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248B1 - 볼 리테이너, 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장치 및 볼 리테이너 제조용 금형 - Google Patents

볼 리테이너, 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장치 및 볼 리테이너 제조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248B1
KR101391248B1 KR1020120059984A KR20120059984A KR101391248B1 KR 101391248 B1 KR101391248 B1 KR 101391248B1 KR 1020120059984 A KR1020120059984 A KR 1020120059984A KR 20120059984 A KR20120059984 A KR 20120059984A KR 101391248 B1 KR101391248 B1 KR 101391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eway
ball
rail
extension
ball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6289A (ko
Inventor
박윤식
차현호
Original Assignee
박윤식
(주)세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식, (주)세고스 filed Critical 박윤식
Priority to KR1020120059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248B1/ko
Publication of KR20130136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9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Landscapes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장치의 볼 리테이너 및 그것을 제조하기 위한 볼 리테이너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볼 리테이너는, 폭 방향으로는, 중심선으로부터 서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길이 방향으로는, 중앙에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볼이 삽입되는 복수의 볼 삽입홈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는 각각 횡단면적이 확장되는 확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볼 리테이너, 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장치 및 볼 리테이너 제조용 금형{BALL RETAINER, SLIDE DDVICE AND MOL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슬라이드 장치의 볼 리테이너, 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장치 및 볼 리테이너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드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로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79712호에 공개된 출원인 고유의 슬라이드 장치의 수직 단면도로서, 슬라이드(1)는 고정레일(2), 제1 이동레일(3), 제2 이동레일(4), 고정레일(2)과 제1 이동레일(3) 사이 및 제1 이동레일(3)과 제2 이동레일(4) 사이에 위치되며 다수의 볼(9)이 삽입되는 볼 리테이너(100)를 포함한다. 고정레일(2)은 책상, 캐비닛 등과 같은 고정 파트에 고정되고 제2 이동레일(4)은 서랍과 같은 이동 파트에 고정된다. 제1 이동레일(3)은 고정레일(2)에 대해 슬라이딩하고, 제2 이동레일(4)이 제1 이동레일(3)에 대해 슬라이딩함으로써 이동 파트는 고정 파트에 대해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다. 제2 이동레일(4)의 레이스웨이(8)와 제1 이동레일(3)의 레이스웨이(7) 사이 및 고정레일의 레이스웨이(5)와 제1 이동레일(3)의 레이스웨이(6)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볼(9)은 제2 이동레일(4)이 제1 이동레일(3)에 대해, 그리고 제1 이동레일(3)이 고정레일에 대해 슬라이딩할 때 구름운동을 하여 이동 파트의 하중을 지지하면서도 제1 이동레일(3) 및 제2 이동레일(4)의 슬라이딩 시 발생하는 레일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하며, 볼 리테이너(100)는 각 레일들 사이에서 하중의 적절한 전달을 위하여 볼(9)의 배치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통상적으로 볼 리테이너(100)에 삽입되는 볼(9)은 서랍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볼 리테이너(100) 동체는 금속 또는 적당한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서랍을 인출 및 인입시키는 과정에서 서랍에 진동 및 충격이 가해지게 되는데, 슬라이드 장치(1)가 장착되는 서랍은 대부분 목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진동 및 충격에 의해 분진이 발생하고 나무 조각이 서랍 및 책상으로부터 떨어져 나올 수 있다. 이때, 이 분진 등이 레일(2, 3, 4)의 레이스웨이(5, 6, 7, 8)에 떨어지면 볼(9)의 구름 운동의 장애물로 작용한다. 다시 말해, 분진 등이 레이스웨이(5, 6, 7, 8)의 볼(9)의 구름 운동 경로 상에 쌓이면 분진 등이 볼(9)에 달라붙어 볼(9)의 구름 운동을 방해하며, 이로 인해 볼(9)이 원활하게 구르지 못하게 됨으로써 서랍을 인출 및 인입시킬 때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킨다.
또한, 볼(9)이 원활하게 구름 운동할 수 있게 하고, 슬라이드 장치의 작동에 따라 레이스웨이(5, 6, 7, 8)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이스웨이(5, 6, 7, 8)에는 그리스(grease)와 같은 윤활제가 도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레이스웨이(5, 6, 7, 8)에 분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윤활제가 오염되면 레일(2, 3, 4)의 내구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슬라이드 장치를 반복적으로 인출 및 인입시키면 볼(9)에 의해 윤활제가 밀려나서 레이스웨이(5, 6, 7, 8)로부터 누출된다. 이에 의해 레일(2, 3, 4)의 다른 부분이 윤활제에 의해 오염될 뿐만 아니라 윤활 기능을 하기 위한 윤활제가 부족하여 볼(9) 또는 레이스웨이(5, 6, 7, 8)가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주기적으로 레이스웨이(5, 6, 7, 8)에 윤활제를 도포하기도 하였다.
