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081B1 - 토목용 직물의 변사 마감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토목용 직물의 변사 마감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6081B1 KR101756081B1 KR1020150109847A KR20150109847A KR101756081B1 KR 101756081 B1 KR101756081 B1 KR 101756081B1 KR 1020150109847 A KR1020150109847 A KR 1020150109847A KR 20150109847 A KR20150109847 A KR 20150109847A KR 101756081 B1 KR101756081 B1 KR 1017560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bric
- yarn
- yarns
- weft
- war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40—Forming selvedges
- D03D47/48—Forming selvedges by inserting cut end of weft in next shed, e.g. by tucking, by blowing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3/00—General weaving methods not special to the production of any particular woven fabric or the use of any particular loom; Weave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ingle group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용 직물의 마감처리되는 변사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용 직물을 경사 및 위사로 제직할 시 위사의 양측단부에 발생되는 변사를 별도의 에어 건을 이용하여 직물 원단의 지바닥으로 흡입시켜 깨끗히 마감처리토록 함으로써 원단의 강도보강과 더불어 외관을 미려하게 하도록 하는 토목용 직물의 마감처리되는 변사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원사를 합사하고, 연사, 정경 및 통경 공정을 거쳐서 공급되는 경사와 위사를 제직기에서 제직하는 토목용 직물을 제직함에 있어서, 상기 제직기의 양측 상부에 각각 구비되어 흡입에어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콤프레사; 상기 콤프레사와 연결되면서 제직되는 경사의 상부에 구비되는 에어 건과; 상기 에어 건의 일측에서 경사지게 구비되고 경사들의 사이를 통해 사선으로 진퇴 작동되는 흡입노즐;을 갖추어 경사와 위사로 제직되는 위사의 끝단에 발생되는 변사를 상,하로 나누어지는 경사의 사이로 흡입시켜 제직토록 하는 것이다.
이는 원사를 합사하고, 연사, 정경 및 통경 공정을 거쳐서 공급되는 경사와 위사를 제직기에서 제직하는 토목용 직물을 제직함에 있어서, 상기 제직기의 양측 상부에 각각 구비되어 흡입에어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콤프레사; 상기 콤프레사와 연결되면서 제직되는 경사의 상부에 구비되는 에어 건과; 상기 에어 건의 일측에서 경사지게 구비되고 경사들의 사이를 통해 사선으로 진퇴 작동되는 흡입노즐;을 갖추어 경사와 위사로 제직되는 위사의 끝단에 발생되는 변사를 상,하로 나누어지는 경사의 사이로 흡입시켜 제직토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목용 직물의 변사 마감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용으로만 사용될 수 있는 토목용 직물을 경사 및 위사로 제직할 시 위사의 양측단부에 발생되는 변사를 별도의 에어 건을 이용하여 직물 원단의 지바닥으로 강제 흡입시켜 깨끗히 마감처리토록 함으로써 토목용 직물 원단의 봉제 강도보강과 더불어 외관을 미려하게 하도록 하는 토목용 직물의 변사 마감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토목용으로 사용되는 토목용 직물은 일반적인 직물과는 구분되는 되는 것으로, 토목공사시 연약지반, 성토사면, 굴착사면 또는 보강사면 등에 설치되어 강호안의 지지력을 보강함으로써 강우로 인한 토사의 유실과 지반의 함몰을 방지하거나, 연약지반 개량공사시 장비를 진입시킬 수 있는 강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토목섬유(Geosynthetics)는 천연섬유 재료의 강도가 취약한 문제점을 해결한 고분자 합성섬유 제품으로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에칠렌(polyethylene), 폴리아크릴니트릴(polyacrynitril),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를 직조하여 형성된 다공성 제품인 지오텍스타일(geotextile)과 차수용 제품인 지오멤브레인(geomembranes), 고강도 제품인 지오그리드(geogrids) 및 지오텍스타일 관련제품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우수한 시공성과 적용성 및 경제성 등을 갖추고 있어 최근 각종 토목구조물에서 보강, 필터, 배수, 분리, 봉쇄 및 침식 방지재 등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토목섬유는 하천제방, 사면보호를 위해 필터용 지오텍스타일(geotextile)을 최초로 사용한 이래 눈부신 성장을 계속하여 현재는 각종 토목구조물에서 필수적인 제품으로서 여러 가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토목섬유 중에서 직물형 지오텍스타일은 필라멘트사, 