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069B1 -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 - Google Patents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2069B1 KR102582069B1 KR1020210122601A KR20210122601A KR102582069B1 KR 102582069 B1 KR102582069 B1 KR 102582069B1 KR 1020210122601 A KR1020210122601 A KR 1020210122601A KR 20210122601 A KR20210122601 A KR 20210122601A KR 102582069 B1 KR102582069 B1 KR 1025820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body
- cab
- pump
- driver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0—Spraying vehicl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6—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put under pressure by means other than pressure gas, e.g. pump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5—Adaptations for pumps or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B62D31/025—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having modular s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난민을 수용하기 위한 승객실과, 상기 승객실의 일단에 위치하여 화재 현장 진입시에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게 형성되는 주 운전실과, 상기 승객실의 타단에 위치하고 상기 화재 현장으로부터 상기 진입 방향의 역방향으로 탈출시에 상기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게 형성되는 보조 운전실을 구비하는 차체 및 상기 차체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의 외벽을 향해 물을 분사하여 상기 화재 현장의 열기로부터 상기 차체의 외벽을 보호하는 차체 분사 노즐과, 상기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주 운전실의 전방 도로 및 상기 보조 운전실의 전방 도로를 향해 물을 분사하여 상기 도로의 화염 및 열기로부터 상기 차체의 바닥을 보호하는 바닥 분사 노즐을 구비하는 분사 모듈을 포함하는,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명 구조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고 현장에 투입되어 인명을 구조하고 투입시의 방향과 반대로 주행하여 사고 현장으로부터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는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사고 현장에서 긴급 구난차 또는 인명 구조차라 불리는 차량들이 투입되어 인명 구조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명 구조차는 화재 현장과 같이 긴급 대피가 필요한 현장에 신속히 투입되어, 호흡이 곤란한 인원 또는 그 밖의 사고를 당한 인원을 태우고 사고 현장으로부터 탈출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인명 구조차는 대부분 이미 시장에 출시된 9인승 내지 11인승의 승합차를 베이스로 하여 여기에 산소 호흡기 및 간단한 설비만을 추가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현재의 인명 구조차는 기존의 일반 승합차와 거의 동일한 주행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주행 특성으로 인해, 인명 구조차는 사고 현장에 도착하여 사고 인원을 탑승시킨 뒤, 다시 유턴 회전하여 사고 현장으로부터 탈출해야만 한다.
이러한 구조의 인명 구조차는 유턴 회전이 어려운 환경에서는 신속한 인명 대피에 적합하지 않다. 구체적으로, 터널 또는 좁은 골목길과 같이 유턴이 어려운 곳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인명 구조차는 사고 현장으로부터 후진으로 빠져나올 수밖에 없어 사고 현장으로부터의 신속한 탈출이 어렵다. 특히, 터널 내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후진 주행으로 빠져나와야 할 거리가 매우 길어, 장시간 후진 주행으로 인한 차량 추돌 사고의 위험성도 함께 높아지게 된다.
한편, 터널 내 교통 사고는 매우 높은 빈도로 화재를 수반하게 된다. 이러한 화재는 터널 내에 유독 가스의 생성과 함께 고열의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이러한 고열은 사고 현장의 인원들에게 후속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이들의 구조를 위해 투입된 인명 구조차의 차체에도 손상을 입히게 된다.
