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815B1 - 스크류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및 스크류 조립체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류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및 스크류 조립체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815B1
KR101383815B1 KR1020140008614A KR20140008614A KR101383815B1 KR 101383815 B1 KR101383815 B1 KR 101383815B1 KR 1020140008614 A KR1020140008614 A KR 1020140008614A KR 20140008614 A KR20140008614 A KR 20140008614A KR 101383815 B1 KR101383815 B1 KR 101383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bearing
coupling
circumferential surface
fil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기
Original Assignee
이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기 filed Critical 이종기
Priority to KR1020140008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8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85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rings engaging the screw shaft with the inner perimeter, e.g. using inner rings of a ball b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26Connection of auxiliaries with a gear case; Mounting of auxiliaries on the gear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류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및 스크류 조립체 조립장법에 관한 것으로,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부는, 제1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의 일측이 삽입되어 있는 베어링샤프트, 상기 스크류의 나사골과 상기 베어링샤프트의 내부둘레면 사이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직경이 변하도록 형성된 제1 채움부재, 그리고 상기 베어링샤프트를 관통하고 상기 스크류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채움부재의 외부둘레면은 상기 베어링샤프트의 내부둘레면에 접하며, 상기 제1 채움부재의 직경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베어링샤프트 내부둘레면의 직경이 길이 방향을 따라가며 변화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스크류에 조여질수록 상기 스크류가 상기 베어링샤프트 내부로 더욱 삽입된다.

Description

스크류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및 스크류 조립체 조립방법{Screw assembly and transfer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fabrication method for screw assembly}
본 발명은 스크류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및 스크류 조립체 조립방법 에 관한 것이다.
볼 스크류는 운동방향을 전환하는 장치 중 하나로 각종 자동화 시설에서 모터와 연결되어 위치제어용으로 널리 사용된다. 볼 스크류는 외부둘레면에 나사가 형성된 긴 봉 형태의 스크류와 이 스크류에 결합되는 볼너트를 포함한다.
스크류의 일단은 모터와 연결되고, 타단은 지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볼너트는 이송물이 놓이는 테이블에 연결되고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스크류는 가공방법에 따라 전조로 제조되는 스크류와 연삭으로 제조되는 스크류로 구분될 수 있다.
연삭가공은 원통형의 모재를 깎아내며 나사와 결합단을 가공하기 때문에 스크류의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다. 그러나 연삭 가공은 제조비용이 높은 단점을 갖는다.
전조가공은 연삭가공에 비하여 대량 생산에 적합하고 비용이 저렴한 장점을 갖지만, 나사산이 형성하는 나사산 외경의 공차 관리가 어려운 단점을 갖는다. 즉 전조스크류의 결합단 가공시 나사골이 형성하는 원의 중심과 결합단의 축 중심이 일치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로 인해 스크류의 작동 시 진동이 수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전조가공된 스크류의 나사골에 채움부재를 결합하여 스크류의 회전 중심을 베어링 중심과 일치시킨 스크류 조립체를 출원하여 특허 제1313089호로 등록받은 적이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5] 5565(2011.06.08)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118876호(1998.05.12)
본 발명은 스크류와 베어링샤프트의 조립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베어링과 스크류의 회전 중심을 더욱 정교하게 맞출 수 있는 스크류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및 스크류 조립체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조립체는 스크류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부는, 제1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의 일측이 삽입되어 있는 베어링샤프트, 상기 스크류의 나사골과 상기 베어링샤프트의 내부둘레면 사이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직경이 변하도록 형성된 제1 채움부재, 그리고 상기 베어링샤프트를 관통하고 상기 스크류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채움부재의 외부둘레면은 상기 베어링샤프트의 내부둘레면에 접하며, 상기 제1 채움부재의 직경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베어링샤프트 내부둘레면의 직경이 길이 방향을 따라가며 변화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스크류에 조여질수록 상기 스크류가 상기 베어링샤프트 내부로 더욱 삽입된다.
상기 제1 채움부재는 스프링이며, 상기 스프링은 그 단면 모양이 직선인 부분을 가지며, 상기 스프링의 직선 부분이 상기 베어링샤프트의 내부둘레면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의 직선부분은 길이방향을 따라가며 경사져 있고, 상기 제1 채움부재와 상기 베어링샤프트의 내부둘레면은 면 접촉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채움부재의 외부둘레면과 상기 베어링샤프트의 내부둘레면은 상기 고정부재에 가까워질수록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상기 베어링샤프트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베어링의 일측 내륜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제1 베어링의 타측 내륜에 걸리는 로크너트가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단부는, 상기 제1 베어링을 지지하는 고정단하우징 및 상기 고정단하우징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베어링의 일측 외륜에 걸리는 외륜 누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베어링의 타측 외륜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조립체는 상기 스크류의 타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단부는, 내부에 베어링공간이 형성되고, 모터가 설치될 수 있는 지지단하우징, 상기 베어링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류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베어링, 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스크류 타측을 연결하는 커플링, 상기 제2 베어링과 상기 커플링 사이에 위치한 완충부재, 그리고 상기 스크류의 타측 나사골과 상기 제2 베어링 및 상기 커플링의 내부둘레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채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단하우징은 설치 대상물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단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2 베어링의 일측 외륜을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베어링의 타측 내륜은 상기 완충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지지단하우징의 이동으로 눌리어 상기 제2 베어링의 내륜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은, 상기 제2 채움부재가 접하고, 조여질 수 있는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제1 결합부재에서 상기 모터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기를 포함하는 스크류결합부, 내부둘레면에 상기 구동축이 삽입될 수 있고, 조여질 수 있는 