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209A - 아틀리에 클러스터 건물구조 - Google Patents

아틀리에 클러스터 건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209A
KR20180096209A KR1020170022618A KR20170022618A KR20180096209A KR 20180096209 A KR20180096209 A KR 20180096209A KR 1020170022618 A KR1020170022618 A KR 1020170022618A KR 20170022618 A KR20170022618 A KR 20170022618A KR 20180096209 A KR20180096209 A KR 20180096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floor
atelier
clust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4683B1 (ko
Inventor
주윤식
Original Assignee
(주)제이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하우스 filed Critical (주)제이하우스
Priority to KR1020170022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683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6Office buildings; B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05Modulation co-ord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화예술분야의 창작자들의 성장단계별 아틀리에 플랫폼을 구축하여 이들의 조합으로 베-이를 조성하고 각 베-이를 연결하는 플로어 로비에 휴게실과 푸론트 데스크를 구비하여 각 플랫폼에서 제외된 기능과 업무를 공동으로 서빙 할 수 있게 하는 플로어 플랫폼을 구축한 다음 이를 복수 층으로 수직중첩 하여 클러스터를 조성함으로써 작업효율을 제고하고 사용자들의 콜라보래이선을 통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집단지성의 문화시설로 클러스터에 입주한 동호인들 간에 커뮤니티의 형성과 역할분담을 통한 시너지와 관리비 인건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는 건축물의 공간구조의 제안이다.

Description

아틀리에 플랫폼을 조합한 베-이와 푸론트 데스크가 구비된 로비로 구성된 아틀리에 클러스터 건물구조{The Structure of Atelier Cluster that have Floor Platform constitute Front Desk in the Floor Lobby and the Bay is combined each other grade Atelier Platform}
본 발명은 문화예술분야와 공예가들의 작업실로 이용되는 아틀리에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건축물의 건물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활동분야의 사회적 지위와 기량의 성숙도에 따라서 비교선택이 용이하도록 필요공간의 규모와 구비해야 할 설비나 집기를 구분하여 선정하고 계층별 아틀리에 플랫폼의 규모를 설정하는 것과 계층별 플랫폼에 제외된 지원기능을 수용하는 공간으로써 공동로비로 연결하는 결합구조와 평면배치 및 연구개발이나 창작활동을 지원할 서버 콤파운드를 기저부에 구축하는 것을 포함하는 아틀리에 클러스터 건물구조에 관한 것이다.
집단적인 작업 활동공간의 조성기술로는 문화마을, 문화촌, 예술인마을, 출판단지 등 평면적인 작업 활동공간을 배치하거나 조성하는 기술과 오피스텔, 아파트스타일의 원룸, 스테이, 고시촌처럼 비슷한 이용목적을 가진 단위공간을 수직적으로 복층화 하여 관리와 이용효율을 도모하는 그물구조를 조성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동아백과사전에 보면 아틀리에는 화가에게는 화실, 공예가에게는 공방, 사진가에게는 스튜디오 등으로 불리며 각자의 하는 일의 성질에 따라서 특수한 구조와 설비를 갖추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
종래에는 회화나 조각의 아틀리에는 실내광선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천정을 높게 하고 북쪽 창으로만 빛이 들어오도록 한 반면에 오늘날 표현양식이 다종다양한 현대미술분야에서는 빛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아틀리에가 설계되고 있다. 따라서 작가들의 아틀리에는 작품의 제작환경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제작의 비밀을 알 수 있는 열쇠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아틀리에의 명칭은 한 예술가의 사적 작업장에 한정되지 않고, 빛나는 업적으로 전설이 된 스승을 중심으로 수많은 제자들에 의하여 족직이 형성되는 공방, 또는 일반작가나 예술애호가에게 자유로이 개방하여 커뮤니티의 장으로 활용되는 화실을 지칭하는 말이기도 하다.
전자로는 5~16C 이탈리아나 북유럽에서 볼 수 있었던 조각가나 공예작가의 공방이 예가 될 수 있으며 오늘날 개인의 이름으로 남아있는 많은 작품들 중에는 이러한 공방의 협동제작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라 하겠다. 반면에 후자의 사례로는 1825년 개설되어 들라크루아, 쿠르베, 마네, 세잔 등이 이용한 파리의 아뜰리에와 1860년에 문을 열어 마티스, 드랭, 레제 등이 모였던 아틀리에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미술대사전의 용어 편에는 예술가, 기술자, 장인의 화실 공방 일터 작업장으로써 이용자의 작업종류에 따라서 광선과 설비 규모 등의 크기와 구조에 다양한 변화를 준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이러한 아틀리에는 보통은 개인의 작업장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역사적으로 가치를 보전하고 있는 것은 명인 명장의 지도하에 견습하는 제자와 조수 등이 공동작업장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므로 아틀리에라는 말에는 어느 예술가의 감화를 받은 제자 또는 협력자의 집단이라는 의미가 있고 이 집단 특히 (그 중 한 사람 혹은 몇 사람) 에 의한 작품을 ‘아틀리에 작(作)’또는 ‘대공방 작(作)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작업장의 정정규모를 설정하는 기술로 적정화모형(optimization model)을 들 수 있다. 이것은 도시공간의 설정모델로서 널리 적용되는 기법으로 고유의 투입요소(즉 의사결정에 필요한 지식과 정보 및 자원)와 산출(즉 확정된 공간의 관리비용과 이용효율)을 검토해서 투입과 산출 간의 특수한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바람직한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다.
