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092B1 -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 - Google Patents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092B1
KR102376092B1 KR1020140170582A KR20140170582A KR102376092B1 KR 102376092 B1 KR102376092 B1 KR 102376092B1 KR 1020140170582 A KR1020140170582 A KR 1020140170582A KR 20140170582 A KR20140170582 A KR 20140170582A KR 102376092 B1 KR102376092 B1 KR 102376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ont wheel
seat
footres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337A (ko
Inventor
이국환
Original Assignee
이국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국환 filed Critical 이국환
Priority to KR1020140170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092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8Resilient suspensions of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판에 탑승한 운전자의 간편한 핸들 조작으로 저속 운행함으로써 기동성과 편의성을 제공하고, 착탈식 시트를 분리하고 나서 프레임을 접어 전체 외형 크기를 간결하게 축소함과 아울러 이용 환경에 따라 발판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하여 운반 및 휴대가 용이하며, 전륜에 구동모터를 장착하여 유모차의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도록 하고 전륜과 후륜에 설치한 완충장치를 통하여 외력에 의한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매우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Operator Boarding Type Electromotive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인력에 의존하는 유모차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선함으로써 기동성과 편의성을 향상하고 운반 및 휴대가 용이하며 매우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자유회전이 가능한 전륜과 직선 주행만 가능하게 방향이 고정된 후륜으로 구성되며, 후면에서 보호자가 손잡이를 밀어 유모차를 앞쪽으로 나아가게 하거나 진행 방향을 조작하게 된다.
기존기술에 따른 수동식 유모차는 운전자가 보행하면서 밀고 나가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운전자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997034호에서 본체 하부에 설치한 무한궤도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한국등록특허 제10-1408162호에서 모터를 이용하여 전동식으로 이동하는 방식을 개시한 바 있다.
상기 선행문헌은 기계 동력을 이용하므로 운행에 따른 운전자의 피로를 줄일 수 있으나, 여전히 운전자가 보행하면서 유모차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편의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부피가 크고 복잡한 구성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휴대하거나 차량에 수납하여 운반하기에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백화점, 전시회 등과 같은 넓은 공간에서 유모차를 이용하여 장거리를 돌아다니거나 울퉁불퉁한 노면이 많은 야외 공원이나 산책로 등과 같이 주행 환경이 열악한 험로에서 유아를 유모차에 태운 채 보호자가 함께 이동하는 등 유모차의 이용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 의해서 기존기술의 유모차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개선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운반 및 휴대가 용이하며, 야외의 거친 노면에서도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
[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0997034호(2010.11.26. 공고) [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408162호(2014.06.17. 공고)
없음
본 발명의 목적은 발판에 탑승한 운전자의 간편한 조작을 통하여 저속 운행함으로써 기동성과 편의성을 제공하고, 착탈식 시트를 분리하고 나서 프레임을 접어 전체 외형 크기를 간결하게 축소함과 아울러 이용 환경에 따라 발판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하여 운반 및 휴대가 용이하며, 전륜에 구동모터를 장착하여 유모차의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도록 하고 전륜과 후륜에 설치한 완충장치를 통하여 외력에 의한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매우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는, 전륜과 후륜 사이에 연결된 시트 프레임과 발판 프레임, 상기 시트 프레임에 결합되는 핸들, 상기 발판 프레임에 지지되는 발판부,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전륜 지지부, 상기 전륜에 설치된 구동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전륜과 상기 발판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발판 프레임은 상기 발판부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 프레임에 시트를 장착 또는 분리하기 위한 시트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륜 지지부와 상기 시트 프레임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시트 프레임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시트 관절부와, 상기 시트 프레임 일측과 상기 핸들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핸들 