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386B1 -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386B1
KR101389386B1 KR1020120024071A KR20120024071A KR101389386B1 KR 101389386 B1 KR101389386 B1 KR 101389386B1 KR 1020120024071 A KR1020120024071 A KR 1020120024071A KR 20120024071 A KR20120024071 A KR 20120024071A KR 101389386 B1 KR101389386 B1 KR 101389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ttom plate
beams
columns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2890A (ko
Inventor
김일수
민병운
김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20024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386B1/ko
Publication of KR20130102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61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particular arrangement of habitable rooms or their component parts; modular co-ord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화된 요소로 제작 운송하여 현장에서 구조물을 조립 시공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둥과 보가 연결된 보-기둥 유닛, 상기 보-기둥 유닛과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으로 구성된 단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조립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될 때 기둥 또는 보가 중첩되지 않도록 패널화되어 단위유닛들 사이에 배치된 기둥 또는 보가 공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종래 적층식 모듈러 유닛 공법을 개선하여 건축구조물을 패널화된 요소별로 제작 운송하고 현장에서 구조물을 조립 시공함으로써 운송비를 절감하고 시공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Panelized modular building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본 발명은 패널화된 요소로 제작 운송하여 현장에서 구조물을 조립 시공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듈러 건축물은 공장에서 구조체와 내외장재 및 설비 등의 마감을 설치한 박스형 모듈러 유닛을 공장에서 제작 한 후 현장으로 운송하여 적층 조립함으로써 완성하는 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건축물은 대부분이 공장에서 제작되므로 일반적인 건축방식에 비해 현장 기능인력 숙련도와 현장의 환경 조건, 기후 변화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동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모듈러 건축물은 공장생산을 통한 품질 향상과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유럽, 일본, 미국 등에서 다양한 유형의 건축물들에 폭 넓게 적용되고 있다.
모듈러 건축공법은 보와 기둥, 슬래브로 이루어진 직육면체의 박스 모듈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후, 이를 현장으로 운송하여 박스 모듈을 차례로 적층 조립함에 따라 구조물을 구성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모듈로 건축구조물은 박스 모듈 유닛을 그대로 현장으로 운송하게 되면 모듈의 볼륨으로 인해 운송비가 과도하게 되고, 도로 여건이 좋지 않은 지역은 국내외 모두 모듈 유닛의 운송이 어렵게 만든다.
또한, 적층식 모듈러 유닛 방식은 필연적으로 적층시 부재의 중첩이 되게 배치가 되므로 이로 인해 구조적인 문제와 물량낭비가 발생하게 되어 비용이 증가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도 1의 (a)와 같은 모듈러 유닛(10)을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으로 운송한 후 (b)와 같은 건축구조물을 구성하는 방식은 프리패브율을 높이므로 현장작업을 줄여 공기를 단축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운송이나 비용적인 측면에서 볼 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종래 박스 형상의 모듈러 유닛(10)을 운송할 때 모듈러 유닛(10)의 볼륨으로 인해 운송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또한 적층식 모듈러 유닛(10) 방식은 필연적으로 적층시 부재의 중첩이 발생되는 구조로 배치되기 때문에 이로 인해 구조적으로 물량낭비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종래 적층식 모듈러 유닛 공법을 개선하여 건축구조물을 패널화된 요소별로 제작 운송하고 현장에서 구조물을 조립 시공함으로써 운송비를 절감하고 시공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적층식 박스 유닛 공법과는 다르게 상하, 좌우의 모듈러 유닛을 조립할 때 보와 기둥이 서로 중첩되지 않고 하나의 보와 기둥을 사용하고, 이때 보와 기둥은 일체화되어 있는 넉다운식 모듈러 구조물을 제공함에도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기존 적층식 박스 유닛 공법과는 다르게 바닥판 유닛을 분리하여 제작 운송하므로 현장에서 패널화되어 있는 보-기둥과 조립이 가능한 넉다운식 모듈러 구조물을 제공함에도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기둥 유닛(100)과 바닥판 유닛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현장조립성을 향상시킨 넉다운식 모듈러 구조물을 제공함에도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패널화된 요소부재를 운송과 양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운송 패킹방식과 양중 방식이 개선된 모듈러 구조물을 제공함에도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화함으로써 부피를 줄여 현장으로 운송 양중하여 조립 시공하는 시공방법 및 건축구조물을 제공함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둥과 보가 연결된 보-기둥 유닛, 상기 보-기둥 유닛과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으로 구성된 단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조립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될 때 기둥 또는 보가 중첩되지 않도록 패널화되어 단위유닛들 사이에 배치된 기둥 또는 보가 공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보-기둥 유닛, 보-기둥 유닛에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을 포함하고, 이들을 적층하여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기둥 유닛을 먼저 시공한 다음, 상기 바닥판 유닛을 상기 보-기둥 유닛에 조립하여 단위유닛을 구성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배열될 때 장변보는 있고 단변보가 없는 바닥판 유닛과, 장변보와 단변보가 모두 있는 바닥판 유닛을 서로 엇갈려 배치하는 형태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보-기둥 유닛, 보-기둥 유닛에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을 포함하고, 이들을 적층하여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유닛을 상기 보-기둥 유닛에 조립하여 단위유닛을 구성하되, 상기 단위유닛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단위유닛들 사이의 간격에는 보만 별도 시공된 후 상기 보에 단변보가 없는 바닥판 유닛을 조립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보-기둥 유닛, 보-기둥 유닛에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을 포함하고, 이들을 적층하여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유닛을 상기 보-기둥 유닛에 조립하여 단위유닛을 구성하되, 상기 바닥판 유닛의 네모서리에 기둥을 먼저 시공한 다음, 상기 기둥 상단에 다시 바닥판 유닛을 안착시킨 후 기둥과 조립하는 형태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와 기둥이 ㄷ형상이 세워진 형태로 보-기둥 일체식구조를 제공하며, 보와 기둥의 단면은 각형강관, ㄷ채널, 립ㄷ채널, ㄴ앵글, H빔으로 보와 기둥, 벽체, 마감이 일체화된 패널화 요소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바닥판 유닛은 보가 장변방향으로 2개 면만 있거나, 바닥판 유닛 4개면 모두에 보가 있는 구조로써 바닥판 유닛의 4개의 코너와 바닥판 유닛의 단변보에는 보-기둥과 결합을 위한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데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먼저 시공된 보-기둥과 바닥판 유닛을 결합하기 위하여, 보-기둥 요소는 바닥판 유닛에 미리 매입된 볼트구조와 볼팅체결을 하거나 또는 미리 매입된 플레이트 판 또는 앵글과 일부 용접접합이 가능한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화 된 요소부재를 적층하여 운송함으로써 부피를 줄여 비용을 줄 일 수 있는 운송패킹구조와 양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양중구조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패널화하여 운송 양중하여 조립 시공하는 넉다운식 공법 및 건축구조물을 제공함에도 특징이 있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축구조용 내지진강(SN강), TMCP강을 사용하여 강재의 효율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와 기둥이 ㄷ형상이 세워진 형태로 보-기둥 일체식구조로 벽체 마감이 일체화된 패널화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보와 기둥, 벽체가 일체화된 수직부재를 한번에 시공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후속 작업인 바닥판 유닛의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바닥판 유닛은 보가 장변방향으로 2개 면만 있거나, 바닥판 유닛 4개 면 모두에 보가 있는 구조로써, 바닥판 유닛만 따로 제작 운송하여 현장에서 결합이 가능하므로 부피를 줄여 운송할 수 있고, 운송시 처짐이나 진동에 의한 파손을 막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 바닥판 유닛과 보-기둥 유닛(100)의 결합부에 비해 시공성이 개선된 결합부는, 바닥판 유닛에 미리 매입된 볼트 체결이나 플레이트 또는 앵글에 의한 용접 접합이 가능한 결합구조를 가짐으로써 기존보다 시공성이 개선된 효과가 있다.
