) 高層ビルでの消火活動、救助および建設のための機材
CN207412564U (zh) 冲锋消防车
CN107308577A (zh) 冲锋消防车
CN111905315B (zh) 一种应用于斜拉索桥的火灾监控及灭火方法
KR102586793B1 (ko) 작업도구의 신속한 결합이 가능한 퀵커플러를 구비하는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
JP2005021359A (ja) 立体駐車設備の消火装置
DE102019213600B4 (de) Elektrisch betriebenes Fahrzeug
CN113491854A (zh) 一种智能隧道灭火逃生系统
JP2002035153A (ja) 塗装ブースにおける消火設備及び消火方法
KR102582069B1 (ko)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
KR102623564B1 (ko) 터널 내벽 내화 장치
KR102663069B1 (ko) 주차장 내 화재 전파 방지 및 소화 시스템
CN218833460U (zh) 一种消防强突机器人
JPS6271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