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420B1 -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 - Google Patents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420B1
KR101390420B1 KR1020130122984A KR20130122984A KR101390420B1 KR 101390420 B1 KR101390420 B1 KR 101390420B1 KR 1020130122984 A KR1020130122984 A KR 1020130122984A KR 20130122984 A KR20130122984 A KR 20130122984A KR 101390420 B1 KR101390420 B1 KR 101390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ver
open type
stator
alignment pin
typ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2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호
Original Assignee
(주)모터일일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터일일사 filed Critical (주)모터일일사
Priority to KR1020130122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로서, 코일이 수회에 걸쳐 권선될 수 있도록 복수의 철심 강판의 적층을 통해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내측에 위치되고 중심에 회전축이 압입되며, 상기 회전축의 선단과 후단에 베어링이 설치되는 회전자; 상기 고정자 및 회전자를 고정 체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전면 하우징 커버와 후면 하우징 커버의 분리 구조로 구성되는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의 전면 하우징 커버와 후면 하우징 커버를 나사체결 방식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나사 고정부; 및 상기 모터 하우징의 전면 하우징 커버와 후면 하우징 커버 간의 체결 고정 시에 미리 설정한 특정 거리가 상기 전면 하우징 커버와 후면 하우징 커버 사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맞춤 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에 따르면, 전면 하우징 커버와 후면 하우징 커버의 분리 구성을 이용하여 오픈 타입의 모터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하나 이상의 맞춤 핀 부재를 사용하여 전면 하우징 커버와 후면 하우징 커버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자의 강판 적층의 편평도가 저하되어 두께 편차가 발생되더라도 하우징 조립 시의 쏠림 현상이 방지되고, 그에 따른 회전축의 편심 운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맞춤 핀 부재를 사용하여 오픈 타입의 모터 하우징을 체결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하우징 일체형의 표준형 모터에 비해 내부 베어링 가공의 어려움을 해소함은 물론, 제조원가의 절감 및 고객 요구 사항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고, 기존의 오픈 타입의 모터에 비해 소음이 적고 회전자 등에 발생하는 스크래치의 발생 없이 모터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A OPEN TYPE MOTOR DEVICE FOR IMPROVING OF SQUARENESS USING DOWEL PIN}
본 발명은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면 하우징 커버와 후면 하우징 커버의 분리 구성을 이용하여 오픈 타입의 모터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고정자의 강판 적층의 편평도가 저하되어 두께 편차가 발생되더라도 모터 하우징의 오픈된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하우징 조립 시의 쏠림 현상이 방지되고, 그에 따른 회전축의 편심 운동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라 함은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서 회전력을 얻는 장치이다. 이러한 모터는 가정용 전자제품뿐만 아니라 산업용 기기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데, 크게 DC 모터와 AC 모터로 나누어질 수 있다. DC 모터에서 브러시(Brush)가 부착된 모터는 정류자와 브러시의 접촉에 의해서 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함과 동시에 정류시키는 기능을 하지만, 브러시가 마모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브러시를 사용하지 않는 브러시리스(brushless) DC(BLDC) 모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BLDC 모터는, 토크가 크고 제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신속성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근래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표준형 모터는, 모터 하우징의 내부에 지지되는 고정자와, 고정자의 내측에 위치되고 중심에 회전축이 압입된 회전자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모터는 직각도가 한쪽으로 조금만 쏠려도 소음 문제가 크게 발생하게 되므로, 기어박스 또는 감속기의 결합 시에 직각도가 매우 중요하게 되므로 종래의 표준형 모터는 하우징 일체형으로 동심도가 우수하게 구성되고 있으나, 내부 베어링 가공의 어려움이 발생하고 그에 따른 원가 상승의 문제가 있으며, 특히 고객 요구 사항에 대한 대응에 어려움이 따른다. 