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5582A - 헬리콥터에 부착 가능한 소방 및 구조 유닛 - Google Patents

헬리콥터에 부착 가능한 소방 및 구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5582A
KR20100135582A KR1020090054048A KR20090054048A KR20100135582A KR 20100135582 A KR20100135582 A KR 20100135582A KR 1020090054048 A KR1020090054048 A KR 1020090054048A KR 20090054048 A KR20090054048 A KR 20090054048A KR 20100135582 A KR20100135582 A KR 20100135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aircraft
fire
rescu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압둘 아지즈 알 사우드 빈 맘두 나이에프 빈
Original Assignee
압둘 아지즈 알 사우드 빈 맘두 나이에프 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압둘 아지즈 알 사우드 빈 맘두 나이에프 빈 filed Critical 압둘 아지즈 알 사우드 빈 맘두 나이에프 빈
Priority to KR1020090054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5582A/ko
Publication of KR20100135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5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05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using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항공기 본체를 통해 함께 조합되는 베이스(2)를 통해 함께 부착되는 2개의 챔버로 이루어진 가동성 유닛 지지 연장부를 갖는 항공기를 통해 항공기 소방 및 구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외부 항공기 본체는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고 항공으로 운반되는 다수의 부상자를 수용한다. 항공기에는 2개의 소방 밸브가 마련되고, 이 2개의 소방 밸브는 항공기의 전방 및 후방에 고정되며, 그 운동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180도이다. 본 발명의 유닛에는 2개의 소방 밸브가 장비될 것이다. 소방 밸브는 필요한 장소에 사용될 수 있다. 소방 및 구조 유닛은 금속 트랙(6)의 가동 베이스 상에 고정된 전기 리프트와 결합되는 탄성 베어러 연장부를 통해 하강 및 상승된다. 구조자/항공기 지휘관 부관은 항공기 내측에서 장비를 제어하여, 소방 및 구조 유닛은 목표를 향해 이동하는 일 없이 공중에서 항공기의 안정성을 실현하는 방식으로 목표를 향해 쉽고도 간단하게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안전하게 이동한다. 이는 항공기와 소방 및 구조 유닛의 안전 레벨을 상승시킨다.

Description

헬리콥터에 부착 가능한 소방 및 구조 유닛{FIREFIGHTING AND RESCUE UNIT ATTACHABLE HELICOPT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그리고 특히 고층 빌딩에서 소방 및 구조 작업에 사용되는 항공기 소방 및 구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 유닛은 해양를 통과하는 보호 요소를 포함하는 소화 재료의 자체 제공을 통해 선박 소화에 대한 부가물이다. 이 유닛은 현재 운항 중인 모든 헬리콥터 또는 새로운 헬리콥터에 고정되고, 구조될 부상자를 수용할 정도의 용량을 갖는다.
본 발명은 소방 항공기 분야이고, 현재의 항공기는 작은 탱크를 갖고 있고 대부분 먼 지역에서 버킷에 담고 화재에 쏟아붓는 물, 또는 지상의 물 컨테이너에 의존하고 있다. 소방은 또한 빌딩을 타고 올라가는 데에 사다리를 사용한다. 지금까지는, 사다리가 도달하기에 너무 높거나 소방차가 가기에 너무 좁거나 도착하기에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리는 먼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항공기를 최상으로 사용하기가 어려워 많은 사고 및 손실이 유발된다.
화재를 소화하고 부상자를 구조하는 데에는 많은 시스템과 방법이 있다. 이는 또한 구급차, 실제적으로 안전하게 가능한 목표 근처에 상륙하는 선박, 출발 주 둔지와 사고 지점 사이에 도로 방해물 때문에 항공 구조를 하는 데에 뿐만 아니라 병원으로 복귀하는 데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부상자를 구조하는 육상 구급차 서비스와 상이한 방법을 통해 이들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응급 치료를 제공하는 것에 추가적이다. 이 작업은 응급 치료 및 구조를 수행하는 데에 시간이 걸린다. 이는 목표 근처에 착륙하기 위해 특별한 장소와 큰 면적을 필요로 하는 헬리콥터와 비슷하다. 실질상, 헬리콥터는 2명 이상의 사람에 대하여 구급 서비스를 동시에 안전하게 제공하도록 작업할 수 없다. 예컨대, 이전의 발명은 헬리콥터를 공중에 정지시키고 1명의 구조자를 지상의 사고 지점에 낙하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1명 또는 2명을 구조할 수 있는 방법을 포함하였다. 예컨대, 헬리콥터는 소방 작업 외에 구급 작업을 수행할 수 없었다.
