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996B1 - 유리패널 적층용 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리패널 적층용 간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996B1
KR101391996B1 KR1020110101820A KR20110101820A KR101391996B1 KR 101391996 B1 KR101391996 B1 KR 101391996B1 KR 1020110101820 A KR1020110101820 A KR 1020110101820A KR 20110101820 A KR20110101820 A KR 20110101820A KR 101391996 B1 KR101391996 B1 KR 101391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termediate layer
esd coating
nonwoven fabric
fabric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426A (ko
Inventor
이재덕
김승렬
Original Assignee
(주)탑나노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탑나노시스 filed Critical (주)탑나노시스
Priority to KR1020110101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996B1/ko
Publication of KR20130037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14Corona, ionisation, electrical discharge, plasma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는, 부직포 시트, 상기 부직포 시트의 양 측면 상에 폴리머 복합 수지로 이루어진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 상에,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ESD 코팅층을 구비한다. 개시된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 제조방법은,폴리머 복합 수지로 이루어진 중간층 상에,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를 포함하는 ESD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ESD 코팅층이 형성된 중간층을, 부직포 시트의 양 측면 상에 접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리패널 적층용 간지 및 이의 제조방법{Interleaving sheet for stacking glass panel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나노튜브를 코팅한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LCD, PDP와 같은 평판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에 사용되는 유리 패널은 손상되기 쉬워서 운반 중에 취급 주의가 요구된다. 유리 패널의 운반 방법은 복수 개의 유리 패널을 하나의 포장 박스에 적층하여 운반하되, 인접한 유리 패널 사이에 간지를 끼워 넣어 보호하는 방법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자체 또는 유리 패널을 포장할 때 정전기로 인한 제품 손상 또는 운송 중 충격으로 인한 제품 파손을 예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종래의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에는 도전 물질로 도전성 폴리머가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도전성 폴리머를 적용한 간지는 자외선(UV)에 취약하여 변질 가능성이 크다. 또한, 포장 박스에서 유리 패널을 취출할 때 로봇(robot)을 이용한 자동화 작업에 의해 유리 패널과 간지를 구분하여 취출하므로 간지의 색상을 유리 패널과 다르게 착색하여야 한다. 따라서 간지 제조시 흑색 안료 등을 투입하여 착색하는 과정이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도전성 폴리머를 적용한 간지는 대전방지 성능이 상대적으로 떨어져서 정전기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이에 따라서 간지와 유리 패널 사이가 잘 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자외선(UV)에 의한 변질 가능성이 적은, 즉 자외선에 강한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와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간지보다 생산 비용이 저렴한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와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전기가 덜 발생하여 간지와 LCD 패널이 잘 떨어지면서 소재적인 면에서 오염이 되기 어려운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 및 이의 제조 방법을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는, 부직포 시트와, 중간층과, ESD 코팅층을 포함한다. 중간층은 상기 부직포 시트의 양 측면 상에 폴리머 복합 수지로 이루어진다. ESD 코팅층은 상기 중간층 상에,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층 및 상기 ESD 코팅층 사이에, 상기 ESD 코팅층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프라이머층(primer laye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층 및 상기 ESD 코팅층 사이에, 상기 중간층을 코로나 처리(corona treatment)하여 형성된 코로나 처리층(corona treated laye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 시트의 표면은 엠보싱(embossing) 처리되어 요철(凹凸)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층 및 상기 ESD 코팅층은 상기 부직포 시트의 요철 형상에 대응되는 요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ESD 코팅층은 ESD 코팅제를 도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ESD 코팅제는 용매와, 상기 용매에 혼합된 것으로, 용매에 페녹시(phenoxy), AUD(Acryl urethane Dispersion),Carboxyl-Modified Vinyl Copolymer, 수분산 폴리우레탄(waterborne