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735B1 -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735B1
KR101385735B1 KR1020130028676A KR20130028676A KR101385735B1 KR 101385735 B1 KR101385735 B1 KR 101385735B1 KR 1020130028676 A KR1020130028676 A KR 1020130028676A KR 20130028676 A KR20130028676 A KR 20130028676A KR 101385735 B1 KR101385735 B1 KR 101385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film
memory device
ferroelectric
insul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복
권순용
전영은
정성철
진한별
곽진성
Original Assignee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28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layer which is used for its ferroelectr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84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ferroelectric gate insula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51/0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transistors
    • H10B51/3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transis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는 기판,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전극 위에 배치되어 있는 강유전체막, 강유전체막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절연막, 제1 절연막의 일부분 위에 배치되어 있는 드레인 전극, 드레인 전극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절연막, 제2 절연막 및 제1 절연막 위에 배치되어 있는 채널막, 그리고 채널막 위에 배치되어 있는 소스 전극을 포함하고, 드레인 전극의 한 측면과 소스 전극 사이에 채널막이 배치되어 있고, 드레인 전극의 한 측면과 소스 전극은 채널막에 접촉되어 있다.

Description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FERROELECTRIC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전원이 끊어져도 기억시킨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아 전원이 연결되면 다시 판독이 가능한 메모리 소자이다.
현재 비휘발성 메모리로 상용화된 플래시 메모리의 경우, 전하 저장층 내에 전하를 저장 또는 제거함에 따른 문턱 전압의 변화를 사용한다. 최근,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 비해 소비 전력이 낮은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들의 예로는 상변화형 메모리 소자(phase change RAM), 자기 메모리 조사(magnetic RAM),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resistance RAM) 및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ferroelectric RAM)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 비해 데이터를 읽고 쓰는 속도가 월등히 높으며 동작 전압과 소비 전력이 낮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데이터를 읽는 방식이 기본적으로 소위 파괴적 읽기(Destructive read-out)이어서 메모리 셀에서 데이터를 읽을 때마다 저장된 데이터를 다시 써주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파괴적 읽기 방식은 메모리 소자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한 원인이며, 이를 비파괴적인(Non-destructive) 방식으로 하고자 할 경우는 하나의 메모리 셀 안에 여러 개의 트랜지스터와 축전기가 포함되어야 하기 때문에 메모리 셀 자체가 커져 제작 공정이 복잡해지고 집적도를 높이는 것이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집적도를 향상시키고, 소자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는 기판,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전극 위에 배치되어 있는 강유전체막, 강유전체막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절연막, 제1 절연막의 일부분 위에 배치되어 있는 드레인 전극, 드레인 전극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절연막, 제2 절연막 및 제1 절연막 위에 배치되어 있는 채널막, 그리고 채널막 위에 배치되어 있는 소스 전극을 포함하고, 드레인 전극의 한 측면과 소스 전극 사이에 채널막이 배치되어 있고, 드레인 전극의 한 측면과 소스 전극은 채널막에 접촉되어 있다.
제2 절연막의 두께는 채널막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채널막은 제1 절연막 및 제2 절연막 사이에서 단차를 이룰 수 있다.