아울러, 구조물을 요소별로 패널화하여 운송하고 양중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운송비를 절감하고 시공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널별 요소를 조립하는 구조는 기존에 제안된 기둥연결구 또는 넉다운 방식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박스 유닛 방식, 넉다운 방식과 복합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모듈러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건축구조물 조립 공정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건축구조물 조립 공정도의 또다른 제1실시예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건축구조물 조립 공정도의 또다른 제2실시예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보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기둥의 단면도이다.
도 4a~e는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의 시공순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과 보-기둥 유닛(100)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이 보-기둥 유닛(100)의 단변보에 고정볼트로 결합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이 보-기둥 유닛(100)의 단변보에 연결매입플레이트로 결합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e는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이 보-기둥 유닛(100)의 단변보에 연결매입앵글로 결합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f는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이 보-기둥 유닛(100)의 단변보에 거치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g는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이 보-기둥 유닛(100)의 단변보에 타이스트립으로 결합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의 장변보와 보-기둥 유닛(100)이 결합되는 순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의 장변보와 보-기둥 유닛(100)이 결합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의 장변보와 보-기둥 유닛(100)이 전단연결볼트로 결합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의 장변보와 보-기둥 유닛(100)이 연결타이볼트로 결합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6e는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의 장변보와 보-기둥 유닛(100)이 연결매입볼트로 결합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6f는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의 장변보와 보-기둥이 연결덧판으로 결합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7a~e는 본 발명의 도6의 결합방식을 활용한 바닥판 유닛과 보-기둥 유닛(100)이 결합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8a~e는 본 발명의 도6의 결합방식을 활용한 또다른 실시예로써, 바닥판 유닛, 보, 기둥이 결합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과 기둥이 바닥판 유닛의 연결돌출기둥에 의해 결합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과 기둥이 바닥판 유닛의 연결관통부에 의해 결합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과 기둥이 바닥판 유닛의 연결돌출삽입부에 의해 결합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2a~d는 본 발명의 운송시 패킹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의 양중 사시도이다.
도 14는 종래 기둥 연결구를 활용한 결합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모듈러 유닛의 시공성 개선 기둥접합부 및 모듈러 구조물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시스템을 구성하는 패널화 유닛, 패널화 유닛을 이용한 구조물, 그리고 이를 운송, 양중, 조립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구조물 조립 공정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널화 프리패브 건축시스템은 일종의 넉다운 방식으로 보와 기둥이 일체로 되어 있는 보-기둥 유닛(100)을 먼저 시공한 후, 바닥판 유닛(200)을 보-기둥 유닛(100)과 조립 시공하여 하나의 단위유닛(30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바닥판 유닛(200) 유닛의 장변보는 바닥과 일체화되어 있으나 단변보는 단변보가 있는 바닥판 유닛(200")과 단변보가 없는 바닥판 유닛(200')을 서로 엇갈려서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다른 시공 방법으로, 도 2b와 같이, 하나의 모듈과 모듈 사이, 즉 단위유닛(300)과 단위유닛(300) 사이는 보만 별도로 시공한 후, 단변보가 없는 바닥판 유닛(200')을 활용하여 구조물을 조립하는 형태로 시공할 수 있다.
또다른 시공 방법으로, 도 2c와 같이 바닥판 유닛(200)이 구비된 상태에서 기둥(120)을 시공한 후 다시 그 위에 바닥판 유닛(200)을 기둥(120)과 조립하여 1개의 모듈 유닛, 즉 단위유닛(300)을 형성하는 형태로 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공 방법들은 도 1에 제시된 종래 방식과 달리 모듈이 적층되면서 보(110)가 중첩되지 않으므로 물량이 과다하게 소요되지 않으며, 프리패브 건축에 의한 현장 공기단축 및 품질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보(110)는 도 3a와 같이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보(110)는 각형강관(가), ㄷ채널(나), 립ㄷ채널(다), ㄴ앵글(라)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기둥(120)의 경우도 도 3b와 같이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를 테면 각형강관(ㄱ), ㄷ채널(ㄴ), 립ㄷ채널(ㄷ), ㄴ앵글(ㄹ)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판 유닛(200)도 도 4a~e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바닥판 유닛(200)은 장변방향으로는 장변보(110a)가 양쪽에 일체로 구비되고, 단변보는 없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 유닛(200)의 단변에는 보-기둥 유닛(100)의 보(110)와 결합하기 위하여 미리 바닥판 고정볼트(220)가 매입되어 있고, 대칭되는 반대방향의 단변에는 미리 바닥판 고정너트(230)가 매입되어 있다.
이렇게 한쪽에는 바닥판 고정볼트(220)가 구비되어 있고, 다른쪽에는 바닥판 고정너트(230)가 있는 이유는 바닥판 유닛(200)을 보-기둥 유닛(100)에 배치하여 취부할 때 서로 간섭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다른 예로, 도 4b를 참조하면, 바닥판 유닛(200)의 4면 모두에 보(110)가 있는 형태로서, 이를 테면 장변보(210a)와 단변보(210b)가 모두 구비된 경우이다.
