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958B1 - 가정용 정미기 - Google Patents

가정용 정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958B1
KR101390958B1 KR1020120092203A KR20120092203A KR101390958B1 KR 101390958 B1 KR101390958 B1 KR 101390958B1 KR 1020120092203 A KR1020120092203 A KR 1020120092203A KR 20120092203 A KR20120092203 A KR 20120092203A KR 101390958 B1 KR101390958 B1 KR 101390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rice
tin
blade
t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5871A (ko
Inventor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븐하베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븐하베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븐하베스트
Priority to KR1020120092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958B1/ko
Publication of KR20140025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8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beater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 하는 구동축의 선단부에 끼워 맞추어져서 그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정미날개와; 상기 구동축과 동심원상 의 원통형상의 측주부와 상기 구동축을 관통시키는 개구를 가진 원형 바닥을 가지며, 상기 정미날개를 수용하는 정미바구니와; 상기 정미바구니를 수용하는 겨박스와; 상기 정미날개와 상기 정미바구니와 상기 겨박스를 각각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수용하고 상기 모터를 고정하여 수용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정미바구니의 측주부에는 장방형을 갖는 다수의 정미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정미날개는 구동축에 결합되는 보스로부터 적어 둘 이상의 블레이드로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그 단부에는 브러시가 형성되어, 정미 시에는 현미를 상기 정미바구니 내에 넣어 상기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정미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현미가 교반되며, 상기 교반되는 현미는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정미바구니의 측주부에 형성된 정미홈과 마찰되어 겨가 깎아지고, 정미바구니의 바닥면에 놓여진 현미는 상기 블레이드로드의 단부에 형성된 브러시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정미바구니의 장방형의 정미홈에 마찰되어 겨가 깎아지면서 상기 장방형의 정미홈 따라 상부로 올라가면서 쌀과 겨를 분리하며, 상기 분리된 겨는 원심력에 의하여 장방형의 홈의 바깥쪽으로 날려서 상기 겨박스 내부로 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가정용 정미기{Rice-polishing machine for housekeeping}
본 발명은 현미를 정미하는 정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현미의 겨를 깎아낼 때 겨를 쉽게 분리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정미시의 쌀의 마찰열을 저하시키고 쌀눈이 쉽게 박리되지 않도록 하여 밥맛과 영양이 우수하도록 한 소형 경량의 가정용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미기는 특허등록 제10-0266155호(2000. 6. 21. 등록) "탁상용 정미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모터와, 그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축의 선단부에 끼워 맞추어져서 그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정미날개와, 상기 구동축과 동심원상의 원통형상의 측주부와 상기 구동축을 관통시키는 개구를 가진 원형바닥을 가지며, 상기 정미날개를 수용하는 정미바구니와, 상기 구동축과 동심원상의 원통형상의 측주부와 상기 구동축을 관통시키는 개구를 가진 원형바닥을 가지며 상기 정미바구니를 수용하는 겨박스와, 상기 정미날개와 상기 정미바구니와 상기 겨박스를 각각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모터를 고정적으로 수용하는 본체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정미바구니의 측주부는 쇠그물로 구성되고, 정미 시에는 현미를 상기 정미바구니 내에 넣고 상기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정미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현미가 교반되어, 현미는 그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정미바구니의 쇠그물의 그물코에 마찰되어 겨가 깎이고, 깎아진 겨는 원심력에 의하여 그물코로부터 바깥쪽으로 날려서 상기 겨박스 내에 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탁상용 정미기는 정미 시 쌀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쌀의 겨를 효과적으로 깎아 내도록 구성한 것이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정미바구니는 그 측주부를 쇠그물의 형상으로 구성하고, 쇠그물의 그물코 형상이 4각형의 그물코의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정미날개가 회전할 때 쌀이 지속적으로 상기 정미바구니의 쇠그물의 그물코의 표면에 마찰되어 열을 발생함으로써 정미 시에 마찰열의 상승을 억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의 종래 기술에 의한 탁상용 정미기는 정미바구니에 넣어진 현미를 회전시켜 정미바구니에 표면에 마찰시키는 정미날개의 구조가 원통형상의 보스와 일체로 구성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정미날개의 단부와 정미바구니의 측주부인 쇠그물 사이에 위치된 쌀들이 상기 정미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정미바구니의 측주부에 압착되기 때문에 쌀에 붙여진 쌀눈이 쉽게 떨어져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쌀로부터 쌀눈이 떨어지는 경우 쌀의 영양소는 물론 밥맛과 식감이 현저하게 떨어짐으로써 정미의 효율이 좋다고 할 수 없다.
