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045B1 - 내치핑 시트 - Google Patents

내치핑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045B1
KR101384045B1 KR1020107019211A KR20107019211A KR101384045B1 KR 101384045 B1 KR101384045 B1 KR 101384045B1 KR 1020107019211 A KR1020107019211 A KR 1020107019211A KR 20107019211 A KR20107019211 A KR 20107019211A KR 101384045 B1 KR101384045 B1 KR 101384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onomer
chipping
base material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2184A (ko
Inventor
슈지 이치무라
마사타카 스도
Original Assignee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2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0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4Scratch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09J2301/16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the carrier being a laminate constituted by plastic layers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10T428/24967Absolute thicknesses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83Hard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이오노머를 기재층에 사용한 내치핑 시트에 있어서, 강판이나 외장품의 도장 표면에 첩부하더라도 표면이 흰빛을 띠게 되지 않고, 첩부 특성이 우수한 내치핑 시트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해결수단] 기재층 및 점착제층을 적어도 갖는 내치핑 시트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이 에틸렌ㆍ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가 금속 이온으로 중성화되어 이루어지는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이오노머층이 복수개 적층된 층 구성이고, 상기 복수개의 이오노머층의 한층이 상기 기재층의 점착제층과 접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에 위치하는 굽힘 강성률 200 N/㎟ 이상의 고강성률 이오노머층이고, 상기 복수개의 이오노머층의 다른 한층이 상기 최외층보다도 점착층 측에 위치하는 굽힘 강성률 200 N/㎟ 미만의 저강성률 이오노머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치핑 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치핑 시트{CHIPPING-RESISTANT SHEE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시에, 노면 상의 자갈이나 소품체 등이 차륜에 의해서 튀어올라 차체에 충돌하여, 차체 도장면을 손상시키는 현상으로부터 각종 표면을 보호하는 내치핑 시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외장으로서는 강판이나 수지 재료를 성형하여, 표면을 도장 등에 의해 덮은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들 중에서, 차체 측면이나 하부 등은 주행 중에 타이어가 튀어오른 석편 등의 경질물의 충돌 등에 의해, 강판이나 외장품의 도장 표면에 흠집, 균열, 오목부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종래, 이러한 표면의 상처, 균열, 오목부 등의 발생 방지를 위해, 염화비닐계의 졸을 이용한 내치핑 도장이 행해져 왔지만, 해당 졸은 소각시에 다이옥신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우레탄계의 기재를 불소 코팅으로 덮은 치핑 필름을 도장 표면에 첩부하여, 해당 표면을 보호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지만, 소재 및 코팅의 가격이 비싼 점에서, 치핑 필름도 비싸진다. 이 때문에, 비용적인 제약으로부터, 표면의 흠집, 균열, 오목부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부위 모두에는 적응할 수 없고, 부분적으로밖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실질적으로는 문제를 안고 있다(특허 문헌 1).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종 표면의 보호, 특히 자동차 외장의 흠집, 균열, 오목부 등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피착체의 요철이나 단말부에 추종(追從)하여, 용이하게 외관 좋게 첩부할 수 있는 염가의 치핑 필름으로서, 기재가 이오노머층과 폴리올레핀계 중합체층을 포함하는 치핑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9-277379호 공보 WO2007/069330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치핑 필름을 이용한 경우, 굴절률이 다른 재료를 적층하기 때문에, 강판이나 외장품의 도장 표면에 첩부하면, 투명성이 손상되어, 외관이 흰빛을 띠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외관이 흰빛을 띠게 되는 문제 해결을 위해 기재층을 이오노머의 단층으로 한 후에, 해당 이오노머의 조성을 변경함으로써 상술한 특성을 갖는 치핑 필름의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그러나, 고강성의 이오노머를 사용한 경우에는 첩부시의 추종성이 부족하다는 문제를 초래하는 한편, 저강성의 이오노머를 사용한 경우에는 첩부시에 가압으로 기재가 오목해져, 스키지(squeeze)가 미끄러지기 어려워진다는 문제를 초래하기 때문에, 첩부 특성이 우수한 치핑 필름을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오노머를 기재층에 사용한 내치핑 시트에 있어서, 강판이나 외장품의 도장 표면에 첩부하더라도 외관이 흰빛을 띠게 되지 않고, 첩부 특성이 우수한 내치핑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 (1)은 기재층 및 점착제층을 적어도 갖는 내치핑 시트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이 에틸렌ㆍ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가 금속 이온으로 중성화되어 이루어지는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이오노머층이 복수개 적층된 층 구성이고,
상기 복수개의 이오노머층의 한층이 상기 기재층의 점착제층과 접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에 위치하는 굽힘 강성률 200 N/㎟ 이상의 고강성률 이오노머층이고,
상기 복수개의 이오노머층의 다른 한층이 상기 최외층보다도 점착층 측에 위치하는 굽힘 강성률 200 N/㎟ 미만의 저강성률 이오노머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치핑 시트이다.