소방 및 구조 시스템으로서 설명되는 본 발명은 소방 및 구조 서비스 또는 양자를 함께 제공하는 것 외에, 그러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특히 높은 주거 타워의 구조 작업 중에 높은 수준의 정확도 및 안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방만을 위한, 구조만을 위한 또는 동시에 소방 및 구조를 위한 소방 항공기 및 항공기 내에 선택된 구조 유닛(이하, "항공기 발명")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고를 당한 부상자들이 지상에 있거나, 특히 헬리콥터가 착륙할 수 없는 도로 및 장소에 있거나 사고가 난 빌딩, 특히 매우 높은 빌딩의 상층에서 핸디캡이 있던지 부상자들을 안전한 장소나 병원으로 이송하도록 부상자들을 구조하는 데에 사용된다.
전술한 임무는 항공으로 구조 및 이송될 필요가 있는 다수의 부상자들을 수용할 수 있는 소방 및 구조 유닛의 설계 및 제조를 비롯하여 그러한 발명의 주목적을 포함한다. 이 유닛은 소방 및 구조 항공기 발명의 전방에 고정된 촬영 유닛 및 센서를 통해 안전하게 목표를 향해 제어 및 지향된다. 작업은 이 목적을 위해 설계되고 방화(내연성) 재료로 제조된 지지 연장부와 결합되는 항공기 내측의 (금속 트랙 상에서 이동 가능한) 베이스에 고정된 전기 리프트를 통해 수행된다. 구조자/항공기 지휘관 부관은 항공기 내측에서 장비를 제어하여, 소방 및 구조 유닛은 목표를 향해 이동하는 일 없이 공중에서 항공기의 안정성을 실현하는 방식으 로 목표를 향해 쉽고도 간단하게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안전하게 이동한다. 이는 예컨대 강풍과 같은 방해물과 대면하는 항공기와 소방 및 구조 승무원의 안전 레벨을 상승시킨다.
항공기의 전후방에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145도로 이동하는 2개의 다른 밸브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양면에 고정된 소화 밸브는 화재를 소화하고 사고 지역을 냉각시키는데, 그러한 소화 장비는 외측 시임 근처의 전방 및 후방 패널의 일부에 연결된 항공기 바닥 내측의 탱크에 부착된 파이프를 통해 소화 재료를 제공한다.
매우 높거나, 곤란하게도 타이트하거나, 매우 먼 장소에서 시작할 수 있는 화재에 의해 야기되는 생명 및 재산의 손실을 고려하면, 본 발명은 이들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각 항공기의 기술적 사양에 의해 허용되는 만큼 높고, 소화 재료(물 또는 폼)를 담으며 얼마나 높은지 문제가 되지 않는 화재에 접근하는 소방관과 진료 보조원을 태우는 하부 캐빈을 통해 얼마나 높은지 문제가 되지 않는 화재에 도달할 수 있는 호스가 부착된 항공기의 긴 하부 탱크가 공급되기 때문이다. 또한, 소방차가 접근할 수 없는 좁은 장소에 접근할 수도 있다. 또한, 이 항공기는 도착하기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먼 지역에서 소방, 구조 및 응급 치료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이전의 소방 항공기에 포함되지 않는 부속물을 포함한다.
1)항공기의 크기에 비례하는 또는 각 항공기의 기술적 사양에 따른 하부 탱크.
2)소방 절차를 진척시키기 위해 탱크로부터 늘어뜨리거나 탱크에 직접 부착되는 호스.
3)소방관 및 구조자를 태운 항공기로부터 연장되고 하강되는 캐빈.
4)캐빈을 유지하는 강한 로프.
5)소방 및 구조를 보조하는 캐빈의 계단.
6)필요에 따라 매우 높은 장소의 가장 위험한 상황, 매우 타이트한 장소, 매우 위급한 상황, 먼 지점에서 소방, 구조 및 응급 치료 임무를 수행하는 항공기의 능력.