적정화모형은 첫째, 전체적이고 동적인 결정과정을 적정화하는 방법을 통해 지적합리성뿐만 아니라 직관이나 판단의 초리성(超理性)까지도 활용하며 둘째, 투입-산출 간의 경제적 합리성도 확보하며 셋째, 대안실천의 대 내외적 합리성과 안정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넷째, 설정된 목표의 변경 내지는 재설계나 재정비 시에 피드백기능의 촉진까지도 고려해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규모가 설정되는 건축공간은 이용자의 활용목적에 따라 수요공간의 기능도 달라지게 마련인데, 도시공간의 이용기능은 주거공간, 노동공간, 보조공간, 위락공간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그러나 범위를 좁혀서 실내의 생활공간에 대하여 구조와 규모에 대한 설정기술은 일종의 치수특정단위로서 르코르뷔지에(Le corbusier)가 인체를 황금비로 분석해서 공간크기를 계량하는 기본으로 1:1.6818을 황금비로 설정하여 손을 올린 사람의 치수인 183㎝를 모듈러(modulor)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모듈을 기본척도로 하여 그리드 플래닝(grid planning)으로 적용하게 되면 사전에 변경을 예측할 수도 있게 되고, 차후에 변경이 이루어지더라도 무리 없이 새로운 재정비가 이행되는 공간적 기반체계를 확보할 수가 있는 것이다.
모듈은 전체 실내공간에서 필요한 실의 크기와 집기의 유형, 크기, 배치 등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된다, 따라서 모듈은 실내 공간의 주요기둥의 간격과 구조벽체로 형성되는 실의 폭과 깊이를 좌우하는 구조스팬과 일치해야 하고, 실의 치수는 모듈의 배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리드 플래닝을 건축공간과 부재계획에 적용하여 균일한 구조와 설비계획을 전개하면 건축물의 설계와 시공에 이르는 전반적인 건축물의 생산과정에 치수상의 유기적 연계성이 확보되므로 모듈러 코디네이션(modulor coordination :MC)을 통하여 기술적 경제성을 높이고 공기단축 등 시공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쉽게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플랫폼은 원래 기차역의 승강장이나 무대를 가리키는 말이었지만 오늘날은 산업분야의 기초가 되는 틀 규격 표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자동차 제조기술에는 주요장비들이 장착된 제조공정별 기본 틀을 말하며, 컴퓨터기술에서는 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운영체제(OS)를 가리키는 말이다. 그리고 정보기술(IT)분야에서는 서비스 콘텐츠 기기를 포괄하는 생태계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하여 그 구체적인 용도는 매우 다양하다고 하겠다.
그러나 본 바로는 사용자의 이용목적과 활동의 범역과 개인적 기량을 고려여 위계질서를 기하기 위하여 입문자와 공인능력자 및 무형문화재 명인 명장의 반열로 구분하여 계층별 공간규모와 필수적인 집기를 구비한 작업장의 기본 틀을 설정하는 것이 중심과제라 하겠다.
산업집적지를 대표하는 클러스터는 유사업종들과 보완적 기능을 수행하는 기업이나 기관들이 한 곳에 모여서 비전제시자(VP: vision provider)와 시스템통합자(SO: system organizer) 및 전문공급자(SS: specialized supplier)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며 산업활동의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비전제시는 대학과 연구소가 맡고, 시스템통합은 클러스터 운영주체나 핵심기업이 주관하며, 전문공급자는 컨설팅 벤처캐피털 마케팅과 조달을 전문으로 하는 업체들이 맡는다.
이러한 클러스터는 미국의 실리콘밸리처럼 자율적으로 형성되기도 하지만 중국처럼 기획 단계부터 정부가 나서서 조성하기도 한다. 업종별로는 자동차 IT(정보산업) CT(문화산업)이 대표적이며 특히 문화산업은 원소서 멀티-유즈(one source multi-use) 산업이기 때문에 클러스터가 효과적이다.