다만, 바닥판 유닛(200)의 코너 부분은 기둥(120)과 결합하기 위한 사각형의 공간이 일부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상기 바닥판 유닛(200)과 단변보(210b)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단변보(210b)에는 T형상의 스틸스터드(24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단변보(210b)가 장변보(210a)보다 길이가 짧기 때문에 결합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이를 커버하기 위함이다.
또다른 예로, 도 4c를 참조하면, 바닥판 유닛(200)의 4개 코너에는 바닥판 유닛(200)과 바닥판 유닛(200), 바닥판 유닛(200)과 기둥(120)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돌출기둥(2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돌출기둥(250)은 바닥판 유닛(200)을 기준으로 상하로 돌출되는 형태이며, 또한 체결을 위해 연결돌출기둥(250) 상에는 다수의 볼트홀(252)이 형성된다.
또다른 예로, 도 4d를 참조하면, 바닥판 유닛(200)의 4개 코너에는 바닥판 유닛(200)과 바닥판 유닛(200), 바닥판 유닛(200)과 기둥(120)을 결합하기 위해 삽입구멍(262)을 갖는 결합부재(2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재(260)는 바닥판 유닛(200)의 상하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수평하게 유지되고, 체결을 위해 다수의 볼트홀(264)이 형성된다.
또다른 예로, 도 4e를 참조하면, 바닥판 유닛(200)의 4개 코너에는 바닥판 유닛(200)과 바닥판 유닛(200), 바닥판 유닛(200)과 기둥(120)을 결합하기 위한 조립부재(2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립부재(270)는 상,하 어느 일측으로는 돌출부(272)가 형성되고, 그 반대쪽으로는 삽입부(274)가 형성된 구조로서, 이를 테면 앞서 설명한 도 4c, 도 4d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형태라고 보면 된다.
그리고, 체결을 위해 조립부재(270)의 돌출부(272) 및 삽입부(274) 상에는 다수의 볼트홀(276)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바닥판 유닛(200)을 이용한 단위유닛(300)은 도 5a~g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a와 같이, 단변의 보-기둥 유닛(100)을 먼저 시공하고 바닥판 유닛(200)을 볼트로 체결하여 취부하는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5b와 같이, 1개층이 시공되고 같은 방법으로 2층을 시공하며, 이때 아래 단위유닛(300)과 중첩되는 단변의 보-기둥 유닛(100)의 하부보는 없는 형태이다.
또다른 예로, 도 5c와 같이, 도 4a에 예시된 바닥판 유닛(200)을 조립하여 단위유닛(300)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바닥판 유닛(200)의 단변에 미리 매입되어 있는 바닥판 고정볼트(220)와 바닥판 고정너트(230)로 보-기둥 유닛(100)의 보(110)와 체결한다.
이때, 상기 바닥판 유닛(200)의 단변에는 보-기둥 유닛(100)의 보(110)와 결합하기 위하여 미리 바닥판 고정볼트(220)가 매입되어 있고, 대칭되는 반대방향의 단변에는 미리 바닥판 고정너트(230)가 매입되어 있다.
이렇게 한쪽에는 바닥판 고정볼트(220)가 있고, 다른쪽에는 바닥판 고정너트(230)가 있는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판 유닛(200)을 보-기둥 유닛(100)에 배치하여 취부할 때 서로 간섭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또다른 예로, 도 5d와 같이, 바닥판 유닛(200)이 보-기둥 유닛(100)의 단변보(110b)에 연결매입플레이트(P)를 용접하는 형태로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매입플레이트(P)는 바닥판 유닛(200)에 매설되고, 보-기둥 유닛(100)의 단변보(110b)와 접하는 플레이트면을 일부 태그 용접하여 바닥판 유닛(200)과 보-기둥 유닛(100)을 결합한다.
이때, 연결매입플레이트(P)는 콘크리트인 바닥판 유닛(200)과의 인발을 막고 구조 일체화를 위해 플레이트발(B)을 내려 정착시킴이 바람직하다.
또다른 예로, 도 5e와 같이, 보-기둥 유닛(100)의 단변보(110b)에 연결매입앵글(A)로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매입앵글(A)은 ㄴ형상으로 바닥판 유닛(200)의 상부철근(C)과 용접접합하여 연결매입앵글(A)이 인장력에 의한 인발력에 견디도록 정착시킨다.
더 구체적으로, 바닥판 유닛(200)에 매립된 상부철근(C)의 선단을 구부려서 연결매입앵글(A)과 용접접합시 충분한 용접면을 갖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다른 예로, 도 5f는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200)이 보-기둥 유닛(100)의 단변보(110b)에 거치되고, 단변보(110b)와 바닥판 유닛(200)은 체결되하지 않는다.
이때, 보-기둥 유닛(100)의 기둥(120)은 단변보(110b)보다 더 높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바닥판 유닛(200)의 단면부가 용이하게 처리되도록 한다.
또다른 예로, 도 5g는 타이스트립(T)을 통해 조립할 수 있다.
도 5g에 따르면, 바닥판 유닛(200)의 단변부가 보-기둥 유닛(100)의 단변보(110b) 위에 거치되고, 단변보(110b)와 바닥판 유닛(200)은 바닥판 타이스트립(T)에 위치 고정되어 있는 바닥판 타이볼트(TB)를 통해 바닥판 타이너트(TN)와 체결된다.
이때, 보-기둥 유닛(100)의 단변보는(110b)는 바닥판 타이볼트(TB)가 관통되게 미리 홀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 유닛(200)의 단변부 가장자리에 있는 바닥판 타이스트립 앵글(A)은 바닥판 유닛(200)의 상부철근(C)에 용접정착되어 바닥판 유닛(200) 단부에 작용하는 휨에 대응한다.
또한, 도 6a는 본 발명 바닥판 유닛과 장변보와 보-기둥이 결합되는 순서도이다. 이때, 보-기둥 유닛(100)이 양쪽 단변부에 시공되고 바닥판 유닛(200)이 그 위에 거치되어 결합 및 조립된다.
도 6b는 5b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200)의 장변보와 보-기둥 유닛(100)이 결합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의 장변보와 보-기둥 유닛(100)이 전단연결볼트로 결합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바닥판 유닛(200)과 보-기둥 유닛(100)은 전단연결볼트(AB) 및 일부 용접으로 체결된다.
그리고, 바닥판 유닛(200)이 기둥(120)과 접하는 부분에 엔드플레이트(EP)를 용접해서 결합하고 이를 기둥(120)과 전단연결볼트(AB)로 체결하고, 장변보(210a)의 수직 부분인 웨브(Web)는 기둥(120)과 일부용접하여 바닥판 유닛(200)과 보-기둥 유닛(100)이 결합하게 한다.
