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085B1 - 외장마감재의 직접 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 - Google Patents
외장마감재의 직접 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3085B1 KR101393085B1 KR1020130015795A KR20130015795A KR101393085B1 KR 101393085 B1 KR101393085 B1 KR 101393085B1 KR 1020130015795 A KR1020130015795 A KR 1020130015795A KR 20130015795 A KR20130015795 A KR 20130015795A KR 101393085 B1 KR101393085 B1 KR 1013930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ions
- vertical
- truss
- members
- horizont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고, 공장 건물처럼 장경간을 요하는 건축물을 건축하는 데에 사용되는 트러스 구조재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재의 역할을 하면서도 외장마감재를 직접 부착할 수 있어 별도의 하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외장마감재의 직접 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트러스 구조재는, 다수의 부재가 조립되어 형성되는 트러스 구조재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구조재는, 상재와, 상기 상재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하재 및 상기 상재와 하재를 연결해주는 다수의 사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하재는, 외장마감재에 직접 면하는 수평부착판을 구비하고 트러스 구조재의 폭을 결정하는 수평부착부와, 상기 수평부착부의 양측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수직부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부착부는, 수평부착부에 면하는 수직부착판과, 수직부착판에서 내측으로 단차지게 절곡된 수직단차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재는 수직단차부에 볼트접합되어 볼트머리가 수직부착판의 외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를 사용하는 경우 외장마감재를 시공하는 데에 필요한 부재의 수 및 작업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는 경량이면서도 구조재의 단면이 반폐쇄적인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조적 성능이 우수하다.
이러한 트러스 구조재는, 다수의 부재가 조립되어 형성되는 트러스 구조재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구조재는, 상재와, 상기 상재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하재 및 상기 상재와 하재를 연결해주는 다수의 사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하재는, 외장마감재에 직접 면하는 수평부착판을 구비하고 트러스 구조재의 폭을 결정하는 수평부착부와, 상기 수평부착부의 양측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수직부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부착부는, 수평부착부에 면하는 수직부착판과, 수직부착판에서 내측으로 단차지게 절곡된 수직단차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재는 수직단차부에 볼트접합되어 볼트머리가 수직부착판의 외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를 사용하는 경우 외장마감재를 시공하는 데에 필요한 부재의 수 및 작업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는 경량이면서도 구조재의 단면이 반폐쇄적인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조적 성능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창고, 공장 건물처럼 장경간을 요하는 건축물을 건축하는 데에 사용되는 트러스 구조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재의 역할을 하면서도 외장마감재를 직접 부착할 수 있어 별도의 하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외장마감재의 직접 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에 관한 것이다.
창고나 공장 건물처럼 큰 공간을 필요로 하는 구조물을 건축할 때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구조 중 하나인 철골구조는, 공장에서 제작된 철골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법으로 시공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철골의 골조가 완성된 후에는 골조에 판상의 마감재를 부착하여 구조물의 벽면을 시공하게 되는데, 각 철골부재의 접합시에 돌출 형성된 볼트에 의해 동일한 마감면을 이루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두꺼운 철골부재와 마감재를 직접 볼트접합시키는 작업은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철골부재에 마감재를 시공할 때에는, 등록번호 20-0398432의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용 마감판넬 조립구조'와 같은 마감재 접합구조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도 1에는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마감재 접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서까래(100)의 상부에 고정편(130)을 용접하고, 상기 고정편(130)에 단면이 ㄷ형상인 연결바(110)를 볼트접합 다음, 상기 연결바(110)의 지지판(113) 상에 지붕용 마감판넬(120)을 위치시켜 피스(121)로 고정함으로써 철골의 서까래(100)에 지붕용 마감판넬(120)이 부착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연결바(110)는 이 연결바가 공급된 방향에 관계없이 서까래(100)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연결바(110)의 본체(111)에 보강돌부(112)가 형성되어 있어 휨강도가 우수하기는 하지만, 일종의 하지재인 연결바(110) 및 고정편(130)을 시공해주어야 하므로 작업공정 및 부재의 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공사비 및 공기도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철골로 이루어진 구조부재가 하지재의 역할까지 할 수 있어 하지재를 생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되는 부재의 수 및 작업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외장마감재의 직접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구조부재의 