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841B1 -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 Google Patents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841B1
KR100883841B1 KR1020070077779A KR20070077779A KR100883841B1 KR 100883841 B1 KR100883841 B1 KR 100883841B1 KR 1020070077779 A KR1020070077779 A KR 1020070077779A KR 20070077779 A KR20070077779 A KR 20070077779A KR 100883841 B1 KR100883841 B1 KR 100883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ystem
coolant
cooling
cooling jacket
transparent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545A (ko
Inventor
김범술
Original Assignee
김범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술 filed Critical 김범술
Priority to KR1020070077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841B1/ko
Priority to PCT/KR2008/004497 priority patent/WO2009017385A2/en
Publication of KR20090013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414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military, emergency, safety or securit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forming fluid or electrical conduit means or having other means to accommodate the transmission of a force or sig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62D33/048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for refrigerated goods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의 고온 환경으로부터 차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은, 차량의 골조를 형성하는 차체프레임, 및 상기 차체프레임을 커버하며 내부에 흐르는 냉각액에 의해 차량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냉각재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방차, 냉각재킷, 차체냉각, 냉각액, 수직형 무한궤도트랙, 방수포, 아웃트리거

Description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VEHICLE SYSTEM HAVING BODY COOLING FUNCTION}
본 발명은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의 고온 환경으로부터 차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차 및 구급차와 같이 긴급한 용도로 사용되는 자동차의 경우, 내부에 화재진압 또는 인명구조를 위한 장비가 탑재되고 및 인원이 탑승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소방차 및 구급차는 화재발생에 따른 고온의 열원으로부터 차체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화재 발생지역에 근접하여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활동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 시 화원(火源)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여 화재를 진압한 이후에야 인명구조활동을 수행할 수 있을 뿐이다. 더구나, 터널의 내부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터널 내부의 온도가 급상승하게 되어 소방차 및 구급차가 터널 내부로 진입하지 못하기 때문 에, 인명 및 장비의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고온 환경으로부터 차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의 고온 환경으로부터 보호가능한 냉각기능을 갖는 투시창을 갖는 차량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의 고온 환경에서도 이동이 가능한 차량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온의 화원에 근접하여 화재진압이 가능한 차량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은, 차량의 골조를 형성하는 차체프레임, 및 상기 차체프레임을 커버하며 내부에 흐르는 냉각액에 의해 차량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냉각재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재킷은, 상기 차량시스템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냉각재킷, 상기 차량시스템의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 냉각재킷, 상기 차량시스템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상부 냉각재킷, 상기 차량시스템의 하부면을 커버하는 하부 냉각재킷 및 상기 차량시스템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 냉각재킷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각재킷은, 내부 중공형의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격벽이 나란하게 배열되며, 하부 일측 모서리에는 냉각액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 모서리에는 냉각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 하측에는 일단이 상기 유입구에 부착되고 상기 격벽과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며 냉각액이 분출되는 다수의 노즐이 형성된 유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은, 상기 냉각재킷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내열타일, 및 상기 냉각재킷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단열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내열타일 각각은 측면을 따라 오목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열타일의 오목한 홈과 결합되도록 측면이 돌출된 내열 타일 고정용 브라켓트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배열되는 2 장의 내열강화유리, 및 상기 2 장의 내열강화유리를 밀폐시키는 윈도우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2장의 내열강화유리 사이에는 냉각액이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은, 상기 냉각액의 온도를 감소시키는 증발기, 상기 냉각액을 상기 냉각재킷 및 차량 엔진에 부착된 라디에이터를 통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냉각액 순환 펌프, 및 상기 냉각재킷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진공펌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은, 제1 온도의 냉각액 이 회수되는 회수부 및 증발기를 이용하여 상기 냉각액이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로 냉각되는 냉각부를 갖는 냉각액 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액 탱크는 다수의 홀이 천공된 격벽에 의해 상기 회수부 및 냉각부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은, 차량시스템의 바닥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차량시스템 내부에 구성된 엔진실, 조정실 및 엔진 자체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상기 유입된 공기를 제공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S'자 형상의 다수의 방열핀이 내부에 배열되는 흡입 공기 냉각 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은, 타이어(tire)가 부착된 타이어형 바퀴, 및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스프로켓 휠 및 아이들러 휠과, 상기 스프로켓 휠 및 아이들러 휠을 감싸며 폐루프를 형성하는 크롤러를 갖는 수직형 무한궤도트랙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형 무한궤도트랙은, 일단에 상기 아이들러 휠이 회동가능하도록 축으로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아이들러 휠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부재가 설치되는 아이들러 휠프레임, 내부에 상기 아이들러 휠 프레임이 설치되는 크롤러 프레임, 상기 완충부재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크롤러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정부재, 상기 크롤러 프레임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크롤러가 무한궤도트랙을 형성하여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드, 상기 크롤러 프레임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로켓 휠이 조립되는 스프로켓 휠 프레임, 상기 스프로켓 휠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크롤러 프레임의 측면에 연결되고 양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실린더 고정부재, 일단이 상기 실린더 고정부재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차체프레임에 고정되어 승강 또는 하강이 가능한 실린더, 상기 실린더 고정부재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는 돌출부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실린더 고정부재의 승강 또는 하강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은, 일단이 상기 차체프레임에 회동축으로 연결되며, 내부 중공부에는 요크 실린더가 고정 설치된 링크암, 상기 요크 실린더의 요크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링크암을 고정시키기 위한 요크격납부재, 상기 링크암의 제1 측면에 부착되어 차량 바퀴가 설치되는 하부링크, 상기 하부링크의 일단부와 상기 링크암 사이에 설치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에어 스프링, 상기 하부링크의 중간부와 상기 링크암 사이에 설치되어 유압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유압 쇼바, 상기 링크암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차체프레임에 회동축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링크암의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2 측면에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승하강 실린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은, 상기 타이어형 바퀴 또는 상기 수직형 무한궤도트랙이 차량시스템 내부에 격납될 경우, 상기 타이어형 바퀴 또는 상기 수직형 무한궤도트랙이 출입하는 개구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격납커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은, 복수의 격벽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복 수의 공간에는 소화용수가 저장되는 소화용수탱크, 상기 소화용수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소화용수를 외부로 분사하는 방수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은, 상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진 외측투광유리, 상기 외측투광유리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열되며 상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진 내측투광유리, 상기 내측투광유리 내부에 설치된 감시카메라, 상기 외측투광유리 및 상기 내측투광유리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외측투광유리의 외부와, 상기 외측투광유리 및 내측투광유리 사이, 그리고 내측투광유리 내부의 공간을 서로 격리시키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투광유리 및 내측투광유리 사이에는 냉각액이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은, 상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진 외측투광유리, 상기 외측투광유리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열되며 상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진 내측투광유리, 상기 내측투광유리 내부에 설치된 서치라이트, 상기 외측투광유리 및 상기 내측투광유리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외측투광유리의 외부와, 상기 외측투광유리 및 내측투광유리 사이, 그리고 내측투광유리 내부의 공간을 서로 격리시키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투광유리 및 내측투광유리 사이에는 냉각액이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은, 차체프레임에 고정되는 잭실린더, 상기 잭실린더로 인입출되는 실린더 로드, 및 상기 실린더 로드의 일단에 핀으로 결합되는 받침대를 갖는 아웃트리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액이 흐르는 냉각재킷에 의해 차량을 커버하므로 외부의 고온 환경으로부터 차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2장의 내열강화유리 사이에 냉각액을 흐르게 함으로써 외부의 고온 환경으로부터 보호 가능한 투시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승하강이 가능한 타이어형 바퀴와 수직형 무한궤도트랙을 구비함으로써, 평상 시에는 타이어형 바퀴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고, 고온의 화원에 근접하였을 때에는 수직형 무한궤도트랙을 이용하여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의 화원에 근접하여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시스템(10)은 차량의 골조를 형성하는 차체프레임을 커버(cover)하는 냉각재킷(11)과, 차량의 전방, 상부 및 측면을 관찰하기 위한 투시창(12 내지 14)과, 사람이 차량에 출입하기 위한 측면 도어(15) 및 후방 도어(16), 그리고 차량시스템(10)을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17)를 포함한다. 또한, 낙석 또는 건물 파편 등으로부터 투시창(12, 13)을 보 호하기 위하여, 투시창(12, 13) 외곽에 보호망(18)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량시스템(10)은 외부 고온의 열원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냉각재킷(11)으로 차량시스템(10)의 전면, 측면, 후면, 상부면 및 하부면을 모두 커버한다. 차량시스템(10)의 전면 냉각재킷(11a)에는 전방 투시창(12)이 형성되고, 측면 냉각재킷(11b)에는 측면 도어(15) 및 측면 투시창(14)이 형성되며, 상부 냉각재킷(11c)에는 상부 투시창(13)이 형성되며, 하부 냉각재킷(미 도시)에는 바퀴(17)가 형성된다. 그리고 후방 도어(16)는 역시 냉각재킷으로 형성됨으로써, 차량시스템(10)의 모든 외부 면이 냉각재킷(11)에 의해 커버된다.
