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534B1 - 물의 정제 방법 - Google Patents

물의 정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534B1
KR101390534B1 KR1020097020786A KR20097020786A KR101390534B1 KR 101390534 B1 KR101390534 B1 KR 101390534B1 KR 1020097020786 A KR1020097020786 A KR 1020097020786A KR 20097020786 A KR20097020786 A KR 20097020786A KR 101390534 B1 KR101390534 B1 KR 101390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cium carbonate
natural calcium
water
reacted natural
re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3940A (ko
Inventor
다니엘 간텐바인
요아힘 쉘콥프
패트릭 에이 씨 게인
Original Assignee
옴야 인터내셔널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옴야 인터내셔널 아게 filed Critical 옴야 인터내셔널 아게
Publication of KR20090123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01J20/043Carbonates or bicarbonates, e.g. limestone, dolomite, aragon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4Sorbent size or size distribution, e.g. particle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57Surface area, e.g. B.E.T specific surfac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40Aspects relating to the composition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42Materials comprising a mixture of in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organic material
    • C02F1/56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05Endocrine disruptive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2Hydrocarbons, e.g. oil
    • C02F2101/327Polyaromatic Hydrocarbons [PAH'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6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rocessing of plants or parts thereof
    • C02F2103/28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rocessing of plants or parts thereof from the paper or cellulose indust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food or foodstuff industry, e.g. brewery waste w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 또는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을 포함하고 pH가 20℃에서 측정하여 6.0 초과인 수성 현탁액을 매질에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물의 정제 방법으로서, 상기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천연 탄산칼슘의 이산화탄소 및 1 이상의 산과의 반응 생성물인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위한 상기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의 정제 방법{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WATER}
본 발명은 물의 정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서의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미세 고체, 미생물 및 용해된 무기 및 유기 물질을 제거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광범위한 물 정제 기법이 존재한다. 방법의 선택은 처리하려는 물의 질, 처리 방법의 비용 및 가공된 물의 소정 품질 기준에 따라 다르게 된다.
공업 폐수 또는 음료수와 같은 물의 정제에서 응결(flocculation)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응결이란 용해된 화합물 및/또는 콜로이드성 입자가 플록(floc) 또는 '플레이크(flake)'의 형태로 용액으로부터 제거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용어는 또한 미세 미립자가 플록으로 함께 응집하게 되는 방법을 의미하는 데 사용된다. 이어서, 상기 플록은 액체 정상부로 부유하거나, 액체의 바닥부로 침강하거나, 액체로부터 용이하게 여과될 수 있다.
사용되는 일반적인 응결제(flocculant) 또는 응집제(coagulant)로는 황산알루미늄 또는 폴리염화알루미늄(PAC)가 있다. 황산알루미늄은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알루미늄의 플록을 형성한다. 알루미늄 화합물과의 응집은 최종 물에 알루미늄의 잔류물을 남길 수 있다. 알루미늄은 고농도에서 인간에게 유독할 수 있다. 폴리염 화알루미늄(PAC)의 용액에서, 알루미늄 이온은 산소 원자에 의해 가교된 이온의 클러스터로 구성된 중합체로 형성된다. PAC는, 예를 들어 갈변을 유도하는 유기 물질, 예컨대 잎 및/또는 무기 물질, 예컨대 철 및 망간 화합물을 포함하는 갈색 음료수의 처리에 이용된다. 그러나, PAC는 일반적으로 물의 모든 갈변을 제거하는 데 충분하지 않다.
염화철(Ⅲ)이 또다른 일반적인 응집제이다. 철(Ⅲ) 응집제는 황산알루미늄보다 넓은 pH 범위에 걸쳐 작용하지만, 많은 공급원 물과 효과적이지 않다. 철 화합물과의 응집은 전형적으로 최종 물에 철의 잔류물을 남긴다. 이는 물에 약간의 맛을 부여할 수 있고, 포셀린 보철(porcelain fixture)에 갈색을 띠는 얼룩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염화철(Ⅲ)은 수처리 시스템에서의 부식 위험성을 나타낸다.
활성탄 또는 벤토나이트와 같은 높은 비표면적을 기반으로 하는 수처리를 위한 더욱 공지된 흡착제는 이의 미세 분할된 상태로 인해 매질로부터 제거하려는 물질의 흡착 후에 분리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일반적인 결함을 보유한다.
따라서, 전술한 물 정제를 위한 공지된 제제의 결함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물 불순물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해 제공하는 향상된 물 정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약술된 목적은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 또는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을 포함하고 20℃에서 측정하여 pH가 6.0 초과인 수성 현탁액을 정제하려는 물에 첨가하고, 상기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이산화탄소 및 1 이상의 산과 천연 탄산칼슘의 반응 생성물인 것인 물의 정제 방법에 의해 해결되었다.
용어 '정제'는 넓게 해석되어야 하며, 물에서 허용되지 않는 유해한 화합물 및/또는 기타 화합물의 임의의 제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 처리되는 물로는 공업 폐수, 음료수, 도시 폐수, 양조장 또는 기타 음료수 산업으로부터의 폐수 또는 제지 산업에서의 물(백수 또는 폐수)뿐만 아니라, 농업 폐수가 있다.
상기 및 하기에 정의되는 바와 같은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이의 표면에 유기뿐만 아니라 무기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흡착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천연 탄산칼슘을 산 및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수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 탄산칼슘은 대리석, 백악, 방해석, 돌로마이트, 석회석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천연 탄산칼슘은 산 및 이산화탄소로 처리되기 전에 분쇄된다. 상기 분쇄 단계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통상적인 분쇄 장치, 예컨대 그라인딩 밀(grinding mill)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 정제 방법에서 사용되는 상기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20℃에서 측정하여 pH가 6.0 초과, 바람직하게는 6.5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초과,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7.5 초과인 수성 현탁액으로서 제조된다. 하기 논의하게 되는 바와 같이,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물에 상기 수성 현탁액을 첨가함으로써 정제하려는 물과 접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의 물로 희석시킴으로써, 정제하려는 물에 수성 현탁액을 첨가하기 이전에 상기 수성 현탁액의 pH를 변경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수성 현탁액을 건조시킬 수 있고, 물과 접촉하는 상기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분말 형태로 또는 과립 형태로 존재한다. 즉, 산 및 이산화탄소에 의한 처리 후의 6.0 초과의 수치로의 pH의 증가가 본 원에서 기술되는 이로운 흡착 특성을 갖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제공하는 데 필요하다.