제1 절연막의 두께는 채널막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강유전체막은 PZT(Pb(Zr,Ti)O3), PTO(PbTiO3), SBT(SrBi2Ti2O3), BLT(Bi(La,Ti)O3), PLZT(Pb(La,Zr)TiO3), BST(Bi(Sr,Ti)O3), 티탄산바륨(barium titanate, BaTiO3), P(VDF-TrFE) 및 PVDF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제1 절연막은 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N), 질산화규소(SiON),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하프늄(HfO2), 산화티타늄(TiO2), 산화지르코늄(ZrO2), 산화마그네슘(MgO), 산화탄탈륨(Ta2O5) 및 산화란타늄(La2O3)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제2 절연막은 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N), 질산화규소(SiON),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하프늄(HfO2), 산화티타늄(TiO2), 산화지르코늄(ZrO2), 산화마그네슘(MgO), 산화탄탈륨(Ta2O5) 및 산화란타늄(La2O3)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채널막은 반도체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반도체는 규소(Si), 탄화규소(SiC), 질화붕소(BN), 산화아연(ZnO),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GZO) 및 아연-주석 산화물(ZTO)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채널막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절연 물질은 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N), 질산화규소(SiON),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하프늄(HfO2), 산화티타늄(TiO2), 산화지르코늄(ZrO2), 산화마그네슘(MgO), 산화탄탈륨(Ta2O5) 및 산화란타늄(La2O3)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은 기판 위에 게이트 전극, 강유전체막, 및 제1 절연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제1 절연막의 일부분 위에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드레인 전극 위에 제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제1 절연막 및 제2 절연막 위, 그리고 드레인 전극 한 측면에 채널막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채널막 위에 소스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드레인 전극의 한 측면과 소스 전극 사이에 채널막이 위치하고, 드레인 전극의 한 측면과 소스 전극은 채널막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강유전체막의 프린지 전기장 및 그에 영향을 받은 드레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의 채널막의 전자 에너지 밴드의 프로파일의 변화를 이용하여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를 동작하므로, 비파과적 읽기 방식을 구현할 수 있어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축전기나 복수 개의 트랜지스터 없이 하나의 트랜지스터로 메모리셀 구성이 가능하므로 강유전체 소자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구조와 동일한 구조의 소자를 기판 상에 수직 방향으로 적층하여 초고집적의 3차원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초기에 게이트 전극에 양(+)의 전압을,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에 음(-)의 전압을 인가했을 때와 이후 메모리 소자 동작 중 소스 전극은 접지된 상태에서 게이트 전극에 양(+)의 전압을, 드레인 전극에 음(-)의 전압을 인가했을 때, 강유전체막이 자발 분극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메모리 소자 동작 중 소스 전극은 접지된 상태에서 게이트 전극에 음(-)의 전압을, 드레인 전극에 양(+)의 전압을 인가했을 때, 강유전체막이 자발 분극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유한 요소법을 사용한 정전기 포텐셜 계산을 통해 얻어진 도 2에 따른 채널막 내의 전자 에너지 밴드 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유한 요소법을 사용한 정전기 포텐셜 계산을 통해 얻어진 도 3에 따른 채널막 내의 전자 에너지 밴드 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WKB 방법을 사용한 전자 터널링 모델링을 통하여 도 1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드레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 흐르는 단위 길이당 전류(Current Density)를 강유전체막의 자발 분극의 방향과 드레인-소스 전압(VDS)에 따라 계산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계산에 따라 도 1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강유전체막의 자발 분극의 방향의 변화에 따른 드레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스위칭비를 계산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차례로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는 기판(100)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게이트 전극(200), 강유전체막(300), 제1 절연막(400), 드레인 전극(500), 제2 절연막(600), 채널막(700) 및 소스 전극(800)을 포함한다.
기판(100)은 반도체 소자 제작용 기판으로, 규소(Si), 탄화규소(SiC), 또는 산화알루미늄(Al2O3) 기판일 수 있다.
게이트 전극(200)은 기판(100) 위에 배치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200)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니켈(Ni), 텅스텐(W), 티타늄(Ti), 루테늄(Ru)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금속막일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200)은 인듐-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알루미늄-아연 산화물(aluminum zinc oxide, AZO) 또는 갈륨-아연 산화물(gallium zinc oxide, GZO)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막일 수 있다.
강유전체막(300)은 게이트 전극(200)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계가 없는 상태에서도 자발 분극(spontaneous polarization)을 갖는 강유전 특성을 갖는다.
강유전체막(300)은 PZT(Pb(Zr,Ti)O3), PTO(PbTiO3), SBT(SrBi2Ti2O3), BLT(Bi(La,Ti)O3), PLZT(Pb(La,Zr)TiO3), BST(Bi(Sr,Ti)O3) 또는 티탄산바륨(barium titanate, BaTiO3) 등과 같은 강유전 특성을 갖는 세라믹막일 수 있다. 또한, 강유전체막(300)은 P(VDF-TrFE) 또는 PVDF 등과 같은 강유전 특성을 갖는 고분자막일 수 있다.
제1 절연막(400)은 강유전체막(300)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강유전체막(300)을 통한 누설 전류를 억제한다.
제1 절연막(400)은 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N), 질산화규소(SiON),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하프늄(HfO2), 산화티타늄(TiO2), 산화지르코늄(ZrO2), 산화마그네슘(MgO), 산화탄탈륨(Ta2O5) 및 산화란타늄(La2O3)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레인 전극(500)은 제1 절연막(400)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 드레인 전극(500)은 제1 절연막(400) 위의 전반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제1 절연막(400)의 일부분 위에 배치되어 있다.