도 6d는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의 장변보와 보-기둥이 연결타이볼트로 결합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6d를 참조하면, 바닥판 유닛(200)과 보-기둥 유닛(100)은 연결타이볼트(TB)로 체결된다.
이때, 바닥판 유닛(200)의 장변부 보는 기둥(120)과 접하는 부분에 연결타이너트(TN)를 미리 매입하고, 이를 기둥(120)의 연결타이볼트(TB)와 체결하여 결합하는데, 연결타이너트(TN)는 충분한 내력을 갖도록 연결고정판(CP)을 용접접합하여 연결타이너트(TN)가 외력에 의해 인발되지 않게 잡아 주고, 또한 연결너트정착발(TNB)을 보의 상하부 플랜지(F1,F2)에 용접접합하여 정착시킴으로써 연결타이너트(TNB)의 충분한 정착과 내력을 향상시킨다.
도 6e는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의 장변보와 보-기둥이 연결매입볼트로 결합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6e를 참조하면, 바닥판 유닛(200)과 보-기둥 유닛(100)은 연결매입볼트(GB)로 체결된다.
이때, 바닥판 유닛(200) 장변부의 보(110)는 기둥(120)과 접하는 부분에 연결매입볼트(GB)를 미리 매입하여 이를 보-기둥 유닛(100)의 기둥과 체결하여 구조체를 결합한다.
이때, 연결매입볼트(GB)의 충분한 내력을 위하여 보의 끝단에 연결고정판(CP)을 용접접합하고 ,이를 연결고정판(CP)과 용접접합한다.
이때, 보-기둥 유닛(100)의 연결부는 연결부 수평스티프너(ST)를 배치하여 접합부를 보강한다.
도 6f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판 유닛의 장변보와 보-기둥이 연결덧판으로 결합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6f를 참조하면, 바닥판 유닛(200)과 보-기둥 유닛(100)은 연결덧판(TP) 및 일부용접으로 체결된다.
상기 바닥판 유닛(200) 장변부의 보는 기둥과 접하는 부분에 연결덧판을 용접접합하여 추가하고 연결덧판홀에 볼트로 보-기둥 유닛(100)의 보(110)와 체결하고, 보-기둥 유닛(100)의 기둥(120)과 접하는 부분은 일부 용접접합하여 바닥판 유닛(200)과 보-기둥 유닛(100)을 결합한다.
도 7a~e는 본 발명의 도 6의 결합방식을 활용한 바닥판 유닛와 보-기둥이 결합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도 6c의 접합상세와 동일하며, 이를 바닥판 유닛(200)의 장변보(210a) 및 단변보(210b)와 보-기둥 유닛(100)의 결합에 적용한다.
이때, 바닥판 유닛(200)의 2개 보는 기둥과 접하는 부분에 엔드플레이트(EP)를 용접해서 결합하고 이를 기둥(120)과 전단연결볼트(TB)로 체결하고 보의 수직부분인 웨브는 기둥과 일부용접하여 바닥판 유닛(200)과 보-기둥 유닛(100)이 결합하게 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도 6d의 접합상세와 동일하며, 이를 바닥판 유닛(200)의 장변보 및 단변보와 보-기둥 유닛(100)의 결합에 적용한다.
이때, 바닥판 유닛(200)의 2개 보는 기둥(120)과 접하는 부분에 연결타이너트(TN)를 미리 매입하고 이를 기둥(120)의 연결타이볼트(TB)와 체결하여 결합하는데, 연결타이너트(TN)는 충분한 내력을 가지기 위하여 연결고정판(CP)을 용접접합하여 연결타이너트(TN)가 외력에 의해 인발되지 않게 잡아주고, 또한 연결너트정착발(TNB)을 보의 상하부 플랜지에 용접접합하여 정착시킴으로써 연결타이너트(TN)의 충분한 정착과 내력을 향상시킨다.
도 7c를 참조하면, 도 6d의 접합상세와 동일하며, 이를 바닥판 유닛(200)(b)의 장변보 및 단변보와 보-기둥 유닛(100)의 결합에 적용한다. 도 7c와 접합상세는 동일하나 기둥이 립ㄷ채널이다.
도 7d를 참조하면, 도 6e의 접합상세와 동일하며, 이를 바닥판 유닛(200)의 장변보 및 단변보와 보-기둥 유닛(100)의 결합에 적용한다.
바닥판 유닛(200)의 2개 보는 기둥(120)과 접하는 부분에 연결매입볼트(GB)를 미리 매입하여 이를 보-기둥 유닛(100)의 기둥(120)과 체결하여 구조체를 결합한다.
이때, 연결매입볼트(GB)의 충분한 내력을 위하여 보의 끝단에 연결고정판(EP)을 용접접합하고 이를 연결고정판(EP)과 용접접합한다.
또한, 보-기둥 유닛(100)의 연결부는 연결부 수평스티프너(ST)를 배치하여 접합부를 보강한다.
도 7e를 참조하면, 도 6f의 접합상세와 동일하며, 이를 바닥판 유닛(200)(b)의 장변보 및 단변보와 보-기둥 유닛(100)의 결합에 적용한다.
바닥판 유닛(200)의 2개 보는 기둥(120)과 접하는 부분에 연결덧판(TP)을 용접접합하여 추가하고 연결덧판홀에 볼트로 보-기둥 유닛(100)의 보와 체결하고, 보-기둥 유닛(100)의 기둥과 접하는 부분은 일부 용접접합하여 바닥판 유닛(200)과 보-기둥 유닛(100)을 결합한다.
도 8a~e는 본 발명의 도 6a~e에 도시된 결합방식을 활용한 또다른 실시예로써, 바닥판 유닛, 보, 기둥이 결합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도 6c 및 도 7a와 접합상세가 동일하며, 바닥판 유닛(200)의 2개 보는 기둥(120)과 접하는 부분에 엔드플레이트(EP)를 용접해서 결합하고 이를 기둥(120)과 전단연결볼트(AB)로 체결하고 보의 수직부분인 웨브는 기둥과 일부용접하여 바닥판 유닛(200)과 보-기둥 유닛(100)이 결합하게 한다. 이때, 인접하는 기둥과 기둥은 볼트로 체결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도 6d 및 도 7b와 접합상세가 동일하며, 바닥판 유닛(200) 2개 보는 기둥과 접하는 부분에 연결타이너트(TN)를 미리 매입하고 이를 기둥(120)의 연결타이볼트(TB)와 체결하여 결합하는데, 연결타이너트(TN)는 충분한 내력을 가지기 위하여 연결고정판(CP)을 용접접합하여 연결타이너트(TN)가 외력에 의해 인발되지 않게 잡아주고, 또한 연결너트정착발을 보의 상하부 플랜지에 용접접합하여 정착시킴으로써 연결타이너트(TN)의 충분한 정착과 내력을 향상시킨다. 이때 인접하는 기둥과 기둥은 연결타이볼트로 2개를 같이 관통하여 체결한다.