상기 수성 현탁액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에서, 예컨대 분쇄에 의해 미세 분할되거나 그렇지 않은 천연 탄산칼슘은 물에 현탁된다. 상기 슬러리는 상기 슬러리의 중량을 기준으로 천연 탄산칼슘의 함량이, 바람직하게는 1∼8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60 중량%,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40 중량% 범위 내에 있다.
다음 단계에서, 천연 탄산칼슘을 함유하는 수성 현탁액에 산을 첨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산은 25℃에서의 pKa가 2.5 이하이다. 25℃에서의 pKa가 0 이하인 경우, 산은 황산, 염산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5℃에서의 pKa가 0∼2.5인 경우에, 산은 H2SO3, HSO4 -, H3PO4, 옥살산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이상의 산을 농축된 용액 또는 더욱 희석된 용액으로서 현탁액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산칼슘에 대한 산의 몰비는 바람직하게는 0.05∼4, 더욱 바람직하게는 0.1∼2이다.
대안으로서, 천연 탄산칼슘을 현탁시키기 전에 물에 산을 첨가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다음 단계에서, 천연 탄산칼슘을 이산화탄소로 처리한다. 강산, 예컨대 황산 또는 염산을 천연 탄산칼슘의 산 처리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 이산화탄소가 자동적으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이산화탄소는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강산이 사용되는 경우인 산 처리 및 이산화탄소에 의한 처리는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Ka가 0∼2.5 범위에 있는 매질 강산에 의해 우선 산 처리한 후,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이산화탄소에 의한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현탁액 중 기상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부피로서 (현탁액의 부피):(기상 CO2의 부피) 비율이 1:0.05∼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5∼1:5가 되도록 존재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산 처리 단계 및/또는 이산화탄소 처리 단계는 1 회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회 반복한다. 산 처리 및 이산화탄소 처리 이후에, 20℃에서 측정된 수성 현탁액의 pH는 일반적으로 6.0 초과, 바람직하게는 6.5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초과,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7.5 초과의 수치에 도달하며, 이로써 pH가 6.0 초과, 바람직하게는 6.5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초과,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7.5 초과인 수성 현탁액으로서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이 제조된다. 수성 현탁액이 평형에 도달하도록 하는 경우, pH는 7 초과이다. 수성 현탁액의 교반을 충분한 기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1∼10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시간 계속하는 경우, 염기의 첨가 없이 6.0 초과의 pH를 조절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7 초과의 pH에서 발생하는 평형 도달 이전에, 염기를 이산화탄소 처리 이후에 첨가하여 상기 수성 현탄액의 pH를 상기 6 초과의 수치로 증가시킬 수 있다. 임의의 통상의 염기, 예컨대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방법, 즉, 산 처리, 이산화탄소에 의한 처리 및 pH 조절에 의해, 폐수에 존재할 수 있는 유기뿐만 아니라 무기 불순물에 대한 우수한 흡착 특성을 보유하는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을 수득한다.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의 제조에 대한 추가적인 세부 사항은 WO 00/39222 및 US 2004/0020410 Al에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종이 제조를 위한 충전제로서 기술되어 있으며, 이의 상기 참조 문헌의 내용은 본 원에 포함된다.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 제조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탄산칼슘은 규산염,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알칼리 토류 알루민산염, 예컨대 나트륨 또는 칼륨 알루민산염, 산화마그네슘 또는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화합물의 존재 하에 산 및/또는 이산화탄소와 반응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 이상의 규산염은 규산알루미늄, 규산칼슘 또는 알칼리 토금속 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성분은 산 및/또는 이산화탄소의 첨가 전에 천연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수성 현탁액에 첨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천연 탄산칼슘과 산 및 이산화탄소의 반응이 이미 시작되었을 때 규산염 및/또는 실리카 및/또는 수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알칼리 토류 알루민산염 및/또는 산화마그네슘 성분(들)을 천연 탄산칼슘의 수성 현탁액에 첨가할 수 있다. 1 이상의 규산염 및/또는 실리카 및/또는 수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알칼리 토류 알루민산염 성분(들)의 존재 하의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 제조에 대한 추가적인 세부 사항은 WO 2004/083316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의 상기 참조 문헌의 내용은 본 원에 포함된다.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현탁액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임의로 분산제에 의해 더욱 안정화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일 수 있다. 바람직한 분산제로는 폴리아크릴산이 있다.
대안적으로, 전술된 수성 현탁액을 건조시키고, 이로써 과립 또는 분말 형태의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을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비표면적이 ISO 9277에 따른 BET 방법 및 질소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5∼200 m2/g, 더욱 바람직하게는 20∼80 m2/g,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0∼60 m2/g이다.
더욱이,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평균 입자 직경이 침강 방법에 따라 측정하여 0.1∼50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25 μm,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10 μm이다. 상기 침강 방법은 중량계측 분야에서의 침강 거동의 분석이다. 상기 측정은 마이크로메리틱스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Micromeritics Instrument Corporation)의 SedigraphTM 5100에 의해 실시한다. 상기 방법 및 장치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충전제 및 안료의 입자 크기를 측정하는 데 사용한다. 상기 측정은 0.1 중량% Na4P2O7의 수성 용액에서 실시한다. 상기 샘플을 고속 교반기 및 초음파를 이용하여 분산시켰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비표면적이 15∼200 m2/g 범위 내에 있고 평균 입자 직경이 0.1∼50 μm 범위 내에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표면적은 20∼80 m2/g 범위 내에 있고 상기 평균 입자 직경은 0.5∼25 μm 범위 내에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표면적은 30∼60 m2/g 범위 내에 있고 상기 평균 입자 직경은 0.7∼7 μm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정제하려는 물, 예를 들어 산업 폐수, 음료수, 도시 폐수, 양조장 또는 기타 음료수 산업에서의 폐수 또는 제지 산업에서의 물(백수 또는 폐수)뿐만 아니라 농업 폐수와 당업자에 공지된 임의의 통상의 방법으로 접촉시킨다.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을 수성 현탁액으로서, 예를 들어 전술된 현탁액으로서 첨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는 고체 형태로, 예를 들어 과립 또는 분말의 형태로 또는 케이크의 형태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 내에서,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고정상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 여기서 정제하려는 물은, 예를 들어 케이크 또는 층의 형태로 상기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상기 고정상을 통해 흐르고, 정제하려는 상기 물은 상기 고정상을 통해 흐른다. 이는 하기에서 더욱 자세히 논의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처리하려는 물의 pH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첨가 전에 6.0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초과,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7.0 초과의 수치로 조절한다.
