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203B1 - 가로등용 건주차량 - Google Patents

가로등용 건주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203B1
KR101391203B1 KR1020120105385A KR20120105385A KR101391203B1 KR 101391203 B1 KR101391203 B1 KR 101391203B1 KR 1020120105385 A KR1020120105385 A KR 1020120105385A KR 20120105385 A KR20120105385 A KR 20120105385A KR 101391203 B1 KR101391203 B1 KR 101391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support
supporting
fram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8814A (ko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이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재 filed Critical 이영재
Priority to KR1020120105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203B1/ko
Publication of KR20140038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4Jib-cranes adapted for attachment to standard vehicles, e.g. agricultural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2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mounted on, or guided by, j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등용 건주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에서 가로등을 조립한 채 설치현장으로 운반한 후 건주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가로등용 건주차량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동차의 상부 일측에 탑재된 크레인장치; 상기 크레인장치의 붐 단부에 설치되고, 결속실린더에 의해 회동되는 지주결속구가 구비되어 가로등 지주의 외주면을 클램핑하는 지주결속유닛; 상기 이동차의 상부 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가로등 지주의 하부를 지지하고 회동되지 않게 결속하는 지주하부지지체; 상기 이동차의 상부 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가로등 지주의 상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가로등 지주가 일정 경사각을 갖도록 승하강실린더에 상승되는 지주상부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가로등용 건주차량{construction truck for street-light}
본 발명은 가로등용 건주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을 포함한 일정 장소에서 가로등을 조립한 채 설치현장으로 운반한 후 건주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가로등용 건주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의 건주공사 방법에는 주로 크레인을 이용한 기계건주와 인력시공을 통해 행해지고 있다.
통상 가로등을 건주함에 있어, 공장에서 제작된 가로등의 부품들을 현장으로 운반한 후 현장에서 가로등의 각 부품을 조립하고, 그 후 조립이 완성된 가로등을 크레인의 크레인장치를 이용하여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세워 설치하게 된다. 이때 크레인장치에는 통상 붐에 연결되어 신축되는 로프와 그 로프의 단부에 후크가 설치되어 있는데, 가로등을 세우기 위해 가로등의 중간부분에 로프를 가로등 둘레에 두 세번 감은 후 후크로 고정하는 방법을 통해 세우는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눈짐작으로 가로등의 중앙부분에 로프를 걸어 세우기 때문에 가로등을 정확히 일자로 세우기가 어렵고, 흔들림으로 인해 자칫 작업자의 안전사고 및 가로등의 파손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며, 작업시간의 증가 등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품을 공장에서 현장으로 운반시킨 후 현장 조립하여 설치함에 따라 크레인과 작업차량 및 부품운반차량 등 여러 대의 차량이 움직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그로 인한 비용낭비 등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0857774호(2008.09.03, 배전선로용 전주의 무정전 컷팅 교체공법에 적용되는 풀클램프 장치), 등록특허공보 제0740013호(2007.07.10, 오거크레인용 확장형 굴착유니트를 이용한 가공선로건주공사 시공법), 실용신안공보 제1981-0000584호(1981.05.28, 전주용 건주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들은 모두 전주를 건주하는데 사용되는 기술로서, 가로등을 건주하는 데 사용할 수 없으며, 기본적인 크레인장치와 인력시공을 주로 이루고 있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조립이 아닌 공장 등 일정 장소에서 조립완료한 후 그 상태로 운반하여 가로등을 하차하지 않고 건주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은 물론, 용이한 가로등 설치로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으며, 가로등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로등용 건주차량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이동차의 상부 일측에 탑재된 크레인장치; 상기 크레인장치의 붐 단부에 설치되고, 결속실린더에 의해 회동되는 지주결속구가 구비되어 가로등 지주의 외주면을 클램핑하는 지주결속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로등용 건주차량에 있어서, 상기 이동차의 상부 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로등 지주의 하부를 지지하고 회동되지 않게 결속하는 지주하부지지체와, 상기 이동차의 