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476B1 -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바이크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중 레일 운행 장치 - Google Patents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바이크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중 레일 운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476B1
KR101393476B1 KR1020130142496A KR20130142496A KR101393476B1 KR 101393476 B1 KR101393476 B1 KR 101393476B1 KR 1020130142496 A KR1020130142496 A KR 1020130142496A KR 20130142496 A KR20130142496 A KR 20130142496A KR 101393476 B1 KR101393476 B1 KR 101393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rame
ground
whee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창
이제경
임영준
Original Assignee
김민창
임영준
이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창, 임영준, 이제경 filed Critical 김민창
Priority to KR1020130142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4Chutes; Helter-skelters with fixed r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5/00Autocar-like self-drivers; Runways therefor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에 지지되어 지면과 떨어져 설치되는 레일을 갖는 레일 유닛; 및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에 매달려 상기 레일의 궤도를 따라 안내되도록 형성되는 레일 바퀴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 바퀴가 상기 레일에서 외부로 진출한 경우 상기 지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면 바퀴와, 상기 레일 바퀴 및 상기 지면 바퀴 중 적어도 하나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모듈과, 상기 동력 전달 모듈에 상기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 모듈을 갖는 바이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 모듈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축연결체; 상기 축연결체와 상기 지면 바퀴의 회전축을 상호 연결하는 제1 출력 벨트; 상기 축연결체와 상기 레일 바퀴의 회전축을 상호 연결하는 제2 출력 벨트; 및 상기 축연결체와 상기 구동 모듈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축연결체에 상기 구동 모듈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입력 벨트를 포함하는,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운행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바이크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중 레일 운행 장치{AIR RAIL BIKE UNIT CAPABLE OF GROUND DRIVING AND AIR RAIL DRIV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바이크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중 레일 운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에 설치된 레일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공중 레일 운행 장치는 유원지 또는 놀이 공원 등에 많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중 레일 운행 장치는,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 위에 설치되는 레일과, 레일 위에 배치되어 레일의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바이크 유닛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바이크 유닛은 그 바닥면에 바퀴를 구비하는데, 이 바퀴는 레일과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바이크 유닛이 레일의 궤도를 따라서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운행자는 바이크 유닛을 타고 레일의 궤도를 벗어나 다른 목적지까지는 운행할 수 없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225780호(2002.08.14.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일에 매달려 운행할 수 있으면서도 지상에서도 지속적으로 운행 가능한,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바이크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중 레일 운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운행 장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에 지지되어 지면과 떨어져 설치되는 레일을 갖는 레일 유닛; 및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에 매달려 상기 레일의 궤도를 따라 안내되도록 형성되는 레일 바퀴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 바퀴가 상기 레일에서 외부로 진출한 경우 상기 지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면 바퀴와, 상기 레일 바퀴 및 상기 지면 바퀴 중 적어도 하나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모듈과, 상기 동력 전달 모듈에 상기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 모듈을 갖는 바이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 모듈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축연결체; 상기 축연결체와 상기 지면 바퀴의 회전축을 상호 연결하는 제1 출력 벨트; 상기 축연결체와 상기 레일 바퀴의 회전축을 상호 연결하는 제2 출력 벨트; 및 상기 축연결체와 상기 구동 모듈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축연결체에 상기 구동 모듈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입력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은, 제1 레일; 상기 제1 레일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레일; 및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바이크 유닛을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을 상호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교차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 벨트와 연결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페달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 전달 모듈은, 상기 입력 벨트와 연결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과 동심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출력 벨트와 연결되는 출력축을 갖는 상기 축연결체;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을 선택적으로 상호 연결 및 분리하는 마찰 클러치; 및 상기 클러치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지면 바퀴가 설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레일 