나아가, 분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나무 조각 등이 레이스웨이(5, 6, 7, 8)에 떨어지게 되면 나무 조각이 볼(9)과 레이스웨이(5, 6, 7, 8) 사이에 끼임으로써 슬라이드 장치(1)의 동작이 불능에 빠질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드 장치(1)는 서랍을 인출 및 인입시킬 때 제1 이동레일(240) 및 제2 이동레일(270)이 최대 인출 및 최대 인입 지점에 이르면 제1 이동레일(240) 및 제2 이동레일(270)의 이동 방향으로 제일 선단에 위치하는 볼(9)이 고정레일(210) 및 제1 이동레일(240)에 구비되는 스토퍼(미도시)에 걸림으로써 제1 이동레일(240) 및 제2 이동레일(270)은 더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그런데, 서랍을 인출 및 인입시킬 때 과도하게 큰 힘으로 서랍을 조작하면 서랍의 최대 인출 및 최대 인입 지점에서 볼 리테이너(100)에 큰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볼 리테이너(100)는 얇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충격에 의해 볼 리테이너(100)가 볼(9)을 타고 넘어가서 볼(9)이 볼 리테이너(100)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장치가 장착되는 서랍에서 발생되는 분진에 의해 슬라이드 장치의 동작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분진을 제거하고, 슬라이드 장치의 원활한 구름운동과 레이스웨이의 마모를 방지하는 윤활제를 보호하는 수단이 구비될 필요가 있다. 또한, 서랍의 개폐 과정에서 서랍에 과도하게 큰 힘이 작용함으로써 볼 리테이너에 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볼(9)이 볼 리테이너(10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볼(9)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볼 리테이너(100)에 대한 필요성이 높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이스웨이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윤활제의 오염 및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슬라이드 장치의 사용감을 향상시키고, 슬라이드 장치의 사용수명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경량의 플라스틱 볼 리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과도하게 큰 힘으로 슬라이드 장치를 인출 및 인입시키더라도 볼이 볼 리테이너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볼 리테이너 및 슬라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볼 리테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폭 방향으로는, 중심선으로부터 서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길이 방향으로는, 중앙에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볼이 삽입되는 복수의 볼 삽입홈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는 각각 횡단면적이 확장되는 확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리테이너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볼 삽입홈 중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최외측에 위치하는 볼 삽입홈의 내측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볼 삽입홈은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에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 파트에 고정되며 제1 레이스웨이가 형성되는 고정레일;
상기 제1 레이스웨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레이스웨이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3 레이스웨이가 형성되는 제1 이동레일;
이동 파트에 고정되고, 상기 제3 레이스웨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4 레이스웨이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이동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이동레일;
상기 제1 레이스웨이와 상기 제2 레이스웨이 사이 및 상기 제3 레이스웨이와 상기 제4 레이스웨이 사이에 구름 운동 가능하게 개재되는 다수의 구름체;
상기 제1 레이스웨이와 상기 제2 레이스웨이 사이 및 상기 제3 레이스웨이와 상기 제4 레이스웨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구름체의 배치 간격을 유지시키는 볼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볼 리테이너는, 폭 방향으로는, 중심선으로부터 서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길이 방향으로는, 중앙에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볼이 삽입되는 복수의 볼 삽입홈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는 각각 횡단면적이 확장되는 확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볼 리테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볼 리테이너 제조용 금형에 있어서,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삽입 공간이 각각 형성되는 제1 금형 및 제2 금형;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유지부 및 상기 몸체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캐비티를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패턴부; 상기 삽입 공간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패턴부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몸체부의 추가 길이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의 캐비티를 형성하기 위한 제2 패턴부; 및 상기 삽입 공간에서 상기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2 패턴부가 차지하는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면적을 채워 상기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2 패턴부가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상기 삽입 공간의 상기 제1 패턴부 양단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사이드 코어를 포함하는 볼 리테이너 제조용 금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리테이너에 의하면, 레이스웨이에 유입되는 분진과 같은 이물질이 확장부에 의해 구름체의 이동 범위 밖으로 제거됨으로써 구름체가 원활하게 구름 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장치의 인출 및 인입 시 사용감이 향상되고, 슬라이드 장치의 사용수명의 저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리테이너에 의하면, 볼 리테이너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확장부가 구비됨으로써, 슬라이드 장치를 과도하게 큰 힘으로 인출 및 인입시키더라도 볼 리테이너가 구름체를 타고 넘어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리테이너에 의하면, 볼 삽입홈이 길이 방향에 대해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에 교번하여 형성됨으로써, 볼 리테이너에 삽입되는 볼들에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리테이너 제조용 금형에 의하면, 하나의 금형으로 서로 다른 길이의 몸체부를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볼 리테이너를 제조할 수 있어 볼 리테이너의 제조가 간편해지고 금형 제조 비용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리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볼 리테이너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리테이너가 장착된 슬라이드 장치의 인입 및 인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a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b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리테이너가 레이스웨이에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리테이너에 의해 유지되는 볼이 스토퍼에 걸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은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 리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볼 리테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의해 제조되는 볼 리테이너와는 다른 길이의 몸체부를 가지는 볼 리테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볼 리테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볼 리테이너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리테이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볼 리테이너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리테이너가 장착된 슬라이드 장치의 인입 및 인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슬라이드 장치의 후방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도 4a의 좌측면도이며, 도 6은 도 4b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볼 리테이너(100)를 슬라이드 장치에 포함하여 함께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리테이너(100)가 장착되는 슬라이드 장치(200)는 고정레일(210), 제1 이동레일(240), 제2 이동레일(270), 복수의 구름체(300) 및 볼 리테이너(1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레일(210)은 책상, 캐비닛 등과 같은 고정 파트(미도시)에 고정되고 제2 이동레일(270)은 서랍과 같은 이동 파트(미도시)에 고정된다. 고정레일(210)에는 제1 레이스웨이(212)가 형성된다. 제1 이동레일(240)의 일측의 제1 레이스웨이(212)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2 레이스웨이(24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3 레이스웨이(244)가 형성되며, 제1 이동레일(240)은 고정레일(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이동레일(270)의 제3 레이스웨이(244)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4 레이스웨이(272)가 형성되며, 제2 이동레일(270)은 제1 이동레일(2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수의 구름체(300)들은 제1 레이스웨이(212)와 제2 레이스웨이(242) 사이 및 제3 레이스웨이(244)와 제4 레이스웨이(272) 사이에 구름 운동 가능하게 개재된다. 볼 리테이너(100)는 제1 레이스웨이(212)와 제2 레이스웨이(242) 사이 및 제3 레이스웨이(244)와 제4 레이스웨이(272) 사이에 개재되어 구름체(300)들의 배치 간격을 유지시킨다.