특허등록 제10-026615호(2000. 6. 21.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가정용 정미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미 시 정미바구니와 쌀의 표면마찰을 최소화하고, 정미날개가 쌀을 정미바구니의 표면으로 압착하지 않도록 정미날개의 구조를 개선하여 쌀에 붙어 있는 쌀눈이 쉽게 박리되지 않도록 한 가정용 정미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가정용 정미기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축의 선단부에 끼워 맞추어져서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정미날개와; 상기 구동축과 동심원상의 원통형상의 측주부와 상기 구동축을 관통시키는 개구를 가진 원형 바닥을 가지며, 상기 정미날개를 수용하는 정미바구니와; 상기 구동축과 동심원상의 원통형상의 측주부와, 상기 구동축을 관통시키는 개구를 가진 원형바닥을 가지며, 상기 정미바구니를 수용하는 겨박스와; 상기 정미날개와 상기 정미바구니 및 상기 겨박스를 각각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모터를 고정적으로 수용하는 본체 케이스를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에 있어서, 상기 정미바구니의 측주부에는 장방형을 갖는 다수의 정미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정미날개는 구동축에 결합되는 보스로부터 방사상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적어 둘 이상의 블레이드로드가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로드의 단부에는 상기 정미바구니의 측주부의 내측 면에 근접한 길이로 브러시가 형성되어, 정미 시에는 현미를 상기 정미바구니 내에 넣어 상기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정미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현미가 교반되며, 상기 교반되는 현미는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정미바구니의 측주부에 형성된 정미홈과 마찰되어 겨가 깎아지고, 정미바구니의 바닥면에 놓여진 현미는 상기 블레이드로드의 단부에 형성된 브러시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정미바구니의 장방형의 정미홈에 마찰되어 겨가 깎아지고 상기 장방형의 정미홈 따라 상부로 올라가면서 쌀과 겨를 분리하며, 상기 분리된 겨는 원심력에 의하여 장방형의 홈의 바깥쪽으로 날려서 상기 겨박스 내부로 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가정용 정미기는 쌀을 정미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정미바구니의 측주부에 형성된 장방형의 정미홈에 마찰시켜 겨를 깎아내고, 다시 깎아낸 겨를 정미날개의 단부에 형성된 브러시와 원심력에 의하여 장방형 정미 홈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날려서 겨 박스 내에 퇴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 살핀 바와 같이, 현미의 겨를 정미날개의 단부에 형성된 블레이드로드에 형성된 브러시에 의해 정미바구니의 정미 홈의 아래 부분으로부터 그 상부로 마찰되면서 상부로 올라가도록 하여 벗겨내고, 살로부터 벗겨진 겨를 원심력에 의해 겨 박스의 내부로 낙하되도록 하여 분리함으로써 정미 시 쌀과 정미바구니간의 마찰열을 저감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쌀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맛 좋은 정미 쌀을 생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미날개의 블레이드로드의 단부에 형성된 브러시가 정미바구니의 내부에 떨어진 겨를 정미바구니의 측주부에 형성된 정미홈으로 밀어내어 겨를 겨박스로 배출하기 때문에 겨 분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정미기에 의하면, 정미바구니의 측주부에 형성된 정미홈의 폭은 2~3mm이고, 세로 길이는 약 20~40mm이고, 홈의 테두리에 형성된 계단형상의 단차의 높이는 약 2~3mm정도이다. 이와 같은 정미날개가 회전되어 블레이드로드의 단부에 형성된 브러시의 탄성력에 의해 정미바구니의 측주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장방형의 정미홈으로 쌀을 마찰시키고, 정미홈에 겨가 1차적으로 깎아진 쌀은 경사진 정미홈을 따라 그 상부로 이동되면서 원심력에 의해 마찰되어 겨가 더욱 벗겨짐으로써 적은 마찰에 의해서도 쌀겨를 효과적으로 벗겨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미홈의 경사각은 약 60~70도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정미날개의 블레이드로드의 단부에는 탄성력이 우수한 브러시기 형성되어 있어 정미날개의 회전에 의해 그 단부와 정미바구니의 측주부의 내면에 위치한 쌀들이 브러시의 탄성에 의해 부드럽게 쓸려져 이동되기 때문에 정미날개의 회전에 의해 정미바구니의 측주부의 내면에 위치한 쌀에 붙여진 쌀눈이 쉽게 떨어지지 않음으로 맛좋고 영양 많은 밥을 지어먹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가정용 