특히, 고열로 인한 차체 손상의 경우 인명 구조차의 폭발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인명 구조차의 하부에는 휘발유 또는 전기차용 배터리팩과 같이 고열에 의해 발화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물질들이 내장되어 있는데, 이들은 도로 지표면으로부터 열기를 받아 폭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인명 구조차는 물론 그에 탑승한 인명들도 함께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인명 구조차는 사고 현장으로부터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어야 하고, 동시에 외부의 열기에 대해 강한 저항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한편, 현재의 승합차형 인명 구조차는 내부 공간이 넓지 않아 한 번에 구조할 수 있는 인원수가 제한적이다. 이러한 인명 구조차에 의하면, 한 번에 수용할 수 있는 인원수가 적어 사고 현장까지 여러 번 왕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고 현장으로부터 많은 수의 인명을 신속하게 대피시키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고 현장으로부터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으면서도 사고 현장의 열기로부터 차체 보호가 가능한,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고 현장으로부터 한 번에 보다 많은 인원을 구조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승하차가 가능한,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는, 피난민을 수용하기 위한 승객실과, 상기 승객실의 일단에 위치하여 화재 현장 진입시에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게 형성되는 주 운전실과, 상기 승객실의 타단에 위치하고 상기 화재 현장으로부터 상기 진입 방향의 역방향으로 탈출시에 상기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게 형성되는 보조 운전실을 구비하는 차체; 및 상기 차체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의 외벽을 향해 물을 분사하여 상기 화재 현장의 열기로부터 상기 차체의 외벽을 보호하는 차체 분사 노즐과, 상기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주 운전실의 전방 도로 및 상기 보조 운전실의 전방 도로를 향해 물을 분사하여 상기 도로의 화염 및 열기로부터 상기 차체의 바닥을 보호하는 바닥 분사 노즐을 구비하는 분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체는, 상기 주 운전실 및 상기 보조 운전실과 각각 직접 접근 가능하게 형성되는 2개의 출입문; 상기 주 운전실로부터 상기 보조 운전실까지 상기 운전자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 통로; 및 상기 연결 통로를 개폐할 수 있게 상기 주 운전실과 상기 승객실의 사이 및 상기 보조 운전실과 상기 승객실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격리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는 상기 차체에 설치되는 열화상 카메라; 상기 열화상 카메라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 모터; 상기 주 운전실 및 상기 보조 운전실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한 상기 차체의 외부 영상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모니터; 및 상기 주 운전실 및 상기 보조 운전실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회동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열화상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상기 운전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기 위한 조작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는 상기 차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체 분사 노즐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서 분사된 물이 상기 차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차체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고, 상기 바닥 분사 노즐은 상기 주 운전실의 전면 범퍼 및 상기 보조 운전실의 전면 범퍼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 모듈은, 상기 차체에 설치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차체 분사 노즐 및 상기 바닥 분사 노즐로 압송하는 펌프;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액위값을 측정하는 액위 센서; 상기 차체의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액위 센서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상기 외부 온도 및 액위값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의 가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온도가 60℃ 이상이면 상기 펌프가 가동되도록 하고 상기 액위값이 정해진 하한치보다 낮으면 상기 펌프의 가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 모듈은,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펌프로 이송하기 위한 입수관; 상기 입수관을 개폐하기 위한 전동식의 입수 밸브; 상기 입수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배수관; 및 상기 배수관을 개폐하기 위한 전동식의 배수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의 가동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 밸브를 차단한 후 0.5초 내지 2초 이후에 상기 입수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펌프를 가동시키며, 상기 펌프를 가동 중지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펌프의 가동을 중지시킨 후 상기 입수 밸브를 차단하며 상기 입수 밸브의 차단 후 0.5초 내지 2초 이후에 상기 배수 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에 의하면, 사고 현장으로부터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으면서도 사고 현장의 열기로부터 차체 보호도 가능하다.
아울러, 사고 현장으로부터 한 번에 보다 많은 인원을 구조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승하차가 가능하여 인명 구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연결 통로를 통해 주 운전실로부터 보조 운전실로 직접 이동할 수 있어 사고 현장으로부터의 탈출 시간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더불어, 연기로 인해 시야 확보가 어려운 환경에서도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외부 상황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하고 신속한 인명 구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의 투시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의 구동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의 실제 모습을 측면에서 촬상한 사진이다.
도 7은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의 실제 모습을 정면에서 촬상한 사진이다.
도 8은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의 상부를 투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의 분사 모듈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의 투시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의 구동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의 실제 모습을 측면에서 촬상한 사진이다.
도 7은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의 실제 모습을 정면에서 촬상한 사진이다.