본 발명 (2)는 상기 고강성률 이오노머와 상기 저강성률 이오노머의 굽힘 강성률의 차가 30 N/㎟ 이상인 발명 (1)의 내치핑 시트이다.
본 발명 (3)은 상기 고강성률 이오노머층의 융점이 90 ℃ 이상인 발명 (1) 또는 (2)의 내치핑 시트이다.
본 발명 (4)는 상기 기재층이 상기 저강성률 이오노머층보다도 점착층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점착층과 접하는 상기 고강성률 이오노머층을 추가로 갖는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내치핑 시트이다.
본 발명 (5)는 상기 2층의 고강성률 이오노머층이 동일 조성인 발명 (4)의 내치핑 시트이다.
본 발명 (6)은 상기 기재층이 2층 구조이고,
상기 고강성률 이오노머층의 두께가 15 μm 내지 100 μm이고, 저강성률 이오노머층의 두께가 100 μm 내지 400 μm인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내치핑 시트이다.
본 발명 (7)은 상기 기재층이 3층 구조이고,
상기 기재층의 상기 점착제층과 접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에 위치하는 상기 고강성률 이오노머층의 두께가 15 μm 내지 100 μm이고, 상기 최외층보다도 점착층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저강성률 이오노머층의 두께가 100 μm 내지 400 μm이고, 상기 점착층과 접하는 상기 고강성률 이오노머층의 두께가 15 μm 내지 100 μm이고, 기재층 전체의 두께가 130 μm 내지 500 μm인 발명 (4) 또는 (5)의 내치핑 시트이다.
본 발명 (8)은 기재층의 인장 탄성률(N/㎟)과 기재층의 두께(mm)의 곱이 55 N/mm 이하인 발명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내치핑 시트이다.
여기서, 본 특허 청구의 범위 및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각 용어의 정의를 설명한다. 에틸렌ㆍ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란, 단량체 성분으로서 에틸렌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사용한 공중합체(랜덤이거나 블록일 수도 있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들 성분만을 포함하는 2원 공중합체에 한하지 않고, 다른 단량체도 사용한 3원 이상의 다원 공중합체도 포함한다. 「카르복실기가 금속 이온으로 중성화되어 이루어진다」란, 카르복실기의 적어도 일부가 금속 이온으로 중성화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치핑 시트의 기재층이 이오노머층만의 적층체이기 때문에, 강판이나 외장품의 도장 표면에 첩부하더라도 외관이 흰빛을 띠게 되지 않는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특정 매개 변수치가 다른 이오노머층을 조합함으로써, 한층의 이오노머층만으로서는 달성할 수 없는 내치핑 필름의 기본 특성인 각종 표면의 보호, 특히 자동차 외장의 흠집, 균열, 오목부 등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피착체의 요철이나 단말부에 추종하여, 용이하게 외관 좋게 첩부할 수 있다는 효과도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의 최량 형태를 설명한다. 우선, 본 최량 형태에 따른 내치핑 시트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한쪽면에 형성된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의 다른쪽의 한쪽면에 형성된 세퍼레이터층을 갖는다. 우선,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적 부분인 기재층부터 설명한다.
