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516Y1 - 이송장치의 롤러 - Google Patents

이송장치의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516Y1
KR200454516Y1 KR2020090013972U KR20090013972U KR200454516Y1 KR 200454516 Y1 KR200454516 Y1 KR 200454516Y1 KR 2020090013972 U KR2020090013972 U KR 2020090013972U KR 20090013972 U KR20090013972 U KR 20090013972U KR 200454516 Y1 KR200454516 Y1 KR 2004545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nut
feed shaft
ferru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377U (ko
Inventor
백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텍
Priority to KR2020090013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51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3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3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5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5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8Stacking or destack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damage to stacked sheets, e.g. sp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6Loading to or unloading from a conveyor

Abstract

본 고안은 이송장치의 롤러에 관한 것으로, 내경의 단차에 의해 이송축의 일부에 밀착되며 상기 이송축과의 사이에서 공간을 제공하는 제1너트와, 상기 제1너트와 이송축의 사이 공간에 끼움결합되며, 양단의 직경에 차이가 있도록 외경이 일방향으로 경사진 페룰과, 상기 페룰과 상기 제1너트의 사이에 끼움결합되며, 중앙의 외경에 다수의 결합돌출부가 마련된 롤러바디와, 내경에 상기 롤러바디의 결합돌출부에 치합되는 결합홈이 마련되어 상기 롤러바디에 결합되는 롤러부재와, 상기 롤러부재가 결합된 롤러바디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너트를 포함하는 이송장치의 롤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이송축에 견고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볼트의 풀림에 따른 설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송장치의 롤러 전체를 수지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송, 롤러, 페룰