제2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결합부재에서 상기 제1 돌기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돌기와 맞물릴 수 있는 제2 돌기를 포함하는 구동축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 사이에 배치된 허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단하우징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결합부재를 각각 조이는 볼트가 관통하는 조립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립구멍은 상기 베어링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는, 전술한 스크류 조립체, 상기 스크류 조립체의 고정단부와 지지단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테이블, 그리고 상기 테이블과 상기 스크류 조립체의 스크류와 연결된 볼너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조립체 조립방법은, 내부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의 직경이 개방부분에서 내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베어링샤프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베어링샤프트에 제1 베어링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1 베어링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베어링샤프트에 로크너트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1 베어링을 고정단하우징 내부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1 베어링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단하우징에 외륜 누름판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베어링샤프트를 고정단하우징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 나사골이 형성된 스크류의 일측 부분에 외부둘레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진 제1 채움부재를 감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스크류의 일측 나사골 부분에 상기 상기 스크류의 일측을 상기 결합홈의 개방부분으로 삽입하고 고정부재로 상기 스크류를 조이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스크류에 조여질수록 상기 스크류가 상기 베어링샤프트 내부로 더욱 삽입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조립체 조립방법은 완충부재, 제2 채움부재, 제2 베어링, 지지단하우징 및 커플링을 포함하는 지지단부와 상기 스크류의 타측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지지단하우징을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고정단하우징 또는 상기 지지단하우징에 모터를 배치하여 상기 스크류와 동력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지단하우징의 이동으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2 베어링과 상기 커플링 사이에 눌리어 상기 제2 베어링의 내륜에 완충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홈의 개방부분 직경이 스크류의 외부둘레면 및 제1 채움부재의 일측 외부둘레면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스크류의 일측이 결합홈으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르므로 스크류 조립체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직경이 개방부분에서 고정부재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결합홈과 경사진 제1 채움부재에 의해 고정부재가 스크류에 조여질수록 스크류는 결합홈에 삽입되고, 제1 채움부재의 외부둘레면이 베어링샤프트의 내부둘레면에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므로 스크류의 일측이 베어링샤프트 내부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류의 나사골에 결합된 제1 채움부재와 제2 채움부재의 중심이 베어링의 중심과 일치하면서 스크류의 회전중심이 됨으로 모터 구동 시 스크류가 흔들리지 않고 회전되어 볼너트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스크류가 회전할 때 베어링의 중심과 스크류의 회전 중심이 불일치하여 생길 수 있는 스크류의 흔들림이 없어지므로 결과적으로 스크류가 회전구동 할 때 진동이 발생하지 않아 관련제품의 성능이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완충부재가 제2 베어링을 걸림턱 방향으로 완충력을 부여하면서 제2 베어링에 예압(pre-load)이 가해져 제2 베어링의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에 제2 베어링이 베어링공간에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크류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Ⅲ-Ⅲ선을 따라 스크류 조립체를 자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베어링샤프트와 스크류 분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스크류가 베어링샤프트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B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6에 도시한 C부분 확대도.
도 9는 도 3에 도시한 D부분 확대도.
도 10은 도 2에 도시한 커플링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XI-XI선을 따라 지지단하우징을 자른 단면도.
도 12는 도 9에 도시한 E부분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은 본 발명의 스크류 조립체 조립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조립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이송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인 바 이하에서는 위 스크류 조립체가 적용된 이송장치 위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1)는 이송물(도시하지 않음)을 운반하거나 가공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일부 구성이 장착될 수 있는 것으로 프레임(10), 테이블(20), 볼너트(30), 그리고 스크류 조립체(4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프레임(10)의 길이는 이송물 또는 가공장치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프레임(10)은 지면 또는 가공장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가공장치의 바디가 프레임이 될 수 있다. 프레임(10)에는 테이블(20)이 연결되는 가이드(11)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블(20)과 가이드(11)의 연결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달리 변경될 수 있다.
테이블(20)은 이송물, 가공장치의 일부 구성이 올려질 수 있도록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볼너트(30)를 통해 스크류 조립체(40)의 스크류(41)와 연결되어 있다. 스크류 조립체(40)의 구동으로 볼너트(30)가 직선 이동하면 테이블(20)은 가이드(11)를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테이블(20)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달리 이송물, 가공장치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스크류 조립체(40)는 테이블(20)이 움직일 수 있도록 볼너트(30)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프레임(10)의 일측에 배치된 고정단부(42), 테이블(20)의 타측에 배치된 지지단부(43), 그리고 일측이 고정단부(42)에 타측이 지지단부(43)에 연결된 스크류(41)를 포함한다.
스크류(41)는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둘레면에 볼너트(30)가 이동하는 나사골(411)이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41)의 나사골(411)은 전조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조 가공의 특성 상 스크류(41)의 외부둘레면의 중심과 나사골(411)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스크류(41)의 나사골(411) 가공은 연삭 가공 등으로 제작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의 가공 방식을 전조 가공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스크류(41)의 일측 부분의 나사골(411)에는 제1 채움부재(424)가 결합되어 있고, 타측 부분의 나사골(411)에는 제2 채움부재(433)가 결합되어 있다. 제1 채움부재(424) 및 제2 채움부재(433)의 중심은 나사골(411)의 중심과 일치한다. 제1 채움부재(424)가 결합된 스크류(41)의 단부 부분에는 체결홈(412a)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단부(42)는 고정단하우징(422), 베어링샤프트(425), 제1 채움부재(424), 그리고 고정부재(426)를 포함한다.