드레인 전극(500)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니켈(Ni), 텅스텐(W), 티타늄(Ti), 루테늄(Ru)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금속막일 수 있다. 또한, 드레인 전극(500)은 인듐-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알루미늄-아연 산화물(aluminum zinc oxide, AZO) 또는 갈륨-아연 산화물(gallium zinc oxide, GZO)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막일 수 있다.
제2 절연막(600)은 드레인 전극(500)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드레인 전극(500)의 상부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절연막(600)은 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N), 질산화규소(SiON),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하프늄(HfO2), 산화티타늄(TiO2), 산화지르코늄(ZrO2), 산화마그네슘(MgO), 산화탄탈륨(Ta2O5) 및 산화란타늄(La2O3)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채널막(700)은 제2 절연막(600)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채널막(700)은 제1 절연막(400)의 일부분 및 드레인 전극(500)의 한 측면에도 배치되어 있어, 제2 절연막(600)과 제1 절연막(400) 사이에서 단차를 이룬다. 채널막(700)은 드레인 전극(500)의 한 측면에 접촉되어 있다.
채널막(700)은 규소(Si), 탄화규소(SiC), 질화붕소(BN), 산화아연(ZnO),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GZO) 또는 아연-주석 산화물(ZTO) 등과 같은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채널막(700)은 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N), 질산화규소(SiON),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하프늄(HfO2), 산화티타늄(TiO2), 산화지르코늄(ZrO2), 산화마그네슘(MgO), 산화탄탈륨(Ta2O5) 또는 산화란타늄(La2O3) 등과 같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스 전극(800)은 채널막(700) 위에 배치되어 있다. 소스 전극(800)은 제1 절연막(400) 위에 배치되어 있는 채널막(700) 및 제2 절연막(600) 위에 배치되어 있는 채널막(700) 위에 배치되어 있고, 드레인 전극(500)의 한 측면에 접촉되어 있는 채널막(700) 위에도 배치되어 있어 단차를 이룬다. 또한, 소스 전극(800)은 채널막(700)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소스 전극(800)과 드레인 전극(500)의 측면 사이에 채널막(700)이 위치한다.
소스 전극(800)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니켈(Ni), 텅스텐(W), 티타늄(Ti), 루테늄(Ru)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금속막일 수 있다. 또한, 소스 전극(800)은 인듐-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알루미늄-아연 산화물(aluminum zinc oxide, AZO) 또는 갈륨-아연 산화물(gallium zinc oxide, GZO)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막일 수 있다.
제2 절연막(600)의 두께는 채널막(700)의 두께보다 더 두껍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2 절연막(600)은 드레인 전극(500)의 상부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드레인 전극(500)과 소스 전극(800) 사이의 전류는 드레인 전극(500)의 측면과 소스 전극(800) 사이의 채널막(700)을 통해서만 흐른다.
한편, 채널막(700)이 절연 물질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에도 채널막(700)의 두께가 제2 절연막(600)의 두께보다 더 얇기 때문에 터널링(tunneling) 효과 또는 열전자 방출(thermionic emission) 효과에 의해 드레인 전극(500)과 소스 전극(800) 사이의 전류는 드레인 전극(500)의 측면과 소스 전극(800) 사이의 채널막(700)을 통해서만 흐른다.
제1 절연막(400)은 강유전체막(300)을 통한 누설 전류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드레인 전극(500) 및 소스 전극(800)의 스크리닝(screening) 효과 또한 억제할 수 있다. 제1 절연막(400)의 두께는 채널막(700)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는 강유전체막(300)의 자발 분극에 의해 강유전체막(300)의 표면에 전하가 유도되고, 표면에 유도된 표면 전하는 주위에 프린지 전기장을 형성한다. 이러한 프린지 전기장은 드레인 전극(500)의 측면과 소스 전극(800) 사이의 채널막(700)의 전자 에너지 밴드의 프로파일에 영향을 준다.