단면을 박스형태로 형성시킴으로써 구조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외장마감재의 직접 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부재가 조립되어 형성되는 트러스 구조재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구조재는, 상재와, 상기 상재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하재 및 상기 상재와 하재를 연결해주는 다수의 사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하재는, 외장마감재에 직접 면하는 수평부착판을 구비하고 트러스 구조재의 폭을 결정하는 수평부착부와, 상기 수평부착부의 양측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수직부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부착부는, 수평부착부에 면하는 수직부착판과, 수직부착판에서 내측으로 단차지게 절곡된 수직단차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재는 수직단차부에 볼트접합되어 볼트머리가 수직부착판의 외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마감재의 직접 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하재의 수평부착부는 하나의 평평한 수평부착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마감재의 직접 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하재의 수평부착부는, 상기 수평부착부의 양측부에 형성된 수평부착판과, 상기 수평부착판 사이를 연결해주는 다수의 가새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부착판의 일단부에는 내측으로 단차지게 절곡된 수평단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새부재는 수평단차부에 볼트접합되어 볼트머리가 수평부착판의 외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마감재의 직접 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하재의 수평부착부는, 상기 수평부착부의 양측부에 형성된 수평부착판과, 상기 수평부착판 사이에서 내측으로 단차지게 절곡되어 형성된 들임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마감재의 직접 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재 및 가새부재는 앵글 또는 파이프로 이루어지되, 상기 사재를 이루는 앵를 또는 파이프는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마감재의 직접 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재는 하나의 ㄷ형 또는 립이 달린 ㄷ형의 포밍 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마감재의 직접 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재 사이 또는 마주보는 위치의 가새부재 사이에는 보조가새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마감재의 직접 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외장마감재의 직접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는 건축물의 골조를 이루는 구조재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면서도, 외장재가 직접부착될 수 있는 수평부착판 및 수직부착판이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하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외장마감재를 시공하는 데에 필요한 부재의 수 및 작업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구조재가 경량이면서도 구조재의 단면이 반폐쇄적인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조적 성능이 우수하다.
도 1은 종래기술로서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용 마감판넬 조립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의 사시도,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에 외장마감재가 부착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의 사시도 및 단며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c는 제3실시예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일부가 잘린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에 보조가새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를 이루는 사재로 사용될 수 있는 포밍 바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를 구성하는 사재 및 가새부재의 각기 다른 배치에 따른 트러스 구조재의 입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를 이루는 수직·수평단차부의 단차진 깊이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의 사시도,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에 외장마감재가 부착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의 사시도 및 단며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c는 제3실시예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일부가 잘린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에 보조가새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를 이루는 사재로 사용될 수 있는 포밍 바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를 구성하는 사재 및 가새부재의 각기 다른 배치에 따른 트러스 구조재의 입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를 이루는 수직·수평단차부의 단차진 깊이에 대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에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마감재의 직접 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300)의 사시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외장마감재의 직접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300)는, 상재(310)와, 상기 상재(310)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하재(320) 및 상기 상재(310)와 하재(320)를 연결해주는 다수의 사재(3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하재(310, 320)는, 외장마감재에 직접 면하는 수평부착판(311a, 321a)을 구비하고 트러스 구조재의 폭을 결정하는 수평부착부(311, 