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348B1 - 밀봉립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밀봉립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348B1
KR101387348B1 KR1020120040567A KR20120040567A KR101387348B1 KR 101387348 B1 KR101387348 B1 KR 101387348B1 KR 1020120040567 A KR1020120040567 A KR 1020120040567A KR 20120040567 A KR20120040567 A KR 20120040567A KR 101387348 B1 KR101387348 B1 KR 101387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lip
lip
cam block
screw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590A (ko
Inventor
유일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to KR1020120040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348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38Making inlet or outlet arrangements of cans, tins, baths, bottles, or other vessels; Making can ends; Mak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4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2615Edge treatment of cans or tins
    • B21D51/2638Ne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With Elastic Sealing 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봉립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베이스; 회전운동과 길이방향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베이스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형성되는 회전베이스; 상기 회전베이스에 설치되어 금속제 캔의 병목 내외면에 대한 밀봉립을 형성하는 밀봉립 성형수단; 및 상기 고정베이스와 회전베이스 사이에 승강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하강시 상기 밀봉립 성형수단을 작동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밀봉립 성형장치의 설비 규모를 컴팩트하게 축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설치 전용면적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립스크류는 금속제 캔의 병목 내경 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하고 제2 립스크류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밀봉립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1 립스크류를 다양한 크기로 제작해야 하는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립스크류를 교체하는 작업공정 등을 배제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밀봉립 성형장치{SEALING LIP MO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밀봉립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제 캔의 병목에 밀봉립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 규모를 컴팩트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병목의 사이즈 크기에 관계없이 밀봉립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는 밀봉립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의 저장용기로 많이 사용되는 금속제 캔은 주로 알루미늄이나 철을 소재로 제조된다.
상기 금속제 캔은 병목을 갖는 병(bottle)의 기본적인 몸체를 형성하는 것이라 하여 일명 넥킹 캔(necking can)이라고도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제 캔은 병목부분의 상단부 외측면에 마개(cap, 미도시)와의 결합을 통해 밀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밀봉립(sealing lip)(3)이 형성되고, 상기 밀봉립(3)의 밑부분에 밀봉을 위해 결합된 마개의 개봉여부 확인 및 절취방지(pilfer-proof) 기능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비딩부(beading part)(4)가 형성되며, 병목부분의 단부에 마감을 위한 커링부(5)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제 캔은 판상의 소재를 드로잉(drawing) 가공 및 넥킹(necking) 가공함에 의해 병목을 갖는 병의 몸체(2)로 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병목부분의 상단부 외측면에 나사형태의 체결부를 가공함에 의해 밀봉립(3)이 형성됨과 아울러 밀봉립의 밑부분을 비딩(beading) 가공함에 의해 비딩부(4)를 형성하게 된다. 이어서, 병목부분의 단부를 다시 2회 넥킹 처리하고 외측 방향으로의 절곡과 함께 감는 플랜지 및 커링(curling) 가공에 의해 커링부(5)를 형성하여 제조하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금속제 캔(1)의 상단부 외측면으로 마개와의 결합을 위해 나사형태의 체결부를 가공하여 밀봉립(3)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장치를 살펴보면, 캔(1)의 병목부분 입구 내측으로 나사형태의 립 스크류(11)를 삽입시키는 내측성형부(10)와, 상기 캔(1)의 병목부분 외측에 밀착 배치되어 캔의 둘레를 따라 내측성형부(10)의 립 스크류(11)와 함께 회전하여 밀봉립(3)을 형성하는 2개의 외측성형부(20)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금속제 캔의 밀봉립 성형장치는 내측성형부(10)와 외측성형부(20)의 회전운동을 통해 밀봉립(3) 성형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내측성형부(10)와 외측성형부(2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각각의 동력전달부재를 구성해야 함으로써, 그에 따른 밀봉립 성형장치의 설비 규모가 크게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내측성형부(10)에 설치되는 립 스크류(11)는 캔(1)의 병목부분의 내경 크기에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는 구성이므로 캔(1)의 병목부분의 내경 크기가 다른 물품에 대해서는 그에 대응하는 다수의 립 스크류(11)를 다양하게 제작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립 스크류(11)를 교체할 경우, 전체 생산라인의 가동을 중단해야하므로 그에 따른 제조효율 및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금속제 캔의 병목에 밀봉립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 규모를 컴팩트하게 줄일 수 있는 밀봉립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제 캔의 병목 사이즈 크기에 관계없이 밀봉립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는 밀봉립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밀봉립 성형장치는,
고정베이스;
회전운동과 길이방향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베이스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형성되는 회전베이스;
상기 회전베이스에 설치되어 금속제 캔의 병목 내외면에 대한 밀봉립을 형성하는 밀봉립 성형수단; 및,
