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945B1 - 위사방향 광폭 토목용 직포 - Google Patents

위사방향 광폭 토목용 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945B1
KR101381945B1 KR1020120059929A KR20120059929A KR101381945B1 KR 101381945 B1 KR101381945 B1 KR 101381945B1 KR 1020120059929 A KR1020120059929 A KR 1020120059929A KR 20120059929 A KR20120059929 A KR 20120059929A KR 101381945 B1 KR101381945 B1 KR 101381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ving
weft
yarn
denier
wa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6253A (ko
Inventor
전상혁
이상기
Original Assignee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9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945B1/ko
Publication of KR20130136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3/00General weaving methods not special to the production of any particular woven fabric or the use of any particular loom; Weave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ingle group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4Geotex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용 직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재로 되는 고강력 필라멘트사(filament yarn)를 경사, 위사 및 변사로 이용하여 고밀도로 제직되는 토목용 직포를 제직함에 있어서, 위사방향의 폭이 광폭구조를 가지도록 제직하여 생산성과 현장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토목용 직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사방향 광폭 토목용 직포{Fabrics for civil engineering with wide width to weft direction}
본 발명은 토목용 직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재로 되는 고강력 필라멘트사(filament yarn)를 경사, 위사 및 변사로 이용하여 고밀도로 제직되는 토목용 직포를 제직함에 있어서, 위사방향의 폭이 광폭구조를 가지도록 제직하여 생산성과 현장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토목용 직포에 관한 것이다.
토목용 직물은 연약지반, 성토사면, 굴착사면 또는 보강사면 등에 설치되어 강호안의 지지력을 보강함으로써 강우로 인한 토사의 유실과 지반의 함몰을 방지하거나, 연약지반 개량 공사시 장비를 진입시킬 수 있는 강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토목용 직물의 구비 조건은 화학적으로 내산성과 내알카리성 있어야 하고, 탄력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직되어 공사 중에 진동·충격 및 상재하중에 대한 완충성이 크고, 쉽게 찢어지지 않는 제품이어야 하는 일반적인 요구조건에 따라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스터의 고강력 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고밀도로 제직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토목용 직물은 공지된 구조의 제직기에서 평직과 능직의 조직으로 제직될 수 있다.
평직은 직물의 외형 조직에 따라 구분되는 직물 조직중의 하나인데, 직물조직 중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간단하며 제일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경사와 위사가 상하 교대로 교차되면서 행과 열이 나란하게 제직되는 직물 조직이다.
능직은 공급되는 경사에 위사가 순차적으로 약 45°의 각도를 이루면서 계단상으로 교착되어 직물 표면에 뚜렷한 사선의 능선을 형성하는 것으로, 조직이 비교적 촘촘하고 질긴 특성을 나타내며, 단위면적 당 30,000~300,000denier/(inch)2의 고밀도의 직물을 제직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토목용 직물의 일반적인 제직 방법은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스터로부터 선택되는 원사를 의도하는 데니어가 되도록 합사하여 연사·정경 및 통경공정에 의하여 토목용 직물을 제직하게 되는데, 위사공급장치에 의하여 경사에 대하여 직각 방향에서 공급되는 위사가 레피어(Rapier)에 의해서 또는, 분사되는 공급수 또는 위사공급장치를 통하여 공급되어 제직되므로, 결국 제직되는 직물의 폭은 위사를 공급하는 거리에 의하여 좌우된다. 즉 위사가 공급되는 거리가 짧으면 공급되는 위사의 길이에 해당하는 폭의 경사를 공급해야하기 때문에 직물의 폭이 좁아지게 되고, 위사가 공급되는 거리가 길면 공급되는 경사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되므로 폭이 넓은 직물을 제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능직과 같이 고밀도 데니아의 직물을 제직할 경우에는 공급되는 위사의 실이 굵은 만큼 중량과 체적이 증가되기 때문에 위사를 멀리 공급할 수 없어서 제직되는 직물의 폭이 좁아지게 된다.
종래 토목용 직물에서 용도에 필요한 밀도와 강도가 만족스럽지 않은 결점의 원인이 있을 수 있으나 제직되는 직물의 폭이 비교적 좁게 제직될 수 밖에 없었던 것이 또한 그 원인중의 하나였다. 이렇게 종래의 제직기에서 폭이 좁은 직물을 제직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제직 방향으로 공급되는 경사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공급되는 위사를 먼 거리까지 도달시킬 수 없기 때문이었다.