정미기에 의하면, 정미날개의 정미바구니의 원형바닥의 형성각도는 15∼35도의 범위 내인데, 이것에 의하여 현미는 적절히 교반되어 정미바구니의 측주부의 정미홈에 마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정용 정미기에 의하면, 정미바구니의 내부에서 회전되어 쌀을 교반하는 정미날개의 블레이드로드의 단부에 탄성력이 우수한 브러시를 형성함으로써 정미날개의 단부로부터 정미바구니의 측주부의 사이에 위치된 쌀을 밀어내는 압착력을 줄일 수 있어 정미 시 쌀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장방형의 정미홈에 의해 쌀의 표면에 형성된 겨가 깎아지면서 윗부분으로 올라감으로써 마찰열을 저감시킬 수 있어 쌀의 품질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정미기의 전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정미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정미기의 도 2의 선A-A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정미기에 있어서의 정미바구니와 정미날개의 구성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정미기의 정미날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정미기의 정미바구니와 겨박스 및 정미날개의 결합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중 당업자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주지의 구성에 대하여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는 점의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정미기의 전체의 외관도, 도 2는 평면도이다. 도 1, 도 3에 있어서, 10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정미기를 표시한 것이고, 11은 ABS수지로 된 본체 케이스, 14는 마찬가지로 ABS 수지로 된 바닥덮개, 15는 바닥덮개(14)의 바닥부에 부착된 고무(rubber) 발이다. 3은 덮개로서 ABS수지로 된 바깥쪽 프레임(outer frame)(4a), 안쪽 프레임(inner frame)(4b), 그 프레임(4a, 4b)에 부착된 된 손잡이(1) 및 프레임(4a, 4b)에 끼인 유리(glass) 또는 아크릴수지(acrylic resin)로 된 투명한 창(2)을 가진다. 27은 전원코드(power supply cord), 28은 전원플러그(power supply plug)이다.
7은 가정용 정미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패널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미의 개시·정지(스타트/ 스톱:start/stop)를 지시하기 위한 정미버튼(rice milling button)(70), 정미하여야 할 양(예를 들면, 1∼4홉)을 설정하는 양설정버튼(72), 모터의 회전속도(강약)을 선택하기 위한 강약선택버튼(73), 현미로 백미(현미로부터 겨층을 100% 깎아낸 상태의 쌀)를 정미할 때의 정미량을 설정하는 분도설정버튼(74), 강약을 표시하는 강약표시램프(75), 분도설정버튼(74)에 의해 설정된 정미량 표시하는 분도표시램프(76) 및 양설정버튼(72)에 의한 양을 표시하는 양표시램프(77)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조작패널(7)을 사용한 가정용 정미기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도 2의 선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정미기에 있어서의 정미바구니와 정미날개의 구성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정미기의 정미날개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정미기의 정미바구니와 겨박스 및 정미날개의 결합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5는 현미를 수용하는 원통(슬리브:sleeve) 형상의 정미바구니, 9는 회전함으로써 정미바구니(5)내의 현미를 정미하는 정미날개, 6은 정미바구니(5)를 수용함과 동시에 정미바구니(5)에 의하여 현미로부터 깎아진 겨를 수용하는 원통(슬리브)형상의 겨박스, 30은 겨박스(6)를 수용하는 원통(슬리브)형상의 겨박스 수용케이스인데, 그 상단부(30a) 및 바닥부 개구단(30b)이 바닥덮개(14)에 고정됨으로써 그 겨박스 수용케이스(30)는 본체 케이스(11)에 고정된다. 8은 그 가정용 정미기의 제어회로(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는 제어회로 박스이고, 제어회로는 코드릴 조립체(26)에 수용된 전원코드(27)의 전원플러그(28)를 교류전원에 접속함으로써 급전된다. 10은 제어회로에 의하여 제어되는 모터, 10a는 모터(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 구동축, 12는 모터 구동축(10a)에 고정되어 모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모터 풀리, 13은 모터 풀리(12)와 구동풀리(25)에 감겨 모터 구동축(10a)의 회전을 구동풀리(25)에 전달하는 구동벨트이다. 