고정단하우징(422)은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1 베어링(421)이 위치하는 베어링공간(422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베어링(421)의 개수는 스크류(41)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1 베어링(421)은 앵귤러 콘택트 볼 베어링(angular contact ball bearing)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공간(422a)의 넓이는 제1 베어링(421)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고정단하우징(422)의 내부둘레면에는 제1 베어링(421)의 외륜이 걸리는 걸림턱(422b)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단하우징(422)의 일측에는 외륜 누름판(423)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외륜 누름판(423)은 제1 베어링(421)의 일측 외륜을 지지하고, 걸림턱(422b)은 제1 베어링(421)의 타측 외륜을 지지한다. 외륜 누름판(423)과 걸림턱(422b)에 의해 제1 베어링(421)은 베어링공간(422a)에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채움부재(424)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나사골(411)과 동일한 피치를 가지며 나사골(411)에 위치한다. 제1 채움부재(424)의 외부둘레면 직경이 스크류(41)의 외부둘레면 직경보다 커 외부둘레면은 나사골(411)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제1 채움부재(424)의 돌출된 부분은 평면(424a)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채움부재(424)의 내부둘레면의 직경은 변화하지 않으나, 외부둘레면 직경은 스크류(4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커지는 형태로 변화한다. 이에 제1 채움부재(424)의 외부둘레면인 평면(242a) 부분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샤프트(425)는 제1 베어링(421)에 결합되어 있다. 베어링샤프트(425)의 일측에는 제1 베어링(421)의 일측 내륜에 걸리는 걸림턱(425e)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나사(425d)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425d)에는 제1 베어링(421)의 타측 내륜에 걸리는 로크너트(425g)가 결합되어 있다. 로크너트(425g)는 나사와 더불어 로크너트(425g)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드볼트(425h)에 이해 베어링샤프트(425)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제1 베어링(421)은 걸림턱(425e)과 로크너트(425g)에 의해 베어링샤프트(425)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외륜 누름판(423), 걸림턱(422b, 425e) 및 로크너트(425g)에 의해 제1 베어링(421)에 예압(pre-load)이 가해져 제1 베어링(421)의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에 제1 베어링(421)이 베어링공간(422a)에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베어링샤프트(425)의 내부 일측에는 고정부재(426)가 관통하는 구멍(425a)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 타측에는 구멍(425a)과 연결된 결합홈(425c)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426)의 일측은 베어링샤프트(425)의 일단에 걸려 있고, 타측은 결합홈(425c)에 위치한다. 구멍(425a)과 가장멀리 떨어져 있는 결합홈(425c) 부분은 개방부분(425b)이다. 결합홈(425c)의 직경은 구멍(425a)에서 개방부분(425b)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로 변화한다. 결합홈(425c)의 직경은 제1 채움부재(424)의 외부둘레면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개방부분(425b)을 통하여 제1 채움부재(424)가 결합된 스크류(41)의 일측 부분이 결합홈(425c)으로 삽입될 수 있다. 개방부분(425b)의 직경이 스크류(41)의 외부둘레면 및 제1 채움부재(424)의 일측 외부둘레면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41)의 일측은 결합홈(425c)으로 걸림 없이 삽입되어 고정부재(426)와 연결될 수 있다(도 6 (a), (b) 및 도 7 참조). 스크류(41)의 일측부분이 결합홈(425c)에 원활하게 삽입되므로 스크류 조립체(40)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스크류(41)가 결합홈(425c)에 삽입될 때 고정부재(426)의 단부는 체결홈(421a)에 체결되며, 체결홈(421a)에 고정부재(426)가 체결될수록 스크류(41)는 결합홈(425c)으로 점진적으로 삽입된다.
제1 채움부재(424)와 베어링샤프트(425)가 접하는 부분의 직경이 고정부재(426)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지므로 스크류(41)가 결합홈(425c)에 삽입될수록 제1 채움부재(424)의 외부둘레면이 베어링샤프트(425)의 내부둘레면에 접촉되어 스크류(41)의 일측은 제1 채움부재(424)에 의해 베어링샤프트(425)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도 6 (c) 및 도 8 참조).
제1 채움부재(424)의 외부둘레면이 베어링샤프트(425) 내부둘레면에 접하고 있어 나사골(411)의 중심, 제1 채움부재(424)의 중심 및 베어링샤프트(425)의 중심이 일치할 수 있다.
베어링샤프트(425)의 내부둘레면에 접하는 제1 채움부재(424) 부분이 곡면이 아닌 평면(424a)으로 형성되어 베어링샤프트(425)와 제1 채움부재(424)가 서로 면 접촉한다. 면접촉으로 제1 채움부재(424)와 베어링샤프트(425)의 접촉면적이 높아져 제1 채움부재(424)는 베어링샤프트(425) 내부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스크류(41)의 고정력 또한 높아질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9를 참고하면, 지지단부(43)는 지지단하우징(431), 제2 베어링(432), 제2 채움부재(433), 커플링(434), 그리고 완충부재(436)를 포함한다.
지지단하우징(431)은 고정단하우징(422)과 마주하며 프레임(10)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단하우징(431)에는 프레임(10)에 체결되는 볼트가 관통하고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장방향 홀(431b)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가 가 체결된 경우 지지단하우징(431)이 임시 고정된 상태이므로 지지단하우징(431)은 장방향 홀(431b)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지지단하우징(431)의 내부에는 제2 베어링(432), 커플링(434) 및 완충부재(436)가 위치하는 베어링공간(431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베어링(432)은 하나 이상 위치할 수 있고, 베어링공간(431a)의 넓이는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2 베어링(432)은 제1 베어링(421)과 동일한 앵귤러 콘택트 볼 베어링(angular contact ball bearing)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단하우징(431)의 일측 내부둘레면에는 제2 베어링(432)의 외륜이 걸리는 걸림턱(431b)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내부둘레면에는 모터(50)의 위치를 설정하는 고정홈(431c)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고정홈(431c)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모터(50)는 프레임(10)에 배치된다. 지지단하우징(431)에는 외부둘레면에서 베어링공간(431a)과 연통된 복수의 조립구멍(431e)이 형성되어 있다. 모터(50)의 구동축(51)은 베어링공간(431a)에 위치하며 스크류(41)의 타측과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제2 채움부재(433)는 제1 채움부재(424)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갖는다. 이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2 채움부재(433)의 외부둘레면은 제1 채움부재(424)의 외부둘레면과 같이 경사지지 않고 스크류(41)의 외부둘레면과 평행한 평면(433a)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제2 채움부재(433)의 외부둘레면 직경은 변화하지 않는다. 제2 채움부재(433)의 외부둘레면은 제2 베어링(432)의 내부둘레면 및 커플링(434)의 스크류결합부(441) 내부둘레면에 접한다. 제2 채움부재(433)의 외부둘레면 직경이 스크류(41)의 외부둘레면 직경보다 크므로 스크류(41)의 외부둘레면은 제2 베어링(432) 및 스크류결합부(441)의 내부둘레면에 접하지 않는다(도 12 참조). 이에 제2 채움부재(433)에 의해 제2 베어링(432) 및 스크류결합부(441)의 중심은 나사골(411)의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커플링(434)은 스크류(41)의 타측과 모터(50)을 연결하는 것으로, 스크류결합부(441), 구동축결합부(442), 그리고 허브(443)를 포함한다.