바람직하게는,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예를 들어 교반 수단에 의해 물에 현탁시킨다.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의 양은 처리하려는 물의 유형뿐만 아니라 불순물의 유형과 양에 따라 다르다. 바람직하게는 처리하려는 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을 10 ppm ∼ 1 중량%, 바람직하게는 100 ppm ∼ 0.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ppm ∼ 2000 ppm의 양으로 첨가한다.
상기 물은, 예를 들어 분뇨, 유기 물질, 흙, 계면활성제로부터 생성된 유기 불순물뿐만 아니라 무기 불순물, 특히 중금속 불순물, 예컨대 철 또는 망간 함유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제 방법에 의해 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유해한 성분으로는 또한 미생물, 예컨대 박테리아, 균류, 고세균 또는 원생 생물을 들 수 있다.
더욱 유해한 물질로는, 예컨대 다환식 화합물, 콜레스테롤 또는 내분비 장애 화합물(EDC), 예를 들어 내분비 호르몬, 예컨대 17β-에스트라디올(E2), 에스트론(E1), 에스트리올(E3), 테스토스테론 또는 디히드로 테스토스테론; 식물(phyto) 및 진균(myco) 호르몬, 예컨대 β-시토스테롤,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또는 제랄레온; 약물, 예컨대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EE2), 메스트란올(ME), 디에틸스틸베스트롤(DES), 및 공업용 화학물질, 예컨대 4-노닐 페놀(NP), 4-tert-옥틸 페놀(OP), 비스페놀 A(BPA), 트리부틸주석(TBT), 메틸수은, 프탈레이트, PAK 또는 PCB가 있다.
또한, X-선 분석을 위한 요오드화 조영제, 예를 들어 이속시탈라메이트, 플루오로치놀론, 예컨대 시프로폭사신 및 항생제, 예컨대 마크롤라이드 및 설폰아미드를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미 흡착된 물질을 갖는 활성탄 분말뿐만 아니라 단독의 활성탄 분말을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이 매우 효과적으로 흡착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약술된 바와 같이, 활성탄은 공지된 강력한 흡착제이나, 상기 흡착이 매우 흔히 매우 신속하지 않고 처리하려는 매질로부터의 이의 제거가 매질 중 이의 미세한 분할로 인해 매우 어렵다는 결함을 보유한다.
그러나,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 활성탄 및 임의로 추가 물질, 예컨대 활성탄에 흡착된 불순물을 포함하는 생성된 복합물은 정제하려는 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활성탄과 함께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을 사용하는 것은 한편으로는 흡착제 둘 모두의 월등한 흡착 특성으로 인해 전술한 물질과 같은 불순물의 매우 효과적 흡착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활성탄과 함께 복합물을 형성함으로써, 또한 이의 표면 상에 흡착된 불순물로서 전술한 물질과 같은 물질을 이미 갖는 경우에 활성탄의 제거능을 추가적으로 향상시키며,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과 활성탄 간의 상조적인 상호반응으로 인해 불순물의 제거를 더 향상시킬 수 있고, 생성된 복합물은 수성 매질로부터 용이하게 분리가능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활성탄을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의 첨가 전에 수성 매질에 첨가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물질은 우선 활성탄에 실질적으로 흡착되고, 생성된 복합물은 개별적으로 활성탄 및 이에 결합된 불순물의 향상된 제거능을 위해 제공하는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에 의해 실질적으로 상당히 흡착된다.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활성탄을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활성탄의 예로는 플루카(Fluka)로부터 시판되는, 예컨대 입자 번호 05112(gc에 대해서 p.a.; 입자 크기 0.3∼0.5 mm; 벌크 밀도 410 kg/m3), 알드리히(Aldrich)로부터 시판되는, 예컨대 제품 번호 484156(유리질 구형 분말, 입자 크기 10∼40 μm), 시그마-알드리히, 예컨대 제품 번호 242276 (Darco® G-60, 분말, -100 메쉬 입자 크기); 리델-데 하엔(Riedel-de Haen)(제품 번호 18002, 순수함, 과립화됨), 또는 Lurgi Hydrafm CC 8 x 30 (도나우 카르본 게엠베하 앤 컴파니 게하(Donau Carbon GmbH & Co. KG), 독일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소재) 또는 플루카로부터 시판되는 활성탄(제품 번호 05112)이 있다.
예를 들어, 활성탄 입자는 입자 크기가 0.1 μm ∼ 5 mm, 바람직하게는 10 μm ∼ 2 mm, 0.1 mm ∼ 0.5 mm, 예를 들어 0.3 m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 대 활성탄의 비율은 1:1∼100:1, 더욱 바람직하게는 5:1∼80:1, 특히 10:1∼70:1 또는 20:1∼50:1, 예를 들어 30:1 또는 40:1이다.
임의로, 첨가제를 처리하려는 물 샘플에 첨가할 수 있다. 이들은 pH 조절을 위한 제제 및 통상의 응결제, 예컨대 폴리염화알루미늄, 염화철 또는 황산알루미늄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 반응되지 않은 천연 탄산칼슘을 또한 첨가한다.
흡착이 완료된 후, 생성된 복합물을 침강 및 여과와 같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의 분리 방법에 의해 물 샘플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대안적인 접근에서, 정제하려는 액체는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을 포함하고 상기 액체가 중력에 의해 및/또는 진공 하에 및/또는 압력 하에 통과되는 필터 표면 상에 불순물을 크기 배제에 의해 유지할 수 있는 투과성 필터에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은 '표면 여과'라 일컬어진다.
심층 여과(depth filtration)로 알려진 또다른 바람직한 기법에서, 직경 및 배열이 변하는 다수의 굽은 통로(tortuous passage)를 포함하는 여과 보조물은 상기 통로 내에 존재하는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 상에 불순물을 흡착하는 분자력 및/또는 전기력에 의해, 및/또는 불순물 입자가 전체 필터층 두께를 통과하기에 너무 큰 경우에 상기 불순물 입자를 보유하는 크기 배제에 의해 불순물을 보유한다.