차량시스템(10)의 차체를 커버하는 냉각재킷(11) 및 투시창(12 내지 14)의 내부에는 저온의 냉각액이 흐르고, 상기 냉각액은 차량시스템(10) 내부에 탑재된 엔진식 냉동기(미 도시)에 의해 냉각된다. 상기 냉각액으로서는 물(H2O) 또는 부동액이 사용될 수 있다. 부동액이란 주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이 사용되고, 부식방지제 및 소포제가 함유될 수 있으며, 비등점은 약 130~135도이다. 상기 부동액에 함유되는 부식방지제로서는 아민염, 붕산염, 질산염, 아질산염, 인산염 및 규산염 등과 같은 무기염을 물과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각재킷(11)에 흐르는 냉각액으로 인하여, 차량시스템(10)의 내부는 일정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고온의 열원으로부터 차체 내부의 인명 및 장비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시스템(10)은 화재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미처 화재 현장으로부터 탈출하지 못한 인명에 대한 구조 활 동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의 열원에 근접하여 최적의 위치에서 화재진압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의 하부 프레임 구조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시스템(10)의 골조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 구조체(20)는 2개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사이드 크로스바(21)를 포함하고, 각각의 사이드 크로스바(21) 양단에 엔드 크로스바(22)가 고정됨으로써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사이드 크로스바(21)와 엔드 크로스바(22)는 서로 용접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 크로스바(21)와 엔드 크로스바(22)로 이루어지는 사각 구조체의 내부에는 2개의 인사이드 크로스바(24)가 사이드 크로스바(21)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인사이드 크로스바(24)의 양단은 엔드 크로스바(22)에 고정된다. 또한 복수의 크로스빔(23)이 차량의 좌우 폭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크로스빔(23)의 양단은 인사이드 크로스바(24)에 고정된다.
수직 부재(25)의 일단은 사이드 크로스바(21)와 엔드 크로스바(22)가 맞닿는 부분과, 인사이드 크로스바(24)와 엔드 크로스바(22)가 맞닿는 부분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 부재(25)의 타단은 차량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 평행 부재(26)와 고정된다. 또한 수직 부재(25)의 일 측에는 측면 중간부에는 평행 부재(27)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사이드 크로스바(21), 엔드 크로스바(22)가 고정됨으로써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사이드 크로스바(31)와 엔드 크로스바(32)는 서로 용접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 크로스바(21), 엔드 크로스바(22), 크로스빔(23), 인사이드 크로스바(24), 수직 부재(25), 상부 평행 부재(26) 및 측면 평행 부재(27) 각각(이하, '하부 단위 부재'라 함)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용접 또는 십자형 조인트(28 내지 30)에 의해 연결되어 하부 프레임 구조체(20)의 골조를 형성한다.
상기 십자형 조인트(28 내지 30)는 단위 부재 간 결합 강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 단위 부재들이 서로 직각으로 맞닿는 부분에 설치되어 각각의 하부 단위 부재들과 함께 볼트(31)로 고정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평행 부재(27)의 양 측면에 수직 부재(25)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수직 부재(25)의 측면은 측면 평행 부재(27)에 용접시킨다. 도 3에서 참조번호 '32'는 측면 평행 부재(27)와 수직 부재(25) 간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을 표시한다. 그리고 십자형 조인트(28)를 수직 부재(25)와 측면 평행 부재(27)가 맞닿는 지점에서, 수직 부재(25) 및 측면 평행 부재(27)의 측면에 설치한다. 이 후, 십자형 조인트(28)와 수직 부재(25)를 볼트(31)로 함께 고정하고, 또한 십자형 조인트(28)와 측면 평행 부재(27)를 서로 볼트(31)로 함께 고정함으로써, 수직 부재(25)와 측면 평행 부재(27) 간의 결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에 따른 하부 프레임 구조체(20)는 외부 충격 또는 진동에 대한 강도가 크며 차량의 뒤틀림으로 부터 차대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시스템(10)에 필요한 여러 부가장치를 설치하는 데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프레임 구조체(20)의 사이드 크로스바(21)와 인사이드 크로스바(24) 사이의 공간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승강장치, 수직형 무한궤도트랙 및 아웃트리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의 상부 프레임 구조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의 골조를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체(40)는 2개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사이드 크로스바(41)를 포함하고, 각각의 사이드 크로스바(41) 양단에 엔드 크로스바(42)가 고정됨으로써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사이드 크로스바(41)와 엔드 크로스바(42)는 서로 용접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 크로스바(41)와 엔드 크로스바(42)로 이루어지는 사각 구조체의 내부에는 차량의 좌우 폭 방향으로 복수의 크로스빔(43)이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크로스빔(43)의 양단은 사이드 크로스바(41)에 고정된다. 또한, 복수의 인사이드 크로스바(44)가 사각 구조체의 내부에서 사이드 크로스바(41)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인사이드 크로스바(34)의 양단은 크로스빔(43)에 고정된다.
수직 부재(45)의 일단은 사이드 크로스바(41)와 크로스빔(43)이 맞닿는 부분과, 인사이드 크로스바(44)와 크로스빔(43)이 맞닿는 부분에 고정된다. 그리고 수 직 부재(45)의 타단은 차량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 평행 부재(46)와 고정된다. 또한 수직 부재(45)의 일 측에는 측면 평행 부재(47)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사이드 크로스바(41), 엔드 크로스바(42), 크로스빔(43), 인사이드 크로스바(44), 수직 부재(45), 상부 평행 부재(46) 및 측면 평행 부재(47) 각각(이하, '상부 단위 부재'라 함)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용접 또는 직각형 조인트(28 내지 30)에 의해 연결되어 상부 프레임 구조체(40)의 골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 구조체(40)는 도 2에 도시된 하부 프레임 구조체(20) 위에 배치되어, 하부 프레임 구조체(20)와 함께 차량시스템(10)의 차체프레임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에 따른 상부 프레임 구조체(40)는 외부 충격 또는 진동에 대한 강도가 크며 차량의 뒤틀림으로부터 차대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시스템(10)에 필요한 여러 부가장치를 설치하는 데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각재킷의 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재킷(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위 냉각재킷(50)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단위 냉각재킷(50)은 외판(51), 내판(52) 및 측면판(53)을 갖고 밀폐 구조의 내부 중공형의 직육면체로 형성된다. 단위 냉각재킷(50) 내부에는 차체의 상하 높이 방향으로, 즉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격벽(54)이 나란하게 형성된다. 또한, 단위 냉각재킷(50)의 내판(52) 하부 일측 모서리에는 냉 각액이 유입되는 유입구(55)가 형성되고, 내판(52) 상부 일측 모서리에는 냉각액이 배출되는 배출구(5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55)와 배출구(56)는 서로 대각선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단위 냉각재킷(50)의 내부 하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유입관(57)이 설치된다. 유입관(57)의 일단은 유입구(55)에 연결되어 유입구(55)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냉각액이 유입되며, 유입관(57)에 부착된 다수의 노즐(58)을 통해 냉각액이 단위 냉각재킷(50) 내부로 골고루 분출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에서는 냉각액이 유입되는 유입구(55) 및 유입관(57)을 단위 냉각재킷(50)의 하부에 형성하고, 냉각액이 유출되는 배출구(56)를 단위 냉각재킷(50)의 상부에 형성함으로써, 냉각액이 단위 냉각재킷(50)의 밑에서부터 위로 차오르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단위 냉각재킷(50)의 내부 전 영역에 냉각액을 분포시킴으로써 냉각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만약 냉각액이 단위 냉각재킷(50)의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로부터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로 흐를 경우, 냉각액이 단위 냉각재킷(50)의 일부 영역을 따라 흐르게 되어 전체 영역에 대한 냉각 기능을 적절히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수의 격벽(54)은 복수의 유로를 형성하여, 유입구(55)로 유입되는 냉각액이 단위 냉각재킷(50) 내부에서 복수의 유로를 통하여 분산시킨 후 배출구(56)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격벽(54)은 냉각액 유입 시 와류 발생으로 인한 냉각 효율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격벽(54)은 단위 냉각재킷(50)의 외판(51)으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단위 냉각재킷(50)의 뒤틀림을 방지함으로써 냉각재킷(50)의 외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격벽(54)에 의해 단위 냉각재 킷(50)의 외부 충격으로부터 강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외판(51) 및 내판(52)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단위 냉각재킷(5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스템(10)의 전면, 측면, 후면, 상부면 및 하부면을 커버하는 냉각재킷들 각각은 상기 단위 냉각재킷(50)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단위 냉각재킷(50)을 복수 개 나란히 배열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재킷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판(51) 상에 복수 개의 격벽(54)을 평행하게 배열하고, 외판(51)과 격벽(54)의 일 측면을 서로 용접에 의해 고정한다. 격벽(54)의 타 측면에는 다수의 요홈(59)이 형성되며, 도 6b와 같이 격벽(54)에 형성된 요홈(59)을 내판(52)에 천공된 구멍(60)에 끼운 후, 요홈(59)의 외주면을 내판(52)과 용접한다. 이후, 도 6c와 같이, 측면판(53)을 외판(51) 및 내판(52)에 용접하여 고정함으로써, 단위 냉각재킷(50)이 밀봉된다. 단위 냉각재킷(50)을 구성하는 외판(51), 내판(52), 측면판(53) 및 격벽(54)는 고온 환경에서 물리적, 화학적으로 안정한 스테인레스 310, 스테인레스 316 또는 인코넬(inconel)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냉각재킷에 연결되는 배관 구조를 나타내는 도 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위 냉각재킷(50)을 기준으로 차량시스템(10) 내측(INSIDE)에서, 단위 냉각재킷(50)의 유입구(55)에는 플렉시블(flexible) 배관(61)이 연결된다. 플렉시블 배관(61)은 휘어지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외측(OUTSIDE)으로부터 단위 냉각재킷(50)에 충격이 가해졌을 시 완충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반대로 내측에 위치한 펌프(미 도시)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이 단위 냉각재킷(5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플렉시블 배관(61)에는 냉각액이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62)가 연결된다. 