스크류결합부(441)는 스크류(41)의 타측에 위치하며 제1 결합부재(441a) 및 제1 돌기(441b)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재(441a)는 양단이 끊어진 링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스크류(41)의 타측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결합부재(441a)에는 끊어진 부분을 조이기 위하여 볼트(B)가 결합되는 조임홀(441f)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채움부재(433)의 외부둘레면은 제1 결합부재(441a)의 내부둘레면에 접하며, 볼트(B)에 의해 끊어진 부분이 조여지면 제1 결합부재(441a)의 내부둘레면이 제2 채움부재(433)의 외부둘레면을 가압하여 스크류(41)와 고정된다.
볼트(B)의 조여짐은 스크류결합부(441)가 베어링공간(431a)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이에 볼트(B)는 조립구멍(431e)을 통하여 베어링공간(431a)에 삽입되어 제1 결합부재(441a)를 조이게 된다(도 11 참조).
제1 돌기(441b)는 제1 결합부재(441a)에서 모터(5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돌기(441b)는 제1 결합부재(441a)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구동축결합부(442)는 구동축(51)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2 결합부재(442a) 및 제2 돌기(442b)를 포함한다. 제2 결합부재(442a)는 제1 결합부재(441a)와 떨어져 있고 양단이 끊어진 링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구동축(51)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결합부재(442a)에는 끊어진 부분을 조이기 위하여 볼트(B)가 결합되는 조임홀(442f)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51)이 제2 결합부재(442a)의 내부둘레면에 접하며, 볼트(B)에 의해 끊어진 부분이 조여지면 제2 결합부재(442a)의 내부둘레면이 구동축(51)을 가압하여 구동축(51)과 고정된다. 볼트(B) 또한 조립구멍(431e)을 통하여 베어링공간(431a)으로 삽입되어 제2 결합부재(442a)를 조이게 된다.
제2 돌기(442b)는 제2 결합부재(442a)에서 제1 결합부재(441a)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결합부재(442a)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제 2 돌기(442b)는 제1 돌기(441a)들 사이에 위치한다. 제2 돌기(442b) 및 제1 돌기(441b)의 배열 개수 및 그 단면적에 의해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그러나 제2 돌기(442b) 및 제1 돌기(441b)는 허브(443)에 의해서 서로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허브(443)는 제1 결합부재(441a)와 제2 결합부재(442a) 사이에 위치하고, 구동축(51)이 삽입되는 구멍(443b)이 형성된 몸체(443a), 몸체(443a)의 외부둘레면에서 제1 돌기(441b)와 제2 돌기(442b) 사이로 돌출된 돌출편(443c)들, 그리고 돌출편(443c)의 외부면에서 제1 결합부재(441a) 및 제2 결합부재(442a)에 접하도록 돌출된 완충편(443d)을 포함한다. 구동축(51)은 구멍(443b)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돌출편(443c)은 제1 돌기(441b)와 제2 돌기(442b) 사이에 위치하여 구동축결합부(442)의 동력을 스크류결합부(441)로 전달한다. 돌출편(443c)은 완충편(443d)에 의해 제1 결합부재(441a) 및 제2 결합부재(442a)에 접하지 않고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제1 돌기(441b)와 제2 돌기(442b)가 서로 접한 상태를 유지하면 허브(443)는 생략될 수 있다. 아울러, 스크류(41)와 모터(50)의 동력연결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완충부재(436)는 고무링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제2 베어링(432)과 스크류 결합부(441) 사이에 위치하며 일측이 제2 베어링(432)의 내륜에 접하고, 타측은 제 1 결합부재(441a)에 접한다.
지지단하우징(431)이 임시 고정된 상태에서 모터(50) 방향으로 움직이면 완충부재(436)는 제2 베어링(432)의 내륜에 의해 눌리면서 완충력이 발생한다. 완충부재(436)의 완충력은 제2 베어링(432)의 내륜을 걸림턱(431b) 방향으로 완충지지 한다(도 12 참조).
걸림턱(431b)과 완충부재(436)에 의해 제2 베어링(432)에 예압(pre-load)이 가해져 제2 베어링(432)의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에 제2 베어링(432)이 베어링공간(431a)에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완충부재(436)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류결합부(441)가 제2 베어링(432)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베어링(432)을 걸림턱(431b)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볼너트(30)가 연결된 나사골(411)의 중심이 제1 채움부재(424)와 제2 채움부재(433)에 의해 베어링샤프트(425) 및 스크류결합부(441)의 중심과 일치하므로 스크류(41)의 회전 중심이 나사골(411)의 중심과 일치하므로, 축 중심 불일치에 따른 스크류의 진동 등의 외부요건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작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은 전조가공에 의한 스크류를 사용하여도 연삭 스크류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높은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정밀도에 의해 모터(50) 구동 시 스크류가 흔들리지 않고 회전되어 볼너트(30)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는 모터(50)가 지지단부(43)에 위치하지 않고 고정단부(42)에 위치한다. 이에 지지단부(43)의 커플링(434)은 생략될 수 있다. 모터(50)는 고정단하우징(422) 또는 프레임(10)의 일측에 배치되어 구동축(51)이 베어링샤프트(425)의 일측과 동력연결 된다. 베어링샤프트(425)의 일측에는 양단이 떨어져 있는 형상을 가지며 볼트(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조여지는 클램핑부(425f)가 형성되어 있다. 볼트(도시하지 않음)가 조여질 때 클램핑부(425f)의 내부면이 구동축(51)을 가압하게 되어 구동축(51)과 베어링샤프트(425)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볼트가 베어링샤프트(425)의 일측을 관통하여 구동축(51)에 접하여 구동축(51)이 베어링샤프트(425)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단부(43)의 경우 도 1 내지 도 12 실시예에 따른 고정단하우징(422), 베어링샤프트(425), 제1 채움부재(424), 고정부재(426), 제1 베어링(421) 및 로크너트(425g)로 이루어진 고정단부(42)의 구조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단부(43)는 베어링과 하우징으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12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는 커플링(434)의 스크류결합부(441) 및 제2 채움부재(433)가 다른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결합부(441)의 제1 결합부재(441a)에는 제2 베어링(432)에 결합된 지지베어링샤프트(441c)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베어링샤프트(441c)의 내부에는 스크류(41)의 타측이 삽입되는 지지결합홈(441d)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결합홈(441d)은 결합홈(425c)과 동일하게 개방부분(441e)을 가지며 개방부분(441e)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변화한다. 제1 결합부재(441a)에는 지지고정부재(427)가 배치되어 있고 그 단부는 지지결합홈(441d)에 위치하여 스크류(41)의 타단에 조여진다.
