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873B1 - 의료 - Google Patents

의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873B1
KR101387873B1 KR1020070137229A KR20070137229A KR101387873B1 KR 101387873 B1 KR101387873 B1 KR 101387873B1 KR 1020070137229 A KR1020070137229 A KR 1020070137229A KR 20070137229 A KR20070137229 A KR 20070137229A KR 101387873 B1 KR101387873 B1 KR 101387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tretch
elongation rate
waist
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388A (ko
Inventor
기타무라 히토시
Original Assignee
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4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2Elast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만으로, 허리부부터 대퇴부까지 걸친 부분의 근육에 부하를 부여할 수 있어 근력 강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의료(衣料)를, 생산성 좋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체 편성된 신축성 편지로 이루어지고, 허리부부터 좌우 하지의 대퇴부를 덮는 의료(1)로서, 후면측의 좌우부(1a)에 허리부(2) 상단부터 힙부(5)를 지나 대퇴부(3)까지 연속하여 베이스 생지부(生地部)(a)보다 난(難)신장성의 띠 형상 신축부(10)를 편조직의 변화에 의해 형성하고, 띠형상 신축부(10)를 허리부 상단부터 힙부 하단에 이르는 제 1 신축부(11)와, 제 1 신축부(11)에 연속하여 대퇴부(3)의 하단부에 이르는 제 2 신축부(12)로 구분하여 형성되고, 제 1 신축부(11)의 신장률을 베이스 생지부(a)의 신장률보다 작고, 제 2 신축부(12)의 신장률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CLOTHING}
본 발명은 신축성 편지(編地)로 이루어진 거들이나 스패츠 등의 의료(衣料), 특히 착용만으로 근력 강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의료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허리부로부터 대퇴부까지를 덮는 거들이나 스패츠(spats) 등의 의료는 환편기에 의해 편성된 신축성 편지에 의해 신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 허리부나 좌우 하지의 근력을 강화하기 위해, 비교적 큰 부하를 가하는 근력 강화 트레이닝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 정신적 및 육체적으로 상당히 부담을 수반하게 되는 측면에서, 과도한 근력 강화 트레이닝은 오히려 허리부나 무릎 관절 등을 손상시킬 위험성도 있다.
그래서, 상기 거들이나 스패츠 등의 의료에서 보통 착용만으로 통상의 보행이나 계단의 오르내림 및 굴신(屈伸) 등을 수반하는 통상의 생활상의 움직임 중에서, 허리부부터 하지부(주로 대퇴부)에 걸친 부분으로 적절하게 부하를 부여할 수 있어 근력 강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의료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91411호에는 좌우 방향으로의 신축성이 상하 방향에 비해 높은 가로 신축부를, 앞쪽의 좌우부와 뒤쪽의 좌우부에 허리부부터 대퇴부까지 연속시켜, 허리부나 대퇴부의 근복부의 팽창을 억제함으로써 근육 수축시에 적절하게 부하를 가하여, 허리부나 하지부의 근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89858호에는 대퇴부를 들어 올릴 때에 둔부(臀部) 및 대퇴부에서의 피부의 신장량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배면측의 소정 영역에, 상기 영역 이외의 영역보다도 높이 방향의 탄성률이 높은 고탄성부를 설치하여, 대요근(大腰筋)에 소정의 부하를 가할 수 있어 근력 강화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91411호의 의료의 경우에는 일방향으로 신축성이 높은 소재를,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사용함으로써, 소정 부위에서 상하 방향에 비하여 가로 방향의 신축성을 높게 하는 것이고, 소재 자체의 사용 형태를 변경하여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그 때문에, 제조상에서는 세로 신축부, 가로 신축부의 각 소재를 연접시키기 위한 봉제 공정을 필요로 하고, 시간이 걸리고 공정수가 증가되어 생산성이 낮고 비용이 높은 것이 된다. 