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770B1 -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 - Google Patents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770B1
KR102006770B1 KR1020180170993A KR20180170993A KR102006770B1 KR 102006770 B1 KR102006770 B1 KR 102006770B1 KR 1020180170993 A KR1020180170993 A KR 1020180170993A KR 20180170993 A KR20180170993 A KR 20180170993A KR 102006770 B1 KR102006770 B1 KR 102006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fire
image
unit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Priority to KR1020180170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77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1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tunne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03Ventilation of traffic tu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의 일측에 구비되는 인도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대피출구; 유해가스를 상기 터널의 타측으로 송풍하도록 상기 대피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인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송풍팬; 상기 터널의 타측 천장에 설치되고, 상기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터널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터널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터널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풍팬; 상기 대피출구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터널 외측으로 낮아지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통로; 상기 대피출구를 통해 운전자가 진입하면 상기 슬라이드통로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통로의 하단 측으로 물이 흐르도록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터널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대피출구에 대향되는 터널 내부 공간에 허상의 홀로그램 영상신호가 출력되어 운전자가 화재발생여부를 확인하고, 홀로그램 영상이 구현되는 대피출구를 따라 화재 발생 초기에 터널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로부터 화재 발생 영상이 출력되면 발화점에 터널 상부를 따라 흐르는 소방수를 집중적으로 토출시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긴급급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 {ROAD TUNNEL FIRE SUPPRESSION AND RESCUE SYSTEM}
본 발명은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에 터널 중앙부에 위치한 사람들이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고, 사람들이 대피하는 동안 터널 내부에 발생되는 유해가스에 의해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터널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면 운전자들에게 홀로그램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화재 발생 지역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운전자도 쉽게 화재 발생여부를 인지하여 미연에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 발생 초기에 발화점에 소방수를 집중적으로 분사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은 산을 뚫어서 도로 또는 철로 등을 건설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산을 뚫은 후 그 내벽면에 방수 매트 등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반원 형상의 터널을 형성하고, 그 내부의 바닥면은 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노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터널의 내부에는 터널 천정의 벽면에는 다수의 조명등이 설치되고, 터널의 측면 벽면에는 터널 내부에서 발생하는 차량의 화재 사고에 대비하여 다수개의 소정의 거리에 따라 소화장치가 설치된다.
최근에는 건설 기술의 발달로 도로나 철로, 지하철로, 해저통로 등을 위한 터널 건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터널의 길이도 점차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한일 해저 터널, 부산과 거제도를 잇는 해저 터널 등이 계획 중이며, 건설 중인 춘천과 양양간 고속도로 중 인제 터널 등은 터널 길이만으로도 수 km를 넘어서고 있다.
이러한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소화장치는 터널 내부의 측면에 소정의 거리 마다 설치되는 소화전으로 구성되는데, 소화전은 내부에 분말 소화기와 소방 호스가 구비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소화 장치의 경우 대부분 분말 소화기나 소방 호스에 의존하고 있어, 화재 발생 시 운전자나 사용자가 직접 소화전에서 소화기와 소방 호스를 꺼내어 터널 내부의 차량 화재를 진압하여 위급 상황에 대처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분무를 이용한 소방 설비는 현행 규정상 터널의 길이가 3km 이상인 경우에만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1km 미만의 터널에서는 소화기만을 구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경우 터널 내부에서 차량 사고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화재가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이유로 터널 내부에서의 경미한 사고도 터널의 구조상 엄청난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7256호(2011년 5월 26일 공고, 발명의 명칭 : 터널 내부의 재난 방재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터널에는 주로 화재발생 시에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장치들만 설치되기 때문에 터널 전체를 차단하는 큰 불이나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터널 내부에 위치하는 운전자들이 터널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하기 어렵고, 터널 내부를 채우는 유해가스에 의한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터널에는 화재 발생 지역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운전자는 터널 내부에 화재가 발생된 것을 쉽게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화재발생 초기에 운전자가 미연에 대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터널에는 화재 발생 초기에 발화점의 화재를 초기에 집중적으로 소화시키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터널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 화재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터널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에 터널 중앙부에 위치한 사람들이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고, 사람들이 대피하는 동안 터널 내부에 발생되는 유해가스에 의해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터널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면 운전자들에게 홀로그램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화재 발생 지역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운전자도 쉽게 화재 발생여부를 인지하여 미연에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 발생 초기에 발화점에 소방수를 집중적으로 분사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터널의 일측에 구비되는 인도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대피출구; 유해가스를 상기 터널의 타측으로 송풍하도록 상기 대피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인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송풍팬; 상기 터널의 타측 천장에 설치되고, 