polyurethane),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부틸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수지와,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지는 상기 ESD 코팅제 중량의 10 내지 20 중량%,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ESD 코팅제 중량의 0.1 내지 5.0 중량%를 차지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시트의 원료섬유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합성섬유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머 복합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이고, 상기 부직포 시트와 중간층 사이에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접착층이 개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의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 제조방법은, 폴리머 복합 수지로 이루어진 중간층 상에,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를 포함하는 ESD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ESD 코팅층이 형성된 중간층을, 부직포 시트의 양 측면 상에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ESD 코팅층이 형성된 중간층을부직포 시트의 양 측면 상에 접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중간층의상기 ESD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면과, 상기 부직포 시트 사이에 밀도가 0.9 미만인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직포 시트와 중간층 사이를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직포 시트 및 중간층은 웹(web) 형상으로 각각 언와인딩 롤러로부터 이송되어, 압착롤과 냉각롤 사이에서압착되어서 접착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압착롤과 냉각롤로 이송되기 직전에 압출기(티 다이)로부터 압출되어서 상기 부직포 시트 및 중간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간층 접착 단계와 상기 ESD 코팅층 형성 단계 사이에, 상기 ESD 코팅층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프라이머층(primer layer)을 형성하는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 형성 단계는, 용매(solvent)에 염화올레핀(chlorinated Polyolefin) 및 변성 고무(modified rubber)를 혼합하여 프라이머코팅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라이머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층 형성 단계와 상기 ESD 코팅층 형성 단계 사이에 상기 중간층을 코로나 처리(corona treatment)하여 코로나 처리층(corona treated layer)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SD 코팅층 형성 단계는 용매에 수분산 폴리우레탄(waterborne polyurethane) 및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여 ESD 코팅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ESD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ESD 코팅제 형성 단계에서 상기 수분산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비닐부틸알(poly vinyl butyral)등 수지는 상기 ESD 코팅제 중량의 10 내지 20 중량%,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ESD 코팅제 중량의 0.1 내지 5.0 중량%이 혼합되고, 상기 용매는 에탄올(ethanol)과 탈이온수(deionized water)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ESD 코팅층을 적용하여 자외선(UV)에 노출되더라도 변질 가능성이 적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는 착색제인 카본블랙 또는 흑색 안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종래의 간지보다 생산 비용이 절감되고, 카본블랙 또는 흑색 안료로 인한 유리 패널의 오염이나 주변의 오염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 제조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b 단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의 비교예들에 따른 박리 대전압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10)는 부직포 시트(non-woven fabric sheet)(11)와, 부직포 시트(11)의 양 측면 상에 형성된 폴리머 발포 수지로 이루어진 중간층(12)과, 상기 중간층(12) 상에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CNT))를 포함하여 형성된 ESD 코팅층(14)을 구비한다.
상기 부직포 시트(11)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시트 형상을 한다. 상기 부직포란 섬유를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펠트모양으로 만든 것을 의미한다.
상기 부직포는 침지식(浸漬式)과 건식(乾式)으로 가공할 수 있다. 침지식은 초지식(抄紙式)이라고도 하며, 섬유를 합성수지 접착제 통에 넣어 적셨다가 건조 ㅇ열처리한 것으로, 종이와 비슷하다.건식은 섬유를 얇은 솜 모양으로 만든 것에 합성수지를 내뿜고 열을 가하여 건조시킨 것이다.
상기 부직포 시트(11)는 펠트 모양으로서 유리 패널 사이에 끼워질 때 완충성을향상시킨다. 또한, 사용섬유와 접착제는 합성고분자가 대부분이어서 주름방지성이 우수하고, 형태안정성이 크다. 내구성이 우수하여 저온안정성, 내열성, 열충격성, 내습성이 우수하다.
상기 부직포 시트의 원료섬유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합성섬유일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상기 부직포 시트는 폴리프로필렌 합성섬유를 원료섬유일 수 있다.
