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435B1 - 무정차 열차 운행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정차 열차 운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435B1
KR101388435B1 KR1020130010819A KR20130010819A KR101388435B1 KR 101388435 B1 KR101388435 B1 KR 101388435B1 KR 1020130010819 A KR1020130010819 A KR 1020130010819A KR 20130010819 A KR20130010819 A KR 20130010819A KR 101388435 B1 KR101388435 B1 KR 101388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boarding
driving
traveling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애리
한상민
Original Assignee
한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민 filed Critical 한상민
Priority to KR1020130010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4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5Closure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receptacles; Operating mechanisms therefor
    • B01F35/452Closure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receptacles; Operating mechanisms therefor by moving them in the plane of the opening
    • B01F35/4521Closure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receptacles; Operating mechanisms therefor by moving them in the plane of the opening by rotating them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5Closure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receptacles; Operating mechanisms therefor
    • B01F35/453Closure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receptacles; Operating mechanisms therefor by moving them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정차 열차 운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플랫폼에 정차하지 않고 목적지로 계속 주행하는 주행열차로 노약자, 어린이, 장애인 등을 포함한 승객을 보다 빠른 시간내에 용이하게 승차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주행열차와 분리되어 플랫폼에 정차하는 탑승열차를 통해 상기 플랫폼에 노약자, 어린이, 장애인 등을 포함한 승객을 보다 용이하게 하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주행열차의 운행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저감시킴과 더불어 불필요한 동력낭비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정차 열차 운행 시스템{NON-STOP TRAIN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플랫폼에 정차하지 않고 목적지로 계속 주행하는 주행열차로 노약자, 어린이, 장애인 등을 포함한 승객을 보다 빠른 시간내에 용이하게 승차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주행열차와 분리되어 플랫폼에 정차하는 탑승열차를 통해 상기 플랫폼에 노약자, 어린이, 장애인 등을 포함한 승객을 보다 용이하게 하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주행열차의 운행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저감시킴과 더불어 불필요한 동력낭비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무정차 열차 운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는 여러대의 객차를 연결하여 운행하며, 상기 열차가 역에 다다르게 되면 정차한 후, 승객을 싣거나 내린 후 다시 출발을 하여야 한다.
즉, 열차에 탑승한 승객의 일부가 내리고, 열차에 소수의 승객을 승차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어 10량으로 구성된 열차이면 10량 전체가 역에서 정지하기 때문에, 열차가 정차하고 있는 동안 만큼의 시간의 지체가 발생하게 되고, 정차 및 출발에 필요한 동력의 발생으로 에너지 낭비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서울 및 부산 등 지하철이 많이 운행하고 있으나, 정차역이 많아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일반 시민들이 이용을 꺼려하는 경우가 있다.
즉, 수도 외곽에서 무정차로 서울 진입시 적어도 30분 정도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지만, 무정차로 열차를 운영할 경우, 중간역에 있는 많은 사람들이 이용을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주행중인 열차를 각 역마다 정지시키지 않으면서, 하차부, 승차부의 결합 또는 해제를 하도록 하여 승객을 승하차시키도록 하여 열차운행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도록 한 무정차 열차 운행 시스템 및 방법이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128676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128676호(무정차 열차 운행 시스템 및 방법)은 각 차량 상호간에 연결기가 연결되어야 하고, 각 차량에 작용하는 제동장치가 상호간에 연결되어 각 차량의 제동작용이 이루어져야 하나, 이에 관한 기재가 전혀 없어 열차의 전체적인 제동작용 및 운용에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실현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128676호(무정차 열차 운행 시스템 및 방법)와 달리 실현 가능한 무정차 열차 운행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하며,
특히, 플랫폼에 정차하지 않고 목적지로 계속 주행하는 주행열차로 노약자, 어린이, 장애인 등을 포함한 승객을 보다 빠른 시간내에 용이하게 승차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주행열차와 분리되어 플랫폼에 정차하는 탑승열차를 통해 상기 플랫폼에 노약자, 어린이, 장애인 등을 포함한 승객을 보다 용이하게 하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주행열차의 운행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저감시킴과 더불어 불필요한 동력낭비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무정차 열차 운행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특허 10-2009-012867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플랫폼에 정차하지 않고 목적지로 계속 주행하는 주행열차로 노약자, 어린이, 장애인 등을 포함한 승객을 보다 빠른 시간내에 용이하게 승차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주행열차와 분리되어 플랫폼에 정차하는 탑승열차를 통해 상기 플랫폼에 노약자, 어린이, 장애인 등을 포함한 승객을 보다 용이하게 하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주행열차의 운행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저감시킴과 