부천의 출판문화, 춘천의 에니매이선, 대전의 영상게임클러스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아뜰리에 작업공간은 이용자가 한번 작업에 몰두하게 되면 시간계념을 잊기 쉽고 서서히 데워지는 끓는 물속의 개구리처럼 실내공기의 질이 악화되는 줄도 인식하지 못하고 장시간 폐쇄된 공간에 틀어박혀 있다 보면 건강을 해치는 경우가 허다한 실정이다. 따라서 계절별 기후의 변화와 실내공기의 질을 모니터링 하여 실내공기를 신선한 대기로 환기해주는 친환경 환기시스템이 기반설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1 특허 제10-1389386호 2 특허 제10-1261787호 3 공개번호 제10-2016-0036671호 4 공개번호 제10-2009-0127724호 5 공개번호 제10- 2016-0092603호
1. 실내계획, 오인욱, 기문당, 2006. 2. 실내의 치수계획, 세진사, 1987. 2. 인터넷검색자료, naver, 아뜰리에, 2017. 2. 7. 3. 인터넷검색자료, naver, platform, 2017. 2. 7. 4. 인터넷검색자료, naver, cluster, 2017. 2. 8.
아뜰리에의 적정규모와 구조, 작업 활동에 효율적인 공간기능과 퍼실리티, 작업동선과 집기배치방안, 사회적 위계에 부응하는 아틀리에의 기본플랫폼 구축, 각 플랫폼의 조합으로 배-이(bay)를 형성하는 방법과 플로어 로비구조, 지원시설로서 기저부의 콤파운드(compound) 조성방법, 실내공기 질을 자동으로 모니터링 하여 친환경 환기를 하는 설비를 구비하는 것이 해결하고자하는 핵심과제이다.
따라서 본 바로는 아틀리에 이용자의 작업수행능력과 활동량에 따른 공간수요를 계측하고, 작업 시 사용할 집기와 설비의 구성과 배치방법을 제시하는 위계 별 아틀리에 플랫폼을 구비하여 작품 활동 과정에 기능적으로 역할분담과 기술적 맨토링이 가능한 공간적 조합을 형성하는 배-이를 연결하고 푸론트 데스크로 서빙 하는 플로어 로비로 결합구조를 갖는 층별 평면구성과 이를 다층으로 연속시켜 조망 엘리베이터와 비상계단으로 수직 동선을 연결하는 아틀리에 클러스터의 공간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공간으로서의 아틀리에는 다양한 형태와 규모로 조성된다. 특히 문화예술분야의 창작활동을 위한 작업공간은 이용자의 개성과 취향이 유난함으로 인테리어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플랫폼을 제시하는 것은 의미가 없고 공간기능상 필수적인 최소한의 설비와 유틸리티를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작업공간의 독립성과 개방감 조망 채광성과 환기 및 동선의 정리를 통하여 편리성을 구가함으로써 작업의 집중도와 효율을 높이도록 해야 한다. 특히 문화예술분야의 작업장으로써 아틀리에는 성장단계에 기량이 원숙해질수록 그에 따른 활동량도 증가하므로 공간수요는 확대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종래의 작업장에서 구현할 수 없었던 아틀리에의 새로운 기능을 구사할 수 있도록 제안하는 플랫폼
클러스터 공간구조는 경륜과 작업수행능력에 따른 위계를 사회적 준거 기준으로부터 구분설정하고 그 단계별 활동의 종류와 범역을 설정하여 그에 필요한 집기와 장구를 선정한 다음 사회적 준거 기준을 반영하여 바람직한 아틀리에의 위계별 면적을 설정한다. 그리고 동선과 이용활동의 빈도를 고려하면서 집기와 유틸리티를 배치한다면 계층별 플랫폼을 도식화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위계설정을 위한 사회적 준거 기준
위 계 사 회 적 준 거 기 준 비 고
레 전 더 명인 명장 무형문화재 전설적 달인 석좌교수 회장 장차관 장성 50대 이상
마 스 터 국전 당선 경력10년 국제매달리스트 박사 교수 임원 서기관 영관 40대 “
엘 리 터 국전 입선 기능올림픽메달 석사 팀장 작가 공인고시합격자 사관 30대 “
루-키 타고난 소질과 전문적인 소양을 갖춘 지망생 20대 “
표 1과 같이 사회적 준거 기준으로부터 설정된 위계는 최고의 명예인 레전드, 최상의 능력자로서 마스터, 기반을 확립한 엘리트, 자질과 소양을 갖춘 루-키로 구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다음 단계는 각 위계의 이용자가 사용할 아틀리에의 필요 충분한 규모를 산정하는 과정이다. 공간수요의 요인을 살펴보면 표 2와 같이 작업설비 스터디데스크 영상설비 휴게설비로 구분가능하다.