바퀴가 설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이크 유닛은, 상기 제2 출력 벨트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장력 유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연결체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장력 유지 모듈은,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 상기 가동부에 설치되는 풀리; 및 상기 가동부에 탄성을 제공하여 상기 풀리가 상기 제2 출력 벨트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바이크 유닛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지면과 떨어져 설치된 레일에 매달려 상기 레일의 궤도를 따라 안내되도록 형성되는 레일 바퀴;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 바퀴가 상기 레일에서 외부로 진출한 경우 상기 지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면 바퀴;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축연결체와, 상기 축연결체와 상기 지면 바퀴의 회전축을 상호 연결하는 제1 출력 벨트와, 상기 축연결체와 상기 레일 바퀴의 회전축을 상호 연결하는 제2 출력 벨트와, 상기 축연결체와 연결되는 입력 벨트를 구비하여서, 상기 레일 바퀴 및 상기 지면 바퀴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모듈; 및 상기 입력 벨트와 연결되어, 상기 축연결체에 상기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운행 장치에 의하면, 레일 바퀴를 이용하여 레일에 매달려 운행할 수 있음은 물론, 지면 바퀴를 이용하여 지상에서도 지속적으로 운행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운행자는 바이크 유닛을 이용하여 레일이 설치되지 아니한 목적지까지도 환승 없이 계속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운행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바이크 유닛(20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바이크 유닛(200)의 동력 전달 모듈(260)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바이크 유닛(20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운행 장치(100)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도 1의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운행 장치(100)의 레일 유닛(300)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운행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운행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운행 장치(100)는 바이크 유닛(200), 및 레일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바이크 유닛(200)은 레일 유닛(300)에 매달려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바이크 유닛(200)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레일 유닛(300)은, 고정대(310), 및 레일(32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대(31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이들은 지면(G)에 상호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레일(320)은 고정대(310)에 고정되어 지면(G)과 떨어져 공중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바이크 유닛(20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바이크 유닛(200)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바이크 유닛(200)은 프레임(210), 시트(220), 핸들(230), 레일 바퀴(240), 지면 바퀴(250), 동력 전달 모듈(260), 및 구동 모듈(27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10)은 전방 프레임(211), 후방 프레임(216), 상부 보조 프레임(217), 및 하부 보조 프레임(21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프레임(210)들은 전체적으로 격자의 형태를 이루도록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보조 프레임(217) 및 하부 보조 프레임(218)은 전방 프레임(211)과 힌지(219)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시트(220)는 운행자(D)의 착석을 위한 요소이다. 시트(220)는 상부 보조 프레임(217) 및 후방 프레임(216)에 고정될 수 있다.
핸들(230)은 전방 프레임(211)에 설치되어, 운행자(D)가 잡을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레일 바퀴(240)는 전방 프레임(211) 및 후방 프레임(216)의 상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레일 바퀴(240)는 레일(320)에 매달려 레일(320)의 궤도를 따라 안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면 바퀴(250)는 전방 프레임(211) 및 후방 프레임(216)의 하단에 각각 한 쌍씩,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지면 바퀴(250)는 바이크 유닛(200)이 레일(320)의 외부로 진출한 경우에 지면(G)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동력 전달 모듈(260)은 레일 바퀴(240) 및 지면 바퀴(250) 중 적어도 하나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요소이다. 동력 전달 모듈(260)은 축연결체(261), 입력 벨트(262), 제1 출력 벨트(263), 및 제2 출력 벨트(264)를 포함할 수 있다. 축연결체(261)는 전방 프레임(2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입력 벨트(262)는 축연결체(261)와 구동 모듈(270)을 상호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출력 벨트(263)는 축연결체(261)와 지면 바퀴(250)의 회전축을 상호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출력 벨트(264)는 축연결체(261)와 레일 바퀴(240)의 회전축을 상호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벨트(262), 제1 출력 벨트(263), 및 제2 출력 벨트(264)는 체인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동 모듈(270)은 동력 전달 모듈(260)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요소이다. 구동 모듈(270)은 구동축(271), 및 페달(272)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271)은 하부 보조 프레임(218)에 설치되고, 입력 벨트(262)와 연결될 수 있다. 페달(272)은 구동축(271)에 고정되어 운행자(D)가 구동축(271)을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바이크 유닛(200)의 동력 전달 모듈(26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바이크 유닛(200)의 동력 전달 모듈(260)의 정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동력 전달 모듈(260)은 축연결체(261), 마찰 클러치(265), 전원부(266), 및 스위치(2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축연결체(261)는 입력축(261a), 및 출력축(261b)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축(261a)은 입력 벨트(262)와 연결될 수 있다. 출력축(261b)은 입력축(261a)과 동심으로 배치되고 제1 출력 벨트(263)와 연결될 수 있다.