《기재층》
본 최량 형태에 따른 기재층은 2층 이상의 층 구성을 포함하고, 어느쪽의 층도 에틸렌ㆍ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가 금속 이온으로 중성화되어 이루어지는 이오노머층이다. 구성층 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7층 구성이다. 상기 이오노머층은 1개 이상이 고강성률 이오노머층이고, 1개 이상이 저강성률 이오노머층이다. 기재층의 구체적인 층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점착제층과 접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에 위치하는 고강성률 이오노머층과, 점착제층에 접하는 내층에 위치하는 저강성률 이오노머층의 2층 구성이나, 점착제층과 접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에 위치하는 제1 고강성률 이오노머층과, 점착제층에 접하는 내층에 위치하는 제2 고강성률 이오노머층과, 상기 2층의 고강성률 이오노머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저강성률 이오노머층의 3층 구성을 들 수 있다. 이하, 우선은 이오노머층의 조성부터 상술하고, 계속해서 각 층의 성질에 대해서 순서대로 상술한다.
이오노머층
본 최량 형태에 따른 이오노머층은 에틸렌ㆍ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가 금속 이온으로 중성화되어 이루어지는 이오노머로 구성된다. 에틸렌ㆍ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이타콘산, 말레산모노메틸, 말레산모노에틸,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중에서는, 특히 (메트)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ㆍ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로서는 가공성, 층간 접착성, 내블록킹성 등을 고려하면, 공중합체 중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함량이 2 내지 30 중량%, 특히 5 내지 20 중량%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에틸렌ㆍ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2원 공중합체 뿐만 아니라, 추가로 다른 단량체가 공중합된 다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에틸렌ㆍ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에 공중합되어 있을 수도 있는 상기 다른 단량체로서는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과 같은 비닐에스테르,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이소부틸, 아크릴산n-부틸,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이소부틸, 말레산디메틸, 말레산디에틸과 같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단량체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공중합체 중의 다른 단량체의 함량이 3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이온으로서는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마그네슘, 칼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 아연 등의 전이 금속 등의 금속 양이온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오노머로서는 이들 금속 양이온을 2종 이상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고, 추가로 유기 아민, 예를 들면 n-헥실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메타크실렌디아민 등으로 착화합물을 형성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이오노머로서는 중성화도가 90% 이하, 특히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성화도의 하한치는 5%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성화도」란, 금속 이온에 중성화되는 카르복실산기의 비율을 의미한다.
여기서, 고강성률 이오노머층을 구성하는 이오노머로서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미쓰이 듀퐁 폴리케미컬 제조의 하이미란 1554(아연 이온 중성화 에틸렌ㆍ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이오노머의 상품명)를 들 수 있다. 또한, 고강성률 이오노머층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층을 구성하는 이오노머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른 것일 수도 있지만, 동일한 것이 필름을 컬링하기 어려워진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저강성률 이오노머층을 구성하는 이오노머로서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미쓰이 듀퐁 폴리케미컬 제조의 하이미란 1855(아연 이온 중성화 에틸렌ㆍ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이오노머의 상품명)를 들 수 있다. 또한, 저강성률 이오노머층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층을 구성하는 이오노머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른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사용하는 이오노머는 고강성률인 것과 저강성률인 것으로 다른 융점{DSC(시차 주사 열량계)로 측정한 융점(JIS K 7121)}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고강성률 이오노머에 대해서는 9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2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5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20 ℃ 이하이다. 