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679B1 - 로얄 젤리를 함유하는 구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로얄 젤리를 함유하는 구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679B1
KR101388679B1 KR1020130150406A KR20130150406A KR101388679B1 KR 101388679 B1 KR101388679 B1 KR 101388679B1 KR 1020130150406 A KR1020130150406 A KR 1020130150406A KR 20130150406 A KR20130150406 A KR 20130150406A KR 101388679 B1 KR101388679 B1 KR 101388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yal jelly
food composition
carrageenan
weigh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민
최은숙
강효진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Priority to KR1020130150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 A23V2200/228Gell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36Carrageenan
    • A23V2250/50362Iota-carragee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36Carrageenan
    • A23V2250/50364Kappa-carragee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36Carrageenan
    • A23V2250/50366Lambda-carragee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4Dextrins, maltodextr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얄 젤리를 함유하는 구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당류, 젤라틴, 로얄 젤리 및 겔화제로서 카라기난을 포함하여 우수한 물성 및 식감을 가짐과 동시에 로얄 젤리의 유용한 생리활성 성분인 10-HDA의 감소가 실질적으로 없는 로얄 젤리 함유 구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로얄 젤리 함유 구미 식품은, 음료 및 기타 가공식품과 달리 로얄 젤리의 지표성분인 10-HDA의 함량 변화를 최소화하여 로얄 젤리 본연의 생리활성을 그대로 유지 시키는 동시에 로얄 젤리의 섭취를 보다 용이하게 하여 건강지향 소재의 활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

Description

로얄 젤리를 함유하는 구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Gummy food composition containing royal jell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로얄 젤리를 함유하는 구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당류, 젤라틴, 로얄 젤리 및 겔화제로서 카라기난을 포함하여 우수한 물성 및 식감을 가짐과 동시에 로얄 젤리의 유용한 생리활성 성분인 10-HDA의 감소가 실질적으로 없는 로얄 젤리 함유 구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로얄 젤리 함유 구미 식품은, 음료 및 기타 가공식품과 달리 로얄 젤리의 지표성분인 10-HDA의 함량 변화를 최소화하여 로얄 젤리 본연의 생리활성을 그대로 유지 시키는 동시에 로얄 젤리의 섭취를 보다 용이하게 하여 건강지향 소재의 활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로얄 젤리는 꿀과 화분을 일벌들이 소화 흡수한 뒤 인두부를 경유해서 만들어진 물질로 봉군 내 어린 유충 및 여왕벌 유충의 먹이로서 오래 전부터 그 기능성이 알려진 물질이다. 영양성분은 수분(50~60%), 단백질(18%), 탄수화물(15%), 지질(3~6%), 무기염(1.5%), 비타민, 10-HDA(10-hydroxy-2-decenoic acid)와 같은 생리 활성물질 및 펩티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양강장, 항산화, 혈류개선, 세포 재생, 피부미용 등의 많은 기능성 연구가 보고되어 건강기능식품 등의 원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로얄 젤리는 인체에 유익한 건강기능 식품 소재이지만, 생 로얄 젤리의 경우 상온에서 변질되기 쉬워 냉동고에서 동결된 상태로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주로 동결건조한 분말 형태의 로얄 젤리가 사용된다. 동결건조 로얄 젤리 분말은 생 로얄 젤리의 고유한 특성이 그대로 남아있고 로얄 젤리의 기능성 기준규격 물질인 10-HDA 함량에도 큰 변화를 주지 않아 캅셀이나 정제 제품에 상업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하지만, 동결건조 로얄 젤리 분말을 사용한 가공식품 제조시, 그 안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 지방질 등이 다른 원료에 함유된 금속이온이나 그 pH의 영향으로 인해 경시적인 응집, 침전, 상 분리 등의 문제를 일으키며, 이를 해결하고자 제조공정 상 여과공정을 거칠 경우 로얄 젤리의 유효성분 특히, 10-HDA(10-hydroxy-2-decenoic acid)의 함량이 감소되어 그 기능성 효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로얄 젤리는 특유의 신맛과 쓴맛, 독특한 향을 가지고 있어 직접 섭취에 어려움이 있는 식품 소재이다.