마찰 클러치(265)는 구동 모듈(270)의 동력을 지면 바퀴(25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요소이다. 이를 위해, 마찰 클러치(265)는 입력축(261a)과 출력축(261b)을 선택적으로 상호 연결 및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마찰 클러치(265)는 자력을 이용하여 입력축(261a)과 출력축(261b)을 상호 연결 및 분리하는 자기식 클러치일 수 있다.
전원부(266)는 마찰 클러치(265)에 전력을 공급하여 마찰 클러치(265)가 자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이다{도 2 참조}.
스위치(267)는 클러치를 조작하기 위한 요소이다. 스위치(267)는 운행자(D)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핸들(230)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도 2 참조}.
이러한 동력 전달 모듈(260)의 작동 방식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는 도 1의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바이크 유닛(200)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바이크 유닛(200)은 전방 프레임(2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장력 유지 모듈(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프레임(211) 및 후방 프레임(216)은 각각 제1 프레임(212), 제2 프레임(213), 걸림턱(214), 및 탄성체(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212)에는 전방 프레임(211)의 하부 영역을 이루며, 축연결체(261) 및 지면 바퀴(25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프레임(213)은 전방 프레임(211)의 상부 영역을 이루며, 레일 바퀴(24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프레임(213)은 제1 프레임(2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걸림턱(214)은 제1 프레임(212) 및 제2 프레임(213)의 상호 중첩되는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탄성체(215)는 제1 프레임(212) 및 제2 프레임(213)의 걸림턱(214) 사이에 설치되어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
장력 유지 모듈(280)은 제2 출력 벨트(264)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요소이다. 장력 유지 모듈(280)은 고정부(281), 가동부(282), 풀리(283), 및 탄성부(28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81)는 제1 프레임(212)에 설치될 수 있다. 가동부(282)는 고정부(281)에 대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풀리(283)는 가동부(282)의 끝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284)는 고정부(281)에 설치되어 가동부(282)에 탄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력 유지 모듈(280)의 작동 방식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운행 장치(100)의 작동도이다.
본 도면[및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바이크 유닛(200)은 제1 위치(P1)에서와 같이 레일(320)에 매달려 운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행자(D)가 페달(272)을 밟아 구동축(271)을 회전시키면, 구동축(271)의 회전력은 입력 벨트(262)를 통해 축연결체(261)의 입력축(261a)에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운행자(D)가 스위치(267)를 오프시키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찰 클러치(265)가 작동을 멈추어 입력축(261a)과 출력축(261b)이 상호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출력축(261b)은 입력축(261a)과 분리되어, 출력축(261b)과 제1 출력 벨트(263)를 통해 연결된 지면 바퀴(250)는 동작을 멈출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바이크 유닛(200)이 레일(320)에 매달려 운행하는 경우, 운행자(D)는 스위치(267)를 통해 레일 바퀴(240)만을 구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어, 적은 힘으로도 바이크 유닛(2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바이크 유닛(200)이 레일(320)의 높이가 제1 위치(P1)보다 낮은 제2 위치(P2)로 이동하면, 지면 바퀴(250)가 지면(G)과 맞닿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지면 바퀴(250)가 지면(G)으로부터 받게 되는 충격은 제1 프레임(212)과 제2 프레임(213)의 상호 슬라이딩 동작 및 탄성체(215)의 완충 작용에 의해 완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프레임(213)이 제1 프레임(212)의 내부로 더욱 깊이 삽입되면, 전방 프레임(211)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어, 전방 프레임(211)의 내부의 제2 출력 벨트(264)가 충분한 장력을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동부(282)가 탄성부(284)에 의해 고정부(281)로부터 인출됨으로써 풀리(283)가 제2 출력 벨트(264)를 가압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방 프레임(211)의 길이가 줄어드는 경우에도 제2 출력 벨트(264)가 충분한 장력을 가지면서 축연결체(261) 및 레일 바퀴(240)에 팽팽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출력 벨트(264)가 축연결체(261) 또는 레일 바퀴(240)의 회전축에서 빠지거나 슬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구동 모듈(270)의 회전력을 레일 바퀴(240)에 온전히 전달할 수 있다.