상기 고정베이스와 회전베이스 사이에 승강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하강시 상기 밀봉립 성형수단을 작동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고정베이스의 하부에서 승강 이동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고정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압용 축과, 상기 승강부재를 하부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밀봉립 성형수단은,
상기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베이스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는 내측 밀봉립 성형부와 외측 밀봉립 성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내측 밀봉립 성형부는,
상기 회전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유닛에 형성된 고정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1 동력전달기어를 구비한 제1 상부 캠블럭과,
상기 회전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동력전달기어 및 제1 상부 캠블럭과 연동하는 제2 동력전달기어를 구비한 제1 하부 캠블럭과,
상기 제1 하부 캠블럭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동력전달기어에 연속적으로 맞물리는 복수의 종동기어를 경유하여 설치되는 제1 립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종동기어는 3개로 구성하여 상기 제1 립스크류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 밀봉립 성형부는,
상기 회전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유닛에 형성된 고정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3 동력전달기어를 구비한 제2 상부 캠블럭과,
상기 회전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3 동력전달기어 및 제2 상부 캠블럭과 연동하는 제4 동력전달기어를 구비한 제2 하부 캠블럭과,
상기 제2 하부 캠블럭에 설치되며 상기 제4 동력전달기어에 연속적으로 맞물리는 복수의 종동기어를 경유하여 설치되는 제2 립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종동기어는 2개로 구성하여 상기 제2 립스크류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아울러,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 둘레면 모서리에는 가압용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상부 캠블럭 또는 상기 제2 상부 캠블럭에는 상기 승강유닛의 승강부재가 누르는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하부 캠블럭 또는 제2 하부 캠블럭에 연결된 제1 립스크류와, 제2 립스크류를 상호 맞물리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변유동축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베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가변유동축의 작용으로부터 제1 하부 캠볼럭과 제2 하부 캠블럭이 탄력적으로 오므려지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베이스에는 모터의 구동력을 타측으로 전달하는 벨트풀리를 구비한 타이밍벨트와 회전축을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연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고정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축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회전블럭과,
상기 회전블럭과 고정블럭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밍벨트를 이용한 하나의 구동력으로부터 금속제 캔의 병목부분 내,외면에 대한 밀봉립 동시에 성형할 수 있는 구성으로, 밀봉립 성형장치의 설비 규모를 컴팩트하게 축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설치 전용면적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립스크류는 금속제 캔의 병목 내경 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하고 제2 립스크류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밀봉립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1 립스크류를 다양한 크기로 제작해야 하는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립스크류를 교체하는 작업공정 등을 배제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밀봉립이 형성된 금속제 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밀봉립 성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립 성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밀봉립 성형수단의 내측 밀봉립 성형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밀봉립 성형수단의 외측 밀봉립 성형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밀봉립 성형수단의 작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립 성형장치의 작용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모터의 구동력을 타측으로 전달하는 벨트풀리(110)를 구비한 타이밍벨트(100)와, 상기 벨트풀리(110)의 회전중심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200)과, 상기 타이밍벨트(100)와 회전축(200)을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연동유닛(300)을 구비한 고정베이스(301)와, 상기 회전축(200)의 단부에 연결되는 회전베이스(400)와, 상기 회전베이스(400)에 설치되어 금속제 캔(1)의 병목 내외면에 대한 밀봉립 형성하는 밀봉립 성형수단(500)과, 상기 고정베이스(301)와 회전베이스(4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00)을 승강 가능하게 안내하는 승강유닛(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립 성형장치는 상기 회전축(2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모터의 구동력을 타측으로 전달하는 벨트풀리(110)를 구비한 타이밍벨트(1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연속적으로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타이밍벨트(100)는 일측에으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타측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매체로서, 원형의 벨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타이밍벨트(100)의 내면 둘레에는 등간격으로 기어홈이 형성되어 모터의 기어와 맞물려 구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상기 타이밍벨트(100)의 타측 둘레에는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후술할 회전축(200)으로 전달하는 벨트풀리(11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200)은 상기 벨트풀리(110)의 회전중심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벨트(100)와 회전축(200)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연동유닛(300)을 구비한 고정베이스(301)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베이스(301)에는 상기 회전축(200) 및 연동유닛(3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한 관통공(301a)이 형성된다.
