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502B1 - 파클리탁셀의 정제방법 - Google Patents

파클리탁셀의 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502B1
KR101381502B1 KR1020120108636A KR20120108636A KR101381502B1 KR 101381502 B1 KR101381502 B1 KR 101381502B1 KR 1020120108636 A KR1020120108636 A KR 1020120108636A KR 20120108636 A KR20120108636 A KR 20120108636A KR 101381502 B1 KR101381502 B1 KR 101381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litaxel
extraction
methylene chloride
ppm
m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현
이지연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08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our-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0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our-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our-membered rings, e.g. tax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0011Heating features
    • B01D1/0017Use of electrical or wave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 파클리탁셀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처리하여 잔류용매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클리탁셀의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클리탁셀의 정제방법{Method for purifying paclitaxel}
본 발명은 조(crude) 파클리탁셀에 함유된 잔류용매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파클리탁셀의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의 잔류용매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클리탁셀은 주목 나무의 표피에서 발견된 항암물질로 난소암, 유방암, 카포시 종양(Kaposi's sarcoma), 비소세포성 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치료에 대해 미국 F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허가를 취득하여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항암제로서, 현재 항암제 중 시장규모 1위, 주요 항암화학치료제 시장의 22% 정도를 점유하고 있다. 류마티스성 관절염, 알츠하이머 치료 등의 적용증이 계속 확대되고 있으며, 또한 여러 다른 치료 방법들과의 복합처방에 관한 임상실험이 진행 중에 있어 향후 파클리탁셀의 수요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파클리탁셀의 주요 생산방법으로 주목나무에서 직접 추출(extraction)하는 방법, 반합성(semi-synthesis) 방법, 식물세포배양(plant cell culture) 방법이 있다. 식물세포배양 방법은 기후, 환경 등의 외부인자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생물반응기 내에서 안정적으로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정한 품질의 파클리탁셀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원료의약품(APIs;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의 경우 최종 정제된 제품의 사양(specifications)은 매우 중요하다. 파클리탁셀의 품질 요구조건은 미국약국방(U.S. Pharmacopeial Convention, USP 27-NF22)에 잘 정의되어 있다. 원료의약품의 순도(purity)뿐만 아니라 잔류용매(residual solvent), 불순물 함량, 내독소(endotoxin) 함량 등이 철저히 관리되어야 한다. 특히 잔류용매의 경우, ICH Q3C 가이던스(guidance)에서도 용매의 잔류 농도를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잔류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메탄올의 농도는 각각 600 ppm과 3,000 ppm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잔류용매의 규정을 충족시켜주기 위해서는 건조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회전증발농축(Rotary evaporation)과 진공건조(vacuum drying)의 경우, 파클리탁셀 건조 과정에서 잔류용매가 충분히 제거되기 전에 시료 표면이 딱딱하게 굳어버리는 표면경화(casehardening) 현상 때문에 시료를 장시간 건조하여도 잔류용매의 농도를 ICH 규정치 이하로 제조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건조 방법과 분무건조(spray drying) 방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건조의 경우, 높은 조업 압력으로 파클리탁셀이 분해될 가능성이 있으며 고압장치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초기 투자비가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분무건조의 경우에는 조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어 효율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파클리탁셀의 잔류용매 함량을 ICH 규정치 이하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적인 파클리탁셀 