또는 방적사를 이용하여 경사와 위사를 직각 형태로 교차해 만든 형태로 되는데, 기본 조직은 평직, 능직, 수자직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사용되는 실은 보통 500∼5,000 데니어 정도의 실을 연사하여 사용하며, 직물밀도는 경사 및 위사 방향으로 인치당 17 ~ 30개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토목용 직물의 구비 조건은 화학적으로 내산성과 내알카리성이어야 하고, 탄력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직되어 공사 중에 진동· 충격· 상재 하중에 대한 완충성이 크고, 쉽게 찢어지지 않는 제품이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직물의 외형이 나타내는 조직의 형태로 직물을 구분하면 평직, 수자직, 능직으로 구분된다.
평직은 직물의 외형 조직에 따라 구분되는 직물 조직중의 하나인데, 직물조직 중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간단하며 제일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경사와 위사가 상하 교대로 교차되면서 행과 열이 나란하게 제직되는 직물 조직이다.
능직은 공급되는 경사에 위사가 순차적으로 약 45°의 각도를 이루면서 계단상으로 교착되어 직물 표면에 뚜렷한 사선의 능선을 형성하는 것으로, 조직이 비교적 촘촘하고 질긴 특성을 나타내며, 단위면적 당 1,000 데니아의 고밀도 직물을 제직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스터를 이용하여 토목용 직물을 평직으로 제직할 경우에는 위사와 위사 사이에 틈새가 불규칙하게 발생하여 밀도가 고르지 않게 되어 고밀도 고강도의 직물을 제작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능직은 도비기(dobby machine)에서 제직 가능하며,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스터의 고강력 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토목용 직물을 제직하는 방법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9616호 '토목용 직물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에서 알려져 있다.
능직물은 평직물에 비하여 지질이 유연하고, 실의 밀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비슷한 굵기의 실을 사용하여도 단위 면적당 무게가 가벼워지면서도 견고한 강도를 가지는 직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장치에 의한 능직물은 토목용 직물에 보다 만족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제직되는 토목용 직물은 평직, 수자직, 능직 등의 구분없이 어떠한 형태로 제직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양측단 가장자리에는 변사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변사는 원단의 강도를 저하시키게 되는 주 요인이 되고 있음으로 마감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91-0003700 "변사 절단용 원단정렬장치"에서는 직조된 원단의 양 가장자리 변사를 레이저 가공기로 절단하기에 적당하게 자동 정렬 조정되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고, 특허공보 공고번호 특1996-0013192 "가공원단의 변사커팅 및 정열권취장치"에서는 주로 코팅된 가공원단의 변사부를 절단함과 동시에 가지런히 정열된 상태로 가공원단을 재권취토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에서는 변사를 레이저 가공기로 커팅하기 용이하도록 정열하는 기술에 관련된 것이거나 또는 변사를 절단하과 동시에 가지런히 정열하여 가공원단을 재권취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기술인 바, 변사부의 강도를 보강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즉, 가공된 원단의 크기를 확보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원단을 중첩되게 봉합하는 경우, 중첩되는 양측단부의 변사를 가지런히 정열한다 하더라도 경사와 위사의 제직상태 그대로서는 강도가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원단의 봉합가공을 하거나 또는 권취작업, 설치작업 등을 위하여 원단의 가장자리를 잡고 당길 경우 경사와 위사의 제직 상태가 벌어지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토목섬유를 위한 원단의 변사처리방법으로서는 아크릴 등의 수지를 원단의 양측 주변부를 따라 롤러를 이용하여 코팅 처리하므로써 코팅라인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선등록특허에 따른 원단의 변사처리방법은 가공이 어렵고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별도의 아크릴과 같은 수지의 원료가 더 제공되어야 하는 문제점과 더불어 코팅라인으로 인하여 원단의 손실율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코팅라인의 신축성 저하로 인하여 다수의 원단을 재봉으로 방법으로 봉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관련되는 또다른 종래의 특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6990호를 들 수 있다.