321)와, 상기 수평부착부(311, 321)의 양측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수직부착부(312, 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부착부(312, 322)는, 수평부착부(311, 321)에 면하는 수직부착판(312a, 322a)과, 수직부착판(312a, 322a)에서 내측으로 단차지게 절곡된 수직단차부(312b, 322b)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재(330)는 수직단차부(312b, 322b)에 볼트접합(B)되어 볼트머리가 수직부착판(312a, 322a)의 외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300)를 이루는 부재를 가리키는 단어에 사용되는 수평, 수직, 상, 하 등의 용어는 구조재 단면의 형상 또는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이지만, 상기 용어들이 뜻하는 형상, 위치 등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의 형태, 사용상태 등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하재(310, 320)는 트러스 구조재가 보와 같은 수평부재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하부에 위치하게 되지만, 트러스 구조재가 기둥과 같은 수직부재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전·후 또는 좌·우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300)는 일반적인 평면트러스 구조재와 마찬가지로 상현재의 역할을 하는 상재(310)와, 하현재의 역할을 하는 하재(320) 및 상·하재(310, 320) 사이의 사재(330)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일반적인 평면트러스 구조재의 상·하현재 및 사재가 한 평면상에 형성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는 상·하재(310, 320)가 각각 수평부착판(311a, 321a)을 구비함으로 인해 길이뿐만 아니라 폭을 갖게 되어 평면이 아닌 3차원의 공간상에 형성되게 된다. 일반적인 평면트러스 2개를 간격을 두고 접합함으로써 3차원적인 구조재를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나, 수평부착판(311a, 321a)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부재는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수평부착판(311a, 321a)에는 하지재와 같은 부가적인 부재 없이도 외장마감재를 부착할 수 있어 부재의 수 및 작업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그 자세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300)의 상·하재(310, 320)는, 강판을 절곡하여 만들어지는데, 수평부착부(311, 321)와, 상기 수평부착부(311, 321)의 양측단, 즉 수평부착부(311, 321) 폭방향의 양단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수직부착부(312, 322)로 이루어져, 그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게 된다. 이러한 절곡된 부분을 갖는 ㄷ자 형상은 구조재가 좌굴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해주며, 상·하재(310, 320) 사이를 다수의 사재(330)가 연결해줌으로써 단면이 반폐쇄적인 ㅁ자 형상을 이루게 되어 구조재의 구조적 성능이 크게 증가하도록 해준다.
상기 수직부착부(312, 322)는, 수평부착부(311, 321)에 면하는 수직부착판(312a, 322a)과, 수평직부착판(312a, 322a)에서 내측으로 단차지게 절곡된 수직단차부(312b, 322b)로 이루어지고, 사재(330)는 각 수직부착부(312, 322)의 수직단차부(312b, 322b)에 볼트접합(B)됨으로써 상재(310)와 하재(320)를 연결해주게 된다.
여기에서 '내측'은 상·하재(310, 320)의 ㄷ자 형상 단면에 의해 생기는 공간 내부 측을 가리키는 말이다.
상기 수직단차부(312b, 322b)의 단차에 의해, 사재(330)의 접합시 사용되는 볼트머리가 수직부착판(312a, 322a)의 외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수직부착판(312a, 322a) 및 수평부착판(311a, 321a)에는 그 외면 밖으로 돌출되는 부재가 없어 요철이 없는 평평한 마감면을 갖게 되므로 판형의 외장마감재를 본 발명의 트러스 구조재(300)에 직접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a에는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300)가 지붕 골조와 같이 수평한 구조재로 사용될 때 수평부착판(311a, 321a)에 외장마감재(400)가 부착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b에는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300)가 수직 구조재의 모서리에 사용될 때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수직부착판(312a, 322a) 및 수평부착판(311a) 모두에 외장마감재가 부착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300)의 단면이 반폐쇄형의 ㅁ자 형상이기는 하나, 각 사재(330) 사이의 공간을 통해 구조재 내측으로의 접근이 가능하므로 외장마감재를 부착시키기 위한 볼트 등을 시공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트러스 구조재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인데, 상·하재(310, 320)의 수평부착부(311, 321)가 하나의 수평부착판(311a, 321a)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트러스 구조재는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다른 실시예의 트러스 구조재가 적용되는 곳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받는 구조부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도 4에는 제1실시예의 변형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실시예의 변형 실시예는 수평부착부(311, 321)를 절곡하여 트러스 구조재가 더 큰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절곡되는 부분은 외장마감재를 부착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내측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및 도 5b에는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는, 그 상·하재(310, 320)의 수평부착부(311, 321)가, 수평부착부(311, 321)의 양측부에 형성된 수평부착판(311a, 321a)과, 상기 수평부착판(311a, 321a) 사이를 연결해주는 다수의 가새부재(311c, 321c)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착판(311a, 321a)의 일단부에는 내측으로 단차지게 절곡된 수평단차부(311b, 321b)가 형성되고, 상기 가새부재(311c, 321c)는 수평단차부(311b, 321b)에 볼트접합(B)된다.