도 8c를 참조하면, 도 6d 및 도 7c와 접합상세가 동일하며, 다만 기둥(120)이 립ㄷ채널일 뿐이다.
도 8d를 참조하면, 도 6c및 도 7d와 접합상세가 동일하며, 바닥판 유닛(200) 2개 보는 기둥(120)과 접하는 부분에 연결매입볼트(GB)를 미리 매입하여 이를 보-기둥 유닛(100)의 기둥(120)과 체결하여 구조체를 결합한다.
이때, 연결매입볼트(GB)의 충분한 내력을 위하여 보의 끝단에 연결고정판(EP)을 용접접합하고 이를 연결고정판과 용접접합한다. 이때 보-기둥 유닛(100)의 연결부는 연결부 수평스티프너를 배치하여 접합부를 보강한다. 이때 인접하는 기둥과 기둥은 볼트로 체결한다.
도 8e를 참조하면, 도 6f 및 도 7e와 접합상세가 동일하며, 바닥판 유닛(200) 2개 보는 기둥과 접하는 부분에 연결덧판(TP)을 용접접합하여 추가하고 연결덧판홀에 볼트로 보-기둥 유닛(100)의 보와 체결하고, 보-기둥 유닛(100)의 기둥과 접하는 부분은 일부 용접접합하여 바닥판 유닛(200)과 보-기둥 유닛(100)을 결합한다. 이때 인접하는 기둥과 기둥은 일부부분을 용접하여 결합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200)과, 기둥(120)이 바닥판 유닛(200)의 연결돌출기둥(250)에 의해 결합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바닥판 유닛(200) 유닛은 바닥판 유닛(200)의 코너에 접합을 위해 연결돌출기둥(250)이 배치되어 있고, 인접한 바닥판 유닛(200) 및 기둥과 체결하기 위하여 연결돌출기둥(250)에는 볼트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둥(120)의 상하부는 예시된 접합상세와 같이 형성되어 있고, 수평연결타이볼트(HTB)가 기둥(120)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수평연결타이홀(HTH)과 바닥판 유닛(200)에 형성된 볼트홀을 관통해서 한번에 체결한다. 기둥의 끝부분에는 엔드플레이트 및 스티프너가 형성되어 접합부를 보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200)와 기둥(120)이 바닥판 유닛(200)의 연결관통부에 의해 결합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바닥판 유닛(200)은 바닥판 유닛(200)의 코너에 접합을 위해 삽입구멍(262)을 갖는 결합부재(260)가 배치되어 있고, 인접한 바닥판 유닛(200) 및 기둥과 체결하기 위하여 연결돌출기둥에는 볼트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기둥(120)은 한쪽 끝부분은 2개의 연결관통기둥1이 있고, 반대쪽 결합이 되는 부분은 도 9와 같은 상세를 가지는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판 유닛(200)의 삽입구멍(262)과 기둥(120)의 연결관통기둥(122)에는 볼트홀이 있어, 바닥판 유닛(200)과 기둥(120)은 서로 볼트체결하여 결합한다.
연결관통기둥(122) 부분이 바닥판 유닛(200)의 삽입구멍(262)를 통과하고 관통 고정플레이트가 이를 고정하고 스티프너가 이를 지지한다.
2개의 바닥판 유닛(200)의 연결관통부를 통과하여 돌출된 기둥의 연결관통부재(122)부는 도 9와 같은 접합상세로 바닥판 유닛(200)과 기둥이 수평타이볼트로 체결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d)와 기둥이 바닥판 유닛의 연결돌출삽입부에 의해 결합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바닥판 유닛(200)은 코너에 접합을 위해 돌출부(272)와 삽입부(274)를 갖는 조립부재(270)가 구비된다.
또한, 바닥판 유닛(200)의 상부는 돌출부(272)를 통해 기둥(120)과 인접한 2개의 바닥판 유닛(200)을 수평연결타이볼트(HTB)로 체결하고, 바닥판 유닛(200)의 하부는 삽입부(274)를 통해 연결관통기둥(122) 부분에서 삽입된 기둥 상부와 수평연결타이볼트(HTB)로 체결한다.
도 12a~d는 본 발명의 운송시 패킹 사시도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패널화 건축은 각 유닛을 적층해서 패킹하여 운송할 수 있다. 바닥판 유닛(200)은 돌출부 또는 삽입부가 있어 이 부분이 상하부 바닥판 유닛(200)이 적층할 때 위아래 바닥판 유닛(200)이 서로 결합 고정이 되며, 기둥은 기둥만 모아서 기둥패킹판(PP)으로 고정하여 적층하고, 벽체는 각 유닛별로 분리하여 바닥판 유닛(200) 위에 적층한다.
이렇게 바닥판 유닛(200), 기둥, 벽체가 모두 패킹하여 적층하여 컨테이너나 다른 운송용 박스에 넣거나, 또는 그대로 벌크선에 적재하여 운송한다.
도 12b를 참조하면, 바닥판 유닛(200)은 돌출부와 삽입부를 사용하여 바닥판 유닛(200)을 위아래 서로 결합하여 적층하고 바닥판 유닛(200)패킹판을 사용하여 옆면을 고정한 후 패킹고정볼트(PB)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기둥(120)은 기둥패킹판(PP)의 기둥패킹고정재(PPF)로 각 기둥을 고정한 후에 패킹고정볼트(PB)로 체결하여 하나의 패킹층을 만들고, 이를 반복하여 패킹층을 적층한다. 벽체는 각 유닛별로 분해하여 바닥판 유닛(200)과 기둥 패킹위에 적재한다.