제2 채움부재(433)의 외부둘레면 직경은 스크류(41)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변화하여 지지베어링샤프트(441c)의 내부둘레면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방부분(441e)을 통하여 제2 채움부재(433)가 결합된 스크류(41)의 타측 부분이 지지결합홈(441d)으로 삽입될 수 있다. 개방부분(441e)의 직경이 스크류(41)의 외부둘레면 및 제2 채움부재(433)의 타측 외부둘레면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41)의 타측은 지지결합홈(441d)으로 걸림 없이 삽입되어 지지고정부재(427)와 연결될 수 있다. 스크류(41)의 타측 또한 일측과 동일하게 지지결합홈(441d)에 원활하게 삽입되므로 스크류 조립체(40)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스크류(41)가 지지결합홈(441d)에 삽입될 때 지지고정부재(427)의 단부가 스크류(41)에 체결될수록 스크류(41)는 지지결합홈(441d)에 삽입된다. 제2 채움부재(433)와 지지베어링샤프트(441c)가 접하는 부분의 직경이 지지고정부재(427)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지므로 스크류(41)가 지지결합홈(441d)에 삽입될수록 제2 채움부재(433)의 외부둘레면이 지지베어링샤프트(441c)의 내부둘레면에 접촉되어 스크류(41)의 타측은 제2 채움부재(433)에 의해 지지베어링샤프트(441c)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12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14을 다시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조립체의 조립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전술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조립체 조립방법은, 베어링샤프트를 준비하는 단계(S10), 베어링샤프트에 제1 베어링을 결합하는 단계(S20), 베어링샤프트에 로크너트를 결합하는 단계(S30), 제1 베어링을 고정단하우징에 결합하는 단계(S40), 고정단하우징에 외륜 누름판을 결합하는 단계(S50), 제1 채움부재를 준비하는 단계(S60), 고정부재로 제1 채움부재가 결합된 스크류를 조이는 단계(S70), 지지단부에 스크류의 타측을 결합하는 단계(S80), 지지단하우징을 이동시키는 단계(S90), 그리고 스크류의 타측과 모터를 연결하는 단계(S100)를 포함한다.
베어링샤프트를 준비하는 단계(S10)에서, 베어링샤프트(425)의 일측 외부 둘레면에 걸림턱(425e)을 형성하고, 타측 외부둘레면에 나사(425d)를 형성한다. 베어링샤프트(425)의 내부에 구멍(425a)과 결합홈(425c)을 형성한다. 구멍(425a)은 베어링샤프트(425) 일측 내부에 형성하고 결합홈(425c)은 타측 내부에 형성하여 구멍(425a)과 연결한다. 결합홈(425c)을 형성할 때 직경이 개방부분에서 구멍(425a)을 향해 갈수록 작아지는 형태로 변화되게 형성한다.
베어링샤프트에 제1 베어링을 결합하는 단계(S20)는 베어링샤프트(425)의 외부둘레면에 제1 베어링(421)을 결합한다. 이때 제1 베어링(421)의 일측 내륜이 걸림턱(425e)에 접하도록 한다. 제1 베어링(421)은 2개의 앵귤러 콘택트 볼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다.
베어링샤프트에 로크너트를 결합하는 단계(S30)는 베어링샤프트(425)의 나사(425d)에 로크너트(425g)를 결합하여 제1 베어링(421)의 타측 내륜에 접하도록 한다.
제1 베어링을 고정단하우징에 결합하는 단계(S40)는 베어링샤프트(425)와 결합된 제1 베어링(421)를 고정단하우징(422)의 베어링공간(422a)으로 삽입한다. 제1 베어링(421)의 타측 외륜이 고정단하우징(422)에 형성된 걸림턱(422b)에 접하도록 한다.
고정단하우징에 외륜 누름판을 결합하는 단계(S50) 고정단하우징(422)의 일측에 외륜 누름판(423)을 결합하여 제1 베어링(421)의 일측 외륜에 접하도록 한다.
제1 베어링(421)의 내륜이 걸림턱(425e)과 로크너트(425g)에 지지되고, 외륜이 걸림턱(422b)과 외륜 누름판(423)에 지지되므로 제1 베어링(421)은 구동 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1 채움부재를 준비하는 단계(S60)에 앞서, 환봉의 모재 외부둘레면에 나사골(411)을 형성하여 스크류(41)를 형성한다. 스크류(41) 일단에 체결홈(412a)을 형성한다. 스크류(41)의 외부둘레면 직경은 베어링샤프트(425)의 내부둘레면 직경보다 작게 형성한다. 스크류(41)는 전조 방식으로 가공된다. 그러나 스크류(41)는 연삭 방식으로 가공될 수 있다.
스크류(41)의 나사골(411)과 대응되는 피치를 갖는 스프링 형태의 제1 채움부재(424)를 형성한다. 제1 채움부재(424)의 외부둘레면 직경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형태로 변화되도록 형성한다. 제1 채움부재(424)의 외부둘레면과 베어링샤프트(425)의 내부둘레면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한다. 제1 채움부재(424)의 내부둘레면은 나사골(4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부둘레면은 직선으로 형성한다.