프린지 전기장은 강유전체막(300) 내의 자발 분극의 방향에 따라 변화한다. 이에 따라, 강유전체막(300) 내의 자발 분극의 방향에 따라 드레인 전극(500)의 측면과 소스 전극(800) 사이의 채널막(700)의 전자 에너지 밴드의 프로파일이 다르게 되고, 드레인 전극(500)과 소스 전극(800) 사이에 전류-전압 특성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는 강유전체막(300)의 자발 분극을 기억 매체로 사용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강유전체막(300)의 프린지 전기장 및 그에 영향을 받은 드레인 전극(500)의 측면과 소스 전극(800) 사이의 채널막(700)의 전자 에너지 밴드의 프로파일의 변화를 이용하여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를 동작하므로, 비파괴적 읽기 방식을 구현하여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축전기나 복수 개의 트랜지스터 없이 하나의 트랜지스터로 메모리셀 구성이 가능하므로 강유전체 소자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구조와 동일한 구조의 소자를 기판 상에 수직 방향으로 적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고집적의 3차원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그러면,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초기에 게이트 전극에 양(+)의 전압을,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에 음(-)의 전압을 인가했을 때, 즉 메모리셀 초기화 과정과 이후 메모리 소자 동작 중 소스 전극은 접지된 상태에서 게이트 전극에 양(+)의 전압을, 드레인 전극에 음(-)의 전압을 인가했을 때, 강유전체막이 자발 분극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메모리 소자 동작 중 소스 전극은 접지된 상태에서 게이트 전극에 음(-)의 전압을, 드레인 전극에 양(+)의 전압을 인가했을 때, 강유전체막이 자발 분극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메모리 소자의 동작 중, 드레인 전극(500)에는 음(-)의 전압을 인가하고, 게이트 전극(200)의 양(+)의 전압을 인가했을 경우, 강유전체막(300)의 자발 분극 방향은 강유전체막(300)의 상부 방향이 된다. 즉, 강유전체막(300)의 상부 표면에 양(+) 전하가 유도되고, 강유전체막(300)의 하부 표면에 음(-) 전하가 유도된다. 이 때, 소스 전극(800)은 접지되어 있다. 이후 전압을 인가하지 않아도 강유전체막(300)의 자발 분극 방향을 강유전체막(300)의 상부 방향으로 유지된다.
도 3을 참고하면, 메모리 소자 동작 중 드레인 전극(500)에는 양(+)의 전압을 인가하고, 게이트 전극(200)에 음(-)의 전압을 인가했을 경우, 드레인 전극(500) 아래에 대응하는 강유전체막(300)의 자발 분극 방향은 강유전체막(300)의 하부 방향이 된다. 즉, 드레인 전극(500) 아래에 대응하는 강유전체막(300)의 하부 표면에 양(+) 전하가 유도되고, 강유전체막(300)의 상부 표면에 음(-) 전하가 유도된다. 이 때, 소스 전극(800)은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소스 전극(800) 아래에 대응하는 강유전체막(300)에서의 자발 분극 방향은 상부 방향을 유지한다. 이후 전압을 인가하지 않아도 드레인 전극(500) 아래에 대응하는 강유전체막(300)의 자발 분극 방향은 강유전체막(300)의 하부 방향으로 유지된다.
도 4는 유한 요소법을 사용한 정전기 포텐셜 계산을 통해 얻어진 도 2에 따른 채널막 내의 전자 에너지 밴드 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유한 요소법을 사용한 정전기 포텐셜 계산을 통해 얻어진 도 3에 따른 채널막 내의 전자 에너지 밴드 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강유전체막(300)의 자발 분극 방향이 강유전체막(300)의 상부 방향일 때, 강유전체막(300)의 상부 표면에 유도된 양(+) 전하가 프린지 전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프린지 전기장의 영향으로 인한 드레인 전극(500)의 측면과 소스 전극(800) 사이의 채널막(700)의 전자 에너지 밴드의 프로파일은 도 4와 같게 된다.
그리고, 드레인 전극(500) 아래에 대응하는 강유전체막(300)의 자발 분극 방향이 강유전체막(300)의 하부 방향일 때, 강유전체막(300)의 상부 표면에 유도된 전하, 즉 소스 전극(800) 아래에 대응하는 강유전체막(300)의 상부 표면에 유도된 양(+) 전하와 드레인 전극(500) 아래에 대응하는 강유전체막(300)의 상부 표면에 유도된 음(-) 전하가 프린지 전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프린지 전기장의 영향으로 인한 드레인 전극(500)의 측면과 소스 전극(800) 사이의 채널막(700)의 전자 에너지 밴드의 프로파일은 도 5와 같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강유전체막(300)의 자발 분극 방향에 따라 드레인 전극(500)의 측면과 소스 전극(800) 사이의 채널막(700)의 전자 에너지 밴드의 프로파일이 달라진다.