더불어 불필요한 동력낭비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무정차 열차 운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행열차용 선로에 정지하지 않고 상기 주행열차용 선로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열차와; 상기 주행열차용 선로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탑승열차용 선로를 따라 상기 주행열차와 함께 주행하는 탑승열차와; 상기 주행열차에 구비되는 주행열차용 환승실과, 상기 탑승열차에 구비되는 탑승열차용 환승실로 구성되는 환승실과; 상기 주행열차와 상기 탑승열차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 의해 상기 주행열차와 상기 탑승열차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을 상기 탑승열차로 회전이동 및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을 상기 주행열차로 회전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열차 운행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과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을 연결시키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의 바닥판 및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의 바닥판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구비되고,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의 바닥판으로 회전이동 및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의 바닥판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의 바닥판에 걸림고정 및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의 바닥판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주행열차 또는 상기 탑승열차에 구비되어 상기 주행열차 방향 또는 상기 탑승열차 방향으로 좌우이동하는 좌우이동부재와; 상기 탑승열차 또는 상기 주행열차에 구비되고, 상기 좌우이동부재 방향으로 상하이동하여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좌우이동부재는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가 하부면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하부면 중간부에 좌우이동몸체가 구비되는 일측좌우이동판과, 상기 일측좌우이동판의 타측에 일측이 축결합되는 타측좌우이동판으로 구성되는 좌우이동판과; 상기 일측좌우이동판과 상기 타측좌우이동판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좌우이동판의 좌우이동몸체와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와 축결합되는 구동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타측좌우이동판의 타측방향으로 길이가 늘어나 상기 타측좌우이동판의 타측을 수직관통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구동부는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의 측면 또는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의 측면과 접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의 바닥판 하부면 및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의 바닥판과 접하는 가이드바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환승실의 내부 하측에 상기 주행열차의 주행 및 상기 탑승열차의 주행에 필요한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공급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동력공급부는 전원이 축전된 배터리, 석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주행열차와 상기 탑승열차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상기 주행열차 사이 및 복수개의 상기 탑승열차 사이마다 복수개의 상기 주행열차 및 복수개의 상기 탑승열차를 각각 연결하는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연결암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암부재의 후측은 상기 주행열차의 전측 및 상기 탑승열차의 전측에 각각 축결합되고, 상기 연결암부재의 전측은 다른 상기 주행열차의 후측 및 다른 상기 탑승열차의 후측에 각각 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행열차의 주행속도 및 상기 탑승열차의 주행속도를 각각 감지하는 속도센서와; 상기 주행열차와 함께 주행하는 탑승열차의 위치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상기 속도센서의 감지신호와 상기 근접센서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체결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연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주행열차와 탑승열차가 체결된 상태에서 주행열차용 환승실을 상기 탑승열차로 회전이동 및 탑승열차용 환승실을 상기 주행열차로 회전이동시켜 플랫폼에 정차하지 않고 목적지로 계속 주행하는 상기 주행열차로 노약자, 어린이, 장애인 등을 포함한 승객을 보다 빠른 시간내에 용이하게 승차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주행열차와 분리되어 플랫폼에 정차하는 상기 탑승열차를 통해 상기 플랫폼에 노약자, 어린이, 장애인 등을 포함한 승객을 보다 용이하게 하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주행열차의 운행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저감시킴과 더불어 불필요한 동력낭비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정차 열차 운행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주행열차와 탑승열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2의 체결부를 확대한 일부확대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환승실의 내부 하측에 동력공급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연결암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2 내지 도 15는 주행열차용 환승실이 탑승열차로 회전이동 및 탑승열차용 환승실이 주행열차로 회전이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정차 열차 운행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주행열차와 탑승열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정차 열차 운행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주행열차(10), 탑승열차(20), 환승실(30), 체결부(40) 및 구동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주행열차(10)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주행열차용 선로(5)를 따라 상기 주행열차용 선로(5)의 후측에서 상기 주행열차용 선로(5)의 전측방향으로 정지하지 않고 계속 주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탑승열차(20)는 상기 주행열차용 선로(5)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탑승열차용 선로(7)를 따라 상기 주행열차(10)와 함께 주행하게 된다.
