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969B1 -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틸팅되는 가로등주 - Google Patents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틸팅되는 가로등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969B1
KR101113969B1 KR1020110091039A KR20110091039A KR101113969B1 KR 101113969 B1 KR101113969 B1 KR 101113969B1 KR 1020110091039 A KR1020110091039 A KR 1020110091039A KR 20110091039 A KR20110091039 A KR 20110091039A KR 101113969 B1 KR101113969 B1 KR 101113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hinge
base plate
column
stree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일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일산업
Priority to KR1020110091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6Adjustable mountings using wires or co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등기구의 교체 등과 같이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가로등주가 지면 가까이까지 기울어지도록 하는 틸팅 가로등주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틸팅 가로등주는 가로등주를 상하로 분리하여 조인트를 두고, 이 조인트의 내부에 힌지부로 결합시켜 상부측 가로등주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며, 조인트 부분의 힌지부가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세팅블록을 끼울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판을 이중으로 구성하여 상부측 베이스판이 가로등주와 함께 선회하도록 구성하였고, 틸팅되는 각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구성도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틸팅되는 가로등주{A street lamp pole that the tilting}
본 발명은 가로등주에 관한 것으로, 등기구의 교체나 점검시 등주를 지면 가까이까지 내릴 수 있도록 틸팅되는 가로등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가로등주"라 함은 가로등 뿐만 아니라 신호등, 이정표, 안내판 등이 설치되는 모든 지주를 의미하는 것이며, 이하 본 발명에서 통칭하여 "가로등주"라 칭한다.
종래에는 가로등주에서 가로등의 수명이 다하거나 고장 등이 발생하여 이를 교체하거나 수리를 해야 할 경우, 또는 가로등주를 페인팅하거나 하는 등의 보수작업을 해야 할 경우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거나 아니면 바스켓이 달린 크레인을 타고 올라가 보수작업을 하였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보수작업은 작업자의 낙하 위험이나 고압선에 의한 감전 위험성 등이 높아 안전사고에 노출되어 있었고 또한 작업자가 지상에 올라가 보수작업을 해야 함으로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것이었다.
그리고 보수작업에 따른 고가비용의 크레인과 같은 특수차량을 동원해야 하고, 다수의 작업자가 필요하며, 보수작업시 크레인 등에 의한 도로를 점거해야 함으로 원활한 교통 흐름을 방해하기도 하고 자칫 교통사고의 위험성마저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로등주를 보수작업 등을 할 시 절첩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52806호(2005.06.07. 공개)로 개시 된바 있다.
그런데 위 공개특허 제2005-0052806호는 가로등주를 보수작업 등을 할 시 절첩 할 수는 있으나, 도로나 주변 상황에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가로등용 지주를 절첩할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지 않아 절첩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예상하지 못했던 장애물 등이 새로 발생하게 되면 절첩시켜 보수작업을 하는데 문제가 있다는 과제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19446호(2007.02.15. 공개)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위 공개특허 제2005-0052806호나 공개특허 제2007-0019446호는 절첩되기 위해 구부러지는 부위가 외관상 보여질 뿐만 아니라 돌출되어 있어 도시경관의 일부가 되는 가로등 경관의 저해하는 요소가 되면서 돌출된 부분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구부러지는 부분이 겉으로 전혀 보이지 않도록 내부에 구성되도록 하는 가로등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등기구의 교체 등 용이한 유지관리를 위해 가로등주가 눕혀지도록 되는 틸팅 가로등주에 있어서,
가로등주는 점검구에 인접한 상측에서 분리되도록 하부등주와 상부등주로 구성되고, 하부등주의 상부면상 및 상부등주의 하부면상에는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꺽여지도록 힌지결합되고, 하부등주 및 상부등주의 힌지 형성부위는 그 단면보다 너 깊게 패어지고, 패어진 공간으로 세팅블록이 힌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상부등주가 걸쳐지도록 삽입되며, 점검구를 통해 상부등주 및 세팅블록을 체결구를 이용하여 하부등주에 체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로등주를 제공한다.
이때, 세팅블록은 하부등주 및 상부등주와 같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세팅블록의 외측에는 암나사공이 형성되어 끝부분에 수나사가 형성된 공구를 이용하여 세팅블록이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세팅블록의 상부면상 바깥쪽에는 바깥쪽으로 상향 경사진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부등주의 하부면상에는 받침부와 대응되는 받침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은,
등기구의 교체 등 용이한 유지관리를 위해 가로등주가 눕혀지도록 되는 틸팅 가로등주에 있어서,
가로등주의 하부에는 틸팅베이스판이 형성되고, 틸팅베이스판은 기초부에 설치된 기초베이스판위에 결합되며, 틸팅베이스판의 어느 일측에는 힌지공을 갖는 틸팅연결부재가 결합되고, 기초베이스판에는 틸팅연결부재와 힌지봉에 의해 결합되도록 힌지공을 갖는 고정연결부재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로등주를 제공한다.