드레인 전극(500)과 소스 전극(800) 사이에서 전류는 드레인 전극(500)의 측면과 소스 전극(800) 사이의 채널막(700)을 통해서 흐르는데, 전류의 양은 드레인 전극(500)의 측면과 소스 전극(800) 사이의 채널막(700)의 전자 에너지 밴드의 프로파일에 따라 달라진다. 다시 말하면, 동일한 드레인-소스 전압에 대해 강유전체막(300)의 자발 분극 방향에 따라 드레인 전극(500)과 소스 전극(800)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양 즉, 드레인 전극(500)과 소스 전극(800) 사이의 저항이 달라진다.
도 4 및 도 5를 비교하면, 도 4의 경우 즉, 강유전체막(300)의 자발 분극 방향이 강유전체막(300)의 상부 방향일 때의 드레인 전극(500)과 소스 전극(800)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도 5의 경우 즉, 강유전체막(300)의 자발 분극 방향이 강유전체막(300)의 하부 방향일 때의 드레인 전극(500)과 소스 전극(800)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양보다 더 많다.
따라서, 동일한 드레인-소스 전압에서 드레인 전극(500)과 소스 전극(800)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양 즉, 드레인 전극(500)과 소스 전극(800)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면 강유전체막(300)의 자발 분극 방향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유전체막(300)의 자발 분극 방향을 기억 매체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동작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WKB 방법을 사용한 전자 터널링 모델링을 통하여 도 1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드레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 흐르는 단위 길이당 전류(Current Density)를 강유전체막의 자발 분극의 방향과 드레인-소스 전압(VDS)에 따라 계산한 그래프이다. 도 8을 도 6 및 도 7의 계산에 따라 도 1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강유전체막의 자발 분극의 방향의 변화에 따른 드레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스위칭비를 계산한 그래프이다.
이러한 모델링은 드레인 전극과 소스 전극은 백금(Pt)으로, 제1 절연막은 산화알루미늄(Al2O3)으로, 제2 절연막은 산화규소(SiO2)로, 채널막은 탄화규소(SiC)로, 강유전체막은 PZT로 형성한 것으로 가정하여 수행하였다. 또한, 게이트 전압은 0V에서 6V까지 인가한 것으로 고려하였고, 드레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의 채널막을 통한 전하 수송은 터널링 효과에 의한 것으로 가정하여 수행하였다.
도 6은 게이트 전압을 0V 인가한 경우의 모델링 결과이다. 도 6에서와 같이, 동일한 드레인-소스 전압(VDS)에서 드레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 흐르는 단위 길이당 전류(Current Density)의 양은 강유전체막의 자발 분극의 방향이 강유전체막의 상부 방향(Polarziation up)인 경우가 드레인 전극 아래에 대응하는 강유전체막의 자발 분극의 방향이 강유전체막의 하부 방향(Polarziation down)인 경우 보다 더 많다.
도 7은 게이트 전압을 6V 인가한 경우의 모델링 결과이다. 도 7에서와 같이, 동일한 드레인-소스 전압(VDS)에서 드레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 흐르는 단위 길이당 전류(Current Density)의 양은 강유전체막의 자발 분극의 방향이 강유전체막의 상부 방향(Polarziation up)인 경우가 드레인 전극 아래에 대응하는 강유전체막의 자발 분극의 방향이 강유전체막의 하부 방향(Polarziation down)인 경우 보다 더 많다.
도 8에서와 같이, 도 6 및 도 7에서 계산된 드레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 흐르는 단위 길이당 전류(Current Density)를 바탕으로 도 1의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강유전체막의 자발 분극 방향의 변화에 따른 드레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스윙칭비의 최대 값은 게이트 전압(Vg)이 0V, 드레인-소스 전압(VDS)이 1.4V 일 때, 약 67500로 나타났다.
그러면,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드레인 전극(500)과 소스 전극(800)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고, 게이트 전극(200)에 음(-)의 전압을 인가했을 경우, 강유전체막(300)의 자발 분극 방향은 강유전체막(300)의 하부 방향이다. 즉, 강유전체막(300)의 하부 표면에 양(+) 전하가 유도되고, 강유전체막(300)의 상부 표면에 음(-) 전하가 유도된다. 이 때, 소스 전극(800)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였기 때문에, 소스 전극(800) 아래에 대응하는 강유전체막(300)에서의 자발 분극 방향 또한 하부 방향을 유지한다. 이후 전압을 인가하지 않아도 강유전체막(300)의 전반의 자발 분극 방향은 강유전체막(300)의 하부 방향으로 유지한다.
