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729B1 - 코드인식을 위한 글라스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코드인식을 위한 글라스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729B1
KR101392729B1 KR1020130011673A KR20130011673A KR101392729B1 KR 101392729 B1 KR101392729 B1 KR 101392729B1 KR 1020130011673 A KR1020130011673 A KR 1020130011673A KR 20130011673 A KR20130011673 A KR 20130011673A KR 101392729 B1 KR101392729 B1 KR 101392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cassette
rail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양섭
강상우
Original Assignee
(주)유알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알시스 filed Critical (주)유알시스
Priority to KR1020130011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8Stacking or destack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damage to stacked sheets, e.g. sp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1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라스 인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안착되는 카세트의 안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안착위치조절부와, 상기 카세트 내에 수납되는 글라스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인출부 및 상기 인출된 글라스의 일측에 위치되어 조명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한 반사부를 포함하는 글라스 인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코드인식을 위한 글라스 인출장치{Glass-offs for code recognition}
본 발명은 코드인식을 위한 글라스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글라스를 보관하기 위한 카셋트 내에서 글라스를 쉽고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글라스의 일측에 마킹되는 식별코드를 코드인식장치를 통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식별 및 판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코드인식을 위한 글라스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용 액정표시패널 등과 같은 LCD글라스, OLED글라스 (이후 '글라스' 라 함.)는 공정 진행상의 효율성을 위해 소정 개수의 글라스가 하나의 카세트 내에 수납되어 공정이 진행된다.
이렇게 카세트 내에 수납되는 글라스는 공정진행과 글라스 이력관리를 위해 각각의 글라스 상의 소정 영역에 기호나 문자 및 숫자 등의 마킹 문자가 형성되며, 글라스 상에 집적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많은 공정들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마킹 문자를 형성하고, 판독하기 위한 다양한 장비들이 도입 발전되고 있다.
즉, 글라스의 일측에 글라스의 종류, 로트(lot) 번호 등과 같은 고유식별 코드가 부여되고, 각 식별 코드는 글라스의 플랫(flat) 면 또는 상기 플랫면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위치에 식각 또는 인쇄 기법을 이용하여 표시된다.
이러한, 글라스의 식별 코드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식하는 것을 광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이라 하며, 글라스의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를 코드 인식장치라 한다.
도 1은 종래의 코드 인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이를 참조하면, 카세트 내에 수납된 글라스의 식별코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발명된 코드 인식장치(1)이다.
이를 참고하면, 종래의 코드 인식장치(1)는 글라스의 표면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12)와, 상기 식별코드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 조명부재(14) 및 상기 카메라(12)와 상기 조명부재(14)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로봇(16)으로 이루어진 촬영부(10)와, 상기 촬영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글라스가 수납된 카세트(C)를 안착될 수 있도록 한 거치부(20)를 포함하고 있다.
즉, 거치부(20)에 글라스가 수납된 카세트(C)를 안착시킨 후 상기 촬영부(10)에 마련된 조명부재(14)가 식별코드에 빛을 조사하고, 이후 카메라(12)가 이를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게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코드 인식장치(1)의 경우 카세트(C) 내에 글라스가 수납된 상태에서 글라스의 코드위치가 카세트(C) 외부로 인출되어 있는 글라스의 정면에 마킹된 식별코드는 쉽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나, 글라스의 코드위치가 카세트 내부에 위치한 글라스 정면이나, 글라스의 측면에 마킹된 식별코드는 카세트(C) 내에서 글라스를 인출한 후 인식해야하기 때문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글라스를 인출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그로 인해 인식을 위한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코드인식을 위한 글라스 인출장치를 강구하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8222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글라스를 수납 보관하고 있는 카세트 내에서 글라스를 쉽고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코드인식을 위한 글라스 인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안착되는 카세트의 안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안착위치조절부와, 상기 카세트 내에 수납되는 글라스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인출부 및 상기 인출된 글라스의 일측에 위치되어 조명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한 반사부를 포함하는 글라스 인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위치조절부는 상기 카세트의 측면에 위치되어 폭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제1조절부와, 상기 카세트의 후면에 위치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제2조절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절부는 상기 카세트 방향으로 전후진 되는 이송판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자 및 상기 이송판의 위치 이동에 따른 이동거리를 알릴 수 있도록 상기 자의 눈금을 가르킬 수 있는 지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글라스를 인출할 수 있는 인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부는 상기 받침판에 마련되는 높이조절나사에 의해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수단은 상기 받침판의 수직벽 일측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받침판의 수직벽에 마련되는 높이조절나사와 결합될 수 있는 브라켓이 구비된 "ㄷ"형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ㄷ"형상의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승강부재를 결합하는 한편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조절바 및 상기 승강부재에 고정결합되며 글라스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인출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부재의 상측에는 글라스의 저면과 접촉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마찰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라스 인출장치는 상기 인출부가 상기 카세트가 위치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위치제한부재 및 상기 인출부의 최대 인출을 제한하는 제2위치제한부재로 이루어진 위치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인출부의 받침판과의 접촉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수직프레임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포터와, 상기 글라스에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한 반사부재와, 상기 글라스가 위치된 방향으로 상기 반사부재가 전후진될 수 있도록 상기 서포터와 반사부재를 연결하는 반사봉 및 상기 반사봉의 전후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조절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반사부재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미세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카메라 등을 이용한 글라스의 식별코드 인식시 카세트 내에 수납된 글라스를 인출부를 이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하게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코드인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인출장치가 구비된 코드인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인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인식장치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인출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인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수단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인출장치의 미세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인식장치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코드인식을 위한 글라스 인출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인식을 위한 글라스 인출장치가 구비된 코드인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고하면, 코드인식장치(1)는 글라스(G)가 수납된 카세트(C)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 글라스(G) 인출장치(100)와, 상기 글라스(G) 인출장치(100)에 안착된 카세트(C) 내의 글라스(G) 표면에 마킹된 식별코드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촬영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장치(200)는 종래의 선행특허문헌(한국등록특허 제10-1198222호)에 개시된 촬영부(1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글라스(G)에 마킹된 식별코드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210)와, 상기 글라스(G)의 식별코드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 조명부재(220)와, 상기 카메라(210) 및 조명부재(220)를 지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지지부재(230) 및 상기 지지부재(230)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로봇(2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영장치(200)는 종래에 이미 개시된 기술로서, 본원발명에서는 선행문헌에 개시된 촬영부(10)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음으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본원발명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글라스(G)가 수납된 카세트(C)를 안착시키고, 카세트(C) 내에서 글라스(G)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글라스(G) 인출장치(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인식을 위한 글라스(G) 인출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글라스(G)가 수납된 카세트(C)를 안착시킨 후 상기 카세트(C) 내에서 글라스(G)를 쉽고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별코드의 식별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식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인출장치(100)는 베이스(110)와, 카세트(C)의 안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안착위치조절부(120)와, 상기 카세트(C) 내에서 글라스(G)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인출부(130) 및 상기 인출된 글라스(G)의 일측에 위치되어 조명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한 반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110)는 상부 일측에 상기 안착위치조절부(120)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한 제1베이스판(112)이 설치되고, 상기 제1베이스판(112)의 일측으로 상기 인출부(1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제2베이스판(114)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이스판(112)은 상기 제2베이스판(114)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인출부(130)를 이용하여 카세트(C) 내의 글라스(G)를 인출시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베이스판(112)에 안착된 카세트(C) 방향으로 상기 인출부(130)가 전후진 되어 카세트(C) 내의 글라스(G)를 인출해야 하는데, 이때, 인출부(130)가 전후진 되도록 한 별도의 구성을 카세트(C)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상기 인출부(130)가 슬라이딩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카세트(C)가 안착되는 상기 제1베이스판(112)에는 카세트(C)의 크기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카세트(C)를 지지할 수 있는 안착위치조절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위치조절부(120)는 카세트(C)의 측면에 설치되어 폭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제1조절부(122)와, 카세트(C)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제2조절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조절부(122)는 상기 제1베이스판(112)의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수직프레임(121)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프레임(121)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122a)과, 