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489B1 -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489B1
KR100873489B1 KR1020080044163A KR20080044163A KR100873489B1 KR 100873489 B1 KR100873489 B1 KR 100873489B1 KR 1020080044163 A KR1020080044163 A KR 1020080044163A KR 20080044163 A KR20080044163 A KR 20080044163A KR 100873489 B1 KR100873489 B1 KR 100873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tower crane
ballast
support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균
Original Assignee
(주) 천우티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천우티이엠 filed Critical (주) 천우티이엠
Priority to KR1020080044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내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 입구에 개구부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50); 양단에 각각 체결공이 형성되되, 상기 양 개구부의 내측에 끼워지는 상부체결부재(53) 및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위치하여 체결구가 체결공에 체결되면 조립 설치되는 하부체결부재(54); 상기 양 지지대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빗물 및 이물질로부터 안정기를 보호하도록 박스형상의 안정기보관부(60); 및 상기 양 지지대의 끝단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브라켓트의 상단에 체결구가 체결되게 체결공이 형성된 제1,2작업등(70)(70a);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지브의 두께 형상에 따라 지지대를 상황에 맞게 선택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고, 특히 지지대의 내부에 보강부재를 설치하여 견고히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아울러 안정기보관부가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비바람이 심하게 몰아칠 경우에도 안정기를 빗물 및 이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더하여 안정기를 교체형 및 내장형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작업등의 높낮이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Figure R1020080044163
지지대, 작업등, 높낮이조절부, 타워 크레인.

Description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supporting device for waing lamp of tower crane}
본 발명은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브의 두께 형상에 따라 지지대를 상황에 맞게 선택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고, 특히 지지대의 내부에 보강부재를 설치하여 견고히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아울러 안정기보관부가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비바람이 심하게 몰아칠 경우에도 안정기를 빗물 및 이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더하여 안정기를 교체형 및 내장형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작업등의 높낮이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타워 크레인(tower crane)은 건설장비의 일종으로서 수직타워 상부에 지브가 설치된 크레인을 말한다. 타워 크레인은 건축물 또는 구조물 주위의 고소에 설치되는 건설기계로서 일반적으로 높이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고, 작업범 위가 넓으며 건축물에 근접한 작업이 가능하므로 특히 대도시의 밀집된 고층 건축공사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플랜트건설, 철탑건설 또는 항만하역용의 타워크레인 등 다양한 종류가 제작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타워 크레인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한다.
즉, 도 1 에 도시된 타워 크레인은 이른바 T자형의 타워 크레인으로서 철제 앵글로 조립된 마스트(1)의 상단에는 작업자를 위한 운전실(3)이 설치되어 있고, 이 운전실(3)에서 수평으로 지브(5)와 균형 프레임(7)이 연장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지브(5)와 균형 프레임(7)은 운전석(3)의 상방으로 더 세워진 마스트(1)의 정상에 결속되는 로프(9)와 연결되어서 균형을 이루게 되어 있으며, 상기 지브(5)를 타고 훅크(11)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균형 프레임(7)이 종단에는 콘크리트 블록 등으로 만들어진 평형추(13)가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타워 크레인은 훅크(11)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이송 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야간작업 시에는 주변에 조명을 위한 작업등을 배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어야 한다. 이러한 조명등 설치의 번거로움은 타워 크레인의 지브에 적당한 조명원을 배치하는 것으로 해결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에는 각목을 지브에 교차상으로 묶어 고정하고 그 양단에 투광등을 현수하는 방식으로 야간작업에 임해 왔다. 그렇지만 지브에는 투광등 외에도 이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전기 부품으로서 안정기가 더 설치되어야 한다. 안정기도 마찬가지로 종래에는 지브의 적당한 위치에 결속시켜 왔으나, 장기간 사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나타내기에 이르렀다. 즉, 안정기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빗물이나 새벽의 결 로(이슬 맺힘) 현상 등에 의해 내부 쇼트 또는 누전을 일으키는 사례가 종종 발생한다. 또 안정기가 누전되었을 때는 타워 크레인을 오르내리는 운전자가 감전될 위험성이 대단히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지지대는 각목을 주로 사용하고 있어서 크레인 운전 시에 축조되는 건축물과 약간만 부딪혀도 부러져 나가 투광등이 낙하되는 사고를 일으키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건설현장의 야간 작업시 조도확보를 위하여 타워 크레인 지브에 작업등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종래의 기술도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실용신안등록 제0239244호(출원번호 제2001-0011335호)(명칭: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 구조체)가 출원되어 등록된바 있다.