도 12c를 참조하면, 벽체는 벽체연결재(WC)에 의해 결합하고 분리된다. 벽체연결재는 2개의 크고 작은 요철부를 가지고 있으며 이 부분이 벽체의 하단부와 결합된다. 벽체 연결재는 보와 볼트로 결합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닥판 유닛(200) 양중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바닥판 유닛(200)은 양중고리볼트(RB)를 바닥판 유닛(200)에 미리 매입하고, 바닥판 유닛(200)의 4개의 양중고리에 걸어서 바닥판 유닛(200)을 양중한다. 바닥판 유닛(200)에 매입 고정되는 양중고리너트(RN)는 바닥판 유닛(200)에 정착하고 충분한 내력을 위해 너트정착부(NP)가 너트의 헤드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도 14는 종래 기둥 연결구를 활용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기둥연결구와, 기둥연결구를 이용하여 모듈을 서로 결합하는 분해도이다.
이와 같이, 패널화 건축은 모듈러 박스 유닛 방식과는 구조물 구성 방식과 결합방식이 다르며, 현장에서는 때로 건축구조시스템의 효율성을 위해 혼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패널화 건축기술과 도 14의 기둥연결구를 사용하면 넉다운 방식, 패방화 방식, 박스 유닛방식과 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방식은 구조효율성을 높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100 : 보-기둥 유닛 110 : 보
120 : 기둥 200 : 바닥판 유닛
220 : 바닥판 고정볼트 230 : 바닥판 고정너트
240 : 스틸스터드 250 : 연결돌출기둥
260 : 결합부재 270 : 조립부재

Claims (40)

  1. 기둥과 보가 연결된 보-기둥 유닛, 상기 보-기둥 유닛과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으로 구성된 단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조립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될 때 기둥 또는 보가 중첩되지 않도록 패널화되어 단위유닛들 사이에 배치된 기둥 또는 보가 공유되며,
    상기 바닥판 유닛은 장변 양측에 장변보가 일체로 구비되고; 단변 일측에는 바닥판 고정볼트가 매립고정되며, 타측에는 바닥판 고정너트가 매립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는 단면형상이 각형강관, ㄷ채널, 립ㄷ채널, ㄴ앵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단면형상이 각형강관, ㄷ채널, 립ㄷ채널, ㄴ앵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4. 삭제
  5. 기둥과 보가 연결된 보-기둥 유닛, 상기 보-기둥 유닛과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으로 구성된 단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조립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될 때 기둥 또는 보가 중첩되지 않도록 패널화되어 단위유닛들 사이에 배치된 기둥 또는 보가 공유되며,
    상기 바닥판 유닛은 장변 양측에 장변보가 일체로 구비되고; 단변 양측에는 각각 다수의 스틸스터드가 매립고정되며, 상기 스틸스터드에는 단변보가 각각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되, 상기 단변보와 상기 장변보는 각 모서리에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모서리에는 상하로 돌출되고, 체결용 볼트홀이 다수 형성된 연결돌출기둥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모서리에는 바닥판 유닛의 상하면과 수평하게 유지되고, 내부에는 삽입구멍이 형성되며, 다수의 체결용 볼트홀을 갖는 결합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모서리에는 바닥판 유닛의 상부로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면과 수평을 유지하는 삽입부가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와 삽입부에는 각각 다수의 볼트홀이 형성된 조립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9. 기둥과 보가 연결된 보-기둥 유닛, 상기 보-기둥 유닛과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으로 구성된 단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조립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될 때 기둥 또는 보가 중첩되지 않도록 패널화되어 단위유닛들 사이에 배치된 기둥 또는 보가 공유되며,
    상기 바닥판 유닛은 장변 양측에 장변보가 일체로 구비되고; 단변 양측에는 연결매입플레이트가 매입설치되며, 보-기둥 유닛의 보와 접하는 상기 연결매입플레이트의 일부는 태그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매입플레이트의 저면은 상기 바닥판 유닛의 콘크리트에 매립된 다수개의 플레이트발에 의해 정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11. 기둥과 보가 연결된 보-기둥 유닛, 상기 보-기둥 유닛과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으로 구성된 단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조립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될 때 기둥 또는 보가 중첩되지 않도록 패널화되어 단위유닛들 사이에 배치된 기둥 또는 보가 공유되며,
    상기 바닥판 유닛은 장변 양측에 장변보가 일체로 구비되고; 단변 양측에는 연결매입앵글 매입설치되며, 상기 보-기둥 유닛의 보와 접하는 상기 연결매입앵글의 일부는 용접 또는 볼팅 방식으로 상호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매입앵글은 상기 바닥판 유닛의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부철근의 단부와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철근의 단부는 충분한 용접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ㄱ'형상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14. 기둥과 보가 연결된 보-기둥 유닛, 상기 보-기둥 유닛과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으로 구성된 단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조립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될 때 기둥 또는 보가 중첩되지 않도록 패널화되어 단위유닛들 사이에 배치된 기둥 또는 보가 공유되며,
    상기 바닥판 유닛은 장변 양측에 장변보가 일체로 구비되고; 단변 양측은 보-기둥 유닛의 보와 체결되지 않고 보 상에 단순 거치된 후 나머지 부위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 상에 거치된 상기 바닥판 유닛의 단변 양측에는 바닥판 타이스트립 앵글이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 타이스트립 앵글과 바닥판 유닛의 단면부 및 보-기둥 유닛의 보를 상하로 관통하는 바닥판 타이볼트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 타이볼트에는 바닥판 타이너트가 체결되어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타이스트립 앵글은 바닥판 유닛의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부철근과 용접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17. 기둥과 보가 연결된 보-기둥 유닛, 상기 보-기둥 유닛과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으로 구성된 단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조립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될 때 기둥 또는 보가 중첩되지 않도록 패널화되어 단위유닛들 사이에 배치된 기둥 또는 보가 공유되며,
    상기 바닥판 유닛의 장변에 구비된 장변보는 기둥과 접하는 부위에 엔드플레이트가 용접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는 전단연결볼트로 보-기둥 유닛의 보에 볼트 체결되며, 장변보의 웨브(Web)는 기둥과 일부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18. 기둥과 보가 연결된 보-기둥 유닛, 상기 보-기둥 유닛과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으로 구성된 단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조립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될 때 기둥 또는 보가 중첩되지 않도록 패널화되어 단위유닛들 사이에 배치된 기둥 또는 보가 공유되며,
    상기 바닥판 유닛의 장변과 단변에 각각 구비된 보와 기둥이 접하는 부위에 엔드플레이트가 용접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는 전단연결볼트로 보-기둥 유닛의 보에 볼트 체결되며, 보의 웨브(Web)는 기둥과 일부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19. 기둥과 보가 연결된 보-기둥 유닛, 상기 보-기둥 유닛과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으로 구성된 단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조립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될 때 기둥 또는 보가 중첩되지 않도록 패널화되어 단위유닛들 사이에 배치된 기둥 또는 보가 공유되며,