한편, 완성된 간지(10)를 유리 패널 포장에 적용하여 포장 박스에서 유리 패널을 취출할 때 로봇(robot)이 광학 기반 센서를 이용하여 유리 패널과 간지(10)를 구분하여 취출한다. 따라서 간지(10)가 유리 패널과 마찬가지로 광택이 있으면 에러가 발생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부직포 시트는 흑색을 띠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 시트(11)는 펠트 형상으로 표면이 매끄럽지 않다. 또한, 상기 부직포 시트 표면에 코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부직포 시트 양 측면에 중간층(12)이 적층된다. 상기 중간층은 후에 상세히 기술할 ESD 코팅층과 부직포 시트 사이의 접착력 향상, 두께 감소 및 코팅력 향상을 가져온다.
상기 중간층(12)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중간층(12)은 얇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필름을 접착하거나, 폴리에틸렌 수지를 얇게 도포하고 경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중간층(12)이 폴리에틸렌 테레부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경우,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경우보다 제조시에 부피가 작아지는 정도가 작아서 상기 부직포 시트 상에 접착하기가 용이하고, 전단 응력이 크고, 세정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부직포 시트(11)에 중간층(12)이 직접적으로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부직포 시트(11)에 중간층(12)이 직접적으로 부착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상기 부직포 시트(11)와 중간층(12) 사이에는 접착층(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9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15)은 상기 부직포 시트와 중간층 사이가 접하기 직전에 상기 부직포 시트 및 중간층 중의 적어도 하나에 열 융착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단계 이후에 상기 부직포 시트와 중간층 사이가 접해지게 되면, 상기 접착층(15)에 의하여 상기 부직포 시트 및 중간층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ESD 코팅층(14)은, 에탄올(ethanol)과 탈이온수(deionized water)를 혼합하여형성된 용매에, 수지 및 도전물질인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여 ESD 코팅제를 제조하고, 이 ESD 코팅제를 프라이머층(13) 상에 도포하고 경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수성용매일 수 있다. 또한, 수지는 페녹시(phenoxy), AUD(Acryl urethane Dispersion),Carboxyl-Modified Vinyl Copolymer, 수분산 폴리우레탄(waterborne polyurethane),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부틸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수분산 폴리우레탄은 예컨대, Sancure™ 12954 또는 Sancure™ 898 이, 폴리에스테르는 Vylon 200, 305, 3200, 폴리비닐부틸알은 BM-2, 60H, 08HX 가 적용될 수 있고, ESD 코팅제의 총 중량의 10 내지 20 중량% 이 상기 용매에 투입될 수 있다. 이는, 10 중량% 미만의 상기 수지를 투입시 ESD 코팅제의 부착력이 약하고 탄소나노튜브의 혼합 및 분산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간지(10) 사용시 탄소나노튜브가 묻어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20 중량% 초과의 상기 수지를 투입시 ESD 코팅제의 부착력은향상되나 점성이 크고 건조가 느려져 작업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탄소나노튜브는 ESD 코팅제의 중량의 0.1 내지 5.0 중량% 이 상기 용매에 투입될 수 있다. 0.1 중량% 미만의 탄소나노튜브 투입은 간지(10)의 도전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5.0 중량% 초과의 탄소나노튜브 투입은 간지(10) 제조의 시간과 비용을 증대시켜 경제성을 저하시킨다.
원가 절감을 고려하면 다중벽탄소나노튜브(MWCNT: multi-wall carbon nano tube)의 적용이 단일벽탄소나노튜브(SWCNT: single-wall carbon nano tube)의 적용보다 바람직하다.