일본공개특허 제2012-175907호는 유화 등을 통해 불용성 로얄 젤리의 분산성을 개선시키는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2-0108637호는 시고, 떫은 맛 등 관능이 좋지 않은 로얄 젤리를 마스킹하여 관능성을 높이는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물성 및 식감이 우수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유효성분의 감소가 최소화된 새로운 로얄 젤리 함유 가공식품의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물성 및 식감이 우수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로얄 젤리의 지표성분인 10-HDA의 감소가 최소화된 로얄 젤리 함유 구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당류, 젤라틴, 로얄 젤리, 카라기난 및 수용성 칼슘염을 포함하며,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상기 카라기난의 함량이 0.1~2.5중량%인, 구미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1) 액상의 당류에 카라기난, 수용성 칼슘염, 로얄 젤리 및 젤라틴을 첨가하고 용해시키는 단계; 및 (2) 상기 (1)단계의 결과 용액을 굳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미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로얄 젤리 함유 구미 식품은 기본적으로 섭취가 번거로운 캅셀 및 정제 제형에서 탈피하여 섭취가 용이하고, 간단한 제조 방법을 통해 제품내 로얄 젤리의 분산성을 높였으며, 일반 구미 젤리 식품보다 우수한 물성과 식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로얄 젤리 함유 구미 식품을 제조하면, 로얄 젤리의 생리활성 물질이자 기능성 기준규격 물질인 10-HDA(10-hydroxy-2-decenoic acid)의 함량 변화를 최소화하여 로얄 젤리의 유용한 성분을 섭취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미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당류로는 식품에 통상 사용되는 당류가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물엿, 꿀, 당 알코올, 올리고당, 정백당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조성물에 있어서 맛의 풍미를 위해서는, 꿀을 포함하는 당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꿀은 맛과 식감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1~20중량% 정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미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당류의 총량은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40~90중량%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80%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미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젤라틴으로는 돼지, 소 등에서 유래한 동물성 젤라틴을 사용하거나, 또는 동물성 젤라틴 대체재로서 식물성 젤라틴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미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젤라틴의 양은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5~30중량%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25중량%일 수 있다. 조성물의 젤라틴 함량이 5중량% 보다 낮으면 적절한 젤리 형태가 만들어지지 않을 수 있고, 30중량%를 초과하면 젤리가 너무 딱딱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미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로얄 젤리로는 액상 또는 고상의 로얄 젤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분말 형태의 로얄 젤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동결건조 로얄 젤리, 효소처리 동결건조 로얄 젤리, 생 로얄 젤리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미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로얄 젤리의 양은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1.5~3.5중량%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3%중량일 수 있다. 조성물의 로얄 젤리 함량이 1.5중량% 보다 낮으면 로얄 젤리에 의한 효능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5중량% 보다 높으면 식품의 맛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미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카라기난은 겔화제로서 로얄 젤리의 분산을 돕고 성형시 흐름성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라기난으로는 아이오타 카라기난, 카파 카라기난, 람다 카라기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아이오타 카라기난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구미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카라기난의 양은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0.1~2.5중량%이며, 0.5~2중량%가 바람직하고, 0.5~1.5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조성물의 카라기난 함량이 0.1중량% 보다 낮으면 로얄 젤리의 분산성이 떨어지고, 식감이 낮아지며, 2.5중량% 보다 높으면 구미형 젤리가 물러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구미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용성 칼슘염은 카라기난의 겔화제 작용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품에 통상 사용되는 수용성 칼슘염이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젖산칼슘, 구연산칼슘, 글루콘산칼슘, 인산칼슘, 탄산칼슘, 염화칼슘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미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용성 칼슘염의 양은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0.1~2.0중량%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1.0중량%일 수 있다. 