제1 이동레일(240)의 일측은 고정레일(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제2 이동레일(27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레일(210)과 제2 이동레일(270)을 상호 연결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레일(240)이 고정레일(210)에 대해 슬라이딩하고 제2 이동레일(270)이 제1 이동레일(240)에 대해 슬라이딩함으로써 이동 파트는 고정 파트에 대해 인출 및 인입 가능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이동레일(240)이 고정레일(210)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며, 전방의 반대 방향, 즉, 제1 이동레일(240)이 고정레일(210)에 인입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한다. 또한, 슬라이드 장치를 작동시킨다는 것은 제1 이동레일(240)을 고정레일(210)에 대해 및/또는 제2 이동레일(270)을 제1 이동레일(240)에 대해 인출 및 인입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이동레일(240)의 양 측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레이스웨이(242) 및 제3 레이스웨이(244)가 형성된다. 고정레일(210)의 내측면에는 제2 레이스웨이(242)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레이스웨이(212)가 형성되고, 제2 이동레일(270)의 내측면에는 제3 레이스웨이(244)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4 레이스웨이(272)가 형성된다. 제1 레이스웨이(212)와 제2 레이스웨이(242)는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어 구름체(300)들이 구름 운동할 수 있는 하나의 궤도를 형성하고, 제3 레이스웨이(244)와 제4 레이스웨이(272)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하나의 궤도를 형성한다. 제1 레이스웨이(212)와 제2 레이스웨이(242) 사이 및 제3 레이스웨이(244)와 제4 레이스웨이(272) 사이에는 각각 복수의 구름체(300)들이 구름운동 가능하게 개재된다.
구름체(300)는 고정레일(210)과 제1 이동레일(240) 사이의 레이스웨이(212, 242) 및 제1 이동레일(240)과 제2 이동레일(270) 사이의 레이스웨이(244, 272)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구비된다. 구름체(300)는 구름 운동을 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구름체(300)는 제1 이동레일(240)이 고정레일(210)에 대해 슬라이딩할 때 제1 레이스웨이(212)와 제2 레이스웨이(242)를 따라 구름운동하고, 제2 이동레일(270)이 제1 이동레일(240)에 대해 슬라이딩할 때 제3 레이스웨이(244)와 제4 레이스웨이(272)를 따라 구름 운동하여 제1 이동레일(240)과 고정레일(210) 사이 및 제1 이동레일(240)과 제2 이동레일(270)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름체(300)가 볼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구름체(300)에는 구름 운동을 할 수 있는 일반적인 구름 수단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즉, 구름체(300)는 구름 운동을 할 수 있는 볼, 롤러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장치는 고정레일(210), 제1 이동레일(240), 및 제2 이동레일(270)이 구비되고, 제1 이동레일(240)이 고정레일(210)에 대해 인출 가능하고 제2 이동레일(270)이 제1 이동레일(240)에 대해 인출 가능한 구조의 3단 중첩 구조이나, 필요에 따라서 하나의 이동레일이 고정레일에 대해 인출 가능한 구조의 2단 중첩 구조로 구성되거나, 제2 이동레일에 대해 인출 가능한 구조의 또 다른 제3 이동레일이 구비되는 4단 중첩 구조 등의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볼 리테이너(100)는 고정레일(210)의 내측면과 제1 이동레일(240)의 일측 외측면 사이 및 제1 이동레일(240)의 타측 외측면과 제2 이동레일(27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볼 리테이너(100)는 제1 레이스웨이(212)와 제2 레이스웨이(242) 사이 및 제3 레이스웨이(244) 와 제4 레이스웨이(272)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의 구름체(300)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며, 구름체(300)들이 레이스웨이(212, 242, 244, 272)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름체(300)들을 보유한다.