또한, 상기 봉제 부분의 존재에 의해 착용감을 손상시키거나 착용시의 외관을 손상시키게 된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89858호의 의료의 경우도, 고탄성부는 2종의 탄성 생지(生地)를 중합시켜 구성되는 것이므로, 제조상에서는 생지 봉합을 위한 봉제 공정을 필요로 하고, 별도 형지(型紙)의 작성도 필요하고 제조에 수고 및 시간이 소요되며 생산성이 낮고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2중 구조를 위해 세정 후의 건조 시간이 길어지고, 마무리 상태도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2중 구조이고 또한 봉제 부분을 가지므로 착용감이나 착용시의 외관을 손상시키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근력 강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거들이나 스패츠 등의 의료로서, 일체로 편성된 신축성 편지로 이루어진 것이면서, 편조직(編組織)의 변화에 의한 신장성의 차이를 이용하여 허리부부터 대퇴부에 걸친 부분의 근육에 적절한 부하를 줄 수 있음과 동시에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착용할 수 있고, 또한 제조상에서는 다른 생지를 연접 또는 접합 구성할 필요가 없고, 이 종류의 의료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체 편성된 신축성 편지로 이루어지고, 허리부부터 좌우 하지의 대퇴부를 덮는 의료로서, 후면측의 좌우부에 허리부 상단으로부터 힙(hip)부를 지나 대퇴부까지 연속하여, 베이스 생지부보다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가 편조직의 변화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의료에 의하면, 착용 상태에서 2중 생지의 부분이나 봉제 부분을 갖지 않으므로, 착용감이 양호하고 외관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또한, 착용자의 보행이나 계단의 오르내림 및 굴신을 수반하는 동작에서, 상기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에 의해 신장을 억제함으로써, 허리부부터 좌우 하지의 대퇴부에 걸친 부위의 각 근육에 대해서 적절한 부하를 줄 수 있고, 착용만으로 착용자의 근력 강화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띠형상 신축부가 허리부 후면의 중전근(中殿筋)의 부분부터 대전근(大殿筋)을 지나 대퇴 이두근(大腿二頭筋) 및 반건양근(半 腱樣筋)의 부분을 따라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들 근력의 강화를 특히 바람직하게 이룰 수 있다.
상기의 의료에서, 상기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는 허리부 상단부터 힙부 하단에 이르는 제 1 신축부와, 상기 제 1 신축부로부터 연속하여 대퇴부의 하단부에 이르는 제 2 신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신축부의 신장률이 상기 베이스 생지부의 신장률보다 작고 또한 상기 제 2 신축부의 신장률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에서의 상기 제 1 및 제 2 신축부가 모두 베이스 생지부보다 신장률이 작아 신장되기 어렵고, 보행이나 굴신 등의 움직임에 따른 신장을 억제하도록 작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제 1 신축부에 의해 힙부 상의 중전근이나 대전근 등으로 적절하게 부하를 주고, 또한, 상기 제 2 신축부에 의해 대퇴부 후면의 근육, 즉 대퇴 이두근이나 반건양근 등으로 적절하게 부하를 주고, 근력 강화를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신축부는 상기 제 2 신축부보다도 신장률이 커서 신장되기 쉬우므로, 상기 제 1 신축부가 착용자의 힙부에 과도하게 죄어들지 않고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 착용 상태를 얻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이 신장률의 차이를 갖는 상기 제 1 신축부가 허리부 후면의 중전근 부분으로부터 대전근 부분을 지나고, 상기 제 2 신축부가 대퇴 이두근 및 반건양근의 부분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 것이 된다.
상기 의료에서, 상기 제 1 신축부의 신장률이 베이스 생지부의 신장률의 1/2~4/5이고, 상기 제 2 신축부의 신장률이 베이스 생지부의 신장률의 1/5~1/2인 것으로 한다.