가새부재(311c, 321c)는 상기 사재(330)와, 수평단차부(311b, 321b)는 상기 수직부착부(312, 322)의 수직단차부(312b, 322b)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는 경량의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단면은 커져 구조효율적인 구조재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도 6b에는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의 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3실시예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는, 그 상·하재(310, 320)의 수평부착부(311, 321)가, 수평부착부(311, 321)의 양측부에 형성된 수평부착판(311a, 321a)과, 상기 수평부착판(311a, 321a) 사이에서 내측으로 단차지게 절곡되어 형성된 들임판(311d, 321d)으로 이루어진다.
제3실시예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는 수평부착부가 더 많은 절곡부를 갖게되므로 단면성능이 좋을 뿐만 아니라,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를 길이방향으로 접합하는 경우, 수평부착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보강플레이트(500)를 대고 볼트접합을 하더라도 들임판(311d, 321d)이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볼트머리가 수평부착판(311a, 321a)의 외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사재(330)는, 도 2a 및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트러스 구조재를 이루는 사재와 같이 한 쌍의 앵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앵글로는 단면형상이 ㄱ자 또는 ㄷ자인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ㄷ자 앵글은 단면성능은 우수하지만 수직단차부(312b, 322b)에의 볼트접합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ㄱ자 앵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한 쌍의 앵글 대신에 한 쌍의 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파이프는 폐쇄적인 단면을 가지므로 단면성능이 매우 우수하다.
사재(330)와 같은 기능을 하는 가새부재(311c, 321c) 또한 앵글 또는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2실시예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에 앵글 또는 파이프로 이루어진 사재(330) 및 가새부재(311c, 321c)를 사용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재(330) 사이 또는 마주보는 위치의 가새부재(311c, 321c) 사이에는 보조가새(340)를 더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보조가새(340)는 본 발명의 트러스 구조재의 단면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구조재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 작용하는 비대칭적인 힘에 의해 구조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상기 사재(330)로는,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트러스 구조재를 이루는 사재와 같이, 하나의 ㄷ형 또는 립이 달린 ㄷ형의 포밍 바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에는 상기 포밍 바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사재(330)로 하나의 포밍 바를 사용하는 경우, 사재(330)가 트러스 구조재의 단면 내를 관통하게 되어 구조재의 강성이 커질 뿐만 아니라, 제2실시예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구조재의 단면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보조가새(311c, 321c)로 보강해주지 않아도 구조재가 변형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300)의 사재(330) 및 가새부재(311c, 321c)는, 일반적인 평면트러스의 사재가 다양한 모양으로 배치됨으로써 하우트러스, 프랫트러스, 와렌트러스 등 각기 다른 트러스가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하재(310, 320) 사이, 수평부착판(311a, 321a) 사이에 다양한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는 사재(330) 및 가새부재(311c, 321c)의 배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된 트러스 구조재의 입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b), (c)에 도시된 트러스 구조재는 기둥, 지붕, 보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나, 도 9의 (a) 에 도시된 트러스 구조재는 주로 구조재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힘이 작용하는 지붕 및 보에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재(300)는, 구조재를 이루는 수평부착판(311a, 321a) 및 수직부착판(312a, 322a)에 외장마감재를 직접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평부착판(311a, 321a) 및 수직부착판(312a, 322a)의 외면 밖으로 다른 부재가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수직단차부(312b, 322b) 및 수평단차부(311b, 321b)는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수직단차부(312b, 322b) 및 수평단차부(311b, 321b)의 외면 또는 내면으로 사재(330) 또는 가새부재(311c, 321c)가 접합되더라도 수평부착판(311a, 321a) 및 수직부착판(312a, 322a)의 외면 밖으로 사재(330)(가새부재 포함) 및 볼트머리가 돌출되지 않게 된다.
도 2a 등에는 수직단차부(312b, 322b) 및 수평단차부(311b, 321b)의 내측면에 사재(330) 또는 가새부재(311c, 321c)가 부착되어 있는 트러스 부재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수직단차부(312b, 322b) 및 수평단차부(311b, 321b)의 외측면으로 볼트머리만이 돌출되므로 수직단차부(312b, 322b) 및 수평단차부(311b, 321b)의 단차진 깊이(d)는 볼트머리 두께(db) 이상이면 된다.
