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061B1 - 먼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먼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061B1
KR101382061B1 KR1020130061855A KR20130061855A KR101382061B1 KR 101382061 B1 KR101382061 B1 KR 101382061B1 KR 1020130061855 A KR1020130061855 A KR 1020130061855A KR 20130061855 A KR20130061855 A KR 20130061855A KR 101382061 B1 KR101382061 B1 KR 101382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unit
plate
shaf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길
Original Assignee
김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길 filed Critical 김상길
Priority to KR1020130061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ntilation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게이트 형상으로 형성하되 하부에 베이스하우징(111)을 설치하고 베이스하우징(111)의 좌우에 한 쌍의 수직하우징(112)을 입설하여 상호 마주하게 하며 수직하우징(112)의 상단에 상부하우징(113)을 결합하여 상호 연결한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의 수직하우징(112) 내부측에 조절플레이트(121)를 결합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위치조절부(120)와; 상기 위치조절부(120)의 조절플레이트(121) 배면측에 각도변환플레이트(131)를 설치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각도조절부(130)와; 상기 각도조절부(130)의 각도변환플레이트(131)에 다수개의 분사노즐(141)을 순차적으로 결합시킨 이물질제거부(140)와; 상기 지지부(110)에 전후에 결합하는 개폐도어(150)와; 상기 개폐도어(150)을 동작시키는 도어제어부(160); 및 상기 지지부(110)의 베이스하우징(111)에 설치하고 내부측 공기를 흡입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집진부(170)로 구성하므로; 건설현장이나 식당출입구 등에 설치하여 의복이나 신체에 묻은 흙먼지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소의 공간에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이동이나 재설치가 용이하며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먼지 제거장치{PARTICLE REMOVING DEVICE}
본 발명은 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이나 식장출입구 등에 설치하여 의복이나 신체에 묻은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 등에서 공사에서 따른 오염 등으로 인해 작업의류에 묻어 있는 먼지 제거를 위해 가끔씩 털어주게 되며, 사무업무나 식사 등을 위해 실내로 들어갈 경우 작업의류를 털어주는 과정에서 흙먼지 등의 이물질이 될 뿐만 아니라 매우 번거롭고 이로 이한 체력소모가 요구되며 특히, 의류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골고루 효율적으로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식사를 하거나 실내업무를 수행하므로 각종 호흡기 질환이나 피부질환 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효율적으로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실용신안등록 제20-0460661호의 크린룸도 있으나 단순히 건설현장 등에서 사용하기 부적절하고 코스트가 크게 상승될 뿐만 아니라 사용에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건설현장이나 식당출입구 등에 설치하여 의복이나 신체에 묻은 흙먼지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설현장 등의 실외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소의 공간에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하여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이동이나 재설치가 용이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먼지 제거장치는 게이트 형상으로 형성하되 하부에 베이스하우징을 설치하고 베이스하우징의 좌우에 한 쌍의 수직하우징을 입설하여 상호 마주하게 하며 수직하우징의 상단에 상부하우징을 결합하여 상호 연결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수직하우징 내부측에 조절플레이트를 결합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위치조절부와; 상기 위치조절부의 조절플레이트 배면측에 각도변환플레이트를 설치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각도조절부와; 상기 각도조절부의 각도변환플레이트에 다수개의 분사노즐을 순차적으로 결합시킨 이물질제거부와; 상기 지지부에 전후에 결합하는 개폐도어와; 상기 개폐도어를 동작시키는 도어제어부; 및 상기 지지부의 베이스하우징에 설치하고 내부측 공기를 흡입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집진부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 