또한, 본 항공기의 형태, 외관 및 기능과, 항공기를 어떻게 작동 및 사용하지는 지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는 것은 언급할 만하다. 도면 및 설명에 예시된 것과 유사한 임의의 것은 본 발명의 일부로서 판단되도록 의도된다는 것을 또한 유념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양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예시된 항공기 소방 및 구조 유닛과 관련된 본 발명의 사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사고를 당한 부상자들이 지상에 있거나, 특히 헬리콥터가 착륙할 수 없는 도로 및 장소에 있거나 사고가 난 빌딩, 특히 매우 높은 빌딩의 상층에서 핸디캡이 있던지 부상자들을 안전한 장소나 병원으로 이송하도록 부상자들을 구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가능한 한 소방 자재(폼, 물 등)를 많이 운반할 수 있게 하는 거대한 탱크를 구비한 항공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 항공기는 소방관과 구조자 및 호스를 운반하는 종래 기술의 방화 캐빈과, 화재를 진화하고 불 속에 갇힌 사람을 구조하여 밖으로 데려가 치료하도록 소방관과 구조자를 화재 장소로 접근하게 하는 부착식 계단을 갖고 있다. 이들 장비는 육상에서의 도움없이 거의 어떠한 높이에서도 항공기가 모든 종류의 소방, 구조 및 응급 치료 임무를 수행하게 도와준다. 이들 항공기는 40층과 같이 매우 높은 층에서의 화재를 진화할 수 있고, 소방차를 위한 공간이 없는 동일한 빌딩의 2개의 타워를 통과하여 비행할 수 있다. 그러한 항공기는 또한 교통 정체를 극복하여 목적지에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어, 가능한 한 많은 생명과 재산을 구할 수 있다.
도 1의 설명
참조 번호 1은 메인 물 및 폼 탱크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2는 항공기 아래의 소방 캐빈 출구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3은 항공기 아래의 폼 호스 출구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4는 폼 호스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5는 소방 캐빈을 유지하는 케이블을 나타낸다. 참조 번호 6은 폼 호스를 잡고 있는 소방관을 나타낸다. 참조 번호 7은 폼의 배출구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8은 캐빈 층계에 서있는 소방관을 나타낸다. 참조 번호 9는 메인 소방 캐빈을 나타낸다. 참조 번호 10은 구조 임무에 일조하는 캐빈 층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소방 및 구조 유닛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가동성 챔버(1)를 나타내고 있는데, 각 챔버는 외측으로부터 항공기의 일측면에 있다. 2개의 챔버는 바닥 베이스(3)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챔버들은 내부 연결 연장부(4)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항공기 내측에서 금속 트랙(6) 위에는 전기 리프트(5)가 고정 결합된다. 전기 리프트는 소방 및 구조 유닛을 지지하여 사고 지점의 벽과 안전하게 연결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2개의 챔버는 항공기(7)의 외측 지붕 상에 고정된 트롤리를 통해 항공기 지붕과 결합되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 양 챔버 간에 균형을 유지한다. 항공기의 전방 및 후방에는 고정 유닛(8)이 있고, 이 고정 유닛은 비행할 때에 항공기의 양 측면 상에 공기가 유동되게 하도록 작용한다. 동시에 고정 유닛은 구조될 추가 부상자를 수용하도록 고정 챔버로서 사용된다. 챔버는 새로운 항공기를 제조할 동안에 고정된다. 챔버는 기존의 항공기에 고정될 수도 있다.
소방 및 구조 유닛은 일측면으로부터의 본 발명의 유닛과 다른 측면으로부터 항공기 내측에 고정된 타측면(5)으로부터의 전기 리프트 사이의 탄성 베어러(9; bearer)를 통해 하강 및 상승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닛을 구성하는 2개의 챔버의 외측 지붕은 이 목적을 위해 설계되고 소방 및 구조 유닛의 하강 중에 양 챔버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항공기 지붕의 양측면 상에 고정된 특정한 트롤리(10)를 통해 탄성 베어러 연장부(9)와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및 구조 유닛에는 화재를 진화하는 데에 본 발명의 유닛을 사용하도록 양 챔버를 연결하는 진화 장비(11)가 마련되어 있다.