상기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터널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터널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터널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풍팬; 상기 대피출구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터널 외측으로 낮아지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통로; 상기 대피출구를 통해 운전자가 진입하면 상기 슬라이드통로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통로의 하단 측으로 물이 흐르도록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터널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대피출구에 대향되는 터널 내부 공간에 허상의 홀로그램 영상신호가 출력되어 운전자가 화재발생여부를 확인하고, 홀로그램 영상이 구현되는 대피출구를 따라 화재 발생 초기에 터널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로부터 화재 발생 영상이 출력되면 발화점에 터널 상부를 따라 흐르는 소방수를 집중적으로 토출시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긴급급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급수부는, 상기 슬라이드통로의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노즐; 상기 노즐과 연결되고,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밸브;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고, 물을 상기 노즐 측으로 압송하는 펌프;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우수가 담기도록 상면 일부분이 개방되고, 개방되는 상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름망이 설치되는 탱크; 상기 대피출구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통로에 운전자가 진입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펌프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출력부는, 상기 대피통로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화재 발생여부 및 대피 방향을 영상으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상기 영상출력부의 출력 수평면과 45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기울게 설치되어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을 투과 굴절시켜 상기 영상출력부의 출력 영상과 동일한 크기의 허상을 공중의 허상부에 투영하는 반사부; 상기 영상출력부가 설치되는 커버프레임; 상기 커버프레임을 지지하고, 상기 제어부가 수납되는 서랍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단프레임; 상기 서랍이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서랍을 상기 중단프레임 외측으로 개방시키는 착탈부; 및 상기 착탈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서랍이 개폐될 때에 상기 영상출려부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상기 서랍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긴급급수부는, 상기 터널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소방수가 충진되는 소방유로; 상기 소방유로를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소방유로에 충진되는 소방수를 상기 터널 내부로 분출시키는 분출부; 상기 분출부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터널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분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소방수를 상기 터널 내부로 확산시키며 배출시키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가 발화점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트레이와 상기 분출부를 연결하여 상기 소방유로에 충진되는 소방수를 발화점 측으로 분사시키는 분출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는, 터널 일측에 구비되는 인도에 대피출구 및 송풍팬이 설치되고, 터널 타측 천장에 배기덕트 및 배풍팬이 설치되므로 터널 일축에 구비되는 인도 측에서 터널 타측으로 유해가스를 이동시켜 배출하여 화재 발생 시에 운전자들이 대피출구로 이동할 때에 유해가스에 의한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는, 운전자들이 배피출구를 통해 슬라이드통로에 진입하면 급수부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통로에 물이 흐르게 되므로 운전자들이 슬라이드통로를 따라 터널 외부로 쉽게 탈출할 수 있게 되어 터널 화재에 의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는, 슬라이드통로에 공급되는 물이 우수가 저장되는 탱크로부터 공급되므로 운전자를 대피시키기 위한 물의 공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는, 터널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터너 내부에 설치되는 모든 배피출구에 홀로그램 영상이 허공에 구현되게 하므로 화재 발생 지역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운전자고 화재 발생여부를 쉽게 인지하여 미연에 대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는, 화재 발생 초기에 발화점에 소방수를 집중적으로 분사하는 긴급급수부가 구비되므로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발화점의 위치를 제어부에 송신하고, 제어부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긴급급수부가 구동되어 발화점에 소방수가 짧은 시간 내에 급격히 배출되므로 터널 내부의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의 출력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의 긴급급수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의 서랍 및 간섭방지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의 서랍 및 간섭방지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의 서랍 및 착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의 출력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의 긴급급수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의 서랍 및 간섭방지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의 서랍 및 간섭방지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의 서랍 및 착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는, 터널(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인도(12)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대피출구(30)와, 유해가스를 터널(10)의 타측으로 송풍하도록 대피출구(3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인도(12)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송풍팬(90)과, 터널(10)의 타측 천장에 설치되고, 터널(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터널(10)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기덕트(80)와, 배기덕트(80)에 설치되어 터널(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터널(10)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풍팬(84)과, 대피출구(30)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터널(10) 외측으로 낮아지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통로(50)와, 대피출구(30)를 통해 운전자가 진입하면 슬라이드통로(50)의 상단으로부터 슬라이드통로(50)의 하단 측으로 물이 흐르도록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70)와, 터널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면 대피출구(30)에 대향되는 터널 내부 공간에 허상의 홀로그램 영상신호가 출력되어 운전자가 화재발생여부를 확인하고, 홀로그램 영상이 구현되는 대피출구(30)를 따라 화재 발생 초기에 터널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부(700)와, 터널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는 초기에 화재가 발생된 발화점에 소방수를 집중적으로 배출시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긴급급수부를 포함한다.