관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전륜 완충부와 상기 후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후륜 완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륜에 설치한 제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는 허브 모터이고, 상기 제동장치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탑승하여 간편한 조작으로 바퀴에 장착된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저속 운행함으로써 넓은 공간에서 장거리 이동하여도 운전자의 피로를 줄이고 양호한 기동성과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착탈식 시트를 분리하고 나서 프레임을 접어 외형 크기를 줄여 차량 등에 수납할 수 있어 운반 및 휴대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 탑승시에는 발판 위치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탑승하지 않고 유모차를 주행시 운전자의 보행에 간섭받지 않도록 발판 위치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등 이용 환경에 따라 발판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륜과 후륜에 설치한 완충장치를 통하여 외력에 의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매우 높은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관절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륜 완충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후륜 완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1)는 전륜(3)과 한 쌍의 후륜(4) 사이에 연결된 시트 프레임(10)과 발판 프레임(70)을 포함한다. 도 1은 시트(2)를 결합한 상태로 시트 프레임(10)이 아래쪽으로 접혀진 상태를 예시한 것이고, 도 2는 시트(2)를 분리한 후 시트 프레임(10)을 위쪽으로 기립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시트 프레임(10)은 유아가 앉는 시트(2)를 지지하는 한 쌍의 파이프로 구성하며, 이를 위하여 한 쌍의 파이프 중도에 시트 결합부(30)가 각각 설치된다. 시트 결합부(30)는 시트(2)를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착탈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시트 프레임(10)의 한 쌍의 파이프 일측은 시트 관절부(50)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한 쌍의 파이프 타측은 핸들 관절부(40)를 매개로 핸들(20)에 결합된다.
시트 관절부(50) 하단은 축 결합을 이용하여 연결부(61)에 고정된다. 연결부(61)에 발판 프레임(70)이 연결된다.
발판 프레임(70)은 한 쌍의 파이프로 구성되고, 한 쌍의 파이프 일측은 연결부(61) 양측에 결합되고, 한 쌍의 파이프 타측은 발판부(100)에 연결된다.
전륜 완충부(60)는 연결부(61)와 고정 결합구(81) 사이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킨다. 전륜 완충부(60)는 상부의 연결부(61) 및 하부의 고정 결합구(81)에 각각 축 결합되어 있다.
전륜 지지부(80) 상부는 고정 결합구(81) 양측에 결합되고 하부는 전륜(3)의 양측 바퀴축에 각각 결합되어 전륜(3)을 지지한다. 전륜(3)에 가해지는 외력은 전륜 지지부(80)에 연결된 전륜 완충부(60)에 의하여 완화될 수 있다.
전륜(3)에는 구동모터(90)와 제동장치(91)가 설치된다. 구동모터(90)는 발판 프레임(70) 또는 발판부(100)에 설치될 수 있고 도시하지 않은 충전 배터리의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할 수 있으며 바퀴 중심에 직결된 허브 모터를 적용하며, 제동장치(91)는 핸들(20)에 설치할 수 있는 도시하지 않은 브레이크 레버의 조작에 따라 전륜(3)의 회전을 제한하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전륜(3)에 비교적 무거운 구동모터를 장착함으로써 전동 유모차(1)의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편중되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판부(100)는 발판 덮개(101)를 포함한다.
발판 덮개(101)는 가운데 부분을 평탄하게 하고 양측은 돌출 형성한다. 발판 덮개(101) 가운데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패드(102)를 부착하며, 발판 덮개(101) 양측은 한 쌍의 후륜(4) 상부를 덮어줌으로써 탑승한 운전자의 다리가 회전하는 후륜(4)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발판 프레임(70)은 후륜(4)측으로 연장되고 직관 형상의 프레임 후단부(71)를 구비한다. 프레임 후단부(71)는 발판부(100) 내부에 출입할 수 있다. 이는 발판부(100) 위치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판부(100)에서 프레임 후단부(71)를 빼내게 되면 전륜(3)과 후륜(4) 사이가 넓어지며, 발판부(100) 위에 탑승한 운전자가 핸들(20)을 잡고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이때 핸들 관절부(40)의 잠금 레버(41)를 눌러 핸들(20)을 위로 올라가도록 회전시킨 후 잠금 레버(41)의 누름 동작을 해제하여 핸들(20) 위치를 고정한다. 운반 또는 휴대하기 위하여 전체 외형 크기를 줄이는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후단부(71)를 발판부(100) 내부에 밀어 넣을 수 있다. 이때 운전자가 보행하면서 핸들(20)을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잠금 레버(41)를 이용하여 핸들(20) 위치를 수평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판부(100) 위치는 전륜(3) 측으로 가깝게 당기거나 전륜(3) 측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동 유모차(1)를 차량 내부에 수납하거나 휴대하기 위하여 시트 프레임(10)을 접고 발판부(100)를 전륜(3) 측으로 당겨 전체 외형 크기를 축소한 경우로서, 운전자가 무리 없이 들고 갈 수 있다. 시트 프레임(10)에 결합된 시트(2)는 분리하여 별도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관절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시트 관절부(50)는 내부에 설치된 축 이음부(51)를 포함한다.
