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424B1 - 전폭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의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폭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의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424B1
KR101387424B1 KR20130137566A KR20130137566A KR101387424B1 KR 101387424 B1 KR101387424 B1 KR 101387424B1 KR 20130137566 A KR20130137566 A KR 20130137566A KR 20130137566 A KR20130137566 A KR 20130137566A KR 101387424 B1 KR101387424 B1 KR 101387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unit
length
anode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7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진
김기웅
안순호
김동명
김영훈
윤성한
류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2828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30118769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1380003648.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988356B/zh
Priority to EP16195956.4A priority patent/EP3168919B1/en
Priority to PCT/KR2013/010470 priority patent/WO2014081163A1/ko
Priority to JP2014551215A priority patent/JP6136026B2/ja
Priority to EP13840138.5A priority patent/EP27529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US14/261,907 priority patent/US9236631B2/en
Publication of KR101387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3Cells or batteries with horizontal or inclin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전폭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의 길이가 상이한 두 종류 이상의 전극 유닛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유닛들 간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적층된 전극 조립체이며, 상기 전폭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의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 간의 경계면에서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이 대향되도록 형성된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폭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의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디바이스 {ELECTRODE ASSEMBLY COMPOSED OF ELECTRODE UNITS WITH EQUAL WIDTHS AND DIFFERENT LENGTHS, BATTERY CELL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폭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의 길이가 서로 다른 전극 유닛들로 구성된 전극 조립체이며, 상기 전폭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의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 간의 경계면에서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이 대향되도록 형성된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의 증가로, 이차전지의 수요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에너지 밀도와 작동전압이 높고 보존과 수명 특성이 우수한 이차 전지가 각종 모바일 기기는 물론 다양한 전자제품의 에너지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 특히 리튬 이차 전지는 전지 케이스 내부에 전극 조립체와 전해질을 밀봉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외형에 따라 크게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으로 분류되며, 전해액의 형태에 따라 리튬 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최근 모바일 기기의 소형화에 대한 최근의 경향으로 인해, 두께가 얇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중량이 적은 파우치형 전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전지케이스에 수납되는 전극 조립체는 그 형태에 따라, 젤리-롤형(권취형), 스택형(적층형), 또는 스택/폴딩형(복합형)의 구조로 구분될 수 있다. 통상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는 전류 집전체로 사용되는 금속 호일에 전극활물질을 코팅하고, 프레싱한 후, 원하는 폭과 길이를 갖는 밴드 형태로 재단한 다음, 분리 필름을 이용해 음극과 양극을 격막한 후 나선형으로 감아서 제조되는 전극 조립체를 말하며, 스택형 전극 조립체는 음극, 분리막, 양극을 수직으로 적층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전극 조립체를 말한다. 한편,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는 단일 전극 또는 음극/분리막/양극으로 이루어진 전극 적층체들을 길이가 긴 시트형 분리 필름으로 말거나 접어서 제조되는 전극 조립체를 말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알려진 종래의 전극 조립체들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단위셀이나 개별 전극들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형상 자유도가 떨어져 디자인적인 제약이 많았다. 이에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전극들 또는 단위셀들을 적층하여 단차가 있는 전지를 제조하는 방안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안된 단차가 있는 전지들은 양극판 및 음극판을 원하는 면적으로 재단하여 서로 다른 면적의 단위셀들을 만들고 이들을 적층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데, 이 경우 각 단의 면적을 조절할 수는 있지만, 각 단의 두께는 단위셀 두께의 배수로 한정되기 때문에 전지의 두께 방향의 디자인 자유도가 그다지 넓지 않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들의 경우, 단순히 음극판과 양극판을 원하는 크기로 재단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단위셀들을 형성한 후, 이들을 적층하여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 정도만을 제시하고 있을 뿐, 실제로 사용가능한 정도의 전지 특성을 갖는 전지를 제조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은 전혀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예를 들면, 단차가 있는 전지의 경우, 전지를 구성하는 크기가 다른 단위셀들 각각은 문제없이 작동하더라도, 각 단을 구성하는 단위셀들의 구성에 따라 이들을 적층하였을 때는 작동이 불가능하거나, 동일 부피 대비 전지 용량이 현저하게 떨어진다거나, 충방전이 반복됨에 따라 단과 단 사이의 계면에서 스웰링이 심하게 발생하여 제품 수명이 지나치게 짧은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실제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종래 제안된 단차가 있는 전지들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전지셀이 적용되는 디바이스에 모양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하면서도, 대용량 및 고내구성 특성을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전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고, 박형이며, 우수한 전기 용량 특성을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셀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폭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의 길이가 상이한 2 이상의 전극 유닛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유닛들 간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적층되었으며, 상기 전폭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의 길이가 상이한 2 이상의 전극 유닛 들간의 경계면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이 대면되도록 형성된 전극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전극 조립체는 전폭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의 길이가 상이한 2 이상의 전극 유닛들 간의 경계면에서, 상대적으로 전장의 길이가 긴 전극 유닛의 음극과 상대적으로 전장의 길이가 짧은 전극 유닛의 양극이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25 ?에서 500회의 충방전을 실시하였을 때의 전기 용량이 1회 충방전 후의 전기용량 대비 60% 이상이고, 전극 조립체 전체의 두께 변화율이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서로 다른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들 간의 경계면에서 대향되는 양극과 음극의 밸런스(balance)가 맞도록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전장 길이가 상이한 n+1개 이상(이때, n은 1 이상의 정수)의 전극 유닛을 포함하며, n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을 Nn, n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을 Pn, n+1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용량을 Pn +1이라 할 때, Pn에 대한 Nn의 비율(즉, Nn/Pn)이 Pn +1에 대한 Nn의 비율(즉, Nn/Pn +1)보다 크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식 1: Nn/Pn ≤ Nn/Pn +1
한편,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가 전장 길이가 상이한 n+2개 이상의 전극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 n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을 Nn, n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을 Pn, n+1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용량을 Nn +1, n+1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용량을 Pn +1, n+2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용량을 Pn + 2이라 할 때, Pn +1에 대한 Nn의 비율(즉, Nn/Pn+1)은, Pn에 대한 Nn의 비율(즉, Nn/Pn)보다 작지 않고, Pn +1에 대한 Nn +1의 비율(즉, Nn +1/Pn +1)보다 크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n +1에 대한 Nn+1의 비율(즉, Nn +1/Pn +1)은 Pn +2에 대한 Nn +1의 비율(즉, Nn +1/Pn +2)보다 크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가 전장 길이가 상이한 세 종류 이상의 전극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하기 식 2를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식 2: Nn/Pn≤ Nn/Pn +1≤ Nn +1/Pn +1≤ Nn +1/Pn +2
또한,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전장 길이가 상이한 세 종류 이상의 전극 유닛을 포함하고, n+2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이 n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과 n+1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 사이에 개재되는 경우에는, 상기 Pn +2에 대한 Nn +1에 대한 비율(즉, Nn +1/Pn +2)은 Pn +2에 대한 Nn의 비율(즉, Nn/Pn +2)보다 작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하기 식 3을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식 3: Nn/Pn +2 ≤ Nn +1/Pn +2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전장 길이가 상이한 n+1개 이상의 전극 유닛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n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두께를 dNn, n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두께를 dPn, n+1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두께를 dPn + 1라 할 때, dPn에 대한 dNn의 비율(즉, dNn/dPn)이 dPn +1에 대한 dNn의 비율(즉, dNn/dPn +1)보다 크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경우,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하기 식 4를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식 4: dNn/dPn≤ dNn/dPn +1