터널(10)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여 터널(10)의 통행이 완전히 통제되고, 운전자가 대피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제어부(10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송풍팬(90) 및 배풍팬(84)이 구동되어 터널(10) 일측으로부터 터널(10) 타측으로 유해가스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터널(10) 일측은, 반원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터널(10)의 단면도 상에서 일측 모서리를 의미하며, 터널(10) 일측에는 인도(12)가 구비되고, 송풍팬(90)은 인도(12)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송풍팬(90)이 설치되는 공간이 상면에는 다수 개의 홀부가 형성되는 지지패널(90a)이 설치되므로 운전자가 인도(12)를 지날 때에 송풍팬(90)이 인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인도(12)를 지나 대피출구(30) 측으로 이동할 때에 송풍팬(90)에 의해 인도(12)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압송되는 공기는 유해가스를 터널(10) 천장을 따라 터널(10) 타측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운전자가 유해가스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배기덕트(80)에는 터널(10)의 길이 방향으로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배풍팬(84)이 설치되고, 배기덕트(80)에는 다수 개의 배기홀부(82)가 형성되므로 송풍팬(90)에 의해 압송되는 유해가스가 배기홀부(82)를 통해 배기덕트(80)로 유입되고, 배풍팬(84)의 작동에 의해 터널(10) 외부로 배출된다.
운전자가 대피출구(30)의 도어를 개방하여 진입하면 급수부(70)가 구동되어 슬라이드통로(50)에 물이 분사되고, 운전자가 슬라이드통로(50)에 착석하면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운전자가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면서 터널(10) 외측으로 탈출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드통로(50)는 터널(10)의 중앙부로부터 터널(10)의 입구 및 출구 방향으로 연장되어 터널(10) 외측으로 운전자를 탈출시킬 수 있게 되고, 슬라이드통로(50)는 대피출구(30)로부터 터널(10)의 입구 및 출구 방향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급수부(70)의 작동에 의해 대피출구(30) 측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슬라이드통로(50)를 따라 물이 터널(10)의 입구 및 출구 방향으로 흐르게 되므로 운전자가 슬라이드통로(50)의 상단에 착석하면 물의 흐름에 의해 터널(10)의 입구 또는 출구 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터널(10) 외측으로 쉽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
급수부(70)는, 슬라이드통로(50)의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노즐(70)과, 노즐(70)과 연결되고,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74)과, 공급관(74)에 설치되고, 공급관(74)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밸브(76)와, 공급관(74)에 설치되고, 물을 노즐(70) 측으로 압송하는 펌프(77)와, 공급관(74)에 연결되고, 우수가 담기도록 상면 일부분이 개방되고, 개방되는 상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름망(78a)이 설치되는 탱크(78)와, 대피출구(30)를 통해 슬라이드통로(50)에 운전자가 진입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센서(92)와, 센서(92)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펌프(77)에 전원을 인가하고, 밸브(76)를 개방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센서(92)는 대피출구(30) 일측에 설치되고,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대피출구(30) 타측에 설치되고,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므로 대피출구(30)를 통해 운전자가 진입하면 발광부의 빛을 차단하여 수광부에서 수신되는 빛이 차단되므로 운전자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센서(92)는 대피출구(30)에 설치되는 근거리감지센서(92), 슬라이드통로(5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접촉감지센서(92)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운전자가 대피출구(30)를 통해 슬라이드통로(50) 측으로 진입하면 센서(92)로부터 감지신호가 송신되고, 제어부(100)에 수신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펌프(77) 및 밸브(76)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므로 밸브(76)가 개방되고, 펌프(77)가 구동되면서 탱크(78)에 저장되는 우수가 공급관(74)을 따라 노즐(70)로 공급되고, 노즐(70)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슬라이드통로(50)의 바닥면을 향해 분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통로(50)의 상단에서 노즐(70)을 통해 분사되는 물은 슬라이드통로(50)의 바닥면을 따라 터널(10)의 입구 및 출구 방향으로 흐르게 되므로 슬라이드통로(50)에 착석한 운전자가 슬라이드통로(50)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터널(10)의 입구 또는 출구 방향으로 이동되어 터널(10) 외부로 탈출할 수 있게 된다.