구동풀리(25)는 구동축(23)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모터(10)의 회전에 따라 구동축(23)도 회전한다. 상기 구동축(23)의 상단부는 폴리아세탈 (polyacetal)제의 회전반(20) 및 고무계의 재질로 된 커플러(coupler)(19)를 통하여 6각축조립체(16)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구동축(23)의 회전에 따라 6각축 조립체(16)도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구동축(23)은 본체 프레임(24)의 개구부(24a) 및 겨박스 수용케이스(30)의 바닥개구부를 관통하고 있으며, 구동축(23)과 본체 프레임(24)의 개구부(24a)의 사이 및 구동축(23)과 겨박스 수용케이스(30)의 바닥개구부 사이에는 베어링(21)이 설치되고, 이들 베어링(21)은 베어링 케이스(22)에 수용되어 있다. 베어링 케이스(22)의 하단부는 나사(32)에 의하여 본체 프레임(24)에 고정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24)은 본체 케이스(11)에 고정되어 있다. 또 모터(10)는 본체 프레임(24) 위에 탑재되어 고정되어 있다.
상기 6각축조립체(16)는 상부가 육각형상이고 하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스테인리스 또는 합성수지재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위와 같은 형상을 갖는 6각 조립체(16)는 상기 6각축조립체(16)의 축받이인 금속제의 원통형상의 슬리브 메탈(17)에 수용되어 있고, 그 슬리브 메탈(1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 케이스(18)내에 수용되어 있다. 6각축조립체(16)의 하단부는 나사에 의해 커플링(19)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슬리브 메탈(17) 및 메탈 케이스(18)는 정미바구니(5)의 중공돌출부(5g)의 내주부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또 슬리브 메탈(17)의 밑에는 조정와셔(adjusting washer)(34)가 설치되어 커플러(19)와 회전반(20)의 맞물림 정도를 조정한다. 6각축조립체(16)의 선단부는 수지로 코팅(coating)되어, 다각주형상, 예를 들면 6각주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정미날개(9)의 6각축받이부(9c)에 단단히 끼워 맞추어져(fitted), 그것에 의하여 6각축조립체(16)의 회전에 따라 정미날개(9)를 회전시킨다.
겨박스(6)는 원형상의 상부 프레임(6a), 원통형상의 측주부(6i), 원형상의 바닥프레임(6f)으로 이루어지고, 바닥프레임(6f)에는 원주형상의 중공돌출부(6g)가 설치되며, 그 중공부(6h)에는 상기와 같이 커플링(19)과 회전반(20)등이 수용된다. 상부 프레임(6a)은 바깥쪽으로 돌출한 상부 프레임 플랜지(frame flange)(6b)를 가지며, 상부 프레임 플렌지(6b)의 가장자리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겨박스 수용케이스(30)의 상부 플랜지(30c)의 윗면에서 받아서 지지된다. 이렇게 하여 겨박스(6)는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겨박스 수용케이스(30)내에 수용된다.
정미바구니(5)는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상의 상부 프레임(5d), 원형상의 바닥프레임(5b), 상부 프레임(5d)과 상기 바닥프레임(5b)을 결합하는 측주부(5a), 바닥 프레임(5b)의 윗면쪽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윗면 쪽 중공돌출부(5g) 및 아래면 쪽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아래면 쪽 중공돌출부(5i)를 가지며, 이들은 ABS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미바구니(5)의 아래면 쪽 중공돌출부(5i)의 내경은 겨박스(6)의 중공돌출부(6g)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고, 중공돌출부(6g)가 아래면 쪽 중공돌출부(5i)의 중공부에 헐겁게 끼워 맞추어진다. 이때, 윗면 쪽 중공돌출부(5g)의 내경은 중공돌출부(6g)의 내경보다 작기 때문에, 정미바구니(5)는 겨박스(6)의 중공돌출부(6g)의 상단에 올려진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윗면 쪽 중공돌출부(5g)의 내주부에는 슬리브 메탈(17) 및 메탈 케이스(metal casing)(18)가 압입 고정되어 6각축조립체(16)를 관통한다. 상부 프레임(5d)의 둘레 가장자리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겨박스(6)의 상부 프레임 플랜지(6b)의 윗면으로 받아서 지지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겨박스(6)의 상부 프레임(6b)에는 돌출면이 형성되고, 정미바구니(5)의 상부프레임(5d)에는 상기 돌출면에 끼워지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게 설치된다. 이러한 기술적 구성은 특허문헌의 구성을 참조 바란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정미바구니(5)는 겨박스(6)내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그리고 고정된 상태로 수용된다.