한편,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가 전장의 길이가 상이한 세 종류 이상의 전극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n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두께를 dNn, n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두께 dPn, n+1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두께를 dNn +1, n+1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두께를 dPn +1, n+2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두께를 dPn + 2이라 할 때, dPn +1에 대한 dNn의 비율(즉, dNn/dPn +1)이 dPn에 대한 dNn의 비율(즉, dNn/dPn)보다 작지 않고, dPn +1에 대한 dNn +1의 비율(즉, dNn +1/dPn +1)보다 크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Pn +1에 대한 dNn +1의 비율(즉, dNn +1/dPn +1)은 dPn +2에 대한 dNn +1의 비율(즉, dNn +1/dPn +2)보다 크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경우,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하기 식 5를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식 5: dNn/dPn≤dNn/dPn +1≤ dNn +1/dPn +1≤ dNn +1/dPn +2
또한,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전장의 길이가 상이한 세 종류 이상의 전극 유닛을 포함하고, n+2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이 n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과 n+1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 사이에 개재되는 경우에는, 상기 dPn +2에 대한 dNn +1의 비율(즉, dNn +1/dPn +2)은 dPn +2에 대한 dNn의 비율(즉, dNn/dPn +2)보다 작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경우,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하기 식 6을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식 6: dNn/dPn +2 ≤ dNn +1/dPn +2
한편,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전장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 간의 경계면에서 대향되는 양극과 음극에 있어서, 상기 양극의 두께에 대한 상기 음극의 두께의 비율이 0.5 내지 2 정도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0.6 내지 1.9, 0.8 내지 1.5, 또는 1.0 내지 1.5 정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1.0, 1.1, 1.2, 1.3, 1.4 정도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전장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 간의 경계면에서 대향되는 양극 및 음극은 상기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에 대한 상기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의 비율이 약 1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1 ~ 2, 1 ~ 1.5, 1 ~ 1.2, 1 ~ 1.1, 1. 5 ~ 2, 1 ~ 1.09, 1.02 ~ 1.2, 1.02 ~ 1.09 또는 1.05 ~1.09 정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1.05, 1.06, 1.07, 1.08, 1.09 정도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가 전장 길이가 상이한 세 종류 이상의 전극 유닛들을 포함할 경우, 상기 전극 유닛들 간의 경계면에서 대항되는 양극과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의 비율은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전극 유닛들 간의 접촉 면적이 작아질수록 양극에 대한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의 비율이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극 유닛은 단일 전극; 적어도 하나의 양극, 적어도 하나의 음극 및 적어도 하나의 분리막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단위셀은
젤리-롤형, 스택형, 라미네이션 앤 스택형 및 스택 앤 폴딩형 단위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단위셀은 최외각 양면에 배치되는 2개의 전극의 극성이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전극 유닛들을 구성하는 단일 전극 및 단위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적어도 하나의 길이가 긴 시트형 분리필름에 의해 감싸져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전극 유닛은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각형,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곡선 형태인 사각형, 사다리꼴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이 곡선 형태인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단면 형상이 상이한 전극 유닛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단면 형상이 동일한 전극 유닛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전극 유닛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탭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전극탭들은 동일한 극성의 전극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전극탭들은 그 크기가 동일할 수도 있고, 전극 유닛의 면적에 따라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전폭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의 길이가 상이한 2 이상의 전극 유닛들은 다양한 배열로 적층될 수 있다. 전극 유닛의 적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전극 조립체의 하부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전극 유닛의 전장의 길이가 작아지는 배열로 전극 유닛들을 적층할 수 있고, 반대로 전극 조립체의 하부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전극 유닛의 전장의 길이가 커지는 배열로 전극 유닛 들을 적층할 수도 있으며, 또는 전극 유닛 들 중 가장 전장의 길이가 긴 전극 유닛이 상기 전극 조립체의 중간층에 배치되는 배열로 적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전극 유닛 들은 각각의 전극 유닛의 평면 방향의 중심점이 일치되는 배열로 적층되거나, 각각의 전극 유닛의 평면 방향의 중심점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배열로 적층되거나, 또는 각각의 전극 유닛의 전폭의 일 변이 일치되는 배열로 적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가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전지케이스는 파우치형 케이스인 전지셀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지케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전극 조립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지셀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또는 리튬 이온 폴리머 이차 전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지셀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넷북,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장치인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지셀의 잉여 공간에 디바이스의 시스템 부품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전장 길이가 다른 2종 이상의 전극 유닛들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매우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용화 가능한 수준의 우수한 전기 용량 및 내구성 특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전장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 간의 경계면에서의 양극과 음극의 밸런스를 맞춤으로써, 용량 특성 및 내구성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각 단을 구성하는 전극 유닛들의 면적뿐 아니라 두께도 비교적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 자유도가 매우 우수하다. 그 결과, 디바이스 장착 시에 디자인적인 요소 때문에 발생하게 되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최소화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전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탭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전극 유닛들의 적층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 의해 제조된 전극 조립체를 500회 충방전하였을 때의 전기 용량 및 두께 변화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전극 유닛 간 경계면에서의 음극/양극의 가역 용량 비율에 따른 에너지 밀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전극 유닛 간 경계면에서의 음극/양극의 두께 비율에 따른 에너지 밀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라미네이션 앤 스택형 단위셀의 구현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도면에 기재된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발명의 원활한 이해를 위해 일부 구성요소가 과장, 축소 또는 생략되어 표현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전폭(W)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L)의 길이가 상이한 두 종류 이상의 전극 유닛(110, 120, 130)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 유닛들 간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적층된 전극 조립체이며, 상기 전폭(W)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L)의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 간의 경계면에서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이 대향(對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전극 유닛의 전폭(W)은, 전극 조립체의 구성요소로서 마주보는 두 개의 변의 길이가 각각 동일한 네 개의 변으로 구성된 전극 유닛들 중 가장 면적이 큰 전극 유닛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두 변을 말한다. 전장(L)은 전극 유닛의 네 개의 변 중 상기 전폭(W)을 제외한 나머지 두 변을 말한다.
또한, 상기 '전극 유닛'은 본 발명의 단차가 있는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의 한 층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각각의 전극 유닛들은 음극 또는 양극과 같은 단일 전극; 적어도 하나의 음극, 적어도 하나의 양극 및 적어도 하나의 분리막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위셀'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음극, 적어도 하나의 양극 및 적어도 하나의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적층체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단위셀에서의 음극, 양극 및 분리막의 적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이라는 용어는, 시트형 음극 및 시트형 양극을 분리막 필름을 이용하여 격막한 후, 나선형으로 감아서 제조되는 젤리-롤 방식으로 제조된 전극 적층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극,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리막,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극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제조되는 스택 방식으로 제조된 전극 적층체; 또는 단일 전극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극, 분리막, 음극들이 적층된 전극 적층체들을 길이가 긴 시트형 분리 필름 상에 배치한 다음 폴딩하는 스택 앤 폴딩 방식으로 제조되는 전극 적층체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택 방식으로 제조된 전극 적층체는, 양극, 분리막, 음극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뿐 아니라, 하나 이상의 양극, 하나 이상의 음극 및 하나 이상의 분리막을 라미네이션(lamination)하여 전극 단위체를 형성한 다음, 이 전극 단위체들을 적층(stacking)하는 방식(이하 '라미네이션 앤 스택 방식'으로 지칭됨)으로 제조된 전극 적층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라미네이션 앤 스택 방식으로 전극 적층체를 제조할 경우, 상기 전극 단위체는 하나 이상의 양극, 하나 이상의 음극 및 하나 이상의 분리막을 포함하는 것이면 되고, 그 구성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공정의 간편성 및 경제성의 관점에서, 라미네이션 앤 스택 방식으로 전극 적층체를 제조할 경우에는 전극 단위체는 제1전극/분리막/제2전극/분리막 또는 분리막/제1전극/분리막/제2전극으로 이루어진 기본 구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의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으로, 양극 또는 음극일 수 있으며, 상기 전극 단위체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기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라미네이션 앤 스택 방식의 전극 적층체는 상기한 기본 구조를 포함하는 전극 단위체만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상기 기본 구조를 갖는 전극 단위체와 다른 구조의 전극 구조체를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15 내지 도 17에는 라미네이션 앤 스택 방식으로 제조된 전극 적층체들의 다양한 예들이 개시되어 있다.