탄소나노튜브는 우수한 도전성을 가짐으로써 대전방지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한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는 정전기의 발생이 억제되어서, LCD 패널 등과 같은 유리가 잘 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작업 공정이 빨라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재적으로도 오염이 적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는 자외선에 강하고, 예컨대, 카본블랙(carbon black) 등의 흑색 착색제를 별도로 첨가하지않아도 유리 패널과의 식별에 문제가 없어 제조 비용이 절감되며, 도전성이 뛰어나 정전기 발생으로 인한 유리 패널 및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ESD 코팅층(14)은 전도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도전층에 비해 표면이 상대적으로 거칠어 유리 패널과 간지(10)의 부착 가능성이감소되며, 유리 패널과 간지의 분리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 ESD 코팅제 형성 단계에는 미량의 도막 평활제(leveling agent)와 소광제(matting agent)가 수성 용매에 함께 투입될 수 있다. 도막 평활제는 ESD 코팅제가 얇고 편평하게 도포되도록 성능을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도막 평활제의 예로서, Dynol™ 604 607을 들 수 있으며, 이 경우, Dynol™ 604 607은ESD 코팅제의 중량의 0.04 내지 0.08 중량% 투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층(12)과 ESD 코팅층 사이에는 프라이머층(primer layer)(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13)은 ESD 코팅층(14)이 상기 중간층(12)에 접착되는 접착력을 향상시켜주기 위한 층으로, 프라이머 코팅제를 상기 중간층(12)에 얇게 도포하고 경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제는, 용매(solvent)에 염화올레핀(chlorinated Polyolefin) 및 변성 고무(modified rubber)를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용매는 톨루엔(toluene)과 크실렌(xylene)을 혼합하여 형성된다.
도2는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2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20)는, 부직포 시트(11)와, 부직포 시트(11)의 양 측면 상에 형성되며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진 중간층(12)과, 상기 중간층(12)의 표면에 형성된 코로나 처리층(corona treated layer)(23)과, 코로나 처리층(23) 상에 형성되며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ESD 코팅층 (14)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중간층(12)과 부직포 시트(11) 사이는 접착층(15)에 의하여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부직포 시트(11), 중간층(12), ESD 코팅층(14) 및 중간층(15)의 성분 및 제조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부직포 시트(11), 중간층(12), ESD 코팅층(14) 및 중간층(15)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동일부호를 적용하였으며, 이에 따라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코로나 처리는 고주파 및 고전압의 출력을 방전 전극과 롤러 사이에 인가하여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고, 이렇게 형성된 코로나 방전 하에서 기재를 통과시켜 기재를 표면 처리하는방식을 의미한다.
상기 코로나 처리층(23)은 코로나 방전 조건 하에서 중간층(12)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형성된 층으로, ESD 코팅제의 접착력을 강화하고, 코팅 얼룩을 개선하며, 적층되는 ESD 코팅층(14)의 두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직포 시트의 표면은엠보싱(embossing) 처리되어 다수의 요철(凹凸)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시트(11)가 다수의 요철을 구비하므로 그 양 측면 상에 차례로 적층 형성된 중간층(12), 프라이머층(13)(또는 코로나 처리층(23)), 및 ESD 코팅층(14)은 모두 부직포 시트(11)의 요철 형상에 대응되는 다수의 요철을 갖는다. 즉, 완성된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10, 20)의 표면에도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간지(10, 20)의 완충력이 도 1 및 도 2의 간지(10, 20)의 완충력보다 증대될 수 있고, 유리 패널 사이에 끼워질 때 유리 패널과 직접 닿는 면이 줄어들게 되어 유리 패널과 간지(10, 20) 사이의 부착 가능성이 더욱 감소한다.
한편, 부직포 시트(11)의 다수의 요철이 ESD 코팅층(14)에서도 그대로 표현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ESD 코팅층(14)을 형성하기 위한 ESD코팅제를 제조함에 있어 도막 평활제(leveling agent) 첨가는 더 큰 중요성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 제조 방법(S100)은,폴리머 복합 시트로 이루어진 중간층 상에,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를 포함하는 ESD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110)와, 상기 ESD 코팅층이 형성된 중간층을 부직포 시트(non-woven fabric sheet)의 양 측면 상에 접착시키는 단계(S120)를 포함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여 각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층(12) 상에 ESD 코팅층(14)을 코팅시킨 복합층(160)을 별도로 두 개 형성시킨다.