이러한 융점으로 함으로써, 고온시 외관이 변화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고강성률 이오노머에 대한 저강성률 이오노머의 융점의 차는 5 ℃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오노머의 MFR{멜트 플로우 레이트(JIS K 7210)}은 0.5 내지 10.0 g/10분이 바람직하고, 0.6 내지 6.0 g/10분이 보다 바람직하고, 0.8 내지 2.0 g/10분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MFR은 JIS K-7210(190 ℃, 하중 2160 g)에 규정된 방법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각 층의 성질
고강성률 이오노머층을 구성하는 이오노머의 굽힘 강성률은 200 N/㎟ 이상이 바람직하고, 220 N/㎟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40 N/㎟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350 N/㎟ 이하이다. 저강성률 이오노머층의 굽힘 강성률은 200 N/㎟ 미만이 바람직하고, 130 N/㎟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 N/㎟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70 N/㎟ 이상이다. 또한, 고강성률 이오노머와 저강성률 이오노머의 굽힘 강성률의 차는 30 N/㎟ 이상이 바람직하고, 60 N/㎟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N/㎟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230 N/㎟ 이하이다. 또한, 해당 물성은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공중합 비율, 분자량, 중성화도 등을 변경함으로써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강성률로 하기 위해서는 이오노머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비율을 높게 하거나, 이오노머의 중성화도를 높임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특허 청구의 범위 및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굽힘 강성률은 JIS K 7106에 규정된 방법에 의해 측정한 수치이다.
다음으로, 기재층의 두께에 대해서 상술한다. 우선, 기재층 전체의 두께는 130 내지 500 μ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60 내지 400 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80 내지 350 μ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해당 범위로 함으로써, 흠집 방지의 기능을 갖고, 작업성이 우수한 내치핑 시트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층의 두께에 대해서는 층의 수에 의해 적합 범위가 변한다. 예를 들면, 기재층이 2층 구조인 경우에는 상기 고강성률 이오노머층의 두께는 15 μm 내지 100 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80 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내지 60 μ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저강성률 이오노머층의 두께는 100 μm 내지 400 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내지 350 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내지 300 μ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해당 범위로 함으로써, 내열성과 유연성의 균형을 취할 수 있다. 또한, 기재층이 3층 구조인 경우에는 기재층의 점착제층과 접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에 위치하는 고강성률 이오노머층의 두께는 15 μm 내지 100 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80 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내지 60 μ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최외층보다도 점착층 측에 위치하는 저강성률 이오노머층의 두께는 100 μm 내지 400 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내지 350 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내지 300 μ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점착층과 접하는 고강성률 이오노머층의 두께는 15 μm 내지 100 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80 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내지 60 μ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해당 범위로 함으로써, 내열성과 유연성의 균형을 취할 수 있다.
계속해서, 기재층의 인장 탄성률(N/㎟)과 기재층의 두께(mm)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재층의 인장 탄성률(N/㎟)과 기재층의 두께(mm)의 곱은 18 내지 55가 바람직하고, 22 내지 50이 보다 바람직하고, 25 내지 47이 더욱 바람직하다. 해당 범위로 함으로써, 내치핑성 및 작업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18 미만이 되면 필름이 너무 부드러워져 작업을 하기 어려워지고, 55를 초과하면 필름이 딱딱해져 피착체에 대하여 추종성이 손상되게 된다. 또한, 본 특허 청구의 범위 및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은 JIS K 7113에 규정된 방법에 의해 측정한 수치이다.