이는 원단의 이송을 위해 별도의 에지 라인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초기 원단폭을 완성된 원단의 폭으로 가져갈 수 있어 원단의 손실율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수지 코팅라인이 수지가 코팅된 부분과 코팅되지 않은 부분이 반복되어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변사처리부분의 원단의 신축율이 증가시키므로 합성수지 또는 가죽과 합포되어 완성된 시트재의 설치를 비교적 자유롭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이 역시 수지를 필연적으로 사용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그 기술적인 구성이 복잡하고 까다로워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토목용 직물의 변사처리공정에서 원단의 손실율을 줄이고, 원단의 변형에 비교적 자유롭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토목용 직물의 변사 마감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가지런히 절단되는 변사를 원단의 지바닥 내부로 흡입시키되 변사가 역방향으로 꼬여지도록 제직함으로써 측단부의 강도를 보강토록 함과 동시에 깨끗히 마감처리토록 하는 토목용 직물의 변사 마감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성의 에어 건을 이용한 변사 마감처리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연속적이고도 자동적으로 변사를 마감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토목용 직물의 변사 마감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경사와 위사가 도비기에 의하여 제직되는 토목용 직물을 제직함에 있어서, 상기 위사의 양측단에 발생되는 변사를 깨끗히 마감처리토록 하면서도 역방향으로 제직시켜 양측단의 강도를 보강토록 하는 토목용 직물의 변사 마감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토목용 직물을 제직시 원단의 양측단에 발생되는 변사를 별도의 에어건을 이용하여 원단의 지바닥으로 흡입시키면서 제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역방향으로 제직된 변사로 인하여 원단의 측단부 강도가 그만큼 증가될 뿐만 아니라 깨끗히 마감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에어건을 이용하여 제직시 발생되는 변사를 원단의 내부 지바닥으로 흡입시켜 제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변사 마감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토목용 직물의 제직을 자동적이고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토목용 직물로 사용되는 직물의 원단을 경사와 위사로 제직시 원단의 양측단에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변사를 원단의 지바닥으로 흡입시키면서 제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원단의 양측단을 깨끗히 마감처리토록 함은 물론이고, 변사가 역방향으로 함몰되어 제직되기 때문에 이의 꼬임력으로 측단부의 강도가 월등히 증가되어 풀리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원단의 양측단부에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변사를 커팅하여 제거하지 않고 발생되는 변사를 직물 원단의 지바닥 내부로 흡입시켜서 제직하기 때문에 원단의 손실이 전혀없이 제직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변사의 제직에 따른 꼬임력으로 원단의 측단부 강도가 그만큼 증가됨으로써 작업시 외부에서 당기거나 또는 다수의 원단을 중첩되게 봉합할 경우에도 풀림이 전혀 없고 외관이 깨끗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건을 이용한 간단한 구성의 변사 마감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도비기에 별도의 다른 구조 변화없이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구성이 간단함으로써 제조 및 적용이 간편한 등의 여러 가지 구조적인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제직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도비기의 일부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도2의 평면구성도
도 4는 일반적인 토목용 직물의 구성을 보인 평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직되는 토목용 직물의 일부 구성도
도6 내지 도10은 본 발명에 의해 제직되는 순서도
도11 내지 도15는 본 발명 도6 내지 도10에 의해 제직되는 과정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도비기의 일부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도2의 평면구성도
도 4는 일반적인 토목용 직물의 구성을 보인 평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직되는 토목용 직물의 일부 구성도
도6 내지 도10은 본 발명에 의해 제직되는 순서도
도11 내지 도15는 본 발명 도6 내지 도10에 의해 제직되는 과정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1 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직기가 적용되는 토목용 직물의 제직시스템을 나타내고 있고, 도2 및 도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직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4 및 도5에서는 일반적인 토목용 직물의 구조와 본 발명에 의해 제직된 토목용 직물을 나타내고 있고, 도6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 제직되는 토목용 직물의 제직순서와 그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의 도1 에서 보는 토목용 직물의 제직시스템은 본원 출원인의 선등록특허 제10-0563627호 및 제10-0636073호에 의해서도 상세히 나타낸 바 있듯이, 원사공급장치(1), 경사이송장치(2), 제직기(3), 도비기(4), 직물이송장치(5), 탈수장치(6) 및 권취장치(7)로 구성된다.