도 8은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의 상부를 투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의 분사 모듈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또는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100)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100)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100)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100)의 투시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100)의 구동 유닛(111)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100)의 실제 모습을 측면에서 촬상한 사진이며, 도 7은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100)의 실제 모습을 정면에서 촬상한 사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100)는 차체(110), 호흡기 모듈(130), 램프 모듈(140), 열화상 모듈(150) 및 분사 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들 각각의 구성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차체(110)는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도록 버스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아울러, 차체(110)는 전후 양방향 주행에 적합하도록 앞뒤가 서로 대칭의 형상을 가지며, 또한 좌우 양측도 서로 대칭의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차체(110)는 구동 유닛(111), 승객실(113), 주 운전실(114), 보조 운전실(115), 출입문(116), 연결 통로(117), 격리 도어(118) 및 하우징(119)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 유닛(111)은 차체(110)의 주행을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차체(110)는 전기를 통해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구동 유닛(111)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150kWh 이상의 배터리팩(112)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구동 유닛(111)은 전후 양방향 주행을 위해 2개의 스티어링휠과 그와 연결된 조향용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객실(113)은 차체(11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다.
주 운전실(114)은 승객실(113)의 일단에 위치한다.
보조 운전실(115)은 승객실(113)의 타단에 위치한다.
출입문(116)은 주 운전실(114) 및 보조 운전실(115)과 각각 직접 접근 가능하게 2개가 구비된다.
연결 통로(117)는 승객실(113)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연결 통로(117)는 주 운전실(114)로부터 보조 운전실(115)까지 운전자 및 승객이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격리 도어(118)는 운전실과 승객실(113)을 격리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격리 도어(118)는 2개가 주 운전실(114)과 승객실(113)의 사이 및 보조 운전실(115)과 승객실(113)의 사이에 각각 설치된다.
하우징(119)은 후술하는 램프 모듈(140) 및 분사 모듈(160) 등을 설치하기 위한 구성이다. 하우징(119)은 차체(110)의 지붕 측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호흡기 모듈(130)은 화재 현장으로부터 구조된 피난민의 호흡을 돕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호흡기 모듈(130)은 승객실(113) 내에 구비되는 호흡용 마스크와, 이와 연결되는 SCBA(Self Contained Breathing Apparatus,131) 배럴 6개와 50ℓ용량의 30MPa형 에어 실린더팩(132) 4개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 모듈(140)은 주변에 비상 상황임을 알리는 한편 조명 기능도 함께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램프 모듈(140)은 엣지 램프(141) 및 사이드 램프(142)를 포함한다.
엣지 램프(141)는 하우징(119)의 모서리에 4개가 설치되고 하우징(119)과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엣지 램프(141)는 스트로브 램프로 구성되어 경고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사이드 램프(142)는 하우징(119)의 측면에 4개가 설치되고 하우징(119)에 일체형으로 임베디드된다. 사이드 램프(142)는 상술한 스트로브 램프와 더불어 플래시도 내장되어서 조명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다음으로, 열화상 모듈(150)은 운전자에게 외부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열화상 모듈(150)은 열화상 카메라(151), 회동 모터(152), 모니터(153) 및 조작 레버(1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열화상 카메라(151)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화재로 인한 연기 속에서도 사람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열화상 카메라(151)는 주 운전실(114)의 상단 및 보조 운전실(115)의 상단에 각각 설치된다.
회동 모터(152)는 열화상 카메라(151)와 연결되어 그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모니터(153)는 열화상 카메라(151)가 촬영한 외부 영상을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모니터(153)는 주 운전실(114) 및 보조 운전실(115)에 각각 설치된다.
조작 레버(154)는 회동 모터(152)를 제어하여 열화상 카메라(151)의 촬영 각도를 운전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조작 레버(154)는 주 운전실(114) 및 보조 운전실(115)에 각각 설치된다.
분사 모듈(160)은 차체(110)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다. 분사 모듈(16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100)의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인명 구조차(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양방향 주행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인명 구조차(100)는 차체(110)의 앞뒤에 각각 주 운전실(114)과 보조 운전실(115)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터널 또는 골목길 등의 좁은 공간에서 화재 또는 교통사고 발생시에 운전자가 주 운전실(114) 또는 보조 운전실(115)에 탑승해 사고 현장에 진입한 후, 이 사고 현장에서 회전하지 않고 운전자만 보조 운전실(115) 또는 주 운전실(114)로 이동하여 사고 현장으로부터 진입시의 역방향으로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다.