즉, 90W에서 100W로 고객이 성능 변경을 요구하는 경우 대응이 어렵게 된다. 한편, 하우징의 일체형과 달리 오픈 타입의 모터는 사용시간, 가격, 및 성능을 포함한 고객의 요구 사항에 대응하여 변경이 가능하나, 측면 부하 발생으로 하우징을 정확하게 잡아주지 못함에 따라 회전자 등에 긁힌 자국이 발생하고, 동심도가 낮아 편심 운동에 따른 소음 발생의 문제가 있다. 즉, 오픈 타입 모터는 소음은 높으나 비용적인 측면에서 짧은 시간 사용에 이용되고 있다. 일례로는 음식물 처리기나 문서 절단기와 같은 장치의 모터로 짧은 시간 동안 제한적으로 사용되는데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전면 하우징 커버와 후면 하우징 커버의 분리 구성을 이용하여 오픈 타입의 모터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하나 이상의 맞춤 핀 부재를 사용하여 전면 하우징 커버와 후면 하우징 커버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자의 강판 적층의 편평도가 저하되어 두께 편차가 발생되더라도 하우징 조립 시의 쏠림 현상이 방지되고, 그에 따른 회전축의 편심 운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맞춤 핀 부재를 사용하여 오픈 타입의 모터 하우징을 체결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하우징 일체형의 표준형 모터에 비해 내부 베어링 가공의 어려움을 해소함은 물론, 제조원가의 절감 및 고객 요구 사항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고, 기존의 오픈 타입의 모터에 비해 소음이 적고 회전자 등에 발생하는 스크래치의 발생 없이 모터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는,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로서,
코일이 수회에 걸쳐 권선될 수 있도록 복수의 철심 강판의 적층을 통해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내측에 위치되고 중심에 회전축이 압입되며, 상기 회전축의 선단과 후단에 베어링이 설치되는 회전자;
상기 고정자 및 회전자를 고정 체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전면 하우징 커버와 후면 하우징 커버의 분리 구조로 구성되는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의 전면 하우징 커버와 후면 하우징 커버를 나사체결 방식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나사 고정부; 및
상기 모터 하우징의 전면 하우징 커버와 후면 하우징 커버 간의 체결 고정 시에 미리 설정한 특정 거리가 상기 전면 하우징 커버와 후면 하우징 커버 사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맞춤 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나사 고정부는,
상기 고정자 및 회전자를 수용하여 오픈 타입으로 설치되는 상기 모터 하우징의 전면 하우징 커버와 후면 하우징 커버를 관통하는 나사와 볼트의 체결 조립으로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나사 고정부는,
상기 나사와 볼트를 조합으로 하는 4쌍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맞춤 핀 부재는,
상기 모터 하우징의 전면 하우징 커버와 후면 하우징 커버 간의 기준 면의 특정 거리 유지를 위한 봉 형상의 맞춤 핀 본체; 및
상기 맞춤 핀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삽입 핀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터 하우징은,
상기 전면 하우징 커버와 후면 하우징 커버의 외경으로 상기 맞춤 핀 부재의 삽입 핀이 삽입 체결되는 맞춤 핀 공을 복수로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맞춤 핀 부재는,
상기 모터 하우징의 조립 시에 상기 고정자의 편평도의 오차로 인한 두께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동심도가 우수한 직각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하우징 커버와 후면 하우징 커버 간의 특정 거리가 유지되도록 체결됨으로써,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의 축심이 기준 축심으로부터 벗어나는 편심 운동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에 따르면, 전면 하우징 커버와 후면 하우징 커버의 분리 구성을 이용하여 오픈 타입의 모터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하나 이상의 맞춤 핀 부재를 사용하여 전면 하우징 커버와 후면 하우징 