고정레일(210)의 제1 레이스웨이(212)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전방 스토퍼(214) 및 후방 스토퍼(216)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레일(240)의 제2 레이스웨이(242)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좌측 전방 스토퍼(250) 및 좌측 후방 스토퍼(252)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레일(210)의 전방 스토퍼(214) 및 후방 스토퍼(216)와 제1 이동레일(240)의 좌측 전방 스토퍼(250) 및 좌측 후방 스토퍼(252)는 고정레일(210)과 제1 이동레일(240) 사이에서 구름 운동하는 구름체(300)의 운동 경로 측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구름체(300)의 운동 경로란 슬라이드 장치의 작동 시 고정레일(210)과 제1 이동레일(240) 사이 및 제1 이동레일(240)과 제2 이동레일(270) 사이에서 구름 운동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고정레일(210)에 형성되는 전방 스토퍼(214)와 후방 스토퍼(216) 및 제1 이동레일(240)에 형성되는 좌측 전방 스토퍼(250) 및 좌측 후방 스토퍼(252)는 레이스웨이(212, 242)로부터 구름체(30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고정레일(210)에 대한 제1 이동레일(240)의 인출 및 인입 거리를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이동레일(240)이 고정레일(210)로부터 인출될 때 제1 레이스웨이(212)와 제2 레이스웨이(242) 사이에 개재된 구름체(300)들은 구름 운동하여 제1 이동레일(240)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구름체(300)들은 볼 리테이너(100)에 의해 배치 간격이 유지된 채로 일체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 이동레일(240)이 인출되다가 최전방에 배치된 구름체(300)가 고정레일(210)의 전방 스토퍼(214)에 걸리거나 최후방에 배치된 구름체(300)가 제1 이동레일(240)의 좌측 후방 스토퍼(252)에 걸리게 되면 구름체(300)들은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이동레일(240) 또한 더 이상 인출되지 못한다. 따라서, 이 지점이 제1 이동레일(240)의 최대 인출 지점이 된다. 제1 이동레일(240)의 인출 시와는 반대로, 제1 이동레일(240)이 인입될 때는 제1 레이스웨이(212)와 제2 레이스웨이(242) 사이에 개재된 구름체(300)은 구름 운동하여 제1 이동레일(240)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 이동레일(240)이 인입되다가 최후방에 배치된 구름체(300)가 고정레일(210)의 후방 스토퍼(278)에 걸리거나 최전방에 배치된 구름체(300)가 제1 이동레일(240)의 좌측 전방 스토퍼(250)에 걸리게 되면 구름체(300)들은 더 이상 후진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이동레일(240) 또한 더 이상 인입되지 못한다. 따라서, 이 지점이 제1 이동레일(240)의 최대 인입 지점이 된다. 이때, 제1 이동레일(240)이 고정레일(210)에 대해 이동할 때 제1 이동레일(240)과 고정레일(210)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고정레일(210)의 전방 스토퍼(214) 및 후방 스토퍼(216)와 제1 이동레일(240)의 좌측 전방 스토퍼(250) 및 좌측 후방 스토퍼(252)는 길이 방향에 대한 투영이 겹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일한 기능을 하기 위하여, 제1 이동레일(240)의 제3 레이스웨이(244)에는 우측 전방 스토퍼(254) 및 우측 후방 스토퍼(256)가 형성되고, 제2 이동레일(270)의 제4 레이스웨이(272)에는 전방 스토퍼(276) 및 후방 스토퍼(278)가 각각 형성되며, 제1 이동레일(240)이 고정레일(210)에 대해 인출 및 인입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2 이동레일(270)은 제1 이동레일(240)에 대해 인출 및 인입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볼 리테이너(100)의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리테이너(100)는 폭 방향으로는 중심선(110)으로부터 서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되는 제1 연장부(120) 및 제2 연장부(130)를 포함하고, 길이 방향으로는 중앙에 형성되는 몸체부(140) 및 길이 방향에 대하여 몸체부(14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유지부(150)를 포함한다. 유지부(150)에는 볼 삽입홈(170)이 형성됨으로써 유지부(150)는 구름체(300)들 간의 배치 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몸체부(140)는 볼 리테이너(100)의 전체 길이를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연장부(120)와 제2 연장부(130)는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된다. 제1 연장부(120) 및 제2 연장부(130)에는 각각 복수의 볼 삽입홈(170)이 형성된다. 볼 삽입홈(170)은 하방으로 개방되며, 구름체(300)는 개방부를 통해 볼 삽입홈(170)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볼 삽입홈(170) 각각에는 모두 구름체(300)가 삽입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의 볼 삽입홈(170)에만 구름체(300)가 삽입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볼 삽입홈(170)은 볼 리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부(120) 및 제2 연장부(130)에 각각 형성되는 볼 삽입홈(170)들은 볼 리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엇갈리게 배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제1 연장부(120) 및 제2 연장부(130) 상에서 어느 한 쪽에 볼 삽입홈(170)이 삽입되면 다른 한 쪽에는 그 폭 방향에는 볼 삽입홈(170)이 형성되지 않도록 볼 삽입홈(170)들은 길이 방향으로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 삽입홈(170)이 볼 리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사행(meandering)되게 형성됨으로써 볼 삽입홈(170)에 삽입되는 구름체(300)가 분산되어 배치되므로, 볼 리테이너(100)에 삽입되는 구름체(300)들 중에서 특정한 볼에 하중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유지부(150)에 있어서 볼 삽입홈(170)의 