그리고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단차부(312b, 322b) 및 수평단차부(311b, 321b)의 외측면에 사재(330) 또는 가새부재(311c, 321c)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직단차부(312b, 322b) 및 수평단차부(311b, 321b)의 외측면으로 사재(330)(가새부재 포함)와 볼트머리가 돌출되므로 수직단차부(312b, 322b) 및 수평단차부(311b, 321b)의 단차진 깊이(d)는 사재(330) 또는 가새부재(311c, 321c)의 단면 높이(do)에 볼트머리 두께(db)를 더한 값 이상이면 된다.
사재(330) 또는 가새부재(311c, 321c)로 ㄱ자 앵글을 사용하는 경우,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이 이루는 공간 사이에 볼트머리가 삽입될 수 있으므로, 이때 수직단차부(312b, 322b) 및 수평단차부(311b, 321b)의 단차진 깊이(d)를 앵글의 단면 높이(da) 이상으로만 형성하면 될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300 : 트러스 구조재 310 : 상재
320 : 하재 311, 321 : 수평부착부
311a, 321a : 수평부착판 311b, 321b : 수평단차부
311c, 321c : 가새부재 311d, 321d : 들임판
312, 322 : 수직부착부 312a, 322a : 수직부착판
312b, 322b : 수직단차부 330 : 사재
340 : 보조가새
400 : 외장마감재 500 : 보강플레이트
B : 볼트접합
320 : 하재 311, 321 : 수평부착부
311a, 321a : 수평부착판 311b, 321b : 수평단차부
311c, 321c : 가새부재 311d, 321d : 들임판
312, 322 : 수직부착부 312a, 322a : 수직부착판
312b, 322b : 수직단차부 330 : 사재
340 : 보조가새
400 : 외장마감재 500 : 보강플레이트
B : 볼트접합
Claims (8)
- 삭제
- 삭제
- 다수의 부재가 조립되어 형성되는 트러스 구조재(300)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구조재는, 상재(310)와, 상기 상재(310)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하재(320) 및 상기 상재(310)와 하재(320)를 연결해주는 다수의 사재(330)로 이루어지되;
a) 상기 상·하재(310, 320)는, 외장마감재에 직접 면하는 수평부착판(311a, 321a)을 구비하고 트러스 구조재의 폭을 결정하는 수평부착부(311, 321)와, 상기 수평부착부(311, 321)의 양측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수직부착부(312, 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b) 상기 상·하재(310, 320)의 수평부착부(311, 321)는, 상기 수평부착부(311, 321)의 양측부에 형성된 수평부착판(311a, 321a)과, 상기 수평부착판(311a, 321a) 사이를 연결해주는 다수의 가새부재(311c, 321c)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부착판(311a, 321a)의 일단부에는 내측으로 단차지게 절곡된 수평단차부(311b, 32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새부재(311c, 321c)는 수평단차부(311b, 321b)에 볼트접합(B)되어 볼트머리가 수평부착판(311a, 321a)의 외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c) 상기 수직부착부(312, 322)는, 수평부착부(311, 321)에 면하는 수직부착판(312a, 322a)과, 수직부착판(312a, 322a)에서 내측으로 단차지게 절곡된 수직단차부(312b, 322b)로 이루어지며,
d) 상기 사재(330)는 수직단차부(312b, 322b)에 볼트접합(B)되어 볼트머리가 수직부착판(312a, 322a)의 외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마감재의 직접 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 - 다수의 부재가 조립되어 형성되는 트러스 구조재(300)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구조재는, 상재(310)와, 상기 상재(310)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하재(320) 및 상기 상재(310)와 하재(320)를 연결해주는 다수의 사재(330)로 이루어지되;
a) 상기 상·하재(310, 320)는, 외장마감재에 직접 면하는 수평부착판(311a, 321a)을 구비하고 트러스 구조재의 폭을 결정하는 수평부착부(311, 321)와, 상기 수평부착부(311, 321)의 양측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수직부착부(312, 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b) 상기 상·하재(310, 320)의 수평부착부(311, 321)는, 상기 수평부착부(311, 321)의 양측부에 형성된 수평부착판(311a, 321a)과, 상기 수평부착판(311a, 321a) 사이에서 내측으로 단차지게 절곡되어 형성된 들임판(311d, 321d)으로 이루어지며,
c) 상기 수직부착부(312, 322)는, 수평부착부(311, 321)에 면하는 수직부착판(312a, 322a)과, 수직부착판(312a, 322a)에서 내측으로 단차지게 절곡된 수직단차부(312b, 322b)로 이루어지고,