소방 및 구조 유닛은 본 발명을 고정시키는 여러 항공기의 각 타입의 모드에 적합하도록 본 발명의 각 설계에 의해 본 발명의 유닛 상의 특정한 지점에 고정되 는 적외선(12)에 의해 작동되는 주야 촬영 유닛과 결합된다. 촬영 유닛은 어떠한 사고 없이 소방 및 구조 유닛을 목표에 쉽고도 간단하게 구조자가 하강시킬 수 있는 데에 필요한 경우에 일조하도록 소방 및 구조 유닛의 상황을 항공기 지휘관/부관에게 명확하게 하기 위해 항공기 내측의 스크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유닛의 챔버 내측에 특정한 스크린과 관련될 것이다. 이것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시감 센서나 적외선을 이용하는) 시각 센서 또는 열 촬영 센서 장비, 레이더 센서 장비/오디오 촬영 센서 장비를 비롯하여 그러한 목적의 임의의 적절한 촬영 센서의 장비를 사용할 수 있고, 유닛의 조작자(구조자 파일롯 부관)는 제어 유닛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센서 장비를 통해 형성되는 이미지를 관찰할 것이다. 목표 지점은 적절한 영향 수단을 이용하여 이미지에 나타날 것이다. 제어 유닛은 다른 선택으로서 프로그램된 정보에 따라 자동적으로 목표를 포착할 수 있다. 지상에 있는 사람은 레이저 수단, 예컨대 선택 또는 추가로서 다른 마커를 이용하여 착륙 지점을 정할 수 있다. 센서 장비는 목표의 거리를 규정하도록 소방 및 구조 유닛과 관련된 크기의 물체 또는 별개의 크기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목표에 접근하는 도입으로서, 제어 유닛은 목표를 발견하고, 제어 유닛이 장소를 조사하고 이에 따라 방향을 제공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촬영 및 신호를 처리하는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목표를 추적할 것이다.
소방 및 구조 유닛에는 도달할 목표로부터 소방 및 구조 유닛의 거리를 판별하도록 센서 시스템(13)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센서는 각 챔버의 중량과 유닛의 총부하의 중량을 판별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전의 설명에 따라 본 발명이 중대한 목적을 실현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기존의 항공기에 항공기 소방 및 구조 유닛을 마련한다면 본 발명의 주제는 어떠한 종류의 상이한 항공기에도 부합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은 발명의 사상을 포함하는 다수의 실시예들을 갖는데, 이는 다른 유사한 기술적 요소와 대체될 수 있는 모든 특정한 요소에 추가된다.
본 발명을 실행할 때에, 목적이 있는 용도에 부합한다면 각 종류의 항공기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적절한 재료 및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내에서 전술한 설명을 통해 다른 형태, 용적 및 구성의 소방 및 구조 유닛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이전의 특징들을 언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맥으로 특정되지 않고, 따라서 이 대신에 본 발명은 상기 문맥에서 설명된 상이한 특징들의 모든 주 이미지 및 부 이미지를 포함할 것이다. 이는 이전의 설명을 읽은 후에 설계 및 시공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차이 및 보정에 추가된다.
항공기 소방 및 구조 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하의 구성을 포함하는 고정된 가동성 구급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1. 베이스와 함께 결합되는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항공기 양면에 서로 반대측에 있는 챔버들.
2. 상기 1번에 있어서, 모든 종류의 기존 헬리콥터 또는 새로운 헬리콥터에 고정될 수 있는 보호 요소에 적합하게 생성된 항공기 소방 및 구조 유닛.
3. 상기 1번에 있어서, 보호 요소에 적합한 항공기 소방 및 구조 유닛은 소 방 및 구조 임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4. 상기 1번에 있어서, 보호 요소에 적합한 항공기 소방 및 구조 유닛은 해양 소방 및 구조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5. 상기 1번에 있어서, 보호 요소에 적합한 항공기 소방 및 구조 유닛은 비행기 형태로 소방 및 구조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6. 생성된 유닛을 포함하는 항공기는 내측으로부터 항공기의 지붕에 고정되는 길이 방향 금속 트랙(2) 상에 고정되는 전기 리프트를 포함하고, 이 전기 리프트를 통해 소방 및 구조 유닛이 하강 및 상승된다.
7. 상기 1번에 있어서, 보호 요소에 적합한 소방 및 구조 유닛은 소방 및 구조 작업을 빠르게 하도록 그 구성 내에 독립적인 구조자를 갖게 일조한다.
8. 상기 1번에 있어서, 보호 요소에 적합한 소방 및 구조 유닛은 항공기 내외측에 생성된 유닛과 결합되는 탄성 베어러 연장부를 갖는다.
9. 상기 2번에 있어서, 보호 요소에 적합한 소방 및 구조 유닛은 항공기 내의 바닥 내측의 탱크로부터 소화 재료를 갖는 2개의 챔버의 양면에 고정되는 2개의 소화 밸브를 갖는다.