기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먼지 제거장치는 분사노즐을 통해 공기가 인체에 전후좌우 및 상부에서 분사되므로 인체나 의복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분리시킨 먼지 등의 이물질을 하부의 흡착그물망으로 흡입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사람의 키 높이에 따라 승하강플레이트가 적정높이로 하강하여 공기를 분사하므로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여 흡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좌우측의 조절플레이트가 회전함과 동시에 각도변환플레이트가 회전하면서 분사노즐을 여러 각도로 회전시키므로 분사노즐의 각도가 지속적으로 변환하여 회전하므로 효율적으로 인체나 의복의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사용자가 직접 별도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행동이 불필요하고, 전후의 개폐도어를 동시에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이물질을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동작 중에도 투명창을 통해 외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제거장치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제거장치의 도어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제거장치의 분사노즐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제거장치의 조절플레이트 동작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제거장치의 분사노즐 동작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먼지 제거장치(100)는 게이트 형상으로 형성하되 하부에 베이스하우징(111)을 설치하고 베이스하우징(111)의 좌우에 한 쌍의 수직하우징(112)을 입설하여 상호 마주하게 하며 수직하우징(112)의 상단에 상부하우징(113)을 결합하여 상호 연결한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의 수직하우징(112) 내부측에 조절플레이트(121)를 결합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위치조절부(120)와; 상기 위치조절부(120)의 조절플레이트(121) 배면측에 각도변환플레이트(131)를 설치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각도조절부(130)와; 상기 각도조절부(130)의 각도변환플레이트(131)에 다수개의 분사노즐(141)을 순차적으로 결합시킨 이물질제거부(140)와; 상기 지지부(110)에 전후에 결합하는 개폐도어(150)와; 상기 개폐도어(150)을 동작시키는 도어제어부(160); 및 상기 지지부(110)의 베이스하우징(111)에 설치하고 내부측 공기를 흡입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집진부(170)로 구성한다.
상기 지지부(110)는 게이트 형상으로 형성하여 출입할 수 있도록 하되, 하부에는 베이스하우징(111)을 설치하고, 베이스하우징(111)의 상면 좌우에는 한 쌍의 수직하우징(112)을 입설하여 상호 마주하게 하며, 수직하우징(112)의 상단에는 상부하우징(113)을 결합하여 상호 연결하도록 한다.
여기서 수직하우징(112)은 좌우의 한 쌍으로 형성하되 상호 마주하는 면을 개구하여 형성한다.
상기 위치조절부(120)는 지지부(110)의 수직하우징(112) 개구부 측에 조절플레이트(121)를 결합하여 회전하도록 하되, 하부에 지지편(123)을 형성하고 상하부에 편심캠(124)을 결합하여 상하 어느 하나의 편심캠(124)에 모터 등의 구동수단(125)을 결합한다.
따라서, 구동수단(125)의 동작으로 상하 편심캠(124)에 의해 조절플레이트(121)가 회전하는 것이다.
여기서 편심캠(124)은 상하좌우 4포인트 또는 3포인트에 설치할 수도 있다.
나아가, 조절플레이트(121)에는 다수개의 가이드공(122)을 순차적으로 천공하여 분사노즐(141)을 관통시키되 가이드공(122)의 내주연에 고무 등의 쿠션재를 끼워 분사노즐(141)의 각도조절이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지지부(110)의 상부하우징에 하향으로 승하강플레이트(126)를 설치하여 인체와의 적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되 승하강플레이트(126)에 실린더 등의 구동수단(127)을 설치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승하강플레이트(126)는 인체의 키 높이를 센싱하여 정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되 승하강플레이트(126)에 다수개의 분사노즐(141)을 결합하여 고정한다.
상기 각도조절부(130)는 조절플레이트(120)의 배면에 대응하여 근접하도록 각도변환플레이트(131)를 설치하되 다수개의 체결공(132)을 가이드공(122)에 대응하도록 천공하고 체결공(132)에 분사노즐(141)을 끼워 체결한다.
여기서 체결공(132)에 결합하는 분사노즐(141)은 여러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체결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각도전환플레이트(131)는 조절플레이트(1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상하부에 편심캠(133)을 결합하여 상하 어느 하나의 편심캠(133)에 모터 등의 구동수단(134)을 결합한다.
따라서, 구동수단(134)의 동작으로 상하 편심캠(133)에 의해 각도전환플레이트(131)가 회전하는 것이다.