상기 카세트(C)의 측면과 접촉되어 카세트(C)의 위치를 한정할 수 있는 이송판(122b) 및 상기 고정판(122a)을 관통하여 상기 이송판(122b)과 결합되며 고정판(122a)에 대해 상기 이송판(122b)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한 핸들(122c)이 마련된 가압축(122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122a)에 대해 상기 카세트(C) 방향으로 전후진 되는 이송판(122b)에는 눈금이 표시된 자(122e)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판(122a) 또는 상기 고정판(122a)을 지지하고 있는 수직프레임(121) 상에는 상기 자(122e)의 눈금을 가르킬 수 있는 지시부재(122f)가 포함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카세트(C) 방향으로 전후진 되는 이송판(122b)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정확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가이드부재(122g)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판(122a) 상에는 상기 가이드부재(122g)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구속부재(122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카세트(C)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제2조절부(1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베이스판(11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조절부(124)는 상기 제1베이스판(112)에 조절공(123)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공(123) 내에 조절레일(124a)을 설치한 후 상기 조절레일(124a)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한 길이조절판(124b)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길이조절판(124b)의 위치를 구속할 수 있는 위치구속나사(124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출부(13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베이스판(114)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출부(130)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모터나 실린더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자동 인출타입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출부(130)는 상기 제2베이스판(114)에 설치되는 레일(132)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카세트(C) 내의 글라스(G)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제2베이스판(114)의 상측에 설치되는 레일(132)과, 상기 레일(1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판(134), 및 상기 받침판(134)의 일측에 설치되어 글라스(G)를 인출할 수 있는 인출수단(136)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13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부(130)의 구성이 카세트(C)가 안착되는 상기 제1베이스판(112)으로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13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구성요소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받침판(134)은 상기 레일(1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레일(13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판(134)은 "ㄴ"형상으로 수직벽(134a)이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에 상기 레일(132)과 대응되는 레일홈이 구비된 슬라이이딩부재(134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상기 받침판(134)의 수직벽에 인출수단(136)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출수단(13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134)에 마련되는 높이조절나사(137)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인출수단(136)의 플레이트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브라켓(138)이 상기 받침판(134)에 형성되는 조절공(139)으로 삽입된 후 받침판(134)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나사(137)와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나사(137)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 될 수 있다.
상기 인출수단(136)은 상기 받침판(134)의 수직벽 일측에 설치되는 레일(136a)과, 상기 레일(136a)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받침판(134)의 수직벽에 마련되는 높이조절나사(137)와 결합될 수 있는 브라켓(138)이 구비된 "ㄷ"형상의 플레이트(136b)와, 상기 "ㄷ"형상의 플레이트(136b)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승강부재(136c)와, 상기 플레이트(136b)와 상기 승강부재(136c)를 결합하는 한편 상기 승강부재(136c)를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조절바(136d) 및 상기 승강부재(136c)에 고정결합되며 글라스(G)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인출부재(136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136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부에 각각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바(136d)의 일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승강부재(136c)와 고정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승강부재(136c)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승강봉(136f)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봉(136f)과 끼움결합될 수 있게 상하측에 각각 결합돌기(136g)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136c)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승강봉(136f)에 결합돌기(136g)가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되, 하측에 마련되는 결합돌기(136g)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측에 마련되는 탄성부재(136h)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조절바(136d)는 하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승강부재(136c)의 상측에 위치되는 결합돌기(136g)와 고정결합되되, 상단에 핸들(136i)이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바(136d)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 핸들(136i)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핸들(136i)이 회전하면서 상기 조절바(136d)를 상측으로 끌어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조절바(136d)의 하단과 결합된 승강부재(136c)의 결합돌기(136g)가 상방향으로 향하면서 후술하는 인출부재(136e)를 상방향으로 승강시키게 되는 구조이다.