여기서,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100)는 전술한 것과 같이 주 운전실(114)과 보조 운전실(115)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통로(117)를 구비한다. 이에 의하면, 운전자가 주 운전실(114)에 탑승하여 사고 현장에 진입한 경우 주 운전실(114)로부터 하차 후 다시 보조 운전실(115)로 탑승할 필요 없이, 운전자가 연결 통로(117)를 통해 주 운전실(114)로부터 보조 운전실(115)로 직접 이동할 수 있어 사고 현장으로부터 보다 신속한 탈출이 가능하다.
한편,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100)는 전술한 것과 같이 주 운전실(114) 및 보조 운전실(115)에 각각 구비되는 2개의 출입문(116)을 가진 버스형의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출입문(116)이 승객실(113)이 아닌 운전실 측에 형성되어서 승객실(113) 공간을 최대한 크게 확보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고 현장 투입시에 최대한 많은 인원을 한 번에 구조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주 운전실(114) 측 출입문(116)을 통해 승차한 인원이 사고 현장 탈출 후 같은 출입문(116)을 통해 하차할 수 있음은 물론 상술한 연결 통로(117)를 통해 이동하여 보조 운전실(115) 측 출입문(116)으로도 하차할 수 있어 인원을 최대한 신속하게 하차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사고 현장으로 신속한 재투입이 가능해진다.
출입문(116)을 통해 승객실(113)에 탑승한 피난민은 전술한 호흡기 모듈(130)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호흡 곤란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운전실과 승객실(113)의 사이에는 전술한 것과 같이 격리 도어(118)가 설치되어 있어 승객실(113)에 대한 밀폐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승객실(113)에 승차한 인원들을 외부의 연기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100)는 램프 모듈(140)을 통해 주변에 비상 상황임을 알릴 수 있음은 물론, 연기가 자욱한 터널과 같은 환경에서도 피난민에게 구조차의 위치를 쉽게 알릴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엣지 램프(141)는 전술한 것과 같이 차체(110) 상단에 위치한 하우징(119)의 각 모서리마다 설치되어 있어 피난민은 어느 방향에서도 구조차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램프(142)는 조명 기능도 수행할 수 있어 차체(110)의 측면 외부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조명과 함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100)는 열화상 모듈(150)도 구비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열화상 모듈(150)은 차체(110)의 앞뒤 상단에 각각 설치된 열화상 카메라(151)를 통해 운전자가 외부 상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열화상 카메라(151)는 연기로 인해 시야 확보가 어려운 터널 속 상황에서도 적외선을 이용하여 온도에 기반한 외부 상황을 촬영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촬영된 영상은 운전실 내의 모니터(153)로 출력되어 운전자 또는 구조 요원이 모니터(153)를 보면서 구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운전자 또는 구조 요원은 조작 레버(154)를 통해 회동 모터(152)를 제어함으로써 열화상 카메라(151)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터널 속 여러 방향을 탐지할 수 있어 구조 요원들의 신속한 판단과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100)는 화재 현장 진입시에 차체(110)를 보호하기 위한 분사 모듈(160)을 더 구비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100)의 상부를 투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의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100)의 분사 모듈(160)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들과 도 1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분사 모듈(160)은 물탱크(161), 펌프(163), 차체 분사 노즐(165), 바닥 분사 노즐(167), 액위 센서(169), 액위 모니터(171), 온도 센서(173), 입수관(175), 입수 밸브(177), 배수관(179), 배수 밸브(181), 오수관(183), 배출 밸브(185) 및 제어부(187)를 포함한다.
물탱크(16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체(110)에 설치된다.
펌프(163)는 물탱크(161)에 저장된 물을 압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차체 분사 노즐(165)은 하우징(119)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차체 분사 노즐(165)은 하우징(119)의 좌우 측면에 각각 4개씩 설치되고 하우징(119)의 앞뒤 측에 각각 2개씩 설치된다.