축 이음부(51)는 원통 형상의 고정구(52)와, 고정구(52)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회동구(53)와, 한 쌍의 회동구(53)의 외주연에 각각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돌출턱(54)과, 한 쌍의 회동구(53) 측면에 각각 일체 결합된 끼움구(55), 및 고정구(52)와 회동구(53) 중심에 관통 결합된 축봉(56)을 포함한다.
끼움구(55)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시트 프레임(10)의 한 쌍의 파이프 내부에 삽입되고 도시하지 않은 와이어 일단이 견고하게 묶인다. 와이어 타측은 핸들(2)에 설치하는 조작 레버(미도시)에 연결된다. 이 조작 레버를 조작함에 의해 와이어에 연결된 끼움구(55)가 당겨지거나 풀어지며, 끼움구(55)가 당겨질 때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구(55)에 일체 결합된 회동구(53)는 고정구(52) 양측 방향으로 축봉(56)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회동구(53)는 고정구(52)의 걸림턱에서 분리됨에 따라 축봉(56)에서 회동할 수 있고, 이렇게 회동구(53)가 회동 가능한 위치에서는 회동구(53)에 결합된 시트 프레임(10)을 접거나 펴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턱(54)은 시트 관절부(50) 외측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며,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시트 프레임(10)의 회동을 방지하려면 조작 레버를 풀어주며, 이에 따라 끼움구(55)를 당기는 와이어에 가해지는 인력이 느슨해져 도 6a에서와 같이 회동구(53)는 고정구(52) 양측 걸림턱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회동구(53)는 회동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와이어가 풀어져 회동구(53)가 원래 위치로 복원할 수 있도록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핸들 관절부(40) 역시 시트 관절부(50)와 동일한 동작 원리를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시트 관절부(50)는 조작 레버에 의해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어서 회동구를 회동시키는 방식이나 핸들 관절부(40)는 잠금 레버(41)를 누르거나 누름 동작을 해제하여 끼움구에 일체 결합된 회동구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시트 관절부(50)는 핸들(20)에서 멀리 위치하여 원격 조작할 수 있도록 와이어를 사용하고, 핸들 관절부(40)는 핸들(20)에 가까이 위치하여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는 잠금 레버(41)를 이용하는 구성상에서 차이가 있지만, 관절 부분의 회동 구조를 이용하여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동일한 동작 원리를 적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륜 완충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륜 완충부(60)는 시트 관절부(50)와 고정 결합구(81) 사이에 연결되어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륜 완충부(60) 상부가 시트 관절부(50)에 연결되고 하부가 고정 결합구(81)에 연결된다.
전륜 완충부(60)는 연결부(61), 케이싱(20), 압축 스프링(63), 및 누름봉(64)을 포함한다. 케이싱(20) 내부에 압축 스프링(63)과 누름봉(64)이 수용되며, 누름봉(64) 상부는 연결부(61)와 시트 관절부(50) 하부에 연결된다.
전륜 완충부(60)는 시트 관절부(50)와 고정 결합구(81) 중 어느 일측에서 외력이 가해질 때 압축 스프링(63)의 탄성력에 의해 외력을 감쇠함으로써 완충 기능을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후륜 완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발판부(100)는 박스 형상의 발판 지지부(110)를 포함한다. 발판 지지부(110) 상부에 발판 덮개(101)가 설치된다.