심층 여과 및 표면 여과의 기법은 표면 필터 상에 심층 여과층을 위치시켜 추가로 조합할 수 있으며; 상기 배치는, 다른 경우에 표면 필터 공극을 차단할 수 있는 상기 입자가 심층 여과층에 보유된다는 이점을 나타낸다.
표면 필터 상에 심층 여과층을 도입하는 한 옵션은 여과하려는 액체에 응결 보조제를 현탁시킴으로써, 상기 보조제가 표면 필터 상에 침착하는 동안 불순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응결시켜 심층 여과층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보조제가 이후 경사 분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충적층 여과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 임의로, 심층 여과 물질의 초기층은 충적층 여과를 시작하기 이전에 표면 필터 상에 예비코팅될 수 있다.
하기 도, 예 및 시험은 본 발명을 예시하게 되나,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상이한 평형 시간 동안의 SRCC 상의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의 흡착 거동을 나타낸다.
도 2는 SRCC, 활성탄 및 이산화망간 상의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의 흡착에 대한 흡착 등온선을 흡착제의 양당 흡착된 양으로 나타낸다.
도 3은 SRCC, 활성탄 및 이산화망간 상의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의 흡착에 대한 흡착 등온선을 흡착제의 표면적당 흡착된 양으로 나타낸다.
도 4는 SRCC에 의한 활성탄의 흡착으로써의 혼탁도 감소를 나타낸다.
도 5는 활성탄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6는 활성탄 및 SRCC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확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처리 전 및 후의 물의 샘플에 존재하는 불순물의 유형 및 양은 퍼킨-엘머(Perkin-Elmer)로부터의 Optima 3200 XL ICP-OES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샘플은 SRCC에 의한 하기 처리에 의해 직접 분석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 상이한 중금속과 관련하여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의 흡착능을 측정하였다.
카드뮴, 크롬, 구리, 수은, 니켈 및 납을 각각 5 ppm 함유하는 500 g의 중금속 용액을 3%(중량/중량%)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과 함께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을 pH 11.5에서 24 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부 액상을 이온 크로마토그래피(Dionex DX 120 Ion-Chromatograph)에 의해 분석하였다.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프랑스 오메이(Omey)로부터 유래하는 미세 분할된 천연 탄산칼슘을 현탁시켜 건량이 대략 16 중량%인 현탁액을 달성하였다. 이어서, 이와 같이 형성된 슬러리를, ISO 표준 92777에 따라 BET 비표면적이 35 m2/g이고 대략적인 수평균 직경이 LEO 435 VPe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함으로써 수득한 주사 전자 현미경 이미지로부터 추정하여 1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물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도록 대략 55℃의 온도에서 인산을 천천히 첨가하여 처리하였다.
표 1: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에 의한 중금속 이온 용액의 처리
카드뮴의 양
(ppm)
크롬의 양
(ppm)
구리의 양
(ppm)
수은의 양
(ppm)
니켈의 양
(ppm)
납의 양
(ppm)
미처리 용액 5.0 5.0 5.0 5.0 5.0 5.0
처리 후 용액 < 0.1 < 0.1 < 0.1 < 0.1 0.5 < 0.1
처리 후 수득한
침전물
2.6 2.5 3.2 2.1 3.7 2.6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카드뮴, 크롬, 구리, 수은 및 납을 매우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는 것이 명백하다. 기존 용해된 5 ppm으로부터 0.1 ppm 미만이 처리된 샘플로부터 회수되었다. 니켈에 대해서, 출발 양 5 ppm의 90%가 흡착되었고, 따라서 용액으로부터 제거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 미생물과 관련하여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의 흡착능을 측정하였다.
100 ppm의 효모 현탁액을 6 x 105 cfu/cm3의 균수(germ count)로 사용하였다. 제1 실시양태에서, 효모 현탁액을 청색 밴드 종이 필터를 통해 여과시켰다. 제2 실시양태에서, 상기 현탁액을 직경이 90 mm이고 두께가 30 mm인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으로 제조된 층을 통해 여과시켰다.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2개의 샘플을 시험하고 0.5% 내의 동일한 결과는 수득하였다.
제1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
프랑스 오메이로부터 유래하는 미세 분할된 천연 탄산칼슘을 현탁시켜 건량이 대략 16 중량%인 현탁액을 달성하였다. 이어서, 이와 같이 형성된 슬러리를, ISO 표준 92777에 따라 BET 비표면적이 35 m2/g이고 대략적인 수평균 직경이 LEO 435 VPe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함으로써 수득한 주사 전자 현미경 이미지로부터 추정하여 1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물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도록 대략 55℃의 온도에서 인산을 천천히 첨가하여 처리하였다.
제2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
노르웨이 몰데(Molde)로부터 유래하는 미세 분할된 천연 탄산칼슘을 현탁시켜 건량이 대략 16 중량%인 현탁액을 달성하였다. 이어서, 이와 같이 형성된 슬러리를, ISO 표준 92777에 따라 BET 비표면적이 50 m2/g이고 대략적인 수평균 직경이 LEO 435 VPe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함으로써 수득한 주사 전자 현미경 이미지로부터 추정하여 2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물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도록 대략 55℃의 온도에서 인산을 천천히 첨가하여 처리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도시하였다.
상이한 필터 물질을 통한 효모 현탁액의 여과
현탁액의 균수 (cfu/ml)
미처리 현탁액 6 x 105
종이 필터를 통한 여과 후 현탁액 6 x 105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으로 제조한 필터층을 통한 여과 후 현탁액 7 x 103
상기 결과는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을 사용하는 것이 상기 균수를 100의 팩터(factor)만큼 감소시켰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 하천수를 본 발명의 정제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100 ppm의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 및 4 ppm의 폴리염화알루미늄을 하천수 샘플에 현탁시켰다. 2 분 후에, 응결된 고체를 여과시키고, 여과물을 이의 철 및 망간의 함량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실시예 3에서 사용된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탄산칼슘의 건조 당량당 산화마그네슘 800 ppm 및 음이온성 폴리아크릴레이트 분산제 2500 ppm을 함유하는 미국 버몬트주로부터 유래하는 미세 분할된 천연 탄산칼슘을 현탁시켜 건조 탄산칼슘 대략 16 중량%의 현탁액을 산출하였다. 이어서, 이와 같이 형성된 슬러리를, ISO 표준 92777에 따라 BET 비표면적이 68 m2/g이고 d50이 MicromeriticsTM로부터의 SedigraphTM 5100에 의해 측정하여 1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물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도록 대략 55℃의 온도에서 인산을 천천히 첨가하여 처리하였다.