정제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클리탁셀의 잔류용매를 ICH 규정치 이하로 제거할 수 있는 파클리탁셀 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정제방법을 통해 메탄올은 3,000 ppm 이하, 메틸렌 클로라이드는 600 ppm 이하로 제거하는 정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crude) 파클리탁셀(paclitaxel)에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를 처리하여 잔류용매를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클리탁셀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거하려는 잔류용매가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메탄올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파클리탁셀 정제방법으로 정제된 파클리탁셀 중 메탄올(methanol)의 농도가 3,000 ppm이하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의 농도가 600 ppm이하인 파클리탁셀의 정제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방법으로 정제된 파클리탁셀을 포함하는 항암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택서스속 식물체, 이의 세포 또는 이의 세포 배양액을 감압추출, 항온추출, 핵산추출 또는 액체-액체 추출로 추출된 추출물 중 함유된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600ppm 이하로 또는 메탄올을 3,000ppm 이하로 제거하기 위한 마이크로웨이브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파클리탁셀에 함유된 잔류용매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ICH 규정치를 만족시키는 파클리탁셀 정제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제방법으로 정제된 파클리탁셀을 포함하는 항암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회전증발기로 농축(35 ℃, 감압조건, 5시간)한 시료를 마이크로웨이브 100, 200 및 300 와트로 처리하여 잔류용매 메틸렌 클로라이드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회전증발기로 농축(35 ℃, 감압조건, 5시간)한 시료를 마이크로웨이브 100, 200 및 300 와트로 처리하여 잔류용매 메탄올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회전증발기로 농축(35 ℃, 증발조건, 24시간)한 시료를 마이크로웨이브 100, 200 및 300 와트로 처리하여 잔류용매 메틸렌 클로라이드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회전증발기로 농축(35 ℃, 증발조건, 24시간)한 시료를 마이크로웨이브 100, 200 및 300 와트로 처리하여 잔류용매 메탄올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파클리탁셀(paclitaxel)에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를 처리하여 잔류용매를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클리탁셀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제방법으로 정제된 파클리탁셀을 포함하는 항암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조(crude) 파클리탁셀(paclitaxel)에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를 처리하여 잔류용매를 제거하는 파클리탁셀 정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crude) 파클리탁셀(paclitaxel)"은 택서스속 식물체, 이의 세포 또는 이의 세포 배양액을 감압추출, 항온추출, 핵산추출 또는 액체-액체 추출 등의 방법으로 추출된 파클리탁셀 시료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건조는 피가열물이 발열체가 되어 내부 전체에서의 열 이동으로 가열되므로 가열속도가 매우 빠르다. 또한, 장치의 규모를 작게 할 수 있으며, 균일한 건조가 가능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건조는 에너지 절약 및 공정 단축이 가능하여 나무, 채소, 과일 및 광석 등의 건조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웨이브 처리에 의해 제거되는 잔류용매는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메탄올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 파클리탁셀에 잔류된 유기 용매는 의약품 원료의 결정형, 용해도 등 물리화학적 물성을 변화시켜 의약품의 품질관리에 지장을 줄뿐 아니라. 발암 및 비가역적인 신경계 독성, 최기형성 등 인체에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키며, 환경에도 부적절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에 따라 ICH(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에서는 품질 규정 중 Q3C 잔류용매(residual solvent) 항목을 통하여 의약품 중 잔류용매의 종류 및 한도를 규제하고 있으며, 이 기준을 바탕으로 미국약전(USP 25) 및 유럽약전(EP 4)는 잔류용매 규제항목을 채택하고 있다. 이미 미국 및 유럽으로 수출되는 완제의약품 및 원료의약품은 각 약전의 기준에 따라 잔류 유기 용매의 종류와 한도에 대한 품질관리 자료를 요청받고 있으며, 향후 이러한 규제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클리탁셀 정제방법으로 정제된 파클리탁셀 중 메탄올(methanol)의 농도가 3,000 ppm이하 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클리탁셀 정제방법으로 정제된 파클리탁셀 중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의 농도가 600 ppm이하 이다.