이때, 틸팅연결부재 및 고정연결부재의 힌지공 뒤쪽에는 틸팅연결부재가 회동될때에 서로 맞닿아 일정한 틸팅각도를 갖게하는 경사부재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은,
등기구의 교체 등 용이한 유지관리를 위해 가로등주가 눕혀지도록 되는 틸팅 가로등주에 있어서,
가로등주의 하부에는 틸팅베이스판이 형성되고, 틸팅베이스판은 기초부에 설치된 기초베이스판위에 결합되며, 틸팅베이스판의 어느 일측에는 틸팅연결부재가 결합되며, 틸팅베이스판의 양쪽 기초베이스판에는 베어링하우징이 설치되어 이 베어링하우징에서부터 힌지봉이 틸팅연결부재를 통과하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로등주를 제공한다.
이때, 틸팅연결부재의 단부에는 다수의 너클볼트가 체결되어 힌지봉이 너클볼트의 힌지공을 통과해 결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로등주의 구부러지는 중간부위가 겉으로는 전혀 표시가 나지 않아 도시경관을 더욱 돋보이게 할 수 있으면서 파손에 의한 잦은 고장의 원인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틸팅 가로등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조인트 부분을 분해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조인트 부분에 세팅블록이 적용되는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틸팅 가로등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틸팅구조를 보인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틸팅 가로등주의 틸팅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틸팅 가로등주의 틸팅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틸팅 가로등주의 틸팅구조를 보인 도면이며,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틸팅 가로등주의 틸팅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틸팅되는 가로등주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주(100)는 서로 분리되어 상,하로 결합되는 하부등주(120)와 상부등주(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등주(120)는 가로등주(100)가 설치되기 위한 지면에 장착된 베이스(110)위에 직립되는 지주이고, 상부등주(130)는 상기 하부등주(120)의 상단에 어느 일측방향으로 선회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그 상단에 등기구(140)가 결합되는 지주이다. 이때, 하부등주(120)에는 개폐가능한 점검구(121)가 형성되고, 하부등주(120)와 상부등주(130)가 결합되는 조인트(125)는 이 점검구(121)에 인접한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조인트(125)는 상부등주(130) 및 하부등주(120)가 서로 맞닿는 면상에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어 하부등주(120)는 고정되어 있고, 상부등주(130)는 회동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조인트(125)에는 힌지부의 부분을 감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는 세팅블록(150)이 장착된다. 즉, 힌지부는 하부등주(120)의 상부면상에 형성된 하부힌지(122)와 상부등주(130)의 하부면상에 형성된 상부힌지(132) 및 이 하부힌지(122) 및 상부힌지(132)가 서로 결합된 후에 그 사이를 관통하는 힌지핀으로 구성되는데, 하부힌지(122)가 형성된면은 주위보다 더 패이게 빈공간(123)이 형성되어 하부등주(120) 및 상부등주(130)의 단면이 서로 맞닿았을때에 힌지부에 의해 기울어지지 않도록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하부힌지(122)가 형성된 빈공간(123)에 의해 힌지부가 외부로 노출되지만, 이 노출된 부분이 세팅블록(150)이 삽입되면서 가려지는 것이다.
세팅블록(150)은 힌지부가 노출된 부분을 감싸면서 상부등주(130) 및 하부등주(120)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제작되어 세팅블록(150)이 삽입되면 겉으로 보기에는 힌지부의 존재여부가 전혀 파악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세팅블록(150)은 겉에는 등주의 외경과 같이 둥그렇게 형성되어 있어 이 세팅블록(150)을 꺼낼때에 잡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이 세팅블록(150)의 외측에는 암나사공(154)이 형성된다. 이러한 암나사공(154)에 끝부분이 수나사(156)가 형성된 막대나 봉 형태의 공구(155)를 이용하여 나사결합시킨 다음 공구(155)가 고정되면 세팅블록(150)을 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세팅블록(150)이 빈공간(123)에 삽입되어 상부등주(130)를 받쳐주게 되는데, 이 받쳐주는 역할을 세팅블록(150)의 일측에 경사진 받침부(151)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부등주(130)의 하부면상에는 이 받침부(151)에 대응되는 경사진 받침면(133)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주(100)에는 체결구가 구비되고, 이 체결구는 점검구(12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하부등주(120) 및 상부등주(130)의 상호 결합 및 하부등주(120)와 세팅블록(150)의 상호 결합을 도모하게 된다. 즉, 하부등주(120)던 상부등주(130)던 내부는 비어있게 되고, 하부등주(120)의 점검구(121) 내부는 텅 비어있는 공간이 된다. 따라서 이 점검구(121)를 통해 상측방향으로 볼트 또는 스크류를 체결하여 하부등주(120)와 상부등주(130)를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점검구(121)를 통하여 볼트 또는 스크류를 체결하여 하부등주(120)와 세팅블록(151)을 결합시키게 된다. 따라서 하부등주(120)의 단부 아래쪽에는 점검구(121)쪽을 향해 체결공(124)이 형성된다.