그리고, 펌프(미 도시)로부터 체크밸브(62) 및 플렉시블 배관(61)을 통하여 단위 냉각재킷(50)으로 공급되는 냉각액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63)가 형성된다. 또한, 배출구(56)에는 유니온(64)이 연결되고, 배출구(56)로 배출되는 냉각액이 다시 냉각될 수 있도록 유니온(64)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미 도시)에 연결된다. 그리고 단위 냉각재킷(50)의 내판(52) 외주면에는 차체프레임(20, 40)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케트(65)가 용접되어 설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냉각재킷을 차체프레임에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프레임(20, 40)의 외측면에 단위 냉각재킷(50)을 설치한다. 여기서, 단위 냉각재킷(50)에 부착된 브라켓트(65)를 차체프레임(20, 40)에 걸친 후 볼트로 고정한다. 차체프레임(20, 40)의 내측면에는 내열단 열재(71, 72)를 설치한다. 차체프레임(20, 40) 내측면에 설치되는 내열단열재(71, 72)는 단열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1층 고온용의 내열단열재(71) 및 2층 중온용의 내열단열재(72)를 차례로 적층시킴으로써, 2중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열단열재(71, 72)는 고온에서 견딜 수 있으면서 단열효과가 있는 알루미나(alumina ), 실리카(silica), 지르코니아(zirconia) 등을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무기질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열단열재(71, 72)의 내측에는 내열단열재(71, 72)가 차량의 진동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 마감재(73)를 추가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외부 충격 및 순간적인 고온으로부터 차량시스템(10)을 보호할 수 있도록, 단위 냉각재킷(50)의 외측면에는 실리카(silica) 재료 또는 지르코니아(zirconia)로 형성되는 내열 타일(74)을 설치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열 타일의 설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열 타일(74)은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측면을 따라 오목한 홈(91)이 형성된다. 내열 타일(74)은 복수 개가 서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열 타일 고정용 브라켓트(92)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내열 타일 고정용 브라켓트(92)은 전면이 열십자형(+)으로 이루어지고, 측면의 일부를 따라 내열 타일(74)의 측면 홈(91)과 결합하기 위한 돌출부(93)가 형성된다. 내열 타일 고정용 브라켓트(92)의 중앙에는 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홀(94)이 형성된다. 따라서, 관통홀(94)을 통하여 내열 타일 고정용 브라켓트(92)를 단위 냉각재킷(50)에 볼트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9c는 하나의 내열 타일 고정용 브라켓트(92)에 4개의 내열 타일(74)이 고정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라 단위 냉각재킷(50)의 외측면에 배열되는 내열 타일(74)을 내열 타일 고정용 브라켓트(92)를 이용하여 서로 고정 및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내열 타일(74)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에도 파손이 발생한 지점의 일부 내열 타일(74) 만을 수리 또는 교체함으로써 용이하게 보수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시스템에서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 투시창(14)의 구조를 설명한다. 측면 투시창(14)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2 장의 내열강화유리(101)를 마주보도록 배열된다. 여기서, 측면 투시창(14)으로 사용되는 내열강화유리(101)는 내열성 및 열충격에 강한 특성을 갖는 석영유리 또는 로박스(ROBAX)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2 장의 내열강화유리(101) 사이로 냉각액이 흐를 수 있도록, 하부 윈도우 프레임(102)에는 냉각액 유입관(103)이 형성되고, 상부 윈도우 프레임(104)에는 냉각액 배출관(105)이 형성된다. 상하부 윈도우 프레임(102, 104) 내측에는 내열강화유리(101)를 올려놓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 지지부(106)가 설치되며, 상하부 윈도우 프레임(102, 104)과 지지부(106)는 서로 용접으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2장의 내열 강화유리(101) 사이의 공간이 밀폐된다.
상기 상하부 윈도우 프레임(102, 104) 및 지지부(106)는 단위 냉각재킷(50)과 같이, 스테인레스 310, 스테인레스316 또는 인코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06)와 내열강화유리(101) 간에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로 인하여 내열강화유리(10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106)의 걸림턱에는 홈이 형성되고, 그 홈 내에는 내열강화유리(101)와의 기밀성을 강화하기 위한 오-링(O-ring)(107)이 삽입된다. 상기 오-링(107)은 내열성 및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불소 고무(Viton Rubber)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부(106)에는 내열강화유리(101)를 올려놓고, 내열강화유리(101)가 지지부(10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내열 패킹(108) 및 고정 플레이트(109)를 차례로 적층한다. 그리고 고정 플레이트(109)는 지지부(106)에 볼트(110)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측면 투시창(14)은 2 장의 마주보는 내열강화유리(101) 사이에 냉각액이 흐르기 때문에 고온 환경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시스템(10)의 전방 투시창(12) 및 상부 투시창(13)도 상기 측면 투시창(14)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부 투시창(13)은 상기 측면 투시창(14)과 같은 구성을 복수 개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에 구비된 냉각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스템(10)에서 냉각액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전면 냉각재킷(11a), 측면 냉각재킷(11b), 측면 도어(15), 상부 냉각재킷(11c), 저면 냉각재킷(11d), 후방 도어(16) 및 투시창(12 내지 14)이 포함된다. 상기 전면 냉각재킷(11a), 측면 냉각재킷(11b), 측면 도어(15), 상부 냉각재킷(11c), 저면 냉각재킷(11d), 후방 도어(16) 및 투시창(12 내지 14)은 모두 냉각액 탱크(111)에 매니폴드(manifold) 형태로 연결된 배관(112)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배관(112)에는 냉각액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113)가 설치된다.
상기 냉각액 탱크(111) 내에는 냉각액이 존재하고, 상기 냉각액은 압축기(114) 및 증발기(115) 등을 포함하는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냉각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압축기(114)에 의해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 가스를 응축기를 이용하여 수냉시켜서 고온고압의 냉매액으로 열교환시킨 후, 수액기를 이용하여 상기 응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열교환된 냉매액을 제공받아 저장함과 동시에 순수한 냉매액만을 배출시키고, 필터드라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수액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액 중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 및 수분을 필터링한 후, 팽창밸브를 통하여 상기 필터드라이어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 및 수분이 제거된 냉매액을 저온저압의 냉매액으로 변환시켜 냉각액 탱크(111)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115)로 배출한다. 그리고 증발기(115)에서는 저온저압의 냉매액과 상대적으로 고온의 냉각액과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져서 저온저압의 냉매가스로 변환된 후 압축기(114)로 공급됨으로써, 냉매사이클이 형성된다. 상기 응측기, 수액기, 필터드라이어 및 팽창밸브는 압축기(114)와 증발기(115) 사이에 차례대로 형성되며,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1에는 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냉각액 순환 펌프(116)는 위와 같이 연결된 구조에서 매니폴드 구조로 연결된 배관(112)을 통해 냉각이 필요한 부분, 즉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재킷(11a 내지 11d, 16) 및 투시창(12 내지 14)으로 냉각액을 압송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엔진(118)에 부착된 라디에이터(181a)가 배관을 통하여 냉각액탱크(111)에 연결되도록 형성하고, 라디에이터(118a)에 냉각액을 순환시킴으로써 엔진(118)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진공펌프(117)는 상기 전면 냉각재킷(11a), 측면 냉각재킷(11b), 측면 도어(15), 상부 냉각재킷(11c), 저면 냉각재킷(11d), 후방 도어(16), 투시창(12 내지 14) 및 라디에이터(118a) 내에서 냉각액의 흐름을 저해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진공펌프(117)에 의해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면 냉각재킷(11a), 측면 냉각재킷(11b), 측면 도어(15), 상부 냉각재킷(11c), 저면 냉각재킷(11d), 후방 도어(16) 및 투시창(12 내지 14) 각각의 상단부에는 공기 배출을 위한 별도의 독립된 배관(미 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기(114), 냉각액 순환 펌프(116) 및 진공 펌프(117)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은 메인 엔진(118)에 설치된 발전기(119)로부터 공급된다. 또한 보조 탱크(120)에는 냉각액이 존재하며, 냉각액 보충 배관(121)을 통하여 냉각액 탱크(111)와 연결된다. 따라서, 냉각액 탱크(111)에 냉각액이 부족할 경우에는 보조 탱크(120)로부터 냉각액 탱크(111)에 냉각액이 보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액 탱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 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액 탱크(111)는 스테인레스로 제조될 수 있으며, 격벽(121)에 의해 내부가 회수부(123) 및 냉각부(124)로 구분된다. 회수부(123)에는 상대적으로 고온인 냉각액이 회수된다. 유입관(125)을 통해 회수되는 고온의 냉각액은 유입관(125)에 설치된 다수의 노즐(126)을 통해 회수부(123) 내에 고르게 분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수된 고온의 냉각액을 교반시키기 위해 별도로 교반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냉각부(124)에서는 회수된 냉각액이 다시 저온으로 냉각된다. 그리고, 격벽(121)에는 다수의 격벽 홀(122)이 천공되어, 유입관(123)으로부터 다수의 노즐(124)을 통해 유입되는 비교적 고온(예를 들어, '제1 온도')의 냉각액이 냉각부(124) 내의 저온(예를 들어,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의 냉각액과 서서히 열교환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액 탱크(111)는 다수의 격벽홀(122)이 구비된 격벽(121)을 이용하여 고온의 냉각액이 직접 냉각부(12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냉각부(124)에 유입되는 냉각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냉각액 탱크(111) 내에는 온도센서(미 도시)가 설치되어 내부에 존재하는 냉각액의 온도를 감지하여, 냉각장치의 구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각부(124)에서 다시 냉각된 냉각액은 배출관(126)을 통하여 각 단위 냉각재킷(11a~11d, 16) 및 투시창(12 내지 14)으로 공급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에 구비된 흡입 공기 냉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스템(10)의 측 단면도로서, 상기 차량시스템(10)에는 차량시스템(10) 내부에 구성된 엔진실, 조정실 및 엔진 자체에 일정 온도 이하의 냉각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흡입 공기 냉각 장치(130)가 설치된다.