또한, 드레인 전극(500)과 소스 전극(800)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고, 게이트 전극(200)에 양(+)의 전압을 인가했을 경우, 강유전체막(300) 전반의 자발 분극 방향은 강유전체막(300)의 상부 방향이다. 즉, 강유전체막(300)의 상부 표면에 양(+) 전하가 유도되고, 강유전체막(300)의 하부 표면에 음(-) 전하가 유도된다. 이후 전압을 인가하지 않아도 강유전체막(300)의 자발 분극 방향을 강유전체막(300)의 상부 방향으로 유지된다.
그러면, 도 10 내지 도 12 및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차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기판(100) 위에 게이트 전극(200), 강유전체막(300), 제1 절연막(400)을 차례로 형성한다.
게이트 전극(200)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니켈(Ni), 텅스텐(W), 티타늄(Ti), 루테늄(Ru)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금속막 또는 인듐-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알루미늄-아연 산화물(aluminum zinc oxide, AZO) 또는 갈륨-아연 산화물(gallium zinc oxide, GZO)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막으로 형성한다.
강유전체막(300)은 PZT(Pb(Zr,Ti)O3), PTO(PbTiO3), SBT(SrBi2Ti2O3), BLT(Bi(La,Ti)O3), PLZT(Pb(La,Zr)TiO3), BST(Bi(Sr,Ti)O3) 또는 티탄산바륨(barium titanate, BaTiO3) 등과 같은 강유전 특성을 갖는 세라믹막 또는 P(VDF-TrFE) 또는 PVDF 등과 같은 강유전 특성을 갖는 고분자막으로 형성한다.
제1 절연막(400)은 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N), 질산화규소(SiON),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하프늄(HfO2), 산화티타늄(TiO2), 산화지르코늄(ZrO2), 산화마그네슘(MgO), 산화탄탈륨(Ta2O5) 및 산화란타늄(La2O3)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제1 절연막(400)의 일부분 위에 드레인 전극(500)을 형성한 후, 드레인 전극(500) 위에 제2 절연막(600)을 형성한다.
드레인 전극(500)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니켈(Ni), 텅스텐(W), 티타늄(Ti), 루테늄(Ru)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금속막 또는 인듐-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알루미늄-아연 산화물(aluminum zinc oxide, AZO) 또는 갈륨-아연 산화물(gallium zinc oxide, GZO)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막으로 형성한다.
제2 절연막(600)은 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N), 질산화규소(SiON),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하프늄(HfO2), 산화티타늄(TiO2), 산화지르코늄(ZrO2), 산화마그네슘(MgO), 산화탄탈륨(Ta2O5) 및 산화란타늄(La2O3)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한다.
도 12를 참고하면, 제2 절연막(600), 제1 절연막(400)의 일부분 및 드레인 전극(500)의 한 측면 위에 채널막(700)을 형성한다. 채널막(700)은 드레인 전극(500)의 한 측면과 접촉하고, 제2 절연막(600)과 제1 절연막(400) 사이에서 단차를 이룬다.
채널막(700)은 규소(Si), 탄화규소(SiC), 질화붕소(BN), 산화아연(ZnO),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GZO) 또는 아연-주석 산화물(ZTO) 등과 같은 반도체 또는 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N), 질산화규소(SiON),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하프늄(HfO2), 산화티타늄(TiO2), 산화지르코늄(ZrO2), 산화마그네슘(MgO), 산화탄탈륨(Ta2O5) 또는 산화란타늄(La2O3) 등과 같은 절연 물질로 형성한다.
채널막(700)의 두께는 제2 절연막(60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2 절연막(600)은 드레인 전극(500)의 상부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채널막(700)의 두께는 제1 절연막(400)의 두께보다 더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채널막(700) 위에 소스 전극(800)을 형성한다. 소스 전극(800)은 제1 절연막(400) 위에 배치되어 있는 채널막(700) 및 제2 절연막(600) 위에 배치되어 있는 채널막(700) 위에 배치되어 있고, 드레인 전극(500)의 한 측면에 접촉되어 있는 채널막(700)에도 배치되어 있어 단차를 이룬다. 또한, 소스 전극(800)은 채널막(700)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소스 전극(800)과 드레인 전극(500)의 측면 사이에 채널막(700)이 위치한다.
소스 전극(800)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니켈(Ni), 텅스텐(W), 티타늄(Ti), 루테늄(Ru)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금속막 또는 인듐-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알루미늄-아연 산화물(aluminum zinc oxide, AZO) 또는 갈륨-아연 산화물(gallium zinc oxide, GZO)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막으로 형성한다.