즉, 상기 제 1 신축부의 신장률이 상기보다 커지면, 베이스 생지 부분과 거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되어, 중전근이나 대전근 등의 근육에 대한 부하가 작아지고, 근력 강화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신축부의 신장률이 상기보다 작아지면, 신장 억제의 효과가 커지고, 착용 상태에서 힙부에 대한 죄어듦이 커져 외관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신축부의 신장 률이 상기보다 작아지면, 신장 억제의 효과가 너무 커져 착용감이 나빠지고, 또한 상기 제 2 신축부의 신장률이 상기보다 커지면, 대퇴부 후면의 대퇴 이두근이나 반건양근 등의 근육에 대하여 요구되는 부하를 주는 데에 필요한 신장 억제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생지부, 상기 제 1 신축부 및 상기 제 2 신축부의 각부의 신장률의 차이를 상기와 같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료에서 상기 제 1 신축부가 힙부의 탑 부분을 피하도록 상기 힙부의 외측을 따라서 휘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에서의 상기 제 1 신축부가 착용자의 힙부에 깊이 죄어 들어 외양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스타일 좋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의료에서 상기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의 폭이, 대퇴부 후면의 폭의 2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료에 의하면, 후면측(後身頃)의 좌우부에서 허리부 상단부터 힙부를 지나 대퇴부의 하단부에 연속하여, 베이스 생지부보다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가 편조직의 변화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착용자의 보행이나 굴신을 수반하는 통상의 생활상의 움직임에서, 상기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에 의해 허리부부터 대퇴부에 걸친 부분의 각 근육에 대해서 적절한 부하를 줄 수 있고, 특별한 근력 강화 트레이닝을 실시하지 않고, 착용만으로 근력 강화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띠형상 신축부가 힙부의 제 1 신축부와, 대퇴부의 제 2 신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신축부의 신장률이 베이스 생지부의 신장률 보다 작고, 또한 상기 제 2 신축부의 신장률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신축부에 의해, 힙부의 상부에 있는 중전근 또는 힙부에 있는 대전근, 및 대퇴부 후면의 대퇴 이두근이나 반건양근 등에 대해서 바람직한 부하를 줄 수 있고, 근력 강화를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다. 이에 추가로, 상기 제 1 신축부가 착용자의 힙부에 과도하게 죄어들지 않고,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 양호한 착용 상태를 유지하면서 근력 강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의 경우에는 일체 편성된 신축성 편지로 이루어진 것에서,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 특히 상기 제 1 및 제 2 신축부를 편조직의 변화에 의해 신장률을 다르게 하여 형성하는 것이므로, 예를 들어 환편기에 의한 프로그램 상에서의 편조직의 변경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봉제 공정이나 봉제를 위한 인원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생지를 연접하거나 접합시키는 경우에 비해, 제조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 재료를 삭감할 수 있는 측면도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어 그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생지를 접합시켜 2중 구조로 한 것과는 달리, 세정후의 건조 처리를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게 되어 건조에 의한 마무리 상태도 안정화되는 측면에서 봉제부나 2중 생지의 부분을 갖지 않으므로, 착용감이 좋고 외양도 양호해진다는 효과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료의 전면측을 도시한 개략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후면측을 도시한 개략 배면도이다. 도 3은 착용 상태의 후측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인체의 허리부부터 좌우 하지의 대퇴부에 걸친 부분의 주요한 근육의 구성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시한 실시예의 의료(1)는 하반신, 특히 허리부부터 좌우 하지의 대퇴부를 덮는 거들(특히, 롱 거들)의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의료(1)는 환편기에 의해 일체로 편성된 신축성 편지로 이루어지고, 허리부(2) 및 허리 아래부터 두갈래로 분기하여 대퇴부의 무릎위까지를 덮는 좌우의 대퇴부(3)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도면 중의 "4"는 허리부(2)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웨스트부, "5"는 힙부, "6"은 요협부(腰脇部), "7"은 전면측(앞길측)의 복부를 도시한다.