고정부재로 제 1 채움부재가 결합된 스크류를 조이는 단계(S70)는 먼저, 스크류(41)의 일측부분 나사골(411)을 따라 제1 채움부재(424)를 감는다. 제1 채움부재(424)의 외부둘레면은 스크류(41)의 외부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1 채움부재(424)에 의해 스크류(41)의 일측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태가 된다. 제1 채움부재(424)가 스크류(41)에 결합되면 스크류(41)의 일측은 개방부분(425b)을 통해 결합홈(425c)으로 삽입한다. 개방부분(425b)의 직경과 제1 채움부재(424)의 일측 직경의 차이에 의해 스크류(41)의 일측은 결합홈(425c)에 걸림 없이 삽입될 수 있다.
고정부재(426)의 단부를 구멍(425a)을 통하여 결합홈(425c) 내부로 삽입하여 체결홈(412a)에 체결하여 조인다. 제1 채움부재(424)의 외부둘레면과 베어링샤프트(425)의 내부둘레면의 직경 변화에 따라 고정부재(426)가 스크류(41)에 조여질수록 스크류(41)는 결합홈(425c)에 삽입되고, 제1 채움부재(424)의 외부둘레면은 베어링샤프트(425)의 내부둘레면에 접촉되어 스크류(41)의 일측은 베어링샤프트(425) 내부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지지단부에 스크류의 타측을 결합하는 단계(S80)는 지지단하우징(431), 제2 베어링(432), 제2 채움부재(433) 및 완충부재(436)를 준비한다. 제2 베어링(432)은 1개의 앵귤러 콘택트 볼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다.
우선 스크류(41)의 타측에 제2 채움부재(433)를 감고, 스크류(41)의 타측에 지지단하우징(431)을 위치시켜 스크류(41)가 지지단하우징(431)을 통과하도록 하고, 이어서 제2 베어링(432) 및 완충부재(436)를 스크류(41)의 타측에 삽입한다. 제2 베어링(432)과 완충부재(436)는 제2 채움부재(433) 부분에 위치한다.
스크류결합부(441), 허브(443), 그리고 구동축결합부(442)를 포함하는 커플링(434)을 스크류(41)의 타측에 결합한다. 이때 스크류결합부(441)가 제2 채움부재(433) 부분에 위치하도록 한다. 허브(443)와 구동축결합부(442)에는 스크류(41)가 위치하지 않는다. 볼트(B)로 스크류결합부(441)의 조임홀(441f)을 조임하면, 스크류결합부(441)는 조여지면서 스크류(41)의 타측에 견고히 고정된다.
그리고 지지단하우징(431)을 고정위치로 이동시킨다. 걸림턱(431b)이 제2 베어링(432)의 일측 외륜에 걸리게 되면서 제2 베어링(432)은 지지단하우징(431)을 따라 이동하고, 완충부재(436)는 제2 베어링(432)의 타측 내륜에 접하게 되면서 제2 베어링(432)을 따라 이동한다. 지지단하우징(431)의 이동으로 제2 베어링(434), 완충부재(436) 및 커플링(434)은 베어링공간(431a)으로 삽입되며 서로 접한 상태를 유지한다. 지지단하우징(431)을 설치 대상물에 가 체결한다.
스크류의 타측과 모터를 연결하는 단계(S90)는 모터(50)를 지지단하우징(431)의 타측에 결합하여 구동축(51)을 커플링(434)의 구동축결합부(442)에 결합한다. 조립구멍(431e)과 구동축결합부(442)의 조임홀(442f)을 일치시키고, 볼트(B)를 조립구멍(431e)을 통하여 조임홀(441f)에 결합한다(도 11 참조). 볼트(B)가 조임홀(442f)에 결합될수록 구동축결합부(442)는 조여지면서 구동축(51)에 견고히 고정된다.
지지단하우징을 고정하는 단계(S100)는 커플링(434)에 모터(50)가 연결되면 가 체결된 지지단하우징(431)을 고정위치로 이동시켜 설치 대상물에 견고히 고정한다.
가 체결된 지지단하우징(434)을 이동시킬 때 제2 베어링(432)의 타측 내륜이 완충부재(436)를 커플링(434)방향으로 누르게 되면서 완충부재(436)에 완충력이 발생한다. 완충부재(436)의 완충력에 의해 제2 베어링(432)이 걸림턱(431b)에 완충 지지되어 제2 베어링(432)에 예압이 발생하게 된다. 예압에 의해 제2 베어링(432)은 구동 시 흔들리지 않고 지지단하우징(431) 내에서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50)를 지지단하우징(431)에 배치할 때 모터(50)의 일부분이 고정홈(431c)에 위치하게 되면서 모터(50)의 구동축(51)과 지지단하우징(431)의 내부 중심이 일치하게 된다.
본 발명은 베어링샤프트(425)와 스크류(41)가 결합될 때 베어링샤프트(425)의 내부둘레면과 제1 채움부재(424)의 외부둘레면 직경변화로 형성된 경사면이 서로 접촉하게 되고 이후 고정부재(426)가 스크류(41)에 강력히 체결되면서 결과적으로 베어링샤프트(425)에 조립된 제1 베어링(421)의 중심과 스크류(41)의 나사골(411) 중심이 완벽하게 일치하게 된다. 이로써 스크류(41)가 회전 구동할 때 제1 베어링(421)의 중심과 스크류(41) 나사골(411) 중심이 불일치 하여 생길 수 있는 스크류(41)의 흔들림이 없어지므로 결과적으로 스크류(41)가 회전 구동할 때 진동이 발생하지 않아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조립체(40)가 적용된 장치의 성능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앵귤러 콘텍트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제2 베어링(432)의 일측 외륜이 타측 내륜을 지지하는 완충부재(436)의 완충력에 의해 걸림턱(431)에 밀착되고, 타측 내륜이 완충부재(436)에 밀착 고정되므로 제2 베어링(432)에 일정한 예압이 형성된 채로 안정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일반 볼 베어링이 사용되는 경우 볼 베어링의 내부에 존재하는 유격 때문에 수반되는 스크류의 흔들림을 없애는 효과 발생한다.