성장계층별 아틀리에 규모와 구비설비
성장계층 소요면적
(전용 ㎡)
필수설비와 집기 비 고
작업설비 스터디설비 영상설비 휴게설비
레 전 더 109 전수체험대
샘플선반
데스크
컴퓨터
서가
PTP스크린
홈시어터
영상통화
싱글침대
수납장
사워설비
후계양성
노하우전수
비전제시
마 스 터 82 제작작업대
작업도구함
재료선반
데스크
컴퓨터
서 가
PTP스크린
홈시어터
영상통화
접철침대
수납장
사워설비
PM
시스템통합
프로젝트 개발
엘 리 트 59 미팅테이블 데스크
컴퓨터
서 가
PTP스크린
업무보드
영상통화
접철침대
수납장
사워설비
블랙다운
일정관리
조달과 유통
루-키 부스 59 보조테이블 데스크
컴퓨터
서 가
업무보드
영상통화
2단 침대
수납장
실무수습
작업보조
마무리작업
아틀리에 클러스터 사용자들이 라이프사이클에 맞추어 기량이 성숙해 감에 따라 활동영역과 활동량이 증가하는 것은 성취감을 주는 것이라 하겠다. 그러나 정상에 올라 레전드의 칭송을 받은 자들은 나이가 들면 후진을 양성하고 가진 노하우를 고스란히 전수함으로써 후진에 의하여 더 큰 문화융성과 획기적인 작품들이 창출될 수 있도록 선순환의 틀을 이어가는 것이 가장 큰 삶의 보람이자 즐거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경지에 오른 마스터는 왕성한 체력으로 밀어붙여서 두려움 없이 도전하고 새로운 기획들을 추진하여 풍성한 작품 활동으로 새로운 전설을 만들어 가야한다. 그리고 기반이 확정된 엘리트는 일생의 전략을 세우면서 마스터의 과업이 완전한 결실을 맺도록 실행을 위한 블랙 다운과 델리버리 및 재원의 조달과 공급에 열중해야 한다. 무한한 가능성과 꿈을 먹고 자라는 루-키들은 작업이 체질화되도록 보고 배우며 수습하는 일로 청춘을 불사르며 매일 매일 일에 묻혀 살아가야 하는 것이 바로 그의 소명이라 하겠다. 이러한 클러스터 구성원의 조직의식과 사명감은 문화한류의 원동력이 되는 것은 명약관화하다고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국민주택규모는 84㎡이고 서민주택은 46㎡ 대형평수는 106㎡ 이상이다. 사업자등록의 기준사무공간은 66㎡이고 서비스업의 선호하는 점포규모는 99㎡이다. 이와 견주어 볼 때 클러스터의 시스템을 통합하고 PM으로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추진할 마스터의 전용면적을 폭 7m X 깊이 11m의 77㎡로 공유면적을 더하여 82㎡로 하는 것은 합리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레전드는 클러스터의 비젼을 제시하며 CEO로서 사회적 권위와 전수공간의 쾌적성을 고려할 때 폭 7m x 깊이 15m의 전용면적 과 공유면적을 합하여 125㎡는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며, 작업내용을 블랙다운 하여 재원을 조달하고 성과물을 공급하는 실무담당자로서 엘리트의 전용 60㎡에 공유면적 12㎡를 합한 72㎡는 다소 협소하다할지라도 도전의 욕구를 충동하는 의미에서 충분하다 할 것이다. 루-키 부스는 엘리트 실과 같은 면적이나 자신의 진로와 맨토를 확정하기 전 자신을 만들어가는 과도기의 공간이므로 4인이 같이 2단침대로 기거하며 수습하기에 유효한 곳이라 할 수가 있다.