도 15에는 분리막(60)/음극(50)/분리막(60)/양극(40)의 기본구조를 갖는 전극 단위체들(710)로 이루어진 라미네이션 앤 스택 방식의 전극 적층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는 기본 구조가 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양극과 음극의 위치를 바꿔 분리막/양극/분리막/음극의 기본 구조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단위체의 기본 구조가 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인 경우에는 전극 적층체의 최외각에 분리막 없이 양극이 노출되게 되므로, 이러한 기본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최외각에 노출되는 양극은 노출되는 면에는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는 단면 코팅 양극을 사용하는 것이 용량 등을 고려한 전극 설계 시 바람직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5에는 전극 단위체들이 하나의 기본 구조를 갖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본 구조가 2개 이상 반복하여 적층되어 있는 것을 하나의 전극 단위체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6에는 분리막(60)/음극(50)/분리막(60)/양극(40)의 기본구조를 갖는 전극 단위체(810)들과 분리막(60)/음극(50)/분리막(60)구조로 이루어진 전극 구조체가 적층(stacking)되어 이루어진 전극 적층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과 같이, 최외각면에 분리막(60)/음극(40)/분리막(60)구조로 이루어진 전극 구조체를 적층할 경우, 양극(5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기 용량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전극 단위체의 최외각에 음극이 위치하는 배열의 경우에는, 그 상부에 분리막/양극/분리막 구조로 이루어진 전극 구조체를 적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음극의 용량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도 17에는 음극(50)/분리막(60)/양극(40)/분리막(60)의 기본구조를 갖는 전극 단위체(810')들과 음극(50)/분리막(60)/양극(40)/분리막(60)/음극(50)의 구조를 갖는 전극 구조체(820')가 적층(stacking)되어 이루어진 전극 적층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과 같이, 전극 적층체의 최외각면에 음극(50)/분리막(60)/양극(40)/분리막(60)/음극(50)의 구조를 갖는 전극 구조체(820')를 적층할 경우, 양극이 외부로 노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기 용량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6 및 도 1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라미네이션 앤 스택 방식으로 제조된 전극 적층체들은 상기한 기본 구조를 갖는 전극 단위체들과 함께, 단일 전극, 분리막 또는 상기한 전극 단위체들과 배열 및 구성이 상이한 단위셀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기본 구조를 갖는 전극 단위체들을 적층하였을 때, 외부로 양극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 및/또는 전지 용량의 향상 측면에서 전극 적층체의 최외각 일면 및/또는 양면에 단일 전극, 단면 코팅 전극, 분리막 또는 상기한 전극 단위체들과 배열 및 구성이 상이한 단위셀들을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도 16 및 17에는 전극 적층체의 상부에 다른 구조의 전극 구조체가 적층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전극 적층체의 하부에 다른 구조의 전극 구조체가 적층될 수도 있고, 상부와 하부에 모두 다른 구조의 전극 구조체가 적층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들은 양극/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 또는 음극/분리막/양극/분리막/음극 등과 같이 단위셀의 최외각의 양면에 배치되는 전극들이 동일한 극성을 갖는 것일 수도 있고, 양극/분리막/음극 또는 양극/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분리막/음극과 같이 단위셀의 최외각의 양면에 배치되는 전극들이 반대의 극성을 갖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택 앤 폴딩'이라는 용어는, 길이가 긴 시트형 분리 필름 상에 단일 전극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극, 분리막, 음극들이 적층된 전극 적층체들을 배치한 다음 폴딩하는 방식을 통칭하는 것으로, 폴딩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다양한 폴딩 방식, 예를 들면, 시트형 분리 필름을 지그재그 형태로 접는 방식(Z-폴딩형 또는 병풍형으로 지칭됨), 시트형 분리 필름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극과 양극을 분리막을 개재하여 적층시킨 전극 적층체들을 배치한 다음 감아서 마는 방식, 또는 시트형 분리 필름의 양면에 단일 전극들을 교대로 배치한 다음 시트형 분리 필름을 감아서 마는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폴딩 방식들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젤리-롤 방식으로 제조된 단위셀을 젤리-롤형 단위셀로, 스택 방식으로 제조된 단위셀을 스택형 단위셀로, 스택 앤 폴딩 방식으로 제조된 단위셀을 스택 앤 폴딩형 단위셀로 지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전폭(W)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L)의 길이가 상이한 두 종류 이상의 전극 유닛을 단차가 형성되도록 적층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다양한 형상의 전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장(L)의 길이의 차이는, 전극 유닛들이 적층되었을 때, 단차를 형성할 수 있는 정도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하는 전지의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전극 조립체에 포함되는 두 개의 전극 유닛을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전장(L)의 길이가 짧은 전극 유닛은 상대적으로 전장(L)의 길이가 긴 전극 유닛의 전장(L)의 길이를 100%라 할 때, 20% 내지 9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의 범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각각의 전극 유닛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전장(L)의 길이가 긴 전극 유닛이 상대적으로 전장(L)의 길이가 짧은 전극 유닛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도 있고,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서로 전장(L)의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 사이의 경계면에서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이 대향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전극 유닛 간의 경계면에서도 전기를 저장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전기 용량이 증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때, 상기 '대향'이라는 용어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향되는 두 전극이 서로 접촉하고 있을 필요는 없으며, 두 전극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분리막 및/또는 시트형 분리 필름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전폭(W)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L)의 길이가 상이한 두 종류 이상의 전극 유닛 사이의 경계면에서 전장(L)의 길이가 긴 전극 유닛의 음극과 전장(L)의 길이가 짧은 전극의 양극이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전장(L)의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 간의 경계면에 전장(L)의 길이가 긴 전극 유닛의 양극이 배치될 경우, 상기 전극 유닛의 양극으로부터 리튬 금속이 석출되어 전지 수명이 단축시키거나, 전지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서로 다른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들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각각의 전극 유닛의 두께 역시 상이하게 구성함으로써 매우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단순히 전장 길이가 다른 전극 유닛들을 제조하여 적층하는 것만으로는 상용화할 수 있는 수준의 용량 및 내구성 특성을 갖는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기 힘들 뿐 아니라, 전극 유닛의 두께가 단위셀의 두께나 단위 전극의 두께의 배수로 한정되기 때문에 두께 방향의 디자인 자유도가 매우 제약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디자인 자유도, 특히 두께 방향의 디자인 자유도가 종래보다 월등하게 우수하면서도, 상용화가 가능한 정도의 출력 효율 및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전장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 간의 경계면에서의 밸런스를 조절함으로써, 용량, 내구성 및 두께 방향의 디자인 자유도가 모두 우수한 전극 조립체를 생산해낼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이때, 상기 전장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 간의 경계면에서의 밸런스(balance)가 맞도록 조절된다는 것은, 일정한 사이클 내에서 안정적으로 출력 효율 및 전지 안정성이 유지되도록 전극 유닛들 간의 경계면에서 대향되는 양극과 음극을 설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경계면에서의 양극과 음극의 용량이나 두께 등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25℃에서 500회의 충방전을 실시하였을 때의 전기 용량이 1회 충방전 후의 전기용량 대비 60% 이상이고, 전극 조립체 전체의 두께 변화율이 15% 이하가 되도록, 서로 다른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들 간의 경계면에서 대향되는 양극과 음극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기 용량은 하기와 같은 충전 조건(A) 및 방전 조건(B) 하에서 측정된 전기 용량을 의미한다. 한편, 충전과 방전 사이에는 10분의 휴지 시간을 두었다.
충전 조건 (A): 1C으로 정전류(constant Current)모드에서 4.25V 또는 4.35V까지 충전한 후, 정전압(constant Voltage) 모드로 전환하여 충전 전류의 양이 전지의 최소 용량의 1/20이 될 때까지 전류를 흘려 보낸 후 충전을 종료하였다.
방전 조건(B): 정전류(constant Current)모드로 1C의 방전 전류를 흘려보내고, 전압이 3V에 도달하면 방전을 종료하였다.
한편, 상기 전극 조립체의 두께 변화율은 (500회 충방전 실시 후의 전극 조립체 전체의 두께 / 1회 충방전 실시 후의 전극 조립체 전체의 두께)×100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오랜 연구 끝에 전장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 간의 경계면에서 대향되는 음극과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을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전극 유닛 간의 경계면에서의 밸런스를 맞출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n번째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을 Nn , n+1번째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용량을 Nn +1, n번째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을 Pn , n+1번째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용량을 Pn +1 이라 할 때,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Pn에 대한 Nn의 비율(즉, Nn/Pn)이 Pn +1에 대한 Nn의 비율(즉, Nn/Pn +1)보다 크지 않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1: Nn/Pn ≤ Nn/Pn +1
이때, 상기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이때, 상기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은 단위 면적당 음극 충전 용량[mAh/cm2] × 음극 효율[%]로 정의된 값을 의미하는 것이고, 상기 단위 면적당 음극 충전 용량은 단위 면적당 음극 활물질의 로딩량 [g/cm2] × 단위 무게당 음극 충전 용량 [mAh/g]로 정의되는 값을 말하며, 상기 음극 효율은 음극의 충전 용량에 대한 음극의 방전 용량의 비 × 100으로 정의된 값을 말한다. 또한, 상기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용량은, 양극 활물질의 로딩량[g/cm2] × 단위 무게당 양극 충전 용량 [mAh/g] - 음극의 단위 면적당 비가역용량[mAh]으로 정의되는 값을 의미한다.
한편, 음극 활물질 로딩량은 음극 집전체에 코팅되는 음극 활물질의 단위 면적당 무게를 의미하며, 양극 활물질 로딩량은 양극 집전체에 코팅되는 양극 활물질의 단위 면적당 무게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단위 무게당 양극 및 음극의 충전 용량, 방전 용량 및 비가역용량은 각각 하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측정될 수 있다.
1) 단위 무게당 양극의 충전 용량
평가하고자 하는 양극을 반전지(half Cell)로 만든 후, 상대 전극을 리튬 금속으로 구성하고, 0.1C의 정전류 하에서 충전하여 작용 전극 전위가 4.25V에 도달했을 때 전기 용량을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측정된 전기 용량을 양극 반전지의 활물질 무게로 나눈 값을 단위 무게당 양극의 충전용량으로 한다.
2) 단위 무게당 음극의 충전 용량
평가하고자 하는 음극을 반전지(half Cell)로 만든 후, 상대 전극을 리튬 금속으로 구성하고, 0.1C의 정전류 하에서 충전하여 작용 전극 전위가 1.6V에 도달하였을 때의 전기 용량을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측정된 전기 용량을 음극 반전지의 활물질 무게로 나눈 값을 단위 무게당 음극의 충전용량으로 한다.
3) 단위 무게당 음극의 방전 용량
평가하고자 하는 음극을 반전지(half Cell)로 만든 후, 상대 전극을 리튬 금속으로 구성하고, 0.1C의 정전류 하에서 충전하여 작용 전극 전위가 1.6V에 도달 후 0.1C의 정전류 하에서 방전하여 작용 전극 전위가 0V 때의 전기 용량을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측정된 전기 용량을 음극 반전지의 활물질 무게로 나눈 값을 단위 무게당 음극의 충전용량으로 한다.
4) 단위 무게당 음극의 비가역 용량: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된 음극의 충전 용량과 방전 용량의 차이를 음극 반전지의 활무질의 무게로 나눈 값이다.