배치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볼 삽입홈(170)은 제1 연장부(120)와 제2 연장부(130)에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연장부(120)와 제2 연장부(130)에는 각각 동일한 개수의 볼 삽입홈(170)이 형성될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삽입홈(170)은 제1 연장부(120)와 제2 연장부(130)에 있어서 서로 다른 개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몸체부(140)는 볼 리테이너(100)의 전체 길이를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볼 리테이너(100)의 전체 길이는 제1 이동레일(240) 및 제2 이동레일(270)의 가동 거리, 즉 제1 이동레일(240)이 고정레일(210)로부터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는 거리 및 제2 이동레일(270)이 제2 이동레일(270)로부터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는 거리를 결정하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 예를 들어, 제1 레이스웨이(212)와 제2 레이스웨이(242) 사이에 개재된 복수의 구름체(300)에 있어서, 최전방에 위치한 구름체(300)와 최후방에 위치한 구름체(300) 사이의 거리가 멀면 멀수록 제1 이동레일(240)의 가동 거리는 줄어들며, 반대로 최전방에 위치한 구름체(300)와 최후방에 위치한 구름체(300) 사이의 거리가 짧을수록 제1 이동레일(240)의 가동 거리는 늘어난다. 따라서, 제1 레이스웨이(212)와 제2 레이스웨이(242) 사이에 개재되는 구름체(300)의 개수가 동일하더라도 최전방 및 최후방의 구름체(30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제1 이동레일(240)의 가동 거리가 변동될 수 있다. 이때, 구름체(300)들은 볼 리테이너(100)에 의해 배치 간격이 결정되므로, 제1 이동레일(240)의 가동 거리는 볼 리테이너(100)의 길이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볼 리테이너(100)의 길이가 길수록 제1 이동레일(240)의 가동 거리는 짧아진다. 따라서, 설계자는 제1 이동레일(240)의 인출 거리를 조정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서 볼 리테이너(100)의 길이를 조정하는 방법을 택할 수 있다. 유지부(150)의 길이가 일정하더라도 몸체부(140)의 길이가 달라지면 볼 리테이너(100)의 전체 길이가 달라진다. 볼 리테이너(100)의 전체 길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유지부(150) 대신 몸체부(140)의 길이를 조정하는 방법은 후술할 볼 리테이너(100)의 제조 방법이 사출성형법에 의할 경우 한 가지의 금형으로 여러 가지 길이를 갖는 볼 리테이너(100)를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볼 리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볼 리테이너(10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바람직하게는 볼 리테이너(100)의 폭 방향으로 면적이 확장되는 확장부(170)가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확장부(170)는 제1 연장부(120) 및 제2 연장부(130)에 각각 형성되되, 확장부(170)는 제1 연장부(120) 및 제2 연장부(130)에 형성되는 복수의 볼 삽입홈(160)을 통틀어서 제1 연장부(120) 및 제2 연장부(1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최외측에 위치하는 볼 삽입홈(160a, 160b)의 내측에만 형성된다. 즉,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연장부(120) 및 제2 연장부(130)에 형성되는 복수의 볼 삽입홈(160)을 통틀어서 제1 연장부(120) 및 제2 연장부(1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최외측에 위치하는 것은 제2 연장부(130)의 제일 왼쪽에 위치하는 볼 삽입홈(160a)과 제2 연장부(130)의 제일 오른쪽에 위치하는 볼 삽입홈(160b)이다. 따라서, 제1 연장부(120) 및 제2 연장부(130)의 좌측에 형성되는 확장부(170)는 제2 연장부(130)의 제일 왼쪽에 위치하는 볼 삽입홈(160a)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제1 연장부(120) 및 제2 연장부(130)의 우측에 형성되는 확장부(170)는 제2 연장부(130)의 제일 오른쪽에 위치하는 볼 삽입홈(160b)의 내측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리테이너에 있어서 확장부(170)는 크게 세 가지의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170)는 레이스웨이(242)에 유입되는 분진, 나무 조각과 같은 이물질(700)을 구름체(300)의 이동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확장부(170)는 제1 연장부(120) 및 제2 연장부(130)의 다른 부위보다 넓은 횡단면적을 가진다. 슬라이드 장치의 작동 시 볼 리테이너(100)는 전방 및 후방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는데, 볼 리테이너(100)가 레이스웨이(212, 242, 244, 272) 사이를 왕복 이동하면서 레이스웨이(212, 242, 244, 272) 상에 유입된 이물질이 확장부(170)에 의해 구름체(300)의 이동 범위 밖으로 밀려난다. 이때, 확장부(170)의 횡단면은 구름체(300)의 횡단면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름체(300)가 볼 형상인 경우 확장부(170)는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라이드 장치의 작동 시에 레이스웨이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레이스웨이 상의 이물질을 최대한 많이 제거하기 위하여 확장부(170)에 있어서 레이스웨이와 마주하는 측은 레이스웨이의 형상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슬라이드 장치의 작동 시에 확장부가 레이스웨이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확장부(170)는 레이스웨이로부터 적당한 거리로, 예컨대 0.5mm 정도 이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 리테이너(100)에 있어서 제1 연장부(120) 및 제2 연장부(130)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확장부(170)가 형성되면, 슬라이드 장치의 작동 시에 레이스웨이(212, 242, 244, 272)에 유입된 이물질이 구름체(300)의 이동 범위 밖으로 밀려나기 때문에 구름체(300)들은 이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고 레이스웨이(212, 242, 244, 272) 상에서 원활하게 구름 운동할 수 있다.