덧붙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수단(136)은 상기 핸들(136i) 대신 모터나 실린더를 적용하여 자동타입으로 승하강 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결합돌기(136g)가 형성된 승강부재(136c)의 타측에는 인출부재(136e)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재(136e)는 복수개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되,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카세트(C) 내에 위치되는 글라스(G)의 저면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글라스(G)의 하면과 접촉되는 인출부재(136e)의 상측에는 마찰부재(135)를 구비하여 받침판(134)의 이동에 따른 인출부재(136e)의 이동시 글라스(G)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인식을 위한 글라스 인출장치(100)의 인출부(130)는 제2베이스판(114)의 상측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받침판(134) 및 인출수단(136)이 카세트(C)가 안착된 제1베이스판(112) 방향으로 슬딩되어 복수개의 인출부재(136e)가 상기 카세트(C)의 각 글라스(G) 하면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후, 핸들(136i)을 회전시켜 조절바(136d)가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승강부재(136c)가 상방향으로 승강되고 이에 따라 인출부재(136e)가 상승하면서 글라스(G)의 일측면을 들어올린 후 인출부(130)를 카세트(C)가 위치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카세트(C) 내에서 글라스(G)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인식을 위한 글라스 인출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베이스판(114) 상측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인출부(13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위치제한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제한부(150)는 상기 제2베이스판(114)의 일측에 설치되는 안내봉(156)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되는 것으로, 상기 인출부(130)가 상기 카세트(C)가 위치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위치제한부재(152) 및 상기 인출부(130)의 최대 인출을 제한하는 제2위치제한부재(15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위치제한부재(152) 및 제2위치제한부재(154)는 상기 받침판(134)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 상기 받침판(134)과 접촉되는 일면에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완충부재(15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안내봉(156) 상에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구속나사(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인식을 위한 글라스 인출장치(100)는 도 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140)는 상기 인출부(130)를 통해 카세트(C) 외부로 인출된 글라스(G)의 각 상부면에 위치되어 촬영장치(200)의 조명부재(220)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조명부재(220)에서 조사되는 빛이 반사판에 의해 반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메라(210)가 식별코드를 보다 명확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부(140)는 상기 제1베이스판(112)에 형성된 수직프레임(121)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포터(141)와, 상기 글라스(G)에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한 반사부재(142) 및 상기 글라스(G)가 위치된 방향으로 전후진될 수 있도록 상기 서포터(141)와 반사부재(142)를 연결하는 반사봉(143) 및 상기 반사봉(143)의 전후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조절나사(14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글라스(G)를 카세트(C) 내에서 인출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봉(143)을 글라스(G)가 위치된 방향으로 전진시켜 반사부재(142)가 상기 글라스(G)의 각 상면에 위치되도록 한 후 조절나사(144)를 이용하여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글라스(G)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반사부재(142)의 이동거리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서포터(141)에는 눈금이 표시된 자(145)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터(141)에 대해 글라스(G)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반사부재(142)에는 자(145)에 표시된 눈금을 가르킬 수 있는 지시부재(146)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141)에는 상기 반사부재(142)의 위치를 미세 조절할 수 있는 미세조절부(147)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세조절부(147)는 일측면이 상기 수직프레임(121)과 고정결합되는 고정부재(147a)와, 일면이 상기 고정부재(147a)와 고정결합되고 타면에 고정레일이 형성된 수평지지부재(147b)와, 일면에 상기 고정레일과 대응되는 이송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지지부재(147b)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수평이송부재(147c)와, 일면이 상기 수평이송부재(147c)의 타면에 형성되는 레일과 수직이송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면이 상기 서포터(141)와 고정결합되는 수직이송부재(147d)와, 일측이 상기 수평지지부재(147b)와 고정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수평이송부재(147c)에 마련되는 수평가압턱(147e)을 가압하여 상기 수평이송부재(147c)가 수평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 수평미세조절나사(147f) 및 일측이 상기 수평이송부재(147c)와 고정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이송부재(147d)에 고정결합되는 수직가압턱(147g)을 가압하여 상기 수직이송부재(147d)가 수직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 수직미세조절나사(147h)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미세조절나사(147f)를 회전시키게 되면 일측에 마련된 축이 상기 수평가압턱(147e)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수평이송부재(147c)가 수평방향으로 이송되고,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미세조절나사(147h)를 회전시키게 되면 일측에 마련된 축이 상기 수직가압턱(147g)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수직이송부재(147d)가 수직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수직이송부재(147d)와 일측이 고정결합된 서포터(141)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미세하게 이송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반사부재(142)를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인식을 위한 글라스 인출장치(100)의 전체적인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G)가 수납된 카세트(C)를 제1베이스판(112)에 안착시킨다.