본 발명의 파클리탁셀 정제방법에 의해 정제된 파클리탁셀 중 메탄올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의 농도는 ICH Q3C 가이던스에서 규정된 3,000 ppm 및 600 ppm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파클리탁셀 중 포함된 잔류용매인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메탄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향후 원료의약품 대량생산에서 잔류용매 제거를 위한 건조공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처리는 50 와트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 400 와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300 와트로 수행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가 400 와트를 초과한 상태로 조업할 경우, 타겟 물질인 파클리탁셀이 분해될 위험이 있다. 또한, 100 와트 미만으로 처리했을 때는 잔류용매를 충분히 제거(ICH 규정치인 메틸렌 클로라이드 600 ppm 및 에탄올 3,000 ppm 이하로)시키려면 시료를 장시간 건조해야 하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 파클리탁셀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택서스속(Taxus genus) 식물체, 이의 세포 또는 이의 세포 배양액에서 추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 파클리탁셀은 택서스속(Taxus genus) 식물체, 이의 세포 또는 이의 세포 배양액을 감압 추출, 항온추출, 핵산추출 또는 액체-액체 추출로 추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택서스속(Taxus genus) 식물체, 이의 세포 또는 이의 세포 배양액은 파클리탁셀 함유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택서스속(Taxus genus) 식물체는 택서스 브레비폴리아(Taxus brevifolia), 택서스 카나덴시스(Taxus canadensis), 택서스 쿠스피다타(Taxus cuspidata), 택서스 바카타(Taxus baccata), 택서스 글로보사(Taxus globosa), 택서스 플로리다나(Taxus floridana), 택서스 월리치아나(Taxus wallichiana), 택서스 메디아(Taxus media) 또는 택서스 치넨시스(Taxus chinensis)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조 파클리탁셀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처리하여 잔류용매를 제거하여 정제된 파클리탁셀을 포함하는 항암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항암제는 악성종양의 치료를 위하여 사용되는 화학요법제의 총칭이다. 대부분의 항암제는 암세포의 각종 대사경로에 개입하여 주로 핵산의 합성을 억제하거나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약제이다. 정상세포를 손상하지 않고 종양세포만을 저해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작용 메커니즘이 여러 가지로 다른 각양각색의 약제가 많은 기업에 의하여 연구되어 왔다. 의약품에 관련된 생물공학의 응용 중 가장 주력하고 있는 분야이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항암제는 작용 메커니즘에 따라 면역을 부활화하는 것, 대사길항작용이 있는 것, 종양세포를 직접 살상하는 항생물질의 세 가지 종류로 대별된다.
본 발명은 또한, 조 파클리탁셀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처리하여 잔류용매를 제거하여 정제된 파클리탁셀을 포함하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또는 알츠하이머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클리탁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파클리탁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클리탁셀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0.01 내지 500mg/㎏의 양,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m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파클리탁셀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작용하는 질병에는 난소암, 유방암, 카포시 종양(kaposi’s sarcoma), 비소세포성 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알츠하이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바이오매스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처리하여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잔류용매를 제거하는 파클리탁셀의 정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이오매스는 택서스속(Taxus genus) 식물체, 이의 세포 또는 이의 세포 배양액에서 얻은 식물세포 및 세포조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제방법에 따라 정제된 파클리탁셀은 메틸렌 클로라이드 600ppm 이하 및 메탄올 3,000 ppm 이하의 농도로 함유한 파클리탁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택서스속 식물체, 이의 세포 또는 이의 세포 배양액을 감압추출, 항온추출, 핵산추출 또는 액체-액체 추출로 추출된 추출물 중 함유된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600ppm 이하로 제거하기 위한 마이크로웨이브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택서스속 식물체, 이의 세포 또는 이의 세포 배양액을 감압추출, 항온추출, 핵산추출 또는 액체-액체 추출로 추출된 추출물 중 함유된 메탄올을 3,000ppm 이하로 제거하기 위한 마이크로웨이브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처리 방법에서 사용한 마이크로웨이브는 100 내지 400 와트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준비예 1: 식물세포배양액 준비.