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81399호 "토목용직포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2.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09344호 "토목용 직포" 3.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6580호 "경위사 방향의 저신도시 강도가 우수한 토목용 직포"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인 고강력 필라멘트사(filament yarn)를 경사, 위사 및 변사로 이용하여 고밀도로 제직되는 토목용 직포를 제직함에 있어서, 위사방향의 폭이 광폭구조를 가지도록 제직하여 생산성과 현장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위사방향 광폭 토목용 직포를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위사방향 광폭 토목용 직포는 경사, 위사 및 변사로 제직되며, 상기 위사방향으로 2~3개의 보강부가 형성되고, 3~4개의 위사와 경사의 제직부가 형성되며, 직포의 양끝단에 변사로 제직된 날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직부는 5000데니어 ~ 8000데니어의 경사 15~25본/인치, 5000데니어 ~ 8000데니어의 위사 15 ~ 25본/인치로 구성하여 제직되고, 상기 보강부는 5000데니어 ~ 8000데니어의 경사 15 ~ 25본/인치로 구성되되 상기 보강부의 경사가 상기 제직부의 위사를 동일하게 등분하여 제직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날개부는 5000데니어 ~ 8000데니어의 경사 15~25본/인치로 구성되되, 상기 제직부의 위사를 동일하게 등분하여 제직되는 구조로 되며, 상기 제직부의 일끝단은 재봉사로 재봉하여 완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제직부는 2개의 경사와 2개의 위사로 제직되어 구성되되 상기 위사와 경사가 각각 2개가 교번하여 제직되는 구조로 되며, 위사방향으로 600~2400㎜의 폭을 가지며, 제직밀도 15~25본/인치를 가지도록 제직되고,
상기 날개부는 위사방향으로 25~30㎜의 폭을 가지며, 제직밀도 15 ~ 25본/인치를 가지도록 제직되되, 상기 날개부를 구성하는 변사가 상기 제직부를 구성하도록 공급되는 2개의 위사를 각각 1개의 위사(10a, 10b)와 1개의 변사가 교번하여 제직되는 구조로 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보강부는 위사방향으로 8 ~ 10㎜의 폭을 가지며, 제직밀도 15~25본/인치를 가지도록 제직되며, 상기 제직부를 구성하는 2개의 위사를 1개의 위사(10c, 10d)와 1개의 경사가 교번하여 제직되는 구조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토목용 직포는 위사방향으로 폭 3000~3600㎜의 광폭으로 제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직부를 구성하는 경사의 사강도는 7 ~ 10g/d, 절단신도는 10 ~ 20%이고, 상기 보강부(120)를 구성하는 경사(50)는 사강도 7 ~ 10g/d, 절단신도 10 ~ 20%이며, 상기 날개부(130)를 구성하는 경사(30)는 사강도 7 ~ 10g/d, 절단신도 10 ~ 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위사방향 광폭 토목용 직포는 위사방향의 폭이 광폭구조를 가지도록 제직하여 생산성과 현장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토목용 직포의 제직구조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2 는 도 1의 A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3 은 도 1의 B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4 는 도 1의 C부의 부분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토목용 직포에 관한 것으로, 위사방향으로 그 폭이 광폭을 가지도록 제직된 토목용 직포에 관한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위사방향 광폭 토목용 직포(100)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위사 및 변사로 제직되며, 상기 위사방향으로 2~3개의 보강부(120)가 형성되고, 3~4개의 위사와 경사의 제직부(110)가 형성되며, 직포의 양끝단에 날개부(130)가 형성된 제직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직부(110)는 5000데니어~8000데니어의 경사 15~25본/인치, 5000데니어~8000데니어의 위사 15~25본/인치로 구성하여 제직되고, 상기 보강부(120)는 5000데니어~8000데니어의 경사 15~25본/인치으로 구성되되 상기 보강부(120)의 경사가 상기 제직부(110)의 위사를 동일하게 등분하여 제직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날개부(130)는 5000데니어~8000데니어의 경사 15~25본/인치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직부(110)의 위사를 동일하게 등분하여 제직되는 구조로 되며, 상기 날개부의 일끝단은 재봉사(40)로 재봉하여 완성되는 제직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직부(110)와 보강부(120)와 날개부(130)의 제직구조를 첨부도면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 는 도 1의 제직부의 A 구간의 부분확대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직부(110)는 2개의 경사(20)와 2개의 위사(10)로 제직되어 구성되되 상기 위사(10)와 경사(20)가 각각 2개가 교번하여 제직되는 구조로 되며, 상기 제직부(110)는 바람직하게는 위사방향으로 600~2400㎜의 폭을 가지며, 제직밀도 15~25본/인치를 가지도록 제직되는 것이 좋다.