계층별 아틀리에 플랫폼 공간수요
위 계 전용면적(㎡) 아틀리에 이용활동 클러스터 기능
레전드 109(33py) CEO 전수지도 목표설정 스폰서 비전제시
마스터 82(25 “ PM 프로젝트개발 조직관리 컨설팅 시스템통합
엘리트 60(18 “ 팀장 콘텐츠연구 리포트 브리핑 전문조달 및 공급
루-키 60(18 “ 수습 조사 자료수집 배송 정리 수납 4인용/보조 활동
다음으로 각 계층별 클러스터에 자생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여기에는 참여할 필요인원과 작업용 집기를 예상하고 작업동선과 생활동선을 고려한 바람직한 배치를 고려하여 계층별 아틀리에 플랫폼 간의 조합을 형성함으로써 유기적인 문화예술작품활동을 유도하는 공간으로서 배 이(bay)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모듈이 되는 플랫폼의 조합은 레전드와 엘리트, 엘리트와 마스터, 마스터와 마스터, 마스터 사이에 루-키 부스를 배치하는 등 서로 연접함으로써 상호 공간적으로나 인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시너지와 보완적인 효과를 낼 수 있는 조합을 함으로써 베-이 구조를 형성시키고, 이렇게 형성된 베-이들을 연결하는 버퍼링 존(buffering zone)으로서 로비에 각각 기본 플랫폼에서 제외되는 기능을 공동으로 서빙 하는 푸론트 데스크를 구비한 플로어플랫폼은 조성하고 푸론트 데스크를 통하여 문서수발 3D프린터 접객주선 및 용도품 등을 조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플로어플랫폼은 건물 전 후면의 대기의 온도차와 친환경환기설비의 설치를 위하여 중복도식 구조는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배-이를 연결하여 서빙 하는 홀과 푸론트 데스크를 구비한 플로어로비를 결합시키는 평면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플로어 플랫폼을 복수 층으로 중첩하여 아틀리에 클러스터의 본체를 형성하고 기저부에 이용자들의 식사와 휴게 그리고 회합을 위한 컨벤션 및 창작물을 전시 판매하는 프로-삽(pro-shop)과 아트마트(mart) 등의 편의시설 콤파운드(compound)를 배치하여 이들간의 수직이동수단으로서 조망엘리베이터와 비상계단으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융합적인 아뜰리에 클러스터의 공간구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문화예술분야의 창작자들의 성장단계별로 아틀리에 기본플랫폼을 구축하여 이들의 조합으로 베-이를 형성하고 각 베-이를 연결하는 플로어 로비에 휴게실과 푸론트 데스크를 구비하여 각 플랫폼에서 제외된 기능과 업무를 공동으로 서빙 할 수 있게 하는 플로어 플랫폼을 구축하게 되면, 이러한 플로어 플랫폼을 복수 층으로 수직중첩 하여 클러스터를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편의가 유기적으로 제공됨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콜라보래이선을 통한 대형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집단지성의 문화시설로 클러스터에 입주한 동호인들 간에 바람직한 커뮤니티의 형성과 역할분담을 통한 시너지효과 및 관리지원활동과 인건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계층별 기본플랫폼
도 2는 층별 플로어 플랫폼
도 3은 기본플랫폼의 3D 사시도
도 4는 플로어 플랫폼의 3D 사시도
도 5는 아틀리에 클러스터 건축물의 3D 전면 사시도
도 6은 친환경 환기시스템의 계략도
인간생활을 수용하는 실내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은 환경으로서의 공간과 이용자의 행위관행(behaviour pattern) 간의 조화를 연출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작품 활동을 위한 쾌적한 아틀리에 공간조성은 그 안에서 작업하는 사람들의 동선과 이용 빈도 공간규모 기능성 등을 바탕으로 공간의 폭과 깊이를 설정하고 벽과 천정의 구조와 어울리는 가구와 유틸리티를 선정하고 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건축공간의 구조적 환경적 조건들을 고려하여 아틀리에 실내에서 일어나는 작업의 기능적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켜줄 공간구조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틀이 아틀리에 기본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제2차 대전 후 과학기술문명의 발달은 인간생활의 편의성을 엄청나게 개선하였지만 그 반대급부로서 과중한 업무의 수행과 급변하는 사회적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물자의 공급, 이해당사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레저 활동장소로써 공유공간 및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는 사적공간의 안락함을 해결할 수 있는 합리적 대안의 모색이 실내 공간디자인의 핵심과제가 되어 왔다.
다양한 작업장구와 건축자재들이 생산되고 있고, 이러한 자재들을 실내공간에 적용하는 시공기술도 발달한 오늘날 본 발명이 제시하는 바람직한 아틀리에 플랫폼은 고도의 집중력과 창의성을 발휘해야 될 문화 예술분야의 실내 작업공간에 기능성과 정서적 쾌적성을 도출할 체계적인 틀이 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틀 속에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는 인간과 인간 간의 연대성과 개개인의 독립성을 위한 커뮤니티와 프라이버시의 시간적 공간적 조화도 가능하게 하는 공간구조를 조성하는 것이다.
도 1에서 보면 문화예술분야의 작품 활동을 하는 작업자가 표 3을 기반으로 디자인하여 성장단계별로 이용하기에 적합한 기능성 플랫폼을 제시하고 있다. 루-키 부스 플랫폼(10)은 타고난 소질과 충분한 소양을 갖춘 문화예술분야의 루-키들이 자신의 길을 개척하기 전에 만나야 할 맨토와 롤모델을 고대하면서, 선배들의 작업에 참여하고 수습으로 워밍업을 하는 데 필요한 잠자고 옷 갈아입고 공부하는 기능만으로 구성된 실내공간으로 2단 침대(14)와 및 스터디용 집기(12)와 급탕설비(16)만 구비된 4인용 부스의 플랫폼이다. 화장실은 외부의 로비화장실을 같이 사용한다.