상기 원사공급장치(1)는 원사가 감겨진 다수 개의 콘이 재치되고, 재치된 콘으로부터 원사가 자연스럽게 풀려나오게 되는 통상의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원사의 요동을 최대한 억제시키면서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써 예를 들면 실용신안출원 제20-2000-26466호에 게재된 구성을 포함하는 방사안내장치로 구성되어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스터로부터 선택되는 원사가 감겨진 다수 개의 콘으로 부터 경사(10)로 사용되는 원사가 인출된다.
경사이송장치(2)는 상기 원사공급장치(1)에서 인출되는 원사를 정렬시키고, 장력을 조절하여 경사(10)를 공급하게 되는데, 경사(10)로 사용되는 원사를 공급하기 위하여 정렬시키는 바디틀과 다수 개의 로울러의 집합체로 구성되는 장력조절용 로울러로 구성되어 제직기(3) 및 도비기(4)로 경사를 공급하게 된다.
제직기(3)는 이송되는 경사(10)에 위사(20)를 공급하고, 상기 원사이송장치(2)를 통하여 이송되는 경사(10)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사(20)를 공급하는 공지된 위사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비기(4)는 공지된 바와 같이 경사가 통과하는 종강을 구비하는 다수 개의 헬드 프레임이 형성되어 상기 제직기(3) 상부에 놓여져 능직의 구조물이 제직되게 하는 것이다.
직물이송장치(5)는 적절한 다수 로울러의 조합으로 되어 상기 제직기(3)와 도비기(4)에서 제직된 직물을 배출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탈수장치(6)는 한 쌍의 탈수로울러와 한 쌍의 히터로울러가 진행방향을 따라 나란히 구성되어, 위사(20)가 공급되면서 물이 분사되어 제직되는 직물(30)이 상기 탈수로울러를 통과하면서 수분을 1차적으로 제거하게 되고, 히터로울러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면서 직물(30)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완전히 증발시키게 된다.
권취장치(7)는 탈수장치(6)에서 수분이 제거된 직조 완료된 직물(30)이 감겨지게 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권취장치의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에 의해서도 제안된 바 있듯이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즉, 토목용 직물의 제조 과정은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스터로부터 선택되는 원사를 의도하는 데니어를 형성시키는 합사공정과, 상기 합사공정을 마친 원사를 연사하는 공정과, 상기 연사공정을 마친 원사를 합사하여 연사하고, 정경 및 통경공정을 마친 상태에서 일반적인 평직으로 조직이 되도록 제직되는 것이며, 능직의 조직으로 제직할 때에는 도비기를 이용하여 제직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공지된 제조시스템에 의해 제직되는 토목용 직물은 위사의 양측 단부에 변사(21)가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변사(21)를 마감처리토록 하는 마감처리된 변사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토목용 직물은 제직기에서 제직되는 상태의 실시예를 도3 및 도4, 그리고 도6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이의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도비기(4)는 공지된 구성과 같이 4개의 헬드 프레임, 즉 제1헬드프레임(41), 제2헬드프레임(42), 제3헬드프레임(43), 제4헬드프레임(44)이 설치되고, 각각의 제1,제2,제3,제4헬드프레임(41,42,43,44)에는 각각 다수 개의 종강(40)이 횡렬로 설치되며, 이의 근접되는 위치에는 바디(50)가 일정한 각도 내에서 정,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각 종강(40)의 통공으로는 정렬되어 공급되는 다수 개의 경사(10)가 각각 삽입되고, 각각의 종강(40)들을 통과한 경사(10)는 바디(50)를 통과하여 제직기(3)에서 제직될 수 있는 상태에 놓여지게 된다.