도 3 내지 도 6과 같은 구성 중 정미바구니(5)와, 상기 정미바구니(5)에 결합된 6각축조립체(16)에 결합되어 상기 정미바구니(5)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정미날개(9)의 구성을 제외한 기술적 구성은 위 특허문헌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바란다. 본 발명과 위 특허문헌에 개시된 기술적 구성의 차이는 정미바구니(5)의 측주부, 즉 표면(5a)에 형성된 정미홈(5c)의 형상 및 그 구성과, 정미날개(9)의 구성이 상이한 것이므로, 정미바구니(5)에 넣어진 현미를 정미날개(9)에 의해 교반하여 현미의 쌀눈을 분리하지 않고 겨만을 깎아내는 동작과 현미로부터 깎아내어진 겨를 겨박스(6)로 배출하는 과정만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즉, 도 1 내지 도 3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정미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은 위 특허문헌에 개시된 기술적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정미바구니(5)와 정미날개(9)의 구성 차이에 의한 현미의 겨를 깎아내는 동작만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미바구니(5)의 측주부(5a)에는 테두리가 계단형상(SS : step shape)으로 형성되어 장방향으로 형성된 정미홈(5c)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방형의 정미홈(5c)은 약 50~70도로 설정되며, 가능하면 60도가 적당하다. 이와 같이 정미홈(5c)의 경사각도를 60도로 설정한 이유는 쌀이 정미바구니(5)의 측주부(5a)의 내측면에 마찰되어질 때 상기 정미홈(5c)에 의해 깎기면서 그 홈을 따라 상부로 용이하게 신속히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정미홈(5c)의 경사각이 50도 보다 적으면 상부로 이동되는 속도가 느리고 정미바구니(5)의 회전에 의해 쌀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정미바구니(5)에 넣어진 쌀의 순환이 좋지 못하여 온도가 상승됨으로써 쌀이 쉽게 열화되기 때문에 좋지 않다. 또한, 상기 정미홈(5c)의 경사각이 70도를 초과할 경우 쌀이 깎기는 속도가 빠르고 수직으로 이동되는 속도 또한 감소되기 쌀이 쉽게 열화되어 때문에 좋지 않다.
상기 정미바구니(5)의 내부의 6각축조립체(16)에 끼워져 결합되는 정미날개(9)는 PP(Polypropylene)수지재로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보스(bos, hub)(9e)와, PP수지로 된 원통형상의 다각주 축받이부, 예를 들면 6각축받이부(9c)와, 스테인리스 또는 PP수지로 이루어져 보스(9e)에 고정된 복수의 블레이드로드(9a)를 가진다. 블레이드로드(9a)가 PP수지로 된 경우 보스(9e)와 일체 성형되며, 적어도 2개 바람직하기론 90도의 간격으로 4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스(9e)의 중공부(9d)는 정미바구니(5)의 윗면 쪽 중공돌출부(5g)에 결합된다. 6각축받이부(9c)의 중공부(9d)는 6각주형상으로 되어 있고, 6각축조립체(16)의 선단부와 단단히 끼워 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정미날개(9)는 6각축조립체(16)의 선단부에 대하여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져서, 모터(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그리고 6각축조립체(16)의 선단부 및 6각축받이부(9c)의 중공부(9d)의 형상은 6각주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3각주, 4각주, 5각주 형상 등으로 하여도 좋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블레이드로드(9a)의 