상기 의료(1)는 도 2와 같이 후면측(뒷길측)에서의 허리부 중앙에서 구분되는 좌우부(1a)에 있어서, 상기 허리부(2)의 상단의 좌우부(1a) 각각의 거의 중앙 위치부터, 힙부(5)의 탑부(5a)보다 외측을 지나 좌우 하지에서의 대퇴부(3)의 하단부(3a)까지 연속하여, 신장성이 낮게 억제된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10)가, 편성 상의 편조직의 변화에 의해 신장성을 다르게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10)는 본래의 신축성을 갖는 베이스 생지부(a), 예를 들어 상기 힙부(5)의 중앙부나 요협부(6)부터 전면측으로 돌아가는 부분 등의 베이스 생지부(a) 보다도 조직적으로 신장성이 낮게 억제된 부분이다.
상기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10)는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인체 후면 측의 허리부(22)부터 좌우 하지의 대퇴부(23)에 걸친 부분의 근육의 구성 상태에 따라서 허리부 후면의 힙부의 상부에 존재하는 중전근(24)의 부분부터 대전근(25)을 지나, 대퇴부 후면의 대퇴 이두근(26) 및 반건양근(27)의 부분을 따라서 세로 방향(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면의 경우, 상기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10)는 허리부(2)의 상단부터 힙부(5)의 하부의 힙라인 부분에 이르는 제 1 신축부(11)와, 상기 제 1 신축부(11)로부터 연속하여 대퇴부(3) 후면의 하단부(3a)에 이르는 제 2 신축부(12)로 이루어지고, 편성상의 편조직의 변화에 의해, 상기 제 1 신축부(11)의 신장률이 상기 베이스 생지부(a)의 신장률보다 작고, 또한 상기 제 2 신축부(12)의 신장률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신축부(11)에서는 상기 베이스 생지부(a)와, 상기 제 2 신축부(12)의 중간의 신장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신축부(11)가 상기 중전근(24)의 부분부터 대전근(25)을 지나고, 또한 상기 제 2 신축부(12)가 대퇴 이두근(26) 및 반건양근(27)의 부분을 따라서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신축부(11)는 세로 방향으로 거의 직선 형상을 이루는 것이어도 좋지만, 도면의 경우에는 힙부(5)의 탑부(5a)를 피하도록 상기 힙부(5)의 외측을 따라서 휘어져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신장성이 낮은 상기 제 1 신축부(11)가 상기 탑부(5a)나 그 근방을 피하여 상기 힙부(5)의 불룩함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띠형상 신축부(10)의 상기 베이스 생지부(a)에 대한 난신장성의 정도는 착용자에 대한 부하의 정도를 고려하여, 전체적인 신장률이 상기 베이스 생지부(a)의 신장률의 1/5~4/5의 범위가 된다. 이 때, 대퇴부(3)에서는 상기 띠형상 신축부(10)의 신장 억제에 의한 조임력을 강하게 하여 비교적 큰 부하를 가할 수 있지만, 힙부(5)에서는 상기 띠형상 신축부(10)의 신장 억제에 의한 조임력이 너무 강해지면, 착용 상태에서 힙부에 대한 죄어듦이 발생하여 외관이 손상된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이 상기 띠형상 신축부(10)를 힙부(5)의 근육을 따르는 제 1 신축부(11)와, 대퇴부의 근육을 따르는 제 2 신축부(12)로 구분하고, 상기 제 1 신축부(11)의 신장률을 상기 베이스 생지부(a)의 신장률의 1/2~4/5, 상기 제 2 신축부(12)의 신장률을 상기 베이스 생지부(a)의 신장률의 1/5~1/2로 설정하여, 상기 제 2 신축부(12)에서는 근력 강화에 적합한 부하를 줄 수 있고, 또한 상기 제 1 신축부(11)에서는 신장 억제에 의한 조임이 과도해지지 않도록, 각부의 신장성에 차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각 구성 부분의 신장률의 비를 베이스 생지부(a): 제 1 신축부(11):제 2 신축부(12)≒3:2:1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생지부(a)의 신장률이 약 110%의 경우, 제 1 신축부(11)의 신장률은 약 70%, 제 2 신축부(12)의 신장률은 약 35%로 하고, 각부의 신장률의 비를, 베이스 생지부:제 1 신축부:제 2 신축부≒3:2:1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신장률은 JIS L 1018의 정하중법(定荷重法)에 의해 측정되는 신장률이고, 길이 7.6㎝, 폭 4㎝의 공시포(供試布)의 양단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잡은 상태로 지지하고, 일정한 하중, 즉 3.92N(400gf)의 하중을 가하여 신장된 경우의 신장률이다.