제2 절연막(600)에 의해 드레인 전극(500)의 상부로 전류가 흐르는 것이 방지되므로, 드레인 전극(500)과 소스 전극(800) 사이의 전류는 드레인 전극(500)의 측면과 소스 전극(800) 사이의 채널막(700)을 통해서만 흐른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기판 200: 게이트 전극
300: 강유전체막 400: 제1 절연막
500: 드레인 전극 600: 제2 절연막
700: 채널막 800: 소스 전극

Claims (22)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위에 배치되어 있는 강유전체막,
    상기 강유전체막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절연막,
    상기 제1 절연막의 일부분 위에 배치되어 있는 드레인 전극,
    상기 드레인 전극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절연막,
    상기 제2 절연막 및 상기 제1 절연막 위에 배치되어 있는 채널막, 그리고
    상기 채널막 위에 배치되어 있는 소스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전극의 한 측면과 상기 소스 전극 사이에 상기 채널막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드레인 전극의 한 측면과 상기 소스 전극은 상기 채널막에 접촉되어 있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2. 제1항에서,
    상기 제2 절연막의 두께는 상기 채널막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3. 제2항에서,
    상기 채널막은 상기 제1 절연막 및 상기 제2 절연막 사이에서 단차를 이루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4. 제3항에서,
    상기 제1 절연막의 두께는 상기 채널막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5. 제1항에서,
    상기 강유전체막은 PZT(Pb(Zr,Ti)O3), PTO(PbTiO3), SBT(SrBi2Ti2O3), BLT(Bi(La,Ti)O3), PLZT(Pb(La,Zr)TiO3), BST(Bi(Sr,Ti)O3), 티탄산바륨(barium titanate, BaTiO3), P(VDF-TrFE) 및 PVDF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6. 제5항에서,
    상기 제1 절연막은 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N), 질산화규소(SiON),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하프늄(HfO2), 산화티타늄(TiO2), 산화지르코늄(ZrO2), 산화마그네슘(MgO), 산화탄탈륨(Ta2O5) 및 산화란타늄(La2O3)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7. 제6항에서,
    상기 제2 절연막은 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N), 질산화규소(SiON),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하프늄(HfO2), 산화티타늄(TiO2), 산화지르코늄(ZrO2), 산화마그네슘(MgO), 산화탄탈륨(Ta2O5) 및 산화란타늄(La2O3)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8. 제7항에서,
    상기 채널막은 반도체로 이루어져 있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9. 제8항에서,
    상기 반도체는 규소(Si), 탄화규소(SiC), 질화붕소(BN), 산화아연(ZnO),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GZO) 또는 아연-주석 산화물(ZTO)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10. 제7항에서,
    상기 채널막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11. 제10항에서,
    상기 절연 물질은 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N), 질산화규소(SiON),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하프늄(HfO2), 산화티타늄(TiO2), 산화지르코늄(ZrO2), 산화마그네슘(MgO), 산화탄탈륨(Ta2O5) 및 산화란타늄(La2O3)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12. 기판 위에 게이트 전극, 강유전체막, 및 제1 절연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절연막의 일부분 위에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드레인 전극 위에 제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절연막 및 상기 제1 절연막 위, 그리고 상기 드레인 전극의 한 측면에 채널막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채널막 위에 소스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전극의 한 측면과 상기 소스 전극 사이에 상기 채널막이 위치하고, 상기 드레인 전극의 한 측면과 상기 소스 전극은 상기 채널막에 접촉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서,
    상기 제2 절연막의 두께는 상기 채널막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서,
    상기 채널막은 상기 제1 절연막 및 상기 제2 절연막 사이에서 단차를 이루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서,
    상기 제1 절연막의 두께는 상기 채널막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6. 제12항에서,
    상기 강유전체막은 PZT(Pb(Zr,Ti)O3), PTO(PbTiO3), SBT(SrBi2Ti2O3), BLT(Bi(La,Ti)O3), PLZT(Pb(La,Zr)TiO3), BST(Bi(Sr,Ti)O3), 티탄산바륨(barium titanate, BaTiO3), P(VDF-TrFE) 및 PVDF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서,
    상기 제1 절연막은 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N), 질산화규소(SiON),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하프늄(HfO2), 산화티타늄(TiO2), 산화지르코늄(ZrO2), 산화마그네슘(MgO), 산화탄탈륨(Ta2O5) 및 산화란타늄(La2O3)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서,
    상기 제2 절연막은 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N), 질산화규소(SiON),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하프늄(HfO2), 산화티타늄(TiO2), 산화지르코늄(ZrO2), 산화마그네슘(MgO), 산화탄탈륨(Ta2O5) 및 산화란타늄(La2O3)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서,
    상기 채널막은 반도체로 형성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서,
    상기 반도체는 규소(Si), 탄화규소(SiC), 질화붕소(BN), 산화아연(ZnO),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GZO) 또는 아연-주석 산화물(ZTO)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1. 제18항에서,
    상기 채널막은 절연 물질로 형성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2. 제21항에서,