탱크(78)의 상면 일부분은 개방되어 우수가 탱크(78) 내부에 저장되고, 탱크(78)의 개방부위에는 거름망(78a)이 설치되므로 우수와 함께 이물질이 탱크(78)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출력부(700)는, 공중에 허상으로 투영될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200)와, 영상출력부(200)의 출력 수평면과 45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기울게 설치되어 영상출력부(200)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을 투과 굴절시켜 영상출력부(200)의 출력 영상과 동일한 크기의 허상을 공중의 허상부(400)에 투영하는 반사부(300)와, 영상출력부(200)의 영상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14)와, 영상출력부(200)가 설치되는 커버프레임(110)과, 커버프레임(110)을 지지하고, 제어부(114)가 수납되는 서랍(730)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단프레임(120)과, 서랍(730)이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서랍(730)을 중단프레임 외측으로 개방시키는 착탈부(780)와, 착탈부(780)의 작동에 의해 서랍(730)이 개폐될 때에 영상출력부(200)와 제어부(114)를 연결하는 케이블(734)이 서랍(730)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7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커버프레임(110)과 중단프레임(120)은 대피출부(30)에 인접하는 터널 내면에 설치되고, 커버프레임(110)을 중단프레임(120)의 상부에 벽면 외측 방향으로 대향되게 직립되게 설치되므로 제어부(114)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영상출력부(200)에서 허상의 영상이 공중에 구현되면 벽체로부터 전방 측에, 즉 터널 내부 공간에 허상의 화재발생 영상이 출력되므로 인근에 위치하는 운전자는 터널 내부공간에 구현되는 영상을 확인하여 화재발생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터널 내부 공간에 구현되는 허상의 영상은 터널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는 모습이 담긴 영상 또는 대피출구(30)의 위치를 알리는 영상이 포함되어 운전자가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방향을 공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14)에는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촬영하여 제공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긴급한 음악과 함께 영상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14)는 영상출력부(200)의 영상 출력을 제어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고, 영상출력부(200)는 제어부(114)의 제어에 의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LCD, LED, PDP, DID, 프로젝션, 아날로그 필름 및 홀로그램 필름 등 다양한 영상 매체를 통하여 구현된다.
반사부(300)는 영상출력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공중에 투영하는 투명판으로 이루어지는데, 반사부(300)가 밝은 빛은 더욱 밝게 방출하고 어두운 빛은 더욱 어둡게 흡수하는 것이 허상을 투영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에 투명판에 이러한 특성을 갖는 필름이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반사부(300)의 투명판은 반사유리로 이루어지며, 이 반사유리에는 열차단용 필름이 부착되어 공중에 허상이 투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반사부(300)의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종류의 투명판으로 대치될 수 있다.
한편, 허상부(400)는 물리적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출력부(200)로부터 출력되어 반사부(300)를 통하여 만들어지는 허상이 투영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영상출력부(200)가 하부에 위치하고 반사부(300)는 영상출력부(200)의 상부에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영상출력부(200)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이 반사부(300)에서 반사되어 공중의 허상부(400)에 허상(410)으로 투영된다.
영상출력부(200)와 반사부(300)의 각도 조절을 통해 공중에 투영되는 허상(4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허상(410)이 가장 잘 맺히는 영상출력부(200)와 반사부(300)의 각도는 45도를 이루는 경우로서, 이 경우 관찰자 시선의 정면에 허상(410)이 맺히게 된다.
반사부(300)를 통하여 허상이 맺히는 것은 빛의 특성에 따라 반사되고 투영되는 유리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통상 거울의 경우 들어오는 빛의 대부분을 다시 반사시킴으로써 똑같은 형태를 비추어 보일 수 있다.
유리의 경우 입사되는 빛이 그대로 투과되지 못하도록 유리 후면을 불투명한 재질을 이용해 차단하게 되면 빛은 유리를 통해 투과되지 못하고 다시 반사되는데 이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 거울이다.
허상은 이러한 유리의 특성과 빛의 투과, 반사성질을 이용하여 특정 빛은 투과시키고 특정 빛은 반사시키도록 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특정 빛이라 함은 빛의 밝고 어두움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분은 색에 따라 미치는 영향이 크게 된다.
검은색 계열로 갈수록 반사하는 빛의 양이 줄게 되어 유리를 통해 맺히는 상은 투명하게 뚫려 보이며, 흰색계열로 갈수록 빛의 반사정도가 많아져 유리를 통해 반사되는 빛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유리의 특정 빛의 투과를 조절함으로써 거울과 같은 특징을 만들어 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빛의 반사를 보다 극명하고 선명하게 나타낼 수 있도록 열차단 필름을 사용하게 되는데, 열차단 필름은 표면에 알루미늄, 은, 금속합금 등이 코팅되어 있어 유리로 들어오는 빛을 반사하는 양을 늘려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정 필름을 유리에 부착함으로써, 유리를 통해 반사되는 상을 보다 선명하고 밝게 반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리의 반사성질 중 반사되는 원래의 상과의 각도에 따라 반사되어 보여지는 상은 동일한 각도로 반대쪽에 상을 맺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출려부(700)는, 중단프레임(120)의 상부에 커버프레임(110)이 설치되고, 커버프레임(110)에는 영상출력부(200) 및 반사부(300)가 설치되는데, 영상출력부(200)의 각 영상출력기(210)는 빛 간섭 및 외부노출을 피할 수 있도록 커버프레임(110)의 하부에 매립되어 설치된다.