본 발명은 스크류 조립체(40)의 부품을 최대한 단순화 하였고, 또한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 관련 비용과 조립관련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추어서 관련제품들의 원가를 낮추는 효과가 발생한다. 특히 베어링샤프트(425)의 결합홈(425c)과 제1 채움부재(424)가 결합된 스크류(41)의 일측 직경 차이로 스크류(41)가 결합홈(425c)에 쉽게 삽입되어 일측을 조립할 때 특별한 조립기술이 요구 되지 않으며 조립시간이 단축되어 관련 비용이 낮아진다.
지지단부(43)의 경우에는 고정단부(42)의 베어링샤프트(425)와 같은 구성이 생략되어 부품 제작비용이 낮아지고 평행하게 제작된 제2 채움부재의 외부둘레면이 스크류의 외부둘레면보다는 크고 제2 베어링(432) 내부둘레면과 같거나 작으므로 누구나 특별한 조립기술 없이 손쉽게 조립할 수 있어 관련 비용이 매우 낮아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이송장치 10: 프레임
11: 가이드 20: 테이블
30: 볼너트 40: 스크류 조립체
41: 스크류 411: 나사골
412a: 체결홈 42: 고정단부
421: 제1 베어링 422: 고정단하우징
422a: 베어링공간 422b: 걸림턱
423: 외륜 누름판 424: 제1 채움부재
425: 베어링샤프트 425a: 구멍
425b: 개방부분 425c: 결합홈
425d: 나사 425e: 걸림턱
425f: 클램핑부 425g: 로크너트
426: 고정부재 427: 지지고정부재
43: 지지단부 431: 지지단하우징
431a: 베어링공간 431b: 걸림턱
431c: 고정홈 431d: 장방향 홀
431e: 조립구멍 432: 제2 베어링
433: 제2 채움부재 434: 커플링
441: 스크류결합부 441a: 제1 결합부재
441b: 제1 돌기 441c: 지지베어링샤프트
441d: 지지결합홈 441e: 개방부분
441f: 조임홀 442: 구동축결합부
442a: 제2 결합부재 442b: 제2 돌기
443: 허브 443a: 몸체
443b: 구멍 443c: 돌출편
443d: 완충편 436: 완충부재
50: 모터 51: 구동축

Claims (12)

  1. 스크류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부는,
    제1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의 일측이 삽입되어 있는 베어링샤프트,
    상기 스크류의 나사골과 상기 베어링샤프트의 내부둘레면 사이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직경이 변하도록 형성된 제1 채움부재, 그리고
    상기 베어링샤프트를 관통하고 상기 스크류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채움부재의 외부둘레면은 상기 베어링샤프트의 내부둘레면에 접하며, 상기 제1 채움부재의 직경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베어링샤프트 내부둘레면의 직경이 길이 방향을 따라가며 변화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스크류에 조여질수록 상기 스크류가 상기 베어링샤프트 내부로 더욱 삽입되는
    스크류 조립체.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채움부재는 스프링이며, 상기 스프링은 그 단면 모양이 직선인 부분을 가지며, 상기 스프링의 직선 부분이 상기 베어링샤프트의 내부둘레면에 접하는 스크류 조립체.
  3. 제2항에서,
    상기 스프링의 직선부분은 길이방향을 따라가며 경사져 있고, 상기 제1 채움부재와 상기 베어링샤프트의 내부둘레면은 면 접촉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채움부재의 외부둘레면과 상기 베어링샤프트의 내부둘레면은 상기 고정부재에 가까워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스크류 조립체.
  4. 제1항에서,
    상기 베어링샤프트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베어링의 일측 내륜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제1 베어링의 타측 내륜에 걸리는 로크너트가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 조립체.
  5. 제4항에서,
    상기 고정단부는,
    상기 제1 베어링을 지지하는 고정단하우징 및
    상기 고정단하우징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베어링의 일측 외륜에 걸리는 외륜 누름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베어링의 타측 외륜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 조립체.
  6. 제1항에서,
    상기 스크류의 타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단부는
    내부에 베어링공간이 형성되고, 모터가 설치될 수 있는 지지단하우징,
    상기 베어링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류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베어링,
    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스크류 타측을 연결하는 커플링,
    상기 제2 베어링과 상기 커플링 사이에 위치한 완충부재, 그리고
    상기 스크류의 타측 나사골과 상기 제2 베어링 및 상기 커플링의 내부둘레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채움부재
    를 포함하는
    스크류 조립체.
  7. 제6항에서,
    상기 지지단하우징은 설치 대상물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단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2 베어링의 일측 외륜을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베어링의 타측 내륜은 상기 완충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지지단하우징의 이동으로 눌리어 상기 제2 베어링의 내륜을 지지하는 스크류 조립체.
  8. 제6항에서,
    상기 커플링은,
    상기 제2 채움부재가 접하고, 조여질 수 있는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제1 결합부재에서 상기 모터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기를 포함하는 스크류결합부,
    내부둘레면에 상기 구동축이 삽입될 수 있고, 조여질 수 있는 제2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결합부재에서 상기 제1 돌기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돌기와 맞물릴 수 있는 제2 돌기를 포함하는 구동축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 사이에 배치된 허브
    를 포함하는
    스크류 조립체.
  9. 제8항에서,
    상기 지지단하우징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결합부재를 각각 조이는 볼트가 관통하는 조립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립구멍은 상기 베어링공간과 연결되어 있는 스크류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스크류 조립체,
    상기 스크류 조립체의 고정단부와 지지단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테이블, 그리고
    상기 테이블과 상기 스크류 조립체의 스크류와 연결된 볼너트
    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11. 내부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의 직경이 개방부분에서 내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베어링샤프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베어링샤프트에 제1 베어링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1 베어링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베어링샤프트에 로크너트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1 베어링을 고정단하우징 내부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1 베어링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단하우징에 외륜 누름판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베어링샤프트를 고정단하우징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
    나사골이 형성된 스크류의 일측 부분에 외부둘레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진 제1 채움부재를 감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스크류의 일측을 상기 결합홈의 개방부분으로 삽입하고 고정부재로 상기 스크류를 조이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스크류에 조여질수록 상기 스크류가 상기 베어링샤프트 내부로 더욱 삽입되는
    스크류 조립체 조립방법.