상기 흡입 공기 냉각 장치(130)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관(duct) 형태로 이루어지며, 흡입구(131)는 차량 바닥에 위치하고 배출구(132)는 차량시스템(10) 내부에 구성된 엔진실, 조정실 및 엔진 자체에 연결된다. 그리고 흡입 공기 냉각 장치(130)의 흡입구(131) 및 배출구(132)에는 각각 카본 계열의 재질로 형성되는 필터부재(131, 132)가 설치됨으로써, 외부 공기에 혼입된 이물질을 걸러낸다. 상기 흡입 공기 냉각 장치(130)는 냉각액 탱크(111)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흡입 공기 냉각 장치(130)의 외주면이 냉각액 탱크(111) 내부의 냉각액에 침지됨으로써, 흡입 공기 냉각 장치(130) 안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엔진(118)이 설치된 엔진룸과 차체 후방의 보조 탱크(120)가 설치된 공간을 구분하기 위한 내부 도어(127)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에 구비된 흡입 공기 냉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 공기 냉각 장치(130)는 배출구(132) 내부에 형성된 격벽(135)에 의해 복수의 독립적인 유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 성된 복수의 유로는 각각 차량 엔진(118)이 설치되는 엔진실, 운전자가 위치하는 조정실 및 차량 엔진(118)의 시동을 위해 차량 엔진(118) 자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에 구비된 흡입 공기 냉각 장치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공기 냉각 장치(130)의 대향하는 양 측면에는 복수의 요홈(136)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36)에는 차량의 좌우 폭 방향으로 고정부재들(137)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부재들(137) 사이에는 다수의 방열핀(138)이 설치된다. 방열핀(138)의 양단은 인접한 2개의 고정부재들(137)에 의해 지지되며, 최대 냉각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방열핀(138)의 두께, 높이 및 방열핀(138) 간 간격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흡입 공기 냉각 장치(130) 외관 및 고정부재들(137)은 내열특성 및 내부식성을 갖는 스테인레스로 제조될 수 있다. 방열핀(138)은 알루미늄(Al) 박판 또는 동(Cu) 박판으로 제조되며, 흡입되는 공기와 열교환이 많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S'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고정부재들(137)은 방열핀(138)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흡입구(131)로부터 배출구(132)를 통하여 유로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서, 흡입 공기 냉각 장치(130)의 흡입구(131)로 흡입되는 공기는 방열핀(138)을 통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져서 냉각이 이루어진 후, 배출구(132)를 통하여 차량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입 공기 냉각 장치(130)의 배출구(132)는 차체 엔진 등이 설치되는 엔진실(150) 내에 위치하며, 배출구(132) 내부의 격벽(135)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흡기구(161 내지 163)마다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기 위한 흡기팬이 설치된다. 엔진 흡기구(161)에 연결된 엔진흡기관(164)를 통해 차체 엔진에 냉각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엔진 시동을 원할하게 하도록 한다. 그리고 엔진룸 흡기구(162)를 통하여 엔진실(150) 내에 냉각 공기가 공급되며, 차체 바닥에 설치된 배기팬(165)를 통해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조정실 흡기구(163)에 연결된 조정실흡기관(166)을 통해 운전자가 위치하는 조정실(151)에 냉각 공기를 공급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바퀴 승하강 장치 및 수직형 무한궤도트랙이 장착된 차량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타이어(tire)가 부착된 타이어형 바퀴(17) 및 무한궤도를 이루는 수직형 무한궤도트랙(230)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어형 바퀴(17)는 바퀴 승하강 장치(170)에 의해서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다. 따라서 평상 시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17)는 하강된 상태에서 지면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바퀴(17)가 지면에 접촉되면, 차량시스템(10)은 타이어형 바퀴(17)를 이용하여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량시스템(10)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직형 무한궤도트랙(230)을 구비한다. 수직형 무한궤도트랙(230) 역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평상 시에는 상승시켜 차량시스 템(10) 내부에 격납된다. 그러나, 화재 현장에서 고온의 화원에 접근하거나 터널 내 화재 등과 같이 고온 환경에서는 타이어 형 바퀴(17)의 타이어가 녹게 되므로 더 이상 타이어 형 바퀴(17)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바퀴 승하강 장치(170)를 이용하여 타이어 형 바퀴(17)를 지면으로부터 상승시켜 차량시스템(10) 내에 격납시킨 후, 상기 수직형 무한궤도트랙(230)을 하강시켜 지면에 접촉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고온 환경에서도 수직형 무한궤도트랙(230)을 이용하여 차량시스템(10)을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화재현장에 근접하여 인명구조 및 화재진압 등이 가능하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바퀴 승하강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바퀴 승하강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승하강 장치(1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승하강 장치(170)는 차체프레임(20, 4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링크암(171)과, 상기 링크암(171)의 제1 측면에 부착되어 차량 바퀴(17)가 고정되는 하링크(177) 및 상기 링크암(171)에 연결되어 링크암(171)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실린더(180)를 포함한다.
링크암(171)의 일단은 차체의 프레임(20, 40)의 수직부재(25, 45)에 회동축(172)으로 연결되며, 내부 중공부에는 요크 실린더(173)가 고정 설치된다. 요크 실린더(173)의 피스톤로드(173a)에는 요크(174)가 설치되며, 상기 요크(176)는 요크실린더(173)의 피스톤로드(173a)가 전진할 시에는 차체프레임(20, 40)에 고정된 요크격납부재(175) 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링크암(173)을 차체프레임(20, 40)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링크암(171)의 링크암의 제1 측면에는 하링크 지지부(176)가 고정되며, 하링크 지지부(176)에는 하링크(177)가 회동될 수 있도록 힌지(178)에 의해 연결된다. 하링크(177)의 일단부에는 'U'자형 볼트(179)가 고정된다. 상기 'U'자형 볼트(179) 내에는 바퀴 축(17a)이 구속됨으로써, 하링크(177)에 바퀴(17)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링크암(171)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승하강 실린더(180)의 일단이 링크암(171)의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2 측면에 회동축(181)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승하강 실린더(180)의 타단은 차체프레임(20, 40)에 고정된 실린더 브라켓(183)에 회동축(181)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실린더 브라켓(183)은 링크암(171)의 회동축(172)이 고정된 것과 동일한 수직부재(25, 45)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승하강 실린더(179)가 후퇴하게 되면, 링크암(17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바퀴(17)가 지면으로부터 상승하여 차량시스템(10) 내부에 격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링크암(171)과 하링크(177) 사이에 바퀴(17)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유압에 의해 동작하는 유압쇼바(184)가 설치된다. 또한 링크암(171)과 하링크(177)의 일단부 사이에는 압축공기에 의해 부피가 확장되는 에어스프링(185)이 추가로 설치된다. 에어스프링(185)은 외부로부터 적정 공기압을 공급받아 압축공기에 의해 부피의 팽창 및 수축됨으로써, 유압쇼바(184)에 비하여 미세 진동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뿐만 아니라, 에어스프링(185)이 팽창 또는 수축함에 따라 하링크(177)가 하링크 지지부(178)로부터 회동 될 수 있기 때문에 바퀴(17)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지면에 요철이 심한 경우와 같이 지면 상태에 따라 차량시스템(1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차량시스템(10)의 중량을 분산시켜 차량시스템(10)의 특정 부위에 집중적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바퀴(17)가 하강하여 지면에 접촉될 경우에는 에어스프링(185)이 팽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차량시스템 내에 바퀴가 격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승하강 장치(170)를 이용하여 바퀴(17)를 차량시스템(10) 내로 격납시키고자 할 시에는, 먼저 요크실린더(173)의 피스톤로드(미 도시)를 요크실린더 본체 내로 후퇴시킴으로써 요크(174)를 요크격납부재(175)로부터 이탈시킨다. 요크격납부재(175)의 입구에는 센서(186)가 부착되어, 요크(174)의 삽입 여부 및 이동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요크(174)가 요크격납부재(175)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온 이후에는, 승하강 실린더(180)의 피스톤로드(미 도시)를 승하강 실린더(180) 본체 내로 후퇴시킨다. 이와 같이 승하강 실린더(180)는 양단이 각각 링크암(171) 및 실린더 브라켓트(183)에 축(181, 182)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하강 실린더(180)의 실린더 로드(미 도시)를 승하강 실린더(180) 본체 내로 후퇴시키게 되면, 링크암(171)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링크암(17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하링크(177)를 통하여 링크암(171) 하부에 고정된 바퀴(17)도 수직으로 상승하여 차량시스템(10) 내부에 격납될 수 있다. 또한, 바퀴(17)를 상승시킬 시에는 에어스프링(185)이 수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바퀴격납커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바퀴격납커버의 구성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바퀴(17)가 차량시스템(10) 내에 격납된 상태에서 차량시스템(10)의 바닥에서 바퀴(17)가 출입하는 개구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바퀴격납커버(210)를 포함한다. 상기 바퀴격납커버(210)는 실린더(211)의 피스톤로드(211a)에 고정되어, 피스톤로드(211a)가 전진 또는 후퇴함에 따라 차량시스템(10)의 바닥에서 바퀴(17)가 출입하는 개구부(220)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도 21의 좌측에서는 바퀴(17)가 차량시스템(10) 내에 격납된 경우 바퀴격납커버(211)가 차량시스템(10)의 바닥에서 바퀴(17)가 출입하는 개구부(220)를 폐쇄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반면에, 도 21의 우측에서는 바퀴(17)가 차량시스템(10)으로부터 하강하여 지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바퀴격납커버(210)가 차량시스템(10)의 바닥에서 바퀴(17)가 출입하는 개구부(220)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격납커버(210)가 차량시스템(10)의 바닥에서 바퀴(17)가 출입하는 개구부 차량시스템(10)의 바닥에서 바퀴(17)가 출입하는 개구부를 충분히 폐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바퀴격납커버(210)의 양측면을 따라 차량시스템(10) 바닥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12)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바퀴격납커버(210)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재킷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바퀴격납커버(210) 내부에 흐르는 냉각액에 의해 바퀴격납커버(210)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무한궤도트랙의 확대도이다. 도 2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무한궤도트랙의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3a 및 도 23b를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무한궤도트랙(2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무한궤도트랙(230)은 크롤러 프레임(231)의 상단에 연결된 스프로켓 휠(232)과 크롤러 프레임(231)의 하단에 연결된 아이들러 휠(233) 및 상기 스프로켓 휠(232)과 아이들러 휠(233)을 감싸며 무한궤도트랙을 형성하는 크롤러(234)를 포함한다.