즉, 상기한 기술은 도 2(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길이를 갖는 지지대(22)의 대략 중간에는 통공(22a)이 뚫려져 있고, 이 통공(22a)을 통해U자 볼트(24)가 관통된다. 이 U자 볼트(24)는 지지대(22)에 체결된 채로 두어도 좋고, 또는 사용 중에 조립할 수 있게 분리상으로 두어도 좋다. 또 상기 지지대(22)는 철제 파이프를 소재로 하고 그 표면이 절연막으로 코팅된 것을 채용함이 바람직하다. 절연막은 분체 도장 또는 정전 침적도장법으로 간단하게 성층할 수 있다. 지지대(22)의 양측부에는 1쌍의 브라켓(26)이 대향되게 배치되며, 이들 브라켓(26)은 통상의 투광등(28)을 하향 자세로 현수시켜 주는 것이다. 물론, 양측단에 현수되는 투광기(28)도 안정기(30)를 구비하고 있어야 하며 상기 안정기(30)는 브라켓(26)의 측방으로 배치되는 보호커버(32)의 내측에 볼트로 체결 부착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안정기(30)는 보호커버(32)에 의해 상방이 차폐되도록 지지대(22)의 밑면에 부착 고정되고 상기 보호커버(32)는 안정기(30)를 충분히 실드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은 통상의 타워 크레인에 갖추어진 지브(5)에 대하여 상기 지지대(22)가 교차상으로 이루게 배치한 다음, 체결구(24)로 강고하게 부착하고 투광등(28)과 안정기(30)를 전기적으로 결선한 다음 사용하는 것으로서, 야간작업 중에 투광등(28)이 점등되어 조명되는 범위는 지브(5)의 하측방이 되기 때문에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강우 시에는 보호커버(32)에 의해 안정기(30)로 빗물이 침투되지 않게 되어 전기적 사고 요인이 발생하지 않는다. 게다가 지지대(22)는 표면이 절연층으로 코팅된 것이기 때문에 누전 사고의 염려도 없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도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종래의 기술적 구성인 U자볼트(24)는 지브(5)가 원형일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는 기술적 제약이 있으며, 아울러 지브(5)의 두께에 따라 지지대(22)를 상황에 맞게 선택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상기 종래의 기술은 지브(5) 만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견고히 고정 설치할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보호커버(32)가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비바람이 심하게 몰아칠 경우에는 안정기(30)의 옆이나 밑으로 빗물이 투입되어 전기적 사고의 요인이 발생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한 쌍의 지지대와 상,하부체결부재 그리고 안정기보관부와 작업등이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은 지브의 두께 형상에 따라 지지대를 상황에 맞게 선택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특히 제3목적은 지지대의 내부에 보강부재를 설치하여 견고히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아울러 제4목적은 안정기보관부가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비바람이 심하게 몰아칠 경우에도 안정기를 빗물 및 이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더하여 제5목적은 안정기를 교체형 및 내장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6목적은 필요에 따라 작업등의 높낮이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내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 입구에 개구부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 양단에 각각 체결공이 형성되되, 상기 양 개구부의 내측에 끼워지는 상부체결부재 및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위치하여 체결구가 체결공에 체결되면 조립 설치되는 하부체결부재; 상기 양 지지대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빗물 및 이물질로부터 안정기를 보호하도록 박스형상의 안정기보관부; 및 상기 양 지지대의 끝단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브라켓트의 상단에 체결구가 체결되게 체결공이 형성된 제1,2작업등;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 쌍의 지지대와 상,하부체결부재 그리고 안정기보관부와 작업등이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은 지브의 두께 형상에 따라 지지대를 상황에 맞게 선택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지지대의 내부에 보강부재를 설치하여 견고히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정기보관부가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비바람이 심하게 몰아칠 경우에도 안정기를 빗물 및 이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안정기를 교체형 및 내장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작업등의 높낮이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는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된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a)(b)(c)(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내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 입구에 개구부(51)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5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지지대(50)의 형상은 도면상에는 사각형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하지 않고 삼각,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양단에 각각 체결공(55)이 형성되되, 상기 양 개구부(51)의 내측에 끼워지는 상부체결부재(53) 및 상기 지지대(50)의 하부에 위치하여 체결구(59)가 체결공(55)에 체결되면 조립 설치되는 하부체결부재(54)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상,하부체결부재(53)(54)는 지브의 형상인 사각형에 긴밀히 밀착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양단에 날개가 달린 '