상기 연동유닛(300)은 상기 벨트풀리(110)와 회전축(2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축(2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축(200)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회전블럭(310)과, 상기 고정베이스(301)에 고정되는 고정블럭(320)과, 상기 회전블럭(310)과 고정블럭(320)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블럭(310)은 회전축(200)에 접하여 함께 회전하며 상기 회전축(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연장되는 것으로, 연장 길이만큼 상기 회전축(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전달 면적을 높여 그에 따른 회전력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타이밍벨트(100)의 벨트풀리(110)는 상기 회전블럭(310)과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200)은 회전블럭(310)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상기 벨트풀리(110)와 회전블럭(310)은 결합용 키(K)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블럭(310)과 회전축(200)는 상기 회전축(200)이 회전블럭(310)과 함께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축(200)에 누르는 압력을 가하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결합구조를 포함한다.
즉, 상기 회전블럭(310)의 내측면에는 돌출형 키(311)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200)에는 상기 돌출형 키(311)를 수용하는 수용홈(201)이 형성된다(도 3참조).
상기 고정블럭(320)은 상기 회전블럭(310)이 고정베이스(30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으로, 이때 상기 고정블럭(320)은 회전블럭(310)의 외주면과 접하지 않도록 틈새를 두어 회전력이 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상태로 상기 고정베이스(301)에 나사체결된다.
상기 베어링(330)은 회전블럭(310)의 회전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블럭(320)이 고정베이스(301)에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회전베이스(400)는 상기 회전축(200)의 단부에 연결되는 함께 회전하는 원형의 판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베이스(400)와 회전축(200)은 상호 간의 결합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회전축 단부에 플랜지부(210)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베이스(400)에는 상기 플랜지부(210)를 수용하는 플랜지홈(41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베이스(400)의 플랜지홈(410)에 수용된 회전축(200)의 플랜지부(210)는 나사체결로부터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밀봉립 성형수단(500)은 상기 회전베이스(400)에 설치되어 금속제 캔(1)의 병목 내외면에 대한 밀봉립 성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밀봉립 성형수단(500)은 상기 회전축(2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베이스(400)의 일측과 타측에 이격 설치되는 내측 밀봉립 성형부(500a)와 외측 밀봉립 성형부(500b)로 구성된다.
즉, 상기 내측 밀봉립 성형부(500a)와 외측 밀봉립 성형부(500b)는 상기 회전베이스(400)에 함께 설치되어 동일한 동력을 전달받는 구조로써, 상기 내측 밀봉립 성형부(500a) 또는 외측 밀봉립 성형부(500b)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별도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밀봉립 성형장치의 설비 규모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 밀봉립 성형부(500a)는, 상기 회전베이스(400)의 상부에 설치되며 후술할 승강유닛(600)의 가이드블럭(620)에 형성된 고정기어(621)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1 동력전달기어(511a)를 구비한 제1 상부 캠블럭(510a)과, 상기 회전베이스(4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동력전달기어(511a) 및 제1 상부 캠블럭(510a)과 연동하는 제2 동력전달기어(521a)를 구비한 제1 하부 캠블럭(520a)과, 상기 제1 하부 캠블럭(520a)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동력전달기어(521a)에 연속적으로 맞물리는 종동기어(530a)를 경유하여 설치되는 제1 립스크류(540a)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내측 밀봉립 성형부(500a)는 상기 회전베이스(40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1 동력전달기어(511a)는 상기 승강유닛(600)의 가이드블럭(620)에 형성된 고정기어(621)와 맞물려 상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동력전달기어(511a)가 회전하면 제1 동력전달기어(511a) 축에 함께 연결된 제2 동력전달기어(521a)가 회전하고, 상기 제2 동력전달기어(521a)의 회전력은 순차적으로 서로 맞물리는 복수의 종동기어(530a)로 전달되어 금속제 캔(1)의 병목 내면에 밀봉립을 성형하는 제1 립스크류(540a)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내측 밀봉립 성형부(500a)의 종동기어(530a)는 3개로 구성하여 상기 제1 립스크류(540a)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외측 밀봉립 성형부(500b)는, 상기 회전베이스(4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유닛(600)의 가이드블럭(620)에 형성된 고정기어(621)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3 동력전달기어(511b)를 구비한 제2 상부 캠블럭(510b)과, 상기 회전베이스(4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3 동력전달기어(511b) 및 제2 상부 캠블럭(510b)과 연동하는 제4 동력전달기어(521b)를 구비한 제2 하부 캠블럭(520b)과, 상기 제2 하부 캠블럭(520b)에 설치되며 상기 제4 동력전달기어(521b)에 연속적으로 맞물리는 복수의 종동기어(530b)를 경유하여 설치되는 제2 립스크류(540b)를 포함한다.