하기에는 등기구 교체를 위해 가로등주(100)을 틸팅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점검구(121)를 열어 그 내부로 손을 넣어 하부등주(120)와 상부등주(130) 및 세팅블록(150)에 체결된 체결구를 모두 풀어준다.
체결구가 풀어지면 세팅블록(150)이 빠질 수 있게 되는데, 세팅블록(150)이 가로등주(100)와 동일한 외경을 갖기 때문에 단순히 잡아뺄 수는 없게 되어 이 세팅블록(150)에 형성된 암나사공(154)에 수나사(156)가 형성된 공구(155)를 결합시켜 세팅블록(150)을 인출하게 된다.
세팅블록(150)이 빠지면 상부등주(130)는 세팅블록(150)이 빠진 빈공간(123)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여유가 생기게 되어 상부등주(130)를 받치면서 천천히 기울여주어 눕혀준다.
상부등주(130)가 수평하게 눕혀지면 원하는 등기구를 교체하고, 위의 역순으로 상부등주(130)를 다시 세운다.
이상은 가로등주(100)를 상부등주(130)와 하부등주(120)로 분리 구성한 형태의 틸팅 가로등 실시예를 설명하였고, 하기에는 가로등주(100)의 중간부분이 아닌 베이스판(110)에서부터 가로등주가 틸팅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
도 4를 참고하면, 가로등주(100)의 베이스는 기초부(10)와 앙카로 결합되는 기초베이스판(210)과, 이 기초베이스판(210)위에 겹쳐지게 결합되면서 그 위로 가로등주(100)가 고정되는 틸팅베이스판(220)으로 구성되고, 이 틸팅베이스판(220)의 일측에 틸팅을 위한 부속품이 결합된다.
부속품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힌지봉(230)에 의해 서로 엇갈려 결합되는 틸팅연결부재(221) 및 고정연결부재(210)가 구비되고, 틸팅연결부재(221)는 틸팅베이스판(220)쪽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고정연결부재(211)는 기초베이스판()쪽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기초베이스판(210)과 틸팅베이스판(220)은 틸팅베이스판(220)의 높이만큼 단턱이 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봉(230)이 삽입되어지는 연결부재(221) 및 고정연결부재(211)의 힌지공(212,222)은 서로 높이차를 조절하여 일치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틸팅베이스판(220)쪽의 앙카를 모두 해제한 후, 가로등주(100)를 눕히면 틸팅연결부재(221) 및 고정연결부재(211)가 힌지봉(230)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가로등주(100)의 틸팅을 할 수 있게 된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주는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두 개의 부속품을 사용하기는 하지만,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서로 동일하게 제작되어 실제로는 한가지의 부속품으로 양쪽에 대칭으로 배치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틸팅베이스판(220)의 일측 하부면상은 틸팅연결부재(221)가 들어갈 수 있도록 오목한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틸팅베이스판(220) 및 기초베이스판(210)에 배치된 틸팅연결부재(221) 및 고정연결부재(211)는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되며, 이 틸팅연결부재(221) 및 고정연결부재(211)의 서로 연통된 힌지공(222, 212)으로 힌지봉(130)이 삽입된다.