여기서 편심캠(133)은 상하좌우 4포인트 또는 3포인트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구동수단(134)은 지지편(123)에 안착시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제거부(140)는 다수개의 분사노즐(141)을 구비하되 게이트 형상의 지지부(110)의 내부에 전후좌우와 상측에 설치하여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연질의 연결호스(142)로 연결하여 각부의 동작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분사노즐(141)의 연결호스(142)는 통상의 공기공급수단에 연결하여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도어(130)는 지지부(110)의 전후에 좌우로 회전샤프트(154)를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되 회전샤프트(154)에 투명창(151)을 각각 결합하여 회전샤프트(154)를 좌우로 회동시켜 전후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투명창(151)의 프레임(152) 일부를 공기공급관(153)으로 형성하되 닫힌 상태에서 맞 닫는 수직프레임을 공기공급관(153)으로 형성하고 순차적으로 공기공급관(153)에 분사노즐(141)을 결합하여 형성한다.
또한, 회전샤프트(154)의 상단에는 베벨기어(155)를 각각 결합하여 각각의 회전샤프트(154)가 연동하여 투명창(151)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제어부(160)는 양단에 베벨기어(164)를 결합시킨 샤프트(161)를 설치하여 개폐도어(130)의 회전샤프트(154)에 결합한 베벨기어(155)와 치차 결합하되 샤프트(161)를 좌우에서 전후로 설치한다.
더욱이, 일측 샤프트(161)의 베벨기어(164)는 정방향으로 치차 결합하고, 타측 샤프트(161)의 베벨기어(164)는 역방향으로 치차 결합하며 좌우의 샤프트(161)를 체인(162)과 스프로킷(163)으로 연결하여 연동하도록 하므로 개폐도어(150)의 좌우 회전샤프트(154)의 회전방향이 동시에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개폐도어(150)를 정확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어느 일측의 샤프트(161)에는 모터 등의 구동수단(165)을 결합하여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이물질집진부(170)는 베이스하우징(111)의 내부에 설치하고 베이스하우징(11)의 표면에 흡착그물망(171)을 형성하여 통상의 수단으로 분리시킨 이물질을 흡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먼지제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사장에서 실내나 음식점 등으로 들어가고자 할 때, 먼지제거장치(100)에 사람이 진입하면 이를 센싱하여 도어제어부(160)의 구동수단(165)을 구동시키므로 제어하므로 도어제어부 전후의 개폐도어(150)가 서서히 닫히면서 분사노즐(141)을 통해 공기가 인체에 전후좌우 및 상부에서 분사되므로 인체나 의복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분리시킨 먼지 등의 이물질을 하부의 흡착그물망(171)으로 흡입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특히 진입한 사람의 키 높이를 센싱하여 승하강플레이트(126)가 적정높이로 하강하여 분사노즐(141) 통해 공기를 분사하므로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여 흡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좌우측의 조절플레이트(121)가 회전하므로 조절플레이트(121)에 결합시킨 분사노즐(141)도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공기를 토출하므로 더욱 효율적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인체나 의복 등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조절플레이트(121)에 결합시켜 연동하는 각도변환플레이트(131)가 회전하면서 분사노즐(141)을 여러 각도로 회전시키므로 분사노즐(141)의 각도가 지속적으로 변환하여 회전하므로 효율적으로 인체나 의복의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사용자가 직접 별도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동작을 취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회전샤프트(154)에 결합한 베벨기어(155)에 일측 샤프트(161)의 베벨기어(164)는 정방향으로 치차 결합하고, 타측 샤프트(161)의 베벨기어(164)는 역방향으로 치차 결합하므로 전후의 개폐도어(150)를 동시에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이물질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동작 중에도 투명창(151)을 통해 외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00: 제거장치 110: 지지부