발판 지지부(110)는 전방 측면 양측에 한 쌍의 프레임 후단부(71)가 각각 출입할 수 있는 출구가 형성되며, 이 출구 내측에 프레임 후단부(71)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레일을 형성할 수 있다.
발판 지지부(110) 좌우 양측에 후륜(4)의 후륜축(5)이 결합되고, 상부 양측에는 후륜 완충부(130)가 각각 설치된다. 후륜 완충부(130)는 케이싱 내부에 압축 스프링을 구비하고 외측으로 당겨지면 압축 스프링이 압축되고 당김이 해제되면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구조를 구비한다.
후륜 완충부(130) 일측은 발판 지지부(110) 상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후륜축(5)에 결합된다. 한 쌍의 후륜(4)에 각각 설치된 후륜 완충부(130)는 어느 하나의 후륜(4)이 지면에서 들려지는 경우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후륜(4)과 지면의 마찰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불량한 노면 상태 또는 부주의한 운전 조작으로 전동 유모차(1)의 후륜(4) 일측에 과도한 불균형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서 바퀴의 들림을 보상하는 방향으로 완충함으로써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저면에서 나타낸 발판 지지부(110)의 구조이고, 도 10은 발판 지지부(110)에 삽입된 프레임 후단부(71)를 측면에서 나타낸 구조이다.
프레임 후단부(71)는 발판 지지부(110) 내부의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출입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후단부(71) 외측에는 톱니 형상의 요철부(72)를 형성한다. 발판 지지부(110) 측면에 회동 가능한 스토퍼(120)를 관통 설치한다. 스토퍼(120)가 요철부(72)에 걸려지면 프레임 후단부(71)의 이동이 제한되며 스토퍼(120)가 요철부(72)에서 빠져나오면 프레임 후단부(71)는 자유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20)는 내측에 걸쇠를 형성하고 외측에 잠금 레버(미도시)를 형성하는데, 운전자는 외측에 노출된 잠금 레버를 발로 조작함으로써 프레임 후단부(71)를 이동하거나 이동 제한할 수 있다.
1 : 전동 유모차 2 : 시트
3 : 전륜 4 : 후륜
5 : 후륜축 10 : 시트 프레임
20 : 핸들 30 : 시트 결합부
40 : 핸들 관절부 50 : 시트 관절부
51 : 축이음부 52 : 고정구
53 : 회동구 54 : 돌출턱
55 : 끼움구 56 : 축봉
60 : 전륜 완충부 61 : 연결부
62 : 케이싱 63 : 압축 스프링
64 : 누름봉 70 : 발판 프레임
71 : 프레임 후단부 72 : 요철부
80 : 전륜 지지부 81 : 고정 결합구
90 : 구동모터 91 : 제동장치
100 : 발판부 101 : 발판 덮개
102 : 패드 110 : 발판 지지부
120 : 스토퍼 130 : 후륜 완충부

Claims (5)

  1. 전륜과 후륜 사이에 연결된 시트 프레임과 발판 프레임, 상기 시트 프레임에 결합되는 핸들, 상기 발판 프레임에 지지되는 발판부,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전륜 지지부, 상기 전륜 지지부와 상기 시트 프레임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시트 프레임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시트 관절부, 및 상기 전륜에 설치된 구동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발판 프레임은 상기 후륜측으로 연장되며 직관 형상인 프레임 후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판부 내측에는 상기 프레임 후단부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전륜과 상기 후륜의 간격을 조절 및 전체 외형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발판 프레임은 상기 발판부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시트 관절부 내부에는 원통 형상의 고정구, 상기 고정구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회동구와, 한 쌍의 회동구의 외주연에 각각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돌출턱과, 한 쌍의 회동구 측면에 각각 일체 결합된 끼움구, 및 고정구와 회동구 중심에 관통 결합된 축봉을 포함하는 축 이음부가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끼움구가 당겨지면, 상기 한 쌍의 회동구는 상기 고정구 양측 방향으로 상기 축봉을 따라 이동하여 회동가능해져 시트 프레임을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에 시트를 장착 또는 분리하기 위한 시트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후단부의 외측에는 톱니 형상의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발판부 측면에는 회동 가능한 스토퍼가 관통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 일측과 상기 핸들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핸들 관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전륜 완충부와 상기 후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후륜 완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에 설치한 제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는 허브 모터이고,
    상기 제동장치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