10. 상기 1번에 따른 보호 요소에 적합한 소방 및 구조 유닛을 갖춘 항공기는 항공기의 전후방에 2개의 소화 밸브를 갖고, 이 소화 밸브는 사고 지역을 소화 및 냉각시키는 데에 일조하도록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180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11. 상기 1번에 있어서, 보호 요소에 적합한 소방 및 구조 유닛은 나중에 재 검토 및 연구를 위해 소방 및 구조 작업을 완벽하게 기록하는 것과 함께 목표를 정확하게 판별하기 위하여 촬영 유닛을 갖는다.
12. 상기 1번에 있어서, 보호 요소에 적합한 소방 및 구조 유닛은 생성된 유닛의 본체 및 베이스 상에 그 부품들 내측 및 항공기 내측에서 고정되는 센서를 갖는다.
13. 상기 9번에 있어서, 지지 연장부는 모든 지지 연장부의 인장 레벨을 측정하도록 센서와 결합되는 것인 보호 요소에 적합한 소방 및 구조 유닛.
14. 상기 9번에 있어서, 보호 요소에 적합한 소방 및 구조 유닛은 생성된 유닛의 상승 및 하강 평균을 측정하도록 속도 측정 공구를 포함한다.
15. 상기 9번에 있어서, 보호 요소에 적합한 소방 및 구조 유닛은 소방 및 구조 유닛의 상승 및 하강 평균을 측정하도록 속도 측정 공구를 포함한다.
16. 상기 8번에 있어서, 촬영 유닛은 아래로부터 항공기 본체에 고정되는 것인 보호 요소에 적합한 소방 및 구조 유닛.
17. 상기 8번에 있어서, 촬영 유닛은 레이더 센서 장비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인 보호 요소에 적합한 소방 및 구조 유닛.
18. 상기 8번에 있어서, 촬영 유닛은 시각 센서 장비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인 보호 요소에 적합한 소방 및 구조 유닛.
19. 상기 9번에 있어서, 생성된 유닛은 이 생성된 유닛과 화재 빌딩의 벽 또는 사고 장소의 바닥 사이의 거리를 판독하는 데에 일조하는 자동 센서 장비를 포함하는 것인 보호 요소에 적합한 소방 및 구조 유닛.
20. 상기 9번에 있어서, 보호 요소에 적합한 소방 및 구조 유닛은 항공기 상에 고정되는 자동 센서를 포함하고, 제어 유닛은 소방 및 구조 유닛에 고정된 제2 자동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제2) 판독과 비교하여 제1 자동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제1) 판독에서의 변화를 발견하고 발견된 변화를 처리하여 항공기의 운동과 비교하여 소방 및 구조 유닛의 운동을 측정한다.
21. 상기 9번에 있어서, 보호 요소에 적합한 소방 및 구조 유닛은 소방 및 구조 유닛과 이 유닛 근처의 물체 사이의 거리를 검사한다.
22. 상기 19번에 있어서, 생성된 유닛은 항공기 승무원이 지상의 의료 수술실과 연락을 취하게 할 수 있는 것인 보호 요소에 적합한 소방 및 구조 유닛.
본 발명을 여러 실시예와 함께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설명의 관점에서 많은 변경, 수정 및 변화가 명백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그러한 모든 변경, 수정 및 변화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도 1은 헬리콥터에 통합된 본 발명의 저부 사시도.
도 2는 헬리콥터로부터 하강되지 않은 가동성 소방 및 구조 유닛의 단부도.
도 3은 듀얼 캐빈 유닛이 케이블에 이해 항공기 아래로 하강된 도 2와 유사한 단부도.
도 4는 헬리콥터로부터 떨어져 있는 구조 유닛의 듀얼 캐빈의 단부 사시도.
도 5는 2개의 빌딩 사이의 공간으로 헬리콥터로부터 하강된 구조 유닛의 측면도.
도 6은 구조 유닛이 빌딩들 중 하나에 근접하게 위치한 도 5와 유사한 측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구조 유닛의 저부 사시도.
도 8은 도 3에 대응하는 도면.
도 9는 도 4에 대응하는 도면.
도 10은 도 5에 대응하는 도면.
도 11은 도 6에 대응하는 도면.