상기 탑승열차용 선로(7)의 전측에는 일반인은 물론 노약자, 어린이, 장애인 등을 포함한 승객이 하차하는 플랫폼(9)이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환승실(30)은 상기 주행열차(10)의 전측 내부에 구비되는 반원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주행열차용 환승실(310)과;
상기 탑승열차(20)의 전측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과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탑승열차용 환승실(320);로 구성된다.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과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은 각각 수직격벽(311, 321)과; 상기 수직격벽(311, 321)의 하부에 수평형성되는 바닥판(312, 322)과; 상기 수직격벽(311, 321)의 상부에 수평형성되는 상부판(도 9의 313, 3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수직격벽(311)의 전측과 후측 및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1)의 전측과 후측에는 각각 출입문(314, 3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행열차(10)내에 승차한 승객 중 상기 플랫폼(9)에 하차할 승객은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수직격벽(311)의 출입문(314)을 지나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내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탑승열차(20)내로 승차한 승객은 상기 주행열차(10)내로 승차하기 위해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수직격벽(321)의 출입문(324)을 지나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내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부(40)는 상기 주행열차용 선로(5)를 따라 주행 중인 상기 주행열차(10)와 상기 탑승열차용 선로(7)를 따라 상기 주행열차(10)와 함께 주행 중인 상기 탑승열차(20)를 체결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체결부(40)에 의해 상기 주행열차(10)와 상기 탑승열차(20)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을 상기 탑승열차(20)로 회전이동 및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을 상기 주행열차(10)로 회전이동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과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을 연결시키는 연결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0)는 구동모터(610)와 걸림고정부재(6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610)는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수직격벽(321)의 타측과 인접하도록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바닥판(322)의 후측 상부면과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수직격벽(311)의 일측과 인접하도록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바닥판(312)의 전측 상부면에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볼트고정된 상태로 각각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610)의 축(611)은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바닥판(322)의 전측 상부면과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바닥판(312)의 후측 상부면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걸림고정대(315, 325)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대(315, 325)의 전측과 상기 걸림고정대(315, 325)의 후측은 각각 상기 걸림고정대(315, 325)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바닥판(322)의 전측 상부면 및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바닥판(312)의 후측 상부면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고정부재(620)는 'ㄷ'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측걸림고리(621)와; 상기 상측걸림고리(621)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되는 연결대(6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부재(620)의 연결대(622)의 하측이 상기 구동모터(610)의 축(611)의 상부에 일체연결된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610)의 축(611)에 상기 걸림고정부재(620)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부재(620)와 마주보는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수직격벽(311)의 일측면 및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수직격벽(321)의 타측면에는 상기 걸림고정부재(620)가 통과하는 슬릿(330)이 각각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610)의 축(611)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걸림고정부재(620)는 각각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바닥판(312)으로 회전이동 및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바닥판(322)으로 회전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걸림고정부재(620)의 상측걸림고리(621)내측에 상기 걸림고정대(315, 325)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걸림고정부재(620)의 상측걸림고리(621)가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바닥판(322)의 전측 상부면 및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바닥판(312)의 후측 상부면에 각각 위치한 상기 걸림고정대(315, 325)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2의 체결부(40)를 확대한 일부확대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부(40)는 도 