단부에는 PP수지 또는 PE(polyethylene),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지재로 된 브러시(9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로드(9a)의 단부에 형성된 브러시(9b)는 가르다란 수지다발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그란 형상으로 묶어진 것으로, 정미날기(9a)의 단부와 정미바구니(5)의 측주부(5a)의 내측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쌀의 압착력을 떨어트려 블레이드로드(9a)와 정미바구니(5)의 측주부(5a)의 마찰에 의하여 현미의 쌀눈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로드(9a)의 단부에 형성된 브러시(9b)와 정미바구니(5)의 측주부(5b)간의 간격은 쌀 한 톨의 간격, 예를 들면, 2 내지 4mm가 적당하다. 또한, 상기 정미바구니(5)의 측주부(5a)에 형성된 정미홈(5c)의 폭은 2~3mm이고, 세로 길이는 약 20~40mm이고, 홈의 테두리에 형성된 계단형상(SS)의 단차의 높이는 약 2~3mm정도이다. 그리고, 상기 정미홈(5c)들 사이의 이격거리는 6~7mm정도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가정용 정미기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겨박스 수용케이스(30)에 겨박스(6)를 수용하고, 또한 겨박스(6)에 정미바구니(5)를 수용하여, 정미날개(9)를 6각축조립체(16)에 끼워 맞춘 후 원하는 양의 현미(90)를 정미바구니(5)에 넣고, 덮개(3)를 닫는다. 이어서, 전원플러그(28)를 콘센트(socket)에 삽입하고, 정미바구니(5)에 넣어진 현미양에 대응한 만큼 양설정버튼(72)을 누른다. 양설정버튼(72)을 1회 누를 때 마다 양표시램프(70)가 1홉(약 180ml)씩 증가됨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2홉을 정미바구니(5)에 넣은 경우 양설정버튼(72)을 2회 선택하여 2홉의 현미가 투입되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양선택정보는 가정용 정미기(100)의 제반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 제공된다. 이후, 정미량, 예를 들면, 쌀겨를 깎아내는 양으로서 3분도, 5분도, 7분도, 백미를 선택하는 분도설정버튼(74)을 선택하여 원하는 정미량을 선택한다. 이러한 정미량 선택정보는 제어기로 제공된다. 이후, 사용자가 강도, 예를 들면, 모터의 회전속도를 강, 약, 정상으로 선택하는 강약선택버튼(73)을 선택하면, 이의 선택정보는 제어기로 공급되며, 제어기는 선택된 강약정보를 강약표시램프(75)에 의해 표시한다. 상기 3개의 버튼(72, 73, 74)에 의해 선택된 양선택정보, 분도선택정보 및 강약선택정보를 입력한 제어기는 모터(10)의 회전속도, 작동시간 등을 설정한다. 이후 사용자가 정미버튼(70)을 누르면, 제어기가 이에 응답하여 모터(10)을 설정된 강도로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회전시킴으로서 정미날개(9)가 회전되어 정미를 개시한다.
위와 같은 동작에 의해 정미바구니(5)의 6각축조립체(16)에 끼워진 정미날개(9)가 회전되며, 이에 의하여서 블레이드로드(9a)가 회전되어 정미바구니(5)에 넣어진 현미(90)가 교반된다. 따라서, 상기 현미(90)는 블레이드로드(9a)에 회전력에 의한 그 원심력에 의하여 정미바구니(5)의 측주부(5a)에 형성된 정미홈(5c)과 마찰되어 쌀껴가 깎여진다. 이때, 상기 정미홈(5c)의 테두리가 단차진 계단형상(SS)을 하고 있고, 정미홈(5c)이 약 60~70도의 각도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교반되는 현미(90)가 정미바구니(5)의 측주부(5a)의 내측면에 마찰되어질 때 상기 정미홈(5c)의 테두리에 형성된 계단형상(SS)의 홈에 의해 깎기면서 그 홈을 따라 상부로 용이하게 신속히 이동된다.