바이크 유닛(200)은 레일(320)에서 외부로 진출하여 제3 위치(P3)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운행자(D)는 스위치(267)를 온시켜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찰 클러치(265)를 작동시킬 수 있다. 마찰 클러치(265)가 작동하여 입력축(261a)과 출력축(261b)이 상호 연결되면, 지면 바퀴(250)는 입력축(261a)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운행자(D)는 레일(320)의 외부로 진출하여 지상에서도 지속적으로 운행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프레임(211)은, 상술한 것과 같이 상부 보조 프레임(217) 및 하부 보조 프레임(218)과 힌지(219)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운행자(D)는 핸들(230)을 좌우로 조작하여 전방 프레임(211)에 설치된 지면 바퀴(250)의 조향각을 바꿈으로써 바이크 유닛(200)의 진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운행 장치(100)의 레일 유닛(300)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레일(320)은 제1 레일(321), 제2 레일(322), 및 교차 레일(3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일(321)과 제2 레일(322)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교차 레일(323)은 제1 레일(321)과 제2 레일(322)에 각각 사선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운행자(D)가 레일(320)에 매달려 운행하는 상태에서 바이크 유닛(200)의 진행 방향을 바꾸려 하는 경우, 교차 레일(323)을 통해 제1 레일(321)과 제2 레일(322)을 상호 이동함으로써 손쉽게 다른 장소를 향해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운행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운행 장치
200: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바이크 유닛
210: 프레임
220: 시트
230: 핸들
240: 레일 바퀴
250: 지면 바퀴
260: 동력 전달 모듈
270: 구동 모듈
280: 장력 유지 모듈
300: 레일 유닛
310: 고정대
320: 레일

Claims (9)

  1.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에 지지되어 지면과 떨어져 설치되는 레일을 갖는 레일 유닛; 및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에 매달려 상기 레일의 궤도를 따라 안내되도록 형성되는 레일 바퀴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 바퀴가 상기 레일에서 외부로 진출한 경우 상기 지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면 바퀴와, 상기 레일 바퀴 및 상기 지면 바퀴 중 적어도 하나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모듈과, 상기 동력 전달 모듈에 상기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 모듈을 갖는 바이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 모듈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축연결체;
    상기 축연결체와 상기 지면 바퀴의 회전축을 상호 연결하는 제1 출력 벨트;
    상기 축연결체와 상기 레일 바퀴의 회전축을 상호 연결하는 제2 출력 벨트; 및
    상기 축연결체와 상기 구동 모듈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축연결체에 상기 구동 모듈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입력 벨트를 포함하는,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운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제1 레일;
    상기 제1 레일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레일; 및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바이크 유닛을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을 상호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교차 레일을 포함하는,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운행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 벨트와 연결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페달을 포함하는,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운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모듈은,
    상기 입력 벨트와 연결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과 동심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출력 벨트와 연결되는 출력축을 갖는 상기 축연결체;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을 선택적으로 상호 연결 및 분리하는 마찰 클러치; 및
    상기 클러치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운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지면 바퀴가 설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레일 바퀴가 설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운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크 유닛은,
    상기 제2 출력 벨트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장력 유지 모듈을 더 포함하는,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운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축연결체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장력 유지 모듈은,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
    상기 가동부에 설치되는 풀리; 및
    상기 가동부에 탄성을 제공하여 상기 풀리가 상기 제2 출력 벨트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운행 장치.
