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794A - 스크류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류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794A
KR20200001794A KR1020180074755A KR20180074755A KR20200001794A KR 20200001794 A KR20200001794 A KR 20200001794A KR 1020180074755 A KR1020180074755 A KR 1020180074755A KR 20180074755 A KR20180074755 A KR 20180074755A KR 20200001794 A KR20200001794 A KR 20200001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bearing
fixing means
bone
bear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3958B1 (ko
Inventor
이종기
Original Assignee
이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기 filed Critical 이종기
Priority to KR1020180074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958B1/ko
Priority to PCT/KR2018/011311 priority patent/WO2019059733A1/ko
Publication of KR20200001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0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18Screw mechanisms with both screw and nut being driven, i.e. screw and nut are both rot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류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크류가 관통할 수 있는 베어링 샤프트, 그리고 상기 베어링 샤프트와 결합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스크류의 나사골에 위치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의 외부둘레 최소지름은 상기 나사골의 최대 폭보다 작거나 같다.

Description

스크류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Fixing apparatus for lead ball screw and rectilinear move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크류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경할 때 볼 스크류 또는 리드 스크류가 사용된다. 볼 스크류는 수나사, 암나사 및 강구를 포함하며, 리드 스크류는 수나사와 암나사를 포함한다. 수나사(이하, 스크류라 함)는 일단과 타단이 하우징에 베어링으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스크류 단부 둘레를 평면 또는 그 측면에 체결홈을 가공한 후 그 단부에 베어링에 지지되는 베어링 샤프트를 결합하였다. 그리고 평면 또는 측면과 일측하는 베어링 샤프트 부분에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체결수단이 평면 또는 나사홈에 위치하도록 하여 베어링 샤프트와 스크류를 고정하였다.
스크류의 단부를 가공함에 있어 고도의 기술과 정밀성이 요구되므로 스크류 가공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스크류의 단부를 가공하지 않고도 베어링 샤프트와 고정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등록 제10-1648808호 (20106.08.10.)
본 발명은 스크류의 단부를 가공하지 않고 지지하는 하우징에 고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고정장치는 스크류가 관통할 수 있는 베어링 샤프트, 그리고 상기 베어링 샤프트와 결합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스크류의 나사골에 위치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의 외부둘레 최소지름은 상기 나사골의 최대 폭보다 작거나 같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스크류의 바깥지름을 이루는 둘레와 접하지 않는다.
상기 베어링 샤프트는, 베어링의 측면과 접하며 상기 고정수단이 위치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압부, 그리고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 내부를 관통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외부둘레 지름은 상기 가압부의 외부둘레 지름보다 작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스크류가 위치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고정장치는, 스크류가 관통할 수 있는 베어링 샤프트, 상기 스크류의 나사골에 위치할 수 있는 압착부재 및 상기 베어링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압착부재를 상기 나사골 둘레로 가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압착부재의 강도 값은 상기 고정수단 및 상기 스크류 강도 값 보다 낮은 볼일 수 있다.