결과는 표 3에 요약하였다.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에 의한 하천수의 처리
철의 양 (mg/l) 망간의 양 (mg/l)
처리 전 하천수 샘플 2.03 0.88
처리 후 하천수 샘플 0.023 0.104
상기 결과는 명백히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에 의한 처리가 철 및 망간과 같은 중금속의 양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4
프랑스 오메이로부터 유래하는 미세 분할 천연 탄산칼슘의 건량을 기준으로 대략 25 중량%의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와 같이 형성된 슬러리를 대략 55℃의 온도에서 인산을 천천히 첨가시켜 처리하였다. 생성된 슬러리는 ISO 표준 92777에 따른 BET 비표면적이 60 m2/g이고 d50이 MicromeriticsTM로부터의 SedigraphTM 5100에 의해 측정하여 약 7 μm이었다.
1.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의 흡착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 (EE2) (> 98% 순수)를 사용하였고, 이는 시그마 알드리히(Sigma Aldrich)(벨기에 보르넴(Bornem) 소재)에 의해 공급되었다(제품 번호 E4876).
(a) 시험 혼합물의 제조
표준 실험을 하기 절차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고체 함량이 25 Gew%인 0.4 g의 SRCC 현탁액을 50, 100, 200, 500 및 1000 μg/l의 상이한 농도를 갖는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 용액 7 ml에 첨가하고 25℃에서 30 분, 1 시간, 2 시간 및 24 시간 동안 쉐이킹 처리하였다.
(b)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의 표면 상으로의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의 흡착에서의 평형 농도 측정
SRCC의 표면 상으로의 흡착과 관련한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의 평균 농도의 측정에서, SRCC 첨가 후 초기 및 최종 농도는 특정 농도 및 처리(쉐이킹 처리) 시간에서 측정하였다. 도 1로부터 SRCC의 표면 상으로의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의 흡착은 매우 빠르며 30 분 후에는 어떠한 농도에서도 변화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흡착 평형이 30 분 후에는 농도와는 독립적으로 도달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농도는 HPLC(칼럼: Gemini 5 um C18 / ODS C18; 용리액 A: 물(45%); 용리액 B: 아세토니트릴 55%; 용리액 유형: Isocratic; 유량 1 ml/분; 온도 25℃; 탐지: UV-Vis Absorption@ 205 nm)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c) 몇몇 흡착제에 대한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의 흡착 등온선의 측정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 흡착의 효율을 측정하기 위해서, 흡착 등온선을 측정하였다.
평형 시간 후, SRCC를 침강, 여과 또는 원심분리에 의해 액상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상부 액상의 농도는 전술한 HPLC 방법에 의해 측정하여 평형 농도를 산출하였다. 하부 고체상은 상청액 상을 경사 분리시켜 단리하였다. SRCC는 특정량의 염산에 용해시키고, 농도를 전술한 방법에 따라 측정하여 SRCC의 양당 흡착된 양을 산출하였다.
상기 측정치를 기준으로, SRCC와 관련하여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의 흡착 등온선의 측정에 1 시간의 평형 시간을 적용하였다.
더욱이, 흡착제로서 작용하는 활성탄에 대한 흡착 등온선을 측정하였다. 활성탄에 대한 데이타는 16 시간 후에 측정하였다. 사용된 활성탄은 시판되는 Lurgi Hydrafm CC 8 x 30(도나우 카르본 게엠베하 앤 컴파니 카게, 독일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소재)이었다. 이는 입자 크기가 0.5∼2.5 mm이고 밀도가 480 ± 50 kg/m3였다.
도 2로부터, ng/g의 흡착제의 양당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의 흡착된 양에서 상기 활성탄이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 흡착에서 월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흡착제의 표면적당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의 흡착된 양에서, SRCC가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 흡착에서 동일한 수준의 효율을 나타내고 활성탄의 수준보다는 현저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측정치는 중량에서 보다 적은 활성탄이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 흡착에 필요할 수 있으나, SRCC가 이의 표면적에서 더욱 효육적이라는 것, 즉, 낮은 비표면적을 갖지만 면적당 더욱 많은 에스트로겐이 흡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더욱이, 활성탄과 함께 SRCC를 사용하는 것이 예기치 않은 시너지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 활성탄의 흡착
상기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활성탄은 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표면 반응된 탄산칼슘은 활성탄 현탁액을 정화시켜 활성탄의 분리를 훌륭히 단순화시킬 수 있다.
플루카로부터 시판되는 활성탄(제품 번호 05112 (gc에 대해서 p.a.; 입자 크기 0.3∼0.5 mm; 벌크 밀도 410 kg/m) 및 SRCC에 하기 처리를 실시하였다.:
활성탄 0.02 g을 물 30 g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SRCC 0.2 g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쉐이킹 처리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침강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상부 상을 경사 분리에 의해 분리하였다.
도 4로부터, 상부 액상의 혼탁도가 상당히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순수한 활성탄의 혼탁도는 항상 상기 장치(Hach 2100P Iso Turbidimeter)에 의해 측정할 수 있는 최대치인 1000 NTU 이상이었다.
생성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여과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5는 활성탄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6는 활성탄 및 SRCC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확대를 나타낸다.