상부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로등 지주의 상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가로등 지주가 일정 경사각을 갖도록 승하강실린더에 의해 상승되는 지주상부지지체와, 상기 이동차의 상부 전방측에 상기 지주하부지지체의 전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적재물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하부지지체는, 상기 이동차의 상부 전방측에 양측이 결합되는 지주하부지지프레임과, 그 지주하부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가로등 지주의 하부 외주면이 삽입 안착되도록 다수개 형성된 호형의 지주하부안착홈과, 그 지주하부안착홈의 중앙부에 상기 가로등 지주의 하부 보강날개가 삽입되게 일정 깊이로 형성된 날개삽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주하부지지프레임은 상기 적재물 지지판의 양측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되어 인입 또는 인출되게 설치되고, 그 지주하부지지프레임의 양측에는 상기 적재물 지지판에 고정구로 고정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결속유닛은, 상기 붐 단부에 체결되는 고정판과, 그 고정판에 힌지결합되어 고정판에 고정된 회동실린더에 의해 회동되게 설치되고 단부에 호형의 지지홈이 형성된 지지본체와, 지지본체의 지지홈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상기 결속실린더에 의해 회동되면서 가로등 지주의 외주면을 클램핑하는 지주결속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홈과 지주결속구의 내주면에는 고무재의 충격방지판이 설치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지주하부지지프레임의 상측에는 그 지주하부지지프레임에 양측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지주하부안착홈 및 날개삽입홈과 동일하게 제2하부안착홈 및 제2날개삽입홈이 형성된 제2하부지지프레임이 설치된다.
상기 지주상부지지체는, 상기 이동차의 상부 후방측에 설치된 프레임브라켓에 양측이 힌지축으로 힌지결합되는 지주상부지지프레임과, 그 지주상부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가로등 지주의 상부 외주면이 삽입 안착되도록 다수개 형성된 호형의 지주상부안착홈과, 상기 이동차의 상면과 지주상부지지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어 지주상부지지프레임을 회동동작시켜 상기 지주상부안착홈이 형성된 부분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주상부지지프레임의 상측에는 그 지주상부지지프레임에 양측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지주상부안착홈과 동일하게 제2상부안착홈이 형성된 제2상부지지프레임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로등용 건주차량에 따르면, 공장 등 일정 장소에서 가로등의 조립을 완료한 후 그 상태로 건주차량으로 현장까지 운반시키도록 함으로써 가로등의 하차과정이 없어 추가 차량의 사용을 줄이도록 하여 비용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가로등의 유동을 최소화한 채 해당 설치장소에 정확하게 세워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 단축은 물론,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건주차량에 가로등을 적재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건주차량에서 지주결속유닛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건주차량에서 지주결속유닛의 지주결속구를 벌려놓은 평면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건주차량에서 지주결속유닛의 지주결속구에 가로등의 지주를 결속시켜 놓은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건주차량에서 지주하부지지체와 지주상부지지체를 보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건주차량에서 지주하부지지체와 지주상부지지체에 가로등이 지지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건주차량에서 크레인장치의 붐을 이용하여 가로등을 세워 설치위치로 이동시키는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건주차량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건주차량은 엔진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차(100)의 상부 일측에 탑재된 크레인장치(200)와, 상기 크레인장치(200)의 붐(210) 단부에 설치되어 가로등(150) 지주를 결속하는 지주결속유닛(300)과, 상기 이동차(100)의 상부 후방측에 설치되어 지주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주상부지지체(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동차(100)의 상부 전방측에 설치되어 가로등 지주의 하부를 지지하고 회동하지 않도록 결속하는 지주하부지지체(400)와, 상기 이동차(100)의 상부 전방측에 상기 지주하부지지체(400)의 전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적재물 지지판(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크레인장치(200)는 통상의 크레인 등의 크레인 장치와 동일한 것으로, 운전실의 조작에 따라 붐(210)이 신장 또는 수축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그 붐의 신축동작에 의해 릴에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로프(22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크레인장치(200)는 주지관용적인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동작원리 및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지주결속유닛(300)은 결속실린더(350)에 의해 회동되는 지주결속구(340)를 이용하여 가로등(150) 지주의 외주면을 클램핑하는 구성으로, 구체적으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붐(210) 