《점착층》
다음으로, 본 최량 형태에 따른 내치핑 시트의 점착제층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점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아크릴계, 고무계, 실리콘계 등을 들 수 있고, 내후성, 가격 면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두께로서는 10 내지 70 μ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범위에 있으면, 충분한 점착력이 얻어지지 않고, 단말에서의 들뜸이나 박리를 일으킬 가능성이나, 첩부 후의 내치핑 시트에 어긋남이 생길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층》
계속해서, 본 최량 형태에 따른 내치핑 시트의 세퍼레이터층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세퍼레이터(박리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박리 처리한 각종 필름, 폴리라미지, 종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요철을 갖는 박리지를 이용하여, 점착제면에 요철을 만들어, 역첩부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제조 방법》
다음으로, 본 최량 형태에 따른 내치핑 시트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최량 형태에 따른 기재층은 접착 수지를 이용하여 공압출하여, 압출 라미네이트나, 용제계의 접착제를 이용한 압출 라미네이트나 드라이 라미네이트에 의한 접합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재층과 점착제층의 접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내층에 코로나 방전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표면 처리 대신에, 또는 표면 처리에 추가로, 앵커 코팅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내치핑 시트에 이용하는 앵커 코팅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크릴계나 우레탄계, 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두께로서는 0.1 내지 20 μm의 범위에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기재층을 제조한 후, 기재층의 내층에 점착액을 도포,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여기서, 점착제측에 세퍼레이터층(박리지)을 접합시켜, 취급성이나 가공성을 향상시킨다. 박리지를 접합시키는 경우, 박리지 상에 점착액을 도포, 건조하여 점착제를 배치한 후에, 상기 점착제면과 기재의 내면 연질층을 접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용도》
다음으로, 본 최량 형태에 따른 내치핑 시트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본 최량 형태에 따른 내치핑 시트는 내치핑성이 특히 문제가 되는 자동차 차체의 사이드실, 도어의 하부, 프런트 펜더나 리어 펜더의 호일 아치부의 하부 등에 첩부된다.
[실시예]
실시예 1
이하의 조성을 갖는 3층에서 공압출하여, 3층을 포함하는 기재층을 얻었다. 각 층의 상세한 정보를 이하에 나타내었다. 또한, 「하이미란」은 미쓰이 듀퐁 폴리케미컬사 제조이고, 동사의 상표이다.
외층 - 하이미란 1554{에틸렌ㆍ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이오노머(이온 타입: Zn), 인장 탄성률: 301 N/㎟, 굽힘 강성률: 265 N/㎟, MFR: 1.3 g/10분, 융점: 97 ℃, 두께: 40 μm}
중간층 - 하이미란 1855{에틸렌ㆍ메타크릴산ㆍ임의 성분의 3원 공중합체의 이오노머(이온 타입: Zn), 인장 탄성률: 117 N/㎟, 굽힘 강성률: 92 N/㎟, MFR: 1.0 g/10분, 융점: 86 ℃, 두께: 120 μm}
내층 - 하이미란 1554{에틸렌ㆍ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이오노머(이온 타입: Zn), 인장 탄성률: 301 N/㎟, 굽힘 강성률: 265 N/㎟, MFR: 1.3 g/10분, 융점: 97 ℃, 두께: 40 μm}
기재층 전체 - 인장 탄성률: 156 N/㎟, 두께: 200 μm
상기 공정에 의해 얻어진 기재층의 내층에 대하여 코로나 처리를 행하였다. 해당 코로나 처리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95:5의 공중합체 용액을 이용하여 도포 건조하고(건조 두께: 50 μm), 세퍼레이터층(박리지)으로서 린텍사 제조 KP8D를 이용하여 점착제면을 커버하여 내치핑 시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해당 내치핑 시트는 흰빛을 띠게 되는 등의 외관상의 결함을 갖지 않는 것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기재층을 구성하는 각 층의 두께가 다른 것 이외에는 동일한 조건으로, 내치핑 시트를 제조하였다. 해당 내치핑 시트는 흰빛을 띠게 되는 등의 외관상의 결함을 갖지 않는 것이었다. 이하, 각 층의 두께를 나타낸다.
외층 - 두께: 20 μm
중간층 - 두께: 260 μm
내층 - 두께: 20 μm
기재층 전체 - 인장 탄성률: 151 N/㎟, 두께: 300 μm
실시예 3
이하의 구성을 갖는 2층 기재를 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고, 내치핑 시트를 제조하였다. 해당 내치핑 시트는 흰빛을 띠게 되는 등의 외관상의 결함을 갖지 않는 것이었다. 또한, 기재층의 제조 방법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내치핑 시트를 제조하였다.