크롤러 프레임(231)은 직육면체의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 중공부에는 아이들러 휠(233)을 고정하기 위한 아이들러 휠프레임(235)이 조립되어 고정된다. 아이들러 휠프레임(235)의 일단에는 아이들러 휠(233)이 회동가능하도록 축(236)으로 결합된다. 또한 아이들러 휠프레임(235)의 타단에는 아이들러 휠(233)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부재(236)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완충부재(236)의 일단에는 크롤러(234)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정부재(237)가 고정된다. 상기 완충부재(236) 내부에는 코일형 스프링(238)이 탑재되어 장력조정부재(237)와 아이들러 휠프레임(235)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한다.
또한, 크롤러 프레임(231)의 양 측면에는 2개의 슬라이드(239)가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239)는 크롤러 프레임(231)의 양 측면에 볼트로 고정되며, 크롤러(234)가 무한궤도트랙을 형성하여 회전하도록 안내하고, 또한 크롤러(234)의 진동으로 인한 요동을 완화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슬라이드(239)는 크롤러(234)가 부드럽게 안내될 수 있도록 황동에 카본을 결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크롤러(234)는 복수의 링크(234a)가 링크핀(234b)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폐루프를 형성하며, 각각의 링크(234a)의 외주면에는 주행지반에 관계없이 주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슈우(234c)가 돌출되어 볼트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크롤러(234)는 스프로켓 휠(232)과 아이들러 휠(233)에 감싸진다.
크롤러 프레임(231)의 상단에는 스프로켓 휠(232)이 조립되는 스프로켓 휠 프레임(241)이 고정된다. 그리고 스프로켓 휠(232)과 스프로켓 휠 프레임(241)을 개재하여 양측에 유압모터(242) 및 모터케이스(234)가 설치된다. 상기 유압모터(242)는 스프라켓 휠(23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스프라켓 휠(232)이 회전하면 스프라켓 휠(232)에 형성된 돌기(232a)가 크롤러(234)와 맞물려 돌아감으로써, 크롤러(234)가 무한궤도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아이들러 휠(236)은 크롤러(234)가 회전함에 따라 크롤러(234)에 맞물려서 함께 회전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한궤도트랙(230)이 차량시스템(10)의 차체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도록,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고정부재(244), 브라켓트(245), 및 유압 실린더(246)를 포함한다.
크롤러 프레임(231)의 상단부 일측에는 실린더 고정부재(244)가 용접으로 고 정되며, 실린더 고정부재(244) 상측 내주면에는 브라켓트(245)가 고정된다. 그리고 유압으로 작동되는 유압실린더(246)의 일단이 브라켓트(245)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된다. 유압실린더(246)의 피스톤로드(246a) 단부가 차체프레임(20, 40)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유압실린더(246)가 크롤러 프레임(231)과 나란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유압실린더(246)의 피스톤로드(246a)가 전진 또는 후퇴함에 따라 전체 무한궤도트랙(30)이 수직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트랙(230)은 차량시스템(10) 전후에 좌우 한 쌍으로 2쌍이 설치될 수 있으며, 그 개수는 조절될 수 있다. 특히, 무한궤도트랙(230)은 차량의 높이 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승하강이 가능하기 때문에, 평상 시에는 차량시스템(10) 내부에 격납되나 고온의 화원에 근접하였을 때에는 차량시스템(10)으로부터 하강하여 지면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무한궤도트랙(230)이 지면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무한궤도트랙(230)의 일부분만이 차량시스템(230) 외부로 노출되며, 무한궤도트랙(230)의 대부분은 여전히 차량시스템(23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무한궤도트랙(230)이 지면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크롤러 프레임(231)과, 스프로켓 휠(232) 및 유압모터(242)는 차량시스템(230)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화재 등 고온의 화원에 근접한 상태에서, 무한궤도트랙(230)을 하강 및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시스템(10)을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무한궤도트랙(230)은 차량시스템(10) 내부의 상대적으로 저온의 공기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고온 환경에서도 무한궤도트랙(230)이 파손됨이 없이 정상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실린더 고정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고정부재(244)는 크롤러 프레임(231)에 고정되며, 실린더 고정부재(244)의 양측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한 쌍의 요홈(251, 252)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 요홈(251, 252)에는 차체프레임(20, 40)의 수직부재(25, 45)에 용접 또는 볼트에 의해 고정된 슬라이드 가이드(253, 254)의 돌출부(253a, 254a)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실린더 고정부재(244) 내부에 고정된 유압실린더(246)의 피스톤로드(246a)가 전진 또는 후퇴함에 따라, 상기 실린더 고정부재(244)가 슬라이드 가이드(253, 254)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차량시스템 내에 수직형 무한궤도트랙이 격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무한궤도트랙(230)을 차량시스템(10) 내로 격납시키고자 할 시에는, 유압실린더(246)의 피스톤로드(246a)를 전진시킴으로써 크롤러 프레임(231)을 수직 상방향으로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크롤러(234)도 지면으로부터 상승하여 차량시스템(10) 내부에 격납될 수 있다.
도 25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형 무한궤도트랙(230)을 하강시키고자 할 시에는, 유압실린더(246)의 피스톤로드(246a)를 후퇴시킴으로써 크롤러 프레임(231)을 수직 하방향으로 하강시킨다. 이에 따라, 크롤러(234)도 지면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직형 무한궤도트랙(230)의 냉각을 위하여 수직형 무한궤도트랙(230) 상부에 팬(250)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팬(250)은 차량시스템(10) 내부에 고정되어 무한궤도트랙(230)을 냉각시키고, 무한궤도트랙(230)에서 발산하는 열을 차량시스템(10)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시스템(10)의 바닥에서 무한궤도트랙(230)이 출입하는 개구부(255)를 개폐시키기 위한 크롤러 격납커버(미 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크롤러 격납커버(미 도시)는 도 22에 도시된 바퀴격납커버(21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방수포에 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소방차 시스템(260)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시스템(10)에 화재 진압을 위해 소화용수탱크(261)와 방수포(270)를 구비하며, 추가로 감시카메라 유니트(290), 서치라이트 유니트(300) 및 아웃트리거(360)를 구비하며, 그 외에는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가 사용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수포(270)는 차량시스템(260)의 상부면에 부착되며, 붐 유니트(271) 위에 방수관(272)이 탑재된다. 붐 유니트(271)는 붐 타입으로서 신장되거나 신축됨에 따라 전체적인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든다. 방수관(272)의 일단은 차량시스템(260) 내부에 탑재된 소화용수탱크(261)에 연결되고, 방수관(272)의 타단에는 방수노즐(273)이 부착되어 소화용수를 분사한다. 붐 유니트(271)의 일단은 붐 지지부(274)에 회동가능하게 회전조인트(275)로 결합되며, 붐 지지부(274)는 차체 상부프레임(40)에 고정된다. 붐 지지부(274) 하부에는 냉각재킷(50)을 사이에 두고 외륜(276) 및 내륜(277)으로 이루어지는 링기어가 설치된다. 여기서, 외륜(276) 및 내륜(277)으로 이루어지는 링기어는 외부 고열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재킷(50)에 의해서 감싸지도록 형성된다. 외륜(276)은 붐 지지부(274)의 저면과 복수의 지점에서 볼트로서 서로 고정된다. 외륜(276)의 내주면과 내륜(277)의 외주면은 베어링으로 지지되도록 서로 조립된다. 그리고 붐 지지부(274) 내부에는 선회모터(278)가 직립 고정된다. 링기어에는 선회모터(278)가 연결됨으로써, 선회모터(278)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링기어가 회전됨으로써 붐 지지부(274)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붐 지지부(274)와 붐 유니트(271) 사이에는 경사실린더(278)가 설치되며, 경사실린더(278)의 전진 및 후퇴함에 따라 붐 유니트(271)의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
도 28a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수탱크의 구성도이다.
도 2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수탱크(261) 내부에는 다수의 격벽(262, 263)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예를 들어, 격벽(262, 263)은 차체 길이방향으로 소화용수탱크(261)를 가로질러 배열되는 주격벽(262)과 주격벽(262)에 수직으로 교차하여 배열되는 다수의 보조격벽(26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소화용수탱크(261)를 다수의 격벽(262, 263)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함으로써, 소화용수탱크(261) 내부에서 소화용수가 한쪽으로 쏠리는 경우 차량시스템(260)이 전복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화용수탱크(261)의 탱크바닥판(264)이 주격벽(262)을 따라 절곡되어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탱크바닥판(264)의 주격벽(262), 보조격벽(263) 및 탱크바닥판(264)이 서로 맞닿는 부분을 일부 잘라내어 홀(264)을 형성한다. 그리고 소화용수탱크(261)의 하측 중앙부에는 소화용수 공급관(264)이 설치된다. 따라서, 소화용수탱크(261) 내에서 격벽(262, 263)에 의해서 구획되는 모든 공간이 상기 홀(264)을 통하여 소화용수 공급관(265)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용수탱크(261)의 상면에는 소화용수를 보충하기 위한 소화용수 보충구(미 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8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스템에 대한 폭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부프레임(40) 내에는 소화용수탱크(261)가 설치된다. 도 28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소화용수탱크(261)의 탱크바닥판(264)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하부프레임(20) 내에는 냉각액 탱크(111)가 설치된다.