111: 베이스하우징 112: 수직하우징
113: 상부하우징 120: 위치조절부
121: 조절플레이트 122: 가이드공
123: 지지편 124: 편심캠
125: 구동수단 126: 승하강플레이트
127: 구동수단 130: 각도조절부
131: 각도변환플레이트 132: 체결공
133: 편심캠 134: 구동수단
140: 이물질제거부 141: 분사노즐
142: 연결호스 150: 개폐도어
151: 투명창 152: 프레임
153: 공기공급관 154: 회전샤프트
155: 베벨기어 160: 도어제어부
161: 샤프트 162: 체인
163: 스프로킷 164: 베벨기어
165: 구동수단 170: 이물질집진부
171: 흡착그물망

Claims (8)

  1. 게이트 형상으로 형성하되 하부에 베이스하우징(111)을 설치하고 베이스하우징(111)의 좌우에 한 쌍의 수직하우징(112)을 입설하여 상호 마주하게 하며 수직하우징(112)의 상단에 상부하우징(113)을 결합하여 상호 연결한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의 수직하우징(112) 내부측에 조절플레이트(121)를 결합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위치조절부(120)와;
    상기 위치조절부(120)의 조절플레이트(121) 배면측에 각도변환플레이트(131)를 설치하여 조절플레이트(121)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되 각도변환플레이트(131)를 개별적으로도 자체 회전하도록 하는 각도조절부(130)와;
    상기 각도조절부(130)의 각도변환플레이트(131)에 다수개의 분사노즐(141)을 순차적으로 결합시키되 분사노즐(141)의 전단이 조절플레이트(121)를 관통하여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하는 이물질제거부(140)와;
    상기 지지부(110)에 전후에 결합하여 자동으로 개폐하는 개폐도어(150)와;
    상기 개폐도어(150)를 동작시키는 도어제어부(160); 및
    상기 지지부(110)의 베이스하우징(111) 내부에 설치하여 이물질을 흡입 제거하는 이물질집진부(17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120)의 조절플레이트(121) 하부에 지지편(123)을 형성하고 조절플레이트(121)의 상하부에 편심캠(124)을 결합하여 상하 어느 하나의 편심캠(124)에 구동수단(125)을 결합하되, 조절플레이트(121)에는 다수개의 가이드공(122)을 순차적으로 천공하여 분사노즐(141)을 헐겁게 관통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제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0)의 상부하우징(113)에 하향으로 분사노즐(141)을 결합한 승하강플레이트(126)를 설치하고 승하강플레이트(126)에 구동수단(127)을 설치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제거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130)의 각도변환플레이트(131)에 다수개의 체결공(132)을 가이드공(122)에 대응하도록 천공하고, 체결공(132)에 분사노즐(141)을 여러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하되, 각도변환플레이트(131)의 상하부에 편심캠(133)을 결합하여 상하 어느 하나의 편심캠(133)에 구동수단(134)을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제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141)은 다수개로 구비되고 게이트 형상의 지지부(110)의 내부에 전후좌우와 상측에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제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150)는 지지부(110)의 전후에 좌우로 회전샤프트(154)를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고 회전샤프트(154)에 투명창(151)을 각각 결합하며 투명창(151)의 프레임(152) 일부를 공기공급관(153)으로 형성하되, 닫힌 상태에서 맞 닫는 수직프레임을 분사노즐(141)을 구비한 공기공급관(153)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제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154)의 상단에는 베벨기어(155)를 각각 결합하여 각각의 회전샤프트(154)가 연동하여 투명창(151)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제거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제어부(160)는 양단에 베벨기어(164)를 결합시킨 샤프트(161)를 설치하여 개폐도어(130)의 회전샤프트(154)에 결합한 베벨기어(155)와 치차 결합하고 샤프트(161)를 좌우에서 전후로 설치하되, 일측 샤프트(161)의 베벨기어(164)는 정방향으로 치차 결합하고. 타측 샤프트(161)의 베벨기어(164)는 역방향으로 치차 결합하며, 어느 일측의 샤프트(161)에는 구동수단(165)을 결합하고 좌우의 샤프트(161)를 체인(162)과 스프로킷(163)으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제거장치.