Claims (31)

  1.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 또는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을 포함하고 pH가 20℃에서 측정하여 6.0 초과인 수성 현탁액을 정제하려는 물에 첨가하고, 상기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천연 탄산칼슘, 이산화탄소 및 1 이상의 산의 반응 생성물인 것인 물의 정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pH가 20℃에서 측정하여 6.5 초과인 수성 현탁액으로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탄산칼슘은 대리석, 방해석, 백악, 돌로마이트, 석회석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은 25℃에서의 pKa가 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은 염산, 황산, 아황산, 히드로설페이트, 인산, 옥살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탄산칼슘을 1 이상의 규산염 및 실리카 중 하나 이상, 수산화알루미늄, 알칼리 토금속 알루민산염, 산화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 하에 산 및 이산화탄소 중 하나 이상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규산염은 규산알루미늄, 규산칼슘 또는 알칼리 금속 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ISO 9277에 따른 BET 방법 및 질소를 이용하여 측정된 비표면적이 5∼200 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침강 방법에 따라 측정하여 평균 입자 직경 d50이 0.1∼5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수성 현탁액을 1 이상의 분산제에 의해 안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분말 형태 및 과립 형태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처리하려는 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0 ppm ∼ 1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정제하려는 물의 pH는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과 접촉시키기 전에 > 6.0의 수치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정제하려는 물은 공업 폐수, 음료수, 도시 폐수, 양조장 또는 기타 음료수 산업에서의 폐수, 제지 산업에서의 물 및 농업 폐수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정제하려는 물은 중금속 함유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정제하려는 물은 미생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정제하려는 물은 내분비 호르몬; 식물(phyto) 및 진균(myco) 호르몬; 약물; 및 공업용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내분비 장애 화합물(EDC)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정제하려는 물은 활성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은 이의 표면 상에 불순물이 추가로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정제하려는 물은 표면 여과, 심층 여과 및 충적층 여과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상기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21. 삭제
  22.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 및 물로부터 제거되는 불순물의 복합물로서, 상기 불순물이 중금속, 미생물, 내분비 장애 화합물(EDC) 및 활성탄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복합물.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pH가 20℃에서 측정하여 7.0 초과인 수성 현탁액으로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2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ISO 9277에 따른 BET 방법 및 질소를 이용하여 측정된 비표면적이 20∼80 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2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침강 방법에 따라 측정하여 평균 입자 직경 d50이 1∼1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2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은 처리하려는 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00 ppm ∼ 0.5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2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정제하려는 물의 pH는 표면 반응된 천연 탄산칼슘과 접촉시키기 전에 > 6.5의 수치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28. 제17항에 있어서, 내분비 호르몬은 17β-에스트라디올(E2), 에스트론(E1), 에스트리올(E3), 테스토스테론 또는 디히드로 테스토스테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29. 제17항에 있어서, 식물(phyto) 및 진균(myco) 호르몬은 β-시토스테롤,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또는 제랄레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30. 제17항에 있어서, 약물은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EE2), 메스트란올(ME), 또는 디에틸스틸베스트롤(DE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31. 제17항에 있어서, 공업용 화학물질은 4-노닐 페놀(NP), 4-tert-옥틸 페놀(OP), 비스페놀 A(BPA), 트리부틸주석(TBT), 메틸수은, 프탈레이트, PAK 또는 PC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정제 방법.
KR1020097020786A 2007-03-21 2008-03-19 물의 정제 방법 KR1013905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005854A EP1974806B1 (en) 2007-03-21 2007-03-21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water
EP07005854.0 2007-03-21
PCT/EP2008/053339 WO2008113842A1 (en) 2007-03-21 2008-03-19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w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940A KR20090123940A (ko) 2009-12-02
KR101390534B1 true KR101390534B1 (ko) 2014-05-19

Family

ID=38370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786A KR101390534B1 (ko) 2007-03-21 2008-03-19 물의 정제 방법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2) US8066884B2 (ko)
EP (2) EP1974806B1 (ko)
JP (1) JP5390412B2 (ko)
KR (1) KR101390534B1 (ko)
CN (1) CN101626828B (ko)
AR (1) AR065717A1 (ko)
AT (1) ATE524232T1 (ko)
AU (1) AU2008228255B2 (ko)
BR (1) BRPI0808554B1 (ko)
CA (1) CA2679356C (ko)
CL (1) CL2008000777A1 (ko)
CO (1) CO6220846A2 (ko)
DK (1) DK1974806T3 (ko)
ES (1) ES2373571T3 (ko)
MX (1) MX2009009542A (ko)
NZ (1) NZ578931A (ko)
PL (1) PL1974806T3 (ko)
PT (1) PT1974806E (ko)
RU (1) RU2482067C2 (ko)
SI (1) SI1974806T1 (ko)
UA (1) UA102996C2 (ko)
WO (1) WO2008113842A1 (ko)
ZA (1) ZA2009051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75310B1 (en) 2007-03-21 2011-12-28 Omya Development Ag Process for the control of pitch
EP1974807B1 (en) * 2007-03-21 2010-03-03 Omya Development Ag Process for the removal of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PL1974806T3 (pl) * 2007-03-21 2012-04-30 Omya Int Ag Sposób oczyszczania wody
EP1982759B1 (en) * 2007-03-21 2011-09-07 Omya Development Ag Surface treated calcium carbonate and its use in waste water treatment
DE602007000783D1 (de) * 2007-06-15 2009-05-07 Omya Development Ag Oberflächenreaktives Calciumkarbonat in Kombination mit einem hydrophoben Adsorptionsmittel zur Wasserbehandlung
WO2012018514A2 (en) 2010-07-26 2012-02-09 Sortwell & Co. Method for dispersing and aggregating components of mineral slurries and high-molecular weight multivalent polymers for clay aggregation
PT2418177E (pt) 2010-08-13 2015-03-02 Omya Int Ag Sistema de injeção de uma suspensão de caco3 micronizado para a remineralização de água dessalinizada e doce
CN102107954B (zh) * 2010-12-31 2012-04-25 山西华能食品包装机械有限公司 智能反冲式家用净水机
ES2537376T3 (es) 2011-07-22 2015-06-08 Omya International Ag Sistema de inyección de una suspensión de CaCO3 micronizada para la remineralización del agua desalinizada y dulce
CN102276087B (zh) * 2011-07-27 2013-03-20 湖南大学 用于稳定水质的饮用水处理方法
HUE030551T2 (en) 2011-08-31 2017-05-29 Omya Int Ag Decontamination of desalinated and fresh water by addition of calcium carbonate solution to soft water
SI2589430T1 (sl) 2011-11-04 2015-11-30 Omya International Ag Postopek za čiščenje vode in/ali odstranjevanje vode iz gošč in/ali usedlin z uporabo provršinsko obdelanega kalcijevega karbonata
CN102423698A (zh) * 2011-11-07 2012-04-25 河南师范大学 一种污水净化剂
US8721896B2 (en) 2012-01-25 2014-05-13 Sortwell & Co. Method for dispersing and aggregating components of mineral slurries and low molecular weight multivalent polymers for mineral aggregation
HUE030141T2 (en) 2012-02-03 2017-04-28 Omya Int Ag A method for producing an aqueous solution comprising at least one alkaline earth hydrogen carbonate
ES2612684T3 (es) 2013-05-07 2017-05-18 Omya International Ag Purificación de agua y deshidratación de lodos empleando carbonato de calcio de superficie tratada y filosilicato, uso de la combinación de carbonato de calcio de superficie tratada y filosilicato y material compuesto
EP2805924B1 (en) 2013-05-24 2018-02-21 Omya International AG Multiple batch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a solution of calcium hydrogen carbonate suitable for the remineralization of desalinated water and of naturally soft water
EP2805923B1 (en) 2013-05-24 2018-10-31 Omya International AG Installation for the preparation of a solution of calcium hydrogen carbonate suitable for the remineralization of water
EP2921173A1 (en) 2014-03-21 2015-09-23 Omya International AG Surface-reacted calcium carbonate for desensitizing teeth
EP2926797B1 (en) 2014-03-31 2017-09-06 Omya International AG Surface-reacted calcium carbonate for remineralisation and whitening of teeth
EP2949708B1 (en) 2014-05-30 2018-04-04 Omya International AG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granules comprising surface-reacted calcium carbonate
MX2016015657A (es) 2014-05-30 2017-04-13 Omya Int Ag Metodo para la produccion de granulos que comprenden carbonato de calcio tratados mediante reaccion superficial.