5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이동부재(410)와 고정부재(4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행열차(10)의 타측면 전측 및 상기 주행열차(10)의 타측면 후측과 상기 탑승열차(20)의 일측면 전측 및 상기 탑승열차(20)의 일측면 후측에는 각각 관통구(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410)는 상기 관통구(15)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주행열차(10)의 바닥판(17) 후측 상부면 또는 상기 탑승열차(20)의 바닥판(17) 후측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주행열차(10) 방향으로 좌우이동 또는 상기 탑승열차(20) 방향으로 좌우이동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20)는 탑승열차(20) 내부 또는 상기 주행열차(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이동부재(410) 방향으로 상하이동하여 상기 좌우이동부재(410)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우이동부재(410)는 판부재(411), 가이드레일(412), 가이드몸체(413), 좌우이동판(414), 탄성부재(415), 리드스크류(417) 및 구동모터(41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부재(411)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판부재(411)는 상기 관통구(15)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주행열차(10)의 바닥판(17) 전측 상부면과 후측 상부면 또는 상기 탑승열차(20)의 바닥판(17)의 전측 상부면과 후측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412)은 상기 판부재(411)의 상부면 전측과 상기 판부재(411)의 상부면 후측에 각각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몸체(413)는 상기 가이드레일(412)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412)을 따라 좌우이동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판(414)은 일측좌우이동판(414a)과 타측좌우이동판(414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좌우이동판(414a)의 하부면 전측과 상기 일측좌우이동판(414a)의 하부면 후측에는 상기 가이드몸체(413)가 일체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좌우이동판(414a)의 하부면 중간부에는 좌우이동몸체(414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좌우이동판(414b)의 일측 중간부는 상기 일측좌우이동판(414a)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일측좌우이동판(414a)의 타측 중간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좌우이동판(414b)의 타측 중간부에는 삽입구(414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15)는 상기 일측좌우이동판(414a)의 타측면 전측과 상기 타측좌우이동판(414b)의 일측면 전측 사이 및 상기 일측좌우이동판(414a)의 타측면 후측과 상기 타측좌우이동판(414b)의 일측면 후측 사이에 각각 일체구비되어 상기 주행열차(10)와 상기 탑승열차(20)가 체결되는 과정 중에 상기 좌우이동판(414)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417)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417)는 상기 좌우이동몸체(414c)의 중간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좌우이동몸체(414c)의 중간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16)은 상기 리드스크류(417)의 일측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판부재(411)의 일측 상부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안착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16)가 상기 리드스크류(417)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좌우이동판(414)이 좌우이동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판(414)의 타측좌우이동판(414b)의 타측은 상기 주행열차(10)의 관통구(15) 또는 상기 탑승열차(20)의 관통구(15)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주행열차(10)의 내부 또는 상기 탑승열차(20)의 내부에 일정길이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주행열차(10)의 내부 또는 상기 탑승열차(20)의 내부로 일정길이로 인입된 상기 좌우이동판(414)의 타측좌우이동판(414b)의 타측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부재(420)는 상기 주행열차(10)의 내부 또는 상기 탑승열차(20)의 내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20)는 상기 타측좌우이동판(414b)의 타측방향으로 길이가 늘어나 상기 타측좌우이동판(414b)의 타측 중간부에 형성된 상기 삽입구(414d)를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삽입구(414d)내에 삽입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환승실(30)의 내부 하측에 동력공급부(70)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50)는 도 2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체(510), 구동모터 및 가이드바퀴(5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체(510)는 롤러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수직격벽(321)의 외측면과 접한 상태로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수직격벽(321)의 외측면에 복수개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회전체(510)는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수직격벽(311)의 외측면과 접한 상태로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수직격벽(311)의 외측면에 복수개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20)는 상기 회전체(510)와 축결합되어 상기 회전체(5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탑승열차(20)의 바닥판(17) 또는 상기 주행열차(10)의 바닥판(17)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수직격벽(321)의 일측 중간부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탑승열차(20)의 바닥판(17)에는 후술할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수직격벽(321)의 일측 중간부에 일정깊이로 삽입되는 실린더(3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300)는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수직격벽(311)의 타측 중간부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주행열차(10)의 바닥판(17)에 구비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수직격벽(311)의 타측 중간부에 일정깊이로 삽입될 수 있다.