엘리트 플랫폼(20)은 자신의 진로에 대한 기반이 확정된 엘리트가 자신의 과제를 블랙다운 하고 작업스케줄을 작성하고 필요한 자재와 인력을 동원하고 제작물을 유통 공급하는 작업공간으로서 미팅테이블(22)과 PPT스크린(27), 접철식 침대(23)와 옷장(23), 스터디용 집기, 급탕(16)와 화장실(11)을 갖춘 플랫폼이다.
마스터 플랫폼(30)은 한 분야의 경지에 오른 마스터가 다수의 엘리트와 루-키를 조직하여 작품프로젝트를 기획, 개발하고 추진하는 PD기능과 시스템을 통합하는 PM기능을 하는 작업장으로 제작테이블(31)을 중심으로 자재선반(33) 작업장구(32)를 구비하고 영상설비(27), 접철식 침대(35)와 옷장(24), 분리된 화장실(34)과 급탕설비(16)가 배치되는 플랫폼이다.
레전드 플랫폼(40)은 정상에서 혁혁한 실적으로 전설이 된 레전드가 CEO로서 새로운 작품프로젝트에 스폰서 역할을 하는 작업공간으로써 유망한 후진을 양성하기 위해 자신의 노하우를 전수하는 전수체험 테이블(41)을 중심으로 시준이 될 샘플선반(42)을 갖추고 TED 영상설비(19), 스터디데스크(43)와 서가(21), 나이 듦에 쉬이 오는 피로를 푸는 휴게침대(44)와 옷장(24), 급탕설비(16)와 분리화장실(34)이 구비된 플랫폼이다.
플로어 플랫폼(700)은 각 계층별 플랫폼을 조합한 베-이(100, 200, 300)와 이들을 연결하는 로비(400)로 구성된다. 베이는 작업공간의 독립성과 연계성을 목적으로 조성하는 공간구조이다. 이러한 베-이의 조합은 계층별 이용자의 인간관계와 역할분담 등을 고려하여 레전드 플랫폼과 엘리트 플랫폼의 조합(100, 300), 마스터 플랫폼과 마스터 플랫폼의 조합, 마스터 플랫폼과 루-키 부스 및 마스터 플랫폼의 조합(200)이 표준적인 베이라 하겠으나, 이 외에도 마스터 플랫폼과 엘리트 플랫폼 및 마스터 플랫폼 등의 플랫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베-이를 건축 평면에 제시할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러한 베-이 간의 연결은 플로어 로비를 통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각 계층별 작업공간에서 배제된 문서수발과 용도품 수급, 접객안내와 대기(406), 통신연결, 3D 프린팅 등의 지원활동은 플로어 로비에 구비된 푸론트 데스크(401)에서 공동으로 서빙 한다. 그와 동시에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소호 전신공간으로나 당구장 바둑실과 보드게임장 전통다실 등으로 독특한 로비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플로어플랫폼(700)을 수직으로 중첩시켜 아뜰리에 클러스터의 본체를 조성하고 기저부에 주차공간과 기계실, 그 상부 층에 푸드 코트, 그 상부 층에 대 중 소의 컨벤션 홀, 그 상부 층에 문화예술작품과 소재를 전시판매하는 프로-삽과 아트마트, 그 상부 층에 사우나와 옥상정원을 구비한 편의시설 콤파운드를 배치하고 최상층에 스카이라운지를 배치한 다음 수직연결을 위한 수단으로는 전망엘리베이터(402,403)와 비상계단(404)으로 수직 동선을 구비하는 것이 탁 트인 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장시간 작업에 몰두하는 작업자에게는 실내공기의 질이 건강에 치명적인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에어컨이나 가습기로 재생산하는 실내 공기가 자연의 신선한 공기와 질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고, 실시간 센스로 실내공기의 질을 모니터링 하여 대기의 온도차에 따라 건물 전후의 따뜻한 공기와 시원한 공기를 구별하여 개별 플랫폼별로 환기시키는 친환경 환기시스템(도 6)을 기반시설로 설치하는 것은 에너지를 절감하고 쾌적한 아뜰리에를 구현하는 비장의 장치라 할 것이다.