한편,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전장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의 경우, 각각의 전극 유닛들이 제대로 작동하게 설계되더라도, 전극 유닛들의 계면에서의 용량 비율이 상기 식 1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용화할 수 있는 수준의 용량 및 내구성 특성을 갖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종래의 크기의 전극 유닛들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들에서는 전혀 예측되지 않는 것으로, 전장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전극 조립체 제조 과정에서는 고려되지 않았던 새로운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 1을 만족할 경우, 그 범위 내에서 개별 전극 유닛의 두께를 비교적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두께 방향의 디자인 자유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경제성 및 부피당 에너지 밀도 등을 고려하였을 때,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Nn/Pn 및 Nn/Pn +1은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 정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하기 식 1-1을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1-2를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식 1-1: 1 ≤ Nn/Pn ≤ Nn/Pn +1
식 1-2: 1 ≤ Nn/Pn ≤ Nn/Pn +1≤ 1.2
상기 식 1-1 및 식 1-2에서, n, Nn, Pn Pn +1의 정의는 식 1과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가 전장 길이가 상이한 n+2개(n은 1 이상의 정수)이상의 전극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에, n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을 Nn, n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을 Pn, n+1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용량 Nn +1, n+1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용량 Pn +1, n+2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용량 Pn + 2이라 할 때,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Pn +1에 대한 Nn의 비율(즉, Nn/Pn +1)은, Pn에 대한 Nn의 비율(즉, Nn/Pn)보다 작지 않고, Pn +1에 대한 Nn +1의 비율(즉, Nn +1/Pn +1)보다 크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n +1에 대한 Nn +1의 비율(즉, Nn +1/Pn +1)은 Pn +2에 대한 Nn +1의 비율(즉, Nn +1/Pn +2)보다 크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가 전장 길이가 상이한 세 종류 이상의 전극 유닛의 조합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하기 식 2를 만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2: Nn/Pn≤Nn/Pn +1≤ Nn +1/Pn +1≤ Nn +1/Pn +2
상기 식 2에서,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한편, 경제성 및 부피당 에너지 밀도 등을 고려하였을 때,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Nn/Pn , Nn/Pn +1 Nn +1/Pn +1 Nn +1/Pn +2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정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하기 식 2-1을 만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2-1: 1 ≤ Nn/Pn≤Nn/Pn +1≤ Nn +1/Pn +1≤ Nn +1/Pn +2
식 2-2: 1 ≤ Nn/Pn≤Nn/Pn +1≤ Nn +1/Pn +1≤ Nn +1/Pn +2 ≤ 1.2
상기 식 2-1 및 식 2-2에서, n, Nn, Nn +1, Pn Pn +1의 정의는 상기와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가 전장 길이가 상이한 n+2개 이상의 전극 유닛을 포함하고, n+2번째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이 n번째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과 n+1번째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 사이에 개재되는 경우, 상기 Pn +2에 대한 Nn +1에 대한 비율(즉, Nn+1/Pn+2)은 Pn +2에 대한 Nn의 비율(Nn/Pn +2)보다 작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가 전장 길이가 상이한 세 종류 이상의 전극 유닛의 조합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식 2와 하기 식 3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3: Nn/Pn +2 ≤ Nn +1/Pn +2
상기 식 3에서, n은 1 이상의 정수이며, Nn은 n번째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 Nn +1은 n+1번째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용량, Pn +1은 n+1번째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용량 및 Pn +2는 n+2번째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용량이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에 포함되는 양극 및 음극의 가역 용량을 상기와 같은 조건들을 만족하도록 설계할 경우, 각 전극 유닛들의 전장 길이 및 두께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우수한 출력 효율 및 구조적 안정성, 즉, 25℃에서 500회의 충방전을 실시하였을 때의 전기 용량이 1회 충방전 후의 전기용량 대비 60% 이상이고, 전극 조립체 전체의 두께 변화율이 15% 이하인 전극 조립체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전장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 간의 경계면에서 대향되는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에 대한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의 비율이 1 이상, 바람직하게는, 1 ~ 2, 1 ~ 1.5, 1 ~ 1.1, 1 ~ 1.09, 1. 5 ~ 2, 1.02 ~ 1.09, 1.05 ~1.09 1.05, 1.06, 1.07, 1.08 또는 1.09이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경계면에서 대향되는 양극에 대한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용 용량 비율이 1 이상인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는 전극 유닛의 면적이나 두께 등을 비교적 자유롭게 변경시켜도 상용 가능한 수준의 전지 용량 및 내구성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계면에서 대향되는 양극과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의 비율이 1 미만인 경우에는, 스웰링이 발생하여 전지 안정성 및 전극 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가 전장 길이가 상이한 세 종류 이상의 전극 유닛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경우라면, 상기 전극 유닛들 간의 경계면에서의 단위 면적당 양극의 가역 용량에 대한 단위 면적당 음극의 가역 용량의 비율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전극 유닛들 간의 접촉 면적이 작을수록 커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장 길이가 가장 긴 전극 유닛(편의상, 제1전극 유닛이라 함), 전장 길이가 중간인 전극 유닛(편의상, 제2전극 유닛이라 함) 및 전장 길이가 가장 짧은 전극 유닛(편의상, 제3전극 유닛이라 함)을 포함할 경우, 상기 제2전극 유닛과 제3전극 유닛의 경계면에 배치된 양극과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의 비율은 상기 제1전극 유닛과 제2전극 유닛의 경계면에 배치된 양극과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의 비율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전장 길이가 다른 전극 유닛들의 수가 많아질 경우, 전극 유닛들 간의 경계면이 2 이상 발생하며, 이들 상기 2 이상의 경계면에서의 밸런스들이 조절되지 않을 경우, 구조적 변형에 따른 전지 안정성 및 성능의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전폭 길이가 상이한 3 종류 이상의 전극 유닛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경우, 전극 유닛들 간의 경계면에 배치된 양극과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의 비율이 상기와 같이 구성될 때, 구조적 변형에 따른 전지 안정성 및 성능의 저하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서로 다른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 간의 경계면에서의 양극과 음극의 밸런스를 맞추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전장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 간의 경계면에서 대향되는 양극의 두께와 음극의 두께의 비율이 특정한 범위를 만족하도록 설계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전장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 간의 경계면에서 대향되는 양극의 두께에 대한 음극의 두께의 비율(즉, 음극 두께/양극 두께)은 0.5 내지 2 정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8,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4 정도일 수 있다. 전극 유닛들 간의 경계면에서 대향되는 양극과 음극의 두께 비율이 0.5 미만인 경우에는 양극의 리튬 이온을 받을 수 있는 음극의 자리가 부족하여 리튬이온이 석출되어 성능 및 설계한 용량 대비 낮은 용량을 보일 수 있고, 2를 초과할 경우에는 초기 충전 시 리튬 이온을 받을 수 있는 음극의 사이트가 많아져 비가역 용량이 커지고 설계한 용량 대비 실제 용량이 낮으며 과도한 량의 음극이 사용되어 전지 밀도 대비 용량의 효율인 에너지 밀도가 낮아질 뿐 아니라, 코팅력이 저하되어 음극 활물질이 탈리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극 및 음극의 두께는, 이온 밀링 방지(CP, cross section polisher)를 이용하여 전극 조립체를 절단하여 단면을 노출시킨 다음, SEM 장비를 이용하여 단면을 스캔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극 및 음극의 두께는 전극 집전체와 전극 활물질층을 모두 포함하는 두께를 말하며, 예를 들면, 전극 활물질층이 단면에 코팅되어 있는 단면 전극의 경우에는 활물질층과 집전체를 합한 두께를 의미하고, 전극 활물질층이 양면에 코팅되어 있는 양면 전극의 경우, 즉 활물질층/집전체/활물질층로 이루어진 전극의 경우에는 2개의 활물질층과 집전체를 합한 두께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n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두께를 dNn, n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두께를 dPn, n+1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두께를 dPn + 1라 할 때, dPn에 대한 dNn의 비율(즉, dNn/dPn)이 dPn + 1대한 dNn의 비율(즉, dNn/dPn +1)보다 크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하기 식 4를 만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4: dNn/dPn≤ dNn/dPn +1
상기 식 4에서,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한편,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경제성 및 단위 부피당 에너지 밀도를 고려하였을 때,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dNn/dPn 및 dNn/dPn +1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9 정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정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하기 식 4-1을 만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4-2를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4-3을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식 4-1: 0.5 ≤ dNn/dPn≤ dNn/dPn +1≤ 2
식 4-2: 0.6 ≤ dNn/dPn≤ dNn/dPn +1≤ 1.9
식 4-3: 1.0 ≤ dNn/dPn≤ dNn/dPn +1≤1.5
이때, 상기 식 4-1. 4-2 및 4-3에서, dNn, dPn dPn +1의 정의는 상기와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가 전장 길이가 상이한 n+2개 이상의 전극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n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두께를 dNn, n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두께를 dPn, n+1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두께를 dNn +1, n+1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두께를 dPn +1, n+2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두께를 dPn + 2이라 할 때, dPn +1에 대한 dNn의 비율(즉, dNn/dPn +1)이 dPn에 대한 dNn의 비율(즉, dNn/dPn)보다 작지 않고, dPn +1에 대한 dNn +1의 비율(즉, dNn +1/dPn +1)보다 크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Pn +1에 대한 dNn +1의 비율(즉, dNn +1/dPn +1)은 dPn +2에 대한 dNn +1의 비율(즉, dNn +1/dPn +2)보다 크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가 전장 길이가 상이한 세 종류 이상의 전극 유닛을 포함할 경우, 하기 식 5를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식 5: dNn/dPn≤dNn/dPn +1≤ dNn +1/dPn +1≤ dNn +1/dPn +2
상기 식 5에서, n은 1 이상의 정수임.
한편,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경제성 및 단위 부피당 에너지 밀도를 고려하였을 때,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dNn/dPn, dNn/dPn +1, dNn +1/dPn +1 및 dNn+1/dPn+2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9 정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정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하기 식 5-1을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5-2를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5-3을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식 5-1: 0.5 ≤ dNn/dPn≤dNn/dPn +1≤ dNn +1/dPn +1≤ dNn +1/dPn +2 ≤ 2
식 5-2: 0.6 ≤ dNn/dPn≤dNn/dPn +1≤ dNn +1/dPn +1≤ dNn +1/dPn +2 ≤ 1.9
식 5-3: 1.0 ≤ dNn/dPn≤dNn/dPn +1≤ dNn +1/dPn +1≤ dNn +1/dPn +2 ≤ 1.5
이때, 상기 식 5-1, 5-2 및 5-3에서, dNn, dNn +1, dPn dPn +1의 정의는 식 5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가 전장 길이가 상이한 세 종류 이상의 전극 유닛을 포함하고, n+2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이 n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과 n+1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 사이에 개재되는 경우에는, 상기 dPn +2에 대한 dNn+1의 비율(즉, dNn +1/dPn +2)은 dPn +2에 대한 dNn의 비율(즉, dNn/dPn +2)보다 작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식 5와 하기 식 6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6: dNn/dPn +2 ≤ dNn +1/dPn +2
상기 식 6에서, n은 1 이상의 정수이며, dNn은 n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두께, dNn +1은 n+1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두께, dPn +1은 n+1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두께 및 dPn +2는 n+2번째로 긴 전장을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두께이다.