<제4실시예>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틸팅베이스판(220)이 회동할때에 일정한 틸팅각도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도 7을 참고하면, 틸팅베이스판(220)의 일측 하부면상으로 들어가 고정되도록 마련된 틸팅연결부재(221)와, 이 틸팅연결부재(221)에 힌지봉(230)에 의해 엇갈려 결합되는 고정연결부재(212)가 마련된다. 여기에서 틸팅연결부재(221)는 힌지봉(230)이 삽입되는 힌지공(222)이 틸팅베이스판(220)의 가운데 부분을 비워놓고 양쪽으로 한쌍이 형성되고, 고정연결부재(211)는 힌지공(212)이 틸팅연결부재(221)의 이격된 힌지공(222)사이로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틸팅베이스판(220)쪽 부속은 두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양쪽으로 부착되고, 기초베이스판(210)쪽 부속은 위 두 개의 부속 사이로 들어가도록 깍지결합되어 부착됨을 말한다. 그리고 틸팅연결부재(221) 및 고정연결부재(211)의 힌지공(222, 212) 뒤쪽에는 서로 반대되는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된 경사부재(223, 213)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틸팅베이스판(220)이 틸팅연결부재(221)의 회동에 의해 틸팅될때에 서로 맞닿게 되는 경사부재(223, 213)에 의해 설정된 각도의 합산만큼만 회동각도를 갖게 되는 것이다.
<제5실시예>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주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틸팅베이스판(220)의 일측에 힌지공(222)이 형성된 틸팅연결부재(221)를 결합시키고, 틸팅베이스판(220)의 양쪽 기초베이스판(210)에 베어링하우징(215)을 설치하여 이 베어링하우징(215)에서부터 틸팅연결부재(221)의 힌지공(222)을 통과하도록 힌지봉(230)을 결합시켜 구성된다.
<제6실시예>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주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틸팅베이스판(220)의 일측에 틸팅연결부재(221)를 결합 고정시키고, 이 틸팅연결부재(221)의 타측에 다수의 너클볼트(225)를 결합시키고, 틸팅베이스판(220)의 양쪽 기초베이스판(210)에 베어링하우징(215)을 설치하여 이 베어링하우징(215)에서부터 너클볼트(225)의 힌지공(226)을 통과하도록 힌지봉(230)을 결합시켜 구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가로등주
110 : 베이스판 120 : 하부등주
121 : 점검구 122 : 하부힌지
123 : 빈공간 124 : 체결공
130 : 상부등주 132 : 상부힌지
133 : 받침면 140 : 등기구
150 : 세팅블록 151 : 받침부
154 : 암나사공 155 : 공구
156 : 수나사 210 : 기초베이스판
211 : 고정연결부재 212 : 힌지공
213 : 경사부재 215 : 베어링하우징
220 : 틸팅베이스판 221 : 틸팅연결부재
222 : 힌지공 223 : 경사부재
225 : 너클볼트 230 : 힌지봉

Claims (7)

  1. 등기구의 교체 등 용이한 유지관리를 위해 가로등주가 눕혀지도록 되는 틸팅 가로등주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주는 점검구(121)에 인접한 상측에서 분리되도록 하부등주(120)와 상부등주(130)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등주(120)의 상부면상과 상기 상부등주(130)의 하부면상에는 힌지핀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꺽여지도록 각각 하부힌지(122) 및 상부힌지(132)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힌지(122) 형성부위는 상기 하부등주(120)의 단부보다 너 깊게 패어진 빈공간(123)이 형성되고, 상기 빈공간(123)으로 세팅블록(150)이 삽입되어 힌지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상기 상부등주(130)를 받치도록 삽입되며, 상기 점검구(121)를 통해 상기 상부등주(130) 및 세팅블록(150)을 상기 하부등주(120)에 볼트 또는 스크류로 체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로등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블록(150)은 상기 하부등주(120) 및 상부등주(130)와 같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세팅블록(150)의 외측에는 암나사공(154)이 형성되어 끝부분에 수나사(156)가 형성된 공구(155)를 이용하여 상기 세팅블록(150)이 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로등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블록(150)의 상부면상 바깥쪽에는 바깥쪽으로 상향 경사진 받침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등주(130)의 하부면상에는 상기 받침부(151)와 대응되는 받침면(13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로등주.
  4. 등기구의 교체 등 용이한 유지관리를 위해 가로등주가 눕혀지도록 되는 틸팅 가로등주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주의 하부에는 틸팅베이스판(220)이 형성되고, 상기 틸팅베이스판(220)은 기초부(10)에 설치된 기초베이스판(210)위에 결합되며, 상기 틸팅베이스판(220)의 어느 일측에는 힌지공(222)을 갖는 틸팅연결부재(221)가 결합되고, 상기 기초베이스판(210)에는 상기 틸팅연결부재(221)와 힌지봉(230)에 의해 결합되도록 힌지공(212)을 갖는 고정연결부재(211)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로등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연결부재(221) 및 고정연결부재(211)의 힌지공(222, 212) 뒤쪽에는 상기 틸팅연결부재(221)가 회동될때에 서로 맞닿아 일정한 틸팅각도를 갖게하는 경사부재(223, 213)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로등주.