KR1020140170582A 2014-12-02 2014-12-02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 KR102376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582A KR102376092B1 (ko) 2014-12-02 2014-12-02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582A KR102376092B1 (ko) 2014-12-02 2014-12-02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337A KR20160066337A (ko) 2016-06-10
KR102376092B1 true KR102376092B1 (ko) 2022-03-18

Family

ID=56190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582A KR102376092B1 (ko) 2014-12-02 2014-12-02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0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0620A (zh) * 2016-08-24 2016-12-21 关子怡 一种防倾斜防震婴儿车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6500A (ja) * 2003-09-22 2005-04-14 Univ Nihon 電動三輪キックスケータ
KR100849102B1 (ko) 2000-02-17 2008-07-30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용 캐스터
WO2011001130A1 (en) 2009-06-30 2011-01-06 Symeon Onipede Parent and child pedal -less cycle
WO2014040731A1 (de) 2012-09-12 2014-03-20 Viktor Herzog-Lang Handgeführtes fahrzeug und nachrüstsatz zum umrüsten eines derartigen fahrzeugs
KR200474422Y1 (ko) 2013-03-18 2014-09-17 (주)한스이엔지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속도제어 가능한 전동 구동장치 장착 유모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034B1 (ko) 2008-09-18 2010-11-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동 겸용 전동 유모차
KR101212766B1 (ko) * 2010-07-09 2012-12-14 손영철 크기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스쿠터
KR20120030626A (ko) * 2010-09-20 2012-03-29 김현동 시트 회전이 가능한 유모차
KR101408162B1 (ko) 2013-02-12 2014-06-1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동 유모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102B1 (ko) 2000-02-17 2008-07-30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용 캐스터
JP2005096500A (ja) * 2003-09-22 2005-04-14 Univ Nihon 電動三輪キックスケータ
WO2011001130A1 (en) 2009-06-30 2011-01-06 Symeon Onipede Parent and child pedal -less cycle
WO2014040731A1 (de) 2012-09-12 2014-03-20 Viktor Herzog-Lang Handgeführtes fahrzeug und nachrüstsatz zum umrüsten eines derartigen fahrzeugs
KR200474422Y1 (ko) 2013-03-18 2014-09-17 (주)한스이엔지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속도제어 가능한 전동 구동장치 장착 유모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337A (ko)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7172B1 (ko) 유아 푸시 체어 프레임과, 유아 푸시 체어
US9481423B2 (en) Single-wheel structure transportation device with extendable walking handle
US9493206B1 (en) Transformable folding electric scooter
CN202029972U (zh) 行李自行车结构
US9227649B2 (en) Jogging stroller frame with a folding mechanism for automatically flattening wheels
TWI607927B (zh) 推車
CN104768833A (zh) 能折叠的推车
TW201619004A (zh) 滑板車結構
CN101758847B (zh) 婴儿推车
KR20160040437A (ko) 개인용 운송수단을 접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538215B1 (ko) 절첩식 수동 겸 전동 자전거
CN107757693B (zh) 一种能实现四折的婴儿推车车架
KR101658802B1 (ko) 접이식 적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동 캐리어
WO2017008411A1 (zh) 一种折叠机构及折叠车
KR102376092B1 (ko) 운전자 탑승형 전동 유모차
CN106536321A (zh) 可折叠童车
TWM500725U (zh) 滑板車結構
CN110126893B (zh) 一种拉杆购物车
CN204399397U (zh) 三轮便携式折叠电动车
JP7043827B2 (ja) 電動移動体
CN206344925U (zh) 一种避震滑板车
TWM426403U (en) Walk-assisting vehicle with safety device
US20210394809A1 (en) Foldable stroller
CN106080732B (zh) 一种旅游用童车
KR200484628Y1 (ko) 수동 이동수단을 자전거로 운행하기 위한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