본 발명에 사용된 식물세포배양액은 택서스종(Taxus chinensis)의 잎으로부터 얻은 세포주(cell line)를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택서스종으로부터 얻은 현탁액 세포는 24 ℃ 암조건(darkness condition)에서 150 rpm으로 교반하여 배양하였다. 상기 현탁액 세포는 수정된 겜보르그 비5(Gamborg's B5) 배지, 30 g/ℓ 수크로오스(sucrose), 10 um 나프탈렌 아세트산(naphthalene acetic acid), 0.2 um 6-벤질 아미노 퓨린(6-benzylamino purine), 1 g/ℓ 카제인 가수분해물(casein hydrolysate) 및 1 g/ℓ 2-(엔-모르폴리노)에탄술폰산(2-(N-molpholino)ethane sulfonic acid)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은 2주마다 새로운 배지로 갈아주었으며 생산과 배양을 연장시키기 위해 7일과 21일째 되는 날에 1 ~ 2%의 맥아당(maltose)를 첨가해주고 유도인자로서 배양 초기에 4 um의 질산은(AgNO3)를 첨가했다. 상기 배양된 세포는 배양액으로부터 디캔터(웨스트팔리아사의 CA150 Claritying decanter사용) 및 고속원심분리기(알파-라발사의 BTPX205GD-35CDEEP 사용)를 이용하여 식물세포와 세포조각을 회수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회수한 식물세포와 세포조각을 합하여 바이오매스(biomass)라 한다.
준비예 2: 시료준비.
식물세포배양액으로부터 회수한 바이오매스와 메탄올의 비율을 1/1 (w/v)로 첨가하여 25 ℃에서 4회 반복 메탄올 추출하고 추출액을 회전증발기(rotary evaporator, CCA-1100, EYELA, Japan)를 이용하여 원액의 30%까지 농축하여 액-액 추출을 수행하였다. 농축된 메탄올 용액에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첨가(메틸렌 농축액의 25%)하고, 30분 동안 교반 후 정체시켜 상 분리를 유도하였다. 액-액 추출을 수행하여 파클리탁셀이 포함된 하층인 메틸렌 클로라이드 층에서 제1시료를 회수하고 액체-액체 추출을 3회 반복 수행한 다음 농축하고 여과지(150 mm, Whatman)로 감압 여과 후 건조하였다. 식물세포 유래 타르 및 왁스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건조된 상기 제1시료를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20% (v/v) 비율로 녹이고, 흡착제인 실로푸트(sylopute, 일본 Fuji Silysia Chemical Ltd.에서 구매)를 건조된 제1시료 대비 50% (w/w) 비율로 첨가하여 40 ℃ 항온조(PS-1000, EYELA, Japan)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킨 후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로 얻은 여과액은 30℃, 감압상태에서 건조하여 건조된 시료를 얻고 이 건조된 시료를 핵산 침전 공정에 이용하였다. 핵산 침전 공정은 상기 건조된 시료를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녹이고 핵산에 떨어뜨려 침전을 유도하여 비극성불순물을 제거하였다(메틸렌 클로라이드/핵산 = 1/10, v/v). 핵산 침전 후 여과를 통하여 제2시료를 얻고 35 ℃에서 24시간 동안 진공오븐(UP-2000, EYELA, Japan)으로 건조하였다.
핵산 침전을 통하여 얻은 제2시료를 메탄올에 용해하고 메탄올이 61.5 %(v/v)가 될 때까지 증류수를 떨어뜨렸다. 상기 증류수가 첨가된 용액을 4 ℃에서 냉장 보관하여 파클리탁셀 침전물을 얻고 35 ℃에서 24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정제하였다.
상기 HPLC 정제로 얻은 파클리탁셀 침전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 (98/2, v/v) 20 ㎖에 녹인 후 회전증발기(rotary evaporator, CCA-1100, EYELA, Japan)를 이용하여 35 ℃, 감압조건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감압농축으로 얻어진 파클리탁셀 시료는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마이크로웨이브 처리 건조 성능 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파클리탁셀에 마이크로웨이브 100 와트 처리
실시예 1-1: 회전증발기로 농축(35 ℃, 감압조건, 5시간)한 시료
본 발명의 상기 준비예 2에서 제조한 파클리탁셀 침전물은 회전증발기(rotary evaporator, CCA-1100, EYELA, Japan)를 이용하여 35 ℃, 감압조건에서 5시간 동안 농축한 파클리탁셀 시료를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하였다.