반사부(300)는 반사부지지대(350)를 통하여 커버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되는데, 반사부(300)는 각각의 반사유리(310)가 역 피라미드 형태로 설치되어 일측면에 설치되는 영상출력부(200)의 각 영상출력기(2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커버프레임(110) 내측 공간인 허상부(400)에 허상(410)으로 투영하게 된다.
영상출력부(200)가 일측에 위치하고 반사부(300)가 역 피라미드 형태로 설치되는 구성은 관찰자가 허상부에 투영되는 허상을 올려다보는 경우에 적합한 구조이다.
각각의 반사유리(310)가 역 피라미드 형태로 설치되는 반사부(300)는 그 연장선과 영상출력부(200)의 바닥면이 45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반사부(300)는 전후좌우 4개의 반사유리(310)가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부(300)를 지지하는 반사부지지대(35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빛의 반사를 최소화하고 외부반사를 흡수할 수 있는 검은색의 무광택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출력부(200)의 각 영상출력기(210)의 상부에는 영상출력기(210)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211)가 씌워지는데, 이 영상출력부 커버(211)의 소재 또한 반사부지지대(350)와 같은 무광택의 빛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부(300)의 반사유리(310)에는 영상출력부(200)의 각 영상출력기(2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의 허상이 좀 더 선명하게 맺히게 하기 위하여 열차단 필름(311)이 코팅되거나 덧씌워진다.
열차단 필름(311)의 농도는 주변 조도를 고려해 투과율 5∼50%까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내부에서 가장 이상적인 투과율은 15~20%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부(300)를 통해 허상부(400)에 허상(410)이 투영되는 경우 반사부지지대(350) 및 영상출력부 커버(211)가 검은색 소재로 이루어져 빛을 흡수하므로 반사부(300)에는 허상이 맺히지 않게 된다.
역 피라미드 형태로 설치된 반사유리(310)의 연장선이 만나는 꼭지점과 상하좌우에 위치한 영상출력부(200)의 각 영상출력기(210)와의 거리는 반사부(200)의 중심에 맺히는 허상의 높이와 같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간섭방지부(770)는, 서랍(730)의 상단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중앙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스크린(772)과, 한 쌍의 스크린(772)의 단부를 지지하고, 서랍(730)의 상단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봉부재(774)와, 한 쌍의 봉부재(774)를 연결하는 제1탄성부재(776)와, 서랍(7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크린(772)이 권취되는 드럼부재(777)와, 서랍(730)의 개방작동 및 폐쇄작동을 스크린(772)의 개방작동 또는 폐쇄작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동력제공부(7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114)의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이 요구되면 작업자가 착탈부(780)를 조작하여 서랍(730)의 구속상태를 해제하고, 서랍(730)을 당기면서 중단프레임으로부터 서랍(730)을 배출시키면 동력제공부(750)의 작동에 의해 서랍(730)의 상부를 덮었던 스크린(772)이 서랍(730)의 전단부 및 후단부 측으로 벌어지면서 제어부가 서랍(730) 상부로 노출된다.
이후에, 작업자는 서랍(730) 상부로 노출되는 제어부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게 되고, 교체작업 또는 수리작업이 종료되면 작업자는 서랍(730)을 중단프레임 내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폐쇄시키게 된다.
이때, 동력제공부(750)의 작동에 의해 서랍(730)이 중단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한 쌍의 스크린(772)이 서랍(730)의 전단부 및 후단부로부터 중앙부 측으로 이동되면서 서랍(730)의 상부가 폐쇄되므로 제어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영상출력부에 연결되는 케이블(734)이 서랍(730)의 중앙부 측으로 모아지면서 서랍(730) 및 중단프레임과 케이블(734)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서랍(730)의 전단부 내측 및 후단부 내측에는 각각 드럼부재(777)가 설치되고, 드럼부재(777)에 권취되는 스크린(772)은 서랍(730)의 상단부로부터 중앙부 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한 쌍의 스크린(772) 외측 단부에는 각각 봉부재(774)가 연결되어 서랍(730)의 상단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봉부재(774)에는, 한 쌍의 봉부재(774)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탄성부재(776)가 설치되므로 제1탄성부재(776)에서 제공되는 장력에 의해 봉부재(774)는 서랍(730)의 중앙부 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봉부재(774)에 연결되는 스크린(772)이 서랍(730)의 중앙부 측으로 당겨지면서 드럼부재(777)로부터 풀리게 되어 서랍(730)의 상부를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봉부재(774)와 스크린(772)의 작동에 의해 제어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영상출력부에 연결되는 케이블(734)은 서랍(730)의 중앙부 측으로 모아지게 되므로 서랍(730)과 중단프레임 사이에 케이블(734)이 개재되면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동력제공부(750)는, 드럼부재(777)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기어부재(779)와, 기어부재(779)와 기어연결되고 서랍(73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바퀴 역할을 행하는 피니언부재(752)와, 중단프레임 내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피니언부재(752)와 기어연결되는 랙부재(754)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서랍(730)을 중단프레임 외측으로 당기면 피니언부재(752)가 랙부재(754)를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피니언부재(752)에 기어연결되는 기어부재(779)가 회전되면서 드럼부재(777)를 회전시키고, 드럼부재(777)에 권취되는 스크린(772)이 드럼부재(777)에 감기면서 서랍(730)의 내부를 개방하게 된다.