상기와 같이, 전극 유닛들간의 경계면에서의 양극과 음극의 두께를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할 경우, 가역 용량의 비율을 조절하는 방법에 비해 설계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사용되는 전극의 스펙이 전극 유닛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에는 두께 비율만으로는 밸런스가 맞춰지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경계면에서의 양극과 음극의 가역 용량의 비율을 조절하는 방법에 따라 전극 조립체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각각의 전극 유닛에서 사용되는 전극의 스펙이 동일한 경우 또는 전극의 스펙이 달라지더라도, 사용되는 음극 활물질의 충전 용량이 양극 활물질의 충전용량의 1.5배 내지 3배 정도, 바람직하게는 1.8배 내지 2.5배 정도인 경우라면, 전극 유닛들간의 경계면에서의 양극과 음극의 두께를 상기와 같은 범위로 설계함으로써, 경계면에서의 밸런스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 포함되는 각각의 양극 및 음극은 전극 유닛 간의 경계면에서의 밸런스가 맞도록 설계되면 되고, 각각의 전극 두께, 공극율, 로딩량 등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 포함되는 양극 및 음극의 두께는, 사용되는 전극 활물질의 종류, 구현하고자 하는 전지 용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양극의 두께는 50 ~ 150㎛, 80 ~ 140㎛ 또는 100 ~ 150㎛ 정도일 수 있고, 상기 음극의 두께는 80 ~ 200㎛, 100 ~ 200㎛ 또는 100 ~ 150㎛ 정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 포함되는 양극 및 음극에 있어서, 전극 활물질의 단위 면적당 코팅량(로딩량이라고도 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전극 활물질의 종류, 구현하고자 하는 전지 용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 양극 활물질의 단위 면적당 코팅량은, 10mg/cm2 내지 30 mg/cm2 정도, 10mg/cm2 내지 25 mg/cm2 정도, 또는 15mg/cm2 내지 30 mg/cm2 정도일 수 있으며, 음극 활물질의 단위 면적당 코팅량은 5mg/cm2 내지 20 mg/cm2 정도, 5 mg/cm2 내지 15 mg/cm2 정도, 또는 10mg/cm2 내지 20 mg/cm2정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및 음극에 있어서, 공극율(porosity)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전극 활물질의 종류, 구현하고자 하는 전지 용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 양극의 공극율은 10 ~ 30% 정도, 15 내지 30% 정도, 또는 10 ~ 25% 정도일 수 있으며, 음극의 공극율은 15 내지 50% 정도, 20 ~ 50% 정도 또는 15% ~ 40% 정도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에 포함되는 양극 및 음극의 두께를 상기와 같은 조건들을 만족하도록 설계할 경우, 각 전극 유닛들의 전장 길이 및/또는 두께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도, 우수한 출력 효율 및 구조적 안정성, 즉, 25℃에서 500회의 충방전을 실시하였을 때의 전기 용량이 1회 충방전 후의 전기용량 대비 60% 이상이고, 전극 조립체 전체의 두께 변화율이 15% 이하인 전극 조립체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 포함되는 전극 유닛들은 매우 다양한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극 유닛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의 전극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1과 같은 형태로 적층된 스택형 단위셀로 이루어진 전극 유닛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의 A-A' 절단 단면도를 개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전장(L)의 길이가 상이한 3종의 전극 유닛들(110, 120, 13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전극 유닛들은 양극(40), 음극(50)이 분리막(60)을 개재하여 적층된 스택형 단위셀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전극 유닛들은, 전극 유닛 130과 같이 하나의 단위셀(105)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전극 유닛 110 또는 120과 같이 전폭(W)의 길이 및 전장(L)의 길이가 동일한 2개 이상의 단위셀들(101, 102, 103, 104)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는 전극 유닛을 구성하는 단위셀이 모두 스택형 단위셀인 경우가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전극 유닛은 스택형 단위셀 이외에도 젤리-롤형 단위셀, 스택 앤 폴딩형 단위셀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들 단위셀과 단일 전극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종류의 단위셀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는 젤리-롤형 단위셀과 단일 전극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전극 유닛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예를 들면, 전장(L)의 길이가 상이한 2종의 전극 유닛들(210, 22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대적으로 전장(L)의 길이가 짧은 전극 유닛(210)은 젤리-롤형 단위셀(201)과 단일 전극(20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대적으로 전장의 길이가 긴 전극 유닛(220)은 젤리-롤형 단위셀(20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젤리-롤형 단위셀(201, 203)은 음극 시트(50')와 양극 시트(40')가 분리막(60')이 개재된 상태로 권취되며, 전지의 안정성을 고려할 때, 음극 시트가 바깥쪽으로 나오도록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단일 전극(202)은 양극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극 시트가 바깥쪽으로 나오도록 권취된 젤리롤형 단위셀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양극 활물질을 코팅하지 않는 무지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는 젤리-롤형 단위셀과 단일 전극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전극 유닛과, 하나의 젤리-롤형 단위셀로 이루어진 전극 유닛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택형 단위셀 및/또는 스택 앤 폴딩형 단위셀과 단일 전극을 조합하여 하나의 전극 유닛을 구성하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2종 이상의 단위셀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전극 유닛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택형 단위셀과 스택 앤 폴딩형 단위셀들을 조합하여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를 구현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전장(L)의 길이가 상이한 3종의 전극 유닛들(310, 320, 33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가장 전장(L)의 길이가 짧은 전극 유닛(310)과 가장 전장(L)의 길이가 긴 전극 유닛(330)은 스택형 단위셀로 이루어져 있고, 전장(L)의 길이가 중간인 전극 유닛(320)은 스택 앤 폴딩형 단위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 가장 전장(L)의 길이가 짧은 전극 유닛(310)은 음극(50)/분리막(60)/양극(40)/분리막(60)/음극(50)/분리막(60)/양극(40)의 구조로 이루어진 스택형 단위셀로 이루질 수 있고, 가장 전장(L)의 길이가 긴 전극 유닛(330)은 음극(50)/분리막(60)/양극(40)/분리막(60)/음극(50)/분리막(60)/양극(40)/분리막(60)/음극(50)의 구조로 이루어진 스택형 단위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단위셀은 최외각 양면에 배치되는 전극의 극성이 상이할 수도 있고, 동일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단위셀에 하나 이상의 양극 및/또는 하나 이상의 음극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전장(L)의 길이가 중간인 전극 유닛(320)은 시트형 분리 필름(70)에 의해 음극, 양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적층체들이 감겨져 적층된 스택 앤 폴딩형 단위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단일 전극으로 이루어진 전극 유닛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단일 전극으로 이루어진 전극 유닛(420)과 하나 이상의 단위셀(401, 402)으로 이루어진 전극 유닛(4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하나의 전극 유닛은 단일 전극,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단위셀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단위셀들, 예를 들면, 스택형, 젤리-롤형, 스택 앤 폴딩형 단위셀 및/또는 이들의 조합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2 ~ 5에 개시된 것 이외에도 다양한 전극 유닛들의 조합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전극 유닛들을 구성하는 단일 전극 및 단위셀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적어도 하나의 시트형 분리 필름에 의해 감싸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은 시트형 분리 필름에 의해 전극 유닛을 구성하는 단일 전극 및 단위셀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감싸있는 구조로 형성된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의 일 구현예를 보여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유닛들(610, 620, 630)을 구성하는 단위셀들(601, 602, 603, 604, 605, 606, 607)들을 시트형 분리 필름(70)을 이용하여 감싸는 경우, 시트형 분리 필름(70)에 의해 전지 팽창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어, 전지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에는 시트형 분리 필름이 없어도 무방하다.
한편, 도 6에는 시트형 분리 필름이 단위셀들(501, 502, 503, 504, 505, 506, 507)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감싸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트형 분리 필름으로 단일 전극 및/또는 단위셀들을 감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시트형 분리 필름(670) 상에 전폭(W)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L)의 길이가 상이한 단위셀(601, 602, 603, 604, 605, 606, 607)을 적절한 간격으로 배열한 다음, 시트형 분리 필름을 말아서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시트형 분리 필름의 일면에 양극을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하고, 그 반대면에 음극을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한 다음, 시트형 분리 필름을 마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거나, 2장의 시트형 분리 필름을 준비하고, 이 중 하나의 시트형 분리 필름에는 음극을 소정의 배열로 적층하고, 다른 하나의 시트형 분리 필름에는 양극을 소정의 배열로 적층한 다음, 2장의 시트형 분리 필름을 함께 마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시트형 분리 필름을 이용하여 전극 유닛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는 방법은 제조하고자 하는 전극 조립체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변형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전극 조립체에 포함되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들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음극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 또는 이들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포함된 합금에 의해 제조된 음극 전류 집전체에 리튬금속, 리튬합금, 카본, 석유코크, 활성화 카본, 그래파이트, 실리콘 화합물, 주석 화합물, 티타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합금 등과 같은 음극 활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니켈, 구리 또는 이들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포함된 합금에 의해 제조된 양극 전류 집전체에 리튬망간산화물, 리튬코발트산화물, 리튬니켈산화물, 리튬인산철, 또는 이들 중 1종 이상이 포함된 화합물 및 혼합물 등과 같은 양극 활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단위셀을 구성하는 양극과 음극에서 전극 활물질이 코팅되는 면적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 단위셀들은 음극과 양극에 코팅된 전극 활물질의 코팅 면적이 동일한 경우를 보여주며, 도 4의 단위셀들은 음극과 양극에 코팅된 전극 활물질의 코팅 면적이 상이한 경우를 보여준다. 또한, 상기 전극 활물질들은 전류 집전체의 양면에 코팅될 수도 있고, 무지부 등의 형성을 위해 전류 집전체의 일면에만 전극 활물질을 코팅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분리막은, 예를 들면, 미세 다공 구조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제조되는 다층 필름이나,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고체 고분자 전해질용 또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전극 유닛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탭을 구비할 수 있다. 