바닥 분사 노즐(167)은 주 운전실(114)의 전면 범퍼에 2개가 설치되고 보조 운전실(115)의 전면 범퍼에도 2개가 설치된다.
액위 센서(169)는 물탱크(161)에 저장된 물의 수위인 액위값을 측정한다.
액위 모니터(171)는 액위 센서(169)가 측정한 액위값을 화면으로 출력한다. 액위 모니터(171)는 주 운전실(114) 및 보조 운전실(115)에 각각 1개씩 별도로 설치되거나 또는 전술한 모니터(153)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통합될 수 있고, 또한 그와 함께 차체(110) 외부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차체(110) 측면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온도 센서(173)는 차체(110)의 외부 온도를 측정한다.
입수관(175)은 물탱크(161)와 펌프(163)에 각각 연결되어 물탱크(161)에 저장된 물을 펌프(163)로 이송한다.
입수 밸브(177)는 입수관(175)에 설치되어 입수관(175)을 개폐한다.
배수관(179)은 입수관(175)으로부터 분기된다. 구체적으로, 배수관(179)은 입수관(175)의 영역들 중 입수 밸브(177)와 펌프(163)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분기된다.
배수 밸브(181)는 배수관(179)에 설치되어 배수관(179)을 개폐한다.
오수관(183)은 물탱크(161)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배출 밸브(185)는 오수관(183)에 설치되어 오수관(183)을 개폐한다. 배출 밸브(185)는 입수 밸브(177) 및 배수 밸브(181)와는 달리 전동식이 아닌 수동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87)는 외부 신호에 근거하여 펌프(163)의 가동 및 중지를 결정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분사 모듈(160)의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분사 모듈(160)은 사고 현장의 열기로부터 차체(110)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교통 사고 발생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이러한 현장에 투입되는 인명 구조 차량은 화재로부터 전달되는 열기를 차단하여 차체(110)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분사 모듈(160)은 차체 분사 노즐(165) 및 바닥 분사 노즐(167)을 통해 차체(110)의 외벽은 물론 차체(110)의 바닥도 함께 보호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차체 분사 노즐(165)은 전술한 것과 같이 차체(110) 상단에 위치한 하우징(119)에 설치되어서, 분사된 물이 차체(110)의 상단으로부터 차체(110)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려 외부의 열기를 차단함은 물론 차체(110)의 외벽을 냉각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바닥 분사 노즐(167)은 전술한 것과 같이 차체(110) 하단에 위치한 범퍼에 설치되어서 주 운전실(114)의 전방 도로 및 보조 운전실(115)의 전방 도로를 향해 물을 분사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로 지표면의 열기로부터 차체(110)의 하부를 보호할 수 있는데, 여기서 차체(110)의 하부에는 전술한 배터리팩(112)과 같이 발화 가능한 구성들이 설치되어 있어 이러한 구성들이 고열에 의해 자체 발화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체 분사 노즐(165) 및 바닥 분사 노즐(167)에 의한 물 분사는 펌프(163)의 가동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펌프(163)의 가동은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서도 이루어지지만 제어부(187)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100)가 화재 현장에 진입하는 경우 온도 센서(173)는 차체(110)의 외부 온도를 측정하여 외부 온도 정보를 제어부(187)로 송신한다. 이때, 외부 온도가 60℃ 이상이면 제어부(187)는 펌프(163)를 가동시키도록 제어하여 차체 분사 노즐(165) 및 바닥 분사 노즐(167)을 통해 물이 분사되도록 한다(K1 close). 이와 같이 물이 분사되면 물탱크(161)에 저장된 물의 수위도 점차 낮아지게 되는데, 이러한 물의 액위값은 액위 센서(169)에 의해 측정된다. 이때, 액위값이 미리 설정된 하한치보다 낮아지게 되면 제어부(187)는 액위 모니터(171)를 통해 이러한 정보를 출력하여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펌프(163)의 가동도 중지시킨다(K2 open).