단부에 체결되는 고정판(310)과, 그 고정판(310)에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고정판(310)에 고정된 회동실린더(330)에 의해 회동되게 설치되고 타측 단부에 호형의 지지홈(322)이 형성된 지지본체(320)와, 상기 지지본체(320)의 지지홈(322)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결속실린더(350)에 의해 회동되면서 가로등(150) 지주의 외주면을 클램핑하는 지주결속구(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속실린더(350)는 상기 지지본체(3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홈(322) 양측에 힌지결합된 지주결속구(340)가 서로 동일한 각도로 동작되도록 유압의 정밀제어를 통해 제어되도록 마련됨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지지홈(322)과 지주결속구(340)의 내주면에는 고무재의 충격방지판(360)이 설치된다. 상기 충격방지판(360)을 설치하는 이유는 지주결속구(340)와 지지본체(320)는 금속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지주결속구(340)로 지주의 외주면을 클램핑하는 경우 부딪히면서 가로등 지주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데, 충격방지판(360)에 의해 완충되도록 함으로써 지주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주하부지지체(400)는 상기 이동차(100)의 상부 전방측에 양측이 결합되는 지주하부지지프레임(410)과, 그 지주하부지지프레임(410)의 상부에 가로등(150) 지주의 하부 외주면이 삽입 안착되도록 다수개 형성된 호형의 지주하부안착홈(420)과, 그 지주하부안착홈(420)의 중앙부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날개삽입홈(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주하부지지프레임(410)은 상측에서 바라본 경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측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상기 지주하부안착홈(420)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지주하부안착홈(420)은 지주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면 되고, 그 중앙부에 형성된 날개삽입홈(430)에는 지주하부안착홈(420)에 안착된 가로등(150) 지주의 하부에 형성된 보강날개(152)가 삽입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차(100)의 상부 전방측에는 지주하부지지체(400)의 전단으로 이동차 상부의 적재공간과 크레인장치(200)를 서로 분할하도록 구획하는 적재물 지지판(110)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 지주하부지지프레임(410)은 미사용시에는 적재공간을 넓힐 수 있도록 적재물 지지판(110)에 밀착시켜 보관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주하부지지프레임(410)은 상기 적재물 지지판(110)의 양측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되어 인입 또는 인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지주하부지지프레임(410)의 양측에는 적재물 지지판(110)에 인입 또는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물 지지판(110)에 고정구(120)로 고정되도록 가이드홀(412)이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운반하여야 하는 지주의 수량이 많아 상기 이동차(100)의 적재공간에 지주를 2단 이상으로 적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주하부지지프레임(410)의 상측에 제2하부지지프레임(440)을 설치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 제2하부지지프레임(440)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이 상기 지주하부지지프레임(4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고, 지주하부지지프레임(4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재물 지지판(1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하부지지프레임(440)의 상부에는 지주의 하부를 안착시켜 결속하도록 상기 지주하부안착홈(420) 및 날개삽입홈(430)과 동일하게 제2하부안착홈(442) 및 제2날개삽입홈(444)이 형성된다.
상기 제2하부지지프레임(440)과 지주하부지지프레임(410)은 적재물 지지판(110)에 예로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주상부지지체(500)는 가로등(150) 지주의 상부를 지지함은 물론 가로등(150) 지주가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안착된 채 운반되도록 승하강실린더(530)에 상승 또는 하강 동작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지주상부지지체(500)는 상기 이동차(100)의 상부 후방측에 설치된 프레임브라켓(130)에 양측이 힌지축(515)으로 힌지결합되는 지주상부지지프레임(510)과, 그 지주상부지지프레임(510)의 상부에 가로등(150) 지주의 상부 외주면이 삽입 안착되도록 다수개 형성된 호형의 지주상부안착홈(520)과, 상기 이동차(100)의 상면과 지주상부지지프레임(510)의 양측에 결합되어 지주상부지지프레임(510)을 회동동작시키는 승하강실린더(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주상부지지프레임(510)은 상측에서 바라본 경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측이 힌지축(515)으로 프레임브라켓(130)에 힌지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승하강실린더(530)의 작동에 의해 힌지축(515)을 기준ㅇ로 하여 상기 지주상부안착홈(520)이 형성된 부분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지주를 2단으로 쌓고자 하는 경우 상기 지주상부지지프레임(510)의 상측에는 그 지주상부지지프레임(510)에 양측이 착탈가능하게 제2상부지지프레임(540)이 결합되어 진다.