이 경우, 상기 중간층(12)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층(12) 및 ESD 코팅층(14) 사이에는 프라이머층(13) 또는 코로나 처리층(23)이 개재되어서, 상기 중간층(12) 상에 ESD 코팅층(14)의 코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후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합층(160)을, 부직포 시트(11)의 양 측면 상에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복합층(160)의 부직포 시트에 부착되는 면은, ESD 코팅층(14)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면이다. 상기 복합층(160) 및 부직포 시트(11) 사이에는 잡착층(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합층(160) 및 부직포 시트(11)가 각각 언와인더(unwinder)(2, 3)에 권취된 웹(web) 형상으로 가이드 롤러 등을 통하여 접착 지점으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접착 지점으로 이송된 복합층(160) 및 부직포 시트(11) 사이를 압착롤을 통하여 압착 및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되어 완성된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를 리와인딩하거나, 크기에 맞추어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시트(11)의 원료섬유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합성섬유일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상기 부직포 시트(11)는 폴리프로필렌 합성섬유를 원료섬유일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상기 접착시키기 직전에 복합층(160)과 부직포 시트(11) 중 적어도 일면에 접착층 소재(150)를 디스펜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 소재는 압출기(T-die)(5)로부터 나와서 가열된 상태로, 복합층(160) 및부직포 시트(11) 중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고, 후에 접착 지점에서 상기 복합층(160)과 부직포 시트(11) 사이에서 개재된 상태로 냉각 압착되어서, 상기 복합층(160)과 부직포 시트(11)사이를 접착시킴으로써 접착층(15)이 된다.
상기 복합층(160) 및 부직포 시트(11) 사이를 접착 지점에서 압착 및 접착하는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측으로부터 가이드 롤러 등을 통하여 부직포 시트(11)를 접착 지점으로 이송시킨다. 또한 다른 가이드 롤러 등을 통하여 복합층(160)을 접착 지점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접착 지점 직전에는 압출기(5)가 배치되고, 상기 압출기(5)로부터 접착층 소재(150)가 디스펜싱되어서 상기 복합층(160)의 상기 부직포 시트(11)와 맞닿는 일면에 도포된다.
상기 접착 지점에 이송된 복합층(160) 일면 및 부직포 시트(11)의 일면은, 압착롤(6)과 냉각롤(7)에 의하여 합착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부직포 시트(11)의 일면이 상기 접착층 소재와 맞닿으면서 냉각되어서, 상기 부직포 시트(11) 일면이 복합층(160)과 합착된다.
그 후에, 상기 부직포 시트의 타면(상기 복합층이 접착되지 않은 면)을 복합층과 접착하는 공정을 거친다. 상기 과정은 부직포 시트의 일면에 복합층을 접착시키는 공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구체적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험예>
도 1에 도시된 간지(10)를 제조함에 있어서, 수성 용매로서 에탄올을 41.86 중량%, 수성 용매로서 탈이온수를 42.5 중량%, 도막 평활제로서 Dynol™ 604를 0.04 중량%, 수분산 폴리우레탄으로서 Sancure™ 898을 15.0 중량%, 및 다중벽탄소나노튜브(MWCNT)를 0.6 중량% 조성비로 혼합하여 CNT 코팅제를 제조하고 이를 도포 및 경화하여 ESD 코팅층(14)을 형성하였다.
상기 부직포 시트(11)는 폴리프로필렌 합성섬유를 원료섬유로 제조 되었다. 또한, 중간층(12)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제조된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10)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저항은 105Ωsq 이고, 부착력 및 내수성은 양호하였다.