Figure 112008033870496-pat00001
'과 '
Figure 112008033870496-pat00002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양 개구부(51)의 내부에는 외부의 빗물이나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함과 아울러 지지력을 확보하는 'ㄷ'자 형상의 보강부재(58)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양 지지대(5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빗물 및 이물질로부터 안정기(66)를 보호하도록 박스형상의 안정기보관부(60)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안정기보관부(6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양 지지대(50)의 하부에 각각 체결구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는 안정기(66)가 설치되는 케이스(6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61)의 양측 또는 저면에 구비되어 전선을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선유입소켓(6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61)의 전방 상단 경첩(64)을 중심으로 회전 개폐되고, 하단 잠금부재(65)에 의해 록킹되는 뚜껑(63)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 지지대(50)의 끝단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브라켓트(71)의 상단에 체결구가 체결되게 체결공(72)이 형성된 제1,2작업등(70)(70a)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상부체결부재(53)를 중심으로 양단에 각각 지지대(50)를 끼우되, 이때 지지대(50)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51)를 통해 상부체결부재(53)의 양단이 끼워지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상부체결부재(53)가 개구부(51)에 끼워질 때 상기 개구부(51)에 보강부재(58)를 끼워 상부체결부재(53)의 이동을 방지하게 됨은 물론 외부의 빗물이나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함과 아울러 지지력을 확보하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지지대(50)의 하부에 하부체결부재(54)를 위치시키되, 이때 지지대(50)와 보강부재(58) 그리고 상,하부체결부재(53)(54)에 형성된 체결공(55)을 통해 체결구(59)가 끼워지게 되면 상기 지지대(50)에 상,하부체결부재(53)(54) 및 보강부재(58)가 고정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경첩(64)을 중심으로 뚜껑(63)을 열고, 케이스(61)의 내부에 안정기(66)를 수납한다. 그리고 상기 안정기(66)의 전선(도면상 미도시함)을 전선유입소켓(62)을 통해 외부로 인출하여 제1작업등(70)에 연결한다.
이후 상기 뚜껑(63)을 닫고 잠금부재(65)를 잠그게 되면 케이스(61)는 사방이 막혀 있기 때문에 빗물 및 이물질로부터 안정기를 충분히 보호함과 아울러 누전 및 단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야간작업이 늦어지는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양 지지대(50)의 끝단 하부에 제1직업등(70)을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 이때 브라켓트(71) 및 지지대(50)에 형성된 체결공(72)을 통해 체결구가 체결되어 제1작업등(70)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크레인의 지브에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 이때 하부체결부재(54)만 분리한 상태에서 양 지지대(50)를 지브에 올려놓고 이후 하부체결부재(54)를 지지대(50)의 하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구(59)를 조이게 되면 지브에 양 지지대(50)가 견고히 고정 설치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이 지브의 하부에 지지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구를 체결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조립과정을 역순으로 작동하게 되면 손쉽게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제2실시예의 구성은 안정기 내장 타입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하의 기술적 구성이 본 발명의 특징이며, 이외의 나머지 기술적 구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제2작업등(70a)은 도 4(a)(b)(c)(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전등갓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단 양측에 브라켓트(71)가 조립되게 가이드홈(74a)이 형성된 작업등몸체(7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작업등몸체(74)의 내부에는 안정기(66a)가 수납 설치됨은 물론 상기 작업등몸체(74)의 상단에는 뚜껑(75)이 조립 설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작업등몸체(74) 및 뚜껑(75)은 구형,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트(71)의 양측 하단에 구비되며, 풀고 조임에 따라 가이드홈(74a)에서 제2작업등(70a)을 이동 및 고정시키는 조임부재(73)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안정기 내장형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도면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안정기케이스 내부에 안정기를 장착하는 방식으로 상기 안정기 내장형 투광기와는 달리 안정기 파손시 안정기만 별도로 교체가 용이하여 작업이 편리하고 미관상 보기 좋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한 기술적 구성 이외의 나머지 기술적 구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제2실시예인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등몸체(74)의 내부에 안정기(66a)를 삽입하고, 이후 작업등몸체(74)의 상단에는 뚜껑(75)을 씌워 체결한다.