상기 제2상부지지프레임(540)은 '∩'형상으로 상부에 상기 지주상부안착홈(520)과 동일하게 제2상부안착홈(5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서 가로등을 조립하지 않고, 공장에서 가로등을 미리 조립한 후 조립이 완료된 상태로 건주차량의 적재공간에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는 것으로, 건주차량의 적재공간에 설치된 지주하부지지체(400)와 지주상부지지체(500)에 의해 조립이 완료된 가로등의 지주 하부와 상부를 지지한 채 운반하게 된다.
설치장소로 운반한 후에는 크레인장치(200)의 붐(210)에 설치된 지주결속유닛(300)을 이용하여 경사지게 적재되어 있는 가로등의 지주 상부 외주면을 지주결속구(340)로 집어 결속하고, 로프(220)를 이용하여 지주의 하부 외주면을 결속한 후 크레인장치(200)의 붐(210)을 상방으로 회동시켜 가로등을 들어올리면 된다.
이 후, 설치하고자 하는 곳으로 가로등을 이동시킨 다음 그 상태로 가로등을 내려놓아 가로등 지주의 하부를 지면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에 고정하는 작업을 행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건주차량은 현장에서 조립하여 설치하는 기존의 가로등 설치작업을 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조립한 후 조립이 완료된 상태로 현장으로 운반하고, 가로등을 손쉽게 설치위치로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불필요한 차량의 수를 줄임은 물론, 그에 따른 비용절감과 함께 작업능률을 높이고자 한 것이다.
100: 이동차 110: 적재물 지지판
120: 고정구 130: 프레임브라켓
150: 가로등 152: 보강날개
200: 크레인장치 210: 붐
220: 로프 300: 지주결속유닛
310: 고정판 320: 지지본체
322: 지지홈 330: 회동실린더
340: 지주결속구 350: 결속실린더
360: 충격방지판 400: 지주하부지지체
410: 지주하부지지프레임 412: 가이드홀
420: 지주하부안착홈 430: 날개삽입홈
440: 제2하부지지프레임 442: 제2하부안착홈
444: 제2날개삽입홈 500: 지주상부지지체
510: 지주상부지지프레임 515: 힌지축
520: 지주상부안착홈 530: 승하강실린더
540: 제2상부지지프레임 542: 제2상부안착홈

Claims (9)

  1. 이동차(100)의 상부 일측에 탑재된 크레인장치(200); 상기 크레인장치(200)의 붐(210) 단부에 설치되고, 결속실린더(350)에 의해 회동되는 지주결속구(340)가 구비되어 가로등(150) 지주의 외주면을 클램핑하는 지주결속유닛(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로등용 건주차량에 있어서,
    상기 이동차(100)의 상부 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로등(150) 지주의 하부를 지지하고 회동되지 않게 결속하는 지주하부지지체(400)와, 상기 이동차(100)의 상부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로등(150) 지주의 상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가로등(150) 지주가 일정 경사각을 갖도록 승하강실린더(530)에 의해 상승되는 지주상부지지체(500)와, 상기 이동차(100)의 상부 전방측에 상기 지주하부지지체(400)의 전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적재물 지지판(110)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하부지지체(400)는, 상기 이동차(100)의 상부 전방측에 양측이 결합되는 지주하부지지프레임(410)과, 그 지주하부지지프레임(410)의 상부에 가로등(150) 지주의 하부 외주면이 삽입 안착되도록 다수개 형성된 호형의 지주하부안착홈(420)과, 그 지주하부안착홈(420)의 중앙부에 상기 가로등(150) 지주의 하부 보강날개(152)가 삽입되게 일정 깊이로 형성된 날개삽입홈(4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주하부지지프레임(410)은 상기 적재물 지지판(110)의 양측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되어 인입 또는 인출되게 설치되고, 그 지주하부지지프레임(410)의 양측에는 상기 적재물 지지판(110)에 고정구(120)로 고정되는 가이드홀(4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건주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결속유닛(300)은, 상기 붐(210) 단부에 체결되는 고정판(310)과, 그 고정판(310)에 힌지결합되어 고정판(310)에 고정된 회동실린더(330)에 의해 회동되게 설치되고 단부에 호형의 지지홈(322)이 형성된 지지본체(320)와, 지지본체(320)의 지지홈(322)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상기 결속실린더(350)에 의해 회동되면서 가로등(150) 지주의 외주면을 클램핑하는 지주결속구(3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건주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322)과 지주결속구(340)의 내주면에는 고무재의 충격방지판(36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건주차량.