외층 - 하이미란 1554 두께: 40 μm
내층 - 하이미란 1855 두께: 160 μm
기재층 전체 - 인장 탄성률: 141 N/㎟, 두께: 200 μm
비교예 1
하이미란 1554만으로 200 μm 및 300 μm의 단층 필름을 기재층으로서 이용하여, 내치핑 시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기재층의 제조 방법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내치핑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하이미란 1855만으로 100 μm, 200 μm 및 300 μm의 단층 필름을 기재층으로서 이용하여, 내치핑 시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기재층의 제조 방법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내치핑 시트를 제조하였다.
노화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에 있어서 제조한 내치핑 시트에 대해서, 노화 시험을 행하였다. 필름의 폭 방향으로 50 mm, 길이 방향으로 100 mm의 크기로 재단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것을 샘플에 의해 큰 도장판(70 mm×140 mm)에 박리지를 박리하여 점착면을 노출시켜 첩부하였다. 24시간 방치 후, 80 ℃로 설정된 오븐에 정치하여, 7일간(168시간) 열을 가하였다. 그 후 실온에 24시간 정치하여, 필름의 외관 변화 및 접착부의 이상 유무를 관찰하였다. 외관 변화가 없으면 ○, 있으면 ×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내상부성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에 있어서 제조한 내치핑 시트에 대해서, 내상부 시험을 행하였다. 70 mm×150 mm의 크기로 샘플을 제조하여, 박리지를 박리하고, 도장 강판에 29.4N의 하중을 가하면서 공기를 끌어안지 않도록 첩부하였다. 이것을 23 ℃±2 ℃, 50±5% RH의 분위기에 48시간 정치하였다. 이 시험편을 수직으로 유지하고, 클라베로 시험기로 수평 방향으로부터 거리 35 cm에서 7호 쇄석 300 g을 0.39 MPa의 압력으로 쳐서, JIS Z 2371에 규정된 염수 분무 시험에 120시간 현가하여, 적녹 발생 개수를 조사하였다. 녹의 발생을 5점 이하를 ○, 6점 이상을 ×로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접착성 시험
도장한 PP 수지 성형품의 직각 부분에 25 mm×100 mm의 시험편을 하나의 면에 1 cm, 다른 면이 9 cm가 되도록 첩부하여, 23 ℃ 50%의 분위기에 24시간 정치하여 부유 상태를 조사하였다. 부유하고 있지 않으면 ○, 부유하고 있으면 ×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55846485-pct00001

Claims (8)

  1. 기재층 및 점착제층을 적어도 갖는 내치핑 시트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이 에틸렌ㆍ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가 금속 이온으로 중성화되어 이루어지는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이오노머층이 복수개 적층된 층 구성이고,
    상기 복수개의 이오노머층의 한층이 상기 기재층의 점착제층과 접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에 위치하는 굽힘 강성률 200 N/㎟ 이상의 고강성률 이오노머층이고,
    상기 복수개의 이오노머층의 다른 한층이 상기 최외층보다도 점착층 측에 위치하는 굽힘 강성률 200 N/㎟ 미만의 저강성률 이오노머층이고,
    기재층 전체의 두께가 130 μm 내지 50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치핑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률 이오노머와 상기 저강성률 이오노머의 굽힘 강성률의 차가 30 N/㎟ 이상인 내치핑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률 이오노머층의 융점이 90 ℃ 이상인 내치핑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이 상기 저강성률 이오노머층보다도 점착층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점착층과 접하는 상기 고강성률 이오노머층을 추가로 갖는 내치핑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층의 고강성률 이오노머층이 동일 조성인 내치핑 시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이 2층 구조이고,
    상기 고강성률 이오노머층의 두께가 15 μm 내지 100 μm이고, 저강성률 이오노머층의 두께가 100 μm 내지 400 μm인 내치핑 시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이 3층 구조이고,
    상기 기재층의 상기 점착제층과 접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에 위치하는 상기 고강성률 이오노머층의 두께가 15 μm 내지 100 μm이고, 상기 최외층보다도 점착층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저강성률 이오노머층의 두께가 100 μm 내지 400 μm이고, 상기 점착층과 접하는 상기 고강성률 이오노머층의 두께가 15 μm 내지 100 μm인 내치핑 시트.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재층의 인장 탄성률(N/㎟)과 기재층의 두께(mm)의 곱이 55 N/mm 이하인 내치핑 시트.