상기 압착부재의 지름은 상기 나사골의 최대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가압되지 않은 상기 압착부재는, 상기 나사골 둘레와 점 접촉하고 있으며, 고정되지 않은 상기 베어링 샤프트는 상기 스크류 둘레를 따라 회전할 수 있고, 상기 베어링 샤프트 회전 시 상기 압착부재는 상기 나사골을 따라 구르면서 상기 베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압착부재는, 상기 나사골과 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 가압으로 뭉그러져 상기 나사골을 채워 상기 베어링 샤프트를 상기 스크류에 고정하며, 고정된 상기 베어링 샤프트는 상기 스크류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샤프트는, 베어링의 측면과 밀착되며 상기 고정수단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압부, 그리고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베어링 내부를 관통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부와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스크류가 위치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스크류의 회전중심과 수직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가 상기 베어링에 밀착되면 상기 압착부재를 상기 회전중심방향으로 누를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의 외부둘레 최소지름은 상기 나사골의 최대 폭과 같거나 클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무두볼트이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스크류와 접하고 있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직선운동장치는 전술한 스크류 고정장치, 외부둘레에 나사골이 형성되어 있고 양단이 가공되어 있지 않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스크류 고정장치와 연결된 베어링이 배치된 안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스크류와 동력 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고정장치는 상기 베어링에 밀착되며 상기 스크류의 축 방향 움직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 샤프트의 가압부에 체결된 고정수단이 스크류의 외부둘레에 형성된 나사골에 위치하여 스크류가 축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이에 스크류의 단부를 가공하지 않고 스크류를 스크류 고정장치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스크류 가공에 따른 원가 상승 요인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류의 양단에 위치한 고정수단이 베어링 샤프트에 체결되어 나사골에 위치하게 되고 가압부가 베어링 측면과 접하게되므로 회전하는 스크류는 축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아 회전품질이 높아질 수 있으며 이송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나사골 둘레와 점 접촉하고 있던 압착부재가 고정수단 가압으로 눌리면서 변형되어 스크류의 나사골 둘레, 바깥지름을 이루는 외부둘레그리고 체결홀의 둘레와 접한다. 이에, 나사골 둘레와 점 접촉하고 있던 압착부재가 변형되면서 나사골 둘레, 바깥지름을 이루는 외부둘레 및 체결홀 둘레와 면접촉하게 되어 베어링 샤프트는 스크류에 더욱 견고히 고정되어 스크류는 축 방향 움직임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직선운동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일측단 확대도.
도 3은 도 2의 분해도.
도 4는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1의 타측단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선운동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도 6의 일측단 확대도.
도 8은 도 7의 분해도.
도 9는 도 7의 B부분 확대도.
도 10은 도 9의 압착부재 결합 상태를 나타낸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고정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직선운동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스크류 고정장치가 적용된 직선운동장치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직선운동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직선운동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측단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의 타측단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직선운동장치(1)는, 스크류(10), 하우징(20a, 20b), 구동모터(40) 및 스크류 고정장치(50) 포함하며, 스크류(10)의 단부를 가공하지 않고 하우징(20a, 20b)에 고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스크류(10)는 리드 스크류(lead screw) 또는 볼스크류(ball screw)에 적용될 수 있으며 외부둘레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10)의 나사산 단면은 톱니형, 라운드형 또는 사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사골은 골지름(11D)을 이루는 둘레에서 바깥지름(10D)을 이루는 둘레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진다. 이에 나사골은 최소 폭(11L)과 최대 폭(11H)을 갖는다. 최대 폭(11H)은 나사골에서 나사골 둘레와 나사산(스크류 외부둘레 부분)의 연결부분이다. 최소 폭(11L)은 나사골에서 바닥 부분이다. 나사산의 단면 모양은 스크류(10)가 사용되는 적용분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크류(10)의 단부는 평면으로 가공되어 있지 않다. 또한 단부 및 측면에는 볼트 따위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홈 따위가 가공되어 있지 않다.
스크류(10)에는 테이블, 툴 따위가 연결되어 스크류(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 할 수 있다.
하우징(20a, 20b)은 스크류(1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위치하여 스크류(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하우징(20a, 20b)은 베이스, 장치의 바디 등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20a, 20b)의 내부에는 베어링(30)이 위치하는 안착공간(21a, 21b)이 형성되어 있다. 안착공간(21a, 21b)의 둘레에는 베어링(30)이 밀착되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다. 단턱은 하우징(20a, 20b) 구조에 따라 하우징(20a, 20b) 내부둘레 일측 또는 내부둘레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단턱이 하우징(20b) 내부둘레 중앙에 형성된 경우 베어링은 단턱 양측 즉, 하우징(20b) 내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단턱에 밀착된다. 단턱이 하우징(20a) 내부둘레 일측에 형성된 경우 베어링은 하우징(20a) 내부둘레 타측에 위치하여 단턱에 밀착된다.