도 1과 같이 마이크로웨이브 100 와트로 처리한 경우, 25시간 동안 건조시켜도 메틸렌 클로라이드의 농도가 ICH 규정치인 600 ppm을 충족시키기 힘든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마이크로웨이브 100 와트를 이용하여 파클리탁셀을 건조할 경우 25시간 이상의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클리탁셀 시료에 마이크로웨이브 100 와트로 처리한 것도 메탄올은 ICH 규정치인 3,000 ppm을 충족시키기에 충분하였다.
실시예 1-2. 회전증발기로 농축(35 ℃, 진공조건, 24시간)한 시료
본 발명의 상기 준비예 2에서 제조한 파클리탁셀 침전물은 회전증발기(rotary evaporator, CCA-1100, EYELA, Japan)를 이용하여 35 ℃, 진공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농축한 파클리탁셀 시료를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하였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웨이브 100 와트로 처리한 경우, 25시간 동안 건조시켜도 메틸렌 클로라이드의 농도가 5,000ppm 까지는 제거되지만 그 이하로 제거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클리탁셀 시료에 마이크로웨이브 100 와트로 처리한 것도 메탄올은 ICH 규정치인 3,000 ppm을 충족시키기에 충분하였다.
실시예 2. 파클리탁셀에 마이크로웨이브 200 와트 처리
실시예 2-1: 회전증발기로 농축(35 ℃, 감압조건, 5시간)한 시료
본 발명의 상기 준비예 2에서 제조한 파클리탁셀 침전물은 회전증발기(rotary evaporator, CCA-1100, EYELA, Japan)를 이용하여 35 ℃, 감압조건에서 5시간 동안 농축한 파클리탁셀 시료를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하였다.
도 1과 같이 마이크로웨이브 200 와트로 처리한 경우, 25시간 건조시켜도 메틸렌 클로라이드의 농도가 ICH 규정치인 600 ppm을 충족시키기 힘든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마이크로웨이브 100 와트를 이용했던 실시예 1의 결과보다는 낮은 농도의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함유한 파클리탁셀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클리탁셀 시료에 마이크로웨이브 200 와트로 처리한 것도 메탄올은 ICH 규정치인 3,000 ppm을 충족시키기에 충분하였다.
실시예 2-2: 회전증발기로 농축(35 ℃, 진공조건, 24시간)한 시료
본 발명의 상기 준비예 2에서 제조한 파클리탁셀 침전물은 회전증발기(rotary evaporator, CCA-1100, EYELA, Japan)를 이용하여 35 ℃, 진공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농축한 파클리탁셀 시료를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하였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웨이브 200 와트로 처리한 경우, 10시간 동안 건조한 결과 메틸렌 클로라이드의 농도가 ICH 규정치인 600 ppm 이하 제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진공건조를 통하여 시료 내 초기 메틸렌 클로라이드의 농도를 낮춤으로써 건조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클리탁셀 시료에 마이크로웨이브 200 와트로 처리한 것도 메탄올은 ICH 규정치인 3,000 ppm을 충족시키기에 충분하였다.
실시예 3. 파클리탁셀에 마이크로웨이브 300 와트 처리
실시예 3-1: 회전증발기로 농축(35 ℃, 감압조건, 5시간)한 시료
본 발명의 상기 준비예 2에서 제조한 파클리탁셀 침전물은 회전증발기(rotary evaporator, CCA-1100, EYELA, Japan)를 이용하여 35 ℃, 감압조건에서 5시간 동안 농축한 파클리탁셀 시료를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하였다.
도 1과 같이 마이크로웨이브 300 와트로 처리한 경우, 21시간 이상 건조하였을 때, 메틸렌 클로라이드의 농도가 ICH 규정치인 600 ppm을 충족시키는 것을 확인 수 있었다.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클리탁셀 시료에 마이크로웨이브 300 와트로 처리한 것도 메탄올은 ICH 규정치인 3,000 ppm을 충족시키기에 충분하였다.