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수직격벽(321)의 일측 중간부에 일정깊이로 삽입 및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수직격벽(311)의 타측 중간부에 일정깊이로 삽입되는 상기 실린더(300)로 인해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이 상기 탑승열차(20)로 회전이동 및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이 상기 주행열차(10)로 회전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부(60)에 의해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과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체결부(40)에 의해 상기 주행열차(10)와 상기 탑승열차(20)가 서로 체결되고, 상기 실린더(300)의 길이가 줄어들어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수직격벽(321)의 일측 중간부 및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수직격벽(311)의 타측 중간부에 상기 실린더(300)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520)는 상기 회전체(510)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체(510)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이 상기 주행열차(10)로 회전이동 및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이 상기 탑승열차(20)로 회전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바퀴(530)는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하부방향 및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탑승열차(20)의 내부 하측 및 상기 주행열차(10)의 내부 하측에 동심원상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퀴(530)는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바닥판(322) 하부면 및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바닥판(312)과 접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퀴(530)로 인해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이 상기 주행열차(10)로 보다 더욱 원활히 회전이동 및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이 상기 탑승열차(20)로 보다 더욱 원활히 회전이동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환승실(30)의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바닥판(322) 내부 및 상기 환승실(30)의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바닥판(312)의 내부에는 상기 주행열차(10)의 주행 및 상기 탑승열차(20)의 주행에 필요한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공급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공급부(70)는 전원이 축전된 배터리, 석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이 상기 주행열차(10)로 회전이동되면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바닥판(322) 내부에 구비된 동력공급부(70)는 상기 주행열차(10)의 주행에 필요한 동력으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이 상기 탑승열차(20)로 회전이동되면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바닥판(312)의 내부에 구비된 동력공급부(70)는 상기 탑승열차(20)의 주행에 필요한 동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연결암부재(8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행열차(10)와 상기 탑승열차(20)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개로 이루어진 상기 주행열차(10)와 복수개로 이루어진 상기 탑승열차(20)가 만곡된 상태인 주행열차용 선로(5) 및 만곡된 상태인 탑승열차용 선로(7)를 보다 원활히 주행함과 더불어,
만곡된 상태인 주행열차용 선로(5) 및 만곡된 상태인 탑승열차용 선로(7)상에서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이 상기 주행열차(10)로 보다 안전하게 회전이동 및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이 상기 탑승열차(20)로 보다 안전하게 회전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개의 상기 주행열차(10) 사이 및 복수개의 상기 탑승열차(20) 사이마다 복수개의 상기 주행열차(10) 및 복수개의 상기 탑승열차(20)를 각각 연결하는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연결암부재(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암부재(80)의 후측은 상기 주행열차(10)의 전측면 일측과 상기 주행열차(10)의 전측면 타측 및 상기 탑승열차(20)의 전측면 일측과 상기 탑승열차(20)의 전측면 타측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암부재(80)의 전측은 다른 상기 주행열차(10)의 후측면 일측과 다른 상기 주행열차(10)의 후측면 타측 및 다른 상기 탑승열차(20)의 후측면 일측과 다른 상기 탑승열차(20)의 후측면 타측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도 11은 제어부(20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속도센서(90), 비접촉식 근접센서(100) 및 제어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속도센서(90)는 상기 주행열차(10)와 상기 탑승열차(20)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주행열차(10)의 주행속도 및 상기 탑승열차(20)의 주행속도를 각각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비접촉식 근접센서(100)는 상기 주행열차(10)와 함께 주행하는 탑승열차(2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행열차(10)의 일측면 전측과 상기 주행열차(10)의 일측면 후측 및 상기 탑승열차(20)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상기 탑승열차(20)의 타측면 전측과 상기 탑승열차(20)의 타측면 후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비접촉식 근접센서(100)는 가령, 상기 주행열차(10)의 일측면 전측과 상기 주행열차(10)의 일측면 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수광부와;