즉, 짧은 시간에 현미(90)의 겨를 깎아 낸 후 쌀의 위치를 신속하게 윗 부분으로 이동시켜 마찰에 의한 현미(90)의 온도상승을 억제한다. 상기 정미바구니(5)의 정미홈(5c)과 현미(90)간의 마찰이 일어나면, 현미(90)는 상기 정미홈(5c)의 경사각을 따라 교반되는 방향으로 위로 올라감으로써 마찰온도를 떨어트릴 수 있어 겨가 깎아지는 현미(90)의 온도상승을 저감시킬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특허문헌에 개시된 탁상용 정미기로 정미하였을 때보다 마찰에 의한 온도 상승을 약 1도 내지 2도 낮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블레이드로드(9a)의 단부에 형성된 브러시(9b)는 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블레이드로드(9a)의 단부측이 브러시(9b)와 정미바구니(5)의 측주부(5a) 사이에 위치되어진 현미를 부드럽게 교반하여 블레이드로드(9a)의 단부와 정미바구니(5)의 측주부(5a)간의 마찰력을 저감시킴으로써 그 사이에 위치된 현미(90)의 쌀눈이 떨어지는 것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상기 정미바구니(5)의 정미홈(5c)에 마찰되어 현미(90)의 표면으로부터 깎아진 겨는 낙하된다. 또한 깎여 떨어진 겨(92)의 대다수는 원심력에 의하여 정미홈(5c)의 바깥쪽으로 날려서 겨박스(6)내에 떨어지며, 정미바구니(5)의 내부로 떨어진 겨는 블레이드로드(9a)의 단부에 형성된 브러시(9b)에 의해 정미홈(5c)의 방향으로 밀려나 겨박스(6)내로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정용 정미기(100)는 정미바구니(5)의 내부에 떨어지는 겨가 거의 없게 되어 정미바구니(5)의 청소를 보다 간단히 할 수 있다.
이때, 현미의 정백상태를 덮개(3)의 투명한 창(2)을 통하여 볼 수 있으므로, 적당한 시점에서 정미버튼(70)을 눌러서 정미를 정지하여, 바라는 정백도를 얻을 수 있다. 정미후에는 덮개(3)를 벗기고, 다시 정미날개(9)를 6각축조립체(16)로부터 떼어 꺼내어, 정미바구니(5)를 꺼내서 정미바구니(5)내의 정미후의 쌀을 꺼낸다. 이때, 정미바구니(5)내의 쌀을 그대로의 상태 로 물을 부어 쌀을 씻을 수 도 있다. 또한, 겨박스(6)를 꺼내어 그 속의 겨를 버린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정미기에 의하면, 정미바구니(5)의 측주부(5a)에 형성된 정미홈(5c)의 테두리를 단차진 계단형상(SS)으로 하고, 60~70도 경사지게 함으로써 마찰열을 저감시켜 쌀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어 밥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미날개(9)의 블레이드로드(9a)의 단부에 브러시(9b)를 형성함으로써 정미바구니(5)의 바닥면(5b)에 위치한 현미(90)가 블레이드로드(9a)에 의하여 정미바구니(5)의 측주부(5a)의 정미홈(5c)에 강하에 압착되는 것을 없앨 수 있어 교반 시 현미(90)로부터 쌀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9는 정미날개, 9a는 블레이드로드, 9b는 브러시, 10은 모터, 12는 모터 풀리, 13은 구동벨트, 14는 바닥덮개, 15는 고무발, 16은 6각축조립체, 17은 슬리브 메탈, 18은 메탈 케이스, 19는 커플러, 20은 회전반, 21은 베어링, 22는 베어링 케이스, 23은 구동축, 24는 본체 프레임, 24a는 개구부, 25은 구동풀리, 26은 릴조립체, 27은 전원코드, 28은 전원플러그, 30은 겨박스 수용케이스, 34는 조정와셔, 70은 정미버튼, 72은 양설정버튼, 73은 강약설정버튼, 74는 분도설정버튼, 75는 강약표시램프, 76은 분도표시램프, 77은 양표시램프, 100: 가정용 정미기

Claims (2)

  1.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축의 선단부에 끼워 맞추어져서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정미날개와; 상기 구동축과 동심원상의 원통형상의 측주부와 상기 구동축을 관통시키는 개구를 가진 원형 바닥을 가지며, 상기 정미날개를 수용하는 정미바구니와; 상기 구동축과 동심원상의 원통형상의 측주부와, 상기 구동축을 관통시키는 개구를 가진 원형바닥을 가지며, 상기 정미바구니를 수용하는 겨박스와; 상기 정미날개와 상기 정미바구니 및 상기 겨박스를 각각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모터를 고정적으로 수용하는 본체 케이스를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에 있어서, 상기 정미바구니의 측주부에는 장방형을 갖는 다수의 정미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정미날개는 구동축에 결합되는 보스로부터 방사상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적어 둘 이상의 블레이드로드가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로드의 단부에는 상기 정미바구니의 측주부의 내측 면에 근접한 길이로 브러시가 형성되어, 정미 시에는 현미를 상기 정미바구니 내에 넣어 