상기 외측 밀봉립 성형부(500b)의 작동원리는 앞서 설명한 내측 밀봉립 성형부(500a)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외측 밀봉립 성형부(500b)의 종동기어(530b)는 2개로 구성하여 상기 제2 립스크류(540b)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상기 제1 립스크류(540a)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립스크류(540b)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금속제 캔(1) 병목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맞물려 압착하는 상태로 캔 병목 둘레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켜 밀봉립을 성형한다. 이때, 상기 제1 립스크류(540a)는 금속제 캔(1) 병목부분의 내경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상부 캠블럭(510a)과 상기 제2 상부 캠블럭(510b)에는 후술할 승강유닛(600)의 승강부재(610)가 누르는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상부 캠블럭(510a)과 제2 상부 캠블럭(510b)을 각각 원주방향 바같쪽으로 밀어내어 작용에 반작용하는 제1 하부 캠블럭(520a)과 제2 하부 캠블럭(520b)에 연결된 상기 제1 립스크류(540a)와 제2 립스크류(540b)를 상호 맞물리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변유동축(550a,550b)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유동축(550a,550b)의 상단에는 상기 승강부재(610)와 접하는 압력에 대하여 자연스럽게 미끄러질 수 있는 접촉롤러(551)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베이스(400)의 하부에는 상기 가변유동축(550a,550b)의 유동으로부터 제1 하부 캠블럭(520a)과 제2 하부 캠블럭(520b)이 탄력적으로 오므려지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56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승강유닛(600)은 상기 고정베이스(301)와 회전베이스(4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00)을 승강 가능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유닛(600)은 상기 고정베이스(301)의 하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승강 이동하는 승강부재(610)와, 상기 승강부재(610)와 회전축(2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승강부재(61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며 길이방향 단부에는 고정기어(621)가 형성된 가이드블럭(620)과, 상기 승강부재(610)를 하강시키도록 누르는 압력을 전달하는 가압용 축(630)과, 상기 승강부재(6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6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유닛(600)은 가이드블럭(620)이 회전축(200)의 하강이동을 안내하여 상기 회전베이스(400)에 연결된 제1 립스크류(540a) 및 제2 립스크류(540b)가 금속제 캔(1) 병목부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블럭(620)에 형성된 고정기어(621)에 의해 상기 제1 동력전달기어(511a)와 제3 동력전달기어(511b)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610)는 가압용 축(630)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리게 되면, 상기 가변유동축(550a,550b)의 접촉롤러(551)를 가압하여 회전베이스(400)의 원주방향 바같쪽을 향하도록 밀게 된다. 이때, 상기 가변유동축(550a,550b)이 밀리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립스크류(540a)와 제2 립스크류(540b)는 상호 면접하는 상태로 오므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610)의 하부 둘레면 모서리에는 가압용 경사면(61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립 성형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밀봉립을 성형하기 위한 금속제 캔(1)이 제1 립스크류(540a) 아래쪽으로 이송되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타이밍벨트(100)가 회전하여 회전축(200)을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축(200)이 회전하면 회전축(200) 단부에 결합된 회전베이스(400)가 함께 회전한다. 이때, 회전베이스(400)에 설치된 내측 밀봉립 성형부(500a)와 외측 밀봉립 성형부(500b)의 각각의 동력전달기어(511a,511b)가 상기 승강유닛(600)의 가이드블럭(620)에 형성된 고정기어(621)와 맞물려 상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기어(511a,511b)의 회전력은 종동기어(530a,530b)로 전달되고 상기 종동기어에 연결된 제1 립스크류(540a)와 제2 립스크류(540b)는 회전한다.