    상기 바닥판 유닛의 장변에 구비된 장변보는 기둥과 접하는 부분에 연결타이너트가 매립고정되고, 상기 연결타이너트에는 보-기둥 유닛의 기둥을 관통한 연결타이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연결타이너트는 내력을 갖도록 상기 장변보 상에 용접된 연결고정판에 접합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20. 기둥과 보가 연결된 보-기둥 유닛, 상기 보-기둥 유닛과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으로 구성된 단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조립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될 때 기둥 또는 보가 중첩되지 않도록 패널화되어 단위유닛들 사이에 배치된 기둥 또는 보가 공유되며,
    상기 바닥판 유닛의 장변과 단변에 각각 구비된 보와 기둥이 접하는 부분에 연결타이너트가 매립고정되고, 상기 연결타이너트에는 보-기둥 유닛의 기둥을 관통한 연결타이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연결타이너트는 내력을 갖도록 상기 장변보 상에 용접된 연결고정판에 접합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타이너트는 상기 장변보의 상,하 플랜지에 용접된 연결너트정착발에 더 접합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22. 기둥과 보가 연결된 보-기둥 유닛, 상기 보-기둥 유닛과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으로 구성된 단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조립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될 때 기둥 또는 보가 중첩되지 않도록 패널화되어 단위유닛들 사이에 배치된 기둥 또는 보가 공유되며,
    상기 바닥판 유닛의 장변에 구비되는 장변보는 기둥과 접하는 부분에 연결매입볼트가 매입설치되고, 상기 연결매입볼트는 장변보의 단부에 용접된 연결고정판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연결매입볼트는 보-기둥 유닛의 기둥 내부에서 너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매입볼트가 체결된 보-기둥 유닛의 기둥 내부에는 수평스티프너가 더 구비되어 강도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24. 기둥과 보가 연결된 보-기둥 유닛, 상기 보-기둥 유닛과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으로 구성된 단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조립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될 때 기둥 또는 보가 중첩되지 않도록 패널화되어 단위유닛들 사이에 배치된 기둥 또는 보가 공유되며,
    상기 바닥판 유닛의 장변과 단변에 각각 구비되는 보와 기둥이 접하는 부분에 연결매입볼트가 매입설치되고, 상기 연결매입볼트는 장변보의 단부에 용접된 연결고정판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연결매입볼트는 보-기둥 유닛의 기둥 내부에서 너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25. 기둥과 보가 연결된 보-기둥 유닛, 상기 보-기둥 유닛과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으로 구성된 단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조립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될 때 기둥 또는 보가 중첩되지 않도록 패널화되어 단위유닛들 사이에 배치된 기둥 또는 보가 공유되며,
    상기 바닥판 유닛의 장변에 구비되는 장변보는 보-기둥 유닛의 장변보와 연결접속하는 연결덧판을 통해 볼트고정되되, 상기 바닥판 유닛의 장변보 상면과 상기 보-기둥 유닛의 장변보 상면에서 체결되고, 기둥과 접하는 일부는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26. 기둥과 보가 연결된 보-기둥 유닛, 상기 보-기둥 유닛과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으로 구성된 단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조립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될 때 기둥 또는 보가 중첩되지 않도록 패널화되어 단위유닛들 사이에 배치된 기둥 또는 보가 공유되며,
    상기 바닥판 유닛의 장변과 단변에 각각 구비되는 보는 보-기둥 유닛의 장변보와 연결접속하는 연결덧판을 통해 볼트고정되되, 상기 바닥판 유닛의 장변보 상면과 상기 보-기둥 유닛의 장변보 상면에서 체결되고, 기둥과 접하는 일부는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27. 기둥과 보가 연결된 보-기둥 유닛, 상기 보-기둥 유닛과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으로 구성된 단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조립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될 때 기둥 또는 보가 중첩되지 않도록 패널화되어 단위유닛들 사이에 배치된 기둥 또는 보가 공유되며,
    상기 바닥판 유닛의 장변과 단변에 구비된 보와, 각각 구비된 2개의 기둥이 접하는 부위에 엔드플레이트가 용접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는 전단연결볼트로 보-기둥 유닛의 보에 볼트 체결되며, 보의 웨브(Web)는 기둥과 일부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28. 기둥과 보가 연결된 보-기둥 유닛, 상기 보-기둥 유닛과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으로 구성된 단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조립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될 때 기둥 또는 보가 중첩되지 않도록 패널화되어 단위유닛들 사이에 배치된 기둥 또는 보가 공유되며,
    상기 바닥판 유닛의 장변과 단변에 구비된 보와, 각각 구비된 2개의 기둥이 접하는 부분에 연결타이너트가 매립고정되고, 상기 연결타이너트에는 보-기둥 유닛의 기둥을 관통한 연결타이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연결타이너트는 내력을 갖도록 상기 장변보 상에 용접된 연결고정판에 접합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29. 기둥과 보가 연결된 보-기둥 유닛, 상기 보-기둥 유닛과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으로 구성된 단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조립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될 때 기둥 또는 보가 중첩되지 않도록 패널화되어 단위유닛들 사이에 배치된 기둥 또는 보가 공유되며,
    상기 바닥판 유닛의 장변과 단변에 구비된 보와, 각각 구비된 2개의 기둥이 접하는 부분에 연결매입볼트가 매입설치되고, 상기 연결매입볼트는 장변보의 단부에 용접된 연결고정판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연결매입볼트는 보-기둥 유닛의 기둥 내부에서 너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30. 기둥과 보가 연결된 보-기둥 유닛, 상기 보-기둥 유닛과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으로 구성된 단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조립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될 때 기둥 또는 보가 중첩되지 않도록 패널화되어 단위유닛들 사이에 배치된 기둥 또는 보가 공유되며,
    상기 바닥판 유닛의 장변과 단변에 구비된 보와, 각각 구비된 2개의 기둥과 접하는 부위에 연결덧판을 통해 볼트고정되되, 상기 바닥판 유닛의 장변보 상면과 상기 보-기둥 유닛의 장변보 상면에서 체결되고, 기둥과 접하는 일부는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3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돌출기둥은 인접하여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가 하나의 보-기둥 유닛의 기둥 상에 삽입된 후 볼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3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인접하여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가 두 개의 연결관통기둥에 각각 삽입되되, 상기 두 개의 연결관통기둥은 보-기둥 유닛을 구성하는 하나의 기둥 상에 분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3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는 인접하여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가 하나의 기둥과 조립체결되되, 상기 기둥의 하부에는 2개의 돌출부가 동시 삽입되고, 상기 기둥의 상부에는 두 개의 연결관통기둥이 분할형성된 상태에서 2개의 삽입부에 각각 삽입된 후 볼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34. 기둥과 보가 연결된 보-기둥 유닛, 상기 보-기둥 유닛과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으로 구성된 단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조립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될 때 기둥 또는 보가 중첩되지 않도록 패널화되어 단위유닛들 사이에 배치된 기둥 또는 보가 공유되며,