베어링(30)은 볼 베어링의 레이디얼 볼 베어링(radial ball bearing) 또는 스러스트 볼 베어링(thrust ball bearing)을 포함한다. 그러나 베어링은 롤러 베어링일 수 있다. 베어링(30)의 외륜 또는 고정륜은 하우징(20a, 20b)의 내부둘레와 접하며 내륜 또는 회전륜은 베어링 고정장치(50)를 지지한다. 스크류(10)는 베어링 고정장치(50)를 관통하며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구동모터(40)는 스크류(10) 일단에 위치하여 베이스, 장치의 바디 등에 고정될 수 있으며, 커플러(41)로 스크류(10) 일단과 동력 연결되어 있다. 구동모터(40)의 구동으로 스크류(10)는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크류(10), 하우징(20a, 20b), 베어링(30) 및 구동모터(40)의 세부적인 구성은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하여 공지된 리드 볼 스크류의 양단 회전부 고정장치, 모터축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특허등록 제10-1648808호 (20106.08.10.))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베어링 고정장치(50)는, 베어링 샤프트(51), 그리고 고정수단(52)을 포함하며, 일측 하우징과 타측 하우징에 각각 위치하여 스크류(10)를 회전할 수 있게 베어링(30)에 지지하고, 스크류(10)가 축 방향(X)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베어링 샤프트(51)는 가압부(511) 및 지지부(512)를 포함한다.
가압부(511)와 지지부(512)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스크류(10)가 관통하는 관통홀(513)이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10)의 외부둘레는 관통홀(513) 둘레와 접하고 있다. 그러나 기설정된 간격을 떨어져 있을 수 있다. 가압부(511)에는 외부둘레에서 내부둘레 방향으로 체결홀(511a)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홀(511a)의 중심은 스크류(10)의 회전중심과 수직하며 나사골(11)과 일치한다. 체결홀(511a)은 베어링 샤프트(51)와 스크류(10)의 규격에 따라 그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체결홀(511a)이 복수로 형성된 경우 가압부(511) 둘레에서 나사골(11)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512)의 외부둘레 지름은 가압부(511)의 외부둘레 지름보다 작다. 지지부(512)는 가압부(511)에서 베어링(30) 내륜 방향으로 돌출되어 내륜 내부둘레와 접하고 있다. 베어링(30)이 레이디얼 볼 베어링과 스러스트 볼 베어링을 포함하는 경우 지지부(512)는 레이디얼 볼 베어링의 내륜과 스러스트 볼 베어링의 회전륜과 접한다.
가압부(511)는 베어링(30)의 내륜 측면과 접하며 외륜 측면에는 접하지 않는다. 가압부(511)가 베어링(30) 내륜 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외륜 측면은 안착공간(21a, 21b)의 단턱에 밀착되어 있다.
고정수단(52)은 무두볼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소지름(52L)과 최대지름(52H)을 갖는다. 최소지름(52L)은 나사골(11)의 최대 폭(11H) 보다 작다. 그러나 최소지름(52L)은 나사골(11)의 최대 폭(11H)과 같을 수 있다.
고정수단(52)의 일측 지름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면서 최소지름(52L)을 갖는다. 그러나 고정수단(52) 일측 지름은 작아지지 않을 수 있다. 고정수단(52)의 최소지름(52L)을 이루는 부분은 고정수단(52)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하면이다.
고정수단(52)은 체결홀(511a)과 나사골(11)이 일치한 상태에서 나사골(11)로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나사골(11)의 둘레와 접할 수 있다. 고정수단(52)이 체결홀(511a)에 체결될수록 최소지름(52L)을 갖는 일측은 나사골(11)에 위치하여 나사골(11) 둘레에 밀착된다. 일측이 나사골(11)에 위치한 고정수단(52)은 스크류(10)의 바깥지름(10D)을 이루는 둘레와 접하지 않는다.
한편, 고정수단(52)은 체결홀(511a)에 체결되어 나사골(11)에 위치한 상태에서 나사골(11) 둘레에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은 경우 베어링 샤프트(51) 또는 스크류(10)는 그 축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고정수단(52)이 나사골(11)에 위치하므로 베어링 샤프트(51)는 나사골(11)을 따라 회전하면서 가압부(511)가 베어링(30)의 내륜 측면에 완전하게 밀착될 수 있다. 가압부(511)가 베어링(30)에 밀착될수록 베어링(30)의 외륜 측면은 안착공간(21a, 21b)의 단턱이 밀착될 수 있다.