이후, 고정베이스(301)의 상부에 설치되어 누르는 압력을 전달하는 압력전달장치(미도시)를 작동시켜 상기 회전축(200)과 승강유닛(600)의 가압용 축(630)을 가압하여 상기 제1 립스크류(540a)와 제2 립스크류(540b)를 금속재 캔(1) 병목부로 하강시킨다.
물론, 상기 회전축(200)과 회전베이스(400)는 회전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하강한다.
그 다음, 상기 제1 립스크류(540a)와 제2 립스크류(540b)가 금속재 캔(1) 병목부 내,외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용 축(630)에 대해서만 누르는 압력을 추가적으로 전달하면, 승강부재(610)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변유동축(550a,550b)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610)에 눌린 가변유동축(550a,550b)은 회전베이스(400)의 원주방향 바같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며, 이와 연동하여 반작용이 이루어지는 하부 캠블럭(520a,520b)은 안쪽으로 오므려지는 동작을 취하여 상기 제1 립스크류(540a)와 제2 립스크류(540b)가 상호 맞물리는 상태로 회전하여 금속제 캔(1) 병목 둘레에 대한 밀봉립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금속제 캔(1) 병목 둘레에 밀봉립이 형성이 완료되면 상기 회전축(200)과 승강유닛(600)은 다음에 진입하는 금속제 캔(1)에 대한 밀봉립 성형을 위한 초기 위치로 승강 이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벨트(100)를 이용한 하나의 구동력으로부터 금속제 캔(1)의 병목부분 내,외면에 대한 밀봉립 동시에 성형할 수 있는 구성으로, 밀봉립 성형장치의 설비 규모를 컴팩트 하게 축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설치 전용면적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립스크류(540a)는 금속제 캔(1)의 병목 내경 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하고 제2 립스크류(540b)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밀봉립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1 립스크류(540a)를 다양한 크기로 제작해야 하는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립스크류(540a)를 교체하는 작업공정 등을 배제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타이밍벨트
110 : 벨트풀리
200 : 회전축
300 : 연동유닛
301 : 고정베이스
310 : 회전블럭
320 : 고정블럭
330 : 베어링
340 : 마감블럭
400 : 회전베이스
500 : 밀봉립 성형수단
500a : 내측 밀봉립 성형부
500b : 외측 밀봉립 성형부
600 : 승강유닛
610 : 승강부재
620 : 가이드블럭
630 : 가압용 축
640 : 탄성 스프링

Claims (11)

  1. 고정베이스;
    회전운동과 길이방향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베이스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형성되는 회전베이스;
    상기 회전베이스에 설치되어 금속제 캔의 병목 내외면에 대한 밀봉립을 형성하는 밀봉립 성형수단; 및,
    상기 고정베이스와 회전베이스 사이에 승강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하강시 상기 밀봉립 성형수단을 작동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고정베이스의 하부에서 승강 이동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고정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압용 축과, 상기 승강부재를 하부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립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밀봉립 성형수단은,
    상기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베이스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는 내측 밀봉립 성형부와 외측 밀봉립 성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립 성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밀봉립 성형부는,
    상기 회전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유닛에 형성된 고정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1 동력전달기어를 구비한 제1 상부 캠블럭과,
    상기 회전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동력전달기어 및 제1 상부 캠블럭과 연동하는 제2 동력전달기어를 구비한 제1 하부 캠블럭과,
    상기 제1 하부 캠블럭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동력전달기어에 연속적으로 맞물리는 복수의 종동기어를 경유하여 설치되는 제1 립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립 성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는 3개로 구성하여 상기 제1 립스크류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립 성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밀봉립 성형부는,
    상기 회전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유닛에 형성된 고정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3 동력전달기어를 구비한 제2 상부 캠블럭과,
    상기 회전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3 동력전달기어 및 제2 상부 캠블럭과 연동하는 제4 동력전달기어를 구비한 제2 하부 캠블럭과,
    상기 제2 하부 캠블럭에 설치되며 상기 제4 동력전달기어에 연속적으로 맞물리는 복수의 종동기어를 경유하여 설치되는 제2 립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립 성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는 2개로 구성하여 상기 제2 립스크류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립 성형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 둘레면 모서리에는 가압용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립 성형장치.