여기서, 상술한 펌프(163)의 가동 및 중지는 여러 밸브들의 순차 개폐와 함께 이루어지는데,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 온도가 60℃ 이상인 경우와 같이 펌프(163)의 가동이 요구되는 경우, 제어부(187)는 먼저 배수 밸브(181)가 차단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87)는 배수 밸브(181)가 차단된 후 0.5초 내지 2초 경과 후에 입수 밸브(177)가 개방되도록 하고 이후 펌프(163)가 가동되도록 한다. 이와 달리, 펌프(163)의 가동 중지가 요구되는 경우, 제어부(187)는 먼저 펌프(163)의 가동을 중지시킨다. 이후, 제어부(187)는 입수 밸브(177)가 차단되도록 제어하고, 다시 0.5초 내지 2초 경과 후에 배수 밸브(181)가 개방되도록 한다. 여기서, 배수 밸브(181)는 펌프(163)의 가동 중지시에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펌프(163)의 가동 중지시에 물탱크(161)의 물이 펌프(163) 측으로 유입되거나 또는 입수관(175)과 배수관(179)에 남은 잔여의 물이 펌프(163) 측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펌프(163)의 가동시에 입수관(175) 및 배수관(179)에 물이 충분히 유입된 상태에서 펌프(163)가 가동되도록 하여 펌프(163)의 오작동 및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분사 모듈(160)의 장기간 사용시 물탱크(161)의 바닥에는 오물 등이 침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배출 밸브(185)를 열어 물탱크(161) 내에 침전된 오물 등을 물과 함께 오수관(183)을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
110: 차체
130: 호흡기 모듈
140: 램프 모듈
150: 열화상 모듈
160: 분사 모듈
110: 차체
130: 호흡기 모듈
140: 램프 모듈
150: 열화상 모듈
160: 분사 모듈
Claims (6)
- 피난민을 수용하기 위한 승객실과, 상기 승객실의 일단에 위치하여 화재 현장 진입시에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게 형성되는 주 운전실과, 상기 승객실의 타단에 위치하고 상기 화재 현장으로부터 상기 진입 방향의 역방향으로 탈출시에 상기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게 형성되는 보조 운전실을 구비하는 차체; 및 상기 차체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의 외벽을 향해 물을 분사하여 상기 화재 현장의 열기로부터 상기 차체의 외벽을 보호하는 차체 분사 노즐과, 상기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주 운전실의 전방 도로 및 상기 보조 운전실의 전방 도로를 향해 물을 분사하여 상기 도로의 화염 및 열기로부터 상기 차체의 바닥을 보호하는 바닥 분사 노즐을 구비하는 분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 모듈은, 상기 차체에 설치되는 물탱크;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차체 분사 노즐 및 상기 바닥 분사 노즐로 압송하는 펌프;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액위값을 측정하는 액위 센서; 상기 차체의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액위 센서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상기 외부 온도 및 액위값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의 가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온도가 60℃ 이상이면 상기 펌프가 가동되도록 하고 상기 액위값이 정해진 하한치보다 낮으면 상기 펌프의 가동을 중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는 상기 차체의 하부에 부착된 배터리팩의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물탱크의 바닥면에 오수관이 구비되고, 상기 오수관의 개폐를 위한 배출밸브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배출 밸브는 수동식으로 구비되고,
상기 차체에 설치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도록 구비된 열화상 카메라; 상기 열화상 카메라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 모터; 상기 주 운전실 및 상기 보조 운전실 상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한 상기 차체의 외부 영상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모니터; 및 상기 주 운전실 및 상기 보조 운전실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회동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열화상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상기 운전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기 위한 조작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 모듈은,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펌프로 이송하기 위한 입수관; 상기 입수관을 개폐하기 위한 전동식의 입수 밸브; 상기 입수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배수관; 및 상기 배수관을 개폐하기 위한 전동식의 배수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의 가동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 밸브를 차단한 후 0.5초 내지 2초 이후에 상기 입수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펌프를 가동시키며, 상기 펌프를 가동 중지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펌프의 가동을 중지시킨 후 상기 입수 밸브를 차단하며 상기 입수 밸브의 차단 후 0.5초 내지 2초 이후에 상기 배수 밸브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는,