    상기 바닥판 유닛은 시공전 운송을 위해 적층된 상태에서 패킹판을 대고 패킹볼트로 장변보 및 단변보에 체결하여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35. 기둥과 보가 연결된 보-기둥 유닛, 상기 보-기둥 유닛과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으로 구성된 단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조립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될 때 기둥 또는 보가 중첩되지 않도록 패널화되어 단위유닛들 사이에 배치된 기둥 또는 보가 공유되며,
    상기 보-기둥 유닛은 시공전 운송을 위해 각각 패널화 된 보와 기둥으로 분리되고, 각각 세워진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된 후 패킹판을 대고 패킹고정볼트를 기둥과 보에 각각 볼트 체결하여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36. 기둥과 보가 연결된 보-기둥 유닛, 상기 보-기둥 유닛과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으로 구성된 단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조립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될 때 기둥 또는 보가 중첩되지 않도록 패널화되어 단위유닛들 사이에 배치된 기둥 또는 보가 공유되며,
    상기 바닥판 유닛의 장변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양중고리볼트가 착탈 가능하게 볼트고정되어 시공시 양중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양중고리볼트가 체결되는 바닥판 유닛의 장변보 상에는 양중고리너트가 매입설치된 후 너트정착부를 통해 강도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38.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보-기둥 유닛, 보-기둥 유닛에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을 포함하고, 이들을 적층하여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기둥 유닛을 먼저 시공한 다음, 상기 바닥판 유닛을 상기 보-기둥 유닛에 조립하여 단위유닛을 구성하되,
    상기 단위유닛들이 배열될 때 장변보는 있고 단변보가 없는 바닥판 유닛과, 장변보와 단변보가 모두 있는 바닥판 유닛을 서로 엇갈려 배치하는 형태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39.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보-기둥 유닛, 보-기둥 유닛에 조립되는 바닥판 유닛을 포함하고, 이들을 적층하여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유닛을 상기 보-기둥 유닛에 조립하여 단위유닛을 구성하되,
    상기 단위유닛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단위유닛들 사이의 간격에는 보만 별도 시공된 후 상기 보에 단변보가 없는 바닥판 유닛을 조립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40. 삭제
KR1020120024071A 2012-03-08 2012-03-08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389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071A KR101389386B1 (ko) 2012-03-08 2012-03-08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071A KR101389386B1 (ko) 2012-03-08 2012-03-08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890A KR20130102890A (ko) 2013-09-23
KR101389386B1 true KR101389386B1 (ko) 2014-04-25

Family

ID=4945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071A KR101389386B1 (ko) 2012-03-08 2012-03-08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3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209A (ko) 2017-02-21 2018-08-29 (주)제이하우스 아틀리에 클러스터 건물구조
KR102310267B1 (ko) * 2021-03-31 2021-10-08 우광티엔씨(주) 유닛블록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666B1 (ko) * 2016-11-28 2019-04-29 주식회사 광스틸 모듈러 어셈블리 하우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656A (ja) * 1992-05-25 1994-02-15 Misawa Homes Co Ltd 建物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00352116A (ja) * 1999-06-14 2000-12-19 Sekisui Chem Co Ltd 建物ユニットの構築方法及びユニット建物
KR101050167B1 (ko) 2010-12-28 2011-07-1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사전제작형 슬래브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녹-다운형 모듈러 건축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656A (ja) * 1992-05-25 1994-02-15 Misawa Homes Co Ltd 建物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00352116A (ja) * 1999-06-14 2000-12-19 Sekisui Chem Co Ltd 建物ユニットの構築方法及びユニット建物
KR101050167B1 (ko) 2010-12-28 2011-07-1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사전제작형 슬래브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녹-다운형 모듈러 건축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209A (ko) 2017-02-21 2018-08-29 (주)제이하우스 아틀리에 클러스터 건물구조
KR102310267B1 (ko) * 2021-03-31 2021-10-08 우광티엔씨(주) 유닛블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890A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153279A1 (en) Horizontal unit equipped with connecting device and modular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278983B1 (ko)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모듈러 구조물
KR20060086349A (ko) 스틸 하우스의 구조 형식 및 구축 방법
JP2010180601A (ja) 付帯構造物及びユニット建物
KR20130044574A (ko) 조립식 건축의 단위유닛 및 이에 의한 조립식 건축물
KR20190063645A (ko) 폐단면 합성 기둥과 철골보 연결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389386B1 (ko)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101307620B (zh) 建筑模块单元以及使用该模块单元的建筑物结构
JP4503982B2 (ja) 補強梁およびその補強梁を備えたユニット式建物
JP5275545B2 (ja) 耐震壁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222549B1 (ko) 기둥 벽체 일체식 패널화 벽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
KR20160085107A (ko) 기둥 브래킷
KR101294909B1 (ko)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
JP5629147B2 (ja) ユニット式建物
JP2013057219A (ja) 鋼材の連結構造、付帯構造物及びユニット建物
KR100963586B1 (ko) 유닛 모듈라 시스템의 연결구, 모듈라 유닛 및 그 모듈라유닛의 제작방법
KR100963580B1 (ko) 유닛 모듈라 시스템의 연결구, 모듈라 유닛 및 그 모듈라유닛의 제작방법
KR100963587B1 (ko) 유닛 모듈라 시스템의 연결구, 모듈라 유닛 및 그 모듈라유닛의 제작방법
KR100963583B1 (ko) 유닛 모듈라 시스템의 연결구, 모듈라 유닛 및 그 모듈라유닛의 제작방법
JP5053137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101170085B1 (ko) 골판 덧붙임식 조립벽체 및 이를 적용한 조립식 물탱크
KR200407077Y1 (ko) 들보들 간의 접합구조
KR101437083B1 (ko) 조립이 용이한 강구조 건축물 시공방법
JP3887217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100963585B1 (ko) 유닛 모듈라 시스템의 연결구, 모듈라 유닛 및 그 모듈라유닛의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