EP2957603A1 (en) 2014-06-20 2015-12-23 Omya International AG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granules comprising surface-reacted calcium carbonate
RU2579391C1 (ru) * 2014-12-31 2016-04-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Байка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природопользования Сибир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БИП СО РАН)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от 4 - аминобензолсульфонамида
ES2838023T3 (es) 2015-01-29 2021-07-01 Omya Int Ag Proceso para fabricar una solución de un hidrogenocarbonato alcalinotérreo
CN105060433A (zh) * 2015-08-06 2015-11-18 沈健龙 一种去除制药厂废水中18-甲基炔诺酮、炔诺酮庚酸酯和炔诺酮的处理剂
EP3176222A1 (en) 2015-12-01 2017-06-07 Omya International AG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granules comprising surface-reacted calcium carbonate
EP3175835A1 (en) 2015-12-04 2017-06-07 Omya International AG Oral care composition for remineralisation and whitening of teeth
EP3202720A1 (en) 2016-02-05 2017-08-09 Omya International A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 aqueous solution comprising at least one earth alkali hydrogen carbonate
EP3202719A1 (en) 2016-02-05 2017-08-09 Omya International AG Installation for the preparation of an aqueous solution comprising at least one earth alkali hydrogen carbonate
EP3599224A1 (en) * 2018-07-24 2020-01-29 Omya International AG Particulate mineral materials functionalized with reducing agents for lowering the amount of heavy metal contaminants from an aqueous medium
EP3599223A1 (en) * 2018-07-24 2020-01-29 Omya International AG Heavy metal removal using minerals being functionalized with adsorption enhancers
EP3599016A1 (en) * 2018-07-24 2020-01-29 Omya International AG Heavy metal removal using minerals being functionalized with thiols
AU2021263871A1 (en) 2020-04-28 2022-09-29 Omya International Ag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free-flowing granules
TW202200206A (zh) 2020-04-28 2022-01-01 瑞士商歐米亞國際公司 包含表面反應碳酸鈣作為賦形劑之顆粒
JP2021178290A (ja) * 2020-05-14 2021-11-1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排水処理剤、及び排水処理剤の製造方法
RU2743359C1 (ru) * 2020-08-12 2021-02-1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Федер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центр "Кольский научный центр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ФИЦ КНЦ РАН)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орбента на основе доломита
CN113582308A (zh) * 2021-07-16 2021-11-02 江苏江华水处理设备有限公司 一种液体近零排预处理高密度沉淀池
CN113926426A (zh) * 2021-11-11 2022-01-14 东莞理工学院 一种功能化介孔炭吸附废水中邻苯二甲酸酯污染物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6536A (ja) 1997-05-19 2000-12-12 ソートウェル アンド カンパニー ゼオライトクリスタロイド凝集剤を用いる水の処理方法
JP2006523251A (ja) 2003-03-18 2006-10-12 オムヤ・デベロツプメント・アー・ゲー 炭酸カルシウムを含む新規な無機顔料、それを含む水性懸濁液ならびにその使用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84805A (ko) 1947-09-13
JPS5112357B2 (ko) * 1972-06-07 1976-04-19
DE2756171C2 (de) * 1977-12-16 1979-12-13 Hoechs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Sanierung von bei Dauerbetrieb überlasteten Kläranlagen und Kläranlage zur Durchführung eines derartigen Verfahrens
US4343706A (en) * 1980-08-04 1982-08-10 Purdue Research Foundation Method of removing heavy metals from industrial waste streams
JPS58139784A (ja) * 1982-02-16 1983-08-19 Kurita Water Ind Ltd 脱リン剤および脱リン方法
FI96695C (fi) * 1988-03-07 1996-08-12 Pluss Stauffer Ag Pigmenttiseos paperiteollisuutta varten
US4933076A (en) * 1988-09-09 1990-06-12 Eiji Oshima Multi-unit flush system having carbon adsorber column in calcium carbonate bed
US5043017A (en) * 1990-03-09 1991-08-27 Pfizer Inc. Acid-stabilized calcium carbonate,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method for its use in the manufacture of acidic paper
DE4128570A1 (de) * 1991-08-28 1993-03-04 Pluss Stauffer Ag Carbonat-haltige mineralische fuellstoffe und pigmente
BR9306159A (pt) * 1992-04-03 1998-01-13 Minerals Tech Inc Carbonato de cálcio precipitado na forma de aglomerados de partículas de calcita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o mesmo e papel de alta opacidade de alta resistência
JP2812640B2 (ja) * 1992-07-31 1998-10-22 シャープ株式会社 排水処理装置および排水処理方法
CZ282995B6 (cs) 1993-02-26 1997-12-17 Living, Spol. S R.O. Způsob čištění odpadních vod, zejména z mytí vozidel
DE4312463C1 (de) * 1993-04-16 1994-07-28 Pluss Stauffer Ag CaCO¶3¶ -Talkum-Streichpigmentslurry,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US6319412B1 (en) * 1997-10-21 2001-11-20 New Working Waters, Llc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EP1078019A4 (en) * 1998-04-03 2003-05-21 Imerys Pigments Inc 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 its manufacture and use
DE59811388D1 (de) 1998-09-22 2004-06-17 Alfred Pohlen Verfahren zur Eliminierung von klebrigen Verunreinigungen aus aufbereitetem Altpapier enthaltende Papierbreie mittels hydrophobierten Mineralien
JP3732025B2 (ja) * 1998-11-10 2006-01-05 シャープ株式会社 排水処理方法および排水処理装置