이와 같이, 파클리탁셀의 마이트로웨이브 300 와트를 처리하여 건조할 경우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메탄올의 ICH 규정치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2: 회전증발기로 농축(35 ℃, 진공조건, 24시간)한 시료
본 발명의 상기 준비예 2에서 제조한 파클리탁셀 침전물은 회전증발기(rotary evaporator, CCA-1100, EYELA, Japan)를 이용하여 35 ℃, 진공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농축한 파클리탁셀 시료를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하였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웨이브 300 와트로 처리한 경우, 7시간 이상 건조하였을 때, 메틸렌 클로라이드의 농도가 ICH 규정치인 600 ppm을 충족시키는 것을 확인 수 있었다. 따라서 진공건조를 통하여 시료 내 초기 메틸렌 클로라이드의 농도를 낮춤으로써 건조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클리탁셀 시료에 마이크로웨이브 300 와트로 처리한 것도 메탄올은 ICH 규정치인 3,000 ppm을 충족시키기에 충분하였다.
이와 같이, 파클리탁셀의 마이트로웨이브 300 와트를 처리하여 건조할 경우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메탄올의 ICH 규정치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료 내 초기 메틸렌 클로라이드의 농도를 낮춤으로써 건조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파클리탁셀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처리하면 ICH 규정치인 메틸렌 클로라이드 600 ppm 및 메탄올 3,000 ppm 이하로 함유하는 파클리탁셀을 정제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원료 의약품 대량생산에 잔류용매 제거를 위한 건조 공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파클리탁셀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현 상황에 꼭 필요한 파클리탁셀 정제 방법을 발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제조예 ]
제조예 1 :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파클리탁셀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조예 1-1. 산제의 제조
파클리탁셀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2. 정제의 제조
파클리탁셀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3. 캡슐제의 제조
파클리탁셀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4. 환의 제조
파클리탁셀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제조예 1-5. 과립의 제조
파클리탁셀 150 ㎎
대두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 ℃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Claims (14)

  1. 조(crude) 파클리탁셀(paclitaxel)에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를 처리하여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또는 메탄올(methanol)을 포함하는 잔류용매를 제거하여,
    정제한 파클리탁셀이 포함하는 메탄올의 농도가 3,000 ppm이하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의 농도가 600 pp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클리탁셀의 정제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처리는 2 ~ 21 시간 동안 200 ~ 300 와트로 수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클리탁셀의 정제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 파클리탁셀은 택서스속(Taxus genus) 식물체, 이의 세포 또는 이의 세포 배양액에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클리탁셀의 정제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 파클리탁셀은 택서스속(Taxus genus) 식물체, 이의 세포 또는 이의 세포 배양액을 감압 추출, 항온추출, 핵산추출 또는 액체-액체 추출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클리탁셀의 정제방법.
  8.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정제방법으로 정제된 파클리탁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용 약학적 조성물.
  9.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정제방법으로 정제된 파클리탁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알츠하이머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택서스속 식물체, 이의 세포 또는 이의 세포 배양액을 감압추출, 항온추출, 핵산추출 또는 액체-액체 추출로 추출된 추출물 중 함유된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600ppm 이하로 제거하기 위한 마이크로웨이브 처리 방법.
  11. 택서스속 식물체, 이의 세포 또는 이의 세포 배양액을 감압추출, 항온추출, 핵산추출 또는 액체-액체 추출로 추출된 추출물 중 함유된 메탄올을 3,000ppm 이하로 제거하기 위한 마이크로웨이브 처리 방법.
  12. 제 10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처리가 100 ~ 400 와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처리 방법.
  13. 바이오매스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처리하여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잔류용매를 제거하여, 정제된 파클리탁셀에 함유된 메틸렌 클로라이드 600 ppm 이하 및 메탄올 3,000 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클리탁셀의 정제방법.