고정수단(52)을 완전하게 체결하면 고정수단(52)의 일측이 나사골(11)의 둘레에 완전하게 밀착되어 베어링 샤프트(51)는 스크류(1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지 않는다. 스크류(10)에 고정된 베어링 샤프트(51)는 스크류(10)와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고정수단(52)이 나사골(11)에 접하고 가압부(511)가 베어링(30) 측면과 접하고 있으므로 스크류(10)는 베어링(30)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이와 같은 베어링 샤프트(51)는 각 하우징에서 베어링(30)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일측 베어링 샤프트(51)를 스크류(10)와 연결하고 베어링 샤프트(51)를 베어링(30)가 연결한다. 이때 스크류(10)는 베어링(30) 타측으로 노출된다. 스크류(10) 타측에 베어링 샤프트(51)를 결합한다. 이때 타측 베어링 샤프트(51)가 베어링(30) 타측에 밀착될수록 스크류(10)가 당겨져 일측의 베어링 샤프트(51) 가압부는 베어링(30) 일측 내륜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 샤프트(51)에 의해 베어링(30)은 단턱에 밀착될 수 있다.
고정수단(52)이 나사골(11)에 위치하므로 스크류(10)가 축 방향(X)으로 움직이려 하면 나사골(11) 둘레가 고정수단(52)에 걸려 움직이지 않는다. 그리고 베어링 샤프트(51)와 스크류(10)의 결합으로 스크류(10)가 축 방향(X)으로 움직일 때 베어링 샤프트(51)와 함께 움직이려 한다. 그러나 베어링 샤프트(51)의 가압부(511)가 베어링(30) 측면에 밀착하고 있으므로 스크류(10)는 축 방향(X)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더불어, 지지부(512)가 베어링(30)의 내륜에 지지되어 스크류(10)는 축 방향(X)과 수직한 방향인 경 방향(Y)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이에 스크류(10)는 그 축 중심을 기준으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선운동장치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선운동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6의 일측단 확대도이며, 도 8은 도 7의 분해도이며, 도 9는 도 7의 B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압착부재 결합 상태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직선운동장치(2)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는 스크류 고정장치(50)가 압착부재(53)를 더 포함한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직선운동장치(2)의 스크류(10), 하우징(20a, 20b), 구동모터(40) 및 스크류 고정장치(2)의 베어링 샤프트(51) 및 고정수단(52)의 구성과 작용은 전술된 스크류, 하우징, 구동모터 및 스크류 고정장치의 베어링 샤프트 및 고정수단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52)의 외부둘레 최소지름은 나사골(11)의 최대 폭과 같거나 크다. 그러나 고정수단(52)의 외부둘레 최소지름은 나사골(11)의 최대 폭 보다 작을 수도 있다. 아울러, 체결홀(511a)의 지름 또한 나사골의 최대 폭과 같거나 크다.