또한 탱크바닥판(264) 하부에는 다수의 탱크지지부(280)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탱크바닥판(264)을 지지한다. 그리고 탱크지지부(280)의 일단에는 상리브(281) 가 형성되어 탱크바닥판(264)에 밀착되며, 상리브(281)는 용접에 의해 탱크바닥판(264)에 고정될 수 있다. 탱크지지부(280)의 타단에는 하리부(282)가 형성되어 상부프레임(40)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탱크지지부(280)는 소화용수탱크(26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소화용수탱크(261)와 상부프레임(20)을 서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소화용수탱크(260)의 탱크바닥판(264)과 탱크지지부(280) 사이의 공간에는 각종 배관, 전선 또는 공조덕트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스템(260)의 내부에서 수직형 무한궤도트랙(230) 또는 바퀴(17)가 격납되는 공간(283)의 양 측벽에 냉각액에 의해 냉각될 수 있는 냉각재킷(284, 285)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형 무한궤도트랙(230) 또는 바퀴(17)가 격납되는 공간(283)의 양 측벽에 냉각재킷(284, 285)을 설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의 공기에 의해 차량시스템(26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직형 무한궤도트랙(230)에 의한 차량이동 시 수직형 무한궤도트랙(230)의 상승된 온도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9는 도 26의 감시카메라 유니트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6의 감시카메라 유니트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 유니트(290)는 원형의 상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진 외측투광유리(291)와, 상기 외측투광유리(291)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열되며 역시 원형의 상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진 내측투광유리(292)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투광유리(292) 내부에는 카메라(293)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투광유리(291)와 내측투광유리(292) 사이에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액이 흐르게 함으로써 고온 환경에서 카메라(293)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외측투광유리(291)와 내측투광유리(292)는 베이스(294) 상에 고정되어, 외측투광유리(291)의 외부와, 외측투광유리(291)와 내측투광유리(292) 사이, 그리고 내측투광유리(291) 내부의 공간을 서로 격리시킨다. 상기 베이스(294)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2 개의 돌출부(295, 296)가 형성된다. 외측돌출부(295)의 내주면은 외측투광유리(291)의 외주면과 고정되고, 내측돌출부(296)의 내주면은 내측투광유리(292)의 외주면과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외측돌출부(295) 및 내측돌출부(296) 사이의 요홈에 외측투광유리(291)가 배치되며, 외측돌출부(295)의 내주면과 외측투광유리(291)의 외주면 사이에는 오-링(297)을 압입한다. 그리고 외측돌출부(291)의 상단 및 오-링(297) 위에는 오-링(297)을 눌러서 납작하게 펴질 수 있도록 컬러(collar)(298) 및 고정판(299)을 배치하고 볼트로 고정한다. 이에 따라, 외측돌출부(295)의 내주면과 외측투광유리(291)의 외주면이 서로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돌출부(296)의 내주면 안쪽으로 인접하게 내측투광유리(292)가 배치되며, 내측돌출부(296)의 내주면과 내측투광유리(292)의 외주면 사이에는 오-링(280)을 압입한다. 그리고 내측돌출부(296)의 상단 및 오-링(280) 위에는 오-링(280)을 눌러서 납작하게 펴질 수 있도록 컬러(collar)(281) 및 고정판(282)을 배치하고 볼트로 고정한다. 이에 따라, 내측돌출부(296)의 내주면과 내측투광유리(292)의 외주면이 서로 밀폐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측투광유리(291)와 내측투광유리(292) 사이의 위치에서, 냉각액 공급관(293)이 상기 외측돌출부(295) 및 내측돌출부(296) 사이 요홈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냉각액 공급관(303)의 일단에는 커넥터(304)를 통하여 냉각액이 유입되는 냉각액 유입관(305)이 연결되고, 타단은 밀폐된다. 상기 냉각액 공급관(303)은 요홈을 따라 베이스(294)에 용접될 수 있으며, 냉각액 공급관(303)의 상부면을 따라 냉각액을 분출하기 위한 다수의 홀(30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94)의 요홈에는 수직배수관(307)이 수직으로 세워진다. 상기 수직배수관(307)의 일단은 커넥터(308)를 통하여 냉각액이 배출되는 냉각액 배수관(309)이 연결되며, 상기 수직배수관(307)의 타단은 내측투광유리(292)의 상면보다 높고 외측투광유리(291)의 내주면에 거의 닿을 정도의 높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액 공급관(303)으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의 냉각액이 외측투광유리(291)와 내측투광유리(292) 사이의 공간 아래에서부터 위쪽으로 차오르게 된다. 그리고 외측투광유리(291)와 내측투광유리(292) 사이의 공간의 위쪽에는 외부 공기에 의해서 데워진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냉각액이 위치하여 수직배수관(307)을 통하여 냉각액 배수관(309)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카메라(293)는 카메라 받침대(310)에 힌지(311)로 결합되며, 상기 카메라 받침대(310) 아래에는 턴테이블(312)이 고정된다. 상기 카메라(293)로서는 야간투시가 가능한 적외선 카메라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턴테이블(312) 하부에 는 상기 턴테이블(312)을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터(313)가 배치된다. 상기 회전모터(313)의 모터 베이스(314)는 베이스(294)에 볼트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29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315)은 베이스(294)를 관통하여 조정실의 제어반(미 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1은 도 26의 서치라이트 유니트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26의 서치라이트 유니트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치라이트 유니트(230)는 도 29의 감시카메라 유니트(290)과 비교할 때, 내측투광유리(292) 내부에 카메라(293) 대신에 서치라이트(316)가 설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그 외 구성은 서로 일치한다.
구체적으로, 서치라이트 유니트(300)는 원형의 상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진 외측투광유리(291)와, 상기 외측투광유리(291)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열되며 역시 원형의 상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진 내측투광유리(292)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투광유리(292) 내부에는 서치라이트(316)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투광유리(291)와 내측투광유리(292) 사이에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액이 흐르게 함으로써 고온 환경에서 서치라이트(316)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외측투광유리(291)와 내측투광유리(292)는 베이스(294) 상에 고정되어, 외측투광유리(291)의 외부와, 외측투광유리(291)와 내측투광유리(292) 사이, 그리고 내측투광유리(291) 내부의 공간을 서로 격리시킨다. 상기 베이스(294)는 원형으 로 형성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2 개의 돌출부(295, 296)가 형성된다. 외측돌출부(295)의 내주면은 외측투광유리(291)의 외주면과 고정되고, 내측돌출부(296)의 내주면은 내측투광유리(292)의 외주면과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외측돌출부(295) 및 내측돌출부(296) 사이의 요홈에 외측투광유리(291)가 배치되며, 외측돌출부(295)의 내주면과 외측투광유리(291)의 외주면 사이에는 오-링(297)을 압입한다. 그리고 외측돌출부(291)의 상단 및 오-링(297) 위에는 오-링(297)을 눌러서 납작하게 펴질 수 있도록 컬러(collar)(298) 및 고정판(299)을 배치하고 볼트로 고정한다. 이에 따라, 외측돌출부(295)의 내주면과 외측투광유리(291)의 외주면이 서로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돌출부(296)의 내주면 안쪽으로 인접하게 내측투광유리(292)가 배치되며, 내측돌출부(296)의 내주면과 내측투광유리(292)의 외주면 사이에는 오-링(280)을 압입한다. 그리고 내측돌출부(296)의 상단 및 오-링(280) 위에는 오-링(280)을 눌러서 납작하게 펴질 수 있도록 컬러(collar)(281) 및 고정판(282)을 배치하고 볼트로 고정한다. 이에 따라, 내측돌출부(296)의 내주면과 내측투광유리(292)의 외주면이 서로 밀폐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측투광유리(291)와 내측투광유리(292) 사이의 위치에서, 냉각액 공급관(293)이 상기 외측돌출부(295) 및 내측돌출부(296) 사이 요홈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냉각액 공급관(303)의 일단에는 커넥터(304)를 통하여 냉각액이 유입되는 냉각액 유입관(305)이 연결되고, 타단은 밀폐된다. 상기 냉각액 공급관(303)은 요홈을 따라 베이스(294)에 용접될 수 있으며, 냉각액 공급관(303)의 상 부면을 따라 냉각액을 분출하기 위한 다수의 홀(30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94)의 요홈에는 수직배수관(307)이 수직으로 세워진다. 상기 수직배수관(307)의 일단은 커넥터(308)를 통하여 냉각액이 배출되는 냉각액 배수관(309)이 연결되며, 상기 수직배수관(307)의 타단은 내측투광유리(292)의 상면보다 높고 외측투광유리(291)의 내주면에 거의 닿을 정도의 높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액 공급관(303)으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의 냉각액이 외측투광유리(291)와 내측투광유리(292) 사이의 공간 아래에서부터 위쪽으로 차오르게 된다. 그리고 외측투광유리(291)와 내측투광유리(292) 사이의 공간의 위쪽에는 외부 공기에 의해서 데워진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냉각액이 위치하여 수직배수관(307)을 통하여 냉각액 배수관(309)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치라이트(316)는 카메라 받침대(310)에 힌지(311)로 결합되며, 상기 카메라 받침대(310) 아래에는 턴테이블(312)이 고정된다. 턴테이블(312) 하부에는 상기 턴테이블(312)을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터(313)가 배치된다. 상기 회전모터(313)의 모터 베이스(314)는 베이스(294)에 볼트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서치라이트(316)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315)은 베이스(294)를 관통하여 조정실의 제어반(미 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라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트(317)를 전방 투시창(12), 상부 투시창(13) 및 측면 투시창(14)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도 33에서는 상기 헤드라이트(317)를 측면 투시창(14) 내부에 설치할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내열강화유리(101)가 올려지는 지지부(106)에 'L'자형의 헤드라이트 받침대(318)의 일단이 고정되고, 헤드라이트 받침대(318)의 타단은 헤드라이트(317)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트(317)는 2 장의 마주보는 내열강화유리(101) 사이에 냉각액이 흐르는 투시창(14)을 통하여 차량시스템(260)의 외부로 빛을 조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고온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에 구비된 냉각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스템(260)에서 냉각액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전면 냉각재킷(11a), 측면 냉각재킷(11b), 측면 도어(15), 상부 냉각재킷(11c), 저면 냉각재킷(11d), 후방 도어(16), 투시창(12 내지 14), 라디에이터(118a), 감시카메라 유니트(290) 및 서치라이트 유니트(300)가 포함된다. 상기 전면 냉각재킷(11a), 측면 냉각재킷(11b), 측면 도어(15), 상부 냉각재킷(11c), 저면 냉각재킷(11d), 후방 도어(16), 투시창(12 내지 14), 감시카메라 유니트(290) 및 서치라이트 유니트(300)는 모두 냉각액 탱크(111)에 매니폴드(manifold) 형태로 연결된 배관(112)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배관(112)에는 냉각액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113)가 설치된다.