이어서 브라켓트(71)의 양단을 작업등몸체(74)의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홈(74a)에 끼운다. 그리고 조임부재(73)를 조이게 되면 브라켓트(71)가 작업등몸체(74)에 조립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제2작업등(70a)은 도 4(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50)의 끝단 하부에 고정 설치하되, 체결공(72)에 체결구가 체결되어 제2작업등(70a)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한 제2작업등(70a)은 안정기(66a)가 내장형으로 지지대(50)의 설치가 간단하고, 안정기(66a)의 파손시 안정기(66a)만 별도로 교체가 용이하여 작업이 편리하다는 장점과 미관상 보기 좋은 이점도 있다.
아울러 상기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조임부재(73)를 약간 풀은 상태에서 작업등몸체(74)를 상하로 이동하면서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다시 조임부재(73)를 조이게 되면 그 위치에서 제2작업등(70a)이 고정 설치되어 사용자는 제2작업등(70a)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 제2실시예도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크레인의 지브에 고정 설치하여 사용하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5(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 지지대(50)의 끝단에는 각각 제1,2작업등(70)(70a)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80)가 구비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높낮이조절부(8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술한 양 지지대(50)의 끝단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체결구(84)가 체결되게 체결공(82)이 형성된 내측프레임(8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측프레임(81)에 조립 설치되며, 체결구(88)가 체결되게 체결공(87)이 형성된 외측프레임(85)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호 맞닿는 내,외측프레임(81)(85)에는 체결구(88)가 체결되게 체결공(83)(86)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공(83)(86)은 내측프레임(81)을 중심으로 외측프레임(85)을 상하로 높이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한 기술적 구성 이외의 나머지 기술적 구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제3실시예인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 제3실시예도 전술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크레인의 지브에 고정 설치하여 사용하게 됨은 물론이며, 이의 상세한 설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내측프레임(81)을 지지대(50)의 끝단 상부에 올려놓되, 이때 지지대(50)의 체결공(50a)과 내측프레임(81)의 체결공(82)을 상호 일치시킨 후 체결구(84)를 이용하여 상호 고정 설치한다.
이후 상기 내측프레임(81)의 일측에 외측프레임(85)을 상호 맞닿게 하되, 다수의 체결공(83)(86)을 상호 일치시킨 후 체결구(88)를 이용하여 상호 고정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외측프레임(85)의 상단에 형성된 체결공(87)에는 작업등(70)(70a)을 체결구(88)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한 기술적 구성은 제1,2작업등(70)(70a)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내측프레임(81)을 중심으로 외측프레임(85)을 하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외측프레임(85)의 상단 체결공(86)을 내측프레임(81)의 하단 체결공(83)에 맞추어 체결구(88)를 체결하면 되고, 반대로 외측프레임(85)을 상승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외측프레임(85)의 하단 체결공(86)을 내측프레임(81)의 상단 체결공(83)에 맞춘 후 체결구(88)를 체결하며 손쉽게 외측프레임(85)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외측프레임(85)에 고정 설치된 제1,2작업등(70)(70a)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 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타워 크레인의 구성도.
도 2 의 (a)는 종래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b)는 종래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 구조체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를
보인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b)는 상기 도 3(a)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c)는 상기 도 3(b)의 결합상태 정면도이고,
(d)는 상기 도 3(b)의 결합상태 요부 단면도이다.
도 4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를
보인 제2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b)는 상기 도 4(a)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c)는 상기 도 4(b)의 결합상태 정면도이고,
(d)는 상기 도 4(b)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를
보인 제3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b)는 상기 도 5(a)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c)는 상기 도 5(b)의 결합상태 정면도이다.