커버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자의 강판 적층의 편평도가 저하되어 두께 편차가 발생되더라도 하우징 조립 시의 쏠림 현상이 방지되고, 그에 따른 회전축의 편심 운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맞춤 핀 부재를 사용하여 오픈 타입의 모터 하우징을 체결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하우징 일체형의 표준형 모터에 비해 내부 베어링 가공의 어려움을 해소함은 물론, 제조원가의 절감 및 고객 요구 사항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고, 기존의 오픈 타입의 모터에 비해 소음이 적고 회전자 등에 발생하는 스크래치의 발생 없이 모터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의 분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의 조립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에 적용되는 맞춤 핀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의 거리 유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의 고정자의 철심 강판의 적층 두께에 편차가 발생한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의 분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의 조립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100)는, 고정자(110), 회전자(120), 모터 하우징(130), 나사 고정부(140), 및 맞춤 핀 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자(110)는, 코일이 수회에 걸쳐 권선될 수 있도록 복수의 철심 강판의 적층을 통해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는 스테이터(stator) 구성이다. 이러한 고정자(110)는 코일이 수회에 걸쳐 권선되는 구조로 내경을 형성하고, 그 내측으로 회전자(1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모터의 고정자(110)는 공지된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회전자(120)는, 고정자(1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중심에 회전축(121)이 압입되며, 회전축(121)의 선단과 후단에 베어링이 설치되는 로터(rotor) 구성이다. 이러한 회전자(120)는 고정자(110)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된 전기장의 영향을 받아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자(120)는 고정자(110)와의 상호 작용에 따른 플레밍 왼손 법칙에 의해 회전된다. 모터의 회전자(120)는 공지된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모터 하우징(130)은, 일반적인 모터의 경우와 같이 모터의 외부를 오픈 타입으로 감싸기 위한 구성으로, 고정자(110) 및 회전자(120)를 고정 체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전면 하우징 커버(131)와 후면 하우징 커버(132)의 분리 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모터 하우징(130)은 전면 하우징 커버(131)와 후면 하우징 커버(132)의 외경으로 후술하게 될 맞춤 핀 부재(150)의 삽입 핀(152)이 삽입 체결되는 맞춤 핀 공(133)을 복수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모터 하우징(130)의 전면 하우징 커버(131)와 후면 하우징 커버(132)에 형성되는 맞춤 핀 공(133)은 각각이 대향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또한, 모터 하우징(130)의 전면 하우징 커버(131)와 후면 하우징 커버(132)에는 고정자(110) 및 회전자(120)를 감싸는 형태로 지지하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나사 고정부(140)의 나사(141)가 관통될 수 있는 나사 구멍을 내경의 일 측에 대응되게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나사 고정부(140)는, 모터 하우징(130)의 전면 하우징 커버(131)와 후면 하우징 커버(132)를 나사체결 방식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나사 고정부(140)는 나사(141)와 볼트(142)를 조합으로 하는 복수로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4쌍으로 구성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즉, 복수의 나사 고정부(140)는 고정자(110) 및 회전자(120)를 수용하여 오픈 타입으로 설치되는 모터 하우징(130)의 전면 하우징 커버(131)와 후면 하우징 커버(132)를 관통하는 나사(141)와 볼트(142)의 체결 조립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나사(141)는 길이가 긴 형태로 구성되어 전면 하우징 커버(131)의 상부를 통해 관통하여 내경을 거친 후 후면 하우징 커버(132)의 내경을 거쳐 하단의 외부로 관통하여 노출되고 볼트(142)의 체결을 통해 결합된다.