제어부(114)의 교체작업 또는 수리작업이 종료된 후에는 작업자가 서랍(730)을 중단프레임 내측으로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피니언부재(752)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기어부재(779) 및 드럼부재(777)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봉부재(774) 및 스크린(772)을 당기던 장력이 해제되고, 제1탄성부재(776)의 복원력에 의해 한 쌍의 봉부재(774)가 서랍(730)의 중앙부 측으로 이동되면서 스크린(772)을 당겨 서랍(730)의 상부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때, 봉부재(774)에 의해 가압되는 케이블(734)들이 서랍(730)의 중앙부 측으로 모아지게 되므로 서랍(730)이 중단프레임 내측으로 삽입될 때에 케이블(734)과 서랍(730)이 간섭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서랍(730)이 중단프레임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착탈부(780)의 작동에 의해 서랍(730)의 닫힘상태가 구속되는데, 본 실시예으 착탈부(780)는, 중단프레임의 입구부에서 중앙 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부재(782)와, 후크부재(782)와 걸림결합되도록 서랍(730)에 형성되는 걸림홈부(784)와, 후크부재(782)를 서랍(730) 측으로 가압하여 돌출시키는 제2탄성부재(786)와, 제2탄성부재(786)를 압축시키면서 후크부재(782)를 후퇴시키도록 후크부재(782)의 배면으로부터 중단프레임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이어와, 와이어의 단부에 설치되는 레버부재(788)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서랍(730)을 중단프레임 내측으로 삽입하면 서랍(730)의 모서리에 의해 가압되어 후크부재(782)가 후퇴되면서 제2탄성부재(786)가 압축되고, 서랍(730)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2탄성부재(786)의 복원력에 의해 후크부재(782)가 돌출되면서 걸림홈부(784)에 걸림결합되어 서랍(730)의 닫힘상태를 구속하게 된다.
이후에, 서랍(730)을 개방할 때에는 레버부재(788)를 외측 방향으로 당겨 제2탄성부재(786)를 압축시키면서 후크부재(782)를 후퇴시킬 수 있어 서랍(730)의 걸림결합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본 실시예의 긴급급수부(800)는, 터널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소방수가 충진되는 소방유로(814)와, 소방유로(814)를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 개가 설치되고, 소방유로(814)에 충진되는 소방수를 터널 내부로 분출시키는 분출부(830)와, 분출부(830)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터널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분출부(830)로부터 배출되는 소방수를 터널 내부로 확산시키며 배출시키는 트레이(850)와, 트레이(850)에 설치되고, 트레이(850)가 발화점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면 트레이(850)와 분출부(830)를 연결하여 소방유로(814)에 충진되는 소방수를 발화점 측으로 분사시키는 분출개시부(87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에 발화점의 위치가 수신되며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트레이(850)가 구동되어 발화점에 대향되게 이동하게 되고, 트레이(850)에 설치되는 분출개시부(870)의 작동에 의해 소방유로(814)에 설치되는 분출부(830)와 분출블록(856)이 연결되면서 소방유로(814)에 충진되는 소방수가 분출블록(856)을 통해 터널 내부로 분사되면서 발화점에 소방수가 집중적으로 분사되면서 화재의 확산을 예방하고, 소화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터널의 상단부에는 터널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소방유로(814)가 설치되고, 탱크로부터 소방유로(814)에 분배관(810)이 연결되며, 분배관(810)의 연결부위에 분배밸브(812)가 설치되므로 분배밸브(812) 및 펌프의 작동에 의해 소방유로(814)에 소방수가 공급되어 충진된다.
소방유로(814)의 단부에는 배수관(816)이 탱크에 연결되게 구비되고, 배수관(816)에 배수펌프(818)가 설치되므로 소방유로(814)에 소방수가 충진된 후에 설정된 기간이 경과되면 소방수를 다시 탱크로 순환시켜 소방유로(814)의 유체 흐음을 점검하고, 소방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에 의해 소방유로(814)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청소작업을 행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분출부(830)는, 소방유로(814) 저면, 즉 터널의 상면에 형성되고, 터널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 개가 설치되는 체크유로(832)와, 체크유로(832)에 안착되는 볼부재(834)와, 볼부재(834)를 체크유로(832)의 하단에 가압하여 체크유로(832)를 폐쇄시키는 탄성부재(836)와, 체크유로(832)의 상단을 마감하고 소방수가 유입되는 철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배수망(838)을 포함한다.