그리고 외부시설 공간으로는 수목원이나 공원을 겸비하는 것은 작품배경이 되는 환경조성이 될 수가 있다. 소음과 진동, 비산먼지 및 매연 등 실내작업이 부적절한 요소공작실(철물가공제작, 목재가공, 플라스틱 사출, 석물제작, 직물과 지류재단, 칠 보 공작, 도예성형, 도장과 코팅, 모크업제작, 석고 제형, 포장작업, 재료창고)과 물류창고 등은 에너지자급시설인 태양광발전설비의 하부에 배치할 수 있고, 소극장 상부에 주차빌딩을 배치한다면 무대공연작품의 연출과 관람객의 주차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기 때문에 종합적이고도 유기적인 작품 활동 공간으로써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하는 아뜰리에 클러스터가 제시되는 것이다.
아틀리에 클러스터는 문화예술분야의 집단지성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커뮤니티를 조성함으로써 기술과 기량의 전수가 원활해지는 동시에 구실 분담을 통한 콜라볼래이션을 통해 새로운 대작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한류의 원동력이 되는 기반시설로서 새로운 건설상품으로 개발될 가능성은 크다고 본다.
10 루-키 플랫폼 11 화장실 12 스터디 데스크 13 사물함 14 이층침대 15 보조테이블 16 책장 17 18 베란다 19 스크린
20 엘리트 플랫폼 21 서가 22 미팅테이블 23 접철 침대 24 옷장 25 컴퓨터 작업대 26 냉장고
30 마스터 플랫폼 31 제작테이블 32 헤드테이블 33 작업공구함 34 분리 식 화장실 40 레전드 플랫폼 41 전수체험테이블 42 샘플 비치 돼 43 싱글침대 44 수납옷장 100 레전드-엘리트 베-이 200 마스트-루키-마스터 베-이 300 엘리트-레전드 베-이 400 로비 베-이 401 푸론트 데스크 402 승객용 조망엘리베이터 403 화물용 조망엘리베이터 404 비상계단실 405 로비화장실 406 응접세트 500 스카이라운지 600 편의시설 콤파운드 700 플로어 플랫폼

Claims (5)

  1. 문화예술 및 공예가들의 사회적 지위와 기량의 성숙도에 따라 작업공간의 규모와 집기의 종류를 루-키와 엘리트 마스터 레전드로 구분하여 배치하는 기본플랫폼을 설정하고 이들 기본플랫폼의 조합으로 다양한 베 이 구조를 형성하며 각 베 이 구조를 연결하는 로비에 기본플랫폼에서 배제된 기능을 층별 푸론트 데스크로 공동서빙하는 플로어 플랫폼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틀리에 클러스터의 공간구조
  2. 제1항에서 플로어 플랫폼을 수직으로 연속배치하여 아틀리에 클러스터의 본체를 형성하고 기저부에 주차공간과 기계실을 배치하고 그 상부 층에 푸드코트를 배치하며 그 상부 층에는 대 중 소의 컨벤션 홀을 배치하며 그 상부 층에는 작품과 소재를 전시판매하는 프로-삽과 아트마트를 배치하는 편의시설 콤파운드와 최상층부에는 스카이라운지를 배치하고 수직연결동선으로 조망엘리베이터와 비상계단실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틀리에 클러스터의 공간구조
  3. 아뜰리에 클러스터의 외부지원공간으로 작품활동의 배경이 되는 수목원이나 공원을 조성하고 에너지자립용으로 설치하는 태양광발전설비의 하부에 철물가공, 목재 가공, 플라스틱 사출, 도장 및 코팅, 석물 제작, 도예로, 칠보 가공, 섬유나 지류 제단, 모크업제작, 석고조형, 포장작업, 소재창고 등 소음이나 진동 및 비산먼지와 악취를 방제하는 요소공작실을 배치하고, 공연용 소극장의 상부에 주차빌딩을 배치하여 관람자들의 주차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틀리에 클러스터 공간구조
  4. 제1항에서 문화예술 및 공예가들의 작업수행과 상호 간의 기술전승과 기량성장을 위한 맨토링이 유기적으로 일어나도록 레전드와 엘리트, 마스터와 마스터, 마스터와 루-키와 마스터, 레전드외 마스터의 기본플랫폼을 조합하여 다양한 베-이구조를 형성하고 각 베 이를 연결하는 로비공간에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스몰 전시장, 당구장, 바둑실, 보드게임장, 전통다실과 같은 제3기능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틀리에 클러스터 공간구조
  5. 문화예술작품의 제작에 몰두하다 보면 장시간 동안 실내 공기 질의 악화를 인식하지 못하는 폐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건물 전 후면의 신선한 외기로 환기하는 친환경 환기설비를 기반설비로 구비하도록 중복도 구조를 지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뜰리에 클러스터 공간구조
KR1020170022618A 2017-02-21 2017-02-21 아틀리에 클러스터 건물구조 KR101944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618A KR101944683B1 (ko) 2017-02-21 2017-02-21 아틀리에 클러스터 건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618A KR101944683B1 (ko) 2017-02-21 2017-02-21 아틀리에 클러스터 건물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209A true KR20180096209A (ko) 2018-08-29
KR101944683B1 KR101944683B1 (ko) 2019-04-17

Family

ID=63434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618A KR101944683B1 (ko) 2017-02-21 2017-02-21 아틀리에 클러스터 건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68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7291A (ja) * 1993-11-05 1995-05-16 Takahito Tsuruhisa 創造的研究教育用システム
KR20090127724A (ko) 2008-06-09 2009-12-14 김종성 가상 베이 평면 개념에 의한 복층형 마당을 구비한공동주택형 건물구조
KR101261787B1 (ko) 2012-05-16 2013-05-07 (주)신영 단위 세대별 테라스를 구비하는 건축물의 구조 및 이 구조로 형성된 건축물