상기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정미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현미가 교반되며, 상기 교반되는 현미는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정미바구니의 측주부에 형성된 정미홈과 마찰되어 겨가 깎아지고, 정미바구니의 바닥면에 놓여진 현미는 상기 블레이드로드의 단부에 형성된 브러시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정미바구니의 장방형의 정미홈에 마찰되어 쌀겨가 깎아지고 상기 장방형의 정미홈 따라 상부로 올라가면서 쌀과 겨를 분리하며, 상기 분리된 겨는 원심력에 의하여 장방형의 홈의 바깥쪽으로 날려서 상기 겨박스 내부로 떨어지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정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미바구니의 측주부에 형성된 상기 정미홈의 장방형 테두리는 2~3mm로 단차진 계단형상으로 연이어져 구성되며, 상기 정미홈의 경사각은 60~70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정미기.

KR1020120092203A 2012-08-23 2012-08-23 가정용 정미기 KR101390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203A KR101390958B1 (ko) 2012-08-23 2012-08-23 가정용 정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203A KR101390958B1 (ko) 2012-08-23 2012-08-23 가정용 정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871A KR20140025871A (ko) 2014-03-05
KR101390958B1 true KR101390958B1 (ko) 2014-05-02

Family

ID=5064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203A KR101390958B1 (ko) 2012-08-23 2012-08-23 가정용 정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9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6155B1 (ko) * 1998-01-14 2000-09-15 야마모토 가쓰지 탁상정미기
JP2002248362A (ja) * 2001-02-27 2002-09-03 Tiger Vacuum Bottle Co Ltd 家庭用精米器
JP2002292293A (ja) 2001-04-03 2002-10-08 Tiger Vacuum Bottle Co Ltd 家庭用精米器
JP2004167290A (ja) 2002-11-15 2004-06-17 Nomura Sangyo Kk 精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6155B1 (ko) * 1998-01-14 2000-09-15 야마모토 가쓰지 탁상정미기
JP2002248362A (ja) * 2001-02-27 2002-09-03 Tiger Vacuum Bottle Co Ltd 家庭用精米器
JP2002292293A (ja) 2001-04-03 2002-10-08 Tiger Vacuum Bottle Co Ltd 家庭用精米器
JP2004167290A (ja) 2002-11-15 2004-06-17 Nomura Sangyo Kk 精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871A (ko)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0704B2 (en) Garlic peeler
US10299620B2 (en) Juice extractor
US10245619B2 (en) Foodstuff sieve station
JP5682871B2 (ja) 卓上精米器および精米方法
US20160120353A1 (en) Juice extractor
JP2963889B2 (ja) 卓上精米器
RU2218856C1 (ru) Кухонная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101390958B1 (ko) 가정용 정미기
KR102370467B1 (ko) 구황작물 박피장치
JP3670594B2 (ja) 家庭用精米器
JP3383790B2 (ja) 卓上精米器
JP5508072B2 (ja) 精米器
JP6338173B2 (ja) 穀類の精白または無水で穀類の洗処理が可能な穀類処理装置、および穀類処理装置に使用する攪拌体
WO2012056764A1 (ja) 自動製パン器
CN207940781U (zh) 一种清洁效果好的食品加工机
KR101432576B1 (ko) 자동 감자 박피기
JP2000024527A (ja) 卓上精米器
JP2000152883A (ja) 穀類用粉取り器とそのアタッチメント
JP7154481B2 (ja) 家庭用精米機
KR20160100557A (ko) 세척기능이 구비된 원액기
JP5912755B2 (ja) 精米装置
JP6232586B2 (ja) 自動製パン機
JP2002035616A (ja) 卓上精米器
JP2001293383A (ja) 穀粒処理装置
KR20210000969U (ko) 호두 과피 탈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