압착부재(53)는 체결홀(511a)에 위치하여 나사골(11)의 둘레와 고정수단(52)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고정수단(52)의 일측이 접하여 나사골(11)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압착부재(53)의 강도 값이 고정수단(52) 및 스크류(10)의 강도 값 보다 낮다. 이에 압착부재(53)는 나사골(11)과 고정수단(52) 사이에서 압착되어 눌려 있으며 나사골(11)을 채우고 있다. 압착부재(53)가 나사골(11) 둘레와 고정수단(52) 일측 사이에서 나사골(11)을 전체적으로 채우고 있으므로 베어링 샤프트(51)는 스크류(10)에 더욱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압착부재(53)는 구리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고하면 압착부재(53)는 고정수단(52)이 가압하기 전에는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형의 압착부재(53) 지름(53D)은 체결홀(511a)의 지름보다 작으며, 나사골(11)의 최대 폭(11H)보다 크다. 이에 체결홀(511a)과 나사골(11)이 일치한 상태에서 압착부재(53)가 체결홀(511a)에 삽입되면 적어도 일부분이 나사골(11)의 둘레와 점 접촉한다. 고정수단(52) 체결홀(511a)에 체결되어 압착부재(53)와 단순 접하고 있으므로 베어링 샤프트(51)는 스크류(10)의 외부둘레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베어링 샤프트(51)는 나사골(11)을 따라 회전하며 가압부(511)는 베어링(30)의 측면에 완전하게 밀착될 수 있다. 고정수단(52)을 더욱 체결하면 압착부재(53)는 눌리면서 변형되어 나사골(11)의 둘레에 전체적으로 밀착되면서 스크류 고정장치(50)가 스크류(10)에 고정된다. 그리고 압착부재(53)의 지름이 나사골(11)의 최대 폭 보다 크므로 변형된 압축부재(53)는 스크류(10)의 나사골(11) 둘레, 바깥지름을 이루는 외부둘레와 더불어 체결홀의 둘레와 접하게 된다. 이에, 나사골 둘레와 점 접촉하고 있던 압착부재(53)가 고정수단(52)에 의해 눌리면서 변형되어 나사골(11) 둘레, 바깥지름을 이루는 외부둘레 및 체결홀 둘레와 면접촉하게 된다. 이에 베어링 샤프트(51)는 스크류(10)에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수단이 나사골에 위치하고 가압부가 베어링 측면과 접하게 되면서 스크류는 축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그리고 지지부가 베어링의 내륜에 지지되어 스크류는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경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이에 스크류는 그 축 중심을 기준으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2: 직선운동장치 10: 스크류
11: 나사골 11L: 최소 폭
11H: 최대 폭 20a, 20b: 하우징
21a, 21b: 안착공간 30: 베어링
40: 구동모터 41: 커플러
50: 스크류 고정장치 51: 베어링 샤프트
511: 가압부 511a: 체결홀
512: 지지부 513: 관통홀
52: 고정수단 52L: 최소지름
52H: 최대지름 53: 압착부재

Claims (12)

  1. 스크류가 관통할 수 있는 베어링 샤프트, 그리고
    상기 베어링 샤프트와 결합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스크류의 나사골에 위치할 수 있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의 외부둘레 최소지름은 상기 나사골의 최대 폭보다 작거나 같은
    스크류 고정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스크류의 바깥지름을 이루는 둘레와 접하지 않는 스크류 고정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베어링 샤프트는,
    베어링의 측면과 접하며 상기 고정수단이 위치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압부, 그리고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 내부를 관통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외부둘레 지름은 상기 가압부의 외부둘레 지름보다 작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스크류가 위치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 고정장치.
  4. 스크류가 관통할 수 있는 베어링 샤프트,
    상기 스크류의 나사골에 위치할 수 있는 압착부재 및
    상기 베어링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압착부재를 상기 나사골 둘레로 가압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스크류 고정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압착부재의 강도 값은 상기 고정수단 및 상기 스크류 강도 값 보다 낮은 볼인 스크류 고정장치.
  6. 제4항에서,
    상기 압착부재의 지름은 상기 나사골의 최대폭 보다 작은 스크류 고정장치.
  7. 제4항에서,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가압되지 않은 상기 압착부재는, 상기 나사골 둘레와 점 접촉하고 있으며, 고정되지 않은 상기 베어링 샤프트는 상기 스크류 둘레를 따라 회전할 수 있고, 상기 베어링 샤프트 회전 시 상기 압착부재는 상기 나사골을 따라 구르면서 상기 베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스크류 고정장치.
  8. 제4항에서,
    상기 압착부재는, 상기 나사골과 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 가압으로 뭉그러져 상기 나사골을 채워 상기 베어링 샤프트를 상기 스크류에 고정하며, 고정된 상기 베어링 샤프트는 상기 스크류와 함께 회전하는 스크류 고정장치.
  9. 제4항에서,
    상기 베어링 샤프트는,
    베어링의 측면과 밀착되며 상기 고정수단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압부, 그리고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베어링 내부를 관통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와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스크류가 위치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 고정장치.