  14. 삭제
KR1020120108636A 2012-09-28 2012-09-28 파클리탁셀의 정제방법 KR101381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636A KR101381502B1 (ko) 2012-09-28 2012-09-28 파클리탁셀의 정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636A KR101381502B1 (ko) 2012-09-28 2012-09-28 파클리탁셀의 정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1502B1 true KR101381502B1 (ko) 2014-04-04

Family

ID=50656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636A KR101381502B1 (ko) 2012-09-28 2012-09-28 파클리탁셀의 정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5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5283A (zh) * 2017-08-07 2017-11-21 江苏红豆杉药业有限公司 一种紫杉醇光降解获得杂质的方法
KR20210007265A (ko) * 2019-07-10 2021-01-2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파클리탁셀로부터의 잔류 용매 제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0832A (ko) * 2002-12-30 2004-07-06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파클리탁셀 함유물질로부터 파클리탁셀의 추출 정제 방법
KR20050114627A (ko) * 2003-02-27 2005-12-06 챠이쳄 파마슈티컬즈 인터내셔널 천연 원료로부터 파클리탁셀의 개선된 분리 및 정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0832A (ko) * 2002-12-30 2004-07-06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파클리탁셀 함유물질로부터 파클리탁셀의 추출 정제 방법
KR20050114627A (ko) * 2003-02-27 2005-12-06 챠이쳄 파마슈티컬즈 인터내셔널 천연 원료로부터 파클리탁셀의 개선된 분리 및 정제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5283A (zh) * 2017-08-07 2017-11-21 江苏红豆杉药业有限公司 一种紫杉醇光降解获得杂质的方法
CN107365283B (zh) * 2017-08-07 2020-12-08 无锡紫杉药业有限公司 一种紫杉醇光降解获得杂质的方法
KR20210007265A (ko) * 2019-07-10 2021-01-2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파클리탁셀로부터의 잔류 용매 제거방법
KR102278549B1 (ko) 2019-07-10 2021-07-1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파클리탁셀로부터의 잔류 용매 제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5495B1 (ko) 항종양활성을갖는탁산
RU2359666C2 (ru)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секоизоларицирезинола и дигидрокверцетина из древесины (варианты)
KR20050044621A (ko) 파클리탁셀 용매화물
US6452024B1 (en) Process for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paclitaxel from natural sources
D'Este et al. Novel protocol for lutein extraction from microalga Chlorella vulgaris
WO2000078741A2 (en) Process for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paclitaxel from natural sources
KR102440644B1 (ko) 파클리탁셀 정제 시 가스 버블을 이용한 분별침전방법
KR102090882B1 (ko) 파클리탁셀 정제 시 초음파 처리에 의해 수행되는 분별침전방법
KR101381502B1 (ko) 파클리탁셀의 정제방법
Lee et al. Microwave-assisted drying of paclitaxel for removal of residual solvents
KR101591581B1 (ko) 파클리탁셀의 개선된 정제방법
CN104382968B (zh) 穿心莲总内酯提取方法、穿心莲总内酯药物组合物及用途
KR101866478B1 (ko) 유기용매를 이용한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278549B1 (ko) 파클리탁셀로부터의 잔류 용매 제거방법
KR101666438B1 (ko) 파클리탁셀 추출용 바이오매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파클리탁셀 추출방법
US20070190623A1 (en) Process for purification and recovery of paclitaxel compounds
KR101756529B1 (ko) 물을 이용한 파클리탁셀 추출물의 전처리 방법
KR20110012169A (ko) 파클리탁셀 전처리를 위한 마이셀 기반 분리 방법
KR101401144B1 (ko) 파클리탁셀의 분리 및 정제방법
KR102572099B1 (ko) 물 및 헥산의 순차적 세척을 통한 파클리탁셀 추출물의 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파클리탁셀의 정제방법
CN115010689B (zh) 一种化合物kurarinol A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125538B1 (ko) 마이셀-분별침전 하이브리드 공정에 의한 파클리탁셀의 정제 방법
CN112794812B (zh) 从香蕉花中提取的生物碱类化合物及其提取方法
CN109575089B (zh) 酰化葡萄糖类化合物及其药物组合物和制备方法与应用
RU2236863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епарата флавитек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5