상기 냉각액 탱크(111) 내에는 냉각액이 존재하고, 상기 냉각액은 압축기(114) 및 증발기(115) 등을 포함하는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냉각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압축기(114)에 의해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 가스를 응축기를 이용하여 수냉시켜서 고온고압의 냉매액으로 열교환시킨 후, 수액기를 이용하여 상기 응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열교환된 냉매액을 제공받아 저장함과 동시에 순수한 냉매액만을 배출시키고, 필터드라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수액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액 중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 및 수분을 필터링한 후, 팽창밸브를 통하여 상기 필터드라이어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 및 수분이 제거된 냉매액을 저온저압의 냉매액으로 변환시켜 냉각액 탱크(111)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115)로 배출한다. 그리고 증발기(115)에서는 저온저압의 냉매액과 상대적으로 고온의 냉각액과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져서 저온저압의 냉매가스로 변환된 후 압축기(114)로 공급됨으로써, 냉매사이클이 형성된다. 상기 응측기, 수액기, 필터드라이어 및 팽창밸브는 압축기(114)와 증발기(115) 사이에 차례대로 형성되며,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2에는 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냉각액 순환 펌프(116)는 위와 같이 연결된 구조에서 매니폴드 구조로 연결된 배관(112)을 통해 냉각이 필요한 부분, 즉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재킷(11a 내지 11d, 16), 투시창(12 내지 14), 감시카메라 유니트(290) 및 서치라이트 유니트(300)로 냉각액을 압송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엔진(118)에 부착된 라디에이터(118a)가 배관을 통하여 냉각액탱크(111)에 연결되도록 형성하고, 라디에이터(118a)에 냉각액을 순환시킴으로써 엔진(118)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진공펌프(117)는 상기 전면 냉각재킷(11a), 측면 냉각재킷(11b), 측면 도어(15), 상부 냉각재킷(11c), 저면 냉각재킷(11d), 후방 도어(16) 및 투시창(12 내지 14), 라디에이터(118a), 감시카메라 유니트(290) 및 서치라이트 유니트(300) 내에서 냉각액의 흐름을 저해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진공펌프(117)에 의해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면 냉각재킷(11a), 측면 냉각재킷(11b), 측면 도어(15), 상부 냉각재킷(11c), 저면 냉각재킷(11d), 후방 도어(16) 및 투시창(12 내지 14) 각각의 상단부에는 공기 배출을 위한 별도의 독립된 배관(미 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기(114), 냉각액 순환 펌프(116) 및 진공 펌프(117)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은 메인 엔진(118)에 설치된 발전기(119)로부터 공급된다. 또한 소화용수탱크(261)에는 소화용수가 존재하며, 냉각액 보충 배관(121)을 통하여 냉각액 탱크(111)와 연결된다. 냉각액 탱크(111)에 냉각액이 부족할 경우에는 소화용수탱크(261)를 이용하여 냉각액 탱크(111)에 냉각액을 보충할 수 있다. 도 34와 도 11을 비교하면, 도 34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냉각 장치에서 소화용수탱크(261)는 도 11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각 장치에서 보조탱크(120)를 소화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소화용수탱크(261) 내에 저장된 소화용수는 물(H2O)이며, 냉각액 탱크(111)에 저장된 냉각액은 물(H2O) 또는 부동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액 탱크(111)에는 방수포(270)로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소방펌프(320)가 연결된다. 상기 소방펌프(320)는 동력인출장치(PTO: Power Take Off)(321)에 의해 엔진(118)으로부터 인출된 동력을 공급받는다. 또한 발전기(119)는 유니버셜조인트(Universal Joint)(322)를 통하여 동력인출장치(321)에 연결됨으로써, 동력인출장치(321)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에 구비된 냉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소화용수탱크(261) 및 냉각액 탱크(111) 내에 수위 레벨을 감지할 수 있는 수위 레벨 센서(331, 332)를 각각 설치한다. 수위 레벨 센서(331, 332)는 소화용수탱크(261) 및 냉각액 탱크(111) 내에 잔류하는 소화용수 또는 냉각액의 수위를 만수위, 중수위 및 저수위 등으로 구분하여 감지하고 각 밸브(a 내지 e)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소화용수탱크(261) 내에 소화용수가 만수위 또는 중수위와 같이 충분히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1 밸브(a) 및 제2 밸브(c)를 개방하고, 제2 밸브(b) 및 제4 밸브(c)는 폐쇄시킨다. 이에 따라, 소화용수탱크(261) 내의 소화용수를 방수포(270)로 분사시킴으로써 화재진압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화용수탱크(261) 내의 소화용수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면 냉각재킷(11a), 측면 냉각재킷(11b), 측면 도어(15),상부 냉각재킷(11c) 저면 냉각재킷(11d) 후방 도어(16) 및 투시창(12 내지 14), 라디에이터(118a) 감시카메라 유니트(290) 및 서치라이트 유니트(3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반면에, 소화용수탱크(261) 내에 소화용수가 저수위와 같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밸브(a) 및 제2 밸브(c)를 폐쇄하고, 제2 밸브(b) 및 제4 밸브(c)는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소화용수탱크(261) 내의 소화용수를 본 발명에 따른 전면 냉각재킷(11a), 측면 냉각재킷(11b), 측면 도어(15), 상부 냉각재킷(11c), 저면 냉각재킷(11d), 후방 도어(16) 및 투시창(12 내지 14), 라디에이터(118a) 감시카메라 유니트(290) 및 서치라이트 유니트(300)에 더 이상 공급하지 않고, 냉각액탱크(111) 내의 냉각액을 이용하여 상기 전면 냉각재킷(11a), 측면 냉각재킷(11b), 측면 도어(15), 상부 냉각재킷(11c), 저면 냉각재킷(11d), 후방 도어(16), 투시창(12 내지 14), 라디에이터(118a), 감시카메라 유니트(290) 및 서치라이트 유니트(300)를 냉각시킨다. 이와 같이, 소화용수탱크(261) 내에 소화용수가 부족한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스템(260)의 냉각을 위한 냉각액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용수탱크(261) 내에 소화용수가 부족한 경우에는 소화용수탱크(261) 상부에 형성된 소화용수 보충구(333)를 통해 외부에 설치된 소화전으로부터 소화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소화용수탱크(261)와 냉각액탱크(111) 사이에 형성된 제5 밸브(e)를 통하여 소화용수탱크(261)로부터 냉각액탱크(111)에 직접 소화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트리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웃트리거(outrigger)(360)는 차량시스템(260)의 전방 및 후방에 좌우 한 쌍씩 4개가 설치되며, 그 개수는 조절될 수 있다. 각각의 아웃트리거(360)는 차체프레임에 고정되는 잭실린더(jack cylinder)(361)와, 잭실린더로 인입출되는 실린더 로드(362)와, 실린더 로드(362)의 일단에 핀(364)으로 결합되는 받침대(363)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웃트리거(360)는 차량시스템(260)의 주행 시에는 실린더 로드(362)를 잭실린더(361) 내부로 인입시켜 차량시스템(260) 내부에 격납한다. 반면에, 차량시스템(260)이 정지한 상태에서는 실린더로드(362)를 잭실린더(361)로부터 인출하여 받침대(363)를 지면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아웃트리거(40)의 받침대(363)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차량시스템(260)의 바퀴(17) 및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무한궤도트랙(230)은 차량시스템(260) 내부에 격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량시스템(260)이 정지한 상태에서 인명구조 또는 화재진압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 차량시스템(260) 자체를 지면에 지지시킴으로써 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의 하부 프레임 구조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십자형 조인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의 상부 프레임 구조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각재킷의 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재킷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냉각재킷에 연결되는 배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냉각재킷을 차체프레임에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열 타일의 설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시스템에서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에 구비된 냉각 장치의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액 탱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에 구비된 흡입 공기 냉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에 구비된 흡입 공기 냉각 장치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에 구비된 흡입 공기 냉각 장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바퀴 승하강 장치 및 수직형 무한궤도트랙이 장착된 차량시스템의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바퀴 승하강 장치의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바퀴 승하강 장치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차량시스템 내에 바퀴가 격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바퀴격납커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바퀴격납커버의 구성도.
도 2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무한궤도트랙의 확대도.
도 2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무한궤도트랙의 측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실린더 고정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차량시스템 내에 수직형 무한궤도트랙이 격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의 측면도.
도 27은 도 26의 방수포에 대한 확대도.
도 28a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수탱크의 구성도.
도 28b는 본 발명에 따른 챠량시스템에 대한 폭 방향의 단면도.
도 29는 도 26의 감시카메라 유니트에 대한 측 단면도.
도 30은 도 26의 감시카메라 유니트에 대한 평면도.
도 31은 도 26의 서치라이트 유니트에 대한 측 단면도.
도 32는 도 26의 서치라이트 유니트에 대한 평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라이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에 구비된 냉각 장치의 개략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시스템에 구비된 냉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트리거를 나타내는 도면.