전극 유닛이 단일 전극으로 구성될 경우(예를 들면, 도 5의 520)에는 하나의 전극탭만 구비하며, 단위셀을 포함하여 구성될 경우에는 음극 전극탭과 양극 전극탭을 모두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전극탭들은 케이스 삽입 후 동일한 극성의 전극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들의 면적이나 배열 위치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전극 유닛의 네 변 중 동일한 변 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전극 탭들은 전극 유닛의 전폭 방향의 변 또는 전장 방향의 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전장 방향의 변에 전극탭이 형성될 경우에는, 전장 길이가 가장 작은 전극 유닛의 전장 길이 내에 전극탭이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들은 전극 유닛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동일한 극성의 전극탭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종래의 전극 조립체들의 경우, 전지 케이스 삽입 후 전극 탭들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극성의 전극탭들이 전부 중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다만 이 경우, 전극 적층수가 많아질 경우 전극탭의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전극탭간의 접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전극탭들이 전부 중첩되게 배치하지 않고 일부만 중첩되게 배치할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상당 부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면적이 상이한 전극탭을 사용하고, 이들 전극탭들이 일부만 중첩되도록 배열함으로써, 전기 용량을 극대화하면서, 전극탭의 접합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는 전극탭의 일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전극 유닛에 따라 면적이 상이한 전극탭(10, 20, 30)들을 사용하고, 이 중의 일부 전극탭들만 중첩되도록 전극탭들을 배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전극 유닛들은 마주보는 두 개의 변의 길이가 각각 동일한 네개의 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전극 유닛들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평행사변형, 마름모꼴 등과 같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모서리가 모따기되거나, 곡선으로 이루어진 사각 형상일 수도 있으며, 하나 이상의 변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형상일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전극 유닛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동일한 형상의 전극 유닛들을 적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형상의 전극 유닛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극 유닛의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간 활용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전폭(W)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L)의 길이가 상이한 2 이상의 전극 유닛들을 다양한 배열로 적층할 수 있다. 전극 유닛의 적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도 9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전극 조립체의 하부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전극 유닛의 전장(L)의 길이가 작아지는 배열로 전극 유닛들을 적층할 수 있고, 반대로 도 9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전극 조립체의 하부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전극 유닛의 전장(L)의 길이가 커지는 배열로 전극 유닛들을 적층할 수도 있으며, 또는 도 9의 (c)에 도시된 것처럼, 전극 유닛들 중 가장 전장(L)의 길이가 긴 전극 유닛이 상기 전극 조립체의 중간층에 배치되는 배열로 적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9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전극 유닛들은 각각의 전극 유닛의 평면 방향의 중심점이 일치되는 배열로 적층되거나, 도 9의 (d)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전극 유닛의 평면 방향의 중심점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배열로 적층되면서 각각의 전극 유닛의 전폭(W)의 일 변이 일치되는 배열로 적층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매우 다양한 적층 배열의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다양한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전지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전지셀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지셀(900)은 전지 케이스(910) 내부에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100)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지 케이스(910)는 파우치형 케이스일 수 있으며, 전극 조립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파우치형 케이스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는 최외각을 이루는 외측 수지층, 물질의 관통을 방지하는 차단성 금속층, 밀봉을 위한 내측 수지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전지 케이스는 전극 조립체의 전극 유닛들의 전기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극 리드(920, 930)가 외부로 노출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극 리드의 상하면에는 전극 리드를 보호하기 위한 절연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지 케이스는,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지케이스의 형상은 전지케이스 자체를 변형하여 형성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지케이스의 형상 및 크기가 전극 조립체의 형상 및 크기와 완전히 일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전극 조립체의 밀림현상으로 인한 내부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형상 및 크기이면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전지 케이스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전지 케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지셀은 바람직하게는 리튬이온 전지 또는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일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지셀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전지셀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전지팩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지셀 및/또는 전지팩은 다양한 디바이스, 예를 들면,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넷북,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장치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것의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전지셀 또는 전지팩이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에 장착될 경우, 본 발명의 전지셀 또는 전지팩의 구조로 인해 형성된 잉여 공간에 디바이스의 시스템 부품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지셀 또는 전지팩은 크기가 상이한 전극 조립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극 조립체 자체가 단차가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전지 케이스를 전극 형상에 맞춰 형성하고, 이를 디바이스 장착할 경우, 종래의 각형 또는 타원형 전지셀 또는 전지팩에는 없었던 잉여의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잉여 공간에 디바이스의 시스템 부품을 장착할 경우, 디바이스의 시스템 부품과 전지셀 또는 전지팩을 유연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제 디바이스의 두께나 부피를 감소시켜 슬림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현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의 범위로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양극 A
양극 활물질로 LiCoO2, 바인더로 PVDF(PolyVinyliDene Fluoride)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양극 활물질과 바인더를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MP)에 녹인 후, 믹싱하여 양극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페이스트를 15㎛두께의 알루미늄 호일 집전체 양면에 도포한 후, 150도 오븐에서 건조한 다음 프레스하여 양극 A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양극 A는 두께가 100㎛, 공극율이 21%였으며, 가역 용량은 335mAh였다.
제조예 2: 양극 B
양극의 두께가 110㎛가 되도록 한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극 B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양극 B는 두께가 110㎛, 공극율이 21%였으며, 가역 용량은 375mAh였다.
제조예 3: 음극 A
음극 활물질로 천연 흑연과 인조 흑연을 블렌드 재료, 바인더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tyrene-Butadiene Rubber, SBR)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음극 활물질과 바인더를 증류수에 녹인 후, 혼합하여 음극 페이스트를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페이스트를 10㎛두께의 구리 호일 집전체 양면에 도포한 후, 100도 오븐에서 열처리한 후 프레스하여 음극 A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음극 A은 두께가 105㎛, 공극율이 27%였으며, 가역 용량은 348mAh였다.
제조예 4: 음극 B
음극의 두께가 108㎛가 되도록 한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음극 B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음극 B는, 두께가 105㎛, 공극율이 27%였으며, 가역 용량은 359mAh였다.
제조예 5: 음극 C
음극의 두께가 118.8㎛가 되도록 한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음극 C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음극 C는, 두께가 118.8㎛, 공극율이 27% 였으며, 가역 용량은 400mAh였다.
제조예 6: 음극 D
음극의 두께가 90㎛가 되도록 한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음극 D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음극 D는, 두께가 90㎛, 공극율 27%였으며, 가역 용량은 294mAh였다.
제조예 7: 음극 E
음극의 두께가 140㎛가 되도록 한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음극 E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음극 E는, 두께가 140㎛, 공극율이 27% 였으며, 가역 용량은 465mAh였다.
실시예 1
양극 A 및 음극 A를 100mm×150mm로 재단한 후, 분리막을 개재하여 적층하여 제조된 대면적 전극 유닛 상에 양극 A 및 음극 A를 100mm×120mm로 재단한 후, 분리막을 개재하여 적층하여 제조된 소면적 전극 유닛을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양극 A 및 음극 A를 100mm×150mm로 재단한 후, 분리막을 개재하여 적층하여 제조된 대면적 전극 유닛 상에 양극 A 및 음극 B를 100mm×120mm로 재단한 후, 분리막을 개재하여 적층하여 제조된 소면적 전극 유닛을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양극 A 및 음극 B를 100mm×150mm 로 재단한 후, 분리막을 개재하여 적층하여 제조된 대면적 전극 유닛상에 양극 B 및 음극 C를 100mm×120mm로 재단한 후, 분리막을 개재하여 적층하여 제조된 소면적 전극 유닛을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양극 A 및 음극 D를 100mm×150mm로 재단한 후, 분리막을 개재하여 적층하여 제조된 전극 유닛 상에 양극 A 및 음극 A를 100mm×120mm로 재단한 후, 분리막을 개재하여 적층하여 제조된 전극 유닛을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한편, 하기 표 2, 표 3 및 실험예 1, 2에서 '대면적 전극 유닛'이라는 용어는 전장 길이가 긴 전극 유닛을 지칭하며,‘소면적 전극 유닛’이라는 용어는 전장 길이가 짧은 전극 유닛을 지칭한다.
 구분 대면적 전극 유닛 소면적 전극 유닛 경계면에서의 N/P 두께 비율 경계면에서의 N/P 가역용량비
양극 음극 N/P 두께 비율 양극 음극 N/P 두께 비율
실시예 1 A A 1.05 A A 1.05 1.05 1.03 
실시예 2 A A 1.05 A B 1.08 1.05 1.03  
비교예 1 A B 1.08 B D 1.08 0.98 0.957 
비교예 2 A D 0.90 A A 1.05 0.90 0.878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2에 의해 제조된 전극 조립체를 500회 충방전 시켰을 때의 전기 용량 및 두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전기 용량은 하기와 같은 충전 조건 및 방전 조건 하에서 측정되었으며, 충전과 방전 사이에는 10분의 휴지 시간을 두었다.
(1) 충전 조건: 1C으로 CC(constant Current)모드에서 4.2V 또는 4.35V까지 충전한 후, CV(constant Voltage) 모드로 전환하여 충전 전류의 양이 전지의 최소 용량의 1/20이 될 때까지 전류를 흘려 보낸 후 충전을 종료하였다.
(2) 방전 조건: CC(constant Current)모드로 1C의 방전 전류를 흘려보내고, 전압이 3V에 도달하면 방전을 종료하였다.
또한, 상기 전극 조립체의 두께 변화율은 충방전이 1회 완료되었을 때마다 전극 조립체의 전체 두께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12에 도시하였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및 2의 전극 조립체의 경우 500사이클 이후에도 전기 용량이 1회 충방전 이후의 전기 용량 대비 80% 이상으로 매우 우수하고, 두께 변화율도 10% 이하인데 반해, 비교예 1 및 2의 전극 조립체는 400 사이클과 500사이클 사이에서 급격한 전기 용량 변화 및 두께 변화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양극 A와 음극 E를 100mm×120mm로 각각 재단한 후 분리막을 개재하여 적층하여 소면적 전극 유닛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음극의 두께를 하기 [표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변화시킨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음극 1 ~ 8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음극 1 ~ 8의 가역용량은 하기 [표 2]에 개시된 바와 같다. 그런 다음, 양극 A와 음극 1 ~ 8을 100mm×150mm로 각각 재단한 후 분리막을 개재하여 적층하여 대면적 전극 유닛 1 ~ 8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대면적 전극 유닛 1 ~ 8 상에 소면적 전극 유닛을 각각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 1 ~ 8을 제조하였다.