또한, 확장부(170)는 제1 레이스웨이(212)와 제2 레이스웨이(242) 사이 및 제3 레이스웨이(244)와 제4 레이스웨이(272) 사이의 공간에 있어서 볼 리테이너(10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확장부(170)와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확장부(170)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분리하여 구획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볼 리테이너(100)의 양단의 확장부(170) 사이의 공간 내부로는 이물질이 거의 유입되지 못하기 때문에 레이스웨이(212, 242, 244, 272)에 도포된 윤활제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이 최소화되며, 이에 따라 레일(210, 240, 270)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뿐만 아니라, 확장부(170)가 차단막 역할을 하므로 레이스웨이(212, 242, 244, 272) 상에 도포된 윤활제가 구름체(300)의 이동 경로 밖으로 누출되거나 증발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레일(210, 240, 270)의 다른 부분이 윤활제에 의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며, 슬라이드 장치의 사용 기간 중 레이스웨이(212, 242, 244, 272)에 추가적으로 윤활제를 도포해줄 필요가 없다.
확장부(170)의 또 다른 기능으로서, 확장부(170)는 제1 이동레일(240) 또는 제2 이동레일(270)이 인출 또는 인입 시에 제1 이동레일(240) 또는 제2 이동레일(270)의 슬라이딩 방향의 최선단에 위치하는 구름체가 스토퍼에 걸려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볼 리테이너(100)가 구름체(300)를 타고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예컨대, 도 8을 참조하면, 제2 이동레일(270)이 제1 이동레일(240)에 대해 전방으로 인출될 때 제2 이동레일(270)이 최대한 인출되면 볼 리테이너(100)의 최전방에 배치된 구름체(310)가 제1 이동레일(240)의 우측 전방 스토퍼(254)에 걸리게 된다. 만약, 볼 리테이너(100)에 확장부(170)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사용자가 과도하게 큰 힘으로 제2 이동레일(270)을 잡아당길 경우에는 볼 리테이너(100)의 최전방에 배치된 구름체(310)가 스토퍼(254)에 걸려 정지하더라도 제2 이동레일(270)의 관성력 때문에 후방의 구름체(320)들에 밀려 볼 리테이너(100)가 최전방의 구름체(310)를 타고 넘어갈 수 있다. 그러나, 폭 방향으로 횡단면이 확장되는 확장부(17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볼 리테이너(100)가 구름체(300)에 걸리는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슬라이드 장치를 과도하게 큰 힘으로 작동시키더라도 볼 리테이너(100)가 구름체(300)를 타고 넘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170)가 제1 연장부(120) 및 제2 연장부(130)에 형성되는 복수의 볼 삽입홈(160)을 통틀어서 제1 연장부(120) 및 제2 연장부(1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최외측에 위치하는 볼 삽입홈(160a, 160b)의 내측에만 형성됨으로써 제1 이동레일(240) 또는 제2 이동레일(270)이 인출 또는 인입 시에 구름체(310)가 확장부(170a)보다 먼저 스토퍼(254)에 닿아 제1 이동레일(240)의 이동이 멈추기 때문에 확장부(170a)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일반적으로 스토퍼(254)는 금속으로 제조되고, 확장부(170a)를 포함한 볼 리테이너(100)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확장부(170a)가 스토퍼(254)와 충돌하게 되면 볼 리테이너(100)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장치를 작동시키더라도 확장부(170)가 스토퍼와 간섭되지 않도록 설계되지만, 작동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설계, 가공 오차 등에 의해 확장부(170)가 스토퍼와 중첩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과 같이 확장부(170)가 제1 연장부(120) 및 제2 연장부(130)에 형성되는 복수의 볼 삽입홈(160)을 통틀어서 제1 연장부(120) 및 제2 연장부(1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최외측에 위치하는 볼 삽입홈(160a, 160b)의 내측에만 형성되면 항상 구름체(310)가 확장부(170)보다 먼저 스토퍼에 걸리기 때문에 확장부(170)가 스토퍼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볼 리테이너(100)는 가벼운 플라스틱으로 제조됨으로써 슬라이드 장치의 전체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레이스웨이에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구름체들이 원활하게 구름 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한편, 큰 힘으로 슬라이드 장치를 작동시키더라도 볼 리테이너가 구름체를 타고 넘어가거나 구름체들이 볼 리테이너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볼 리테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볼 리테이너가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경우, 볼 리테이너는 금형을 사용하여 사출성형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 리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볼 리테이너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부(150)의 길이는 동일하나 몸체부(140', 140'')의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볼 리테이너를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제조할 때 금형에 있어서 몸체부의 길이 형성에 관여하는 부분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별도의 금형을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의 금형으로 다양한 몸체부 길이를 가지는 볼 리테이너를 사출성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볼 리테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의해 제조되는 볼 리테이너와는 다른 길이의 몸체부를 가지는 볼 리테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볼 리테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50)은 제1 금형 및 제2 금형을 포함한다. 제1 금형과 제2 금형이 결합되면 그 사이에 볼 리테이너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캐비티가 형성된다.