d) 상기 사재(330)는 수직단차부(312b, 322b)에 볼트접합(B)되어 볼트머리가 수직부착판(312a, 322a)의 외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마감재의 직접 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재(330)는 한 쌍의 앵글 또는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마감재의 직접 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재(330) 및 가새부재(311c, 321c)는 앵글 또는 파이프로 이루어지되, 상기 사재(330)를 이루는 앵를 또는 파이프는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마감재의 직접 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재(330)는 하나의 ㄷ형 또는 립이 달린 ㄷ형의 포밍 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마감재의 직접 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재(330) 사이 또는 마주보는 위치의 가새부재(311c, 321c) 사이에는 보조가새(34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마감재의 직접 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5795A KR101393085B1 (ko) | 2013-02-14 | 2013-02-14 | 외장마감재의 직접 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5795A KR101393085B1 (ko) | 2013-02-14 | 2013-02-14 | 외장마감재의 직접 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93085B1 true KR101393085B1 (ko) | 2014-05-09 |
Family
ID=5089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15795A KR101393085B1 (ko) | 2013-02-14 | 2013-02-14 | 외장마감재의 직접 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308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4470B1 (ko) | 2009-04-16 | 2009-11-03 | 주식회사 캬라반이에스 | 트러스 연결구조의 조립식 에이치빔 |
US20100180531A1 (en) * | 2009-01-16 | 2010-07-22 | Vernon Eugene Arivett | Truss chord and truss system with ribs and radiuses |
-
2013
- 2013-02-14 KR KR1020130015795A patent/KR1013930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180531A1 (en) * | 2009-01-16 | 2010-07-22 | Vernon Eugene Arivett | Truss chord and truss system with ribs and radiuses |
KR100924470B1 (ko) | 2009-04-16 | 2009-11-03 | 주식회사 캬라반이에스 | 트러스 연결구조의 조립식 에이치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6202B1 (ko) | 박스 단면형 박판 부재의 좌굴 보강 구조 | |
JP6763653B2 (ja) | ユニット建物 | |
KR101393085B1 (ko) | 외장마감재의 직접 부착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재 | |
JP4853422B2 (ja) | 複合梁と木製柱の接続による門型フレーム | |
JP4759240B2 (ja) | 建物ユニットの連結構造 | |
JP4520401B2 (ja) | 柱・梁構造 | |
JP4752382B2 (ja) | 鉄骨軸組構造の低層建築物、耐力壁パネル、耐力壁パネル取付部材、耐力壁パネルの取付方法 | |
GB1574402A (en) | Building with frame or skeleton structure | |
JP6783038B2 (ja) | 建物構造 | |
JP4227874B2 (ja) | 建物ユニットの柱と梁の接合構造 | |
JP2740562B2 (ja) | 壁パネル | |
KR101371198B1 (ko) | 조립식 사각강관 구조재 | |
JP2524409B2 (ja) | 軸組、パネル工法の家屋 | |
JPH11131663A (ja) | 架構体 | |
KR100929006B1 (ko) | 콘크리트 전단외벽의 보강구조 | |
JPH11117390A (ja) | 補剛金物 | |
JPH1061018A (ja) | ユニット建物 | |
KR20100092653A (ko) | 건축용 복합형강 | |
JPH11166305A (ja) | 手すり壁構造 | |
JP4369274B2 (ja) | ささら桁及び該ささら桁を用いた階段 | |
JP6581354B2 (ja) | 建物 | |
JP4051140B2 (ja) | 勾配付集成梁部材を用いた梁部構造 | |
KR101588871B1 (ko) | 하중 지지력이 우수한 패널을 구비하는 유체 저장 탱크의 시공방법 | |
JP6433285B2 (ja) | 屋根パネルの取付構造 | |
JP5844102B2 (ja) | 屋根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