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하부지지프레임(410)의 상측에는 상기 적재물 지지판(110)에 양측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지주하부안착홈(420) 및 날개삽입홈(430)과 동일하게 제2하부안착홈(442) 및 제2날개삽입홈(444)이 형성된 제2하부지지프레임(44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건주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상부지지체(500)는, 상기 이동차(100)의 상부 후방측에 설치된 프레임브라켓(130)에 양측이 힌지축(515)으로 힌지결합되는 지주상부지지프레임(510)과, 그 지주상부지지프레임(510)의 상부에 가로등(150) 지주의 상부 외주면이 삽입 안착되도록 다수개 형성된 호형의 지주상부안착홈(520)과, 상기 이동차(100)의 상면과 지주상부지지프레임(510)의 양측에 결합되어 지주상부지지프레임(510)을 회동동작시켜 상기 지주상부안착홈(520)이 형성된 부분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실린더(5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건주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상부지지프레임(510)의 상측에는 그 지주상부지지프레임(510)에 양측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지주상부안착홈(520)과 동일하게 제2상부안착홈(542)이 형성된 제2상부지지프레임(54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건주차량.
KR1020120105385A 2012-09-21 2012-09-21 가로등용 건주차량 KR101391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385A KR101391203B1 (ko) 2012-09-21 2012-09-21 가로등용 건주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385A KR101391203B1 (ko) 2012-09-21 2012-09-21 가로등용 건주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814A KR20140038814A (ko) 2014-03-31
KR101391203B1 true KR101391203B1 (ko) 2014-05-07

Family

ID=5064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385A KR101391203B1 (ko) 2012-09-21 2012-09-21 가로등용 건주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2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582Y1 (ko) * 2005-03-29 2005-06-30 김태한 간판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582Y1 (ko) * 2005-03-29 2005-06-30 김태한 간판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814A (ko) 201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80010B (zh) 具有自安装支撑装置的伸缩起重机和安装支撑装置的方法
CN106522643B (zh) 一种多功能立柱机器人
CN108178102A (zh) 一种自锁型夹具及其安装方法
US20230183047A1 (en) Mobile Crane Having A Counterweight Device
KR20050040900A (ko) 광폭 판체 적재용 각도 가변 장치
CN106143683A (zh) 车桥安装平台
JP4698270B2 (ja) 自走式クレーンのブーム取り付け時の位置合せガイドおよび位置合せ方法
KR101166213B1 (ko)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한 보안등 지지장치
KR101262957B1 (ko) 경계석 집게
KR101391203B1 (ko) 가로등용 건주차량
KR102038062B1 (ko) 서포트 리프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
KR20140139256A (ko) 붐 길이 조절되는 파이프 레이어
CN103145048B (zh) 水泥砖装载机
JP5823461B2 (ja) 足場の支持構造及び吊り足場の設置方法
JP2004175545A (ja) 橋形クレーン
CN108454495A (zh) 一种高效可调平履带支架
CN211444792U (zh) 一种可拆卸人防工程防护设备吊装装置
KR200285361Y1 (ko) 지지봉 리프트장치
KR100873489B1 (ko)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
JP2004263498A (ja) 防護柵の施工方法及び施工装置
JP6186221B2 (ja) クレーンの高さ変更構造、及び高さ変更方法
KR200388142Y1 (ko) 광폭 판체 적재용 각도 가변 장치
JPH10292790A (ja) トンネル覆工工法
CN218322386U (zh) 一种立柱起竖定位安装系统组合装置
CN204873595U (zh) 一种可调高拆卸的吊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