상기 탑승열차(20)의 타측면 전측과 상기 탑승열차(20)의 타측면 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발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광부가 상기 발광부가 발광하는 빛을 수광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탑승열차(20)가 상기 주행열차(10)와 안전하게 체결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비접촉식 근접센서(100)가 반드시 상기 수광부와 발광부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주행열차(10)의 일측면 전측과 상기 주행열차(10)의 일측면 후측에 각각 구비되어 자력을 감지하는 홀센서와;
상기 탑승열차(20)의 타측면 전측과 상기 탑승열차(20)의 타측면 후측에 각각 구비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 등을 포함한 자력발생부재;로 구성될 수 있는 등 보다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물론이다.
상기 비접촉식 근접센서(100)가 홀센서와 자력발생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홀센서가 상기 자력발생부재의 자력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탑승열차(20)가 상기 주행열차(10)와 안전하게 체결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속도센서(90)가 감지한 상기 주행열차(10)의 주행속도 및 상기 탑승열차(20)의 주행속도가 동일하고, 상기 비접촉식 근접센서(100)를 통해 상기 탑승열차(20)가 상기 주행열차(10)와 안전하게 체결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200)가 판단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전원공급부(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체결부(40)를 통해 상기 주행열차(10)와 상기 탑승열차(20)가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40)를 제어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과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60)를 제어한 후,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이 상기 탑승열차(20)로 회전이동 및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이 상기 주행열차(10)로 회전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는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이 탑승열차(20)로 회전이동 및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이 주행열차(10)로 회전이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플랫폼(9)의 승객이 상기 탑승열차(20)의 탑승열차용 환승실(320)로 승하완료하게 되면, 상기 탑승열차(20)는 상기 탑승열차용 선로(7)를 따라 상기 탑승열차용 선로(7)의 후측으로 일정거리 이동하게 된다.
이상태에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행열차용 선로(5)를 따라 주행하면서 상기 탑승열차(20)로 접근하는 상기 주행열차(10)를 공지된 감지장치(500)가 감지하게 되면,
상기 탑승열차(20)는 상기 탑승열차용 선로(7)를 따라 상기 탑승열차용 선로(7)의 전측방향으로 주행하여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행열차(10)와 함께 주행하게 된다.
상기 탑승열차(20)가 상기 주행열차(10)와 안전하게 체결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상태로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200)가 판단하게 되면,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이 상기 탑승열차(20)로 회전이동 및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이 상기 주행열차(10)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이 상기 탑승열차(20)로 회전이동된 상태가 완료되고,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이 상기 주행열차(10)로 회전이동된 상태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주행열차(10)와 상기 탑승열차(20)의 체결상태가 해제 및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과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연결상태가 해제되고,
이 후,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행열차(10)는 상기 주행열차용 선로(5)를 따라 계속 주행하게 되고, 상기 탑승열차(20)는 주행속도를 줄이면서 상기 플랫폼(9)에 정차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주행열차(10)와 상기 탑승열차(2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을 상기 탑승열차(20)로 회전이동 및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을 상기 주행열차(10)로 회전이동시켜 상기 플랫폼(9)에 정차하지 않고 목적지로 계속 주행하는 상기 주행열차(10)로 일반인은 물론 노약자, 어린이, 장애인 등을 포함한 승객을 보다 빠른 시간내에 용이하게 승차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주행열차(10)와 분리되어 상기 플랫폼(9)에 정차하는 상기 탑승열차(20)를 통해 상기 플랫폼(9)에 일반인은 물론 노약자, 어린이, 장애인 등을 포함한 승객을 보다 용이하게 하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주행열차(10)의 운행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저감시킴과 더불어 불필요한 동력낭비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주행열차, 20; 탑승열차,
30; 환승실, 40; 체결부,
50; 구동부.