이후,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위치조절부(120)의 제1조절부(122)와 제2조절부(124)를 이용하여 카세트(C)의 위치를 고정시킨 후 인출부(130)를 카세트(C)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인출부재(136e)가 카세트(C) 내에 수납된 각각의 글라스(G) 저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베이스판(112)의 측면에 마련된 위치제한부(150)를 이용하여 상기 인출부(13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인출부(130)의 정확한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이후,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36i)을 회전시킴으로써 조절바(136d)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글라스(G)의 일측면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도록 한다.
이후,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부(130)를 카세트(C)가 위치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글라스(G)가 상기 카세트(C) 내에서 인출되도록 하고, 이후, 반사부(140)의 반사부재(142)가 글라스(G)에 마킹된 식별코드로 빛이 반사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인식을 위한 글라스 인출장치(100)는 카세트(C) 내에 수납된 글라스(G)를 쉽고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어 촬영장치(200)가 정확하게 식별코드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반사부(140)를 통해 조명부재에서 발산되는 빛을 식별코드로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식별코드를 보다 정확게 인식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인출장치 110 : 베이스
112 : 제1베이스판 114 : 제2베이스판
120 : 안착위치조절부 121 : 수직프레임
122 : 제1조절부 122a : 고정판
122b : 이송판 122c : 핸들
122d : 가압축 122e : 자
122f : 지시부재 122g : 가이드부재
122h : 구속부재 123 : 조절공
124 : 제2조절부 124a : 조절레일
124b : 길이조절판 124c : 위치구속나사
130 : 인출부 132 : 레일
134 : 받침판 135 : 마찰부재
136 : 인출수단 136a : 레일
136b : 플레이트 136c : 승강부재
136d : 조절바 136e : 인출부재
136f : 승강봉 136g : 결합돌기
136h : 탄성부재 136i : 핸들
137 : 높이조절나사 138 : 브라켓
139 : 조절공 140 : 반사부
141 : 서포터 142 : 반사부재
143 : 반사봉 144 : 조절나사
145 : 자 146 : 지시부재
147 : 미세조절부 147a : 고정부재
147b : 수평지지부재 147c : 수평이송부재
147d : 수직이송부재 147e : 수평가압턱
147f : 수평미세조절나사 147g : 수직가압턱
147h : 수직미세조절나사 150 : 위치제한부
152 : 제1위치제한부재 154 : 제2위치제한부재
156 : 안내봉 158 : 완충부재
200 : 촬영장치 C : 카세트
G : 글라스

Claims (12)

  1.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에 안착되는 카세트(C)의 안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안착위치조절부(120)와,
    상기 카세트(C) 내에 수납되는 글라스(G)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인출부(130) 및
    상기 인출된 글라스(G)의 일측에 위치되어 조명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한 반사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부(130)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 설치되는 레일(136a)과,
    상기 레일(136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판(134) 및
    상기 받침판(134)의 일측에 설치되어 글라스(G)를 인출할 수 있는 인출수단(136)으로 이루어진 글라스 인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위치조절부는
    상기 카세트의 측면에 위치되어 폭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제1조절부와,
    상기 카세트의 후면에 위치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제2조절부로 이루어진 글라스 인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는
    상기 카세트 방향으로 전후진 되는 이송판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자 및 상기 이송판의 위치 이동에 따른 이동거리를 알릴 수 있도록 상기 자의 눈금을 가르킬 수 있는 지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글라스 인출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받침판에 마련되는 높이조절나사에 의해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글라스 인출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수단은
    상기 받침판의 수직벽 일측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받침판의 수직벽에 마련되는 높이조절나사와 결합될 수 있는 브라켓이 구비된 "ㄷ"형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ㄷ"형상의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승강부재를 결합하는 한편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조절바 및
    상기 승강부재에 고정결합되며 글라스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인출부재로 이루어진 글라스 인출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글라스 인출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의 상측에는 글라스의 저면과 접촉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마찰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는 글라스 인출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인출장치는 상기 인출부가 상기 카세트가 위치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위치제한부재 및 상기 인출부의 최대 인출을 제한하는 제2위치제한부재로 이루어진 위치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글라스 인출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인출부의 받침판과의 접촉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글라스 인출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수직프레임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포터와,
    상기 글라스에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한 반사부재와
    상기 글라스가 위치된 방향으로 상기 반사부재가 전후진될 수 있도록 상기 서포터와 반사부재를 연결하는 반사봉 및
    상기 반사봉의 전후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조절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글라스 인출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반사부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미세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글라스 인출장치.