KR1020130061855A 2013-05-30 2013-05-30 먼지 제거장치 KR101382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855A KR101382061B1 (ko) 2013-05-30 2013-05-30 먼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855A KR101382061B1 (ko) 2013-05-30 2013-05-30 먼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061B1 true KR101382061B1 (ko) 2014-04-04

Family

ID=5065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855A KR101382061B1 (ko) 2013-05-30 2013-05-30 먼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0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020A (ko) 2014-07-21 2016-01-29 전두근 먼지 제거장치
CN113426759A (zh) * 2020-03-23 2021-09-24 安高电气有限公司 一种发电机内部自清扫机
CN113560286A (zh) * 2021-07-06 2021-10-29 安徽华恒轻工有限公司 一种多角度行李箱出厂洁净处理设备及其工艺系统
CN114623554A (zh) * 2020-12-14 2022-06-14 Lg电子株式会社 出入口用卫生管理装置
CN114623551A (zh) * 2020-12-14 2022-06-14 Lg电子株式会社 出入口用卫生管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1003A (ja) * 1993-04-06 1994-10-18 Nippon Steel Corp エアシャワー装置
KR19980068166A (ko) * 1997-02-17 1998-10-15 김광호 에어 샤워실의 분사기 구조
JP3483470B2 (ja) * 1998-06-15 2004-01-06 五洋建設株式会社 エアーシャワー装置
KR20080040862A (ko) * 2006-11-06 2008-05-09 수공테크 주식회사 승하강식 분사노즐을 갖는 에어 샤워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1003A (ja) * 1993-04-06 1994-10-18 Nippon Steel Corp エアシャワー装置
KR19980068166A (ko) * 1997-02-17 1998-10-15 김광호 에어 샤워실의 분사기 구조
JP3483470B2 (ja) * 1998-06-15 2004-01-06 五洋建設株式会社 エアーシャワー装置
KR20080040862A (ko) * 2006-11-06 2008-05-09 수공테크 주식회사 승하강식 분사노즐을 갖는 에어 샤워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020A (ko) 2014-07-21 2016-01-29 전두근 먼지 제거장치
CN113426759A (zh) * 2020-03-23 2021-09-24 安高电气有限公司 一种发电机内部自清扫机
CN114623554A (zh) * 2020-12-14 2022-06-14 Lg电子株式会社 出入口用卫生管理装置
CN114623551A (zh) * 2020-12-14 2022-06-14 Lg电子株式会社 出入口用卫生管理装置
CN114623554B (zh) * 2020-12-14 2024-02-09 Lg电子株式会社 出入口用卫生管理装置
CN113560286A (zh) * 2021-07-06 2021-10-29 安徽华恒轻工有限公司 一种多角度行李箱出厂洁净处理设备及其工艺系统
CN113560286B (zh) * 2021-07-06 2022-08-16 安徽华恒轻工有限公司 一种多角度行李箱出厂洁净处理设备及其工艺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2061B1 (ko) 먼지 제거장치
KR102506424B1 (ko) 로봇청소기
CN105833313A (zh) 一种针灸工具储藏和定时消毒装置
CN106360767B (zh) 一种大豆自动加工一体机
CN103565349A (zh) 智能清洁机器人的工作系统
CN209464693U (zh) 一种污泥处理装置
CN107361852A (zh) 一种能够干燥和消毒的神经内科医用工具专用放置装置
CN202456032U (zh) 一种多功能兔舍
CN208388534U (zh) 一种多功能板材生产车间清扫机
CN204426481U (zh) 可转动式烧烤机
CN112656341A (zh) 一种智能鞋柜
CN112916486B (zh) 一种用于浴场鹅卵石的清洗装置及清洗方法
CN114182473B (zh) 一种剪毛机
KR200408684Y1 (ko) 이불살균 세척장치
CN206809850U (zh) 一种定型机自动滤网清理系统
KR101969644B1 (ko) 매트리스 청소장치
CN208618686U (zh) 一种屋顶防漏铺盖沥青前屋顶清洗装置
KR100795551B1 (ko) 로봇청소기
US11540674B2 (en) Collapsible shower cubicle
JP2013184023A (ja) 吸引式ハンドドライヤー
CN111856797A (zh) 一种fog测试探针治具
CN206761150U (zh) 一种具备鞋底清理功能的鞋柜
JPS59123616A (ja) ダイクリ−ナ−
CN110935689A (zh) 一种风淋室
KR100748171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