맞춤 핀 부재(150)는, 모터 하우징(130)의 전면 하우징 커버(131)와 후면 하우징 커버(132) 간의 체결 고정 시에 미리 설정한 특정 거리가 전면 하우징 커버(131)와 후면 하우징 커버(132) 사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러한 맞춤 핀 부재(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하우징(130)의 전면 하우징 커버(131)와 후면 하우징 커버(132) 간의 기준 면의 특정 거리 유지를 위한 봉 형상의 맞춤 핀 본체(151)와, 맞춤 핀 본체(15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삽입 핀(152)의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 핀(152)은 봉 형상의 맞춤 핀 본체(151)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모터 하우징(130)의 전면 하우징 커버(131)와 후면 하우징 커버(132)에 형성되는 맞춤 핀 공(133)에 삽입됨으로써, 맞춤 핀 본체(151)의 길이만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맞춤 핀 부재(1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하우징(130)의 조립 시에 고정자(110)의 편평도의 오차로 인한 두께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동심도가 우수한 직각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전면 하우징 커버(131)와 후면 하우징 커버(132) 간의 특정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체결됨으로써, 회전자(120)의 회전축(121)의 축심이 기준 축심으로부터 벗어나는 편심 운동이 방지되도록 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에 적용되는 맞춤 핀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의 거리 유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의 고정자의 철심 강판의 적층 두께에 편차가 발생한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맞춤 핀 부재(150)의 사시도 구성을 나타내고, 도 3의 (b)는 맞춤 핀 부재(150)의 단면도 구성을 나타낸다. 즉, 맞춤 핀 부재(150)는 오픈 타입으로 구성되는 모터 하우징(130)의 전면 하우징 커버(131)와 후면 하우징 커버(132) 간의 거리를 봉 형상의 맞춤 핀 본체(151)의 길이만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도 4는 모터 하우징(130)의 전면 하우징 커버(131)와 후면 하우징 커버(132) 간의 거리가 맞춤 핀 부재(150)의 맞춤 핀 본체(151)에 의해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복수의 철심 강판의 적층으로 구성되는 고정자(110)가 두께 편차의 발생으로 편평도가 떨어진 상태를 일례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자(110)의 편평도가 떨어진 상태에서도 모터 하우징(130)의 조립 시에 전면 하우징 커버(131)와 후면 하우징 커버(132) 간의 특정 거리가 맞춤 핀 부재(150)에 의해 일정하게 거리가 유지됨으로써, 고정자(110)의 편평도 오차로 인한 두께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동심도가 우수한 직각도가 유지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회전자(120)의 회전축(121)의 축심이 기준 축심으로부터 벗어나는 편심 운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 타입 모터 장치
110: 고정자 120: 회전자
121: 회전축 130: 모터 하우징
131: 전면 하우징 커버 132: 후면 하우징 커버
133: 맞춤 핀 공 140: 나사 고정부
141: 나사 142: 볼트
150: 맞춤 핀 부재 151: 맞춤 핀 본체
152: 삽입 핀

Claims (6)

  1.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100)로서,
    코일이 수회에 걸쳐 권선될 수 있도록 복수의 철심 강판의 적층을 통해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는 고정자(110);
    상기 고정자(1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중심에 회전축(121)이 압입되며, 상기 회전축(121)의 선단과 후단에 베어링이 설치되는 회전자(120);
    상기 고정자(110) 및 회전자(120)를 고정 체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전면 하우징 커버(131)와 후면 하우징 커버(132)의 분리 구조로 구성되는 모터 하우징(130);
    상기 모터 하우징(130)의 전면 하우징 커버(131)와 후면 하우징 커버(132)를 나사체결 방식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나사 고정부(140); 및
    상기 모터 하우징(130)의 전면 하우징 커버(131)와 후면 하우징 커버(132) 간의 체결 고정 시에 미리 설정한 특정 거리가 상기 전면 하우징 커버(131)와 후면 하우징 커버(132) 사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맞춤 핀 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나사 고정부(140)는,
    상기 고정자(110) 및 회전자(120)를 수용하여 오픈 타입으로 설치되는 상기 모터 하우징(130)의 전면 하우징 커버(131)와 후면 하우징 커버(132)를 관통하는 나사(141)와 볼트(142)의 체결 조립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나사 고정부(140)는,
    상기 나사(141)와 볼트(142)를 조합으로 하는 4쌍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 핀 부재(150)는,
    상기 모터 하우징(130)의 전면 하우징 커버(131)와 후면 하우징 커버(132) 간의 기준 면의 특정 거리 유지를 위한 봉 형상의 맞춤 핀 본체(151); 및
    상기 맞춤 핀 본체(15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삽입 핀(152)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130)은,