따라서 소방유로(814)에 소방수가 충진되면 볼부재(834)를 체크유로(832)의 하단에 밀착시키는 압력을 제공하여 체크유로(832)가 폐쇄되면서 소방유로(814)에 소방수가 충진되게 하고, 분출개시부(870)의 작동에 의해 볼부재(834)가 상승되면서 탄성부재(836)가 압축되면 체크유로(832)가 개방되면서 소방유로(814)에 충진되었던 소방수가 체크유로(832)를 따라 고압으로 터널 내부로 분출된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850)는, 분출부(830)를 따라 터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레일부재(876)와, 트레이(850) 양측면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872)에 설치되는 피니언(874)과, 피니언(874)이 기어연결되도록 레일부재(876)에 구비되는 랙부재(877)와, 지지대(872)에 설치되고, 출력축에 설치되는 출력기어(879a)가 피니언(874)에 기어연결되어 트레이(850)를 레일부재(876)의 연장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
트레이(850) 내부에는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분출관(852)이 구비되고,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방사상으로 퍼지는 다수 개의 분출유로(854)가 구비되는 분출블록(856)이 수납되므로 분출개시부(870)의 작동에 의해 분출블록(856)이 상승되면서 분출관(852)이 체크유로(832) 내부로 삽입되면 볼부재(834)를 상승시키면서 분출블록(856)과 분출부(830)가 연결되면서 소방유로(814)에 담수되는 소방수를 분출부(830), 분출블록(856)을 통해 터널 내부로 분사시키게 된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되는 초기에 발화점에 소방수를 집중적으로 분사할 수 있어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터널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에 터널 중앙부에 위치한 사람들이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고, 사람들이 대피하는 동안 터널 내부에 발생되는 유해가스에 의해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터널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면 운전자들에게 홀로그램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화재 발생 지역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운전자도 쉽게 화재 발생여부를 인지하여 미연에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 발생 초기에 발화점에 소방수를 집중적으로 분사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터널 12 : 인도
30 : 대피출구 50 : 슬라이드통로
70 : 급수부 72 : 노즐
74 : 공급관 76 : 밸브
77 : 펌프 78 : 탱크
78a : 거름망 80 : 배기덕트
82 : 배기홀부 84 : 배풍팬
90 : 송풍팬 90a : 지지패널
90 : 센서 100 : 제어부

Claims (4)

  1. 터널의 일측에 구비되는 인도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대피출구;
    유해가스를 상기 터널의 타측으로 송풍하도록 상기 대피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인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송풍팬;
    상기 터널의 타측 천장에 설치되고, 상기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터널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터널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터널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풍팬;
    상기 대피출구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터널 외측으로 낮아지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통로;
    상기 대피출구를 통해 운전자가 진입하면 상기 슬라이드통로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통로의 하단 측으로 물이 흐르도록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터널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대피출구에 대향되는 터널 내부 공간에 허상의 홀로그램 영상신호가 출력되어 운전자가 화재발생여부를 확인하고, 홀로그램 영상이 구현되는 상기 대피출구를 따라 화재 발생 초기에 터널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로부터 화재 발생 영상이 출력되면 발화점에 터널 상부를 따라 흐르는 소방수를 집중적으로 토출시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긴급급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슬라이드통로의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노즐;
    상기 노즐과 연결되고,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밸브;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고, 물을 상기 노즐 측으로 압송하는 펌프;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우수가 담기도록 상면 일부분이 개방되고, 개방되는 상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름망이 설치되는 탱크;
    상기 대피출구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통로에 운전자가 진입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펌프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대피출구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화재 발생여부 및 대피 방향을 영상으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상기 영상출력부의 출력 수평면과 45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기울게 설치되어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을 투과 굴절시켜 상기 영상출력부의 출력 영상과 동일한 크기의 허상을 공중의 허상부에 투영하는 반사부;
    상기 영상출력부가 설치되는 커버프레임;
    상기 커버프레임을 지지하고, 상기 제어부가 수납되는 서랍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단프레임;
    상기 서랍이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서랍을 상기 중단프레임 외측으로 개방시키는 착탈부; 및
    상기 착탈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서랍이 개폐될 때에 상기 영상출력부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상기 서랍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긴급급수부는,
    상기 터널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소방수가 충진되는 소방유로;