  6. 등기구의 교체 등 용이한 유지관리를 위해 가로등주가 눕혀지도록 되는 틸팅 가로등주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주의 하부에는 틸팅베이스판(220)이 형성되고, 상기 틸팅베이스판(220)은 기초부(10)에 설치된 기초베이스판(210)위에 결합되며, 상기 틸팅베이스판(220)의 어느 일측에는 틸팅연결부재(221)가 결합되며, 상기 틸팅베이스판(220)의 양쪽 기초베이스판(210)에는 베어링하우징(215)이 설치되어 이 베어링하우징(215)에서부터 힌지봉(230)이 상기 틸팅연결부재(221)를 통과하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로등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연결부재(221)의 단부에는 다수의 너클볼트(225)가 체결되어 상기 힌지봉(230)이 상기 너클볼트(225)의 힌지공(226)을 통과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로등주.
KR1020110091039A 2011-09-08 2011-09-08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틸팅되는 가로등주 KR101113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039A KR101113969B1 (ko) 2011-09-08 2011-09-08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틸팅되는 가로등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039A KR101113969B1 (ko) 2011-09-08 2011-09-08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틸팅되는 가로등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3969B1 true KR101113969B1 (ko) 2012-03-05

Family

ID=46140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039A KR101113969B1 (ko) 2011-09-08 2011-09-08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틸팅되는 가로등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96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201B1 (ko) 2012-08-07 2014-05-08 주식회사 진우엘텍 조명등
KR101537920B1 (ko) * 2015-01-29 2015-07-17 재진가로등 주식회사 가로등 설치가 용이한 가로등주 받침대
KR20190063488A (ko) 2017-11-29 2019-06-10 함재상 높이조절가능한 가로등
KR102073589B1 (ko) * 2019-05-17 2020-02-06 주식회사 인포비정보기술 가로등 고장 감지 장치
CN114593388A (zh) * 2022-03-08 2022-06-07 武汉祥驰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可以放倒的路灯杆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892Y1 (ko) * 2006-05-24 2006-08-11 조성진 풀림방지용 체결구가 부설된 가로등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892Y1 (ko) * 2006-05-24 2006-08-11 조성진 풀림방지용 체결구가 부설된 가로등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201B1 (ko) 2012-08-07 2014-05-08 주식회사 진우엘텍 조명등
KR101537920B1 (ko) * 2015-01-29 2015-07-17 재진가로등 주식회사 가로등 설치가 용이한 가로등주 받침대
KR20190063488A (ko) 2017-11-29 2019-06-10 함재상 높이조절가능한 가로등
KR102073589B1 (ko) * 2019-05-17 2020-02-06 주식회사 인포비정보기술 가로등 고장 감지 장치
CN114593388A (zh) * 2022-03-08 2022-06-07 武汉祥驰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可以放倒的路灯杆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969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틸팅되는 가로등주
KR101145130B1 (ko) 절첩식 가로등주
KR100611553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구조
KR101236137B1 (ko) 가로등지주의 각도조절장치
KR101548087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KR100907078B1 (ko) 옥외 조명시설용 등주의 결합구조
KR102066397B1 (ko) 방폭 라이팅 지주
KR200433150Y1 (ko) 가로등용 지주의 고정대
KR101007729B1 (ko) 다목적설치대
KR102104723B1 (ko)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절첩식 조명등기구 폴
KR102094462B1 (ko) 지주대 교체가 편리한 기초 구조체
KR200169474Y1 (ko) 다목적 전등주
KR101350834B1 (ko) 점검구에 대한 보강구조를 갖는 가로등용 지주
KR101120561B1 (ko) 가로등 지주 교체장비
KR20090001125A (ko) 가로등기구 연결부재
KR20110129002A (ko) 가로등의 지주 결합구조
KR100816722B1 (ko) 연결부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장치
CN210088655U (zh) 一种智能景观园林路灯
KR101148172B1 (ko) 등주매립형 기초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가로등 등주의 설치방법
KR102040925B1 (ko) 보안 등기구 아암
KR20120035800A (ko) 가로등지주의 하단 고정장치
KR20180047163A (ko) 회전방지형 가로등
KR100704073B1 (ko) 굴절식 가로등
KR20160033889A (ko) 가로등
KR101339042B1 (ko) 지주 회전구조를 갖는 신호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