도 3 은 도 1의 날개부의 B구간의 부분확대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130)는 위사방향으로 25~30㎜의 폭을 가지며, 제직밀도 15~25본/인치를 가지도록 제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날개부(130)는 상기 제직부(110)를 구성하는 위사(10)와 변사(30)로 구성되게 되며, 상기 변사(30)가 상기 제직부(110)와 날개부(120)의 경계부(80)를 시점으로 공급되는 제직부를 구성하는 2본의 상기 위사(10)를 동일하게 등분하여 제직되게 되며, 등분된 위사(10a, 10b)와 1개의 변사(30)와 1개의 위사가 되도록 상호 교번하여 제직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4 는 도 1의 보강부(120)의 C구간의 부분확대로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00데니어~8000데니어의 경사(50) 15~25본/인치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50)가 상기 제직부(110)와의 경계부(60)을 시작으로 타측 제직부(110)와의 경계부(70)를 끝점으로 제직부를 구성하는 2개의 위사(10)가 각각 등분된 위사(10c, 10d)로 하여 1개의 경사와 1개의 위사가 되도록 하여 서로 교번하여 제직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보강부(120)는 위사방향으로 8~10㎜의 폭을 가지며, 제직밀도 15~25본/인치를 가지도록 제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토목용 직포는 위사방향으로 제직구간에 2~3개의 보강부(120)를 둠으로써 위사방향으로 폭(L) 3500~4000㎜의 광폭으로 제직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강부(120)를 두는 것은 본 발명의 광폭 직물은 경사×위사가 2×2 조직으로 위사가 5000~8000데니어의 고강도 원사를 사용하는데 개구가 올라가 있을때 1개의 위사가 투입되고 이어서 두번째 위사가 투입되는데 이때 먼저 투입된 위사가 원사무게와 체적때문에 자리잡지 못하고 뒷쪽으로 물러나게 되므로 두번째 투입되는 위사와 충돌하여 제직이 중단되게 되므로, 2~3개의 보강부에서 첫째 위사를 잡아줌으로써 광폭의 토목용 직포를 제직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토목용 직포를 구성하는 상기 제직부(110)의 경사(20)는 사강도 7 ~ 10g/d, 절단신도 10 ~ 2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보강부(120)를 구성하는 경사(50)는 사강도 7 ~ 10g/d, 절단신도 10 ~ 2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날개부(130)를 구성하는 경사(30)는 사강도 7 ~ 10g/d, 절단신도 10 ~ 2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10: 위사 20, 50: 경사
30: 변사 40: 재봉사
60, 70, 80: 경계부 100: 토목용 직포
110: 제직부 120: 보강부
130: 날개부

Claims (6)

  1. 경사, 위사 및 변사로 제직되며, 상기 위사방향으로 2~3개의 보강부가 형성되고, 3~4개의 위사와 경사의 제직부가 형성되며, 직포의 양끝단에 변사로 제직된 날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직부는 5000데니어 ~ 8000데니어의 경사 15~25본/인치, 5000데니어 ~ 8000데니어의 위사 15 ~ 25본/인치로 구성하여 제직되고, 상기 보강부는 5000데니어 ~ 8000데니어의 경사 15 ~ 25본/인치로 구성되되 상기 보강부의 경사가 상기 제직부의 위사를 동일하게 등분하여 제직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날개부는 5000데니어 ~ 8000데니어의 경사 15~25본/인치로 구성되되, 상기 제직부의 위사를 동일하게 등분하여 제직되는 구조로 되며, 상기 제직부의 일끝단은 재봉사로 재봉하여 완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제직부는 2개의 경사와 2개의 위사로 제직되어 구성되되 상기 위사와 경사가 각각 2개가 교번하여 제직되는 구조로 되며, 위사방향으로 600~2400㎜의 폭을 가지며, 제직밀도 15~25본/인치를 가지도록 제직되고,
    상기 날개부는 위사방향으로 25~30㎜의 폭을 가지며, 제직밀도 15 ~ 25본/인치를 가지도록 제직되되, 상기 날개부를 구성하는 변사가 상기 제직부를 구성하도록 공급되는 2개의 위사를 각각 1개의 위사(10a, 10b)와 1개의 변사가 교번하여 제직되는 구조로 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보강부는 위사방향으로 8 ~ 10㎜의 폭을 가지며, 제직밀도 15~25본/인치를 가지도록 제직되며, 상기 제직부를 구성하는 2개의 위사를 1개의 위사(10c, 10d)와 1개의 경사가 교번하여 제직되는 구조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방향 광폭 토목용 직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목용 직포는 위사방향으로 폭 3000~3600㎜의 광폭으로 제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방향 광폭 토목용 직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직부를 구성하는 경사의 사강도는 7 ~ 10g/d, 절단신도는 10~20%이고, 상기 보강부(120)를 구성하는 경사(50)는 사강도 7 ~ 10g/d, 절단신도는 10~20%이며, 상기 날개부(130)를 구성하는 경사(30)는 사강도 7 ~ 10g/d, 절단신도는 10~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방향 광폭 토목용 직포.