상기 띠형상 신축부(10)의 제 1 및 제 2 신축부(11, 12)의 베이스 생지부(a)에 대한 신장률에 차이를 형성하도록 편조직을 변화시키기 위해, 편성상에서 짜는 간격과 짜기를 건너뛰는 수를 적절하게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와 같이 각부의 신장률에 차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띠형상 신축부(10)의 제 1 신축부(11) 및 제 2 신축부(12)의 폭은 대퇴부(3) 후면의 폭에 대해서 20~70%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대퇴부(3)의 폭의 약 1/2 전후의 폭으로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띠형상 신축부(10)의 폭이 너무 가늘어지면, 착용감이나 착용시의 외관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반대로 상기 폭이 너무 커지면 신장 억제에 의한 부하가 너무 커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의 폭으로 설정하는 것이 실시상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폭은 제 1 및 제 2 신축부(11, 12)의 전체 길이에서의 평균의 폭이고, 길이 방향에서 폭이 다소 변화되는 경우도 있고,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신축부(11, 12)의 형상이 길이 방향(직경 방향)으로 변화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좌우부(1a)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신축부(11, 12)로서 약간의 간격을 두고 가는 폭의 난신장성의 신축띠를 복수열로 형성해 둘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복수열의 전체 폭을 상기와 같이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도시한 실시예의 의료(1)의 경우, 후면측의 좌우부(1a)의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10)의 제 1 신축부(11)의 일부로부터 연속하여 요협부 앞쪽으로 두르고, 또 한 도 1과 같이 하방으로 구부려 거의 대퇴부 전면의 봉공근(縫工筋)(도시하지 않음)을 따라서 대퇴부(3)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는 난신장성의 띠형상부(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부(7)에는 상기 동일한 난신장성이고 조임력이 강한 역삼각형상의 부분(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띠형상부(15) 및 역삼각형상의 부분(16)도 편조직의 변화에 의해 신장성을 베이스 생지부(a)와는 다르게 하도록 하여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의료(1)는 일체 편성된 신축성 편지로 이루어진 것에서,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10), 특히 상기 제 1 및 제 2 신축부(11, 12)를 편조직의 변화에 의해 신장률을 다르게 하여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상에서는 예를 들어 환편기에 의한 프로그램 상에서의 편조직의 변경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봉제 공정이나 봉제를 위한 인원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생지를 연접하거나 접합시킬 필요도 없고, 제조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별도 형지(型紙)를 작성하거나, 다른 생지를 준비할 필요도 없고, 재료를 삭감할 수 있는 측면도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그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생지를 접합하여 이중 구조로 한 것과는 달리, 세정 후의 건조 처리를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게 되어 건조에 의한 마무리 상태도 안정화된다.