Description

이송장치의 롤러{Roller for transfer unit}
본 고안은 이송장치의 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면적의 기판을 이송하는 이송장치에 적용되는 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를 위한 대면적 기판은 다수의 이송축들에 의해 이송이 이루어지면서 공정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기판을 이송하는 이송축들은 기판의 저면과 점접촉을 위한 롤러들이 결합된다. 이때 롤러는 이송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이송축과의 결합을 위한 링을 구비하고 있으며, 종래 롤러를 고정하기 위한 링은 알루미늄합금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롤러부재와 그 링의 결합은 스크류 볼트로 이루어졌으며, 이와 같은 종래 이송장치의 롤러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이송장치의 롤러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이송축 에 결합된 종래 이송장치의 롤러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1과 도 2를 각각 참조하면 종래 이송장치의 롤러는, 구동수단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1)에 끼움 결합되는 링(2)과, 상기 링(2)의 일부에 끼움결합되며, 그 링(2)보다 직경이 더 큰 롤러부재(3)와, 상기 링(2)과 롤러부재(3)를 상기 회전축(1)에 고정시키는 스크류볼트(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롤러부재(3)는 일단은 상기 회전축(1)과 링(2)의 사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으며, 타단은 기판의 지지를 위해 직경이 상기 링(2)보다 더 큰 형상을 가진다.
이송축(1)의 일측에서 상기 링(2)과 롤러부재(3)를 끼워 적당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 그 링(2)과 롤러부재(3)가 상호 결합되는 위치에 서로 대응하게 마련된 다수의 체결공에 스크류볼트(4)들을 각각 결합시켜, 그 링(2)과 롤러부재(3)의 결합체를 상기 이송축(1)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이송축(1)이 회전하면서 스크류볼트(4)가 풀릴 수 있으며, 그 스크류볼트(4)가 풀려 기판이 이송되면서 세정 등의 처리가 진행되는 배스(bath)의 하부로 떨어져 배관의 막힘이나 밸브의 고장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링(2)을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송장치의 롤러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이송축에 결합할 수 있는 이송장치의 롤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수지재를 사용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송장치의 롤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경의 단차에 의해 이송축의 일부에 밀착되며 상기 이송축과의 사이에서 공간을 제공하는 제1너트와, 상기 제1너트와 이송축의 사이 공간에 끼움결합되며, 양단의 직경에 차이가 있도록 외경이 일방향으로 경사진 페룰과, 상기 페룰과 상기 제1너트의 사이에 끼움결합되며, 중앙의 외경에 다수의 결합돌출부가 마련된 롤러바디와, 내경에 상기 롤러바디의 결합돌출부에 치합되는 결합홈이 마련되어 상기 롤러바디에 결합되는 롤러부재와, 상기 롤러부재가 결합된 롤러바디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너트를 포함하는 이송장치의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이송축에 견고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볼트의 풀림에 따른 설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송장치의 롤러 전체를 수지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이송축에 결합이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 이송장치의 롤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그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각각 참조하면 본 고안 이송장치의 롤러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송축(1)에 단차가 있는 내경의 일부가 밀착되는 제1너트(10)와, 양단의 외경이 상이하도록 외경이 경사진 형상의 페룰(ferrule, 20)과, 상기 페룰(20)과 제1너트(10)의 사이 공간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31)가 일단에 마련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외경에 결합돌출부(32)가 다수로 마련되고, 타단은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결합부(33)를 구비하는 롤러바디(30)와, 롤러바디(30)의 결합돌출부(32)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내경에 결합홈(41)이 마련된 롤러부재(40)와, 상기 롤러부재(40)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롤러부재(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바디(30)의 나사결합부(33)에 체결되는 제2너트(50)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이송장치의 롤러의 구조와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송축(1)의 일측방향에서 제1너트(10), 페룰(20), 롤러바디(30), 롤 러부재(40), 제2너트(50)의 순서로 끼운다. 하나의 이송축(1)에는 다수의 롤러가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나열한 순서를 반복하여 다수의 롤러가 하나의 이송축(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너트(10)는 내경에 단차가 있는 것으로, 일측은 상기 이송축(1)에 밀착되며, 타측은 이송축(1)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페룰(20)이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제1너트(10)의 이송축(1)에 접촉되는 부분은 상기 페룰(20)이 끼워지는 측으로 경사면(11)이 형성되어 일부가 이송축(1)과는 간격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페룰(20)의 형상은 일단의 양단의 직경이 서로 다르도록 측면이 경사진 형태이며, 그 길이 방향으로는 트임부(21)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트임부(21)는 페룰(20)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이송축(1)과 제1너트(1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며, 일단 삽입된 후에는 이탈이 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페룰(20)의 끼움방향은 상기 이송축(1)과 제1너트(10)가 밀착되는 부분으로 직경이 더 큰 일단이 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페룰(20)의 직경이 더 큰 부분에는 상기 제1너트(10)의 경사면(1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끼워지는 돌출부(2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11)과 돌출부(22)는 생략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페룰(20)을 체결한 상태에서 그 페룰(20)이 제공하는 경사면을 따라 상기 롤러바디(30)를 결합한다. 상기 롤러바디(30)의 결합부(31)의 형상은 상기 페룰(20)이 제공하는 경사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경사진 것이며, 억지끼움되도록 그 두께는 상기 페룰(20)과 제1너트(10)의 공간보다 약간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바디(30)의 중앙부 외경측에는 그 길이방향, 즉, 이송축(1)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결합돌출부(32)가 마련되어 있으며, 롤러부재(40)에는 그 결합돌출부(32)에 끼움결합되는 결합홈(41)이 마련되어 있어 그 롤러부재(40)가 기판의 이송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상기 롤러바디(30)의 타단에서 제공되는 나사산을 가지는 나사결합부(33)에 제2너트(50)를 결합하여 그 롤러부재(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롤러부재(40)는 폴리테트라플루오프에틸렌(PTFE)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1너트(10), 페룰(20), 롤러바디(30) 및 제2너트(50)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UHMW(ultra high molecular weight)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을 성형가공할 수 있어 대량 생산이 용이하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스크류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송축에 롤러를 결합하기 위하여 반드시 공구를 사용해야 하나, 본 고안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결합과 분해가 가능하여 이송축에 롤러를 결합 또는 분해하는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이송장치 롤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이송장치 롤러가 이송축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 롤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제1너트 20:페룰
21:트임부 30:롤러바디
31:결합부 32:결합돌출부
33:나사결합부 40:롤러부재
41:결합홈 50:제2너트

Claims (3)