Claims (6)

  1. 헬리콥터 항공기와 작동할 수 있는 소방 장치로서,
    상기 항공기에 장착될 수 있고 물 또는 난연성 폼을 담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저장 탱크와,
    지지 케이블과, 상기 항공기로부터 상기 지지 케이블에 의해 캐빈을 하강시키는 모터 수단을 갖는 캐빈과,
    상기 물 또는 폼을 지향시키도록 소방관에 의한 사용을 위해 상기 저장 탱크로부터 상기 캐빈을 향해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는 호스
    를 구비하고, 상기 캐빈은 소방관과 조난자를 상기 캐빈으로부터 또는 캐빈 내로 이송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측방향 연장 입구를 갖는 것인 소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은 헬리콥터의 양측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 한쌍의 이격된 캐빈 유닛을 구비하고, 이 캐빈 유닛은 상기 항공기 아래에서 연장되고 캐빈 유닛 사이에서 캐빈 유닛에 고정되는 베이스 요소를 구비하는 것인 소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케이블은 상기 항공기의 상단 근처에 배치된 풀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지지 케이블은 상기 캐빈 유닛에 각각 부착되는 것인 소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상기 캐빈 내에 배치되는 원위 단부와, 소방관에 의해 지향될 수 있는 상기 원위 단부 상의 노즐을 구비하는 것인 소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은 이 캐빈으로부터 대체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층계를 더 구비하는 것인 소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빌딩 및 화재에 대한 상기 캐빈의 근접 및 열을 감지하기 위한 상기 캐빈 상의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인 소방 장치.
KR1020090054048A 2009-06-17 2009-06-17 헬리콥터에 부착 가능한 소방 및 구조 유닛 KR201001355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048A KR20100135582A (ko) 2009-06-17 2009-06-17 헬리콥터에 부착 가능한 소방 및 구조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048A KR20100135582A (ko) 2009-06-17 2009-06-17 헬리콥터에 부착 가능한 소방 및 구조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582A true KR20100135582A (ko) 2010-12-27

Family

ID=43510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048A KR20100135582A (ko) 2009-06-17 2009-06-17 헬리콥터에 부착 가능한 소방 및 구조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558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01974A (zh) * 2011-09-28 2012-06-20 陈仁多 高层架壁式喷水消防直升机
KR101317884B1 (ko) * 2012-08-22 2013-10-16 정재훈 헬리콥터를 이용한 산불진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산불진화방법
KR20160101560A (ko) * 2015-02-17 2016-08-25 (주)제이디산업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
CN108553772A (zh) * 2018-04-23 2018-09-21 苏州登阳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无人机消防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01974A (zh) * 2011-09-28 2012-06-20 陈仁多 高层架壁式喷水消防直升机
CN102501974B (zh) * 2011-09-28 2014-09-10 陈仁多 高层架壁式喷水消防直升机
KR101317884B1 (ko) * 2012-08-22 2013-10-16 정재훈 헬리콥터를 이용한 산불진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산불진화방법
KR20160101560A (ko) * 2015-02-17 2016-08-25 (주)제이디산업 무인기를 이용한 소화 장치
CN108553772A (zh) * 2018-04-23 2018-09-21 苏州登阳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无人机消防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7175B2 (en) Reed's high-rise emergency rescue egress system
JP2010280251A (ja) ヘリコプターに取り付けられる消火救難ユニット
US4406351A (en) Emergency escape system for use in multistoried buildings
CN102107734A (zh) 可附连消防和救援设施的直升机
KR20190023580A (ko) 터널 내 사고 감시, 화재 방재, 및 피난자 구제가 가능한 터널 통합 방재 시스템
US20060144639A1 (en) Building escape railing system
US20060175429A1 (en) Fire fighting system
EP0300746A2 (en) Rescue craft
KR20190024856A (ko) 터널 내 사고 감시, 화재 방재, 및 피난자 구제가 가능한 터널 통합 방재 시스템
KR102128802B1 (ko) 소방드론
US20100044156A1 (en) Rappelling system
US4195694A (en) Rescue vehicle
CN110354424B (zh) 一种消防装置
US20090266566A1 (en) Fire fighting and rescue unit attachable helicopter
CN103691072B (zh) 高层建筑用救援系统
KR20130123224A (ko) 화재시 인명구조 및 진압장치
KR20100135582A (ko) 헬리콥터에 부착 가능한 소방 및 구조 유닛
CN105000511A (zh) 预埋导轨式高层及超高层建筑消防救援系统
EP2256037A1 (en) Fire fighting and rescue unit attachable to a helicopter
CN103007453A (zh) 高层建筑消防救援系统
KR20070024457A (ko) 고층 소방, 구조 및 건설 장비
US5497855A (en) Exterior fire fighting and evacuation system for high rise buildings
US11491296B2 (en) Autonomous aircraft and method for providing ventilation to people
CN106377856A (zh) 一种可升降小型登高灭火救援消防车
CN105983189A (zh) 移动式火灾紧急避难舱及其工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