  9.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지면과 떨어져 설치된 레일에 매달려 상기 레일의 궤도를 따라 안내되도록 형성되는 레일 바퀴;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 바퀴가 상기 레일에서 외부로 진출한 경우 상기 지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면 바퀴;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축연결체와, 상기 축연결체와 상기 지면 바퀴의 회전축을 상호 연결하는 제1 출력 벨트와, 상기 축연결체와 상기 레일 바퀴의 회전축을 상호 연결하는 제2 출력 벨트와, 상기 축연결체와 연결되는 입력 벨트를 구비하여서, 상기 레일 바퀴 및 상기 지면 바퀴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모듈; 및
    상기 입력 벨트와 연결되어, 상기 축연결체에 상기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바이크 유닛.
KR1020130142496A 2013-11-21 2013-11-21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바이크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중 레일 운행 장치 KR101393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496A KR101393476B1 (ko) 2013-11-21 2013-11-21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바이크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중 레일 운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496A KR101393476B1 (ko) 2013-11-21 2013-11-21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바이크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중 레일 운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476B1 true KR101393476B1 (ko) 2014-05-15

Family

ID=50893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496A KR101393476B1 (ko) 2013-11-21 2013-11-21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바이크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중 레일 운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4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281B1 (ko) 2015-02-04 2016-01-20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레저용 스카이 바이크
WO2018132887A1 (pt) * 2017-01-23 2018-07-26 Spekla Filho Vicente Bicicleta suspensa para locomoção de pessoa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1909U (ja) * 1991-11-15 1993-06-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路上・軌道両用走行車
JP2002225780A (ja) * 2000-10-20 2002-08-14 Masaharu Fukikoshi ダブル駆動・電動自転車
US20110214587A1 (en) * 2008-11-18 2011-09-08 Kenneth Laux Elevated bicycle-based transportation system, connection apparatus for bicycle and modified bicycle
US8156873B1 (en) * 2006-08-03 2012-04-17 Scott Olson Rail bik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1909U (ja) * 1991-11-15 1993-06-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路上・軌道両用走行車
JP2002225780A (ja) * 2000-10-20 2002-08-14 Masaharu Fukikoshi ダブル駆動・電動自転車
US8156873B1 (en) * 2006-08-03 2012-04-17 Scott Olson Rail bike
US20110214587A1 (en) * 2008-11-18 2011-09-08 Kenneth Laux Elevated bicycle-based transportation system, connection apparatus for bicycle and modified bicy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281B1 (ko) 2015-02-04 2016-01-20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레저용 스카이 바이크
WO2018132887A1 (pt) * 2017-01-23 2018-07-26 Spekla Filho Vicente Bicicleta suspensa para locomoção de pesso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1511B1 (en) Child swing apparatus
ES2471640T3 (es) Instalación de funicular
JP6141161B2 (ja) 走行車両
KR102158013B1 (ko)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JP5784007B2 (ja) 観覧車型の乗り物
KR101598484B1 (ko) 착탈 가능한 휠체어 주행보조장치
KR101393476B1 (ko) 지상 운행이 가능한 공중 레일 바이크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중 레일 운행 장치
US20180028378A1 (en) Propulsion attachment for a manual wheelchair
CN107355103B (zh) 停车机器人
CN103961227B (zh) 一种带有双转向装置的电动轮椅
KR101599946B1 (ko) 판재 이송 장치
CN104002915B (zh) 带有踏板开合装置的独轮车
EP2019016A3 (de) Kinderwagen
WO2014189189A1 (ko) 탈장착 가능한 동력 전달장치를 장착한 휠체어
JP6804555B2 (ja) ケーブル輸送装置
KR100940538B1 (ko) 곡선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송대차
US11142218B2 (en) Suspended recreational vehicle drive
CN113115551B (zh) 一种快速散热的通讯柜
KR200471969Y1 (ko) 자동방제용 레일대차
CN106882192A (zh) 一种可制动滑降滑车
KR101314276B1 (ko) 한손 구동 휠체어
KR102376092B1 (ko)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
CN204323512U (zh) 一种牵引车
CN110641532B (zh) 坐具小车
CN108312258A (zh) 一种木头切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