도 6 은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제1, 제2, 제3의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
정 지지장치가 타워 크레인에 설치된 상태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지지대 60: 안정기보관부
70, 70a: 작업등 60: 높낮이조절부

Claims (8)

  1. 삭제
  2.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내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 입구에 개구부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 양단에 각각 체결공이 형성되되, 상기 양 개구부의 내측에 끼워지는 상부체결부재 및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위치하여 체결구가 체결공에 체결되면 조립 설치되는 하부체결부재;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빗물 및 이물질로부터 안정기를 보호하도록 박스형상의 안정기보관부; 상기 지지대의 끝단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브라켓트의 상단에 체결구가 체결되게 체결공이 형성된 제1, 2작업등;이 구비된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 개구부(51)의 내부에는 외부의 빗물이나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함과 아울러 지지력을 확보하는 'ㄷ'자 형상의 보강부재(58)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체결부재(53)(54)는 지브의 형상인 사각형에 긴밀히 밀착 고정설치 될 수 있도록 '
    Figure 712008004837583-pat00003
    '과 '
    Figure 712008004837583-pat00004
    '형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
  4.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안정기보관부(60)는,
    양 지지대(50)의 하부에 각각 체결구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는 안정기가 설치되는 케이스(61);
    상기 케이스의 양측 또는 저면에 구비되어 전선을 통과시키는 전선유입소켓(62); 및
    상기 케이스의 전방 상단 경첩을 중심으로 회전 개폐되고, 하단 잠금부재에 의해 록킹되는 뚜껑(63);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
  5.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제2 작업등(70a)은,
    전등갓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단 양측에 브라켓트가 조립되게 가이드홈이 형성된 작업등몸체(74);
    상기 작업등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안정기(66a) 및 상단에 씌워져 조립되는 뚜껑(75); 및
    상기 브라켓트의 양측 하단에 구비되며, 풀고 조임에 따라 가이드홈에서 이동 및 고정시키는 조임부재(73);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작업등몸체(74)는,
    구형,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
  7.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양 지지대(50)의 끝단에는 각각 작업등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8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부(80)는,
    양 지지대의 끝단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체결구가 체결되게 체결공이 형성된 내측프레임(81);
    상기 내측프레임에 조립 설치되며, 체결구가 체결되게 체결공이 형성된 외측프레임(85); 및
    상기 상호 맞닿는 내,외측프레임에는 체결구가 체결되게 체결공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공은 내측프레임을 중심으로 외측프레임을 상하로 높이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
KR1020080044163A 2008-05-13 2008-05-13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 KR100873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163A KR100873489B1 (ko) 2008-05-13 2008-05-13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163A KR100873489B1 (ko) 2008-05-13 2008-05-13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3489B1 true KR100873489B1 (ko) 2008-12-15

Family

ID=40372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163A KR100873489B1 (ko) 2008-05-13 2008-05-13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4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0516A (zh) * 2012-09-06 2012-12-26 四川锦明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在塔式起重机臂上的led灯装置
JP2019129136A (ja) * 2018-01-24 2019-08-01 東西電工株式会社 クレーン用led投光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244Y1 (ko) * 2001-04-20 2001-10-11 주식회사 태건상사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 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244Y1 (ko) * 2001-04-20 2001-10-11 주식회사 태건상사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0516A (zh) * 2012-09-06 2012-12-26 四川锦明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在塔式起重机臂上的led灯装置
JP2019129136A (ja) * 2018-01-24 2019-08-01 東西電工株式会社 クレーン用led投光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631B1 (ko) 조립식 가로등주
US5261435A (en) Shading device
KR101431243B1 (ko) 안테나 기지국용 옥상 위장막 휀스
KR20150142240A (ko)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
KR101823467B1 (ko) 도로시설물용 기둥식 설치대의 강성 보강장치
KR100873489B1 (ko)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의 고정 지지장치
KR101166213B1 (ko)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한 보안등 지지장치
KR101113969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틸팅되는 가로등주
US4459649A (en) Pole mounted lighting system
KR101063308B1 (ko) 승강틀에 대한 추락방지구조를 갖는 승,하강식 조명타워
KR101350834B1 (ko) 점검구에 대한 보강구조를 갖는 가로등용 지주
US20040159027A1 (en) Electronic display board supporting structure
KR102040925B1 (ko) 보안 등기구 아암
CN205532717U (zh) 隧道防护门防倾倒装置以及隧道防护门系统
KR200239244Y1 (ko) 타워 크레인용 작업등 구조체
KR100509622B1 (ko) 건축물 공사용 보온 덮개 지붕틀
KR20120035800A (ko) 가로등지주의 하단 고정장치
JP2004232366A (ja) つり足場
KR20110013832A (ko) 가로등 지주 교체장비
KR20160033889A (ko) 가로등
KR19990039369U (ko) 운반용 고리가 설치된 도로용 방음벽
KR101560567B1 (ko) 가로등 지주용 연결 고정구
KR200235040Y1 (ko) 다기능 편출용 디형 랙크 구조
KR102636834B1 (ko) Gis형 변전소 벽체의 송전선로 안전 취부 시스템
CA2199560A1 (en) Tree supported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