그리고, 상기 의료(1)는 신축성 편지로 이루어진 의료 전체가 어느 정도 신장된 상태에서 착용되고, 상기 착용 상태에서는 상기 신장에 의해 조임력이 작용하게 되지만, 본 발명의 의료(1)의 경우에는 이중 생지 부분이나 봉제 부분을 갖지 않으므로, 착용감이 양호하고 외관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어 착용자의 보행이나 굴 신을 수반하는 통상의 생활상의 움직임에 대해, 뒷길의 좌우부(1a)에서 허리부(2) 상단부터 대퇴부(3)까지 연속하여 설치된, 난신장성의 상기 띠형상 신축부(10) 부분의 신장 억제의 효과로 조임력이 부분적으로 강해지고, 이에 의해 허리부(2)로부터 대퇴부(3)에 걸친 부분의 후면측의 각 근육에 대해서 적절한 부하를 줄 수 있고, 근력 강화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띠형상 신축부(10)에서 힙부(5)를 따르는 제 1 신축부(11)와, 대퇴부를 따르는 제 2 신축부(12)의 신장성에 차이를 형성하고, 예를 들어 상기 각 구성 부분의 신장률의 비를, 베이스 생지부(a):제 1 신축부(11):제 2 신축부(12)≒3:2:1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 1 신축부(11)가 허리부(2) 상단부터 연속되고 있어 근력 강화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 1 신축부(11)가 착용자의 힙부(5)에 과도하게 죄어들지 않고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 외양이 양호한 착용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의료(1)로서 허리부부터 대퇴부의 무릎위까지를 덮는 거들의 경우를 도시했지만, 이와 거의 동일한 형태의 팬츠형 스패츠 외에, 상기 좌우의 대퇴부(3)가 무릎아래까지 연장되어 있는 롱 타입의 스패츠에서도 실시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신축성 편지로 이루어진 거들이나 스패츠 등의 의료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료의 전면측을 도시한 개략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의료의 후면측을 도시한 개략 배면도,
도 3은 착용 상태의 후측의 개략 사시도 및
도 4는 인체의 허리부부터 좌우 하지의 대퇴부에 걸친 부분의 주요한 근육의 구성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의료 1a: 좌우부
2, 22: 허리부 3: 하지부
3a: 하단부 4: 웨스트부
5: 힙부 5a: 탑부분
6: 요협부 7: 복부
10: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
11: 제 1 신축부 12: 제 2 신축부
15: 난신장성의 띠형상부 16: 역삼각형상의 부분
23: 대퇴부 24: 중전근
25: 대전근 26: 대퇴이두근
27: 반건양근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일체 편성된 신축성 편지로 이루어지고, 허리부부터 좌우 하지의 대퇴부를 덮는 의료(衣料)에 있어서,
    후면측의 좌우부에 허리부 상단부터 힙부를 지나 대퇴부까지 연속하여, 베이스 생지부보다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가 편조직의 변화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는 허리부 상단부터 힙부 하단에 이르는 제 1 신축부와, 상기 제 1 신축부로부터 연속하여 대퇴부의 하단부에 이르는 제 2 신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신축부의 신장률이 상기 베이스 생지부의 신장률보다 작고, 또한 상기 제 2 신축부의 신장률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4. 일체 편성된 신축성 편지로 이루어지고, 허리부부터 좌우 하지의 대퇴부를 덮는 의료(衣料)에 있어서,
    후면측의 좌우부에 허리부 상단부터 힙부를 지나 대퇴부까지 연속하여, 베이스 생지부보다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가 편조직의 변화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는 허리부 후면의 중전근 부분으로부터 대전근을 지나고, 대퇴이두근 및 반건양근의 부분을 따라서 연속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는 허리부 상단부터 힙부 하단에 이르는 제 1 신축부와, 상기 제 1 신축부부터 연속하여 대퇴부의 하단부에 이르는 제 2 신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신축부의 신장률이 상기 베이스 생지부의 신장률보다 작고, 또한 상기 제 2 신축부의 신장률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축부가 중전근 및 대전근의 상부로부터 대전근의 부분을 지나고, 상기 제 2 신축부가 대퇴이두근 및 반건양근의 부분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축부의 신장률이 베이스 생지부의 신장률의 1/2~4/5이고, 상기 제 2 신축부의 신장률이 베이스 생지부의 신장률의 1/5~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7.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축부가 상기 힙부의 탑부분을 피하도록 상기 힙부의 외측을 따라서 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축부가 상기 힙부의 탑부분을 피하도록 상기 힙부의 외측을 따라서 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9.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의 폭이 대퇴부의 폭의 20~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의 폭이 대퇴부의 폭의 20~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난신장성의 띠형상 신축부의 폭이 대퇴부의 폭의 20~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KR1020070137229A 2007-06-29 2007-12-26 의료 KR101387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72421A JP4938566B2 (ja) 2007-06-29 2007-06-29 衣料