    상기 전면 하우징 커버(131)와 후면 하우징 커버(132)의 외경으로 상기 맞춤 핀 부재(150)의 삽입 핀(152)이 삽입 체결되는 맞춤 핀 공(133)을 복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 핀 부재(150)는,
    상기 모터 하우징(130)의 조립 시에 상기 고정자(110)의 편평도의 오차로 인한 두께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동심도의 직각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하우징 커버(131)와 후면 하우징 커버(132) 간의 특정 거리가 유지되도록 체결됨으로써, 상기 회전자(120)의 회전축(121)의 축심이 기준 축심으로부터 벗어나는 편심 운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
KR1020130122984A 2013-10-15 2013-10-15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 KR101390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984A KR101390420B1 (ko) 2013-10-15 2013-10-15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984A KR101390420B1 (ko) 2013-10-15 2013-10-15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420B1 true KR101390420B1 (ko) 2014-04-30

Family

ID=50658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984A KR101390420B1 (ko) 2013-10-15 2013-10-15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4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418B1 (ko) 2015-01-05 2015-08-21 (주)모터일일사 맞춤 파이프 부재를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
CN110345201A (zh) * 2019-07-15 2019-10-18 无锡市恒翼通机械有限公司 行星减速机及其加工方法
CN111786500A (zh) * 2020-08-06 2020-10-16 苏州优控动力技术有限公司 一种便于装配具有减震结构的开关磁阻电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8417A (ja) 2000-09-18 2001-05-11 Hitachi Ltd 電動機
KR20080078950A (ko) * 2007-02-26 2008-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US20100102667A1 (en) 2008-10-23 2010-04-29 Foxnum Technology Co., Ltd. Motor housing structure
KR20130067039A (ko) * 2011-12-13 2013-06-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얼터네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8417A (ja) 2000-09-18 2001-05-11 Hitachi Ltd 電動機
KR20080078950A (ko) * 2007-02-26 2008-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US20100102667A1 (en) 2008-10-23 2010-04-29 Foxnum Technology Co., Ltd. Motor housing structure
KR20130067039A (ko) * 2011-12-13 2013-06-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얼터네이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418B1 (ko) 2015-01-05 2015-08-21 (주)모터일일사 맞춤 파이프 부재를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
CN110345201A (zh) * 2019-07-15 2019-10-18 无锡市恒翼通机械有限公司 行星减速机及其加工方法
CN111786500A (zh) * 2020-08-06 2020-10-16 苏州优控动力技术有限公司 一种便于装配具有减震结构的开关磁阻电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2385C (en) Electric motor
EP1414130B1 (en) Electric motor with a permanent magnet rotor
US9876409B2 (en) Inner-rotor motor with upper and lower brackets press-fit with the stator core, and a circuit board
US8710707B2 (en) Electric motor
JP2011504089A (ja) 同心に配置された多段回転子を備えた発電機兼誘導モーター
WO2014020756A1 (ja) 回転電機
JP2004274998A (ja) 単相誘導電動機
AU2015397721A1 (en) Brushless can motor
KR101390420B1 (ko) 맞춤 핀을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
JP2016146735A (ja) 単相ブラシレスモータ
US20160294266A1 (en) Single-Phase Brushless Motor
JP2004248456A (ja) 単一磁気伝導片からなるモーターステータの磁気伝導片の構造
JP2015163038A (ja) インナーロータ型ブラシレスモータ
WO2015104795A1 (ja) 回転電機
JP5595135B2 (ja) 2相ハイブリッド型回転電機
JP2005020914A (ja) 電動機及びヨークハウジング
KR20180078166A (ko) 전기 모터 및 그의 자기 코어
KR101546418B1 (ko) 맞춤 파이프 부재를 이용한 직각도가 개선된 오픈 타입 모터 장치
KR20140145996A (ko) 전기 모터
KR20130109867A (ko) 무게 중심을 최적화한 로터를 갖는 모터
JP6000474B2 (ja) 回転電機
JP5639876B2 (ja) 回転電機
JP2009171704A (ja) モータ
JP6461293B2 (ja) 電気モータ及びそのモータ軸
JP2015089317A (ja) 回転電機の電機子及び回転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