JP4332915B2 (ja) 1998-11-13 2009-09-16 栗田工業株式会社 環境ホルモン含有水の処理方法及び環境ホルモン含有水処理装置
FR2787802B1 (fr) * 1998-12-24 2001-02-02 Pluss Stauffer Ag Nouvelle charge ou pigment ou mineral traite pour papier, notamment pigment contenant du caco3 naturel, son procede de fabrication, compositions les contenant, et leurs applications
US6372124B2 (en) 2000-01-03 2002-04-16 Saint-Gobain Norpro Corporation Removal of impurities from hydrocarbon streams
RU2191750C2 (ru) * 2000-01-10 2002-10-27 Институт химии и химической технологии СО РАН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от ионов тяжелых цветных металлов
EP1186343A4 (en) 2000-03-14 2004-11-17 Kyowa Chem Ind Co Ltd ADSORBENT FOR AROMATIC HYDROXO COMPOUNDS AND THEIR USE
JP3567224B2 (ja) * 2000-06-13 2004-09-22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無電解銅めっき廃液の処理方法とその処理剤
RU2199384C2 (ru) * 2000-07-11 2003-02-27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высоких напряжений при Томском политехническом университете Способ сорбционной очистки воды от тяжелых металлов
JP4004016B2 (ja) 2001-05-22 2007-11-07 株式会社荏原製作所 浄水の処理方法
KR100876116B1 (ko) * 2001-09-04 2008-12-26 도아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조성물, 양성 고분자 응집제 및 이들의 용도
US6821434B1 (en) * 2001-10-10 2004-11-23 Sandia Corporation System for removal of arsenic from water
US7790653B2 (en) * 2001-10-11 2010-09-07 South Dakota School Of Mines & Technology Method and composition to reduce the amounts of arsenic in water
US6977027B2 (en) * 2001-12-21 2005-12-20 Luzenae America, Inc. Additive and process for sticky control in recycled pulps
US6699614B2 (en) * 2002-03-18 2004-03-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nverging/diverging flow channels for fuel cell
US6861002B2 (en) * 2002-04-17 2005-03-01 Watervisions International, Inc. Reactive compositions for fluid treatment
US6855241B2 (en) * 2002-04-22 2005-02-15 Forrest M. Palmer Process and apparatus for smelting aluminum
RU2218984C1 (ru) * 2002-04-29 2003-12-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кватория" Фильтрующая среда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RU2219994C1 (ru) * 2002-04-29 2003-12-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кватория"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ильтрующего материала и фильтрующий материал
TWI271974B (en) * 2002-10-25 2007-01-21 Huei-Guang Chen Signal switch processing method
CN100551826C (zh) 2003-02-27 2009-10-21 奥多摩工业株式会社 球状碳酸钙及其制造方法
US20050175577A1 (en) * 2004-02-06 2005-08-11 The Clorox Company Absorbent composition with improved odor control
US20070119785A1 (en) 2003-10-29 2007-05-31 University Of Miami Metal mediated aeration for water and wastewater purification
RU2259956C1 (ru) * 2004-06-23 2005-09-10 Институт химии и технологии редких элементов и минерального сырья им. И.В. Тананаева Кольского научного центра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оды от ионов тяжелых металлов
US20060048908A1 (en) * 2004-09-08 2006-03-09 Enzymatic Deinking Technologies, Llc System for control of stickies in recovered and virgin paper processing
CN100574868C (zh) * 2006-07-27 2009-12-30 宁守俭 油品脱酸吸附剂及制备方法
EP1974807B1 (en) * 2007-03-21 2010-03-03 Omya Development Ag Process for the removal of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EP1975310B1 (en) * 2007-03-21 2011-12-28 Omya Development Ag Process for the control of pitch
PL1974806T3 (pl) * 2007-03-21 2012-04-30 Omya Int Ag Sposób oczyszczania wody
EP1982759B1 (en) * 2007-03-21 2011-09-07 Omya Development Ag Surface treated calcium carbonate and its use in waste water treat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6536A (ja) 1997-05-19 2000-12-12 ソートウェル アンド カンパニー ゼオライトクリスタロイド凝集剤を用いる水の処理方法
JP2006523251A (ja) 2003-03-18 2006-10-12 オムヤ・デベロツプメント・アー・ゲー 炭酸カルシウムを含む新規な無機顔料、それを含む水性懸濁液ならびにその使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228255A1 (en) 2008-09-25
BRPI0808554B1 (pt) 2018-07-03
AR065717A1 (es) 2009-06-24
ES2373571T3 (es) 2012-02-06
US20100084346A1 (en) 2010-04-08
RU2482067C2 (ru) 2013-05-20
JP5390412B2 (ja) 2014-01-15
RU2009138750A (ru) 2011-04-27
DK1974806T3 (da) 2012-01-09
CN101626828A (zh) 2010-01-13
CA2679356C (en) 2015-10-06
PL1974806T3 (pl) 2012-04-30
CN101626828B (zh) 2012-07-25
ATE524232T1 (de) 2011-09-15
PT1974806E (pt) 2012-01-03
CL2008000777A1 (es) 2008-11-07
EP1974806B1 (en) 2011-09-14
US8066884B2 (en) 2011-11-29
WO2008113842A1 (en) 2008-09-25
JP2010521298A (ja) 2010-06-24
KR20090123940A (ko) 2009-12-02
CO6220846A2 (es) 2010-11-19
SI1974806T1 (sl) 2012-01-31
EP2180945A1 (en) 2010-05-05
NZ578931A (en) 2012-01-12
ZA200905167B (en) 2010-09-29
AU2008228255B2 (en) 2012-02-09
UA102996C2 (ru) 2013-09-10
US20110193011A1 (en) 2011-08-11
EP2180945B1 (en) 2014-06-04
EP1974806A1 (en) 2008-10-01
CA2679356A1 (en) 2008-09-25
BRPI0808554A2 (pt) 2014-08-19
MX2009009542A (es)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534B1 (ko) 물의 정제 방법
KR101419090B1 (ko) 내분비계 교란 물질의 제거 방법
JP5351057B2 (ja) 表面処理した炭酸カルシウムおよび廃水処理におけるこれの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