조성물의 수용성 칼슘염 함량이 0.1중량% 보다 낮으면 카라기난과 칼슘이온과의 겔화 반응이 잘 안 일어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0중량% 보다 높으면 젤리에 쓴 맛이 생기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미 식품 조성물은, 로얄 젤리의 이미/이취를 개선하고자,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그 함량은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1~20%중량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10%중량일 수 있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함량이 너무 낮으면 로얄 젤리의 이미/이취 개선 효과가 떨어지고, 지나치게 높으면 구미형 젤리의 물성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미 식품 조성물은, 또한 수용성 유기산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유기산으로는 통상의 식품에 사용되는 유기산이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구연산, 사과산, 호박산, 젖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미 식품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성분들을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굳히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1) 액상의 당류에 카라기난, 수용성 칼슘염, 로얄 젤리 및 젤라틴을 첨가하고 용해시키는 단계; 및 (2) 상기 (1)단계의 결과 용액을 굳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미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에서 사용되는 각 성분들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액상의 당류는 바람직하게는 70~90 brix,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brix 전후(예컨대, 75~85 brix)의 당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수준의 당 농도를 갖는 액상의 당류를 만들기 위하여, 원료 당류 물질을 예컨대, 105~120℃로 가열하여 원하는 농도를 얻을 때까지(예컨대, 약 2분간) 농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액상의 당류에 카라기난, 수용성 칼슘염, 로얄 젤리 및 젤라틴을 투입하는 상기 제(1)단계는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i) 바람직하게는 70~90 brix의 당 농도를 갖는 액상의 당류를 준비하는 단계; (ii) 상기 액상의 당류에 카라기난 및 수용성 칼슘염을 투입하고 용해시키는 단계(이 때, 필요에 따라 구연산 등의 수용성 유기산이 추가로 투입될 수 있다); (iii) 상기 (ii)단계의 결과 용액에 로얄 젤리를 투입하고 혼합하는 단계(이 때,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추가로 투입될 수 있다); 및 (iv) 상기 (iii)단계의 결과 용액에 젤라틴을 첨가하고 용해시키는 단계(이 때, 젤라틴은 적절한 농도(예컨대, 33중량%)로 정제수에 용해된 형태로 투입될 수 있으며, 젤라틴 규격은 250BL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결과 용액을 굳히면 본 발명이 구미 식품 조성물이 얻어진다. 이 때, 용액을 정해진 틀에 넣고 굳힘으로써 구미 식품을 원하는 형상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틀은 식용재료, 예컨대 전분으로 만들어진 것일 수 있고, 이러한 전분 틀에 용액을 넣고, 그 상부를 다시 전분으로 덮어서 적당한 시간 동안 굳힐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 로얄 젤리 구미의 제조
물엿(삼양제넥스)을 110℃에서 약 2분간 가열 농축하여 80 brix로 액상 당류의 brix를 맞추고, 여기에 꿀, 카라기난(아이오타 카라기난), 젖산칼슘,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로얄 젤리(동결건조분말)를 하기 표 1에 나타낸 양으로 투입한 뒤, 모든 재료가 녹을 때까지 저어 주었다. 이 때 온도는 특별히 유지시켜 주지 않아도, 물엿의 품온이 있어 잘 용해되었다. 성분들이 모두 녹은 후, 미리 준비해 둔 33중량%의 젤라틴 용액(60℃) 45g을 투입하고 잘 저어주었다, 최종 결과 용액을 정해진 전분 틀에 넣고 굳혔다.
물성 평가
상기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로얄 젤리 구미가 가지는 물성(경도)을 텍스쳐 분석기(TA-XT2i, Stable micro system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경도는 로얄 젤리 구미를 압착할 때 가해지는 힘을 기준으로 측정되며, 그 단위는 단위 면적당(2X2 cm) 가해지는 무게(g)로서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 평가
상기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로얄 젤리 구미에 대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 평가는 식품관련 분야에서 5년 이상의 관능검사 경력을 지닌 관능검사 요원 10명이 5점 항목척도로 향 만족도(이취의 강도), 맛 만족도(이미의 강도), 식감 만족도 및 전반적인 맛의 기호도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관능 평가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점수가 높을수록 선호도가 높다).
Figure 112013111350728-pat00001
Figure 112013111350728-pat00002
Figure 112013111350728-pat00003
상기 표2의 물성 평가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로얄 젤리 구미가 비교예에 비하여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표 3의 관능 평가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로얄 젤리 구미가 향, 맛, 식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비교예에 비하여 보다 만족스러운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로얄 젤리 구미의 제조공정 중에 로얄 젤리의 지표성분인 10-HDA가 손실되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로얄 젤리 구미의 10-HDA 함량을 분석하여, 원료로 사용된 동결건조 로얄 젤리의 10-HDA 함량과 비교하였다. 분석 장비로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대조군인 동결건조 로얄 젤리 내의 10-HDA 함량은 5.64중량%(3회 측정의 평균값)이었고, 실시예 1의 로얄 젤리 구미에 포함된 로얄 젤리 내의 10-HDA 함량은 5.56중량%(3회 측정의 평균값)이었다. 이는 대조군의 10-HDA 함량을 100%로 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98.6%에 해당하는 값으로, 실험 오차 등을 고려한다면 로얄 젤리 구미의 제조공정 중에 10-HDA가 실질적으로 손실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Claims (13)

  1. 당류, 젤라틴, 로얄 젤리, 카라기난 및 수용성 칼슘염을 포함하며,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상기 로얄 젤리의 함량이 2~3중량%이고,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상기 카라기난의 함량이 0.5~2.5중량%인,
    구미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당류가 물엿, 꿀, 당 알코올, 올리고당, 정백당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미 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로얄 젤리가 동결건조 로얄 젤리, 효소처리 동결건조 로얄 젤리, 생 로얄 젤리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미 식품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카라기난이 아이오타 카라기난, 카파 카라기난, 람다 카라기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미 식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수용성 칼슘염이 젖산칼슘, 구연산칼슘, 글루콘산칼슘, 인산칼슘, 탄산칼슘, 염화칼슘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미 식품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미 식품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수용성 유기산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미 식품 조성물.