제1 금형 및 제2 금형에는 각각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삽입 공간(53)이 형성되며, 삽입 공간(53)에는 캐비티를 형성하기 위한 패턴부(54, 55) 및 패턴부(54, 55)를 고정시키기 위한 사이드 코어(56)가 삽입된다. 패턴부(54, 55)는 도 2의 유지부(150) 및 몸체부(140)에 대응되는 형상의 캐비티를 형성시키기 위한 제1 패턴부(54) 및 몸체부(140)의 추가 길이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의 캐비티를 형성시키기 위한 제2 패턴부(55)를 포함한다.
제1 패턴부(54)는 삽입 공간(53)의 양 측에 한 쌍이 삽입되며, 유지부(150) 및 몸체부(140)에 대응되는 캐비티를 형성한다. 제1 패턴부(54)는 한 종류가 구비된다. 제1 금형과 제2 금형이 결합되면 제1 패턴부(54)에 의해 유지부(150) 몸체부(14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캐비티가 형성된다. 제1 패턴부(54) 만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볼 리테이너가 제조될 수 있으며, 이때 볼 리테이너(100)는 금형(50)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가장 짧은 길이의 몸체부를 가진다.
제2 패턴부(55)는 한 쌍의 제1 패턴부(54) 사이에 삽입되며, 몸체부(140)의 추가 길이에 대응되는 캐비티를 형성한다. 제2 패턴부(55)는 설계자의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다양한 종류가 구비된다. 제2 패턴부(55)가 제1 패턴부(54) 사이에 삽입되면 삽입된 제2 패턴부(55)의 길이만큼 몸체부(140)의 길이가 연장된다. 따라서, 제2 패턴부(55)의 종류의 개수만큼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볼 리테이너를 제조할 수 있다.
사이드 코어(56)는 제1 패턴부(54)의 양단에 삽입되어 제1 패턴부(54) 및 제2 패턴부(55)의 위치를 고정한다. 즉, 사이드 코어(56)는 삽입 공간(53)에서 제1 패턴부(54) 및 제2 패턴부(55)가 차지하는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면적을 채워 제1 패턴부(54) 및 제2 패턴부(55)가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형(50)에 있어서, 제조하고자 하는 볼 리테이너의 종류에 따라서 제1 패턴부(54)의 길이는 항상 일정하지만, 제2 패턴부(55)의 길이는 서로 다르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2 패턴부(55)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삽입 공간(53)에 제1 패턴부(54) 및 제2 패턴부(55)가 차지하는 공간은 제조하고자 하는 볼 리테이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사이드 코어(56)는 삽입 공간(53)에 삽입되는 제2 패턴부(55)에 대응되어 삽입 공간(53)을 채우도록 설계된다. 다시 말해, 짧은 길이의 제2 패턴부(55)가 삽입 공간(53)에 삽입되면 긴 길이의 사이드 코어(56)가 제1 패턴부(54)의 양측에 배치되고, 긴 길이의 제2 패턴부(55)가 삽입 공간(53)에 삽입되면 짧은 길이의 사이드 코어(56)가 제1 패턴부(54)의 양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 패턴부(54)는 고정된 길이를 가지는 한 종류만이 구비되나,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제2 패턴부(55) 및 사이드 코어(56)가 구비됨으로써 하나의 삽입 공간(53)을 가지는 금형(50)을 이용하여 다양한 길이의 몸체부(140)를 가지는 볼 리테이너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볼 리테이너 제조용 금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볼 리테이너는 도 2,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볼 리테이너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볼 리테이너 제조용 금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볼 리테이너의 다른 형태가 도시된다. 볼 리테이너(600)는 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의 몸체부(610)와, 몸체부(610)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유지부(620)를 포함한다. 볼 리테이너(600)의 몸체부(610)는 볼 리테이너(6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며, 유지부(620)에는 볼이 삽입되기 위한 볼 삽입홈(630)이 형성되며 볼의 배치 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볼 리테이너 제조용 금형에 의하면 다양한 길이의 몸체부를 가지는 볼 리테이너가 제조될 수 있으며, 볼 리테이너의 구체적인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볼 리테이너 110: 중심선
120: 제1 연장부 130: 제2 연장부
140: 몸체부 150: 유지부
160: 볼 삽입홈 170: 확장부
210: 고정레일 240: 제1 이동레일
270: 제2 이동레일 300: 볼
500: 금형 510: 제1 금형
520: 제2 금형 530: 삽입 공간
540: 제1 패턴부 550: 제2 패턴부
560: 사이드 코어

Claims (4)

  1. 폭 방향으로는,
    중심선으로부터 서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길이 방향으로는,
    중앙에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볼이 삽입되는 복수의 볼 삽입홈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는 각각 횡단면적이 확장되는 확장부가 형성되되,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볼 삽입홈을 통틀어서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최외측에 위치하는 볼 삽입홈의 내측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리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 삽입홈은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에 교번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리테이너.