KR101389386B1 (ko) 2012-03-08 2014-04-25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36671A (ko) 2011-01-07 2016-04-04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움직임 벡터의 예측 부호화 방법, 예측 부호화 장치, 및 예측 부호화 프로그램, 그리고 움직임 벡터의 예측 복호 방법, 예측 복호 장치, 및 예측 복호 프로그램
KR20160092603A (ko) 2015-01-28 2016-08-05 김용구 실내 주거공간이 외부로 돌출배치된 공동주택형 건축물의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7291A (ja) * 1993-11-05 1995-05-16 Takahito Tsuruhisa 創造的研究教育用システム
KR20090127724A (ko) 2008-06-09 2009-12-14 김종성 가상 베이 평면 개념에 의한 복층형 마당을 구비한공동주택형 건물구조
KR20160036671A (ko) 2011-01-07 2016-04-04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움직임 벡터의 예측 부호화 방법, 예측 부호화 장치, 및 예측 부호화 프로그램, 그리고 움직임 벡터의 예측 복호 방법, 예측 복호 장치, 및 예측 복호 프로그램
KR101389386B1 (ko) 2012-03-08 2014-04-25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패널화 모듈러 건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261787B1 (ko) 2012-05-16 2013-05-07 (주)신영 단위 세대별 테라스를 구비하는 건축물의 구조 및 이 구조로 형성된 건축물
KR20160092603A (ko) 2015-01-28 2016-08-05 김용구 실내 주거공간이 외부로 돌출배치된 공동주택형 건축물의 구조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실내계획, 오인욱, 기문당, 2006.
2. 실내의 치수계획, 세진사, 1987.
2. 인터넷검색자료, naver, 아뜰리에, 2017. 2. 7.
3. 인터넷검색자료, naver, platform, 2017. 2. 7.
4. 인터넷검색자료, naver, cluster, 2017. 2. 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683B1 (ko) 201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lmer et al. Designing interiors
Myerson et al. The 21st century office
Afacan Sustainable library buildings: green design needs and interior architecture students' ideas for special collection rooms
Permana et al. The concept of optimal workplace in providing a great experience to improve work professionalism in the interior design of pln Corporate university, Ragunan, Jakarta
Hauke et al. New libraries in old buildings: Creative reuse
Bozdogan Vernacular Architecture and Identity Politics: The Case of the" Turkish House"
Brown Identity and narrativity in homes made by amateurs
KR101944683B1 (ko) 아틀리에 클러스터 건물구조
Lu et al. China homegrown: Chinese experimental architecture reborn
Toyokawa Research on the design process of Kenzo Tange's own residence
Ahrentzen Hybrid Housing: A Contemporary Building Type for Multiple Residential & Business Use
Schittich In Detail, Work Environments: Spatial concepts, Usage Strategies, Communications
Di Robilant The Aestheticization of Mechanical Systems: Gio Ponti's Montecatini Headquarters, Milan, 1936–39
Tok Maruf Önal and the production of mid-twentieth century modern architecture in İstanbul
Gatter The office: an analysis of the evolution of a workplace
Nicolas Layers of interior archiecture
Gopalakrishnan Forgotten treasure: an ode to the Omaha Train Depot in Menomonie
Khalid An Archetype of Architecture
Rassia et al. Office Building: A Brief Historical Overview
Saxena Workplaces of the Future? A Distributed Approach for Suburban Areas
Theresianto Activity-Based Workplace Design: An Australian Perspective
Boemaars Creating a Library from a Locomotive Shed in Tilburg, the Netherlands
Smith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and the open office: Addressing mental fatigue in low stimulus screeners and creative class workers through biophilic design
Wang Cultural Tectonics: Hybridization of Craft, Construction, and Communication
Ruusuvuori Musakuutio: LEED v4. as a Design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