  9. (1) 액상의 당류에 카라기난, 수용성 칼슘염, 로얄 젤리 및 젤라틴을 첨가하고 용해시키는 단계; 및
    (2) 상기 (1)단계의 결과 용액을 굳히는 단계;를 포함하며,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상기 로얄 젤리의 함량이 2~3중량%이고,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상기 카라기난의 함량이 0.5~2.5중량%인,
    구미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액상의 당류가 70~90 brix의 당 농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미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제(1)단계가, (i) 70~90 brix의 당 농도를 갖는 액상의 당류를 준비하는 단계; (ii) 상기 액상의 당류에 카라기난 및 수용성 칼슘염을 투입하고 용해시키는 단계; (iii) 상기 (ii)단계의 결과 용액에 로얄 젤리를 투입하고 혼합하는 단계; 및 (iv) 상기 (iii)단계의 결과 용액에 젤라틴을 첨가하고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미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ii)단계에서 수용성 유기산이 추가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미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iii)단계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추가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미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30150406A 2013-12-05 2013-12-05 로얄 젤리를 함유하는 구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388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406A KR101388679B1 (ko) 2013-12-05 2013-12-05 로얄 젤리를 함유하는 구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406A KR101388679B1 (ko) 2013-12-05 2013-12-05 로얄 젤리를 함유하는 구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679B1 true KR101388679B1 (ko) 2014-04-24

Family

ID=50658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406A KR101388679B1 (ko) 2013-12-05 2013-12-05 로얄 젤리를 함유하는 구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6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7800A (zh) * 2016-01-30 2016-06-29 合肥华方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蜂王浆掩味冻干粉、制备方法及其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174A (ko) * 2002-07-13 2004-01-24 이정구 옥타코사놀과 초유등을 배합한 특수영양식품의 제조 방법
KR20050068802A (ko) * 2003-12-30 2005-07-05 한국식품연구원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벌꿀차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6280249A (ja) 2005-03-31 2006-10-19 Sanki Shoji Kk ローヤルゼリー含有食品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39262B1 (ko) * 2008-12-19 2012-05-14 영농조합법인 선인장연구회 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독성,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가지는 건강식품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174A (ko) * 2002-07-13 2004-01-24 이정구 옥타코사놀과 초유등을 배합한 특수영양식품의 제조 방법
KR20050068802A (ko) * 2003-12-30 2005-07-05 한국식품연구원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벌꿀차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6280249A (ja) 2005-03-31 2006-10-19 Sanki Shoji Kk ローヤルゼリー含有食品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39262B1 (ko) * 2008-12-19 2012-05-14 영농조합법인 선인장연구회 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독성,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가지는 건강식품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7800A (zh) * 2016-01-30 2016-06-29 合肥华方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蜂王浆掩味冻干粉、制备方法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9900C (en) Food containing milk ceramide,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CN107410648B (zh) 一种乳矿物盐凝胶糖果及其制备方法
CN101322513A (zh) 一种液态乳制品及其生产方法
KR101479381B1 (ko) 당나귀 껍질 추출물 및 당나귀 사골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젤라틴 전약 제조방법
CN106136156A (zh) 一种奇亚籽玫瑰花草莓功能型低糖果酱及其制备方法
CN105211286A (zh) 一种活性乳酸菌饮料及其制备方法
JP2010130935A (ja) グミキャンディ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622013C2 (ru) Композиции на основе глины и обножк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питании и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м лечении
KR20120122373A (ko) 홍삼 푸딩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홍삼 푸딩
KR101388679B1 (ko) 로얄 젤리를 함유하는 구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22515777A (ja) 食用製品
RU2452188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молочного пудинга
RU2551535C1 (ru) Желейный мармелад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робиотиков
KR101855740B1 (ko) 각성 및 집중력 강화용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976938B1 (ko) 저염 기능성 가공육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562334A (zh) 果冻及其制备方法
JPS6342659A (ja) 含油ゼリ−食品
KR101856633B1 (ko) 비정제 사탕수수 원당을 이용한 사탕수수 편강의 제조방법
CN102058009A (zh) 一种苦荞冰淇淋
WO2020128531A1 (en) Edible products
EP3897190A1 (en) Edible products
JP5402753B2 (ja) コラーゲンペプチド高含有キャンディ様構造物
RU2289951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амбука
RU2603275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творожного десерта
KR20130133404A (ko) 저장성이 향상된 고영양 한방젤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