  3. 고정 파트에 고정되며 제1 레이스웨이가 형성되는 고정레일;
    상기 제1 레이스웨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레이스웨이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3 레이스웨이가 형성되는 제1 이동레일;
    이동 파트에 고정되고, 상기 제3 레이스웨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4 레이스웨이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이동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이동레일;
    상기 제1 레이스웨이와 상기 제2 레이스웨이 사이 및 상기 제3 레이스웨이와 상기 제4 레이스웨이 사이에 구름 운동 가능하게 개재되는 다수의 구름체;
    상기 제1 레이스웨이와 상기 제2 레이스웨이 사이 및 상기 제3 레이스웨이와 상기 제4 레이스웨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구름체의 배치 간격을 유지시키는 볼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볼 리테이너는,
    폭 방향으로는,
    중심선으로부터 서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길이 방향으로는,
    중앙에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볼이 삽입되는 복수의 볼 삽입홈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는 각각 횡단면적이 확장되는 확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볼 리테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볼 리테이너 제조용 금형에 있어서,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삽입 공간이 각각 형성되는 제1 금형 및 제2 금형;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유지부 및 상기 몸체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캐비티를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패턴부;
    상기 삽입 공간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패턴부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몸체부의 추가 길이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의 캐비티를 형성하기 위한 제2 패턴부; 및
    상기 삽입 공간에서 상기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2 패턴부가 차지하는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면적을 채워 상기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2 패턴부가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상기 삽입 공간의 상기 제1 패턴부 양단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사이드 코어를 포함하는
    볼 리테이너 제조용 금형.
KR1020120059984A 2012-06-04 2012-06-04 볼 리테이너, 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장치 및 볼 리테이너 제조용 금형 KR101391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984A KR101391248B1 (ko) 2012-06-04 2012-06-04 볼 리테이너, 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장치 및 볼 리테이너 제조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984A KR101391248B1 (ko) 2012-06-04 2012-06-04 볼 리테이너, 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장치 및 볼 리테이너 제조용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289A KR20130136289A (ko) 2013-12-12
KR101391248B1 true KR101391248B1 (ko) 2014-05-07

Family

ID=49983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984A KR101391248B1 (ko) 2012-06-04 2012-06-04 볼 리테이너, 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장치 및 볼 리테이너 제조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2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162B1 (ko) * 2015-06-19 2017-02-22 (주)협진피엘 자동차용 암레스트 슬라이딩 레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920B1 (ko) * 2006-12-04 2009-05-18 박윤식 대 직경 볼이 장착된 슬라이드
US20090195131A1 (en) 2008-02-04 2009-08-06 Accuride International, Inc. Drawer system slide assemblies and closure mechanis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920B1 (ko) * 2006-12-04 2009-05-18 박윤식 대 직경 볼이 장착된 슬라이드
US20090195131A1 (en) 2008-02-04 2009-08-06 Accuride International, Inc. Drawer system slide assemblies and closure mechanis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289A (ko)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1088B2 (en) Ball retainer, slide apparatus comprising same and mold for manufacturing same
JP3702012B2 (ja) 直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
US8757614B2 (en) Slide rail, sheet feed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RU2664222C2 (ru) Выдвижной направляющий механизм для подвижных мебельных компонентов
KR101391248B1 (ko) 볼 리테이너, 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장치 및 볼 리테이너 제조용 금형
US7108426B2 (en) Guide unit
JP3191407U (ja) 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
JP6606108B2 (ja) 互いに移動する家具部品用の引き出しガイド
JP5785570B2 (ja) 運動案内装置
JP2008215601A (ja) 直動案内装置
CN107448473B (zh) 滚动引导装置
JP2018071592A (ja) 直動案内ユニット
CN114401650A (zh) 拉出引导件
JP2009030718A (ja) 直動案内装置
JP2015209919A (ja) 直動案内装置
JP7221814B2 (ja) 運動案内装置
JP5630481B2 (ja) 直動案内装置
JP2017150554A (ja) 直動案内装置
JP2008298194A (ja) 保持ピース及びそれを備えた直動案内装置
JP2009030772A (ja) 直動案内装置
JP2010190306A (ja) 直動案内装置の給油構造及び給油方法
JP6620673B2 (ja) 乗物用スライド装置
JP2007100896A (ja) リニアガイド装置のスライダ
JP2006077796A5 (ko)
DE4438948A1 (de) Wälzlager für Linearbewegun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