JPJP-P-2007-00172421 2007-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388A KR20090004388A (ko) 2009-01-12
KR101387873B1 true KR101387873B1 (ko) 2014-04-23

Family

ID=40195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229A KR101387873B1 (ko) 2007-06-29 2007-12-26 의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38566B2 (ko)
KR (1) KR101387873B1 (ko)
CN (1) CN101331982A (ko)
TW (1) TW2009000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2257A (ja) * 2009-04-07 2010-10-28 Naigai Co Ltd ウォーキング用スパッツ
JP4601020B1 (ja) * 2010-05-14 2010-12-22 敬司 岡本 ボトム衣類
JP2012052276A (ja) * 2010-09-03 2012-03-15 Rushian:Kk インナーウェア
KR101256085B1 (ko) * 2011-04-26 2013-04-23 (주)인터마루인더스트리 근력보강성능을 가지는 싸이클복
US9872526B2 (en) * 2012-12-13 2018-01-23 Marc Safran Brace for preventing symptoms of femoral acetabular impingement
FR3027193B1 (fr) 2014-10-17 2016-12-09 Dbapparel Operations Bas du corps masculin regroupant plusieurs tailles
JP7059473B2 (ja) * 2017-09-25 2022-04-26 グンゼ株式会社 掴み帯部付き下衣
EP3729985A4 (en) * 2017-12-21 2021-02-17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BOTTOM CLOTH
JPWO2022265114A1 (ko) * 2021-06-18 2022-12-22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2814A (ja) 2000-11-09 2002-07-31 Combi Corp 脚力増強衣類
JP2004232157A (ja) 2003-01-31 2004-08-19 Tamurakoma & Co Ltd タイツ
JP2006089858A (ja) 2004-09-21 2006-04-06 Asahi Kasei Chemicals Corp 光触媒壁紙、それから誘導される多孔性光触媒壁紙
JP2006291411A (ja) 2005-04-13 2006-10-26 Tanaka Kikaku:Kk スパッ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2814A (ja) 2000-11-09 2002-07-31 Combi Corp 脚力増強衣類
JP2004232157A (ja) 2003-01-31 2004-08-19 Tamurakoma & Co Ltd タイツ
JP2006089858A (ja) 2004-09-21 2006-04-06 Asahi Kasei Chemicals Corp 光触媒壁紙、それから誘導される多孔性光触媒壁紙
JP2006291411A (ja) 2005-04-13 2006-10-26 Tanaka Kikaku:Kk スパッ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31982A (zh) 2008-12-31
TW200900017A (en) 2009-01-01
JP4938566B2 (ja) 2012-05-23
JP2009007720A (ja) 2009-01-15
KR20090004388A (ko) 2009-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873B1 (ko) 의료
KR100653625B1 (ko) 가랑이가 있는 의류
US8245324B2 (en) Bottom garment
JP4294598B2 (ja) タイツ
KR100227488B1 (ko) 힙업기능을 가지는 의류
KR100620834B1 (ko)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
KR101359442B1 (ko)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
US20100299799A1 (en) Clothing item with heterogeneous contention effect for practising a sport
US10912341B2 (en) Knee supporter and garment
JP4649374B2 (ja) 痩身衣類
KR20050120717A (ko) 가랑이가 있는 의류
US20080268749A1 (en) Crotch-Possessing Corrective Garment
JP5275438B2 (ja) 下半身衣類及び運動用服
WO2010050539A1 (ja) 衣類
JP5004676B2 (ja) 男性用下着
JP6055244B2 (ja) 体形補整機能を備えた上半身用衣類
WO2018079676A1 (ja) 被服
JP6227860B2 (ja) 体形補整機能を備えた下半身用衣類
CN104684424B (zh) 下身衣物
RU210517U1 (ru) Изделия компрессионные для ниж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JP5933405B2 (ja) 歩行運動促進衣類
JP7168847B2 (ja) 下衣
JP2023057792A (ja) 下半身用衣類
JP2023077783A (ja) インナーウェア
JP6443765B2 (ja) 体形調整衣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