Claims (9)

  1. 주행열차용 선로(5)에 정지하지 않고 상기 주행열차용 선로(5)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열차(10)와;
    상기 주행열차용 선로(5)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탑승열차용 선로(7)를 따라 상기 주행열차(10)와 함께 주행하는 탑승열차(20)와;
    상기 주행열차(10)에 구비되는 주행열차용 환승실(310)과, 상기 탑승열차(20)에 구비되는 탑승열차용 환승실(320)로 구성되는 환승실(30)과;
    상기 주행열차(10)와 상기 탑승열차(20)를 체결시키는 체결부(40)와;
    상기 체결부(40)에 의해 상기 주행열차(10)와 상기 탑승열차(20)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을 상기 탑승열차(20)로 회전이동 및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을 상기 주행열차(10)로 회전이동시키는 구동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열차 운행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과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을 연결시키는 연결부(60)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60)는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바닥판(322) 및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바닥판(312)에 구비되는 구동모터(610)와;
    상기 구동모터(610)의 축(611)에 구비되고,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바닥판(312)으로 회전이동 및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바닥판(322)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바닥판(312)에 걸림고정 및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바닥판(322)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부재(6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열차 운행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40)는 상기 주행열차(10) 또는 상기 탑승열차(20)에 구비되어 상기 주행열차(10) 방향 또는 상기 탑승열차(20) 방향으로 좌우이동하는 좌우이동부재(410)와;
    상기 탑승열차(20) 또는 상기 주행열차(10)에 구비되고, 상기 좌우이동부재(410) 방향으로 상하이동하여 상기 좌우이동부재(410)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부재(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열차 운행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부재(410)는 판부재(411)와;
    상기 판부재(411)의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레일(412)과;
    상기 가이드레일(412)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가이드몸체(413)와;
    상기 가이드몸체(413)가 하부면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하부면 중간부에 좌우이동몸체(414c)가 구비되는 일측좌우이동판(414a)과, 상기 일측좌우이동판(414a)의 타측에 일측이 축결합되는 타측좌우이동판(414b)으로 구성되는 좌우이동판(414)과;
    상기 일측좌우이동판(414a)과 상기 타측좌우이동판(414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415)와;
    상기 좌우이동판(414)의 좌우이동몸체(414c)와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417)와;
    상기 리드스크류(417)와 축결합되는 구동모터(416);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420)는 상기 타측좌우이동판(414b)의 타측방향으로 길이가 늘어나 상기 타측좌우이동판(414b)의 타측을 수직관통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열차 운행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측면 또는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측면과 접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회전체(510)와;
    상기 회전체(51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20)와;
    상기 탑승열차용 환승실(320)의 바닥판(322) 하부면 및 상기 주행열차용 환승실(310)의 바닥판(312)과 접하는 가이드바퀴(5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열차 운행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승실(30)의 내부 하측에 상기 주행열차(10)의 주행 및 상기 탑승열차(20)의 주행에 필요한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공급부(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열차 운행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공급부(70)는 전원이 축전된 배터리, 석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열차 운행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열차(10)와 상기 탑승열차(20)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상기 주행열차(10) 사이 및 복수개의 상기 탑승열차(20) 사이마다 복수개의 상기 주행열차(10) 및 복수개의 상기 탑승열차(20)를 각각 연결하는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연결암부재(80)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암부재(80)의 후측은 상기 주행열차(10)의 전측 및 상기 탑승열차(20)의 전측에 각각 축결합되고,
    상기 연결암부재(80)의 전측은 다른 상기 주행열차(10)의 후측 및 다른 상기 탑승열차(20)의 후측에 각각 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열차 운행시스템.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열차(10)의 주행속도 및 상기 탑승열차(20)의 주행속도를 각각 감지하는 속도센서(90)와;
    상기 주행열차(10)와 함께 주행하는 탑승열차(20)의 위치를 감지하는 근접센서(100)와;
    상기 속도센서(90)의 감지신호와 상기 근접센서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체결부(40), 상기 구동부(50) 및 상기 연결부(60)를 제어하는 제어부(2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열차 운행시스템.