또한 제직기(3)는 일측에 상,하로 나누어진 경사(10)의 사이로 위사(20)를 횡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위사공급기(60)가 설치되며, 이 위사공급기(60)는 통상에서와 같이 수압이나 공압을 이용하는 워터 이젝트장치 및 에어 이젝트장치는 기타 공지된 장치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위사공급기(60)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하여 위사(20)가 상,하로 나누어지는 경사(10)의 사이로 수평 공급된다.
또한 위사공급기(60)와 제직기의 사이에는 공급되는 위사(20)를 절단하기 위한 고정칼날(70)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의 고정칼날(70)은 칼날이 경사지게 고정설치되며, 이에 따라 제직시 전진되는 바디(50)에 의해 위사(20)가 이동되면서 고정칼날(70)에 의해 절단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제직기(3)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변사를 흡입하기 위한 변사흡입수단(8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직기(3)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변사를 흡입하기 위한 변사흡입수단(80)이 설치된다.
삭제
상기 변사흡입수단(80)은 흡입노즐(81)을 가지는 에어 건(82)이 별도의 콤프레사(83)와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에어 건(82)으로 부터 흡입노즐(81)이 경사지게 진퇴작동되어 출몰되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흡입노즐(81)은 제직기의 측면을 향하여 나란히 공급되는 다수의 경사(10)들의 사이로 삽입 및 이탈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에어 건(82)은 제직기의 상부 소정위치에 별도의 미도시된 브라켓트에 의해 고정설치되면서도 그 전단의 흡입노즐(81)은 측면의 변사(21)를 향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제직되는 원단의 측단을 향하여 진퇴작동이 가능토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에어 건(82)의 내부에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흡입노즐(81)을 전방으로 진퇴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며, 이러한 구동장치는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다.
또한 에어 건(82)은 별도의 콤프레사(83)와 연결되어 흡입노즐(81)을 통하여 흡입공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작동은 별도의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위사공급기(60)를 통하여 위사(20)가 공급된 후, 고정칼날(70)에 의해 절단되어진 변사(21)가 발생되면, 흡입노즐(81)이 변사(21)의 위치까지 전진작동되어 변사(21)를 상,하 나누어지는 경사(10)들의 사이로 흡입토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변사(21)는 변사흡입수단(80)에 의해 상,하 경사(10)의 사이로 흡입되어지고, 연속되는 다음 제직과정에서 공급되는 다른 위사(20)와 함께 직물(30)의 원단 내부로 함몰되게 일체형으로 제직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장치에 의해 평직과 능직의 토목용 직물을 제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즉 통상에서와 같이 헬드 프레임의 종강에 경사를 설치하는 방법과 도비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평직과 능직의 토목용 직물을 제직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어떠한 제직형태로도 제직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제직시 발생되는 위사(20)의 변사(21)를 마감처리하게 되는 것이며, 첨부된 도면의 도6 이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직시 발생되는 변사(21)를 변사흡입수단(80)을 통하여 직물(30)의 내측으로 흡입시키면서 제직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여 보면, 먼저 도2, 도6, 도11에서 보듯이 각각의 종강(40)에 경사(10)를 공급하면서 제1 및 제2헬드 프레임(41)(42)이 상승함과동시에, 제3 및 제4헬드 프레임(43)(44)은 하강하고, 바디(50)는 후진한 상태에서 위사공급기(60)에 의해 위사(20)가 상,하로 나누어진 경사(10)의 사이로 공급된다.