KR1020130011673A 2013-02-01 2013-02-01 코드인식을 위한 글라스 인출장치 KR101392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673A KR101392729B1 (ko) 2013-02-01 2013-02-01 코드인식을 위한 글라스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673A KR101392729B1 (ko) 2013-02-01 2013-02-01 코드인식을 위한 글라스 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2729B1 true KR101392729B1 (ko) 2014-05-12

Family

ID=50893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673A KR101392729B1 (ko) 2013-02-01 2013-02-01 코드인식을 위한 글라스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7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744A (ko) * 1996-10-04 1998-07-15 김광호 광문자인식기가 부착된 반도체 웨이퍼 검사장치
KR20080040562A (ko) * 2006-11-02 2008-05-08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천정 주행차
KR20120067491A (ko) * 2010-12-16 2012-06-26 미래산업 주식회사 기판 이송장치
KR101198222B1 (ko) * 2011-07-05 2012-11-07 (주)유알시스 반사판이 구비된 코드인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744A (ko) * 1996-10-04 1998-07-15 김광호 광문자인식기가 부착된 반도체 웨이퍼 검사장치
KR20080040562A (ko) * 2006-11-02 2008-05-08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천정 주행차
KR20120067491A (ko) * 2010-12-16 2012-06-26 미래산업 주식회사 기판 이송장치
KR101198222B1 (ko) * 2011-07-05 2012-11-07 (주)유알시스 반사판이 구비된 코드인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5160B2 (ja) 部品移送装置
JPS6041955A (ja) Ct用寝台昇降装置
CN207982217U (zh) 铆钉自动装配设备
TW533179B (en)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means delivering sheets to a machine
CN105314831A (zh) 玻璃定位台及玻璃定位方法
TWI403447B (zh) 零件移送裝置及方法
KR101392729B1 (ko) 코드인식을 위한 글라스 인출장치
CN105414476B (zh) 一种微波芯片注蜡机
KR101198222B1 (ko) 반사판이 구비된 코드인식장치
CN216942324U (zh) 自动视觉检测装置
US4264158A (en) Picture changer for large-scale picture projector
CN111847160B (zh) 电梯轨道用夹具
HK1042883A1 (en) Storage device with a vertical cassette for stacking cards
CN204151221U (zh) 玻璃定位台
JP3587288B2 (ja) カッティング機能付き装置におけるカッター昇降機構
CN221274180U (en) Propelling type medicine supplementing manipulator
KR20140025517A (ko) 얼라인먼트 장치 및 얼라인먼트 방법
JPH0430549A (ja) 基板搬送装置
JPH0812141A (ja) 原反ロールホルダーへの装着用原反ロールリフター
CN217719538U (zh) 自动晶圆搬运系统
CN117412580B (zh) 插件设备
CN212099620U (zh) 一种自动开箱封底机的储存上料装置
KR20030062674A (ko) 메달가공프린터를 이용한 자판기용 메달 자동이송장치
JP4338765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US20050008265A1 (en) OCR targe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