  12. 제11항에서,
    제2 채움부재, 완충부재, 제2 베어링, 지지단하우징 및 커플링을 포함하는 지지단부와 상기 스크류의 타측을 결합하는 단계,
    스크류의 타측과 모터를 연결하는 단계, 그리고
    지지단하우징을 설치 대상물에 고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단하우징의 이동으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2 베어링과 상기 커플링 사이에 눌리어 상기 제2 베어링의 내륜을 지지하는
    스크류 조립체 조립방법.
KR1020140008614A 2014-01-23 2014-01-23 스크류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및 스크류 조립체 조립방법 KR101383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614A KR101383815B1 (ko) 2014-01-23 2014-01-23 스크류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및 스크류 조립체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614A KR101383815B1 (ko) 2014-01-23 2014-01-23 스크류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및 스크류 조립체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815B1 true KR101383815B1 (ko) 2014-04-10

Family

ID=5065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614A KR101383815B1 (ko) 2014-01-23 2014-01-23 스크류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및 스크류 조립체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81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808B1 (ko) 2015-11-23 2016-08-18 이종기 리드 볼 스크류의 양단 회전부 고정장치, 모터축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KR101712929B1 (ko) 2016-04-05 2017-03-08 이종기 리드 볼 스크류의 직선유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KR101807466B1 (ko) * 2017-06-09 2017-12-12 허영재 탈부착이 용이한 고온/고압용 전기히터 유리반응기
KR200488894Y1 (ko) * 2017-09-20 2019-04-01 티비아이 모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직선 동력전달 모듈
CN109773446A (zh) * 2019-02-02 2019-05-21 衢州职业技术学院 具有智能装配功能的自动化生产设备
KR102052981B1 (ko) 2019-08-23 2019-12-06 이종기 중심 일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 장치
KR102224923B1 (ko) * 2019-10-25 2021-03-10 이태봉 서보모터 조립체용 서보 마운트 브라켓
KR20210047788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위너 오픈형 볼너트 및 이를 구비한 볼스크류 동력전달장치와 직교로봇
KR102359366B1 (ko) 2021-06-03 2022-02-08 이종기 리드 볼 스크류용 볼 너트, 곡면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565U (ko) * 2009-11-30 2011-06-08 이종기 리드 스크류 어셈블리
KR101313089B1 (ko) 2012-09-27 2013-10-01 이종기 스크류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565U (ko) * 2009-11-30 2011-06-08 이종기 리드 스크류 어셈블리
KR101313089B1 (ko) 2012-09-27 2013-10-01 이종기 스크류 조립체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808B1 (ko) 2015-11-23 2016-08-18 이종기 리드 볼 스크류의 양단 회전부 고정장치, 모터축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WO2017090913A1 (ko) * 2015-11-23 2017-06-01 이종기 리드 볼 스크류의 양단 회전부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 운동장치
KR101712929B1 (ko) 2016-04-05 2017-03-08 이종기 리드 볼 스크류의 직선유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KR101807466B1 (ko) * 2017-06-09 2017-12-12 허영재 탈부착이 용이한 고온/고압용 전기히터 유리반응기
KR200488894Y1 (ko) * 2017-09-20 2019-04-01 티비아이 모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직선 동력전달 모듈
CN109773446A (zh) * 2019-02-02 2019-05-21 衢州职业技术学院 具有智能装配功能的自动化生产设备
KR102052981B1 (ko) 2019-08-23 2019-12-06 이종기 중심 일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 장치
KR20210047788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위너 오픈형 볼너트 및 이를 구비한 볼스크류 동력전달장치와 직교로봇
KR102405704B1 (ko) * 2019-10-22 2022-06-07 주식회사 위너 오픈형 볼너트 및 이를 구비한 볼스크류 동력전달장치와 직교로봇
KR102224923B1 (ko) * 2019-10-25 2021-03-10 이태봉 서보모터 조립체용 서보 마운트 브라켓
KR102359366B1 (ko) 2021-06-03 2022-02-08 이종기 리드 볼 스크류용 볼 너트, 곡면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815B1 (ko) 스크류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및 스크류 조립체 조립방법
JP6069683B2 (ja) スクリュー組立体及びこれを含む移送装置
US10871704B2 (en) Gimbal
JP7459061B2 (ja) 四節リンクを備えるロボットおよびロボット用のジョイント軸受を組み立てる方法
US20140239570A1 (en) Optical lens clamping apparatus
JP6975467B2 (ja) リードスクリュナット
US10077799B2 (en) Crankshaft assembly
JP2004162729A (ja) 複列玉軸受および複列玉軸受の予圧付与方法
US10569374B2 (en) Production facility
US20110156542A1 (en) Bearing holder mounting structure and motor
KR20150125848A (ko) 볼트 체결장치
KR20130000764U (ko) 마그네틱 기어의 축 결합구조
KR101874553B1 (ko) 리드 볼 스크류용 베어링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KR20150124847A (ko) 서보모터 일체형 서포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US20160245339A1 (en) Roller bearing cage, assembly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roller bearing
JPH102400A (ja) カム従動子取り付け構造及び取り付け方法
JP2022116332A (ja) 圧縮試験治具、材料試験機、および材料試験機における平行度調整方法
KR200454516Y1 (ko) 이송장치의 롤러
JP2020502448A (ja) 角度調整を伴うスペーシングデバイス
CN216625497U (zh) 传动机构及注塑机
KR20130010282A (ko)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볼 스크류
WO2023120265A1 (ja) 送り機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01794A (ko) 스크류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KR101383477B1 (ko) 리머볼트 장치
US11924973B2 (en) Clamping mechanism and transferr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