위사(20)가 공급되면 도2, 도7, 도12에서 보듯이 바디(50)가 가상선의 위치로 전진되면서 위사(20)를 긴밀히 밀착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공급되는 위사(20)는 제직기의 측면에 구비되는 고정칼날(70)에 의해 양측단이 절단되고, 이때 위사(20)의 끝단에는 변사(21)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어서 제1 및 제2헬드 프레임(41)(42)이 하강함과 동시에, 제3 및 제4헬드 프레임(43)(44)은 상승하여 1회의 제직을 수행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변사흡입수단(80)의 흡입노즐(81)이 첨부도면의 도8 및 도13에서 보듯이 에어 건(82)으로 부터 경사지게 전진작동되면서 경사(10)의 사이로 삽입되어져 제직되는 원단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된다.
즉, 흡입노즐(81)이 에어 건(82)으로 부터 경사지게 전진작동되면서 경사(10)들의 사이를 통하여 변사(21)의 위치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어서 첨부도면의 도9 및 도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콤프레사(83)의 작동에 따른 흡입력이 작용함과 동시에, 전진되었던 흡입노즐(81)이 원위치로 후진되면서 이의 흡입력에 의하여 변사(21)는 상,하 나누어진 경사(10)의 사이로 흡입된다.
상기와 같이 변사(21)가 경사(10)들의 사이로 완전히 삽입되고, 변사흡입수단(80)의 흡입노즐(81)은 원위치로 복귀되면, 다시 첨부된 도면의 도10 및 도15에서 보듯이 위사공급기(60)가 작동되면서 또다른 위사(20)를 공급하게 되면서 다음 제직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작동이 반복되면서 제직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에 따라 제직되는 직물(3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변사(21)는 직물(30)의 원단 내측으로 제직되는 상태로 흡입됨으로써 깨끗한 마감처리와 동시에 견고한 강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변사(21)는 직물(30)의 내부로 단순히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경사(10)들의 사이로 제직되면서 삽입되는 것임으로써 가장자리의 경사(10)의 일부를 견고하게 꼬아주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제직되는 직물(30)의 가장자리는 외부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벌어지지 않고 견고함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직되는 토목용 직물을 권취하거나 설치시 가장자리를 잡고 당기더라도 풀리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이고, 또한 재봉의 방법에 의해 특정의 크기로 봉합하더라도 양가장자리가 깨끗하고 견고하기 때문에 봉합효율이 향상됨과 강도가 보강되는 것이다.