구분 대면적 음극 종류 대면적 음극 두께(㎛) 공극율
(%)
가역 용량
(mAh)
경계면에서의 N/P 가역 용량 비율 경계면에서의 N/P 두께 비율
전극 조립체 1 음극1 40 27 105 0.31 0.4
전극 조립체 2 음극2 50 27 141 0.42 0.5
전극 조립체 3 음극3 80 27 251 0.75 0.8
전극 조립체 4 음극4 110 27 360 1.07 1.1
전극 조립체 5 음극5 140 27 465 1.39 1.4
전극 조립체 6 음극6 170 27 574 1.71 1.7
전극 조립체 7 음극7 200 27 682 2.04 2.0
전극 조립체 8 음극8 220 27 753 2.25 2.2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전극 조립체 1 ~ 8를 하기와 같은 충전 조건 및 방전 조건으로 1회 충방전시킨 다음, 전기 용량 및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기 용량과 전압을 곱하여 전기 에너지를 산출하였다. 그런 다음, 산출된 전기 에너지값을 전극 조립체의 부피로 나누어 단위 부피당 에너지 밀도를 계산하였다.
(1) 충전 조건: 1C으로 CC(constant Current)모드에서 4.2V 또는 4.35V까지 충전한 후, CV(constant Voltage) 모드로 전환하여 충전 전류의 양이 전지의 최소 용량의 1/20이 될 때까지 전류를 흘려 보낸 후 충전을 종료하였다.
(2) 방전 조건: CC(constant Current)모드로 1C의 방전 전류를 흘려보내고, 전압이 3V에 도달하면 방전을 종료하였다.
(3) 충전과 방전 사이에는 10분의 휴지 시간을 두었다.
도 13은 상기 측정값을 근거로 전극 유닛 간의 경계면에서의 양극에 대한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 비율에 따른 에너지 밀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4은 상기 측정값을 근거로 전극 유닛 간의 경계면에서의 양극에 대한 음극의 두께 비율에 따른 에너지 밀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에 따르면, 전극 유닛 간 경계면에서의 양극에 대한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 비율이 1 내지 1.5 정도, 특히 1 내지 1.2 정도일 때 단위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매우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면에서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 비율이 1 이하인 경우에도 상용화 가능한 정도의 에너지 밀도를 얻을 수 있기는 하지만, 상기 실험예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러한 경우, 충방전 사이클이 반복됨에 따라 급격한 전기 용량 저하 및 두께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상용화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4에 따르면, 전극 유닛 간의 경계면에서의 양극에 대한 음극의 두께 비율이 0.5 내지 2 이내일 때, 단위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300Wh/l 이상으로 상용화 가능한 수준이며, 전극의 두께 비율이 0.6 내지 1.9 정도일 때, 단위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350Wh/l 이상으로 상당히 우수한 에너지 밀도를 나타내며, 전극의 두께 비율이 0.8 내지 1.5 정도, 특히, 1.0 내지 1.5 정도일 때 단위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400Wh/l 이상으로 매우 우수한 에너지 밀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10, 20, 30 : 전극탭
40, 40’: 양극
50, 50’: 음극
60, 60’: 분리막
70, 670: 시트형 분리필름
100: 전극 조립체
110, 120, 130, 310, 320, 330, 410, 420, 510, 520, 530 : 전극 유닛
900: 전지셀
910: 전지 케이스
920, 930: 전극 리드

Claims (35)

  1. 전폭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의 길이가 상이한 2 이상의 전극 유닛 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유닛 들간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적층된 전극 조립체이며,
    상기 전장의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 간의 경계면에서 양극과 음극이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하기 식 1-1을 만족하는 전극 조립체.
    식 1-1: 1 ≤ Nn/Pn ≤ Nn/Pn +1
    상기 식 1-1에서,
    n은 1 이상의 정수이며,
    Nn은 n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
    Pn은 n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
    Pn +1은 n+1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용량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하기 식 1-2를 만족하는 전극 조립체.
    식 1-1: 1 ≤ Nn/Pn ≤ Nn/Pn +1≤1.2
    상기 식 1-1에서,
    n은 1 이상의 정수이며,
    Nn은 n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
    Pn은 n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
    Pn +1은 n+1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용량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폭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의 길이가 상이한 2 이상의 전극 유닛 들간의 경계면에서, 상대적으로 전장의 길이가 긴 전극 유닛의 음극과 상대적으로 전장의 길이가 짧은 전극 유닛의 양극이 대향되도록 형성된 전극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25℃에서 하기 충전 조건 (A) 및 방전 조건 (B)으로 500회의 충방전을 실시하였을 때의 전기 용량이 1회 충방전 후의 전기 용량 대비 60% 이상이고, 전극 조립체 전체의 두께 변화율이 15% 이하인 전극 조립체.
    충전 조건 (A): 1C으로 정전류(constant Current)모드에서 4.2V 또는 4.35V까지 충전한 후, 정전압(constant Voltage) 모드로 전환하여 충전 전류의 양이 전지의 최소 용량의 1/20이 될 때까지 전류를 흘려 보낸 후 충전을 종료함.
    방전 조건 (B): 정전류(constant Current)모드로 1C의 방전 전류를 흘려보내고, 전압이 3V에 도달하면 방전을 종료함.
  5.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식 2를 만족하는 전극 조립체.
    식 2: Nn/Pn≤Nn/Pn +1≤ Nn +1/Pn +1≤ Nn +1/Pn +2
    상기 식 2에서,
    n은 1 이상의 정수이며,
    Nn은 n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
    Nn +1은 n+1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용량,
    Pn은 n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
    Pn +1은 n+1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용량,
    Pn +2는 n+2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용량임.
  6. 제5항에 있어서,
    하기 식 2-1을 만족하는 전극 조립체.
    식 2-1: 1 ≤ Nn/Pn≤Nn/Pn +1≤ Nn +1/Pn +1≤ Nn +1/Pn +2
    상기 식 2-1에서,
    n은 1 이상의 정수이며,
    Nn은 n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
    Nn +1은 n+1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용량,
    Pn은 n번째로 긴 전징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
    Pn +1은 n+1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용량,
    Pn +2는 n+2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용량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n+2번째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이 n번째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과 n+1번째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 사이에 개재되며,
    하기 식 3을 만족하는 전극 조립체.
    식 3: Nn/Pn +2 ≤ Nn +1/Pn +2
    상기 식 3에서,
    n은 1 이상의 정수이며,
    Nn은 n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
    Nn +1은 n+1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용량,
    Pn +2는 n+2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용량임.
  8.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식 4를 만족하는 전극 조립체.
    식 4: dNn/dPn≤ dNn/dPn +1
    상기 식 4에서,
    n은 1 이상의 정수이며,
    dNn은 n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두께,
    dPn은 n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두께,
    dPn +1은 n+1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두께임.
  9.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식 4-1을 만족하는 전극 조립체.
    식 4-1: 0.5 ≤ dNn/dPn≤ dNn/dPn +1≤ 2
    상기 식 4-1에서,
    n은 1 이상의 정수이며,
    dNn은 n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두께,
    dPn은 n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두께,
    dPn +1은 n+1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두께임.
  10.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식 5를 만족하는 전극 조립체.
    식 5: dNn/dPn≤dNn/dPn +1≤ dNn +1/dPn +1≤ dNn +1/dPn +2
    상기 식 5에서,
    n은 1 이상의 정수이며,
    dNn은 n번째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두께,
    dNn +1은 n+1번째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두께,
    dPn은 n번째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두께,
    dPn +1은 n+1번째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두께,
    dPn +2는 n+2번째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두께임.
  11.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식 5-1을 만족하는 전극 조립체.
    식 5-1: 0.5 ≤ dNn/dPn≤dNn/dPn +1≤ dNn +1/dPn +1≤ dNn +1/dPn +2 ≤ 2
    상기 식 5-1에서,
    n은 1 이상의 정수이며,
    dNn은 n번째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두께,
    dNn +1은 n+1번째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두께,
    dPn은 n번째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두께,
    dPn +1은 n+1번째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두께,
    dPn +2는 n+2번째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두께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n+2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이 n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과 n+1번째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 사이에 개재되고,
    하기 식 6을 만족하는 전극 조립체.
    식 6: dNn/dPn +2 ≤ dNn +1/dPn +2
    상기 식 6에서,
    n은 1 이상의 정수이며,
    dNn은 n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두께,
    dNn +1은 n+1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음극의 두께,
    dPn +2는 n+2번째로 긴 전장 길이를 갖는 전극 유닛의 양극의 두께임.
  13. 제1항에 있어서,
    전장 길이가 상이한 세 종류 이상의 전극 유닛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 유닛들 간의 경계면에서 대향되는 양극의 단위 면적당 가용 용량에 대한 음극의 단위 면적당 가역 용량의 비율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기 전극 유닛들 간의 접촉 면적이 작아질수록 증가하는 전극 조립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유닛은 단일 전극; 적어도 하나의 양극, 적어도 하나의 음극 및 적어도 하나의 분리막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전극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은 젤리-롤 형, 스택형, 라미네이션 앤 스택형 및 스택 앤 폴딩형 단위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전극 조립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유닛들을 구성하는 단일 전극 및 단위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적어도 하나의 길이가 긴 시트형 분리필름에 의해 감싸져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은 최외각 양면에 배치되는 전극의 극성이 동일한 것인 전극 조립체.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은 최외각 양면에 배치되는 전극의 극성이 상이한 것인 전극 조립체.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극 유닛은 그 단면 형상이 사각형,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곡선 형태의 사각형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이 곡선 형태인 전극 조립체.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단면 형상이 동일한 전극 유닛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전극 조립체.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유닛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탭을 가지며,
    상기 전극탭들은 동일한 극성의 전극끼리 중첩되도록 적층되는 것인 전극 조립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들은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것인 전극 조립체.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하부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전극 유닛의 전장의 길이가 짧아지는 배열로 적층된 전극 조립체.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하부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전극 유닛의 전장의 길이가 길어지는 배열로 적층된 전극 조립체.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유닛 들 중 가장 전장의 길이가 큰 전극 유닛이 상기 전극 조립체의 중간층에 배치되는 배열로 적층된 전극 조립체.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유닛들은 각각의 전극 유닛의 평면 방향의 중심점이 일치되는 배열로 적층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유닛들은 각각의 전극 유닛의 평면 방향의 중심점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배열로 적층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유닛들은 각각의 전극 유닛의 전폭의 일 변이 일치되는 배열로 적층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
  29. 청구항 1의 전극 조립체가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파우치형 케이스인 전지셀.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전극 조립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전지셀.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또는 리튬 이온 폴리머 이차 전지인 전지셀.