  9.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캠블럭 또는 상기 제2 상부 캠블럭에는 상기 승강유닛의 승강부재가 누르는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하부 캠블럭 또는 제2 하부 캠블럭에 연결된 제1 립스크류와, 제2 립스크류를 상호 맞물리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변유동축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립 성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베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가변유동축의 작용으로부터 제1 하부 캠볼럭과 제2 하부 캠블럭이 탄력적으로 오므려지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립 성형장치.
  11.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베이스에는 모터의 구동력을 타측으로 전달하는 벨트풀리를 구비한 타이밍벨트와 회전축을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연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고정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축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회전블럭과,
    상기 회전블럭과 고정블럭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립 성형장치.
KR1020120040567A 2012-04-18 2012-04-18 밀봉립 성형장치 KR101387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567A KR101387348B1 (ko) 2012-04-18 2012-04-18 밀봉립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567A KR101387348B1 (ko) 2012-04-18 2012-04-18 밀봉립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590A KR20130117590A (ko) 2013-10-28
KR101387348B1 true KR101387348B1 (ko) 2014-04-21

Family

ID=49636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567A KR101387348B1 (ko) 2012-04-18 2012-04-18 밀봉립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913B1 (ko) * 2016-11-22 2017-05-11 조창현 캔 시밍머신의 시밍헤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780B1 (ko) * 2014-06-17 2015-03-25 유일한 금속제 캔의 제조장치
FR3054148B1 (fr) * 2016-07-25 2018-07-13 Tremark Sertisseuse de boites de forme a came electronique
KR102262367B1 (ko) * 2019-08-08 2021-06-08 주식회사 트렌드하이테크 캔 시밍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9134A (ja) * 2002-07-31 2004-02-26 Daiwa Can Co Ltd キャッピング装置
JP2004160468A (ja) * 2002-11-11 2004-06-10 Mitsubishi Materials Corp ボトル缶の製造方法およびネジ成形装置
US20070249424A1 (en) * 2006-03-31 2007-10-25 Belvac Production Machinery, Inc Apparatus for threading ca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9134A (ja) * 2002-07-31 2004-02-26 Daiwa Can Co Ltd キャッピング装置
JP2004160468A (ja) * 2002-11-11 2004-06-10 Mitsubishi Materials Corp ボトル缶の製造方法およびネジ成形装置
US20070249424A1 (en) * 2006-03-31 2007-10-25 Belvac Production Machinery, Inc Apparatus for threading ca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913B1 (ko) * 2016-11-22 2017-05-11 조창현 캔 시밍머신의 시밍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590A (ko) 201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348B1 (ko) 밀봉립 성형장치
CN101081417B (zh) 压凸缘机
CN102744183A (zh) 挤压头、涂布装置及涂布系统
CN203173776U (zh) 带式压盖机
KR100595372B1 (ko) 캡핑기
TWI568519B (zh) 用於製造金屬罐的設備
CN206813437U (zh) 一种自动装盒机的输送装置
CN202669153U (zh) 一种塑料型材表面图案转覆机
CN208561631U (zh) 一种瓶盖紧固装置
CN104386304B (zh) 一种稳固型封口机
CN115570058A (zh) 一种冲压模具
CN215395832U (zh) 一种复合板无套封边机用传动装置
CN206899852U (zh) 顶杆滚底式底压器
CN102320537B (zh) 一种防冒瓶封口设备
CN202427602U (zh) 一种旋转式高速自动制罐注胶装置
CN205778446U (zh) 一种移动式卷帘门驱动装置
CN205572300U (zh) 弹片压入治具
KR101823233B1 (ko) 넥킹캔 제조장치
CN206438137U (zh) 一种皮革压纹装置
CN216273013U (zh) 一种制造水性涂料用灌装压盖机
CN107055431B (zh) 一种内塞机
CN109911570B (zh) 一种圆形盖拉环朝向错乱装置
CN205534059U (zh) 电机带动齿形带传动机构
CN104690133B (zh) 一种卷边装置
CN204450208U (zh) 一种小型立式磨床磨具的升降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