1:원사공급장치 2:경사이송장치
3:제직기 4:도비기
5:직물이송장치 6:탈수장치
7:권취장치 10:경사
20:위사 30:직물
40:종강 50:바디
60:위사공급기 70:고정칼날
80:변사흡입수단 81:흡입노즐
82:에어 건 83:콤프레사
3:제직기 4:도비기
5:직물이송장치 6:탈수장치
7:권취장치 10:경사
20:위사 30:직물
40:종강 50:바디
60:위사공급기 70:고정칼날
80:변사흡입수단 81:흡입노즐
82:에어 건 83:콤프레사
Claims (2)
- 원사를 합사하고, 연사, 정경 및 통경 공정을 거쳐서 공급되는 경사와 위사를 제직기에서 경사와 위사로 제직되는 위사의 양측단부에 발생되는 변사를 직물의 지바닥 내부로 삽입시켜 제직토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직기의 양측 상부에는 각각 흡입 에어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콤프레사(83)를 구비하고, 경사(10)와 위사(20)가 제직되는 상부의 양측에는 각각 콤프레사(83)와 연결되는 에어 건(82)을 구비하며, 상기 에어 건(82)의 일측에는 에어를 흡입토록 하는 흡입노즐(81)을 경사지게 구비하여 제직되는 경사(10)들의 사이를 통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사선으로 진퇴 작동될 수 있도록 구비함으로써 콤프레샤(83)의 작동에 의한 흡입력으로 경사(10)와 위사(20)로 제직되는 위사(20)의 양측 끝단에 발생되는 변사를 상,하로 나누어지는 경사(10)의 사이로 흡입시켜 제직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용 직물의 변사 마감처리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9847A KR101756081B1 (ko) | 2015-08-04 | 2015-08-04 | 토목용 직물의 변사 마감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9847A KR101756081B1 (ko) | 2015-08-04 | 2015-08-04 | 토목용 직물의 변사 마감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6583A KR20170016583A (ko) | 2017-02-14 |
KR101756081B1 true KR101756081B1 (ko) | 2017-07-11 |
Family
ID=58121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9847A KR101756081B1 (ko) | 2015-08-04 | 2015-08-04 | 토목용 직물의 변사 마감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608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2647B1 (ko) | 2017-08-31 | 2018-03-29 | (주)제일윈도텍스 | 미세먼지 차단용 직물필터 제조 방법 및 그 직물필터 |
-
2015
- 2015-08-04 KR KR1020150109847A patent/KR10175608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2647B1 (ko) | 2017-08-31 | 2018-03-29 | (주)제일윈도텍스 | 미세먼지 차단용 직물필터 제조 방법 및 그 직물필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6583A (ko) | 2017-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838910B1 (de) | Drehergewebe sowie verfahren und webmaschine zu dessen herstellung | |
MX2011010844A (es) | Dispositivo para producir una estera de fibras por tejeduria. | |
PT1297207E (pt) | Formação de material em folha utilizando-se hidroentrelaçamento | |
EP1666652A2 (en) | Method for weaving face-to-face fabrics, fabric woven according to such a method and face-to-face weaving machine for carrying out such a method | |
EP2524074B1 (en) | Method and device for the manufacturing of fabrics with at least two different pile heights in a same pile row | |
CN109137223B (zh) | 一种辅助纬纱和使用方法及其所得产品 | |
KR20200007956A (ko) | 중간 형체가 투사되는 3층 경편포의 직조 공정 및 그 원단 | |
KR100636073B1 (ko) | 립을 구비하는 토목용 직물의 제직 방법 | |
Gandhi et al. | Technical fabric structures–1. Woven fabrics | |
JP2009507138A (ja) | 両面にパイルを有するベルベットリボンの製造方法、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リボン織機、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ベルベットリボン | |
KR101756081B1 (ko) | 토목용 직물의 변사 마감처리장치 | |
CA1323286C (en) | Woven multi-layer angle interlock fabrics and methods of making same | |
CN109778415B (zh) | 一种用于污水处理针织单绒面面料及其制造方法 | |
CN217438386U (zh) | 一种锦涤千鸟格面料 | |
KR101519466B1 (ko) | 재생 아라미드 니들펀칭 부직포의 제조방법 | |
KR101880574B1 (ko) | 갯벌 간척용 토목섬유의 제조방법 | |
KR101112087B1 (ko) | 신율이 우수하고 변형과 접점 강도를 개선한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오그리드 | |
KR20050081399A (ko) | 토목용 직포와 그 제조 방법 및 장치 | |
JP5106956B2 (ja) | コーデュロイ編物 | |
KR20120040904A (ko) | 식생매트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
Sennewald et al. | Woven semi-finished products and weaving techniques | |
KR101381945B1 (ko) | 위사방향 광폭 토목용 직포 | |
KR100872189B1 (ko) | 토목용 직물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 |
KR101166452B1 (ko) | 아라미드 직물의 제조방법 | |
CN110952214B (zh) | 一种加粘粘扣带及其织造工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