상기 주 운전실 및 상기 보조 운전실과 각각 직접 접근 가능하게 형성되는 2개의 출입문;
상기 주 운전실로부터 상기 보조 운전실까지 상기 운전자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 통로; 및
상기 연결 통로를 개폐할 수 있게 상기 주 운전실과 상기 승객실의 사이 및 상기 보조 운전실과 상기 승객실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격리 도어;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체 분사 노즐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서 분사된 물이 상기 차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차체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고, 상기 바닥 분사 노즐은 상기 주 운전실의 전면 범퍼 및 상기 보조 운전실의 전면 범퍼에 각각 설치되는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2601A KR102582069B1 (ko) | 2021-09-14 | 2021-09-14 |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2601A KR102582069B1 (ko) | 2021-09-14 | 2021-09-14 |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9366A KR20230039366A (ko) | 2023-03-21 |
KR102582069B1 true KR102582069B1 (ko) | 2023-09-21 |
Family
ID=8580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2601A KR102582069B1 (ko) | 2021-09-14 | 2021-09-14 |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2069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5253B1 (ko) * | 2012-04-27 | 2013-08-12 | (주)금강차체 | 살수차량의 펌프 보호 시스템 |
CN103935285A (zh) * | 2014-04-30 | 2014-07-23 | 四川森田消防装备制造有限公司 | 一种双向行驶路轨两用多功能抢险救援消防车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9088B1 (ko) * | 2005-05-10 | 2007-03-27 | 주식회사 평강특장자동차 | 다목적 소방차 |
KR101304063B1 (ko) * | 2009-09-04 | 2013-09-04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이중화 소방설비 시스템 |
-
2021
- 2021-09-14 KR KR1020210122601A patent/KR10258206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5253B1 (ko) * | 2012-04-27 | 2013-08-12 | (주)금강차체 | 살수차량의 펌프 보호 시스템 |
CN103935285A (zh) * | 2014-04-30 | 2014-07-23 | 四川森田消防装备制造有限公司 | 一种双向行驶路轨两用多功能抢险救援消防车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9366A (ko) | 2023-03-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105747A (ko) | 소형 이동식 로봇 소화 시스템 | |
US5132663A (en) | Vehicle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oxic and combustible fuels | |
KR102006770B1 (ko) |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 | |
US10377204B2 (en) | Rescue vehicle | |
US20230170552A1 (en) | Battery arrangement,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flooding a high-voltage battery | |
US10800270B1 (en) | Enclosed electric motorcycle | |
WO2000071208A1 (en) | Emergency response vehicle | |
RU105833U1 (ru) | Пожарно-спасательный автомобиль с реверсивным движением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и проведения аварийно-спасательных работ в тоннелях (варианты) | |
CN207101686U (zh) | 一种移动式智能消防灭火机器人 | |
KR102584199B1 (ko) | 자동차화재 진압 및 방어용 커버 | |
EA039694B1 (ru) | Передвигающееся по рельсовому пути рабочее или спасатель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 |
CN105944265A (zh) | 链轨式装甲消防车 | |
KR102582069B1 (ko) | 양방향 주행 가능한 인명 구조차 | |
KR20060116461A (ko) | 다목적 소방차 | |
US7056167B1 (en) | Life boot | |
US6899189B2 (en) | Protective firefighting vehicle | |
KR102015183B1 (ko) | 소방차에 적재 가능한 기동형 서브 소방장치 | |
IT202000011245A1 (it) | Veicolo provvisto di sistema antincendio | |
CN210543003U (zh) | 极地救生消防车 | |
KR20100135582A (ko) | 헬리콥터에 부착 가능한 소방 및 구조 유닛 | |
CN210542972U (zh) | 动力电池消防装置和车辆 | |
KR102348145B1 (ko) | 화재현장 진입용 장갑로봇 | |
JPH0140529Y2 (ko) | ||
JPH0761375A (ja) | キャブオーバ型自動車 | |
CN111135505A (zh) | 智能消防车和消防车灭火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