도 7은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의 비교예 및 실험예에 따른 박리 대전압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박리 대전압은 붙어있는 소재가 떨어질 때 발생되는 대전압을 의미한다. 이 경우, 비교예는 폴리에틸렌 발포 시트만으로 이루어진 간지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폴리에틸렌 발포 시트만으로 이루어진 간지보다 실험예가 다수 회에 걸친 측정을 통하여 박리 대전압이 유효성 있게 낮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험예가 정전기 발생으로 인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유리 패널의 손상 가능성을 보다 더 줄일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박리 대전압은 소재가 접촉되어 있다가 서로 분리되면서 발생되는 대전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20: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
11: 부직포 시트
12: 중간층
13: 프라이머층
14: ESD 코팅층
23: 코로나 처리층

Claims (13)

  1.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제작된 것으로, 펠트 형상을 가지며 무광의 부직포 시트;
    상기 부직포 시트의 양 측면 상에 배치된 것으로, 0.9 미만의 밀도를 가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머 복합 수지로 이루어진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 상에,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ESD 코팅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 및 상기 ESD 코팅층 사이에, 상기 ESD 코팅층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프라이머층(primer layer)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은, 프라이머 코팅제를 상기 중간층에 도포하고 경화하여 형성되며,
    상기 프라이머 코팅제는, 톨루엔(toluene)과 크실렌(xylene)을 혼합된 용매(solvent)에, 염화올레핀(chlorinated Polyolefin) 및 변성 고무(modified rubber)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 및 상기 ESD 코팅층 사이에, 상기 중간층을 코로나 처리(corona treatment)하여 형성된 코로나 처리층(corona treated layer)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시트의 표면은 엠보싱(embossing) 처리되어 요철(凹凸)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층 및 상기 ESD 코팅층은 상기 부직포 시트의 요철 형상에 대응되는 요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ESD 코팅층은 ESD 코팅제를 도포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ESD 코팅제는:
    용매와;
    상기 용매에 혼합된 것으로, 용매에 페녹시(phenoxy), AUD(Acryl urethane Dispersion),Carboxyl-Modified Vinyl Copolymer, 수분산 폴리우레탄(waterborne polyurethane),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부틸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서, 상기 ESD 코팅제 중량의 10 내지 20 중량%을 가진 수지와;
    상기 ESD 코팅제 중량의 0.1 내지 5.0 중량%를 차지하는 탄소나노튜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시트의 원료섬유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합성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
  7. 삭제
  8. 삭제
  9.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머 복합 수지로 이루어진 중간층 상에,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를 포함하는 ESD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ESD 코팅층이 형성된 중간층을, 부직포 시트의 양 측면 상에 접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ESD 코팅층이 형성된 중간층을 부직포 시트의 양 측면 상에 접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중간층의 상기 ESD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면과, 상기 부직포 시트 사이에 밀도가 0.9 미만인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부직포 시트와 중간층 사이를 압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 제조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시트 및 중간층은 웹(web) 형상으로 각각 언와인딩 롤러로부터 이송되어, 압착롤과 냉각롤 사이에서 압착되어서 접착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압착롤과 냉각롤로 이송되기 직전에 압출기로부터 압출되어서 상기 부직포 시트 및 중간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 제조방법.
  11. 제9 항 내지 제10 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 상에 ESD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중간층의 일면에 상기 ESD 코팅층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프라이머층(primer layer)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프라이머층 일면에 상기 ESD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 형성 단계는, 용매(solvent)에 염화올레핀(chlorinated Polyolefin) 및 변성 고무(modified rubber)를 혼합하여 프라이머 코팅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라이머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 제조방법.
  12. 제9 항 내지 제10 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 상에 ESD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중간층을 코로나 처리(corona treatment)하여 상기 중간층 일면에 코로나 처리층(corona treated layer)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코로나 처리층 표면에 상기 ESD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패널 적층용 간지 제조방법.