KR1020107019211A 2008-01-31 2008-01-31 내치핑 시트 KR101384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51520 WO2009096020A1 (ja) 2008-01-31 2008-01-31 耐チッピング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184A KR20100112184A (ko) 2010-10-18
KR101384045B1 true KR101384045B1 (ko) 2014-04-09

Family

ID=4091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211A KR101384045B1 (ko) 2008-01-31 2008-01-31 내치핑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62125B2 (ko)
JP (1) JP5097218B2 (ko)
KR (1) KR101384045B1 (ko)
WO (1) WO2009096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2068B2 (ja) * 2012-03-14 2017-03-29 凸版印刷株式会社 床材用積層フィル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4694A1 (en) * 2005-12-30 2007-07-05 Samuels Sam L Multilayer polymeric laminates and high strength laminates produced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7379A (ja) 1996-04-18 1997-10-28 Daiwa Enterp:Kk 車両ボディーの保護方法及び保護フィルム
JP3340979B2 (ja) * 1999-09-06 2002-11-05 日東電工株式会社 ダイシング用粘着シート
AU2001253390B2 (en) * 2000-04-14 2004-09-23 E.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Multilayer, co-extruded, ionomeric decorative surfacing
WO2002078954A1 (en) * 2001-03-29 2002-10-1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Ionomer laminates and articles formed from ionomer laminates
JP2006062290A (ja) * 2004-08-30 2006-03-09 Shin Etsu Polymer Co Ltd 加飾シート
JP4721834B2 (ja) * 2005-09-06 2011-07-1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この粘着シートを用いた製品の加工方法
WO2007069330A1 (ja) * 2005-12-16 2007-06-21 Nichiban Co., Ltd. チッピング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4694A1 (en) * 2005-12-30 2007-07-05 Samuels Sam L Multilayer polymeric laminates and high strength laminates produced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096020A1 (ja) 2011-05-26
WO2009096020A1 (ja) 2009-08-06
US8962125B2 (en) 2015-02-24
JP5097218B2 (ja) 2012-12-12
US20110008599A1 (en) 2011-01-13
KR20100112184A (ko) 2010-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0068A (ko) 점착 테이프
KR102265482B1 (ko) 핫멜트 점접착제 조성물
TW201600582A (zh) 隱形切割用薄膜基材、隱形切割用薄膜、及電子零件之製造方法
US9586388B2 (en) Chip-resistant film
KR20110010069A (ko) 적층 필름 및 점착 테이프
EP3170874A1 (en) Polyvinylidene fluoride resin adhesive film
JP2007161882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4218586A (ja) ガラス保護用粘着シート
JP2000248244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384045B1 (ko) 내치핑 시트
JP2006193690A (ja) 表面保護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105424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3119435A (ja)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7022507B2 (ja) 粘着フィルムおよび粘着フィルムの被着体への貼付方法
JP2016160363A (ja) 粘着積層体
CN202671479U (zh) 表面保护片
CN103254810A (zh) 表面保护片
CN103930500B (zh) 压敏型粘合膜或片材、表面保护膜或片材、以及使用压敏型粘合膜或片材用于保护物品表面的方法
CN202671484U (zh) 表面保护片
JP2009242763A (ja) 塗膜保護シート
CN202808671U (zh) 表面保护片
CN103254814A (zh) 表面保护片
JP4465079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CN103834314A (zh) 表面保护片
JPH03106913A (ja) 耐摩耗性アイオノマー重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