  33. 청구항 29의 전지셀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디바이스.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의 잉여 공간에 디바이스의 시스템 부품이 위치하는 디바이스.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넷북,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장치인 디바이스.
KR20130137566A 2012-11-22 2013-11-13 전폭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의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디바이스 KR101387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80003648.8A CN103988356B (zh) 2012-11-22 2013-11-18 包含具有相同宽度和不同长度的电极单元的电极组件以及包含所述电极组件的电池单元和装置
EP16195956.4A EP3168919B1 (en) 2012-11-22 2013-11-18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electrode units having the same width and different lengths, and battery cell and device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PCT/KR2013/010470 WO2014081163A1 (ko) 2012-11-22 2013-11-18 전폭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의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디바이스
JP2014551215A JP6136026B2 (ja) 2012-11-22 2013-11-18 全幅の長さが同一で、全長の長さが相違する電極ユニットからなる電極組立体、これを含む電池セル、及びデバイス
EP13840138.5A EP2752931B1 (en) 2012-11-22 2013-11-18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electrode units with equal widths and different lengths, and battery cell and device comprising same
US14/261,907 US9236631B2 (en) 2012-11-22 2014-04-25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electrode units having the same width and different lengths, and battery cell and device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3154 2012-11-22
KR1020120133154 2012-11-22
KR1020130028289 2013-03-15
KR1020130028289A KR20130118769A (ko) 2012-04-20 2013-03-15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7424B1 true KR101387424B1 (ko) 2014-04-25

Family

ID=5065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7566A KR101387424B1 (ko) 2012-11-22 2013-11-13 전폭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의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36631B2 (ko)
EP (2) EP2752931B1 (ko)
JP (1) JP6136026B2 (ko)
KR (1) KR101387424B1 (ko)
CN (1) CN103988356B (ko)
WO (1) WO201408116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054A (ko) * 2015-08-11 2017-0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면에 활물질의 로딩량이 상이한 전극판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WO2020013604A1 (ko) * 2018-07-10 2020-0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화학 커패시터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071229A1 (ko) *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8716A (ko) 2012-04-20 2013-10-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디바이스
KR102360413B1 (ko) * 2015-02-16 2022-02-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515097B1 (ko) * 2015-10-26 2023-03-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KR101995288B1 (ko) 2016-02-19 2019-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JP6243059B1 (ja) * 2016-03-15 2017-12-06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電池及びバッテリーシステム
JP6547906B2 (ja) 2016-05-31 2019-07-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蓄電デバイス
CN110121797B (zh) * 2017-01-12 2022-06-2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二次电池
KR102256302B1 (ko) 2017-03-09 2021-05-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WO2019107049A1 (ja) * 2017-11-30 2019-06-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円筒形二次電池
EP3916878A4 (en) * 2020-03-31 2022-05-11 Ningde Amperex Technology Ltd. CELL,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CN113594635A (zh) * 2020-04-30 2021-11-0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及其制造方法和设备、电池包及装置
CN112103470B (zh) 2020-09-29 2022-02-22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二次电池及电池模块
CN112820859B (zh) * 2021-01-18 2022-06-17 中国科学院山西煤炭化学研究所 一种锂硫电池负极的制备方法和使用该负极的锂硫电池
CN115966816A (zh) * 2021-10-12 2023-04-1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单体、电池和用电装置
CN115832443B (zh) * 2022-02-10 2023-12-1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用电设备、电池、电池单体及其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960A (ko) * 2002-02-06 2003-08-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JP3611765B2 (ja) 1999-12-09 2005-01-19 シャープ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3680797B2 (ja) 2002-02-08 2005-08-10 日本電池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KR20130118767A (ko) * 2012-04-20 2013-10-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2881A (ja) 1989-11-08 1991-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角形リチウム二次電池
JP3809662B2 (ja) 1996-01-30 2006-08-16 宇部興産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
US5721067A (en) * 1996-02-22 1998-02-24 Jacobs; James K.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having improved reversible capacity
JPH09293536A (ja) * 1996-04-25 1997-11-11 Seiko Instr Kk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6224995B1 (en) 1997-03-06 2001-05-0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Three dimensional free form battery apparatus
KR100274884B1 (ko) 1998-01-22 2000-12-15 김순택 양.음극의 용량비를 보상한 2차 전지
JP4193267B2 (ja) * 1999-02-23 2008-12-10 ソニー株式会社 固体電解質電池
JP2001028275A (ja) * 1999-06-25 2001-01-30 Mitsubishi Chemicals Corp 立体自由形状バッテリー装置
JP3351765B2 (ja) 1999-07-29 2002-12-03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3443773B2 (ja) 2000-07-25 2003-09-08 日本電池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3615491B2 (ja) 2001-03-05 2005-02-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法
JP2004111219A (ja) 2002-09-18 2004-04-08 Nissan Motor Co Ltd ラミネート二次電池、複数のラミネート二次電池からなる組電池モジュール、複数の組電池モジュールからなる組電池ならびにこれらいずれかの電池を搭載した電気自動車
US7125430B2 (en) 2003-03-05 2006-10-24 Avestor Limited Partnership Manufacturing process and apparatus for electrically insulating layers of electrochemical cell laminates
US7629077B2 (en) 2004-02-26 2009-12-08 Qinetiq Limited Pouch cell construction
US20060062904A1 (en) 2004-07-23 2006-03-23 West William C Long cycle life elevated temperature thin film batteries
TWI291778B (en) * 2004-11-08 2007-12-21 Sony Corp Secondary battery
JP4635599B2 (ja) 2004-12-17 2011-02-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ポリマー電池の製造およびそれにより得られた電池
CN2773917Y (zh) * 2005-01-31 2006-04-19 何策衡 一种二次电池
US7855009B2 (en) 2005-09-15 2010-12-21 Greatbatch Ltd. Sandwich cathode electrochemical cell with wound electrode assembly
JP4599314B2 (ja) * 2006-02-22 2010-12-15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電池、電池パック及び自動車
KR100925857B1 (ko) 2006-03-14 2009-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안전성의 다중 중첩식 전기화학 셀
JP2008159419A (ja) 2006-12-25 2008-07-10 Sony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100963981B1 (ko) * 2007-03-26 2010-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로딩량이 다른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있는 젤리-롤
JP4587055B2 (ja) 2008-03-06 2010-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US7839019B2 (en) 2008-05-30 2010-11-23 Chun-Chieh Chang Multipurpose portable storage and supply system
JP2010135265A (ja) 2008-12-08 2010-06-17 Nissan Motor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05047956A (zh) 2009-01-27 2015-11-11 G4协同学公司 用于储能器件的可变容积的容器
KR20100137290A (ko) 2009-06-22 2010-12-30 에너원코리아 주식회사 와인딩 방식의 전극적층체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전극적층체
JP2011081931A (ja) 2009-10-05 2011-04-21 Hitachi Maxell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EP2529429B1 (en) * 2010-01-26 2018-03-28 Cymbet Corporation Battery arrays, constructions and method
KR101116533B1 (ko) 2010-01-27 2012-02-24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EP2360772A1 (de) 2010-02-12 2011-08-24 Fortu Intellectual Property AG Wiederaufladbare elektrochemische Zelle
US8940429B2 (en) * 2010-07-16 2015-01-27 Apple Inc. Construction of non-rectangular batteries
JP5552398B2 (ja) * 2010-08-31 2014-07-16 古河電池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
US8592065B2 (en) * 2010-11-02 2013-11-26 Apple Inc. Rechargeable battery with a jelly roll having multiple thickness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1765B2 (ja) 1999-12-09 2005-01-19 シャープ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20030066960A (ko) * 2002-02-06 2003-08-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JP3680797B2 (ja) 2002-02-08 2005-08-10 日本電池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KR20130118767A (ko) * 2012-04-20 2013-10-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디바이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054A (ko) * 2015-08-11 2017-0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면에 활물질의 로딩량이 상이한 전극판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KR102011679B1 (ko) * 2015-08-11 2019-08-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면에 활물질의 로딩량이 상이한 전극판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WO2020013604A1 (ko) * 2018-07-10 2020-0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화학 커패시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06403A (ko) * 2018-07-10 2020-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화학 커패시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01720B1 (ko) * 2018-07-10 2021-09-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기화학 커패시터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217399B2 (en) 2018-07-10 2022-01-04 Lg Chem, Ltd. Electrochemical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21071229A1 (ko) *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114365315A (zh) * 2019-10-07 2022-04-15 株式会社Lg新能源 电极组件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36631B2 (en) 2016-01-12
CN103988356B (zh) 2015-11-25
EP2752931A4 (en) 2015-05-27
JP2015506563A (ja) 2015-03-02
CN103988356A (zh) 2014-08-13
EP3168919B1 (en) 2018-10-31
WO2014081163A1 (ko) 2014-05-30
EP2752931B1 (en) 2016-11-23
JP6136026B2 (ja) 2017-05-31
EP2752931A1 (en) 2014-07-09
US20140234682A1 (en) 2014-08-21
EP3168919A1 (en)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424B1 (ko) 전폭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의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디바이스
KR101440973B1 (ko)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디바이스
KR101385732B1 (ko) 전장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폭의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디바이스
KR101834035B1 (ko)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