    상기 절연 물질은 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N), 질산화규소(SiON),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하프늄(HfO2), 산화티타늄(TiO2), 산화지르코늄(ZrO2), 산화마그네슘(MgO), 산화탄탈륨(Ta2O5) 및 산화란타늄(La2O3)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130028676A 2013-03-18 2013-03-18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85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676A KR101385735B1 (ko) 2013-03-18 2013-03-18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676A KR101385735B1 (ko) 2013-03-18 2013-03-18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735B1 true KR101385735B1 (ko) 2014-04-21

Family

ID=5065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676A KR101385735B1 (ko) 2013-03-18 2013-03-18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7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504A (ko) 2019-11-25 2021-06-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도체 소자 및 이를 이용한 메모리 장치
KR20220078839A (ko) * 2020-12-04 2022-06-1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5837A (ja) 2004-12-01 2006-06-15 Seiko Epson Corp 強誘電体メモリ装置
KR100849755B1 (ko) 2005-12-05 2008-07-3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트랜지스터형 강유전체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JP2010062221A (ja) 2008-09-01 2010-03-18 Sharp Corp 強誘電体ゲート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それを用いたメモリ素子及び強誘電体ゲート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KR101148798B1 (ko) 2010-02-26 2012-05-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누설 전류를 억제하는 수단이 구비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5837A (ja) 2004-12-01 2006-06-15 Seiko Epson Corp 強誘電体メモリ装置
KR100849755B1 (ko) 2005-12-05 2008-07-3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트랜지스터형 강유전체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JP2010062221A (ja) 2008-09-01 2010-03-18 Sharp Corp 強誘電体ゲート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それを用いたメモリ素子及び強誘電体ゲート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KR101148798B1 (ko) 2010-02-26 2012-05-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누설 전류를 억제하는 수단이 구비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504A (ko) 2019-11-25 2021-06-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도체 소자 및 이를 이용한 메모리 장치
KR20220078839A (ko) * 2020-12-04 2022-06-1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06456B1 (ko) 2020-12-04 2023-03-0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0808B2 (en) Ferroelectric memory cell for an integrated circuit
US10043567B2 (en) Multilevel ferroelectric memory cell for an integrated circuit
US10475801B2 (en) Ferroelectric memory device and cross-point arr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3128534B1 (en) Ferroelectric memor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TWI605575B (zh) 三維非揮發性記憶體結構及其製造方法
US20160308070A1 (en) Semiconductor device
JP2021073747A (ja) 強誘電体キャパシタ、強誘電体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並びに導電性材料及び強誘電体材料を含む電子部品の形成に用いられる方法
US20160118404A1 (en) Three-dimensional non-volatile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KR101283539B1 (ko) 역전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그 스택 모듈 및 그제조 방법
JP5160470B2 (ja) 浮遊トラップ型不揮発性メモリ素子
JP2008270313A (ja) 半導体記憶素子
US9911847B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20034890A (ko) 비휘발성 기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10336132A1 (en) Ferroelectric components and cross point array devices including the ferroelectric components
JP5440803B2 (ja) Mfms型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及び強誘電体メモリ装置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KR101385735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05347328A (ja) 記憶素子
JP2021009893A (ja) トランジスタおよび不揮発性メモリ、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KR101946347B1 (ko) 저항 변화 물질을 이용한 비휘발성 박막 트랜지스터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28509B1 (ko) 투명 유연 비휘발성 메모리 셀
KR101003452B1 (ko) 멀티 비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479391B1 (ko) 분극 가능한 물질을 이용한 메모리 소자
TWI792658B (zh) 鐵電記憶體結構
RU78005U1 (ru) Флэш элемент памяти электрически перепрограммируемого постоянного запомин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JP2011009252A (ja)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半導体メモリセ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