Claims (16)

  1. 차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시스템의 골조를 형성하는 차체프레임;
    상기 차량시스템의 외부에 위치한 고온의 열원으로부터 상기 차량시스템 내부의 인명 및 장비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시스템의 전면, 측면, 후면, 상부면 및 하부면을 커버하며 내부에 흐르는 냉각액에 의해 상기 차량시스템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냉각재킷; 및
    상기 냉각재킷에 흐르는 냉각액을 회수하고 증발기를 이용하여 상기 회수된 냉각액의 온도를 제1 온도에서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로 감소시킨 후 상기 냉각재킷으로 공급하는 냉각액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재킷은,
    상기 차량시스템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냉각재킷, 상기 차량시스템의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 냉각재킷, 상기 차량시스템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상부 냉각재킷, 상기 차량시스템의 하부면을 커버하는 하부 냉각재킷 및 상기 차량시스템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 냉각재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재킷은,
    내부 중공형의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격벽이 나란하게 배열되며, 하부 일측 모서리에는 냉각액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 모서리에는 냉각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 하측에는 일단이 상기 유입 구에 부착되고 상기 격벽과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며 냉각액이 분출되는 다수의 노즐이 형성된 유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재킷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내열타일; 및
    상기 냉각재킷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단열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내열타일 각각은 측면을 따라 오목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열타일의 오목한 홈과 결합되도록 측면이 돌출된 내열 타일 고정용 브라켓트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배열되는 2 장의 내열강화유리; 및
    상기 2 장의 내열강화유리를 밀폐시키는 윈도우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2장의 내열강화유리 사이에는 냉각액이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액을 상기 냉각재킷 및 라디에이터를 통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냉각액 순환 펌프; 및
    상기 냉각재킷 내부에서 상기 냉각액의 흐름을 저해하는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액 탱크는, 상기 제1 온도의 냉각액이 회수되는 회수부 및 상기 증발기를 이용하여 상기 냉각액이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상기 제2 온도로 냉각되는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액 탱크는 다수의 홀이 천공된 격벽에 의해 상기 회수부 및 상기 냉각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시스템의 바닥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차량시스템 내부에 구성된 엔진실, 조정실 및 엔진 자체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상기 유입된 공기를 제공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S'자 형상의 다수의 방열핀이 내부에 배열되는 흡입 공기 냉각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타이어(tire)가 부착된 타이어형 바퀴; 및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스프로켓 휠 및 아이들러 휠과, 상기 스프로켓 휠 및 아이들러 휠을 감싸며 폐루프를 형성하는 크롤러를 갖는 수직형 무한궤도트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형 무한궤도트랙은,
    일단에 상기 아이들러 휠이 회동가능하도록 축으로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아이들러 휠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부재가 설치되는 아이들러 휠프레임;
    내부에 상기 아이들러 휠 프레임이 설치되는 크롤러 프레임;
    상기 완충부재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크롤러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정부재;
    상기 크롤러 프레임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크롤러가 무한궤도트랙을 형성하여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드;
    상기 크롤러 프레임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로켓 휠이 조립되는 스프로 켓 휠 프레임;
    상기 스프로켓 휠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크롤러 프레임의 측면에 연결되고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실린더 고정부재;
    일단이 상기 실린더 고정부재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차체프레임에 고정되어 승강 또는 하강이 가능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고정부재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는 돌출부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실린더 고정부재의 승강 또는 하강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차체프레임에 회동축으로 연결되며, 내부 중공부에는 요크 실린더가 고정 설치된 링크암;
    상기 요크 실린더의 요크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링크암을 고정시키기 위한 요크격납부재;
    상기 링크암의 제1 측면에 부착되어 차량 바퀴가 설치되는 하부링크;
    상기 하부링크의 일단부와 상기 링크암 사이에 설치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에어 스프링;
    상기 하부링크의 중간부와 상기 링크암 사이에 설치되어 유압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유압 쇼바;
    상기 링크암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차체프레임에 회동축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링크암의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2 측면에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승하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형 바퀴 또는 상기 수직형 무한궤도트랙이 차량시스템 내부에 격납될 경우, 상기 타이어형 바퀴 또는 상기 수직형 무한궤도트랙이 출입하는 개구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격납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격벽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복수의 공간에는 소화용수가 저장되는 소화용수탱크; 및
    상기 소화용수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소화용수를 외부로 분사하는 방수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진 외측투광유리;
    상기 외측투광유리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열되며 상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진 내측투광유리;
    상기 내측투광유리 내부에 설치된 감시카메라; 및
    상기 외측투광유리 및 상기 내측투광유리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외측투광유리의 외부와, 상기 외측투광유리 및 내측투광유리 사이, 그리고 내측투광유리 내부의 공간을 서로 격리시키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투광유리 및 내측투광유리 사이에는 냉각액이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진 외측투광유리;
    상기 외측투광유리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열되며 상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진 내측투광유리;
    상기 내측투광유리 내부에 설치된 서치라이트; 및
    상기 외측투광유리 및 상기 내측투광유리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외측투광유리의 외부와, 상기 외측투광유리 및 내측투광유리 사이, 그리고 내측투광유리 내 부의 공간을 서로 격리시키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투광유리 및 내측투광유리 사이에는 냉각액이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차체프레임에 고정되는 잭실린더, 상기 잭실린더로 인입출되는 실린더 로드;및 상기 실린더 로드의 일단에 핀으로 결합되는 받침대를 갖는 아웃트리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KR1020070077779A 2007-08-02 2007-08-02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KR100883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779A KR100883841B1 (ko) 2007-08-02 2007-08-02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PCT/KR2008/004497 WO2009017385A2 (en) 2007-08-02 2008-08-02 Vehicle system having body cool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779A KR100883841B1 (ko) 2007-08-02 2007-08-02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545A KR20090013545A (ko) 2009-02-05
KR100883841B1 true KR100883841B1 (ko) 2009-02-17

Family

ID=40305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779A KR100883841B1 (ko) 2007-08-02 2007-08-02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83841B1 (ko)
WO (1) WO200901738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759B1 (ko) * 2009-12-02 2012-03-16 디알비파텍 (주) 고온 환경하에서의 작업용 로봇의 냉각시스템
DE102014008209A1 (de) * 2014-06-04 2015-12-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Abdeckungskomponente für ein Kraftfahrzeug und Kühlsystem mit der Abdeckungs-komponente
KR102046049B1 (ko) * 2017-12-29 2019-11-18 포테닛 주식회사 재난 대응 로봇용 자동 냉각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재난 대응 로봇
CN110722959A (zh) * 2019-11-15 2020-01-24 上海海洋大学 小型冷藏车顶置式外部冷气引入系统
KR102348145B1 (ko) * 2019-12-06 2022-01-06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
CN111388920B (zh) * 2020-03-25 2021-03-09 北京力升高科科技有限公司 一种耐高温灭火机器人及其工作方法
CN112677757A (zh) * 2020-12-25 2021-04-20 徐览生 一种节能型公交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4961A (ja) * 1991-10-17 1993-04-27 Showa Alum Corp 自動車等の車両用ボデイーパネル
KR930021426A (ko) * 1992-04-02 1993-11-22 이용구 차량 냉, 난방장치의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난방장치
KR19980040487U (ko) * 1996-12-21 1998-09-15 김영환 자동차의 차실 외부 냉각장치
JPH11273983A (ja) 1998-03-20 1999-10-08 Nissan Diesel Motor Co Ltd キャパシタ冷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325B1 (ko) * 1994-10-27 1997-03-03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워터쟈켓을 이용한 자동차 헤드라이닝의 단열 및 냉,난방 장치
JP3808733B2 (ja) * 2001-08-07 2006-08-16 株式会社クボタ クローラ式走行装置
KR100540470B1 (ko) * 2003-12-04 2006-01-12 김범수 완전동결형 축열시스템
JP2007030759A (ja) * 2005-07-28 2007-02-08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クローラ用走行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4961A (ja) * 1991-10-17 1993-04-27 Showa Alum Corp 自動車等の車両用ボデイーパネル
KR930021426A (ko) * 1992-04-02 1993-11-22 이용구 차량 냉, 난방장치의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난방장치
KR19980040487U (ko) * 1996-12-21 1998-09-15 김영환 자동차의 차실 외부 냉각장치
JPH11273983A (ja) 1998-03-20 1999-10-08 Nissan Diesel Motor Co Ltd キャパシタ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17385A3 (en) 2009-05-14
KR20090013545A (ko) 2009-02-05
WO2009017385A2 (en)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841B1 (ko) 차체 냉각기능을 갖는 차량시스템
US11891885B2 (en) Connection device, control box component and fracturing apparatus
US12084955B2 (en) Fracturing device
US20220235639A1 (en) Fracturing device
EP3916885A1 (en) Battery pack
CN102141271B (zh) 空气调节装置的室外单元
JP2009248920A (ja) 車両用冷却装置
KR100883843B1 (ko) 수직형 무한궤도트랙을 갖는 차량시스템
CN108012504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具有散热及防水功能的通信基站
CN114452563A (zh) 一种停车场新能源汽车消防灭火系统
JP2008008517A (ja) 冷凍コンテナ
CN215773894U (zh) 机柜
ES2344217T3 (es) Unidad de potencia hidraulica para un dispositivo elevador.
JP2008008516A (ja) エンジン駆動式冷凍コンテナ
JP2008008521A (ja) 冷凍コンテナ
CA3061972A1 (en) Equipment,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high pressure fluid
CN116320697A (zh) 一种红外防爆监控设备及其操作方法
JP2008062850A (ja) 荷役車両
JP2008008519A (ja) 冷凍コンテナ
CN102900117A (zh) 工程机械
JP2010007471A (ja) エンジン作業機
JP7219934B1 (ja) 骨組み型熱交換器
WO2008001528A1 (fr) Récipient réfrigérant
CN216444255U (zh) 一种测发控方舱
JP2008007136A (ja) エンジン駆動式冷凍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