KR1020120059929A 2012-06-04 2012-06-04 위사방향 광폭 토목용 직포 KR101381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929A KR101381945B1 (ko) 2012-06-04 2012-06-04 위사방향 광폭 토목용 직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929A KR101381945B1 (ko) 2012-06-04 2012-06-04 위사방향 광폭 토목용 직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253A KR20130136253A (ko) 2013-12-12
KR101381945B1 true KR101381945B1 (ko) 2014-04-07

Family

ID=4998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929A KR101381945B1 (ko) 2012-06-04 2012-06-04 위사방향 광폭 토목용 직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9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334B1 (ko) * 2022-12-20 2023-06-05 (주)주영 폴리에스텔미세모노필라멘트꼬임사와 나일론미세모노필라멘트꼬임사를 경사,위사로 사용하여 제직되는 산업용 연사직물지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262B1 (ko) * 2005-02-01 2006-08-22 주식회사 파비노 보강경사부를 구비한 직물구조체
JP2009068185A (ja) * 2007-09-11 2009-04-02 Tanaka:Kk 繊維系又は樹脂系ジオグリッ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262B1 (ko) * 2005-02-01 2006-08-22 주식회사 파비노 보강경사부를 구비한 직물구조체
JP2009068185A (ja) * 2007-09-11 2009-04-02 Tanaka:Kk 繊維系又は樹脂系ジオグリッ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334B1 (ko) * 2022-12-20 2023-06-05 (주)주영 폴리에스텔미세모노필라멘트꼬임사와 나일론미세모노필라멘트꼬임사를 경사,위사로 사용하여 제직되는 산업용 연사직물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253A (ko)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8987A1 (en) Woven multi-layer fabrics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MX2018012284A (es) Tela tejida con una resistencia a la traccion comparable en direcciones de urdimbre y trama.
KR100636073B1 (ko) 립을 구비하는 토목용 직물의 제직 방법
KR101381945B1 (ko) 위사방향 광폭 토목용 직포
KR100942594B1 (ko) 지오그리드용 직물지
WO2019015033A1 (zh) 一种耐久加筋滤网及其制作方法
JP2013096015A (ja) 強化織物
KR101280612B1 (ko) 고투수성 토목용 직포의 제직구조
KR101280024B1 (ko) 마찰특성이 우수한 토목용 직포의 제직구조
KR101997786B1 (ko)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방법
KR20070076580A (ko) 경위사 방향의 저신도시 강도가 우수한 토목용 직포
KR20010096241A (ko) 텍스타일 지오그리드
JP3635136B2 (ja) 重層構造ジオグリッド
KR101756081B1 (ko) 토목용 직물의 변사 마감처리장치
KR100563627B1 (ko) 토목용 직포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KR101069102B1 (ko) 이중구조를 갖는 튜브
CA1142862A (en) Flexible tubing
JP2012224964A (ja) 炭素繊維補強織物
CN220075833U (zh) 抗拉涤纶布
CN219256718U (zh) 高强涤纶梭织布
US20230340706A1 (en) Composite nylon and polyester woven fabric
KR200416584Y1 (ko) 양면 벨벳 직물지
KR200391086Y1 (ko) 아스팔트(아스콘) 보강포
JP3667573B2 (ja) ベルトスリング
JP2020147914A (ja) 布製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