  10. 제4항에서,
    상기 고정수단의 외부둘레 최소지름은 상기 나사골의 최대 폭과 같거나 큰 스크류 고정장치.
  11. 제4항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무두볼트이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스크류와 접하고 있지 않는 스크류 고정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스크류 고정장치,
    외부둘레에 나사골이 형성되어 있고 양단이 가공되어 있지 않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스크류 고정장치와 연결된 베어링이 배치된 안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스크류와 동력 연결된 구동모터
    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고정장치는 상기 베어링에 밀착되며 상기 스크류의 축 방향 움직임 방지하는
    직선운동장치.
KR1020180074755A 2017-09-21 2018-06-28 스크류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KR102063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755A KR102063958B1 (ko) 2018-06-28 2018-06-28 스크류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PCT/KR2018/011311 WO2019059733A1 (ko) 2017-09-21 2018-09-21 스크류 고정 장치 제조 방법, 스크류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755A KR102063958B1 (ko) 2018-06-28 2018-06-28 스크류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794A true KR20200001794A (ko) 2020-01-07
KR102063958B1 KR102063958B1 (ko) 2020-01-08

Family

ID=69153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755A KR102063958B1 (ko) 2017-09-21 2018-06-28 스크류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9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369B1 (ko) * 2021-07-01 2022-02-08 이종기 중심일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0890A (ja) * 1995-10-03 1997-04-15 Mitsuba Corp アクチュエータ
KR101313089B1 (ko) * 2012-09-27 2013-10-01 이종기 스크류 조립체
KR20150092131A (ko) * 2012-11-30 2015-08-12 구로다 프리시젼 인더스트리스 리미티드 축 단말용 어댑터 및 볼 나사 조립체
KR101648808B1 (ko) 2015-11-23 2016-08-18 이종기 리드 볼 스크류의 양단 회전부 고정장치, 모터축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0890A (ja) * 1995-10-03 1997-04-15 Mitsuba Corp アクチュエータ
KR101313089B1 (ko) * 2012-09-27 2013-10-01 이종기 스크류 조립체
KR20150092131A (ko) * 2012-11-30 2015-08-12 구로다 프리시젼 인더스트리스 리미티드 축 단말용 어댑터 및 볼 나사 조립체
KR101648808B1 (ko) 2015-11-23 2016-08-18 이종기 리드 볼 스크류의 양단 회전부 고정장치, 모터축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958B1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9683B2 (ja) スクリュー組立体及びこれを含む移送装置
KR101648808B1 (ko) 리드 볼 스크류의 양단 회전부 고정장치, 모터축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KR102063958B1 (ko) 스크류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KR101874553B1 (ko) 리드 볼 스크류용 베어링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KR20090004644A (ko) 용접장치의 구동 유닛
JP4978888B2 (ja) ボールねじ機構のねじ軸
CN104959859A (zh) 一种轴类零件定位夹紧装置
CN211630019U (zh) 一种力矩电机直驱的传动结构
KR101640000B1 (ko) 3방향 하중의 지지가 가능한 감속 유니트
JP6611409B2 (ja) アクチュエータ、及び振れ止め機構
CN210306589U (zh) 一种轴承外圈压装机构
KR200312265Y1 (ko) 인덱스 드라이브 유닛
KR102022269B1 (ko) 베어링 샤프트 제조 방법, 스크류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 장치
JPH0361749A (ja) 送りねじ機構
JP2001182798A (ja) 送りねじ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送り装置
CN116787326B (zh) 一种用于工件加工的摇篮夹具结构及其操作方法
JP7329562B2 (ja) テーブル駆動装置
CN219170149U (zh) 自动加工设备
CN215659930U (zh) 一种带有膨胀套的固定工装
CN218697605U (zh) 一种气压夹头支撑轴组件
CN114643413B (zh) 旋转装置及加工设备
CN214393099U (zh) 压装器
CN216542018U (zh) 一种弧形零件加工夹具
JP2014043930A (ja) 直動テーブル装置
CN214024607U (zh) 一种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