  13. 삭제
KR1020110101820A 2011-10-06 2011-10-06 유리패널 적층용 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91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820A KR101391996B1 (ko) 2011-10-06 2011-10-06 유리패널 적층용 간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820A KR101391996B1 (ko) 2011-10-06 2011-10-06 유리패널 적층용 간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426A KR20130037426A (ko) 2013-04-16
KR101391996B1 true KR101391996B1 (ko) 2014-05-07

Family

ID=4843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820A KR101391996B1 (ko) 2011-10-06 2011-10-06 유리패널 적층용 간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9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265B1 (ko) * 2015-03-03 2015-08-03 서희교 자동차 용품에 부착되는 흠 방지용 부착물
WO2018218500A1 (en) * 2017-05-31 2018-12-06 Avery Dennison Corporation Electrostatic discharge polyethylene terephthalate lab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366B1 (ko) * 2021-05-24 2023-07-13 (주) 디유티코리아 유리섬유 촙을 이용한 lng 운반선의 화물창용 복합 보냉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555341B1 (ko) * 2021-05-24 2023-07-13 (주) 디유티코리아 합판 대체용 복합재료층을 포함한 lng 운반선의 화물창용 복합 보냉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7623A (ja) * 1994-12-08 1996-06-18 Sekisui Chem Co Ltd 内装材の製造方法
KR20090021252A (ko) * 2008-09-30 2009-03-02 나노캠텍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대전방지 적층 지지체의 제조방법
KR100926831B1 (ko) * 2007-12-11 2009-11-12 두성산업 주식회사 상하통전 성능이 우수한 전자파 차폐용 다층 탄성 복합쿠션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37353A (ko) * 2009-10-06 2011-04-13 장관식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대전방지 수평 적층 지지체
KR20110071578A (ko) * 2009-12-21 2011-06-29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부직포를 이용한 lcd패널 보호용 간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7623A (ja) * 1994-12-08 1996-06-18 Sekisui Chem Co Ltd 内装材の製造方法
KR100926831B1 (ko) * 2007-12-11 2009-11-12 두성산업 주식회사 상하통전 성능이 우수한 전자파 차폐용 다층 탄성 복합쿠션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21252A (ko) * 2008-09-30 2009-03-02 나노캠텍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대전방지 적층 지지체의 제조방법
KR20110037353A (ko) * 2009-10-06 2011-04-13 장관식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대전방지 수평 적층 지지체
KR20110071578A (ko) * 2009-12-21 2011-06-29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부직포를 이용한 lcd패널 보호용 간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265B1 (ko) * 2015-03-03 2015-08-03 서희교 자동차 용품에 부착되는 흠 방지용 부착물
WO2018218500A1 (en) * 2017-05-31 2018-12-06 Avery Dennison Corporation Electrostatic discharge polyethylene terephthalate lab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426A (ko) 201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50548A1 (en) Decorative article with control shrinkage carrier
KR101391996B1 (ko) 유리패널 적층용 간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80102239A1 (en) End of roll paper sensing and system management
US20080003423A1 (en) Stretched film of void-containing thermoplastic resi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12140008A (ja) 静電気防止性能に優れた離型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87387B1 (ko) 대전방지용 시트 및 이를 포함하여 대전방지된 작업 스테이지
TWI575050B (zh) 用於封裝電子組件之熱密封覆蓋膜
JP5554996B2 (ja) 包装材料積層体の製造方法、包装材料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CN104379346A (zh) 静电吸附片材和使用了其的显示物
JP2001113631A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
JP2015071297A (ja) 静電吸着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物
WO2007059408A2 (en) Graphics substrate
US20060005924A1 (en) Method for producing thermoplastic resin laminated sheet
CN107635764A (zh) 贴合光学膜的制造方法、贴合光学膜的制造装置及剥离膜的剥离方法
CN104260539A (zh) 防静电发泡珍珠棉的制作方法
JP2020073317A (ja) 静電吸着積層シート及び表示物
JP7286924B2 (ja) 耐内容物性エージングレス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材料
EP2578397B1 (en) Antistatic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07145025A (ja) フッ素樹脂積層フイルム
JP4656649B2 (ja) 保護フィルム
KR20120122649A (ko) 유리패널 적층용 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55872A (ko) 대전방지 폼 간지의 제조방법
JPH11268204A (ja) フッ素樹脂積層フイルム
CN211367452U (zh) 一种四面抗静电pu胶保护膜
IT201800006996A1 (it) Accoppiato termolaminato in “monomateriale” a base di polietilene per imballaggi flessibili riciclabi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