    상기 소방유로를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소방유로에 충진되는 소방수를 상기 터널 내부로 분출시키는 분출부;
    상기 분출부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터널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분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소방수를 상기 터널 내부로 확산시키며 배출시키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가 발화점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트레이와 상기 분출부를 연결하여 상기 소방유로에 충진되는 소방수를 발화점 측으로 분사시키는 분출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170993A 2018-12-27 2018-12-27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 Active KR102006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993A KR102006770B1 (ko) 2018-12-27 2018-12-27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993A KR102006770B1 (ko) 2018-12-27 2018-12-27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770B1 true KR102006770B1 (ko) 2019-10-01

Family

ID=68207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993A Active KR102006770B1 (ko) 2018-12-27 2018-12-27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77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9167A (zh) * 2019-08-13 2019-12-03 中铁工程设计咨询集团有限公司 一种公铁隧道群泄压通风装置及方法
CN111140274A (zh) * 2020-01-15 2020-05-12 中国矿业大学 一种掘进巷道火灾自动救生系统
CN111366355A (zh) * 2020-05-28 2020-07-03 天津美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阀性能测试装置及方法
CN111415570A (zh) * 2020-03-13 2020-07-14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铁道建筑研究所 一种单洞单线隧道单侧平导型救援站火灾模型试验系统
CN114622947A (zh) * 2022-03-16 2022-06-14 重庆交通大学 一种海底沉管隧道火灾侧向均匀排烟与辅助消防装置
KR102441871B1 (ko) * 2022-04-01 2022-09-13 주식회사 맥서브 종류식 환기방식의 터널 내 연기 가이드 시스템
KR102441872B1 (ko) * 2022-04-05 2022-09-13 주식회사 맥서브 터널 내 화재 진압 시스템
KR102441868B1 (ko) * 2022-04-01 2022-09-13 주식회사 맥서브 집중배기 환기방식의 터널 내 연기 가이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9349A (ko) * 2012-03-27 2013-10-08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KR101437596B1 (ko) * 2013-07-31 2014-09-04 (주)설화엔지니어링 터널용 방재장치
KR101717226B1 (ko) * 2015-08-31 2017-03-17 탱크테크 (주) 터널 또는 지하공간용 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9349A (ko) * 2012-03-27 2013-10-08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KR101437596B1 (ko) * 2013-07-31 2014-09-04 (주)설화엔지니어링 터널용 방재장치
KR101717226B1 (ko) * 2015-08-31 2017-03-17 탱크테크 (주) 터널 또는 지하공간용 소화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9167A (zh) * 2019-08-13 2019-12-03 中铁工程设计咨询集团有限公司 一种公铁隧道群泄压通风装置及方法
CN111140274A (zh) * 2020-01-15 2020-05-12 中国矿业大学 一种掘进巷道火灾自动救生系统
CN111140274B (zh) * 2020-01-15 2024-05-10 中国矿业大学 一种掘进巷道火灾自动救生系统
CN111415570A (zh) * 2020-03-13 2020-07-14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铁道建筑研究所 一种单洞单线隧道单侧平导型救援站火灾模型试验系统
CN111366355A (zh) * 2020-05-28 2020-07-03 天津美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阀性能测试装置及方法
CN114622947A (zh) * 2022-03-16 2022-06-14 重庆交通大学 一种海底沉管隧道火灾侧向均匀排烟与辅助消防装置
KR102441871B1 (ko) * 2022-04-01 2022-09-13 주식회사 맥서브 종류식 환기방식의 터널 내 연기 가이드 시스템
KR102441868B1 (ko) * 2022-04-01 2022-09-13 주식회사 맥서브 집중배기 환기방식의 터널 내 연기 가이드 시스템
KR102441872B1 (ko) * 2022-04-05 2022-09-13 주식회사 맥서브 터널 내 화재 진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770B1 (ko)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
KR102006771B1 (ko)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
KR102426442B1 (ko) 화재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
JP6510320B2 (ja) トンネル内非常用設備
US20070114048A1 (en) Fire Removal System
JP2003190315A (ja) 消火栓装置
KR102336285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초기 소화시스템
KR101437596B1 (ko) 터널용 방재장치
KR101553036B1 (ko) 터널 화재진압용 차폐장치
JP5015860B2 (ja) トンネル消火器装置及び点検方法
JP5091006B2 (ja) トンネル消火栓装置
JP4270423B2 (ja) トンネル用消火栓装置
KR20140084967A (ko) 화재 방지 시스템
KR102334841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설비 무인감시 시스템
KR102369693B1 (ko) 공동주택의 소방 제연 자동 제어시스템
KR101565596B1 (ko) 터널의 확연 확산 방지장치
JP5443218B2 (ja) トンネル水噴霧設備
KR100443177B1 (ko) 골목길 소방차
KR102529180B1 (ko) 소방 설비 시스템
JP6894224B2 (ja) 消火器箱
KR102301515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옥상문 자동개방 제어시스템
KR100987603B1 (ko) 소방차용 캡 방수포
RU2191612C2 (ru) Пожарно-спас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JP2003190316A (ja) 消火栓装置
JP6670702B2 (ja) トンネル内消火栓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