KR1020130010819A 2013-01-31 2013-01-31 무정차 열차 운행 시스템 KR101388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819A KR101388435B1 (ko) 2013-01-31 2013-01-31 무정차 열차 운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819A KR101388435B1 (ko) 2013-01-31 2013-01-31 무정차 열차 운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435B1 true KR101388435B1 (ko) 2014-04-23

Family

ID=5065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819A KR101388435B1 (ko) 2013-01-31 2013-01-31 무정차 열차 운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4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905B1 (ko) * 2015-07-16 2017-05-24 장지훈 열차 속도개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190A (ko) * 2000-09-14 2002-03-20 김지형 무정지 전철을 이용한 전철의 속도 개선법
JP2006213305A (ja) 2005-02-04 2006-08-17 Takeuchi Yasuto 無停車列車とはしけ車両による鉄道の運行方法
KR100825117B1 (ko) 2007-04-19 2008-04-25 홍순철 무정차 운행중에 여객과 화물을 상하차 시키는 전동열차자동 운행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190A (ko) * 2000-09-14 2002-03-20 김지형 무정지 전철을 이용한 전철의 속도 개선법
JP2006213305A (ja) 2005-02-04 2006-08-17 Takeuchi Yasuto 無停車列車とはしけ車両による鉄道の運行方法
KR100825117B1 (ko) 2007-04-19 2008-04-25 홍순철 무정차 운행중에 여객과 화물을 상하차 시키는 전동열차자동 운행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905B1 (ko) * 2015-07-16 2017-05-24 장지훈 열차 속도개선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2488A (ko) 큰 운송능력을 지닌 직행 레일 시스템
CN205400194U (zh) 一种多层架空式立体停车库
DE502007005205D1 (ko)
CN110325471A (zh) 用于操作电梯系统的方法
CN103010240A (zh) 轨道客车车体
CN102700430B (zh) 一种轨道车辆及其导向装置
WO2018068624A1 (zh) 高铁进站不停车的列车控制系统
CN106428026A (zh) 悬挂式单轨交通系统乘车安全保护装置
CN108423008B (zh) 一种高运能空铁轨道系统及运行方法
KR101388435B1 (ko) 무정차 열차 운행 시스템
CN108146523A (zh) 一种动态搭乘的公共交通系统及其控制方法
CN203496924U (zh) 电机车出轨检测装置和具有它的电机车
KR20090128676A (ko) 무정차 열차 운행 시스템 및 방법
CN109435964A (zh) 一种公共交通系统的停靠站控制系统
JP2006182262A (ja) 車両の衝突転倒防止装置
US20190001819A1 (en) Wagon with autonomous emergency power supply
CN103448745A (zh) 电机车出轨检测装置和具有它的电机车
CN206107246U (zh) 一种中低速磁悬浮f轨检测用的行走装置
KR101503267B1 (ko) 급곡선 및 급구배의 운행이 가능한 레일 바이크
CN103434513B (zh) 磁悬浮链齿驱动公交系统
CN107298107A (zh) 一种悬挂式单轨列车车体稳定装置
CN203222404U (zh) 地下停车场双工位汽车提升机
CN108407820A (zh) 一种列车
CN108545084A (zh) 一种轻轨快速运输方式的摆渡车及过渡车厢
CN109532856A (zh) 一种微轨走行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