  1. 내경의 단차에 의해 이송축의 일부에 밀착되며 상기 이송축과의 사이에서 공간을 제공하는 제1너트;
    상기 제1너트와 이송축의 사이 공간에 끼움결합되며, 양단의 직경에 차이가 있도록 외경이 일방향으로 경사진 페룰;
    상기 페룰과 상기 제1너트의 사이에 끼움결합되며, 중앙의 외경에 다수의 결합돌출부가 마련된 롤러바디;
    내경에 상기 롤러바디의 결합돌출부에 치합되는 결합홈이 마련되어 상기 롤러바디에 결합되는 롤러부재; 및
    상기 롤러부재가 결합된 롤러바디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너트를 포함하는 이송장치의 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은 길이방향으로 트임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직경이 더 큰 일측단의 외경은 상기 제1너트의 내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의 롤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바디의 상기 페룰과 제1너트의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페룰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내경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의 롤러.
KR2020090013972U 2009-10-27 2009-10-27 이송장치의 롤러 KR2004545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972U KR200454516Y1 (ko) 2009-10-27 2009-10-27 이송장치의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972U KR200454516Y1 (ko) 2009-10-27 2009-10-27 이송장치의 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377U KR20110004377U (ko) 2011-05-04
KR200454516Y1 true KR200454516Y1 (ko) 2011-07-08

Family

ID=44241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972U KR200454516Y1 (ko) 2009-10-27 2009-10-27 이송장치의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5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720B1 (ko) 2020-03-05 2021-09-03 송병호 압입 방식의 이송용 롤러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981B1 (ko) 2018-03-29 2018-06-15 김정연 이송 장치에 사용되는 이송용 롤러
KR101932479B1 (ko) 2018-10-04 2019-03-20 (주)신세기 반도체기판 이송장치의 원스텝 고정형 이송롤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4031A (ja) 2003-11-21 2005-06-16 Sharp Corp 搬送ローラ体、搬送装置、および洗浄設備
KR20070044088A (ko) * 2005-10-24 2007-04-27 주식회사 케이씨텍 기판이송용 롤러
KR100826137B1 (ko) 2006-11-22 2008-04-29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컨베이어의 아이들러 롤러
KR20080100643A (ko) * 2007-05-14 2008-11-19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반송 장치 및 상기 장치에 사용되는 기판 가이드 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4031A (ja) 2003-11-21 2005-06-16 Sharp Corp 搬送ローラ体、搬送装置、および洗浄設備
KR20070044088A (ko) * 2005-10-24 2007-04-27 주식회사 케이씨텍 기판이송용 롤러
KR100826137B1 (ko) 2006-11-22 2008-04-29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컨베이어의 아이들러 롤러
KR20080100643A (ko) * 2007-05-14 2008-11-19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반송 장치 및 상기 장치에 사용되는 기판 가이드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720B1 (ko) 2020-03-05 2021-09-03 송병호 압입 방식의 이송용 롤러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377U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4516Y1 (ko) 이송장치의 롤러
US8789686B2 (en) Motorized conveyor roller for conveyor systems for conveying containers, pallets and the like
US9776795B2 (en) Curved belt conveyor apparatus
JP2011037576A (ja) テーパ状スリーブ、並びに、搬送用ローラ
KR101284745B1 (ko) 기판이송용 롤러
KR20130000764U (ko) 마그네틱 기어의 축 결합구조
KR102232985B1 (ko) 기판 스피닝 장치의 회전 지지대
JP2006089148A (ja) 基板搬送用ローラー
JP5165983B2 (ja) 搬送装置用ローラ部材および搬送装置
JP5429846B2 (ja) 搬送用ローラ、並びに、搬送用ローラの製造方法
JP2010089937A (ja) 搬送ローラ、及びこれを備えた基板搬送部材
KR101291511B1 (ko) 강화유리 이송용 컨베이어의 롤러에 사용되는 고정장치
JP6364276B2 (ja) ベルトカーブコンベヤ装置
KR101505837B1 (ko) 측부 글라스 홀더
KR200471270Y1 (ko) 기판 반송장치
KR200480634Y1 (ko) 긴급복구용 윈치의 고정장치
CN210411938U (zh) 拉丝模具的张紧组件
KR20130133551A (ko) 보조 반송롤러 유닛
KR101582184B1 (ko) Lcd 패널 공정용 이송 축 연결 구조물
JP2014008551A (ja) 工具保持部材
KR20130063637A (ko) 기판 이송 장치
KR20110005565U (ko) 리드 스크류 어셈블리
US11078025B2 (en) Lightweight roller
KR200410759Y1 (ko) 크린룸 반송 시스템에서의 비 접촉식 구동장치용 커플링
KR20170122915A (ko) 컨베이어 시스템의 이탈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